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012B1 -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012B1
KR101996012B1 KR1020170162418A KR20170162418A KR101996012B1 KR 101996012 B1 KR101996012 B1 KR 101996012B1 KR 1020170162418 A KR1020170162418 A KR 1020170162418A KR 20170162418 A KR20170162418 A KR 20170162418A KR 101996012 B1 KR101996012 B1 KR 10199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extracting
storage container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543A (ko
Inventor
홍근화
Original Assignee
(주)위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드오 filed Critical (주)위드오
Priority to PCT/KR2017/01387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07603A1/ko
Priority to KR1020170162418A priority patent/KR1019960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순환시켜 복수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농축 더치커피를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치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고농축 더치커피를 활용하여 다양한 커피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더치커피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A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순환시켜 복수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농축 더치커피를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치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고농축 더치커피를 활용하여 다양한 커피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더치커피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커피 원두를 갈아 뜨거운 물로 우려낸 향이 진한 음료로서 전 세계적으로 음용되는 기호 식품의 하나이다.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 대안으로 최근 더치커피가 크게 각광받고 있다.
더치커피는 상온 또는 그 이하 온도의 물을 3시간 이상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공급하여 추출되는 것으로, 낮은 온도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신맛이 적고 특유의 향과 맛을 갖고 있으며,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일반적인 커피와 달리 원액 상태로 저장이 가능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일반적인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의해 추출되는 더치커피는 그 추출시간이 오래 걸리고 추출되는 양이 많지 않아 그 원액의 가격이 다소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저온 추출방식에 의해 추출된 더치커피는 카페인의 함량이 낮아 진한 커피를 선호하거나 고카페인의 섭취를 원하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641879호(2016. 07. 18. 등록)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클린 박스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고농축 더치커피를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치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고농축 더치커피를 활용하여 다양한 커피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더치커피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더치커피에 남아있는 커피가루의 용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커피 가루의 고른 사용과 커피의 순환에 따른 농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더치커피 추출용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커피 분말을 수용하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추출부와; 상기 커피추출부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저장부와; 상기 커피저장부에 저장된 커피를 커피순환관을 통해 다시 커피추출부로 공급하여 추출된 더치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피순환부;를 포함하여, 고농축 더치커피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피순환관은 일단이 상기 커피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공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커피추출부의 상측으로 더치커피 추출용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 상에 형성되어 물공급관을 통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물공급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밸브는 상기 커피순환관이 연결되는 지점에 3방향 밸브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피저장부는 상기 커피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커피저장용기와, 상기 커피저장용기에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는 커피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피회전수단은 상기 커피저장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지지판과, 상기 바닥지지판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커피순환관은 일단이 상기 커피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피추출부의 측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순환시켜 복수회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농축 더치커피를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장치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고농축 더치커피를 활용하여 다양한 커피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더치커피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추출된 더치커피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더치커피에 남아있는 커피가루의 용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순환되는 커피가 커피추출부의 측벽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커피추출부에 수용된 커피 가루의 고른 사용과 커피의 순환에 따른 농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회전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추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커피저장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추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더치커피'란 분쇄한 원두를 물에 장시간 우려내 맛과 풍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콜드브루(Cold Brew) 커피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더치커피 추출용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와; 커피분말(31a)을 수용하며, 물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추출부(3)와; 상기 커피추출부(3)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저장부(5)와; 상기 커피저장부(5)에 저장된 커피를 커피순환관(71)을 통해 다시 커피추출부(3)로 공급하여 추출된 더치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피순환부(7);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치커피는 상온 또는 그 이하 온도의 물을 분쇄된 커피에 공급하여 3시간 이상 추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특유의 맛과 향, 우수한 저장성으로 그 선호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다만, 더치커피는 추출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추출되는 양이 많지 않아 그 가격이 일반커피에 비해 고가일 수밖에 없다. 또한, 더치커피는 카페인의 함량이 낮아 고카페인의 섭취를 필요로 하거나 다양한 맛의 커피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번 추출된 커피를 다시 커피추출부(3)로 순환시켜 재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고농축의 더치커피를 간단한 장치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추출된 더치커피는 고농축의 더치커피 원액으로 물을 첨가하거나 우유 등을 첨가하여 아메리카노, 라떼 등의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더치커피 활용 음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양의 커피분말을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더라도 동일한 비용으로 고농축의 더치커피 원액을 제조할 수 있어 많은 양의 커피 음료를 만들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더치커피의 가격이 낮아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더치커피를 원하는 횟수만큼 재순환시켜 추출할 수 있으므로, 커피분말을 충분히 활용하여 더치커피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더치커피의 추출 횟수에 따라 다양한 맛을 갖는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더치커피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공급부(1)는 상기 커피추출부(3)에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커피추출부(3)의 상측에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하며, 물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물공급관(11), 물공급관(11)을 통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물공급밸브(13), 물공급관(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커피추출부(3)에 물이 일정 속도로 떨어지도록 하는 물공급노즐(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관(11)은 별도의 물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존수를 공급받도록 하여 유통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관(11)은 상기 물공급노즐(15)에 연결되어 커피추출부(3)에 일정 속도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물공급관(11) 상에는 상기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어 추출된 커피가 다시 커피추출부(3)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관(11)은 물공급관(11)상에 물공급밸브(13)를 형성하여 물공급관(11)을 통과 물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지점에 3방향 밸브로 형성되도록 하여, 커피추출부(3)에 대한 물의 공급과 추출된 커피의 공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공급관(11)에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세척시 물을 커피순환관(71)에 공급하여 커피순환관(71)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밸브(13)는 상기 물공급관(11) 상에 형성되어 물공급관(11)를 통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지점에 3방향 밸브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밸브(13)는 커피추출부(3)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경우에는 커피순환관(71)측 흐름을 막고, 커피추출부(3)에 추출된 커피가 공급되도록 할 경우에는 물저장탱크(미도시)측 흐름을 막도록 하여 커피추출부(3)에 대한 물 또는 추출커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물공급노즐(15)은 상기 물공급관(11)의 커피추출부(3)측 끝단에 형성되어 물 또는 추출커피가 커피추출부(3)에 일정 속도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물공급노즐(15) 없이 상기 물공급관(11)을 통과한 물이 커피추출부(3)에 직접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물공급노즐(15)을 별도로 형성하여 일정한 속도로 물 또는 추출커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공급노즐(15)에는 노즐조절밸브(151)가 형성되어 물공급노즐(15)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노즐(15)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커피추출부(3)에 저장된 커피분말 전체에 물 또는 추출커피가 고르게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커피추출부(3)는 분쇄된 커피 원두(이하, '커피분말'이라 함)를 수용하며, 상기 물공급부(1)로부터 물 또는 추출커피를 공급받아 커피분말(31a)로부터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커피분말(31a)이 저장되는 분말저장용기(31), 커피분말(31a)의 유출을 방지하는 필터(33), 추출된 커피를 커피저장부(5)로 배출시키는 커피추출관(35)을 포함한다.
상기 분말저장용기(31)는 커피분말(31a)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공급부(1)의 하측에 형성되어 물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커피가 유입되어 커피분말(31a)로부터 커피가 추출되며, 하측에는 상기 커피저장부(5)가 형성되어 추출된 커피가 커피저장부(5)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33)는 상기 분말저장용기(31)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어 커피분말(31a)이 분말저장용기(31)로부터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커피분말(31a)로부터 추출된 커피원액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피추출관(35)은 상기 분말저장용기(31)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피저장부(5)로 추출된 커피를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커피를 배출시키는 커피추출노즐(351)과 커피의 배출을 조절하는 추출조절밸브(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피저장부(5)는 상기 커피추출부(3)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커피추출부(3)의 하측에 형성되어 커피추출부(3)로부터 배출되는 커피를 저장하도록 하며, 커피저장부(5)에 저장된 커피는 상기 커피순환부(7)를 통해 다시 커피추출부(3)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피저장부(5)는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커피에 남아있는 커피분말(31a)을 용해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깨끗한 커피 원액만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피저장부(5)는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커피저장용기(51),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는 커피회전수단(53),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배출하는 커피배출관(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피저장용기(51)는 상기 커피추출부(3)의 하측에 형성되어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커피추출노즐(351)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를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커피저장용기(51)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갖는 다양한 재질의 용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피저장용기(51)의 바닥에는 상기 커피회전수단(53)의 후술할 회전판(533)이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도록 하며, 일측에는 상기 커피배출관(55)이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커피회전수단(53)은 상기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커피의 고른 회전과 커피분말(31a)의 효율적인 용해를 위해 바닥에 형성되는 회전판(533)이 회전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피회전수단(53)은 커피저장용기(51)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지지판(531), 바닥지지판(531)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판(533), 상기 회전판(53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535), 상기 회전판(533)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5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지지판(531)은 상기 커피저장용기(51)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지지판(531)의 상측에는 회전판(533)이 형성되어 회전하며, 회전판(53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닥지지판(531)의 내부에는 회전판(533)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535)와 이와 연결되는 회전축(537)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533)은 상기 바닥지지판(531)의 상측에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 내의 커피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추출된 커피 내에 남아있는 커피분말(31a)을 용해시키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533)은 그 중심에 회전축(537)이 결합되어 회전축(537)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537)은 회전모터(535)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판(533)은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는 일정 간격의 돌기(533a)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기(533a)는 상기 회전판(533)의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의 효율적인 회전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물결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돌기(533a)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535)는 상기 회전판(53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닥지지판(53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537)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537)은 상기 회전모터(535)와 회전판(533)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회전판(533)의 중심에 결합되어 회전모터(535)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커피배출관(55)은 상기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커피저장용기(51)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커피저장용기(51)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피배출관(55)은 별도의 커피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추출된 커피의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커피배출관(55) 상에는 상기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어 커피배출관(55)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 커피추출부(3)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배출관(55)과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배출조절밸브(551)가 형성되어 커피배출관(55)으로부터 배출되는 커피가 커피저장탱크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커피순환관(71)을 통해 커피추출부(3)로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출조절밸브(551)는 상기 커피배출관(55)과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의 배출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3방향 밸브로 형성되어 커피순환관(71) 또는 커피저장탱크로의 배출을 선택하여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순환부(7)는 상기 커피추출부(3)에 의해 추출되어 커피저장부(5)에 저장된 커피를 다시 커피추출부(3)로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커피배출관(55)을 통해 배출되는 커피가 커피순환관(71)을 통해 물공급관(11)으로 유입되어 커피추출부(3)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커피순환부(7)는 복수회에 걸쳐 커피를 순환시켜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고농축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더치커피의 상대적 가격을 낮추고 활용도를 높이며, 순환되는 횟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맛을 가진 커피 원액을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커피 음용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맞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순환부(7)는 상기 커피배출관(55)과 연결되어 커피를 순환시키는 커피순환관(71), 커피가 순환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커피순환펌프(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피순환관(71)은 상기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를 상기 커피추출부(3)로 순환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일단은 상기 커피배출관(55)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공급관(11)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순환관(71)과 커피배출관(55)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조절밸브(551)가 형성되어 커피의 배출 및 순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커피순환관(71)과 물공급관(11)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물공급밸브(13)가 형성되어 물공급관(11)을 통한 물과 커피의 공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피순환관(71)상에는 커피순환펌프(73)가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가 물공급관(11)을 거쳐 커피추출부(3)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순환관(71)이 물공급관(11)에 연결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세척시에는 물공급관(11)에 흐르는 물을 커피순환관(71)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커피순환관(71)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커피순환펌프(73)는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가 커피순환관(71)을 거쳐 커피추출부(3)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커피순환관(71) 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커피를 빨아들여 공급하는 일반적인 펌프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추출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별도의 물저장탱크(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물공급밸브(13)를 거쳐 분말저장용기(31)로 유입되며, 커피분말(31a)로부터 커피가 추출되어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다. 그리고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추출커피(ⓑ)는 순환을 위해 커피배출관(55), 배출조절밸브(551)를 거쳐 커피순환관(71)에 유입되며, 다시 물공급밸브(13)를 거쳐 분말저장용기(31)로 공급되어 커피분말(31a)을 통한 커피의 재추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시 커피저장용기(51)에 저장된 커피는 배출조절밸브(551)의 조절을 통해 재순환과 배출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배출을 선택한 커피(ⓒ)는 배출조절밸브(551)를 거쳐 별도의 커피저장탱크(미도시)로 배출되어 최종 저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물공급부(1'), 커피추출부(3'), 커피저장부(5'), 커피순환부(7')의 구성을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순환부(7')의 커피순환관(71')이 물공급관(11')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분말저장용기(31')의 측벽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와의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커피순환관(71')은 일 실시예와 같이 커피배출관(55')에 일단이 연결되고, 배출조절밸브(551')에 의해 배출과 순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나, 그 타단은 상기 분말저장용기(31')의 상측 측벽에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피순환관(71')을 통해 순환되는 커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저장용기(31')의 측벽을 따라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처음 물공급관(1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분말저장용기(31')의 중앙에서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분말저장용기(31')의 둘레측 측면에 위치하는 커피분말은 중앙에 위치하는 커피분말에 비해 물과의 접촉이 덜 이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관(11')을 통해 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에는 분말저장용기(31')의 측면에 위치하는 커피분말은 계속적으로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순환관(71')을 통해 순환되는 커피가 분말저장용기(31')의 측벽을 통해 유입되어 측벽을 따라 흐르도록 함으로써, 커피분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커피의 농축효율을 높여 더욱 고농축의 커피가 빠른 시간에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순환관(71')은 커피저장용기(51') 및 분말저장용기(31')의 양측에 형성되어 분말저장용기(31')에 수용된 커피분말(31a')의 더욱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커피순환관(71')이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피배출관(55') 및 배출조절밸브(551')도 동일하게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일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부(1"), 커피추출부(3"), 커피저장부(5"), 커피순환부(7")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분말저장용기(31") 및 커피저장용기(51")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하여 각 영역별로 커피의 추출, 저장 및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물공급노즐(15") 및 커피추출노즐(351")도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 영역별로 물의 공급 및 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분말저장용기(31")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물 또는 커피가 각 영역별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커피분말의 더욱 효율적인 사용과 고농축 더치커피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커피저장용기(51")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추출된 횟수에 따라 커피를 나누어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더치커피의 추출과 순환이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노즐(15")은 물공급관(11")의 끝단에 복수개로 나누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3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물공급노즐(15")은 상기 분말저장용기(31")의 각 영역별로 물 또는 커피를 공급하도록 하며, 각 물공급노즐(15")에는 노즐조절밸브(151")가 형성되어 각 영역으로 물 또는 커피의 공급여부와 속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추출부(3")의 분말저장용기(31")는 분할판(311")에 의해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세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다. 세 개의 영역 중 가운데는 물이 통과하는 원수통과영역(311a")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양측의 영역은 커피통과영역(311b")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물저장탱크(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가운데의 물공급노즐(15a")을 통해 원수통과영역(311a")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커피순환관(71")을 거쳐 순환되는 커피는 양측의 물공급노즐(15b")을 통해 커피통과영역(311b")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순환되는 커피도 물과 접촉되지 않은 커피분말과 접촉되어 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피 분말의 고른 사용과 고농축 커피의 효율적인 추출이 가능해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수통과영역(311a")과 커피통과영역(311b")으로 나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추출 횟수에 따라 각 영역을 나누어 통과되도록 할 수 있고, 영역의 개수도 조절하여 효율적인 고농축 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추출노즐(351")도 커피추출관(35")상에 복수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3개로 형성되어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에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에 맞게 1차추출커피, 2차추출커피 등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커피추출노즐(351")에는 추출조절밸브(353")가 형성되어 각 커피추출노즐(351")을 통과하는 커피의 배출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피저장부(5")의 커피저장용기(51")는 구획판(511")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세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저장용기(51")의 양측 영역을 1차커피추출영역(511a"), 1차커피추출영역(511a")의 가운데 영역을 2차커피추출영역(511b")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분말저장용기(31")의 원수통과영역(311a")을 통과한 커피는 양측의 1차커피추출영역(511a")으로 유입되어 다시 커피추출부(3")로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말저장용기(31")의 커피통과영역(311b")을 통과한 커피는 가운데의 2차커피추출영역(511b")으로 유입되어 재순환 또는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을 커피의 순환 횟수에 따라 저장되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피의 배출 및 순환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1차커피추출영역(511a")에서는 배출조절밸브(551")를 커피순환관(71")측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2차커피추출영역(511b")에서는 배출조절밸브(551")를 커피저장탱크(미도시)측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커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추출장치의 제어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커피저장용기(51")를 분할하여 커피의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피저장용기(51")에 순환횟수가 다른 커피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다음 작업을 빠르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커피회전수단(53")은 커피저장용기(51")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됨에 따라 회전판(533")이 각 영역마다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53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역의 중심측에 형성되어 회전하게 되며, 각 회전판(533")마다 회전모터(535")가 연결되어 수용된 커피를 회전시키게 된다.
커피배출관(55")은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각 커피배출관(55")상에는 배출조절밸브(551")가 형성되어 각 영역에 수용된 커피의 순환과 배출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이 상황에 따라 다른 커피를 수용하는 영역으로 설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배출관(55") 상에는 상기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어 각 영역에 수용된 커피가 커피추출부(3")로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피순환부(7")의 커피순환관(71")은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과 연결된 커피배출관(55")에 연결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물공급관(11")과 연결되어 커피저장용기(51")의 각 영역으로부터 순환되는 커피가 커피추출부(3")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각 커피순환관(71")에는 커피순환펌프(73")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피저장용기(51")의 세 영역과 연결되는 커피순환관(71")이 물공급관(11")과 원활하게 연결되고, 각 커피순환관(71")을 통과한 커피의 커피추출부(3")에 대한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피추출부(3")의 상측에는 각 커피순환관(71")이 연결되는 커피순환조절밸브(75")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커피순환조절밸브(75")는 상기 커피추출부(3")의 상측에 형성되어 물공급관(11") 및 각 커피순환관(71")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방향 밸브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일 예와 같이 상기 커피저장용기(51")가 3개의 영역으로 형성되는 경우 커피배출관(55")은 각 영역에 하나씩 3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피배출관(55")과 연결되는 커피순환관(71")도 3개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3개 중 하나의 커피순환관(71")은 일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관(11")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커피순환조절밸브(75")에는 물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오는 물공급관(11"), 2개의 커피순환관(71"), 커피추출부(3")로 연결되는 물공급관(11")이 각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피순환조절밸브(75")는 커피순환관(71") 또는 물공급관(11")으로부터 오는 물 또는 커피를 선택적으로 커피추출부(3")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커피순환조절밸브(75")와 각 관들의 연결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개수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추출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물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물(①)은 물공급밸브(13"), 커피순환조절밸브(75")를 거쳐 물공급노즐(15")로 공급되며, 분말저장용기(31")의 원수통과영역(311a")을 향하는 물공급노즐(15a")만이 개방되어 원수통과영역(311a")에 물(①)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원수통과영역(311a")을 통과한 물(①)은 커피저장용기(51")의 1차커피추출영역(511a")을 향하는 커피추출노즐(351a")을 통해 1차커피추출영역(511a")으로 추출된다. 그리고 1차커피추출영역(511a")으로부터 배출되는 커피(②)는 각 커피배출관(55")을 통해 커피순환관(71")으로 유입되며, 커피순환조절밸브(75")를 거쳐 다시 분말저장용기(31")로 공급된다. 이때, 물공급노즐(15")은 커피통과영역(311b")을 향하는 양측의 물공급노즐(15")만이 개방되어 순환되는 커피(②)가 커피통과영역(311b")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더욱 효율적인 커피분말의 사용과 고농축 커피의 추출이 가능해진다. 커피통과영역(311b")을 통과한 커피(②)는 가운데의 커피추출노즐(351b")을 거쳐 2차커피추출영역(511b")으로 배출되어 저장된다. 상기 2차커피추출영역(511b")에 저장된 커피는 배출조절밸브(551")를 거쳐 별도의 커피저장탱크(미도시)로 배출되거나 커피순환관(71")을 거쳐 재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말저장용기(31") 및 커피저장용기(51")의 분할되는 영역의 개수와 기능은 상황에 맞게 조절되어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에 맞는 효율적인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물공급부 11: 물공급관 13: 물공급밸브
15: 물공급노즐 151: 노즐조절밸브
3: 커피추출부 31: 분말저장용기 33: 필터
35: 커피추출관 351: 커피추출노즐 353: 추출조절밸브
5: 커피저장부 51: 커피저장용기
53: 커피회전수단 531: 바닥지지판 533: 회전판
533a: 돌기 535: 회전모터 537: 회전축
55: 커피배출관 551: 배출조절밸브
7: 커피순환부
71: 커피순환관 73: 커피순환펌프 75: 커피순환조절밸브

Claims (7)

  1. 더치커피 추출용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커피 분말을 수용하는 분말저장용기를 가지며,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추출부와;
    상기 커피추출부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저장부와;
    상기 커피저장부에 저장된 커피를 커피순환관을 통해 다시 커피추출부로 공급하여 추출된 더치커피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피순환부;를 포함하여, 고농축 더치커피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분말저장용기의 중앙측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며,
    상기 커피순환관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커피저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말저장용기의 측벽을 따라 이격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저장부는
    상기 커피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커피저장용기와, 상기 커피저장용기에 저장된 커피를 회전시키는 커피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회전수단은
    상기 커피저장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지지판과, 상기 바닥지지판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7. 삭제
KR1020170162418A 2017-11-30 2017-11-30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996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3873 WO2019107603A1 (ko) 2017-11-30 2017-11-30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0170162418A KR101996012B1 (ko) 2017-11-30 2017-11-30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18A KR101996012B1 (ko) 2017-11-30 2017-11-30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543A KR20190063543A (ko) 2019-06-10
KR101996012B1 true KR101996012B1 (ko) 2019-07-03

Family

ID=6666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418A KR101996012B1 (ko) 2017-11-30 2017-11-30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6012B1 (ko)
WO (1) WO20191076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397A (ko) * 2019-09-06 2021-03-16 추영민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2266B (zh) * 2021-04-01 2022-08-3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冷萃装置和制冷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9694A1 (en) * 2001-05-22 2002-03-14 Raymond Electric (China) Limited Coffee making machine
KR101053231B1 (ko) * 2010-07-15 2011-08-01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슬러시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022A (ja) * 1996-01-19 1997-07-29 Enomoto Koichi コーヒー液抽出装置
JP4119911B2 (ja) * 2005-12-01 2008-07-16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JP2009082562A (ja) * 2007-10-01 2009-04-23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抽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9694A1 (en) * 2001-05-22 2002-03-14 Raymond Electric (China) Limited Coffee making machine
KR101053231B1 (ko) * 2010-07-15 2011-08-01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슬러시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397A (ko) * 2019-09-06 2021-03-16 추영민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KR102292112B1 (ko) * 2019-09-06 2021-08-20 추영민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7603A1 (ko) 2019-06-06
KR20190063543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4760B2 (ja) 自動コーヒードリップ装置
CA2780698C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CN100405960C (zh) 饮料制造装置
US6968775B2 (en) Coffee brewer
US6564697B2 (en) Tea brewing method and apparatus
EP19371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from soluble products
US20080017042A1 (en) Automated coffee brewing and dispensing apparatus
KR101996012B1 (ko) 서큘레이션 방식의 더치커피 추출장치
US10925429B2 (en)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ffee machine
KR100958453B1 (ko)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CA2405463A1 (en) Liqui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KR20090075650A (ko)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JP2008113972A (ja) コーヒー抽出機
US3520247A (en) Automatic bypass hot water feed for coffee urn
GB2475290A (en) Nozzle f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EP3491977A1 (en) Circulation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US1762208A (en) Coffee-brewing apparatus
KR20140109287A (ko) 환 원료를 이용한 음료 배출장치
JP2006198213A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KR102292112B1 (ko) 탈착식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장치
US20200008610A1 (en)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KR101852000B1 (ko)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CN218128093U (zh) 一种浓缩咖啡的萃取装置
KR20190051282A (ko) 회전판이 구비된 더치커피의 제조장치
CN112391245A (zh) 家用啤酒酿造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