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077B1 -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표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표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077B1
KR101043077B1 KR1020030088034A KR20030088034A KR101043077B1 KR 101043077 B1 KR101043077 B1 KR 101043077B1 KR 1020030088034 A KR1020030088034 A KR 1020030088034A KR 20030088034 A KR20030088034 A KR 20030088034A KR 101043077 B1 KR101043077 B1 KR 101043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weight
mgco
surface treatment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640A (ko
Inventor
유광재
한광희
이석주
최규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8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077B1/ko
Priority to CNA2004100300638A priority patent/CN1624195A/zh
Publication of KR2005005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07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phosphates
    • C23C22/08Ortho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22/00Aspects relating to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medium
    • C23C2222/10Use of solutions containing trivalent chromium but free of hexavalent 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 무기 크롬산계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다가 알코올계 환원제를 포함하여 강판표면에 형성된 수지 피막 중에 인체에 해로운 6가 크롬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표면외관, 절연성, 내식성, 밀착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유기피복, 절연피막, 환원제, 6가 크롬, 3가 크롬

Description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for Cold Rolled Steel and surface treat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지피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유, 무기 코팅용액 2-용액 픽업롤
3-두께 조절롤 4-용액 도포롤
5-냉간압연 강판 6-방향 전환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 소부 처리에 의해 6가의 크롬을 3가의 크롬으로 완전히 환원시켜 환경친화적이며 유기피막층과 무기피막층이 하이브리드로 형성되어 강판의 절연성, 내식성, 밀착성, 광택도, 표면외관 및 내지문성 등이 우 수한 크롬산계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가전제품용으로서 적용되는 아연도금강판 등은, 그 표면에 내식성 부여를 목적으로 주로 크롬산(chromate)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크롬산 처리는 6가 크롬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문제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최근에는 법적으로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3가 크롬을 사용한 화성처리와 크롬 그 자체를 포함하지 않는 처리기술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기능상 유용한 6가 크롬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래 가지고 있어야 할 절연성, 내식성, 밀착성, 내지문성 등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0-054157호는 6가 크롬을 포함하지 않고 금속성분과 3가크롬으로 이루어진 화성 처리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 사용되는 처리제는 종래의 화성 처리인 크롬산 처리의 1차 방청 레벨을 만족하기 위해 상당 두께의 도막으로 마무리해야할 필요가 있고, 내지문성도 충분하지 못하였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00-000519호는 아연도금강판표면에 수분산형 수지, 수용성수지 및 고분자의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표면처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내지문성은 양호하지만 내식성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의 수지피막 중에 인체에 해로운 6가 크롬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절연성, 내식성, 밀착성, 내지문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 무기 하이브리드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절연성, 내식성, 밀착성, 내지문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크롬산 1∼30 중량%,
b) pH 3 이하로 유지되는 에멀젼 수지 5∼35 중량%(고형분 함량),
c) 다가 알코올계 환원제 0.1∼10 중량%, 및
d) 보론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 인 화합물, 칼슘 화합물, 및 망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 0.5∼25 중량%를 포함하는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의 조성물을 고형분 농도 10∼70 중량%로 강판에 코팅하고 건조하여 수지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크롬산계 표면 처리 조성물에서 기본적 조성으로 6가 크롬은 포함되지만 도장후의 피막형성 소부처리 공정에서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완전히 환원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환경문제 등을 해결함과 동시에 종래 크롬산계 표면처리제가 가진 우수한 특성을 동등 이상 유지하는 방법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크롬산의 절연성, 내식성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크롬산계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강판에 균일하게 도포후 피막형성의 소부(燒付)처리 공정으로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완전히 환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강판 표면에 유,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피막이 형성되어 절연성, 내식성, 밀착성, 광택도, 표면외관, 내지문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강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크롬산계 조성물로서, 크롬산 용액과 에멀젼 수지 용액의 혼합액을 베이스로 하고, 여기에 다가 알코올계 환원제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크롬산은 크롬산의 내식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그 함량은 1∼30 중량%로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크롬산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환원 생성된 크롬(3가)의 방식기능이 발휘되지 않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처리제의 안정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피막외관의 저하를 초래하고, 형성피막의 내식성능도 포화상태가 되고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성막성(成膜性) 및 피막의 밀착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고 소부에 의한 균일막 형성과 지문등의 표면 오염을 방지하고, 그 후의 소부막의 가공성과 표면광택 향상을 위해 유, 무기수지를 포함하는 에멀젼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유, 무기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 아크릴 공중합 수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아마이드 수지, 우레탄 수지계, 및 에폭시 수지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멀젼 수지는 크롬산 용액과의 혼합에 의한 액 안정성을 확보하기(Gel화 방지)위해 pH를 3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멀젼 수지의 함량은 고형분 농도로 5∼35 중량%가 되도록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이다. 상기 에멀젼 수지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형성피막의 절연성, 내식성, 밀착성 향상 효과가 적고, 전기강판, 유기피복강판의 내식성도 만족되지 않으며, 35 중량%를 초과하면 내식성에 기여하는 크롬산과의 상대비로 인해 내식성의 저하를 가져온다.
이때, 상기 성분만으로는 6가 크롬(크롬산)을 완전하게 3가로 환원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환원제를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과적인 환원제로서 환원효율, 마무리된 외관 혹은 피막의 악영향 등을 고려하여 다가 알코올계 환원제를 사용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계 환원제로는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환원제의 함량은 크롬산을 완전히 환원하려면 함유 크롬산 양에 대해 10% 이상에 상당하는 양의 첨가가 필요하다. 크롬산에 대해 10% 이상의 첨가량으로는 환원이 불충분 하게되고, 기대하는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과도한 첨가는 처리제의 안정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소부(燒付) 조건에 따라 피막중에 잔존해서 성능을 방해하는 인자도 된다. 또 불균일한 마무리외관을 초래하는 원인도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원제의 함량은 환원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 0.1∼1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중량%이다. 상기 환원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6가 크롬의 3가 크롬 환원이 어렵고 피막 특성 자체도 불충분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과다한 환원제가 피막중에 잔존되어 피막형성의 장해인자가 되고 형성피막의 성능을 해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처리제의 안정성과 환원된 3가 크롬을 포함하는 피막을 안정화와 물성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를 포함하며, 이러한 첨가제로는 보론화합물, 마그네슘화합물, 실리콘화합물, 인화합물, 칼슘화합물 및 망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 종 이상 선택하여 이들을 병용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화합물은 크롬산용액 등의 안정성과 소부(燒付) 후의 형성피막을 한층 강화하고 안정된 내식막을 형성한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크롬(3가)의 안정화와 동시에 함유될 수 있는 마그네슘 화합물, 칼슘 화합물과 안정된 비정질 피막을 형성하고, 내식성, 표면외관 및 내지문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보론화합물은 함께 함유될 수 있는 실리콘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칼슘 화합물과 안정된 비정질 피막을 형성하고, 내식성 표면외관 및 내지문성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망간 화합물은 미소량 첨가하여 내식성 향상과 밀착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0.5 내지 25 중량%로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20 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처리제의 안정성이 나쁘고, 액의 장시간 사용과 연속해서 행해지는 코팅작업에 지장을 일으킨다. 또한 피막의 안정성과 광택도 등 피막특성도 현저하지 않다. 그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이들 화합물의 상대비율의 높이로부터 오히려 피막 성능저하를 초래하고, 내식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은 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이용한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을 처리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기재의 조성물을 고형분 농도 10∼70 중량%로 강판에 코팅하고 건조하여 수지피막을 형성하여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을 처리한다.
도 1에서 용액 저장팬에 저장된 유, 무기 코팅용액(1)을 픽업하는 용액 픽업롤(2)의 직경은 200∼220¢이고 재질은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조절롤(3)의 직경은 240∼260¢이고 재질은 스틸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도포롤(4)의 직경은 390∼420¢이고 재질은 고무로 원통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픽업롤(2), 두께조절롤(3), 용액도포롤(4)의 회전방향은 1/4역방향 코팅방향으로 설정하고, 라인스피드는 250∼300 MPM으로 운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액저장팬 내 유, 무기 코팅용액은 상기한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사용한다. 인입 스 트립의 온도는 28∼4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총고형분 농도가 10∼70 중량%인 것을 사용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55 중량%이다.
상기 고형분은 피막의 특성에 직접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코팅 작업성에 대한 효율의 문제와 보다 완전한 피막형성을 위한 인자로 작용하므로,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분 농도가 10 중량% 미만이면 5 ㎛의 막두께에 대응하기 어렵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0.1 ㎛와 같은 박막을 균일하게 코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표면처리제 조성물은 롤 코팅작업성 및 피막특성을 위해 비중 1.23∼1.26, 점도 13∼14 cps, 온도 24∼34 ℃의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방법은 스프레이 코트(Spray Coat), 딥 코트(Dip Coat) 또는 롤 코터(Roll Coater)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막을 형성하는 소부처리 온도는 350∼700 ℃의 가열로에서 5∼60초간 가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부(燒付)온도와 시간은 피처리 금속판의 판두께에 따라 대응된다. 이 경우 도달 판 온도는 25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로의 온도가 350℃ 미만이면 도달판 온도의 확보와 그에 따른 성막성(成膜性)에 문제를 일으킬 수가 있고, 700 ℃를 초과하면 함유수분이 한꺼번에 증발될 염려가 있어 피막이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피막에 결함이 생기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온도구배를 부여한 로에 따라 2단 처리 할수도 있으며, 방법 적으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냉간압연 강판은 유기피복강판, 전기강판, 아연도금강판, 합금도금강판을 포함한다. 상기 강판은 표면처리 전에 알카리 탈지 등으로 청정ㆍ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강판은 상기한 크롬산계 표면처리제를 도포하고 소부(燒付) 건조후 피막두께가 0.1∼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후 피막두께가 0.1 ㎛미만이면 절연성, 내식성이 불충분하며, 내지문성 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또한, 피막두께가 5 ㎛를 초과하면 균일피막 형성에 문제가 있고, 피막결함 등을 조장하고, 밀착성에도 나쁜 영향이 나타난다. 또한 피막크랙이 생겨 내식성도 포화 상태가 되고, 효율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4 및 비교예 1∼9]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24 및 비교예 1 내지 9의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두께 0.8 mm의 냉간압연 강판(유기피복강판, 전기강판, 아연도금강판)을 준비하였다. 상기 강판은 실리케이트계 알카리 탈지제로 탈지처리(농도 20g/L, 온도 60 ℃에서 30초간 스프레이)한 후, 수도물로 세정하고 그 위에 순수로 표면치 환한 다음, 롤 스퀴징을 해서 50℃의 온풍으로 건조하여 청정한 강판을 얻었다.
이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표면처리제 조성물을 강판표면에 0.5 mm 피치의 홈붙이 롤을 이용해서 코팅하고, 로내온도 350 ℃로 40초간(비교예의 경우 300 ℃ × 40초) 열풍건조 소부를 행하여 수지피막이 형성된 표면처리 강판을 제조하였다. 이때의 최고도달 강판온도는 250 ℃였다. 피막양은 표면처리제 조성물의 농도 및 닙압을 변화시켜 조절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막두께는 1.1 ㎛이고, 실시예 5-8의 경우 막두께는 1.0 ㎛이고, 실시예 9-24는 막두께가 0.9 ㎛이었다. 또한, 비교예 1-9의 경우 막두께는 1.0 ㎛이었다.
상기 강판에 대하여 다음 방법으로 성능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1. 피막외관: 코팅ㆍ소부 후의 투명성, 탁함 등의 외관을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판정기준 - ⊙; 아주투명 ○; 투명 △; 조금탁함 × ; 탁함
2. 광택도 : 코팅ㆍ소부후 피막의 광택 및 표면상태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판정기준 - ⊙; 아주 매끄럽고 광택이 있음, ○; 매끄럽고 광택이 있음
△; 조금 광택이 떨어짐, ×; 거친면
3. 환원성: 코팅ㆍ소부 후의 강판을 수도물에 상온에서 24시간 침전시켜 피막의 용해성을 조사하고, 양호한 것에 대해 6가 크롬의 분석을 실시해서 잔존에 대해 확인했다.
판정기준 - ○; 불용해, △; 조금용해, ×; 완전히 용해
4. 내지문성: 시험재 코팅면에 직접 실제의 지문을 찍어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판정기준 - ○; 지문 보이지 않음, △; 조금 보임, ×; 지문 보임
5. 밀착성: 바둑판눈 시험(1mm간격)을 행하고 테이핑에 의한 판정을 하였다.
판정기준- ⊙; 100/100<, ○; 70/100<, △; 30/100∼50/100, ×; 30/100
6. 절연성: 300 psi 압력하에서 입력 0.5V, 1.0A의 전류를 통하였을 때의 수납전류값(Amps.)으로 평가하되 0.10∼0.13 Amps이면(우수), 0.14∼0.50 Amps이면 (양호), 0.50∼0.90 Amps이면 (열등)으로 처리함.
7. 스폿트 테스트 : 시험재 코팅면에 수돗물과 5% NaCl 수를 각각 2mℓ씩 떨어트려 이것을 증발방지용의 커버로 덮고, 24시간 후에 부식 상황을 관찰했다.
판정기준- ⊙; 녹발생 없음 ○; 녹발생<20%
△; 녹20%∼50% 발생 ×; 녹50%<.
CrO3 에멀젼 수지 환원제 첨가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실시예 1 1.0 35.0 0.3 0.7 0.1 0.2
2 1.0 35.0 0.3 0.7 0.1 0.2
3 1.0 35.0 0.3 0.7 0.1 0.2
4 1.0 35.0 0.3 0.7 0.1 0.2
6 5.0 20.0 1.4 7.0 0.6 0.3
7 5.0 20.0 1.4 7.0 0.6 0.3
8 5.0 20.0 1.4 7.0 0.6 0.3
9 10.0 14.0 2.5 10.0 0.8 3.0
10 10.0 14.0 2.5 10.0 0.8 1.0 2.0
11 10.0 14.0 2.5 10.0 0.8 3.0
12 10.0 14.0 2.5 10.0 0.8 1.0 2.0
13 10.0 14.0 2.5 10.0 0.8 3.0
14 10.0 14.0 2.5 10.0 0.8 1.0 2.0
15 10.0 14.0 2.5 10.0 0.8 1.0
16 10.0 14.0 2.5 10.0 0.8 2.0 1.0
17 20.0 9.0 6.0 12.0 1.0 2.0 1.0 0.8
18 20.0 9.0 6.0 12.0 1.0 2.0 1.0 0.8
19 20.0 9.0 6.0 12.0 1.0 2.0 2.0 0.8
20 20.0 9.0 6.0 12.0 1.0 1.0 2.0 0.8
21 30.0 5.0 7.5 13.0 1.0 2.0 2.0
23 30.0 5.0 7.5 13.0 1.0 2.0 1.0 1.0
24 30.0 5.0 7.5 13.0 1.0 2.0 1.0 1.0
비교예 1 0.8 35.0 0.3 0.7 0.1 0.2
2 5.0 20.0 0.0 7.0 0.6 0.3
4 10.0 14.0 2.5
5 10.0 14.0 0.09 10.0 0.8 3.0
6 10.0 14.0 11.0 10.0 0.8 3.0
7 30.0 2.0 7.5 13.0 1.0 2.0 2.0
9 30.0 5.0 7.5
(주) 상기 표 1에서,
(1)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분자량 100 만 이상, (2)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분자량 50 내지 100만, (2) 우레탄 수지: 수만, (4) 에폭시 수지: 수천, (5) 글리세린, (6) 디에틸렌글리콜, (7) 트리에틸렌 글리콜, (8) H3PO4, (9) H3BO 4, (10) MgO, (11) MgCO3, (12) CaO, (13) MnCO3, (14) SiO2
피막외관
(육안)
절연성
(Amps)
광택도
(육안)
환원성 내지문성
(실지문)
밀착성
(바둑판눈)
스폿트 테스트
수돗물 5% NaCl 수


1
2
3
4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3
24
비교예 1
2 × × × ×
4
5
6
7
9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4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9에 비해 모든 성능 시험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 무기 크롬산계 표면처리제 조성물에 환원제로서 다가 알코올을 적정 범위로 포함하여, 강판 표면에 6가 크롬이 모두 환원된 안전성이 높은 3가 크롬을 포함하는 유,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피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간압연 강판의 절연성, 내식성, 밀착성, 광택도, 표면외관 및 내지문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a) 크롬산 1∼30 중량%,
    b) pH 3 이하로 유지되는 에멀젼 수지 5∼35 중량%(고형분 함량),
    c)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다가 알코올계 환원제 0.1∼10 중량%, 및
    d) H3PO4, H3BO4, MgO, MgCO3, CaO, MnCO3 및 Si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 0.5∼25 중량%
    를 포함하는 비중 1.23∼1.26, 점도 13∼14 cps, 온도 24∼34 ℃의 표면광택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수지는 아크릴 수지, 아크릴 공중합 수지, 아크릴스티렌 수지, 아크릴 아마이드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H3PO4, H3BO4 및 MgCO3;
    H3PO4, H3BO4, MgO 및 MgCO3;
    H3PO4, H3BO4 및 SiO2;
    H3PO4, H3BO4, MgCO3 및 SiO2;
    H3PO4, H3BO4, MgO, MgCO3 및 CaO;
    H3PO4, H3BO4, MgO, MgCO3 및 MnCO3;
    H3PO4, H3BO4, MgO, MgCO3, CaO 및 MnCO3; 또는
    H3PO4, H3BO4, MgO, MgCO3, CaO 및 SiO2;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1항 기재의 조성물을 고형분 농도 10∼70 중량%로 강판에 코팅하고 건조하여 수지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방법은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또는 롤 코팅(RollCoating)인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후 수지피막의 두께는 0.1∼5.0 ㎛인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350∼700 ℃의 가열로에서 5∼60초간 가열처리하여 실시되는 것인 방법.
KR1020030088034A 2003-12-05 2003-12-05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표면처리 방법 KR101043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034A KR101043077B1 (ko) 2003-12-05 2003-12-05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표면처리 방법
CNA2004100300638A CN1624195A (zh) 2003-12-05 2004-03-18 冷轧钢板的表面处理剂组合物及其表面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034A KR101043077B1 (ko) 2003-12-05 2003-12-05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표면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640A KR20050054640A (ko) 2005-06-10
KR101043077B1 true KR101043077B1 (ko) 2011-06-21

Family

ID=3479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034A KR101043077B1 (ko) 2003-12-05 2003-12-05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표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3077B1 (ko)
CN (1) CN16241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8663B (zh) * 2010-06-07 2014-01-01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耐候钢用表面稳定处理剂
CN101857754A (zh) * 2010-06-23 2010-10-13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综合性能优良的电工钢绝缘涂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484A (ja) * 1999-01-12 2000-07-25 Sumitomo Metal Ind Ltd 絶縁皮膜形成用処理液と絶縁皮膜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484A (ja) * 1999-01-12 2000-07-25 Sumitomo Metal Ind Ltd 絶縁皮膜形成用処理液と絶縁皮膜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4195A (zh) 2005-06-08
KR20050054640A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7305B2 (ja) リン酸基及び/又はホスホン酸基を含有するコポリマーを用いて金属表面を不動態化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製剤
US11634819B2 (en) Solution composition for steel sheet surface treatment, zinc-based plated steel sheet surface-treated with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607969B2 (ja) 金属材料用表面処理剤、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金属材料
KR100971645B1 (ko) 금속 재료용 수계 표면 처리제 및 표면 피복 금속 재료
EP2625311B1 (de) Verfahren zum passivieren einer metallischen oberfläche
KR100928798B1 (ko) 향상된 내알칼리성과 가공성을 갖는 크롬 프리 수지 용액조성물, 이를 이용한 강판의 표면처리 방법 및 표면처리된 강판
TWI616498B (zh) 塗裝鋼板用基底處理組成物、以及經基底處理之鍍敷鋼板及其製造方法、塗裝鍍敷鋼板及其製造方法
EP3730672B1 (en) Surface treatment solution composition for ternary hot-dip zinc alloy-plated steel sheet, provid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blackening resistance, ternary hot-dip zinc alloy-plated steel sheet surface-treated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RU2687326C1 (ru) Раствор для поверхност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крытого стального листа под горячее прессование
KR20080015770A (ko) 산 기를 가지는 중합체에 의한 금속성 표면의 부동화 방법
MX2007012675A (es) Proceso para el revestimiento de componentes metalicos con una composicion organica acuosa.
KR102314431B1 (ko)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65211A (ja) プライマー兼用水系塗装下地処理剤、表面処理金属材料及びプレコート金属材料
WO2015080268A1 (ja) 亜鉛-アルミニウム-マグネシウム合金めっき鋼板の表面処理方法
JP4970773B2 (ja) 金属表面処理剤、金属材の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金属材
JP2007002330A (ja) 亜鉛もしくは亜鉛合金めっき鋼板用表面処理剤及び表面処理亜鉛もしくは亜鉛合金めっき鋼板
JPS6039169A (ja) 親水性金属表面処理剤
KR20110054009A (ko) 아연 또는 아연 합금 표면의 흑색화 화성 처리용 수용액과 그 처리용 수용액을 이용하는 흑색화 방청 피막 형성 방법
EP0565346B1 (en) Phosphating treatment for metal substrates
KR101043077B1 (ko) 냉간압연 강판의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표면처리 방법
JP2007182634A (ja) 金属表面処理剤、金属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金属材料
JP7060178B1 (ja) 有機樹脂被覆用表面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有機樹脂被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I586835B (zh) 用於金屬表面處理之水性組成物、表面處理方法、保護膜及表面處理鍍鋅鋼板
JPH04235287A (ja) 電磁鋼板の絶縁被膜形成方法
CN109913782A (zh) 一种用于镀锡钢板的软熔助剂及镀锡钢板表面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