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589B1 - 이온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이온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589B1
KR101048589B1 KR1020067004295A KR20067004295A KR101048589B1 KR 101048589 B1 KR101048589 B1 KR 101048589B1 KR 1020067004295 A KR1020067004295 A KR 1020067004295A KR 20067004295 A KR20067004295 A KR 20067004295A KR 101048589 B1 KR101048589 B1 KR 10104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needle
air
hole
transfer fluid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921A (ko
Inventor
카즈오 코쯔지
Original Assignee
코가네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가네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가네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1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이온발생장치에 있어서, 이온화 공기를 대량으로 생성하는 경우에도 이온밸런스를 안정시킨다. 헤드(2)는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흐르는 관통공(7)을 갖고 있고, 관통공(7)의 내부에는 방전침(11)이 배치되어 있다. 도체로 이루어지는 헤드(2)와 방전침(11)의 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부가하면 방전침(11)의 선단부(11a)에 코로나(C)가 발생하여 흐르는 공기를 이온화한다. 절연체로 구성되어 방전침(11)의 대부분을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수용관부(17)와 그의 하류측 단부에 테이퍼 형상의 유도테이퍼부(이송유체 유도부재)(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취부되어 있고, 이것은 공기의 흐름을 코로나 발생영역에 직접 닿지 않도록 그의 외주측으로 편향시켜 유도한다. 그 때문에 공기의 공급압력을 증가시켜도 코로나 발생영역에 있어서의 압력 및 유속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고 이온밸런스를 안정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67004295
이온발생장치, 이온밸런스, 관통공, 방전침, 이송유체 유도부

Description

이온발생장치{IONIZER}
본 발명은, 전자부품 등 각종의 부재로부터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온화 공기를 생성하는 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의 제조 및 조립을 행하는 경우에 전자부품과 그 제조 및 조립을 행하는 장치 등에 정전기가 발생하면, 전자부품의 제조 및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오나이저(ionizer) 또는 이온발생기로 불리는 이온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제전이 필요한 부재에 이온화된 공기 즉 이온화 공기를 불어넣고 있다. 제전, 즉 정전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부재로서는 전술한 전자부품 이외에 공기 및 액체를 안내하는 파이프, 로봇 및 파트 피더(parts feeder) 등 기계의 가동부(稼動部) 등이 있으며, 이들의 부재 표면에 이온화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대전을 중화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이온발생장치에는, 이온화 공기를 튜브나 파이프에 의해 소정의 제전부위로 안내하는 방식의 블로우 타입과, 팬을 사용하여 취출구(吹出口)로부터 이온화 공기를 불어 넣는 방식의 팬 타입이 있다. 블로우 타입의 이 온발생장치는, 공기를 안내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도체(導體)로 이루어진 헤드와 관통공내에 배치되며 도체로 이루어진 방전침을 포함하고, 관통공의 내면에는 절연부재가 취부되어 있다. 헤드에는 이음매가 취부되어 있고, 이러한 이음매를 통해서 헤드에 접속되는 호스 및 파이프 등을 거쳐 이온화 공기는 소정의 대전부위에 공급된다. 한편, 팬 타입 이온발생장치는, 공기안내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방전침을 포함하고 있고, 이온화 공기는 덕트로 안내되어 소정의 대전부위로 안내된다.
이상의 어느 타입에 있어서나, 이온을 발생시키는 기본 구성으로서는 방전침에 수kV 이상의 교류전압(또는 펄스 상의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킴으로써 코로나 방전의 전계에 의하여 공기유로 내를 흐르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온화 공기를 대량으로 생성하려고 하면 공기 유로 내의 공기유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공기 유로 내의 압력 및 유속을 증가시켜 버리기 때문에, 방전침의 주위에 있어서의 코로나방전을 불안정하게 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코로나방전이 불안정하게 되면, 생성한 이온화공기에 있어서도 양이온과 음이온의 수의 비율, 즉 이온 밸런스가 한쪽으로 기울기 쉽게 되어, 제전성능 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화 공기를 대량으로 생성하는 경우에도 이온밸런스를 안정시킬 수 있는 이온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이온발생장치는 장치 본체에 형성된 유체유입구에 연통하여 이송유체가 유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도체 블로우관과, 선단부가 관통공내에 위치되는 방전침과, 선단부의 주변 위치에 형성되는 코로나 발생영역으로 이송유체를 직접 닿지 않도록 유통방향을 유도하는 이송유체 유도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온발생장치는, 이송유체의 유통방향에 대한 이송유체 유도부재의 하류측 단부가,코로나 발생영역 보다도 유통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온발생장치는, 송풍기가 조립된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취부되고 송풍기로부터 토출되는 이송유체를 외부로 안내하는 덕트와, 선단부를 상기 덕트내에 위치시켜 취부되는 방전침과, 덕트내에 취부되는 쌍전극(a pair electrode)과, 선단부의 주변 위치에 형성되는 코로나 발생영역에 이송유체를 직접 닿지 않도록 유통방향을 유도하는 이송유체 유도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유체 유도부재는 공기의 흐름을 코로나 발생영역에 직접 닿지 않도록 그의 외주측으로 편향시켜 유도하도록 되어 있고 그 때문에 이온화 공기를 대량으로 생성하는 경우에도 코로나 발생영역에서의 압력 및 유속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고 이온밸런스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유체 유도부재는 그의 하류측 단부가 코로나 발생영역과 동일한 위치의 방전침의 선단부 보다도 상류측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코로나의 바로 외주(外周)로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이온이 양호하게 반송되어 이온밸런스가 더욱 안정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유체 유도부재는 공기의 흐름을 코로나 발생영역에 직접 닿지 않도록 공기의 흐름을 분할하여 방전침 전체 및 코로나 발생영역의측방향으로 편향시켜 유도하도록 되어 있어, 이온화 공기를 대량으로 생성하는 경우에도 코로나 발생영역에서의 압력 및 유속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고 이온밸런스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를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일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와 공기도입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이온발생장치에서 공기의 공급압력의 변화에 대한 이온밸런스의 변화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제1변형례인 이온발생장치를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제2변형례인 이온발생장치를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를 도시한 개략단면도로서, 도 5a는 도 5b에 있어서의 A-A선을 따른 평면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른 측면단면도이다.
이하,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이온발생장치를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는 이송유체에 대기 공기를 이용해서 이온화 공기를 생성하는 것이고, 또한 생성한 이온화 공기를 파이프형 노즐 등을 통해서 소정의 개소에 국소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블로어-타입의 것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발생장치(1)는 금속 및 도전성 재료 등의 도체로 이루어지는 헤드(2)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 본체(3)를 갖고 있다. 이러한 장치본체(3)는 수지 및 세라믹 등의 절연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체블로우관로서의 헤드(2)에는 장치 본체(3)에 형성된 나사공(4)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5)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2)는 중공으로 되어 있고, 장치본체(3)에 형성된 공기유입구(6)(유체유입구)에 연통하는 관통공(7)을 갖고 있다.
공기유입구(6)에는 팬 및 컴프레셔 등의 공기공급원(8)이 공기도입로(9)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공기도입로(9)에는 공기공급원(8)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 중의 먼지 등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0)가 설치되어 있다.
장치본체(3)에는 방전침(11)이 취부되어 있고, 이러한 방전침(11)은 그의 선단부(11a)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부분이 헤드(2)의 관통공(7)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체로 이루어지는 헤드(2)와 방전침(11)은 각기 방전전극을 구성하고 있고, 헤드(2)와 방전침(11)에는 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유니트(12)가 접속되어 있다.
헤드(2)에는 절연부재로서 원통형상의 부시(bush: 13)가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부시(13)의 외주면은 관통공(7)의 내주면에 감합하고 있고, 부시(13)의 내주면은 공기도입로(9)를 통해서 공기공급원(8)에 연통하는 공기 안내 유로(14)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공기공급원(8)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는 부시(13)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흐르도록 되어 있다.
부시(13) 보다도 공기의 유통방향의 상류측 위치에 수지 및 세라믹 등의 절연재료로 구성하는 공기 도입부재(15)가 헤드(2)의 관통공(7)의 내주면에 감합하여 취부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도입부재(15)는 상류측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균등분사부(16), 방전침(11)의 대부분을 내경측으로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수용관부(17), 이러한 수용관부(17)의 하류측 단부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유도테이퍼부(18)를 구비하고 있고, 수용관부(17)와 유도테이퍼부(18)에 의해 이송유체 유도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균등분사부(16)는 그의 외주부가 헤드(2)의 관통공(7)의 내주면에 감합되고, 동시에 그의 양 단면이 장치본체(3)와 헤드(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공기 도입부재(15) 전체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균등분사부(16)의 중앙에 수용관부(17)가 배치되어 있고, 그의 내부에 방전침(11)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균등분사부(16)의 상류측 단면에는 동심상의 유통환상구(16a)가 형성되고, 하류측단면에는 복수의 유통공(16b)이 원주 방향으로 균등한 배치로 형성되어 있고, 장치본체(3)의 공기유입구(6)는 이러한 유통환상구(16a)와 유통공(16b)을 통해서 관통공(7)에 연통하고 있다. 수용관부(17)의 하류측 단부에 위치하는 유도테이퍼부(18)는 하류측을 향해서 직경이 커지는 경사의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하류측 단부는 방전침(11)의 선단부(11a) 보다도 상류측으로 위치하고 있다.
부시(13)보다 하류측에는 노즐이음매(19)가 헤드(2)의 관통공(7)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노즐이음매(19)는 헤드(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나사부(19a)를 가짐과 동시에, 부시(13)의 공기 안내 유로(14)에 연통하는 연통공(20)을 갖고 있다. 이러한 노즐이음매(19)는 헤드(2)로부터 착탈가능하고, 또한 돌출나사부(19a)에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형 노즐 등을 착탈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이온발생장치(1)는 임의의 대전부위에 공급하여 제전하기 위해서 이온화 공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방전전극을 구성하는 헤드(2)와 방전침(11)에 전원유니트(12)로부터 수kV 이상의 교류전압이 공급되면, 이들 방전전극의 사이에 코로나(C)를 발생하는 코로나방전이 일어나고, 이러한 코로나방전에 의해 공기 안내 유로(14)내를흐르는 공기는 이온화되는 것으로 된다. 이온화공기는 노즐이음매(19)에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형 노즐 등을 통해서 그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대전부위에 공급될 수 있고, 이러한 대전부위를 제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코로나(C)는 방전침(11)의 선단부(11a)의 주변위치 부근에 발생하는 것이고, 공기 도입부재(15)의 수용관부(17)와 유도테이퍼부(18)는 선단부(11a)의 주변 위치에 형성되는 코로나 발생영역에 대하여 공기 안내 유로(14)내를 흐르는 공기를 직접 닿지 않도록 유통방향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결국, 수용관부(17)가 방전침(11)에 공기의 흐름을 직접 닿지 않도록 보호하고, 유도테이퍼부(18)가 공기의 흐름을 코로나 발생영역 보다도 외주측으로 편향시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온화공기의 생성을 증감시키기 위해 공기의 유통량을 변화시킨 경우에도, 코로나 발생영역에 있어서의 압력 및 유속의 변화를 거의 방지할 수 있고, 공기의 이온화, 즉 이온의 발생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압력의 증가에 의해 공기밀도가 높아진 경우에 있어, 안정한 코로나 방전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코로나 방전의 안정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량의 비율, 즉, 이온밸런스를 안정시키게 되고, 제전성능과 관련하여 이상적인 양이온과 음이온의 동량 발생 상태에 근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2는 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1)와 공기 도입부재(15)를 갖지 않는 이온발생장치에서 공기의 공급압력의 변화에 대한 이온밸런스의 변화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횡축은 공급압력의 증감을 나타내고, 종축은 이온밸런스를 이온화 공기 전체의 전위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공기 도입부재(15)를 갖고 있지 않은 이온발생장치의 경우는 도면 중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급압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이온밸런스가 크게 변화해(도시한 경우는 마이너스로 변화)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공기 도입부재(15)(이송유체 유도부재)를 갖는 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1)에서는 도면 중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급압력을 증가시켜도 이온밸런스의 변화는 적고, 양이온과 음이온의 동량발생상태에 근접하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1)에 의하면 이온화 공기를 대량으로 생성하는 경우에도 이온밸런스를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전성능이 우수한 이 온화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수용관부(17) 및 유도테이퍼부(18)로 구성하는 이송유체 유도부재가 선단부(11a)를 포함하도록 방전침(11) 전체를 수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코로나방전에 의해 발생한 이온이 양호하게 반송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1)가 구비하는 유도테이퍼부(18)는 그의 하류측 단부가 방전침(11)의 선단부(11a) 보다도 상류측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코로나(C)의 바로 외주로 유통시킬 수 있어, 이온으르 양호하게 반송하여 이온밸런스를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균등분사부(16)에 의해, 방전침(11)의 외주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균등하게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코로나방전에 의해 발생한 이온을 양호하게 반송시켜 이온밸런스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유체 유도부재는 도1에 도시한 수용관부(17) 및 유도테이퍼부(18)를 조합시킨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코로나 발생영역에 대하여 공기 안내 유로(14)내를 흐르는 공기를 직접 닿지 않도록 유통방향을 유도하는 것이라면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한 제1의 변형례와 같이, 균등분사부(26)를 부시(23)의 상류측에 인접 배치하고 수용관부(27)의 상류측 단부에 형성한 나사부(27a)로 균등분사부(26)에 나사결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유도테이퍼부(28)의 하류측 단부를 방전침(11)의 선단부(11a) 보다도 상류측에 위치시켜 코로나(C)로부터 발생한 이온을 양호하게 반송시킬 수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한 제2의 변형례와 같이 균등분사부를 설치하지 않고 수용관부(37)의 상류측 단부에 형성한 나사부(37a)로 장치본체(3)에 직접 나사결합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5a 및 도 5b는 다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5b에 있어서의 A-A선 평면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B-B선 측면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는 팬으로부터 송입한 대기공기를 이용하여 이온화 공기를 생성하는 것이고, 또한 생성한 이온화 공기를 덕트로부터 취출하도록 한 팬-타입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이온발생장치(1)와 공통하는 부재 및 형상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5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101)는 송풍기(102)를 구비하는 장치본체(103)와 장치본체(103)에 취부되는 덕트(104)와, 덕트(104) 내에 취부되는 3개의 방전침(111)과, 각 방전침(111)에 대하여 반대측의 쌍전극으로 구성되는 쌍극판(pair electrode plate: 107)과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송풍기(102)와 각 방전침(111) 사이에 취부되는 유통공기 유도부재(105)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본체(103)는 하우징(106)의 내부에 공기를 취입하는 송풍기취입구(102a)와 덕트(104)내에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기취출구(102b)를 갖는 송풍기(102), 및 전원유니트(112)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유니트(112)는 송풍기(102)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방전에 필요한 전력을 얻는 전력변환기를 내부에 갖고 있다.
하우징(106)에 취부되는 덕트(104)는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송풍기취출구(102b)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덕트취출구(104a)를 통해서 외부로 안내 하도록 되어 있다. 3개의 방전침(111)은 서로 평행하게 도체인 전극고정판(108)에 직립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전극고정판(108)은 전극고정판 지지대(109)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방전침(111)은 송풍기취출구(102b)로부터 덕트취출구(104a)로 흐르는 공기의 유통방향에 직교하도록 되어 있다. 도체판인 쌍극판(107)은 각 방전침(111)의 선단부(111a)에 직교대향하여 사이를 벌리는 배치로 덕트(104) 내에 고정되어 있다. 각 방전침(111)과 쌍극판(107)이 방전전극을 구성하고, 각 방전침(111)과 쌍극판(107)은 전원 유니트(112)의 전력변환기에 접속되어 있다.
이송유체 유도부재인 각 유통공기 유도부재(105)는 방전침(111)의 선단부(111a)의 주변위치에 발생하는 코로나(C) 보다도 충분히 큰 직경의 원통을 거의 반으로 나눈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유통공기 유도부재(105)는 각 방전침(111)과 송풍기(10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각 방전침(111)과 평행하게 되어 덕트(10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반으로 나눈 원통 형상의 유통공기 유도부재(105)는 내경측을 방전침(111)으로 향하고, 그의 하류측 단부는 방전침(111)의 중심축 보다도 상류측으로 위치하여 송풍기(102)측으로부터 보아 방전침(111)의 선단부(111 a)를 감추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이온발생장치(10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에 있어서, 방전전극을 구성하는 쌍극판(107)과 방전침(111)에 전원유니트(112)로부터 수kV 이상의 교류전압이 공급되면, 이들 방전전극의 사이에 코로나방전이 일어나고 덕트(104)내를 흐르는 공기는 이온화되어 덕트취출구(104a)로부터 취출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코로나(C)는 방전침(111)의 선단부(111a)의 주변 위치에 발생하지만, 유통공기 유도부재(105)는 선단부(111a)의 주변 위치에 형성되는 코로나 발생영역에 대해서, 덕트(104)내로 흐르는 공기를 직접 닿지 않도록 그의 유통방향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원통을 반으로 나눈 형상의 유통 공기유도부재(105)는 공기의 흐름을 분할하여 방전침(111) 전체 및 코로나 발생영역의 측방향으로 편향시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의 유통량을 증감변화시킨 경우에도코로나 발생영역에 있어서의 압력 및 유속의 변화를 거의 방지할 수 있고, 이온밸런스를 항상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유통공기 유도부재(105)도 그의 하류측 단부가 방전침(111)의 중심축 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코로나(C)의 바로 측방으로 유통하는 공기에 의해 이온이 양호하게 반송되어 이온밸런스가 보다 안정하다.
또한 이송유체 유도부재는 상기의 유통 공기유도부재(105)의 원통을 반분한 형상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로나 발생영역에 대해서 덕트(104)내에흐르는 공기를 직접 닿지 않도록 유통방향을 유도하는 것이라면 다른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급되는 이송유체는 압축공기( 대기공기)이외에 질소(N2) 기체 등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이온발생장치는 전자 부품 등의 각종 부재로부터 정전기를 제전하는 이온화 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Claims (3)

  1. 장치 본체에 형성된 유체유입구에 연통해서 이송유체가 유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도체블로우관;
    상기 관통공 내에 위치되고, 상기 도체블로우관과 함께 방전전극을 구성하는 방전침; 및
    상기 방전침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수용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과의 사이에서 유체안내유로를 형성하는 이송유체 유도부재를 갖고,
    상기 유체유입구로부터 상기 관통공 내에 유입하고 상기 유체안내유로를 흐르는 상기 이송유체의 유통방향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체 유도부재의 하류측 단부를, 상기 방전침의 선단부의 주변에 형성되는 코로나발생영역 보다도 상기 유통방향의 상류측에 설치하고,
    상기 하류측 단부에 상기 코로나 발생영역 보다도 외주측으로 상기 이송유체를 편향시켜 유도하는 테이퍼 형상의 유도테이퍼부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유체를 상기 코로나 발생영역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감합되는 원통형상의 절연부재를 갖고,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이송유체 유도부재와의 사이를 상기 이송유체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3. 송풍기가 조립된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취부되고, 상기 송풍기로부터 토출되는 이송유체를 외부로 안내하는 덕트;
    상기 이송유체의 유통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덕트 내에 취부되는 방전침;
    상기 덕트 내에 상기 방전침에 대향하여 취부되는 대향전극; 및
    상기 방전침의 선단부의 주변에 형성되는 코로나 발생영역 보다도 상기 이송유체의 상기 유통방향의 상류측에 위치시켜 상기 송풍기와 상기 방전침의 사이에 상기 방전침에 평행하게 취부되고, 상기 선단부를 감추는 이송유체 유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유체를 상기 코로나 발생영역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발생장치.
KR1020067004295A 2003-09-02 2004-08-24 이온발생장치 KR101048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09686 2003-09-02
JP2003309686A JP4308610B2 (ja) 2003-09-02 2003-09-02 イオン発生装置
PCT/JP2004/012449 WO2005025022A1 (ja) 2003-09-02 2004-08-24 イオン発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921A KR20060119921A (ko) 2006-11-24
KR101048589B1 true KR101048589B1 (ko) 2011-07-12

Family

ID=3426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295A KR101048589B1 (ko) 2003-09-02 2004-08-24 이온발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08562B2 (ko)
JP (1) JP4308610B2 (ko)
KR (1) KR101048589B1 (ko)
CN (1) CN100524990C (ko)
TW (1) TWI316921B (ko)
WO (1) WO20050250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699A (ko) * 2014-08-20 201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발생기 및 이를 갖는 기판 이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9994B2 (ja) * 2003-09-22 2005-07-13 シャープ株式会社 車載用空気浄化装置
EP1800711A4 (fr) * 2004-09-07 2008-04-02 Yugen Kaisha Beauty Clinical Appareil cosmétique
KR101045179B1 (ko) * 2004-12-13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타민이온 발생장치
US7333317B2 (en) * 2005-08-25 2008-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ionizer
EP1872680B1 (en) * 2006-06-30 2013-08-14 Panasonic Corporation Heating and blowing apparatus
KR100980725B1 (ko) * 2008-07-04 2010-09-0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전기 이온화법을 이용한 이온화 장치
TWI463920B (zh) * 2008-12-18 2014-12-01 Kazuo Okano Corona discharge type ion generator
KR101862160B1 (ko) * 2009-04-24 2018-07-04 이온 시스템즈, 인크. 정전하 중화를 위한 클린 코로나 가스 이온화
US8038775B2 (en) 2009-04-24 2011-10-18 Peter Gefter Separating contaminants from gas ions in corona discharge ionizing bars
DE102009038296A1 (de) * 2009-08-21 2011-03-31 Behr Gmbh & Co. K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Ionisierungsvorrichtung
US8416552B2 (en) 2009-10-23 2013-04-09 Illinois Tool Works Inc. Self-balancing ionized gas streams
US8143591B2 (en) 2009-10-26 2012-03-27 Peter Gefter Covering wide areas with ionized gas streams
CN102064476B (zh) * 2009-11-18 2013-12-18 株式会社小金井 离子发生器
JP5539848B2 (ja) * 2009-11-18 2014-07-02 株式会社コガネイ イオン生成装置
JP4773568B2 (ja) * 2010-02-17 2011-09-14 株式会社コガネイ イオン生成装置
JP5461348B2 (ja) * 2010-09-01 2014-04-02 株式会社コガネイ イオン生成装置
KR20120027580A (ko) * 2010-09-13 201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용 테스트 핸들러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테스트 방법
CN102143644A (zh) * 2010-12-29 2011-08-03 东莞市科园防静电设备有限公司 一种交流电晕放电式除静电设备
CN102738711A (zh) * 2012-06-28 2012-10-17 武汉常阳新力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安装在室内顶部的负离子发生器的发射装置
FI124675B (fi) * 2012-09-06 2014-11-28 Tassu Esp Oy Menetelmä pienhiukkasten keräämiseksi savukaasuista sekä vastaava sovitelma
DE102012110657B3 (de) * 2012-11-07 2014-02-06 Borgwarner Beru Systems Gmbh Koronazündeinrichtung
US9392466B2 (en) * 2012-12-06 2016-07-12 Level 3 Communications, Llc System and methods for obtaining ubiquitous network coverage
JP6169043B2 (ja) * 2014-05-26 2017-07-26 住友重機械イオン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熱電子放出部
CN106148913B (zh) * 2015-01-15 2018-10-23 黄辉 一种半导体材料的化学气相沉积装置及其方法
JP6447869B2 (ja) * 2015-03-13 2019-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髪ケア装置
FR3044834A1 (fr) * 2015-12-02 2017-06-09 Pierre Guitton Dispositif de generation d'ions
CN106941757A (zh) * 2017-05-03 2017-07-11 重庆铂汉塑胶有限公司 一种除静电装置
WO2019021102A1 (en) * 2017-07-27 2019-01-31 Naturion Pte. Ltd. ION GENERATING DEVICE
CN109281816A (zh) * 2018-09-11 2019-01-29 嘉兴学院 一种组合式无机械离子风气泵
CN109205566B (zh) * 2018-10-02 2022-08-09 北京新科以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激励弯管臭氧发生设备及其发生方法
WO2022256616A1 (en) * 2021-06-04 2022-12-08 Illinois Tool Works Inc. Ionizer emitter nozz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138A (ja) * 2001-10-30 2003-05-13 Kyushu Hitachi Maxell Ltd 送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951B2 (ja) * 1998-04-27 2000-05-29 株式会社セイスイ 空気清浄化装置
WO2004109875A1 (ja) * 2003-06-05 2004-12-16 Shishido Electrostatic, Ltd. イオン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138A (ja) * 2001-10-30 2003-05-13 Kyushu Hitachi Maxell Ltd 送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699A (ko) * 2014-08-20 201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발생기 및 이를 갖는 기판 이송 시스템
US9543151B2 (en) 2014-08-20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onizer and substrate transfer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KR102164671B1 (ko) * 2014-08-20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발생기 및 이를 갖는 기판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4990C (zh) 2009-08-05
TW200510246A (en) 2005-03-16
CN1846337A (zh) 2006-10-11
WO2005025022A1 (ja) 2005-03-17
JP2005078990A (ja) 2005-03-24
KR20060119921A (ko) 2006-11-24
TWI316921B (en) 2009-11-11
US20070006478A1 (en) 2007-01-11
US7408562B2 (en) 2008-08-05
JP4308610B2 (ja)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589B1 (ko) 이온발생장치
KR100954402B1 (ko) 정전 무화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송풍기
JP5201338B2 (ja) イオナイザ
US6717792B2 (en) Emitter assembly
KR101403072B1 (ko) 이온 생성 장치
JP5539848B2 (ja) イオン生成装置
CN102064476B (zh) 离子发生器
KR20080035228A (ko) 피에조 및 노즐을 이용한 바형 이오나이저
CN117616651A (zh) 用于电离气态介质的装置和方法
KR102340857B1 (ko) 수중 기포를 이용한 플라즈마 수처리 장치
JP6004645B2 (ja) ノズル除電装置
KR20140117656A (ko) 이온 발생 장치
CN111225944B (zh) 表面改性装置
JP7250649B2 (ja) 除電器
JP2009158375A (ja) 除電装置及び方法
JP2003243199A (ja) 静電気除去装置
JPH02155199A (ja) 静電気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351796A (ja) イオン発生装置
KR20210043889A (ko) 방전 전극 소켓
JP2004006186A (ja) 噴射型イオン生成装置
JP2010114021A (ja) 除電器用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