KR101707942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942B1
KR101707942B1 KR1020160083924A KR20160083924A KR101707942B1 KR 101707942 B1 KR101707942 B1 KR 101707942B1 KR 1020160083924 A KR1020160083924 A KR 1020160083924A KR 20160083924 A KR20160083924 A KR 20160083924A KR 101707942 B1 KR101707942 B1 KR 101707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member
hollow
slab
precast concrete
penet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식
최호철
신상훈
Original Assignee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2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ceramics,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중공부재 및 중공부재와 결합하고 슬래브에 매립되어 슬래브 내에서 중공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결속수단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중공부재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중공구배로부터 노출되는 단부 또는 측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는 관통부재와,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관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단부와 일체로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또는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을 제공한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고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중공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고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Precast concrete hollow core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가 타설 될 시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고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중공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건설할 때 공간활용의 다양화를 위하여 기둥이나 벽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넓어지도록 건설하게 되는 데, 이러한 경우 통상적으로 슬래브의 면적에 비례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슬래브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보를 적절하게 건설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슬래브의 두께를 두껍게 건설하는 경우에는 슬래브 두께의 증가에 비례하여 콘크리트 등과 같은 타설물이 증가하고, 슬래브의 자중도 증가하여 슬래브 자체뿐만 아니라 구조물 전체에도 상당한 하중으로 부담되어 구조적인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 두께의 중앙에 중공부를 두는 중공슬래브(Hollow core slab or void slab)가 개발되어, 중량부담을 줄이면서도 비교적 우수한 단면 성능을 갖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중공슬래브는 슬래브의 중공이 형성될 위치에 스티로폼 등의 경량 중공부재를 설치하는 기술이 적용되는 바, 이러한 경우 상기 경량 중공부재를 현장에서 설치 후 콘크리트를 바로 매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경량 중공부재를 이용한 중공슬래브는,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중공부재가 부력에 의해 부상하면서 중공슬래브가 제대로 타설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7716호
본 발명은, 중공부재를 이용한 중공슬래브의 제조 시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고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중공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중공부재 및 상기 중공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되어 상기 슬래브 내에서 상기 중공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중공부재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구배로부터 노출되는 단부 또는 측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는 관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단부와 일체로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또는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중공부재 및 상기 중공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되어 상기 슬래브 내에서 상기 중공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중공부재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구배로부터 노출되는 단부 또는 측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는 관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단부에 결합하는 부력방지부재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중공부재가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내로 관통부재를 세워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몰드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까지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차 콘크리트타설 단계, 상기 1차 콘크리트타설 후 상기 중공부재의 하면이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되, 상기 중공부재가 상기 관통부재에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중공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관통부재의 양단부를 각각 절곡시켜 상기 중공부재가 부상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재와 상기 관통부재가 매립되도록 상기 몰드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2차 콘크리트타설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4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재가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내로 관통부재를 세워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몰드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까지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차 콘크리트타설 단계, 상기 1차 콘크리트타설 후 상기 중공부재의 하면이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되, 상기 중공부재가 상기 관통부재의 양단부에서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중공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관통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중공부재가 부상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부력방지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재와 상기 관통부재가 매립되도록 상기 몰드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2차 콘크리트타설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고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중공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둘째, 구조가 간단하고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고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셋째, 별도의 부력방지수단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공사에 따른 경제성과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의 관통부재와 중공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의 관통부재와 중공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연속하여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거더에 연속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610; 이하 '중공슬래브'라 한다)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와, 중공부재(200)와, 결속수단(300a)을 포함한다. 상기 중공슬래브(610)는, 하부가 평편하고 상기 중공부재(200)가 내부에 매립되어 자중을 줄였으며, 바닥 충격 흡수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는 밑면이 평편하고 윗면으로 T 형 리브(RIB)를 형성한 중공슬래브판(Void slab)으로 상부에 덧침 콘크리트(Topping concrete; 미도시)를 타설하여 일체화 시키는 합성 슬래브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재(200)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내부에 매립되어 위치하며, 도면에서와 같이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매립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중공부재(200)는 스티로폼이나 EPS 등과 같은 공지의 경량부재를 사용한다.
상기 결속수단(300a)은 상기 중공부재(200)와 결합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중공슬래브(610) 내에서 상기 중공부재(200)의 부상을 방지하고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속수단(300a)은, 관통부재(310a)와, 절곡부(320a)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관통부재(310a)는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중공부재(200)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부재(200)로부터 노출되는 단부 또는 측부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립되어 있다. 즉, 상기 관통부재(310a)는 상기 중공부재(200)를 관통하면서 연결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립되어 상기 중공부재(200)의 부상을 방지하고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 및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관통부재(310a)는, 양단부가 상부를 향하고 절곡부분(321a)이 하부를 향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양단부로 상기 중공부재(200)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부재(200)로부터 노출되는 하부의 절곡부분(321a)과 상부의 양단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립된다. 도면에서, 상기 관통부재(310a)는 ㄷ'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지만, 이외 'U'자 등 다양한 형태로 절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절곡부(320a)는, 상기 관통부재(310a)로부터 노출되는 상부의 양단부와 일체로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또는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재(200)의 부상을 방지한다. 도면에서 상기 절곡부(320a)는, 상기 관통부재(310a)의 양단부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재(200)가 상부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경사지게 절곡 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중공슬래브(610)는 상기 중공부재(2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매립 설치되어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부메쉬(410)와 하부메쉬(4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메쉬(410)는 메쉬형으로 상기 중공부재(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립되고, 상기 관통부재(310a)의 양단부가 끼워지고 상면으로 상기 절곡부(320a)가 안착된다.
상기 하부메쉬(420)는 상기 중공부재(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부재(310a)가 끼워지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립된다.
상기 중공슬래브(610)는, 상기 중공부재(200) 사이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전단 저항력과 합성능력이 우수하도록 전단연결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연결부재(500)는 일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로부터 노출되어 돌출된다. 상기 전단연결부재(500)는, 봉 형상의 철근을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 교대로 절곡시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620)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중공슬래브(62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와, 중공부재(200)와, 결속수단(300b)을 포함하며, 이 중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와 상기 중공부재(200)는 전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이와 대별되는 상기 결속수단(300b)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결속수단(300b)은, 관통부재(310b)와, 부력방지부재(320b)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부재(310b)는,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중공부재(200)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절곡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재(200)로부터 노출되는 단부 또는 측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립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관통부재(310b)는, 양단부가 상부를 향하고 절곡부분(321b)이 'ㄷ'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양단부로 상기 중공부재(200)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부재(200)로부터 노출되는 하부의 절곡부분(321b)과 상부의 양단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에 매립된다.
상기 부력방지부재(320b)는, 상기 관통부재(310b)로부터 노출되는 상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중공부재(200)의 부상을 방지하며, 상기 관통부재(310b)의 양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22b)에 치합되어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부력방지부재(320b)는 나사산(322b)이 형성된 상기 관통부재(310b)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적용하였지만, 이외 스냅식으로 슬라이딩 삽입한 후 고정시킬 수 있는 와셔구조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중공슬래브를 연속하여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중공슬래브를 거더(20)에 연속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트리트 슬래브(100)에 형성된 제1확장부(110)와 제2확장부(12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확장부(110)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하부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확장부(110)는 외측 단부가 이웃하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제1확장부(110)의 단부와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플레이트 형상으로 기존의 홈이 형성된 전단키와는 달리 그 구조가 단순하다.
이에, 상기 중공슬래브(610)는 상기한 제1확장부(110)를 통하여 상기 중공슬래브(610)의 폭 방향으로 연속 설치 시 불연속 부분을 최소화하여 일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전단키를 형성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생산성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타설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30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연속 설치 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들 사이에 설치되는 전단보강부재를 나타낸다. 이때, 도면에서 상기 전단보강부재는 'U'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상기한 'U'자 형태 외 다양한 형태의 전단보강부재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는 도 7에 나타난 봐와 같이 중공슬래브(610)끼리 폭 방향으로 연속 설치하는 것 외에,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거더(2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와의 연속성을 위하여 제2확장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확장부(120)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하부 전후방 양측 폭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20)의 상부에 설치 시 상기 제2확장부(120)의 단부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거더(20)에 안착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1)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확장부(120)는 슬래브와 거더(20)의 정착을 확실하게 구연할 수 있으며, 타 공법에 비하여 바닥판(슬래브)의 일체성을 확보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는 거더(20)와 슬래브에 배근된 철근을 나타내고, 21은 거더(20)에 배근된 전단보강 스트립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중공슬래브(610)와 제2실시예의 중공슬래브(6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6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61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내로 관통부재(310a)를 세워서 배치한다(S11).
이때, 상기 몰드에 상기 관통부재(310a)를 배치하고 난 후 상기 몰드 내로 메쉬형의 하부메쉬(420)를 배치한다. 또한, 상기 몰드에 상기 전단연결부재(500)를 배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몰드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몰드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까지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차 콘크리트타설 단계를 거친다(S12). 여기서, 상기 1차 콘크리트 타설은 설계상 상기 중공슬래브(610)에서 상기 중공부재(200)의 바닥면 높이까지 타설한다. 이는, 상기 중공부재(200)를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한 번에 타설하게 되면 구조상 중공부재(200)의 바닥부로 콘크리트가 제대로 타설되지 않기 때문이며 이에 1차 및 2차로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1차 콘크리트타설 후 상기 중공부재(200)의 하면이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되, 상기 중공부재(200)가 상기 관통부재(310a)에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중공부재(200)를 배치한다(S13). 여기서, 상기 중공부재(200)는 1차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되기 이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공부재(200)를 배치한 후 상기 몰드 내 상기 중공부재(200)의 상면으로 메쉬형의 상부메쉬(410)를 배치한다.
이 후, 상기 중공부재(2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관통부재(310a)의 양단부를 각각 절곡시켜 상기 중공부재(200)가 부상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절곡부(320a)를 형성한다(S14).
상기한 절곡부(320a)를 형성하여 상기 중공부재(200)의 부상을 방지하고 그 위치가 고정되게 하면 상기 중공부재(200)와 상기 관통부재(310a)와 상기 상부메쉬(410) 및 하부메쉬(420)가 매립되도록 상기 몰드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2차 콘크리트타설 단계(S15)를 진행하고, 그런 다음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다(S16).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610)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620)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610)의 제조방법과 비교하여, 상기 중공부재(200)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절차를 제외한 상기 몰드 내 관통부재(310b)를 세워서 배치하는 단계(S21)와,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22)와, 관통부재(310b)에 중공부재(200)를 배치하는 단계(S23)와,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25)와, 양생하는 단계(S26)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와 대별되는 중공부재(200)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방지부재(320b)의 결합하는 단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중공부재(200)를 배치한 후에는 상기 중공부재(2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관통부재(310b)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중공부재(200)가 부상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부력방지부재(320b)를 결합한다(S24). 이때, 상기 관통부재(310b)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3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력방지부재(320b)는 상기 나사산(322b)에 치합되는 체결너트로 이루어져 작업자는 노출되는 상기 관통부재(310b)의 양단부로 상기 체결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중공부재(200)의 부상을 방지하고 위치를 고정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200... 중공부재
300a,300b... 결속수단 310a,310b... 관통부재
320a... 절곡부 320b... 부력방지부재
410... 상부메쉬 420... 하부메쉬
500... 전단연결부재 610,620... 중공슬래브

Claims (17)

  1.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와의 연속성을 위하여,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직한 양측면에 대하여 하부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확장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중공부재; 및
    상기 중공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되어 상기 슬래브 내에서 상기 중공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중공부재가 접촉되게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단부 또는 측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는 관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단부와 일체로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또는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는, 양단부가 상부를 향하고 절곡부분이 하부를 향하도록'U'자 또는 'ㄷ'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고, 양단부로 상기 중공부재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절곡부분과 양단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관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상부의 양단부와 일체로 결합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또는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고, 메쉬형으로 상기 관통부재의 양단부가 끼워지고 상면으로 상기 절곡부가 안착되는 상부메쉬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4.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와의 연속성을 위하여,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직한 양측면에 대하여 하부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확장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중공부재; 및
    상기 중공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슬래브에 매립되어 상기 슬래브 내에서 상기 중공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중공부재가 접촉되게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단부 또는 측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는 관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단부에 결합하는 부력방지부재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는, 양단부가 상부를 향하고 절곡부분이 하부를 향하도록'U'자 또는 'ㄷ'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재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절곡부분과 양단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고,
    상기 부력방지부재는 상기 관통부재의 양단부에 결합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력방지부재는,
    상기 관통부재의 양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어 체결되는 체결너트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7. 청구항 4에 있어서,
    메쉬형으로 상기 중공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는 상부메쉬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는 하부메쉬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일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로부터 노출되어 돌출되는 전단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부재는,
    봉 형상의 철근을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 교대로 절곡시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절곡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는,
    이웃하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와의 연속성을 위하여, 하부 전후방 양측 폭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확장부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12. 내부에 중공부재가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내로 관통부재를 세워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에 상기 관통부재를 배치한 후 상기 몰드 내로 메쉬형의 하부메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몰드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까지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차 콘크리트타설 단계;
    상기 1차 콘크리트타설 후 상기 중공부재의 하면이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되, 세워져 배치된 상기 관통부재에 상기 중공부재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중공부재가 상기 관통부재에 접촉되게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중공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재를 배치한 후 상기 몰드 내 상기 중공부재의 상면으로 메쉬형의 상부메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관통부재의 양단부를 각각 절곡시켜 상기 중공부재가 부상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재와 상기 관통부재가 매립되도록 상기 몰드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2차 콘크리트타설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제조방법.
  13. 내부에 중공부재가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내로 관통부재를 세워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에 상기 관통부재를 배치한 후 상기 몰드 내로 메쉬형의 하부메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몰드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까지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1차 콘크리트타설 단계;
    상기 1차 콘크리트타설 후 상기 중공부재의 하면이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되, 세워져 배치된 상기 관통부재에 상기 중공부재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중공부재가 상기 관통부재에 접촉되게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중공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재를 배치한 후 상기 몰드 내 상기 중공부재의 상면으로 메쉬형의 상부메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관통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중공부재가 부상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부력방지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재와 상기 관통부재가 매립되도록 상기 몰드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2차 콘크리트타설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는, 양단부가 상부를 향하고 절곡부분이 하부를 향하도록'U'자 또는 'ㄷ'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재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절곡부분과 양단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관통부재의 양단부를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절곡부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제조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는, 양단부가 상부를 향하고 절곡부가 하부를 향하도록'U'자 또는 'ㄷ'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재가 관통되어 끼워지며, 상기 중공부재로부터 노출되는 절곡부와 양단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며,
    상기 부력방지부재는, 상기 중공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관통부재의 양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체결너트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에 상기 체결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중공부재가 부상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제조방법.
KR1020160083924A 2016-07-04 2016-07-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7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924A KR101707942B1 (ko) 2016-07-04 2016-07-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924A KR101707942B1 (ko) 2016-07-04 2016-07-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942B1 true KR101707942B1 (ko) 2017-02-27

Family

ID=5831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924A KR101707942B1 (ko) 2016-07-04 2016-07-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43B1 (ko) * 2018-04-17 2018-07-06 주식회사 서하 각관을 이용한 프리텐션 중공 콘크리트 슬래브
KR102121671B1 (ko) 2018-12-14 2020-06-10 (주)원피씨엔지니어링 개폐형 덮개를 가진 중공pc부재 및 이의 제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36A (ja) * 1992-06-27 1994-01-18 Yahagi Kensetsu Kogyo Kk 小梁付きスラブの施工方法
JP2006152699A (ja) * 2004-11-30 2006-06-15 Sekisui Plastics Co Ltd 現場打ち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1008962B1 (ko) * 2008-12-04 2011-01-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속 경량성형재에 의한 비연속 중공슬래브, 및 비연속 중공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연속 경량성형재와 하프pc슬래브
KR101152270B1 (ko) * 2012-02-02 2012-06-19 정원이엔씨(주)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101527716B1 (ko) 2014-05-30 2015-06-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36A (ja) * 1992-06-27 1994-01-18 Yahagi Kensetsu Kogyo Kk 小梁付きスラブの施工方法
JP2006152699A (ja) * 2004-11-30 2006-06-15 Sekisui Plastics Co Ltd 現場打ち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1008962B1 (ko) * 2008-12-04 2011-01-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속 경량성형재에 의한 비연속 중공슬래브, 및 비연속 중공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연속 경량성형재와 하프pc슬래브
KR101152270B1 (ko) * 2012-02-02 2012-06-19 정원이엔씨(주)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101527716B1 (ko) 2014-05-30 2015-06-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43B1 (ko) * 2018-04-17 2018-07-06 주식회사 서하 각관을 이용한 프리텐션 중공 콘크리트 슬래브
KR102121671B1 (ko) 2018-12-14 2020-06-10 (주)원피씨엔지니어링 개폐형 덮개를 가진 중공pc부재 및 이의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876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KR101301081B1 (ko)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777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CN113026993B (zh) 一种装配式组合连接梁窗洞构件、结构及制作施工方法
KR101519086B1 (ko) 프리캐스트 t형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교량 시공방법
KR100966144B1 (ko) 교대 소켓부 및 횡방향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20140012805A (ko) 바이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유형 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0768031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콘크리트 합성파일에 강재파일을일체로 연결한 복합파일 및 이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KR10170794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0720067B1 (ko)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KR20100042448A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KR100963579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0978463B1 (ko) 에이치 형강과 강판에 의해 추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제작방법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1581320B1 (ko) 프리캐스트 코핑데크를 이용한 급속시공용 프리캐스트 코핑
KR20090080666A (ko)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교량시공방법
JP6474572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KR101293646B1 (ko) 아치형 지점부 연결부재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159097B1 (ko) 종방향으로 연속화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교대 및 그 시공방법
JP6817589B1 (ja) 杭支持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641837B1 (ko) 교량 하부구조물의 단면 증설시 자중 경감을 위한 단면 형성 방법
JP2008524474A (ja) 構造骨組の製作方法と該骨組
KR102224281B1 (ko) 망체메쉬로 보강피복된 프리캐스트 리브를 이용한 하프 pc 슬래브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망체메쉬로 보강피복된 프리캐스트 리브를 이용한 하프 pc 슬래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