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073B1 - 금속 분리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분리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073B1
KR101055073B1 KR1020067001979A KR20067001979A KR101055073B1 KR 101055073 B1 KR101055073 B1 KR 101055073B1 KR 1020067001979 A KR1020067001979 A KR 1020067001979A KR 20067001979 A KR20067001979 A KR 20067001979A KR 101055073 B1 KR101055073 B1 KR 101055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metal removal
redox potential
zinc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375A (ko
Inventor
아이모 얘르비넨
카이 유딘
하리 나투넨
위리에 오이노넨
파누 탈로넨
Original Assignee
오토텍 오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텍 오와이제이 filed Critical 오토텍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06005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2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9/00Obtaining zinc or zinc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9/00Obtaining zinc or zinc oxide
    • C22B19/20Obtaining zinc otherwise than by distilling
    • C22B19/22Obtaining zinc otherwise than by distilling with leaching with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9/00Obtaining zinc or zinc oxide
    • C22B19/20Obtaining zinc otherwise than by distilling
    • C22B19/26Refining solutions containing zinc values, e.g. obtained by leaching zinc 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53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23/0461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methods
    • C22B23/0469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methods by chemical substitution, e.g. by ce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22B3/08Sulfuric acid, other sulfurated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processes
    • C22B3/46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processes by substitution, e.g. by cem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제거가 하나 이상의 반응기(11a 내지 11c)에서 수행되고, 상기 반응기에 있어서 산화 환원 전위와 산도 및/또는 염기도가 측정 기구(16a 내지 16c)에서 측정되며,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금속 제거의 공정 변수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아연 제조 공정과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산화 환원 전위는 상기 반응기 외부에서 상기 반응기의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기에서 생성된 슬러지로부터 측정 기구(16a 내지 16c)에서 측정되고, 상기 측정 기구(16a 내지 16c)는 예정된 간격마다 세정된다.
아연 제조, 금속 제거, 반응기, 산화환원전위, 산도, 염기도, 공정변수

Description

금속 분리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TAL SEPARATION}
본 발명은 아연의 제조에 관련하여, 예를 들어 코발트, 니켈, 구리, 게르마늄, 카드뮴과 같은 금속의 제거를 제어하는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의한 방법 및 청구항 제13항의 전제부에 의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연을 제조하는 습식 야금법에서 아연 함유 광석은 농축되고, 배소되고, 황산에 용해된다. 상기 용해에서 아연 이외에도 구리, 코발트, 니켈, 카드뮴, 게르마늄, 안티몬도 방출된다. 이러한 금속들 또는 반금속들, 즉 불순물들은 용액 정제 공정에서 아연 분말을 이용한 환원에 의해 용액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금속들은 침전 반응기 등에서 아연 함유 용액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에서 침전시킴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금속들이 제거되고 난 뒤, 상기 아연은 황산 아연 용액으로부터 전해 환원된다. 아연 제조에서 아연을 환원시키기 위한 성공적이고 효율적인 전기분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연 함유 물질에서 불순물이 제거되어야만 한다. 특히 Ge과 Sb과 철 그룹의 금속 이온 Co2 + 및 Ni2 + 은 전기분해시 층을 형성하는 아연의 재용해를 촉진시켜서 전류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원하는 금속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용액 정제 공정에서 분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금속 아연 분말을 용액에 주입하고, 그 외에 최소한 하나의 활성화제를 주입한다. 상기 활성화제는 불순물 금속의 분리를 활성화한다. 더욱이, 침전용액 안의 침전된 최종 생성물 또는 그 특성은 종종 금속의 분리 또는 침전 속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활성화제의 입자 표면 또는 침전된 금속 화합물의 입자 표면은 침전 반응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정화되어야 한다.
금속 제거를 최적화하는 많은 다양한 방법들이 선행기술로서 알려져 있다. 침전 반응기 안에 있는 금속 제거 혼합물의 산화 환원 전위와 pH 값을 측정하는 것이 선행기술로서 알려져 있다. 측정 결과에 따라서 아연의 소모 같은 공정의 변수들이 조절된다. 그러나 반응 혼합물 안에 잠겨있는 산화 환원 전위와 pH를 측정하는 전극이 오염되어 측정 결과 오차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주입되는 아연 분말의 조절은 연속적인 금속 제거 공정에 있어서 문제가 되어왔다. 상기 조절은 어려웠으며, 상기 반응에 대해 아연 분말이 과량으로 주입되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유한 하나의 목적은 아연 제조에 관련하여 금속 제거를 최적화하고 향상시키는 새로운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인 금속 제거에 있어서 아연 분말의 소모를 최적화하고 질적으로 향상된 더욱 정제된 아연 함유 용액을 획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청구항에 나타난 바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금속이 제거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에 기초한다. 상기 반응기에 있어서, 산화 환원 전위와 산도 및/또는 염기도가 측정되고,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금속 제거 공정의 변수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 용기 외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슬러지의 배출 파이프에 연결되어 반응기에서 생성된 슬러지로부터 산화 환원 전위가 측정되며, 상기 측정 기구는 예정된 간격마다 세정된다.
여기서 슬러지란 고체 물질의 함량이 완전히 용액과 같은 상태의 것으로부터거의 고체 상태의 것까지 변할 수 있는 고체 물질이 풍부한 용액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금속 제거, 즉 코발트, 니켈, 구리 또는 카드뮴의 제거에 있어서 목표치는 아연 함유 용액 내의 각각의 금속에 대해 0.2mg/l 보다 작은 불순물 금속 함량을 획득하는 것이다. 게르마늄과 안티몬의 경우에는 목표치가 0.02mg/l 보다 작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산화 환원 전위가 바람직하게는 코발트, 니켈 및 게르마늄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570 내지 -650 mV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되고, 칼로멜 전극에 대하여 구리를 침전시키기 위하여는 -480 내지 -550mV 의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된다.
본 발명은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 기구가 반응기 외부에 위치해 있어 원하는 간격마다 세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동시에 측정 기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기인한 측정 오차도 막아 더욱 안정된 측정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금속 제거 공정에서 예를 들어 주입되는 아연 분말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다른 공정 변수들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원활하고 연속적인 가동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아연 전기분해를 위한 매우 정제된 아연 용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금속 제거 시 제거되는 금속들을 전체적으로 더욱 양호하게 침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반응기 용액의 산도와 염기도가 BT(Back Titration) 값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BT 값, 즉, 소위 재적정 값은 용액의 산도 또는 염기도를 나타낸다. 그것은 공정의 상태를 pH 값보다 더욱 정확하게 나타낸다. BT 값은 적정의 전환점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산도의 양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BT 값은 슬러지의 염기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공급 용액, 즉 상기 아연 제조 용액 외에 상기 BT 값은 아연 분말의 양과 공정에 주입된 순환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아연 분말이 용해될수록 불순물 금속의 침전이나 수소의 발생이 환원 반응으로서 일어난다. 수소의 발생은 상기 BT 값을 상승시킨다. 그러므로 공정에 과량으로 주입된 아연 분말은 상기 BT 값을 상승시킨다. 예를 들어 3.5 이상의 높은 BT 값은 원하지 않은 염기성 황산아연 및 염들을 수용성 아연 분말의 표면 위에 침전시키고, 그것은 분말 입자의 용해를 느리게 해서 결국 정제가 잘 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원하지 않은 침전물들은 생성된 최종 생성물의 표면을 오염시켜서 불순물들의 침전을 느리게 한다. 그러한 경우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아연 분말의 주입을 증가 시켜야 하는데, 이것은 비용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상기 문제의 염기성 염들은 금속 제거시 사용되는 농축기의 오버플로우의 여과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여과를 더욱 곤란하게 만들고 상기 고체 물질이 여과조직을 통과해서 여과액 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3.0의 낮은 BT 값,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의 BT 값을 얻기 위한 시도가 가능하다.
상기 BT 값은 시료에 이 시료와 반응하는 반응물을 일정량 첨가하고, 상기 반응 후 측정 용액을 이용하여 남은 반응물을 적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상기 BT 값을 모니터링하고 바람직하게는 그 값을 낮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금속 제거시 아연 용액의 양호한 정제 결과와 균일한 용액 및 아연 분말의 저소모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BT 값을 통하여 상기 공정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정확한 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응기 용액의 고체 물질 함량이 결정된다. 상기 고체 물질 함량을 모니터링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를 10 내지 200g/l의 범위 내에 있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g/l의 범위 내에 있도록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많은 활성 반응 표면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침전을 촉진하고 아연 분말의 소모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금속 제거 반응기로의 아연 분말의 주입이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조절된다. 아연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아연 용액 공급 리터당 0.3 내지 0.9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4 내지 0.7g이 주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아연 분말의 주입 외에도 상기 산화 환원 전위, 상기 용액의 산도 및/또는 염기도, 상기 고체 물질 함량 및/또는 상기 반응기의 온도가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조절된다.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물질들의 침전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발트 제거시에는 너무 낮은 온도에서 석고가 침전되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무수석고가 침전되기 시작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온도를 적절하게 최적화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체들의 침전은 예를 들어 분류에 의해서 상기 공정으로부터 큰 사이즈의 고체 물질 입자들을 제거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금속 제거가 코발트 제거를 의미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제거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된 반응기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측정 기구가 상기 반응기의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거나 반응기들 사이의 연결 파이프와 연결되어 배열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산도/염기도의 측정 기구가 반응 용기와 연결되어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이 측정 전극에 의해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반응기의 배출 파이프나 반응기들 사이의 연결 파이프에 접합 라인이 배열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전극이 놓여 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측정 기구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시간의 간격마다 세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반응기에 있어서, 각각의 반응기에 특유하도록 원하는 공정 변수의 조절을 제어하는 측정이 수행된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반응기 이후에서 아연 분말의 반응기 특유적 주입을 제어하는 산화 환원 전위를 측정한다.
다른 대체 용액에 있어서는 원하는 양의 아연 분말을 수동으로 상기 반응기 안에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금속 제거가 수행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반응기와 관련하여 산화 환원 전위와 산도 및/또는 염기도를 측정하는 최소한 하나의 측정 기구,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해서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금속 제거의 공정 변수들을 조절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의 조절 장치, 상기 측정 기구로부터 상기 조절 장치까지 상기 측정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의 제어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 기구는 반응 용기 외부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된 파이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 상기 반응기에서 생성된 슬러지가 흐르고, 상기 장치는 예정된 간격마다 측정 기구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구조적으로 단순하므로 구현하기가 유리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아연 제조에 관련한 코발트 제거 공정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발트 제거 공정에 관련하여 예를 들어 구리, 니켈, 게르마늄, 안티몬을 침전시킬 수 있다. 코발트 제거 공정에서는, 아연 함유 용액으로부터의 금속의 침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구리 제거 후 잔여 구리(예를 들어 50 내지 300mg/l)를 포함하는 용액에 활성화제로서 예를 들어 산화비소를 첨가한다. 더욱이, 아연 분말을 환원제로서 상기 용액에 첨가하는 경우 비소화구리가 침전된다. 비소화구리는 아연 분말의 존재시 상기 용액 내에서 코발트 및 니켈과 반응하여 비소화코발트 및 비소화니켈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비소의 존재시 코발트 및 니켈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약 1.5시간 안에, 침전되어 비소화코발트 및 비소화니켈을 형성한다. 비소화코발트 침전물과 같은 생성된 침전물은 반응기에서 반응속도 및 침전표면을 최적화시키는 고체 물질로서 재활용된다. 상기 공정에는 불순물이 침전되는 표면을 제공하는 고체 물질이 충분히 있어야 한다. 상기 표면은 침전을 향상시키고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정제된 금속 구리, 또는 비소화구리, 비소화코발트 또는 비소화니켈로 구성되어야 한다. 입자들의 표면위에 침전된 염기성 황산아연과 황산칼슘과 같은 불순물들은 침전물을 부동화시키고 입자 크기를 증가시킨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 및 장치는 또한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하여 다른 금속을 분리 또는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습식야금식 아연 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습식야금식 아연 제조 공정에서 아연 광석은 우선 농축되고(1), 상기 아연 농축물은 배소된다(2). 상기 배소(2)의 목적은 아연 황화물을 수용성 산화물 형태로 만드는 것이다. 상기 배소(2) 후 배소된 아연은 하나 이상의 상에서 황산에 용해되고(3), 이에 따라 산화아연이 반응하여 황산아연을 형성한다. 용해 상(3)에서는 철이 염기성 황산염으로, 즉 철백반석 침전물, 침철석 또는 적철광으로 침전된다. 상기 용해 상(3)에서는 용해된 불순물, 예를 들면 구리, 코발트, 니켈, 게르마늄, 안티몬, 카드뮴이 용액 정제(4)로 황산아연 용액으로부터 제거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상(6,7,8)에서 수행된다. 제1 상(6)에서는 구리의 대부분이 아연 분진(9)에 의해서 제거된다. 제2 상(7)에서는 코발트, 니켈, 게르마늄, 안티몬 및 나머지 구리가 삼산화비소(10)와 아연 분진(9)에 의해 금속 비소화물로서 용액으로부터 침전되는데, 여기서 아연은 환원제로 작용한다. 제3 상(8)에서는 카드뮴이 아연 분진(9)에 의해서 제거된다. 정제된 아연 용액은 냉각을 거쳐서 전기분해(5)되고, 여기서 순환하는 전해질과 섞인다. 전기분해(5)시 상기 아연은 전류에 의해서 음극에서 환원되어 금속을 형성한다. 상기 배소, 용해, 전기분해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히 기재하지 않는다.
도 2에서 도시된 코발트 제거에서 코발트, 니켈, 게르마늄, 안티몬 및 잔여 구리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세 개의 반응기(11a, 11b, 11c)에서의 여러 가지 상에서 황산아연 용액(18)으로부터 침전된다. 상기 반응기 내에서 생성되는 슬러지의 산화 환원 전위를 자동 측정하기 위한 측정 기구(16a 내지 16c)인 측정 전극은 배출 파이프 또는 반응기(11a 내지 11c)들 사이의 연결 파이프의 접합 라인에 연결되어 배열된다. 상기 공정과 관련하여 원하는 양의 아연 분말을 상기 반응기(11a 내지 11c)에 주입하도록 각각의 반응기에 있어서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 기구(16a 내지 16c)인 측정 전극이 측정 결과를 아연 분말의 공급 장치의 조절 수단(17a 내지 17c)으로 전달하는 제어 장치(도면상에 나타나지 않음)에 연결된다. 상기 전극은 오염과 그에 기인한 측정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약 한 시간의 간격마다 정기적으로 세정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 BT 값은 반응기 내부에 있는 용액으로부터 자동 적정기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상기 적정기는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어서 측정된 BT 값이 제어 시스템으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반응기(11a 내지 11c) 내의슬러지의 산도와 염기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산화 환원 전위와 BT 값은 수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상기 값들은 상기 제어 시스템에 입력되어야 하거나 또는 원하는 공정 변수들이 상기 값들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상기 아연 분말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공급 장치, 예를 들어 나선형 공급기에 의해서 코발트 제거 반응기(11a 내지 11c) 내로 주입된다. 아연 분말을 큰 화학양론적 과량으로 주입하는 것은 원하지 않는 부반응을 만들기 때문에 유리하지 않다. 이에 따라 과량의 아연은 침전속도를 증가시키지 못하게 된다. 코발트 제거에서는 반응기의 산화 환원 전위, 온도, 침전 표면이 상기 침전 속도에 영향을 준다.
더욱이, 상기 코발트 제거 공정은 반응기(11c) 다음에 배열되고 한 번에 하나씩만 사용되는 나란히 연결된 두 개의 농축기(12)를 포함한다. 고체 물질로부터의 오버플로우를 정제하기 위한 여과 프레스가 상기 농축기의 오버플로우의 출력부(20)에 배열된다.
침전 반응기(11a 내지 11c)에서 생산되고 상기 농축기에서 침전되는(13) 비소화코발트 슬러지는 상기 반응기의 하부에 퇴적되고, 이로부터 상기 농축기(12)의 접합 라인(19)을 거쳐 언더플로우로서 반응기를 빠져나와 재순환하여 제1 반응기(11a)로 돌아간다. 상기 코발트 침전물(13)은 분류 장치(14)를 이용하여 분류될 수 있고, 공정의 측면에서 원하는 부분(15)만큼 재순환하여 공정의 제1 반응기(11a)로 돌아갈 수 있다. 분류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된 본 발명의 측면에서 유해한 굵은(coarse) 부분은 상기 오버플로우의 여과를 통하여 공정으로부터 제거된다. 대안적으로, 전체 슬러지 부분(21)이 재순환하여 반응기(11a)로 돌아갈 수도 있고, 또는 공정으로부터 배출될 수도 있다. 코발트 침전물은 바람직하게는 코발트 제거 반응기들의 고체 물질 함량이 약 10 내지 200g/l,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g/l 이 되도록 재순환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습식야금식 아연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코발트 제거 공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장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본 시험에서는 연속적인 코발트 제거 공정이 시험되었다. 공정 조건하에서 수행된 상기 시험에서 아연 분말이 나선형 공급기에 의해 나란하게 배열된 다섯 개의 금속 제거 반응기로 주입되었다.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 전극은 각각의 반응기 다음이나, 반응기들 사이의 연결 파이프에 배열되었으며, 이것은 각각의 반응기마다 반응기에서 나오는 슬러지의 산화 환원 전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측정 결과로써 각각의 반응기마다 반응기로의 아연 분말 주입을 제어하였다. 상기 측정 전극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시간의 간격마다 세정되었다.
상기 반응기 용액의 산도와 염기도는 알려진 적정 방법을 이용한 BT 값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상기 BT 값은 2.5 내지 3.5 사이였다.
상기 공정에서 약 0.6 내지 0.7g의 아연 분말이 소모되었다.
그러나 상기 공정이 시작된 후 곧 높은 BT 때문에 규산아연 즉, 이극석이 침전되었다. 상기 공정의 코발트 침전물의 아연 및 이산화규소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이극석의 존재시 이산화규소에 기인한 여과 곤란으로 인하여 상기 침전물로부터 아연이 성공적으로 용해되지 못했기 때문에 아연의 손실이 야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BT 값을 약 2로 줄임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시험에서는 실시예 1의 조건과 비슷한 조건 하에서 연속적인 코발트 제거를 시험하였으나, BT 값은 약 2였다.
본 시험에서 6개월 이상의 계속적인 가동이 달성되었고, 더욱이 그 공정의 결과로서 더욱 양호하고 균일한 아연 함유 용액이 얻어졌다. 상기 아연 용액으로부터 측정된 코발트, 니켈 및 구리의 농도는 주로 0.2 g/l 보다 작았고, 게르마늄, 안티몬, 비소의 농도는 0.02 mg/l 보다 작았다.
상기 공정 시험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장치를 사용하면 다른 아연 제조 공정에 비해 금속 제거 반응기에 있어서 아연 분말을 적게 소모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용액 정제 즉, 금속 제거에서 화학양론적 양의 아연 분말을 사용해서 실제적으로 구리 및 카드뮴을 침전시킬 수 있었다. 코발트 및 니켈을 충 분히 침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소 과량의 아연 분말이 필요한데, 아연 분말의 주입 양은 약 0.5 g/l이었다. 다른 대응 선행 기술의 코발트 제거 공정에서는 아연 분말의 주입 양이 몇 배인 3 내지 4.5 g/l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아연 제조 공정과 관련하여 다양한 금속 제거의 제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언급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연의 제조에 관련하여 예를 들어 코발트, 니켈, 구리, 게르마늄, 카드뮴과 같은 금속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9)

  1. 금속 제거가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수행되고, 상기 반응기에 있어서 산화 환원 전위와 산도 및/또는 염기도가 측정되며,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금속 제거의 공정 변수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이 반응 용기 외부에서 상기 반응기에서 생성되는 슬러지로부터 수행되고, 상기 반응기 용액의 산도 및/또는 염기도가 BT(Back Titration) 값에 의해 결정되며,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 기구가 예정된 간격마다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용액의 고체 물질 함량이 결정되고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금속 제거 반응기 내로의 아연 분말 주입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슬러지의 산화 환원 전위, 상기 용액의 산도 및/또는 염기도, 상기 용액의 고체 물질 함량 및/또는 상기 반응기의 온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제거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두 개 이상의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 기구가 상기 반응기의 배출 파이프와 연결되어 배열되거나 또는 반응기들 사이의 연결 파이프와 연결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도 및/또는 염기도의 측정 기구가 상기 반응 용기와 연결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이 측정 전극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제거가 코발트 제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구가 1 내지 2시간의 간격마다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반응기마다 원하는 공정 변수의 조절을 제어하는 측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
  12. 금속 제거가 하나 이상의 반응기(11a 내지 11c)에서 수행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반응기에 있어서 산화 환원 전위와 산도 및/또는 염기도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측정 기구(16a 내지 16c)와,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금속 제거의 공정 변수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절 장치(17a 내지 17c)와, 상기측정 기구(16a 내지 16c)로부터의 측정 결과들을 상기 조절 장치(17a 내지 17c)로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 기구(16a 내지 16c)가 상기 반응 용기 외부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반응기에 연결된 파이프에 연결되어 위치하며, 상기 파이프를 경유하여 상기 반응기에서 생성된 슬러지가 유출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반응기 용액의 산도 및/또는 염기도를 결정하기 위한 BT 값의 결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예정된 간격마다 상기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 기구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아연 분말을 상기 금속 제거 반응기(11a 내지 11c) 내로 주입하기 위한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조절 및/또는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 기구(16a 내지 16c)는 반응기들 사이의 연결 파이프와 연결되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장치.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산도 및/또는 염기도의 측정 기구가 상기 반응 용기와 연결되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장치.
  16.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환원 전위의 측정 기구(16a 내지 16c)는 하나 이상의 측정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 제조 공정에 관련한 연속적인 금속 제거를 제어하는 장치.
  17.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의한 장치의 코발트 제거 공정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
  18. 삭제
  19. 삭제
KR1020067001979A 2003-07-31 2004-07-15 금속 분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55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1119A FI116730B (fi) 2003-07-31 2003-07-31 Menetelmä ja laite metallinpoiston ohjaamiseksi
FI20031119 2003-07-31
PCT/FI2004/000455 WO2005010221A1 (en) 2003-07-31 2004-07-1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tal s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375A KR20060054375A (ko) 2006-05-22
KR101055073B1 true KR101055073B1 (ko) 2011-08-05

Family

ID=2763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979A KR101055073B1 (ko) 2003-07-31 2004-07-15 금속 분리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021459B2 (ko)
EP (1) EP1664358B1 (ko)
JP (1) JP4903042B2 (ko)
KR (1) KR101055073B1 (ko)
CN (1) CN100362118C (ko)
AT (1) ATE487804T1 (ko)
AU (1) AU2004259869B2 (ko)
BR (1) BRPI0413027B1 (ko)
CA (1) CA2531772C (ko)
DE (1) DE602004030022D1 (ko)
EA (1) EA009626B1 (ko)
ES (1) ES2355106T3 (ko)
FI (1) FI116730B (ko)
MX (1) MXPA06001155A (ko)
NO (1) NO340160B1 (ko)
PE (1) PE20050638A1 (ko)
WO (1) WO2005010221A1 (ko)
ZA (1) ZA2006007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9726B1 (en) 2009-03-20 2009-12-29 On-Ramp Wireless, Inc. Downlink communication
CN102628109B (zh) * 2012-03-30 2013-11-13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产化学工业研究所 络合沉锗剂及其在含锗矿液中富集锗的应用
CN105483376B (zh) * 2015-12-15 2017-11-14 江西理工大学 一种高钴硫酸锌溶液的除钴剂及其除钴工艺
CN106350673B (zh) * 2016-09-30 2017-12-15 中南大学 一种控电位选择性沉淀分离钴的方法
KR101889680B1 (ko) 2018-02-01 2018-08-17 고려아연 주식회사 황산아연 용액으로부터 철을 회수하는 방법
CN112575200A (zh) * 2020-12-08 2021-03-30 衢州华友钴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硫化沉淀控电位置换分离反铜锰液中铜锌锰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189U (ko) 1974-07-04 1976-01-21
FI78990C (fi) * 1984-10-30 1989-10-10 Outokumpu Oy Foerfarande foer maetning och reglering av den elektrokemiska potentialen och/eller komponenthalten i en behandlingsprocess av vaerdematerial.
FI872488A (fi) 1987-06-03 1988-12-04 Outokumpu Oy Saett att reglera maengden av zinkpulver vid avlaegsnande av orenheter i zinksulfatloesning.
JPH0240551A (ja) * 1988-08-01 1990-02-09 Jonan Kagaku Sangyo Kk 電極電解洗浄法
JPH07110314A (ja) * 1993-10-08 1995-04-25 Dkk Corp pH測定装置の校正方法
WO1996041039A1 (en) 1995-06-07 1996-12-19 Cominco Ltd. Redox control in the electrodeposition of metals
JP4360696B2 (ja) 1997-03-27 2009-11-11 日鉱金属株式会社 バクテリアを用いた硫化銅鉱からの銅浸出方法
GB2367893B (en) * 1999-09-02 2003-11-12 Teijin Twaron Bv Process for determining the acidity of a washing solution for fibres
CN1345981A (zh) * 2000-09-25 2002-04-24 中南大学 热酸浸出-铁矾法炼锌工艺中锗和银的富集方法
DE10116614C5 (de) * 2001-04-03 2008-10-16 Endress + Hauser Conducta Gesellschaft für Mess- und Regeltechnik mbH + Co. KG Automatisierbare Meß-, Reinigungs- und Kalibriereinrichtung für pH-Elektroden oder Elektroden zur Messung von Redoxpotentia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30022D1 (de) 2010-12-23
EA009626B1 (ru) 2008-02-28
CN100362118C (zh) 2008-01-16
EP1664358B1 (en) 2010-11-10
FI20031119A0 (fi) 2003-07-31
CA2531772C (en) 2015-01-27
US8021459B2 (en) 2011-09-20
EA200600299A1 (ru) 2006-08-25
FI20031119A (fi) 2005-02-01
EP1664358A1 (en) 2006-06-07
US20070273071A1 (en) 2007-11-29
CA2531772A1 (en) 2005-02-03
ATE487804T1 (de) 2010-11-15
ZA200600796B (en) 2007-05-30
MXPA06001155A (es) 2006-04-24
CN1829809A (zh) 2006-09-06
ES2355106T3 (es) 2011-03-22
KR20060054375A (ko) 2006-05-22
AU2004259869A1 (en) 2005-02-03
AU2004259869B2 (en) 2009-06-04
WO2005010221A1 (en) 2005-02-03
JP4903042B2 (ja) 2012-03-21
NO20060996L (no) 2006-02-28
BRPI0413027A (pt) 2006-10-03
NO340160B1 (no) 2017-03-20
PE20050638A1 (es) 2005-09-02
JP2007500786A (ja) 2007-01-18
BRPI0413027B1 (pt) 2012-10-02
FI116730B (fi)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9047B (zh) 制备碳酸锂的方法
JP5676649B2 (ja) 金属粉の生産方法および装置
KR101055073B1 (ko) 금속 분리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9102192A (ja) スコロダイトの製造方法及び洗浄方法
JPS5844157B2 (ja) ニツケル電解液の精製方法
Malinowska et al. Cadmium recovery and recycling from chemical bath deposition of CdS thin layers
JPS63312991A (ja) 硫酸亜鉛溶液からの不純物除去における亜鉛粉末量調節方法
US20020053518A1 (en) Material for copper electroplat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opper electroplating method
CA1101365A (en) Method for electrolytic winning of lead
JP2833466B2 (ja) 金属含有排水の処理方法
JPS58146490A (ja) 硫酸酸性銅電解液中のアンチモンの除去方法
JP4673482B2 (ja) Se、As含有排水の処理方法
KR890002750B1 (ko) 구리를 전해정련하는 방법
RU2226559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медьсодержащих отходов
JP2000317468A (ja) シアノ錯体含有排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JP2000119764A (ja) 湿式亜鉛製錬の清浄工程における浸出液中銅濃度の調整方法および調整設備
JP2000328281A (ja) 銀電解液の連続浄液方法及びその装置
SU280858A1 (ru)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МЕДНО-НИКЕЛЕВОГО ФАЙНШТЕЙНАИИ I til I ни-It At: ;БИБЛИО&#34;С;&#39;:А
Navarro et al. Detellurization Process of Copper Anodic Slimes Leach Liquor by Cementation of Tellurium Using Elemental Copper
SU1116031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 процессом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го окислени
JPH11200084A (ja) 電解液の溶存酸素制御方法
JPH01222099A (ja) めっき液中のFeイオン除去方法
JP2000258393A (ja) 排水中の鉛・カドミウム濃度の測定及び管理方法
JPH0266189A (ja) 脱銅電解電流自動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