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231B1 - 슬러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231B1
KR101053231B1 KR1020100068697A KR20100068697A KR101053231B1 KR 101053231 B1 KR101053231 B1 KR 101053231B1 KR 1020100068697 A KR1020100068697 A KR 1020100068697A KR 20100068697 A KR20100068697 A KR 20100068697A KR 101053231 B1 KR101053231 B1 KR 10105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sh
receiving body
stirring
unit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Priority to KR102010006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045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of slush-ice, e.g. semi-frozen bever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08Batch production
    • A23G9/12Batch production using means for stirring the contents in a non-mov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슬러시 원액의 수용본체 외부둘레면을 따라 감겨지는 냉각관의 일부 지점에 수용본체와 이격되는 이격부가 형성됨에 따라,
원액이 수용본체 내벽면 상에 얼어붙는 과정에서 링 형상이 아닌 조각 형태로 얼게 되어 얼음의 교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슬러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슬러시 원액이 채워지는 수용본체가 형성되는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에 설치되어 슬러시 원액을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수용본체 외부둘레면을 감싸도록 접촉 설치되고 내부에 냉매가 이동되는 냉각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관은 상기 수용본체 외부둘레면과 이격되는 이격부가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러시 제조장치{Apparatus of making slush}
본 발명은 얼음 본 발명은 수용본체 내부의 원액을 얼음알갱이 형태로 제조하는 슬러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시 장치는 음료나 육수 등을 완전한 얼음상태가 아닌 원액과 얼음알갱이가 혼합된 상태로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슬러시 장치는 수용본체 내부에 채워진 슬러시 원액의 냉각과 교반을 병행하여 미세 입자화 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냉각과정에서 슬러시 원액은 대부분 수용본체 내벽면을 따라 링 형태로 얼게 된다. 따라서 교반 과정에서 이러한 링 형상의 얼음 전체가 회전되기 때문에 얼음의 분쇄현상이 발생 되지 않음으로, 그만큼 슬러시 생성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액의 냉각 과정에서 얼음이 조각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교반과정에서 얼음 간 충돌을 유도하여 슬러시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슬러시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부에 슬러시 원액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에 설치되어 슬러시 원액을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수용본체 외부둘레면을 감싸도록 접촉 설치되고 내부에 냉매가 이동되는 냉각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관은 상기 수용본체 외부둘레면과 이격되는 이격부가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는 냉각관 일부가 외부를 향해 구부려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와 수용본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 내에 설치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관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본체 외부 둘레면에 접촉 설치되는 가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관과 상기 가열선은 상기 수용본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교호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원액이 수용본체 내벽면을 따라 결빙될 때 이격부가 형성된 지점에서는 열전도가 이루어지지 않아 해당 지점에서는 결빙되지 않게 되어 얼음이 전체적으로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교반과정에서 각 얼음조각 간 충돌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기존에 비해 슬러시 제조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슬러시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단면도
도 2는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절개사시도
도3은 교반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냉각부 및 가열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냉각관에 이격부의 형성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6은 교반회전판에 통공이 형성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교반회전판의 통공에 의한 슬러시 원액의 와류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8 및 도9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예의 슬러시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부케이스(100)와 수용본체(200), 교반부(300), 냉각부(400) 및 가열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외부케이스(100)는 슬러시 제조장치의 전체 외부 커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설치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덮개(미도시)가 설치되어 설치공간(110)을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케이스 내벽면에는 후술하는 수용본체(200)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층이 형성된다.
참고로 외부케이스(100)의 형상은 위 설명과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가 구비되지 않거나 단열층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케이스(100)에는 수용본체(200)가 설치된다.
설치본체(200)는 슬러시 원액의 저장기능 및 슬러시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단순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부케이스(100)의 설치공간(110)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본체(200)의 내부 바닥 중앙에는 후술하는 교반날개부(300A)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안착홈(212)이 형성된다.
참고로 수용본체(200)는 금속재질로 제작되어 슬러시 제조과정에서 내부의 슬러시 원액과 외부의 냉각관(420) 및 가열선(520) 간의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용본체(200)는 별도의 교반부(300)를 통해 외부케이스(100)에 설치된다.
교반부(300)는 슬러시 원액의 냉각과정에서 교반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얼음조각 간의 충돌을 유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크게 교반날개부(300A)와 구동부(300B)로 구성된다.
먼저 교반날개부(300A)는 슬러시 원액의 직접적인 교반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교반회전판(310)과 교반날개(315), 회전축(320) 및 제1자성체(330)를 포함한다.
교반회전판(310)은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부력공간(314)이 밀폐구조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통홀(31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용본체(200)의 내부 바닥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교반회전판(310) 상에는 교반날개(315)가 돌출 형성되며 관통홀(31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배열된다.
그리고 관통홀(312)에는 교반회전판(310)의 회전 시 중심축 기능을 하는 회전축(320)이 설치되며, 회전축(320)은 봉 형태의 삽입부(322) 하단에 안착판(324)이 플랜지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회전축(320)은 삽입부(322)가 관통홀(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착판(324)이 수용본체(200)의 안착홈(212) 내에 안착됨에 따라 교반회전판()이 수용본체(200) 바닥상에서 삽입부(32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안착판(324)이 교반회전판(310)의 바닥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됨에 따라 교반회전판(310) 바닥면과 수용본체(200) 내부 바닥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교반회전판(310)의 회전 시 수용본체(200)와의 마찰이 방지된다.
참고로 안착판(324)은 기본적으로 안착홈(212)에 단순히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필요에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해 안착판(324)을 안착홈(212)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안착홈(212)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할 수만 있다면 안착홈(212)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322)와 관통홀(312) 사이에는 부싱(325)이 설치되어 교반회전판(31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부싱(325)은 베어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교반회전판(310)의 부력공간(314)에 설치되는 제1자성체(330)는 전자석이나 영구자석 형태의 블록형상으로 제작되어 관통홀(312)을 중심으로 부력공간(314) 바닥 상에 원형 배열된다.
참고로 제1자성체(330)는 블록형태로 제작되지 않고 부력공간(314) 바닥면적과 동일한 하나의 판재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교반회전판()의 형상도 원판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타 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제작 할 수 있다.
이러한 교반날개부(300A)와 함께 교반부(300)를 구성하는 구동부(300B)는 교반날개부(300A)의 회전 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구동모터(340) 및 구동회전부(36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40)는 외부케이스(100)의 설치공간(110) 하부에 형성된 설치플레이트(350)에 고정 설치되고 모터축에는 풀리(pulley)(342)가 설치되고 풀리(342)는 벨트(343)를 통해 후술하는 구동회전부(360)와 연결된다.
구동회전부(360)는 구동모터(340)와 더불어 교반날개부(300A)의 회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구동회전판(362)과 제2자성체(366)를 포함한다.
구동회전판(362)은 교반회전판(310)과 동일한 면적의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설치플레이트(350) 중 교반회전판(310)과 동일선상 지점에 위치되며 바닥중앙에 형성된 중심축(364)이 설치플레이트(350)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회전판(362)의 외부둘레에는 감김홈(362a)이 형성되고 감김홈(362a)에 벨트(343)가 감겨져 풀리(342)의 회전 시 중심축(364)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동회전판(362)에 설치되는 제2자성체(366)는 역시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 형태의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구동회전판(362)의 상부면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때 각 제2자성체(366) 간 간격은 제1자성체(330)간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2자성체(366)는 제1자성체(330)와 반대극성을 갖도록 하여 제1, 2자성체(330)(366) 간에 인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즉 수용본체(200)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교반회전판(310)과 구동회전판(362)이 위치된 상태에서 제1, 2자성체(330)(366) 간에 인력이 작용됨에 따라 교반날개부(300A) 전체가 수용본체(200) 바닥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300B)와 교반날개부(300A)가 완전히 비 결합구조로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참고로 제1자성체(330)와 제2자성체(366)를 모두 자석으로 적용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구현하고 다른 하나는 자력반응을 하는 단순 금속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교반부(300B)가 설치된 수용본체(200)에는 냉각부(400)가 더 설치된다.
냉각부(400)는 슬러시 원액의 결빙유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냉동기(410)와 냉각관(420)을 포함한다.
냉동기(410)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을 통해 냉매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케이스(10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냉각관(420)은 이러한 냉동기(410)와 연결되어 냉매의 이동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와 같이 수용본체(200) 외부둘레를 나선형으로 감는 형태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봤을 때 수용본체(200)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냉매가 이러한 냉각관(420)을 따라 이동되면서 수용본체(200) 측벽을 사이에 두고 슬러시 원액과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각관(420)에는 냉각관(420) 중 슬러시 원액과의 열교환 지점이 띄엄띄엄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이격부(4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부(422)는 냉각관(400) 일부를 외곽을 향해 절곡시킨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격부(422)와 수용본체(200) 사이에는 이격공간(4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부(422)는 냉각관(420) 상에 간격을 두고 여러 개 형성됨에 따라, 냉각관(420)과 수용본체(200)간 밀착과 이격이 번갈아가며 이루어지게 되고, 상호간 밀착구간에서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반면 이격부(422)가 형성된 지점에서는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각 이격공간(423) 내에는 별도의 단열부재(43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단열부재(430)에 의해 이격부(422)와 수용본체(200)간 열교환 차단율을 더욱 높인다.
이때 사용되는 단열부재(430)로는 스티로폼과 같이 일반적인 단열용도로 사용되는 재질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만약 이격부(422)를 통해 냉각관(422)과 수용본체(200)를 이격시키는 것 만으로도 해당지점에서의 열교환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다면 단열부재(430)는 생략할 수 있다.
이렇게 냉각관(420)이 설치된 수용본체(200)에는 가열부(500)가 연결된다.
가열부(500)는 냉각부(400)를 통해 수용본체 내벽에 결빙된 원액얼음을 가열하여 수용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1] 및 [도 2]와 같이 가열용 전기공급을 위한 전원부(510) 및 전원부(510)와 연결된 가열선(520)을 포함한다.
가열선(520)은 전원부(510)를 통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체발열되는 일반적인 전기히터선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부가 피복 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가열선(520)은 냉각관(420)처럼 수용본체(200) 외부둘레에 감겨지되 냉각관(420) 사이마다 위치됨에 따라 가열선(520)과 냉각관(420)은 수용본체(200)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로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수용본체(200) 내부에 슬러시 원액을 넣은 뒤 냉각부(400)를 작동시키면 냉동기(410)의 냉각사이클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냉각관(420)을 따라 수용본체(200) 외벽상에서 이동되고, 이동과정에서 슬러시 원액과 열교환되어 슬러시 원액이 결빙된다.
이때 슬러시 원액은 [도 5]와 같이 냉각관(420)의 감김경로를 따라 수용본체(200) 내벽상에 결빙되는데, 냉각관(420) 중 수용본체(2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에서는 결빙이 이루어지는 반면 이격부(422)가 형성된 지점에서는 이격공간(423) 및 단열부재(430)에 의해 열교환이 차단되므로 결빙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슬러시 원액이 하나의 링형태로 결빙되는 종래기술과 달리 슬러시 원액이 조각조각 분할된 형태로 수용본체(200) 내벽면 상에 얼어붙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열부(500)를 작동시키면 [도 1]과 같이 전원부(510)를 통해 가열선(520)에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가열선(520)이 발열됨에 따라 수용본체(200) 내벽면에 얼어붙은 각 얼음덩어리들이 녹아 수용본체(20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교반부(300)의 구동모터(340)가 작동되면 벨트(343)에 의해 구동회전판(362)과 제2자성체(366)가 함께 회전된다.
이때 제2자성체(366)와 교반회전판(310)의 제1자성체(330)간에 인력이 작용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렇게 구동회전판(362)이 회전함에 따라 교반회전판(310)을 비롯한 교반날개부(300A) 전체가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제1, 2자성체(330)(366)간 인력에 의해 교반날개부(300A) 전체가 수용본체(200) 바닥쪽으로 당겨지는 상태로 회전되기 때문에 교반회전판(310)이 회전과정에서 불필요하게 흔들리거나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제1, 2자성체(330)(366)간 인력이 너무 클 경우 교반회전판(310)이 수용본체(200) 바닥에 지나치게 밀착되어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지만, 교반회전판(310) 내부에 형성된 부력공간(314)에 의해 교반회전판(310)에 부력이 작용되기 때문에, 부력에 의해 제1, 2자성체(330)(366) 간 인력이 어느 정도 상쇄되므로 교반회전판(31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교반회전판(310)이 회전됨에 따라 교반날개(315)에 의해 슬러시원액을 비롯해 수용본체(200)로부터 떨어진 얼음덩어리들이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얼음 덩어리들끼리 충돌하면서 잘게 부서진다.
이러한 슬러시 원액의 결빙, 해동, 교반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슬러시 원액은 미세 얼음입자들이 분포된 슬러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는 냉각관(420)에 이격부(422)를 형성시켜 슬러시 원액의 결빙이 조각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교반과정에서 원액 얼음조작 간의 충돌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슬러시 제조시간 단축 및 슬러시 품질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교반날개부(300A)의 회전축이 수용본체를 관통된 상태에서 구동부와 연결되는 기존구조와 달리 교반날개부(300A)와 구동부(300B)가 완전한 비 접촉방식으로 연결되어 교반회전판(310)이 단순히 수용본체(200) 바닥에 놓여진 구조로 설치되므로 회전축의 관통부위로 슬러시 원액이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핵심적인 특징은 냉각관(420)에 이격부(422)를 형성시키는 구조이므로 교반부(300B)의 구조를 기존처럼 구현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특징은 변화되지 않는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냉매관(420)에 이격부(422)가 형성된 구조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교반회전판(310)의 구조를 변형한 것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과 같이 교반회전판(310) 상면과 둘레면에 통공(310a)을 형성시킴에 따라 [도 7]처럼 교반회전판(31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슬러시 원액이 상면의 통공(310a)을 통해 교반회전판(310) 내부로 유입된 후 원심력에 의해 둘레면의 통공을 통해 외부로 다시 배출된다.
따라서 교반과정에서 슬러시 원액의 와류현상이 수용본체(200) 내벽면을 따라 회전하는 형태와 더불어 교반회전판(310)을 향해 모인 후 사방으로 배출되는 형태의 와류가 복합적으로 발생되므로 교반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기본적인 구조는 앞의 두 실시예와 동일하고 슬러시 제조장치의 외부온도에 따라 슬러시 냉각 또는 가열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부(600)가 더 추가된 것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트롤러부(600)는 다시 수용공간(200)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610)와 수용본체(200) 외부 온도를 제어하는 제2감지센서(620) 및 제1감지센서(610)와 제2감지센서(620)의 감지온도에 따라 냉각부(400)와 가열부(500)의 작동시간 및 간격을 제어하는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슬러시 제조과정에서 컨트롤러부(6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슬러시 원액의 냉각과정에서 수용본체(200) 내부온도가 0℃가 되면 제1감지센서(61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30)에 감지신호를 보낸다.
이와 동시에 제2감지센서(620)는 수용본체(200) 외부온도를 감지하여 해당 온도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렇게 내부온도와 외부온도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630)는 입력된 외부온도를 토대로 해당 온도에 맞게 미리 입력된 냉각부(400)와 가열부(500)의 작동시간 및 작동간격 신호를 냉각부(400)나 가열부(500)에 전달한다.
따라서 냉각부(400)와 가열부(500)는 해당 작동데이터에 따라 작동되어 외부 온도에 적합한 슬러시 상태, 즉 얼음의 결빙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외부온도가 높아 결빙입자를 굵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어부(630)는 해당 온도에 맞게 입력된 냉각부의 작동시간 데이터를 찾아 냉각부(400) 및 가열부(500)에 전달하여 냉각부의 작동시간을 늘리는 반면 가열부의 작동시간을 줄이게 되고,
외부온도가 너무 낮아 결빙입자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제어부(630)에서 해당 온도에 맞는 작동시간 데이터를 전달함에 따라 냉각부(400)의 작동시간을 줄이고 반대로 가열부(500)의 작동시간은 늘리는 등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에서는 주변온도에 따라 컨트롤러부(600)에 의해 슬러시 제조 형태가 제어되므로 슬러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 외에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슬러시 원액이 수용되는 수용본체 외벽상에 냉각관이 감겨지는 구조에 있어서, 냉각관 중 일부 지점에 수용본체와 이격되는 이격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슬러시 원액이 조각 형태로 결빙되도록 하여 슬러시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외부케이스 110 : 설치공간
200 : 수용본체 210 : 수용공간
212 : 안착홈 300 : 교반부
300A : 교반날개부 310 : 교반회전판
312 : 관통홀 314 : 부력공간
315 : 교반날개 320 : 회전축
322 : 삽입부 324 : 안착판
325 : 부싱 330 : 제1자성체
300B : 구동부 340 : 구동모터
342 : 풀리 343 : 벨트
350 : 설치플레이트 360 : 구동회전부
362 : 구동회전판 364 : 중심축
366 : 제2자성체 400 : 냉각부
410 : 냉동기 420 : 냉각관
422 : 이격부 423 : 이격공간
430 : 단열부재 500 : 가열부
510 : 전원부 520 : 가열선
600 : 컨트롤러부 610 : 제1감지센서
620 : 제2감지센서 630 : 제어부

Claims (5)

  1. 내부에 슬러시 원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부, 그리고
    상기 수용본체 외부둘레면을 감싸면서 접촉 설치되어 있는 냉각관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관의 일부가 외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부려져 상기 수용본체 외부둘레면과 비 접촉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관 중 상기 수용본체와 접촉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상기 수용본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부 형성지점에서는 상기 수용본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슬러시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이격부와 상기 수용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슬러시 제조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수용본체 외부 둘레면에 접촉 설치되어 있는 가열선을 더 포함하는 슬러시 제조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냉각관과 상기 가열선은 상기 수용본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슬러시 제조장치.
KR1020100068697A 2010-07-15 2010-07-15 슬러시 제조장치 KR101053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697A KR101053231B1 (ko) 2010-07-15 2010-07-15 슬러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697A KR101053231B1 (ko) 2010-07-15 2010-07-15 슬러시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231B1 true KR101053231B1 (ko) 2011-08-01

Family

ID=4493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697A KR101053231B1 (ko) 2010-07-15 2010-07-15 슬러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23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712B1 (ko) * 2012-11-02 2014-07-01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연마재교반장치
KR101711790B1 (ko) * 2016-05-06 2017-03-03 이기선 슬러시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713138B1 (ko) 2016-08-09 2017-03-07 (주)우성기업 일정량의 육수를 유지하면서 슬러시를 생성하는 슬러시 제조장치.
CN106930132A (zh) * 2017-04-24 2017-07-07 济南大学 一种基于无注水式物化碎浆的制浆设备
WO2019107603A1 (ko) * 2017-11-30 2019-06-06 (주)위드오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092161B1 (ko) * 2018-10-16 2020-03-23 김경옥 슬러시 제조용 냉각고와 이를 이용한 슬러시 제조방법
CN112056930A (zh) * 2020-09-17 2020-12-11 王凯 一种节能自排污式饮水机
WO2021192821A1 (ja) * 2020-03-24 2021-09-3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JP2021151385A (ja) * 2020-03-24 2021-09-3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065A (ko) * 2006-08-30 2008-03-05 김원규 육수 저장장치
KR20090116495A (ko) * 2008-05-07 2009-11-11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슬러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065A (ko) * 2006-08-30 2008-03-05 김원규 육수 저장장치
KR20090116495A (ko) * 2008-05-07 2009-11-11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슬러시 제조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712B1 (ko) * 2012-11-02 2014-07-01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연마재교반장치
KR101711790B1 (ko) * 2016-05-06 2017-03-03 이기선 슬러시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713138B1 (ko) 2016-08-09 2017-03-07 (주)우성기업 일정량의 육수를 유지하면서 슬러시를 생성하는 슬러시 제조장치.
CN106930132A (zh) * 2017-04-24 2017-07-07 济南大学 一种基于无注水式物化碎浆的制浆设备
CN106930132B (zh) * 2017-04-24 2023-07-04 济南大学 一种基于无注水式物化碎浆的制浆设备
KR101996012B1 (ko) * 2017-11-30 2019-07-03 (주)위드오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90063543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위드오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WO2019107603A1 (ko) * 2017-11-30 2019-06-06 (주)위드오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092161B1 (ko) * 2018-10-16 2020-03-23 김경옥 슬러시 제조용 냉각고와 이를 이용한 슬러시 제조방법
WO2021192821A1 (ja) * 2020-03-24 2021-09-3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JP2021151385A (ja) * 2020-03-24 2021-09-3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JP7290593B2 (ja) 2020-03-24 2023-06-13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CN112056930A (zh) * 2020-09-17 2020-12-11 王凯 一种节能自排污式饮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231B1 (ko) 슬러시 제조장치
US9400126B2 (en) Magnetic heating/cooling apparatus
US8516846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1230159B2 (en) Cooling and heating cabinet
EP3232140A2 (en) Refrigerator
JP2005331200A (ja) 自動製氷装置とこれを用いた冷蔵庫
JP2006022980A (ja) 製氷装置
CN104454116A (zh) 用于发动机的风扇离合装置以及具有其的发动机
WO2018145369A1 (zh) 一种制冰机、冰箱
KR101004702B1 (ko) 육수 저장 장치
CN206284992U (zh) 食物料理机
KR20160083225A (ko)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US6223550B1 (en) Ice maker
KR102649978B1 (ko) 정수기의 제어 방법
CN219199701U (zh) 一种保鲜容器及冰箱
KR100765444B1 (ko) 크리스탈 제빙기를 이용한 냉장고 및 제빙방법
KR101269436B1 (ko) 내장형 냉각 튜브를 이용한 입체 냉각 방식의 요거트 아이스크림 제조 장치
W Ma et al. Review of recent patents on ice slurry generation
JP2012242076A (ja) 貯湯式給湯装置
CN108692504A (zh) 冰箱及用于冰箱的风扇
JP2005188913A (ja) 製氷装置
CN110645734B (zh) 一种旋转式磁制冷冷机及方法
CN118258190A (en) Fresh-keeping container and refrigerator
KR101232831B1 (ko) 입체 냉각 구조를 갖는 냉각 실린더 및 이를 구비하는 요거트 아이스크림 제조 장치
CN112728825A (zh) 制冰器及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