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481B1 -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481B1
KR101041481B1 KR1020097007286A KR20097007286A KR101041481B1 KR 101041481 B1 KR101041481 B1 KR 101041481B1 KR 1020097007286 A KR1020097007286 A KR 1020097007286A KR 20097007286 A KR20097007286 A KR 20097007286A KR 101041481 B1 KR101041481 B1 KR 10104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xial direction
adjuster
holder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943A (ko
Inventor
히로유키 시가
Original Assignee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1Roller driving means with frictional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3Roller driving means comprising free-whee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4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all rollers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는 컨베이어 프레임(10, 10') 상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이고, 소정의 축선(A)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원통부(111)를 가지며 회전구동되는 회전체(110), 원통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그 외주면(121)에 피반송물을 담지하는 롤러(120), 롤러의 양측면을 각각 사이에 두고 압압가능하게 배치되고 원통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140, 150),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롤러를 사이에 두고 압압하는 압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된 압압조정기구(160, 170, 180, 190)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구조의 간소화, 소형화, 런닝 코스트 혹은 메인티넌스 코스트의 저감 등을 달성할 수 있고, 간단한 작업으로 범용성이 있고, 그외에도 롤러 상호간에 반송력에서 불균일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롤러의 반송력(회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컨베이어 프레임, 롤러 유닛, 반송력, 불균일, 마찰력, 스러스트 플레이트, 압압력, 압축 스프링, 스프링 홀더, 규제 홀더, 어져스터, 볼트, 부시, 수용홈, 오목부

Description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ROLLER UNIT AND CONVEYOR DEVICE}
본 발명은 피반송물이 미치는 부하가 롤러의 반송력보다 큰 경우에 롤러의 회전이 정지하고, 피반송물이 미치는 부하가 반송력보다 작은 경우에 롤러가 회전하여 피반송물을 반송하도록 형성된 마찰력을 이용한 롤러 유닛 및 이 롤러 유닛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 반송력(마찰력)을 임의로 조정가능한 롤러 유닛 및 이 롤러 유닛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로는 피반송물의 중량 등에 따라서 최적의 반송력으로 반송하기 위해, 양단에 프레임 부착부를 가진 샤프트, 샤프트의 일단측의 프레임 부착부보다 내측 위치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스러스트 베어링, 샤프트의 타단측의 프레임 부착부보다 내측 위치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스토퍼, 스러스트 베어링과 스토퍼의 사이에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및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샤프트에 지지된 롤러체, 스러스트 베어링과 롤러체의 사이에 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스프로켓, 롤러체와 스프로켓의 사이에서 스프로켓의 회전구동력을 롤러체에 마찰전달하는 마찰전달수단, 스토퍼와 롤러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롤러체를 스프로켓을 향하여 압압(押壓)하는 압압수단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압압수단은 롤러체에 접촉하는 제 1의 압압체, 제 1의 압압체에 대향하도록 스토퍼의 내측에 배치된 제 2의 압압체, 제 1의 압압체와 제 2의 압압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를 이격시키도록 부세하는 탄성체, 제 2의 압압체를 스토퍼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정너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컨베이어 장치로서는 양단에 프레임 부착부를 가진 메인 샤프트, 프레임 부착부보다 내측 위치에서 메인 샤프트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체결된 2개의 고정너트, 일방의 고정너트보다 내측에 배치된 스냅링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됨과 함께 메인 샤프트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원통형의 체인샤프트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스프로켓, 체인샤프트의 외주에 플랜지붙이 부시를 거쳐서 끼워넣어진 롤러, 부시의 플랜지와 협동하여 롤러의 측면을 사이에 두도록 당접하여 배치된 플레이트 와셔, 플레이트 와셔에 당접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플레이트 와셔를 롤러의 측면으로 누르도록 스러스트 베어링을 부세하는 스프링, 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정하기 위해 타방의 고정너트보다 내측에서 메인 샤프트에 나사체결된 조정너트 등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컨베이어 장치에서는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롤러체의 외측에 제 1의 압압체, 탄성체, 제 2의 압압체, 제 2의 압압체의 숫나사에 나사체결된 조정너트, 스토퍼 등을 배열하고,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스페너 등의 공구를 접근시켜서 연결하여 조정너트를 회전시켜서, 제 2의 압압체를 제 1의 압압체에 누르도록 하는 것에 의해, 롤러체의 회전력(즉 반송력)을 조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컨베이어 장치에서는 메인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롤러 및 스프로켓(체인 샤프트)의 외측에, 스러스트 베어링, 스프링, 조정너트 등을 배열하고, 메인 샤프트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스페너 등의 공구를 접근시켜서 연결하고 조정너트를 적절히 회전시켜서, 플레이트 와셔와 부시의 플랜지가 롤러를 사이에서 지지하는 협지력(마찰력), 즉 롤러의 회전력(반송력)을 조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혹은 메인 샤프트)의 축방향의 치수가 길어지고, 축방향에서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며, 또한, 조정너트를 이용한 나사식에 의해 회전력(반송력)의 조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롤러체(혹은 롤러)를 각각 조정할 때에 조정너트의 체결량이 균일하지 않으면, 복수의 롤러체(혹은 롤러) 상호간에서 회전력(반송력)에 불균일함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불균일함을 억제하기 위해 토크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공구는 고가이고, 런닝 코스트, 메인티넌스 코스트의 증가 등을 초래한다. 더우기,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한 조정작업에서는, 조정너트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스패너를 일단 빼내고, 다시금 조정너트에 끼워넣어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필요가 있어서, 조정작업이 번잡하여, 그 때문에 조정작업에 시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 10-310219 호 공보
특허문헌 2 : 미국 특허 제 4,993,541 호 명세서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구조의 간소화, 소형화, 런닝 코스트 혹은 메인티넌스 코스트의 저감 등을 도모하면서, 범용성이 있고, 그 외에도 롤러 상호간에서 반송력에 불균일함을 일으키는 일 없이 간단한 작업으로 롤러의 반송력(회전력)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회전구동되는 회전체와 롤러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따른 조정력을 보조하도록 적절한 반송력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롤러 상호간에 의도적으로 반송력을 변화시킬 수가 있는 롤러 유닛 및 이 롤러 유닛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롤러 유닛은 컨베이어 프레임 상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롤러식의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롤러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축선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원통부를 가지고 회전구동되는 회전체와, 원통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그 외주면에서 피반송물을 담지(擔持)하는 롤러와 롤러의 양단면을 각각 사이에 두고 압압가능하게 배치되어 원통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롤러를 사이에 두고 압압하는 압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된 압압조정기구를 포함한다.
이 기구에 따르면, 회전체의 원통부에 외부에서 끼워진 롤러는 원통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에 의해 압압되고, 그 압압력이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된 압압조정기구에 의해 조정된다. 그리고, 압압조정기구에 의해, 그 압압력(마찰력)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으로, 피반송물이 미치는 부하레벨에 따라서, 롤러가 회전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로부터 롤러가 정지하여 반송을 정지하고 회전체만이 공회전하는 상태로 절환하는 반송력의 레벨을 적절히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압압력 조정기구는 회전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에 롤러가 지지(외부에 끼워짐)되는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의 축선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하고, 롤러 유닛의 폭의 협소화,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롤러 유닛에서, 압압조정기구는 축선방향으로 압축가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과 압축 스프링의 일단을 당접시켜서 수용하는 수용부 및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에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당접하는 당접편을 가지는 스프링 홀더와, 축선방향에서 압축 스프링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원통부의 내측에 고정된 규제 홀더와 압축 스프링과 규제 홀더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어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의 회전조작에 의해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정하는 어져스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압압조정기구가 압축 스프링, 압축 스프링의 일단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당접편을 가진 스프링 홀더, 규제 홀더, 및 어져스터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 부품의 집약화에 따른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에 당접편을 당접시켜서, 수용부에 일단을 착좌시키도록 하여 스프링 홀더에 압축 스프링을 삽입하고, 압축 스프링의 타단을 압압하도록 어져스터를 장착하고, 그 외측으로부터 규제 홀더를 장착하여 원통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압압조정기구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어져스터를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적절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정하여, 당접편을 거쳐서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롤러의 측면을 압압하는 압압력(즉, 롤러의 반송력)을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정작업에 동반하는 메인티넌스 코스트 혹은 런닝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롤러 유닛에서, 어져스터는 규제 홀더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에 따라서,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다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어져스터를 규제 홀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다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단순한 나사체결과 같은 경우에 비하여, 소망의 압축량(반송력)으로 용이하고도 고정밀도로, 나아가 복수의 롤러 사이에서 불균일함을 일으키는 일 없이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져스터가 그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축선방향의 높이가 상이한 복수의 단차부에 의해 그 축선방향의 위치가 규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구조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라도 단차에 따른 압축량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롤러 유닛에서, 당접편은 축선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또한 원주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에는,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복수의 당접편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홈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당접편이 균등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원주방향에서 균일하게 압압할 수 있고, 또한, 당접편을 수용홈에 끼워넣는 것으로 스프링 홀더와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축선방향에서 부품의 집약화를 행할 수 있고, 축선방향의 치수를 더욱더 작게 하여, 롤러 유닛의 폭의 협소화,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롤러 유닛에서, 회전체에는 축선방향으로 암나사가 설치되고, 규제 홀더에는 암나사에 나사체결되는 볼트의 머리부 및 축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어져스터에는 볼트의 축부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스프링 홀더의 수용부에는 볼트의 적어도 축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볼트를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하여, 그 머리부를 어져스터에 당접시키면서 축부의 숫나사를 회전체의 암나사에 돌려넣는 것에 의해 어져스터의 회전에 따른 조정범위를 넘어서 압축 스프링을 더욱 더 압축하고, 롤러와 회전체의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생기지 않도록 롤러를 회전체에 강제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롤러 유닛에서, 어져스터는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조정용의 공구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연결공과 연결공보다 축선방향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볼트의 축부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가지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롤러를 회전체에 강제적으로 고정하는 볼트를 강제적으로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미리 조립한 채로, 고정용의 공구(의 선단)를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접근시켜서 어져스터의 연결공에 삽입하여 연결하고, 그 공구를 적절히 회전 혹은 소정 길이만큼 눌러넣어 회전시켜서, 그 후 빼내는 것으로 어져스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스패너를 이용하여 조정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고를 줄이고, 조정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롤러를 강제적으로 회전체에 고정하는 경우는, 돌려넣기용의 범용적인 공구를 사용하여 미리 조립된 볼트를 돌려넣는 것으로 롤러의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롤러 유닛에서, 회전체의 원통부와 롤러의 사이에는 롤러와 일체적을 회전함과 함께 회전체의 회전력을 마찰력에 의해 전달하는 원통형의 부시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롤러는 회전체의 외주면과 부시의 내주면 사이에서 발생하며 피반송물의 하중에도 의존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구동되어 반송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압압조정기구에 의해 롤러의 측면에서의 마찰력이 적절히 조정되는 것으로, 부시에 따른 반송력을 보조하여 보다 큰 반송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는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과,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을 따라서 각각 배열된 복수의 롤러 유닛과, 복수의 롤러 유닛의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미치는 구동원과, 구동원의 구동력을 복수의 롤러 유닛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고, 롤러 유닛은 소정의 축선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원통부를 가지고 회전구동되는 회전체와, 원통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그 외주면에서 피반송물을 담지하는 롤러와, 롤러의 양측면을 각각 사이에 두고 압압가능하게 배치되고 원통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롤러를 사이에 두고 압압하는 압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된 압압조정기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에 대하여 복수의 롤러 유닛이 배열되어, 구동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롤러 유닛이 회전구동되면, 동력전달부재를 거쳐서 다른 복수의 롤러 유닛에 회전구동력이 전달되고, 롤러 상에 담지된 피반송물은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을 따라서 반송되게 된다.
여기서, 회전체의 원통부에 지지(외부에 끼워짐)된 롤러는 원통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에 의해 압압되고, 그 압압력이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된 압압조정기구에 의해 조정된다. 그리고, 압압조정기구에 의해, 그 압압력(마찰력)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으로, 피반송물로부터 가해진 부하 레벨에 따라서, 롤러가 회전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로부터 롤러가 정지하여 반송을 정지하고 회전체만이 공회전하는 상태로 절환되는 반송력의 레벨을 적절히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압압력조정기구는 회전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에 롤러가 지지(외부에 끼워짐)되는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의 축선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컨베이어 장치의 폭의 협소화,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컨베이어 장치에서, 복수의 롤러 유닛을 소정 개수만큼 나누어 조립하는 유닛 프레임을 가지고, 이 유닛 프레임이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을 따라서 배열되어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롤러 유닛이 소정 개수씩 유닛 프레임에 조립되어 미리 모듈화되기 때문에, 이 모듈화된 유닛 프레임을 컨베이어 프레임에 배열하여 장착하는 것으로 컨베이어 장치를 조립할 수 있어서, 전체로서의 장치의 조립작업의 용이화, 간소화, 조립의 고정밀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컨베이어 장치에서, 압압조정기구는 축선방향으로 압축가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과, 압축 스프링의 일단을 당접시켜서 수용하는 수용부 및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으로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당접하는 당접편을 가지는 스프링 홀더와, 축선방향에서 압축 스프링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원통부의 내측에 고정된 규제 홀더와, 압축 스프링과 규제 홀더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어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의 회전조작에 의해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정하는 어져스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압압조정기구가 압축 스프링, 압축 스프링의 일단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당접편을 가지는 스프링 홀더, 규제 홀더, 및 어져스터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 부품의 집약화,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가 있다.
또한,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에 당접편을 당접시켜서, 수용부에 일단을 착좌시키도록 하여 스프링 홀더에 압축 스프링을 삽입하고, 압축 스프링의 타단을 압압하도록 어져스터를 장착하고, 그 외측으로부터 규제 홀더를 장착하여 원통부에 고정하는 것으로, 압압조정기구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어져스터를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적절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정하여, 당접편을 거쳐서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롤러의 측면을 압압하는 압압력(즉, 롤러의 반송력)을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정작업에 동반하는 메인티넌스 코스트 혹은 런닝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컨베이어 장치에서, 어져스터는 규제 홀더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에 따라서,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다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어져스터를 규제 홀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다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단순한 나사체결과 같은 경우에 비하여, 소망의 압축량(반송력)으로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더우기 복수의 롤러 사이에서의 불균일함을 일으키는 일 없이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어져스터가 그 회전각도에 따라서 축선방향의 높이가 상이한 복수의 단차부에 의해 그 축선방향의 위치가 규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구조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라도 단차에 따른 압축량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컨베이어 장치에서, 당접편은 축선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또한 원주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되고,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에는,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복수의 당접편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홈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당접편이 균등하게 복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러스트 플레이트에 원주방향에서 균일하게 압압할 수 있고, 또한, 당접편을 수용홈에 끼워넣는 것으로, 스프링 홀더와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축선방향에서 부품의 집약화를 행할 수 있고, 축선방향의 치수를 더욱 작게 하여, 장치의 폭의 협소화, 소형화를 달성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컨베이어 장치에서, 회전체에는 축선방향으로 암나사가 설치되고, 규제 홀더에는 암나사에 나사체결되는 볼트의 머리부 및 축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어져스터에는 볼트의 축부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스프링 홀더의 수용부에는 볼트의 적어도 축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볼트를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하여, 그 머리부를 어져스터에 당접시키면서 축부의 암나사를 회전체의 암나사에 돌려넣는 것에 의해, 어져스터의 회전에 따른 조정범위를 넘어서 압축 스프링을 더욱 더 압축하고, 롤러와 회전체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이 생기지 않도록 롤러를 회전체에 강제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컨베이어 장치에서, 어져스터는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조정용의 공구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연결공과, 연결공보다도 축선방향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볼트의 축부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가지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롤러를 회전체에 강제적으로 고정하는 볼트를 강제적으로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미리 조립한 채로, 조정용의 공구(의 선단)를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접근시켜서 어져스터의 연결공에 삽입하여 연결하고, 그 공구를 적절히 회전 혹은 소정 길이만큼 밀어넣어 회전시켜고, 그 후 빼내는 것으로 어져스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스패너를 사용하여 조정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고를 줄이고, 조정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롤러를 강제적으로 회전체에 고정하는 경우는 돌려넣기용의 범용적인 공구를 사용하여 미리 조립된 볼트를 돌려넣는 것만으로 롤러의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컨베이어 장치에서, 회전체의 원통부와 롤러의 사이에는, 롤러와 일체적으로 회전함과 함께 회전체의 회전력을 마찰력에 의해 전달하는 원통형의 부시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롤러는 회전체의 외주면과 부시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며 피반송물의 하중에도 의존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구동되어 반송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압압조정기구에 의해 롤러의 측면에서의 마찰력이 적절히 조정되는 것으로 부시에 따른 반송력을 보조하여 보다 큰 반송력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 구성을 이루는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에 따르면, 구조의 간소화, 소형화, 런닝 코스트 혹은 메인티넌스 코스트의 저감 등을 달성하면서, 범용성이 있고, 더우기 롤러 상호간에 반송력에 불균일함을 일으키는 일 없이 간단한 작업으로 롤러의 반송력(회전력)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회전구동되는 회전체와 롤러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따른 반송력을 보조하도록 적절히 반송력을 조정할 수 있고, 더우기, 롤러 상호간에 의도적으로 반송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롤러 유닛 및 롤러 유닛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을 모듈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을 모듈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회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 중의 E1-E1에서의 회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에 도시하는 회전체에 포함되는 원통부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롤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 중의 E2-E2에서의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마찰판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8A 중의 E3-E3에서의 마찰판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제 1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 중의 E4-E4에서의 제 1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 중의 E5-E5에서의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스프링 홀더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 중의 E6-E6에서의 스프링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규제 홀더를 도시하는 내측 정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 중의 E7-E7에서의 규제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규제 홀더를 도시하는 외측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규제 홀더의 구조를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어져스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어져스터를 도시하는 외측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어져스터를 조정하는 작업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어져스터를 볼트로 체결하는 작업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반송동작을 설명하는 동작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컨베이어 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P 팰릿(피반송물)
L 반송방향
T1 조정용 공구
T2 돌려넣기용(고정용) 공구
B 볼트
B1 축부
B2 머리부
10, 10' 한쌍의 컨베이어 프레임
11 베이스부
12 담지부
13 측벽부
14 커버부
15 하측 누름부재
16 상측 누름부재
17 가이드 부재
20 연결 프레임
30 다리부
40 스토퍼 기구
41 승강 액츄에이터
42 승강 로드
43 스토퍼 부재
50 구동원
60 연결 로드
70 무단체인(동력전달부재)
100 유닛 프레임
101 베어링
102 원형 개구부
103 사각형 개구부
104 조정공
105 덮개
U 롤러 유닛
110 스프로켓(회전체)
110a 치열
111 원통부
A 축선
111a 환형홈
111b 키 홀
112 부시
113 규제링
114 키 부재
115 슬릿
116 내주면
117 확경 내주면
117a 환형홈
118 규제링
119 암나사
120 롤러
121 내주면
122 외주면
123 측면
124 결합공
130 마찰판
131 돌기
140 제 1 스러스트 플레이트(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타방)
141 관통공
142 절흔부
143 당접면
144 압압면
150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
151 관통공
152 수용홈
153 당접면
154 압압면
160 압축 스프링(압압조정기구)
170 스프링 홀더(압압조정기구)
171 바닥을 가진 통형상부
172 바닥(수용부)
172a 관통공
173 당접편
180 규제 홀더(압압조정기구)
181 관통공
182 원통부
183 오목부
183a 제 1 오목부
183b 제 2 오목부
183c 제 3 오목부
183d 제 4 오목부
184 플랜지부
185 돌기
190, 190' 어져스터(압압조정기구)
191 관통공
192 연결공
192a' 통부
192b' 연결공
193 수용부
194 계합돌기
이하,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반송물로서의 팰릿(P)을 반송하는 반송방향(L)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10, 10'),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10, 10')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0), 연결 프레임(20)에 설치된 다리부(30), 연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팰릿(P)을 소정의 위치에 정류시키는 스토퍼 기구(40),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10, 10')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롤러 유닛(U), 하나의 롤러 유닛(U)에 구동력을 미치는 동력원(50), 일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에 설치된 롤러 유닛(U)과 타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에 설치된 롤러 유닛(U)을 연결하는 연결 로드(60), 일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에 배열된 복수의 롤러 유닛(U) 상호간 및 타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에 배열된 복수의 롤러 유닛(U) 상호간을 각각 연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로서의 2개의 무단체인(7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프레임(10, 1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가 공동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반송방향(L))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11), 3개의 롤러 유닛(U)을 조립한 후술하는 유닛 프레임(100)을 배열하여 담지하는 담지부(12), 측벽부(13), 후술하는 롤러 유닛(U)의 스프로켓(110)을 덮도록 측벽부(13)의 상단에 연 결된 커버부(14), 베이스부(11)에 설치되어 무단체인(70)의 흔들림을 하측으로부터 규제하는 하측 누름부재(15), 커버부(14)에 설치되어 무단체인(70)의 흔들림을 상측으로부터 규제하는 상측 누름부재(16), 커버부(14)의 상면에 설치되어 팰릿(P)을 반송방향(L)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7) 등을 구비하고 있다.
담지부(1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프레임(100)을 결합시켜서 위치결정하도록 반송방향(L)으로 연장됨과 함께 약 사각형의 오목형상의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14)는 담지부(12)에 결합하여 배열된 복수의 유닛 프레임(100)을 상측으로부터 눌러서, 컨베이어 프레임(10, 10')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 사각형의 평판형이고 또한 반송방향(L)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과 타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을 견고하게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방향(L)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연결 프레임(20)은 스토퍼 기구(40)를 지지하고 있다.
다리부(30)는 연결 프레임(20)의 하방으로부터 연직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30)의 하단에 차륜을 설치하여, 컨베이어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스토퍼 기구(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20)의 상면에 설치된 승강 액츄에이터(41), 승강구동되는 승강 로드(42), 승강 로드(42)의 상단에 설치되어 팰릿(P)의 절흔부(P1)에 당접할 수 있는 스토퍼부(4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 액츄에이터(41)로서는 유압 혹은 공기압 실린더, 모터 및 볼나사, 그 외의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스토퍼 부재(43)는 팰릿(P)의 절흔부(P1)에 인입되어 당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 기구(40)는 반송되는 팰릿(P)을 정류시키는 경우에는, 승강 액츄에이터(41)가 승강 로드(42)를 상승시켜서 스토퍼 부재(43)를 반송면(S)(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롤러(120)의 상단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한편, 팰릿(P)의 정류를 해제하여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경우는, 승강 액츄에이터(41)가 승강 로드(42)를 하강시켜서 스토퍼 부재(43)를 반송면(S)으로부터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구동원(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하나의 롤러 유닛(U)에 직결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원(50)으로서는, 회전축을 가지는 DC모터, AC모터, 그 외의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연결 로드(6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에 배치된 롤러 유닛(U)(의 후술하는 스프로켓(110))과 타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에 배치된 롤러 유닛(U)(의 후술하는 스프로켓(110))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무단체인(70)은 컨베이어 장치에 2개 설치되어 있고, 일방의 무단체인(70)은 일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에 배열된 복수의 롤러 유닛(U)을 연동시키도록 감겨지 고, 타방의 무단체인(70)은 타방의 컨베이어 프레임(10')에 배열된 복수의 롤러 유닛(U)을 연동시키도록 감겨져 있다.
유닛 프레임(100)은, 도 3,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분할로 형성되어, 3개의 롤러 유닛(U)을 조립한 후에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그 내측에 결합된 6개의 베어링(101), 후술하는 스프로켓(110)의 원통부(111)를 통과시키는 3개의 원형 개구부(102), 후술하는 롤러(120)를 노출시키는 6개(상측에 3개, 하측에 3개)의 사각형 개구부(103), 조정용의 공구를 통과시키는 3개의 조정구멍(104), 조정구멍(104)을 폐쇄하도록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 3개의 고무제 덮개(105)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유닛 프레임(10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롤러 유닛(U)이 일조로 조립되어 모듈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롤러 유닛(U)이 3개씩 유닛 프레임(100)에 조립되어 미리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모듈화된 유닛 프레임(100)을 컨베이어 프레임(10, 10')에 배열하여 장착하는 것으로 컨베이어 장치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로서의 장치의 조립작업의 용이화, 간소화, 조립의 고정밀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롤러 유닛(U)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축선(A)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부(111)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회전체로서의 스프로켓(110), 축선(A)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원통부(111)의 외주에 부시(112)를 거쳐서 외부에 결합된 롤러(120), 롤러(120)의 양측면에 밀착하여 조립된 마찰판(130), 각각의 마찰판(130)의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로서의 제 1 스러스트 플레 이트(140) 및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 원통부(111)의 내측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160), 압축 스프링(160)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스프링 홀더(170), 압축 스프링(160)보다도 축선방향(A)의 외측에 배치되어 원통부(111)에 고정된 규제 홀더(180), 압축 스프링(160)과 규제 홀더(180)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 어져스터(19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압축 스프링(160), 스프링 홀더(170), 규제 홀더(180), 어져스터(190)에 의해,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제 1 스러스트 플레이트(140) 및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가 롤러(120)를 사이에 두고 압압하는 압압력을 조정하는 압압조정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스프로켓(110)(원통부(111))의 축선방향(A)에서, 치열(110a)이 설치된 측을 내측, 그 반대측을 외측으로 하여 정의한다.
스프로켓(110)은, 도 5, 도 6A, 도 6B,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단체인(70)이 감겨지는 치열(110a), 베어링(101)에 의해 축선(A)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그 외주의 약 중앙영역에 부시(112)를 거쳐서 롤러(120)가 결합되는 원통부(111), 원통부(111)의 외주에 형성되어 각각 C형상의 규제링(113)이 삽입되는 2개의 환형홈(111a), 키 부재(114)가 결합되는 키 홈(111b),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 향하여 개구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3개의 슬릿(115), 원통부(111)의 내부 공동을 한정하는 내주면(116), 내주면(116) 보다도 확경된 확경 내주면(117), 확경 내주면(117)에 형성되어 C형상의 규제링(118)이 삽입되는 환형홈(117a), 축선방향(A)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암나사(11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롤러(120)는, 도 5,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로켓(110)의 원통부(111)의 외주에 부시(112)를 거쳐서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내주면(121), 팰릿(P)을 담지하는 외주면(122), 축선방향(A)에서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는 양측면(123), 양측면(123)에 형성된 2개의 결합공(12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부시(112)는 그 내주면과 원통부(11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재료를 이용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롤러(120)의 내주면(121)에 압입되어 있으며, 롤러(120)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120)는 팰릿(P)을 담지한 상태로 원통부(111)와 부시(112)의 사이에서 발생하며 팰릿(P)의 하중에도 의존하는 마찰력에 의해, 원통부(111)(스프로켓(110))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반송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마찰판(130)은, 도 5, 도 8A,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판으로 환형을 이룸과 함께 돌기(131)을 일체적으로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찰판(13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131)가 결합구멍(124)에 결합되어, 롤러(120)의 축선방향(A)의 내측의 측면(123) 및 축선방향(A)의 외측의 측면(123)에 밀착하여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스러스트 플레이트(140)는, 도 5, 도 9A,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111)의 외주로 관통되는 관통공(141), 키 부재(114)를 수용하도록 관통공(141)으로부터 직경방향 외향으로 형성된 절흔부(142), 원통부(111)의 축선방향(A) 내측의 환형홈(111a)에 삽입된 규제링(113)에 당접하는 환형의 당접면(143), 롤러(120)의 축선방향(A) 내측의 측면(123)에 접합된 마찰판(130)에 밀접하는 환형 의 압압면(14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스러스트 플레이트(140)는 원통부(111)에 대하여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당접면(143)이 규제링(113)에 당접하여 규제되는 위치까지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는, 도 5, 도 10A,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111)의 외주로 관통되는 관통공(151), 관통공(151)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프링 홀더(170)의 당접편(173)을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부터 수용하는 3개의 수용홈(152), 원통부(111)의 축선방향(A) 외측의 환형홈(111a)에 삽입된 규제링(113)에 당접하여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환형의 당접면(153), 롤러(120)의 축선방향(A) 외측의 측면(123)에 접합된 마찰판(130)에 밀접하는 환형의 압압면(15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는 원통부(111)에 대하여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압압면(154)이 마찰판(130)에 밀접하도록 배치되어, 당접면(153)이 그 후에 조립되는 규제링(113)에 당접하여 축선방향(A) 외향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160)은, 도 5, 도 11A,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방향(A)으로 압축가능하게 한 상태로 조립되는 코일 스프링이고, 그 일단이 후술하는 스프링 홀더(170)의 바닥을 가진 원통부(171)의 바닥(172)에 당접하고, 그 타단이 후술하는 어져스터(190)의 수용부(193)에 당접한 상태로, 원통부(111)의 내측에 삽입된 스프링 홀더(170)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홀더(170)는, 도 5, 도 11A,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111)의 내주면(116)에 결합되어 압축 스프링(160)을 수용하는 바닥을 가진 원통부(171), 압축 스프링(160)의 일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로서의 바닥(172), 바닥(172)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공(172a), 축선(A)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또한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3개의 당접편(173) 등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공(172a)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나사(119)에 나사결합하는 볼트(B)의 적어도 수나사가 형성된 축부(B1)를 통과시키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홀더(170)는 당접편(173)이 원통부(111)의 슬릿(115) 및 미리 조립된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의 수용홈(152)에 들어가도록 하여, 바닥을 가진 통형부(171)를 원통부(111)의 내주면(116)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원통부(11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조립된다.
여기서, 3개의 당접편(173)은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를 원주방향에서 균일하게 압압할 수 있고, 또한,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의 수용홈(152)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를 원통부(111)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과 함께 축선방향(A)에서 부품의 집약화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축선방향(A)의 치수를 작게 하여, 롤러 유닛(U)의 폭의 협소화,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규제 홀더(180)는, 도 5, 도 12A, 도 12B,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방향(A)으로 연장되는 원형의 관통공(181), 관통공(181)의 주위에 형성된 원통부(182), 원통부(182)의 외주면을 오목하게 함과 함께 축선방향(A)에서 계단형으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183)(제 1 오목부(183a), 제 2 오목부(183b), 제 3 오목부(183c), 제 4 오목부(183d)), 원통부(182)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통부(111)의 확경 내주면(117)에 결합되는 원형상의 플랜지부(184), 플랜지부(184)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원통부(111)의 슬릿(115)에 결합되는 3개의 돌기(185) 등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공(181)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로켓(110)의 암나사(119)에 나사결합하는 볼트(B)의 머리부(B2) 및 축부(B1)을 통과시킴과 함께, 조정용의 공구(T1) 및 돌려넣기용의 공구(T2)를 통과시키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183)는,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방향(A)의 내측에 배치되는 어져스터(190)의 후술하는 계합돌기(194)를 수용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도 12A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방향에서 30 도의 등간격으로 제 1 오목부(183a), 제 2 오목부(183b), 제 3 오목부(183c), 제 4 오목부(183d)를 1조의 오목부(183)로 하여, 3조의 오목부(183)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오목부(183a) ~ 제 4 오목부(183d)의 깊이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오목부(183a) > 제 2 오목부(183b) > 제 3 오목부(183c) > 제 4 오목부(183d)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 홀더(180)는 원통부(111)의 내측에 어져스터(190)가 조립된 후, 플랜지부(184)를 원통부(111)의 확경 내주면(117)에 결합시킴과 함께, 3개의 돌기(185)를 대응하는 슬릿(115)에 결합시키도록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부터 원통부(111)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외측으로부터 규제링(118)이 환형홈(117a)에 부착 되는 것으로, 축선(A) 주위의 회전이 규제되어 원통부(111)와 일체적으로 회전함과 함께 축선방향(A) 외향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어져스터(190)는, 도 5, 도 14A,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방향(A)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191), 관통공(191)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공구(T1)(도 15 참조)의 선단을 연결하는 내육각형상의 연결공(192), 압축 스프링(160)의 타단을 수용하는 환형의 수용부(193), 원주방향에 등간격(120도 간격)으로 규제 홀더(18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축선방향(A)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3개의 계합돌기(19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공(191)은 볼트(B)의 머리부(B2)를 통과시키지 않고, 축부(B1)만을 통과시키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계합돌기(194)는, 축선방향(A)에서, 규제 홀더(180)의 오목부(183)에 대하여 당접 및 이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져스터(190)는, 원통부(111)의 내측에 스프링 홀더(170)가 조립되어, 이어서 압축 스프링(160)이 조립된 후, 수용부(193)에서 압축 스프링(160)의 타단을 압입하여 압축하면서, 원통부(111)의 내주면(116)에 결합되어, 3개의 계합돌기(194)가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부터 조립된 규제 홀더(180)의 동일의 깊이를 이루는 3개의 오목부(183)(3개의 제 1 오목부(183a), 3개의 제 2 오목부(183b), 3개의 제 3 오목부(183c), 3개의 제 4 오목부(183d)의 어느것)에 계합하도록 세트된다.
이 상태에서, 어져스터(190)는 공구(T1)를 이용하여, 계합돌기(194)가 오목 홈(183)으로부터 이탈하는 거리만큼 압입되면, 축선(A) 주위로 적절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어져스터(190)와 규제 홀더(180)를 별도로 조립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어져스터(190)와 규제 홀더(180)를 위치를 맞추어 미리 조립하여 모듈화하고, 이 모듈화된 것을 원통부(111)의 내측에 삽입하여도 된다. 이 경우, 어져스터(190)의 계합돌기(194)와 규제 홀더(180)의 오목부(183)(제 1 오목부(183a))와의 위치맞추기를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롤러 유닛(U)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프레임(100) 및 컨베이어 장치를 조립한 상태에서, 구동원(50)이 회전구동력을 발생하면, 스프로켓(110)이 직접 또는 무단체인(70)을 거쳐서 회전구동된다.
또한, 롤러(120)가 팰릿(P)으로부터 받는 하중에 따라서, 스프로켓(110)의 원통부(111)의 외주면과 부시(11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 마찰력을 거쳐서 스프로켓(110)의 회전력이 롤러(120)에 전달되고, 롤러(120)가 회전하여 팰릿(P)을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스러스트 플레이트(140) 및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는 스프로켓(110)의 원통부(11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원통부(111)의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 홀더(170), 압축 스프링(160), 규제 홀더(180) 및 어져스터(190)도 스프로켓(110)의 원통부(11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120)에는 압축 스프링(160)의 부세력
Figure 112009021378947-pct00001
스프링 홀더(170)의 당접편(173)이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를 축선방향(A)의 내측으로 압압하는 압압력 및 제 1 스러스트 플레이트(140)가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 향하여 반작용에 의해 압압하는 압압력
Figure 112009021378947-pct00002
롤러(120)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양측면(123)에 접합된 2개의 마찰판(130)을 거쳐서 축선방향(A)의 양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압력이 작용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어져스터(190)의 계합돌기(194)가 규제 홀더(180)의 복수의 오목부(183)(제 1 오목부(183a), 제 2 오목부(183b), 제 3 오목부(183c), 제 4 오목부(183d))의 어느 것과 계합하고 있고, 그 계합위치에 따라서, 롤러(120)의 반송력(회전력)이 소정 레벨로 설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팰릿(P)으로부터 가해진 부하레벨이 소정레벨 이하의 경우는, 롤러(120)가 스프로켓(110)(원통부(11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팰릿(P)으로부터 가해진 부하레벨이 소정의 레벨을 넘는 경우는 롤러(120)가 정지하여 팰릿(P)의 반송을 정지하고, 스프로켓(110)(원통부(111))만이 공회전하는 상태로 절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시(112)와 원통부(111)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기한 반송력보다도 약간 큰 반송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어져스터(190)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그 필요로 하는 반송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팰릿(P)을 안정시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롤러(120)의 반송력(회전력)을 조정하는 조정작업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닛 프레임(100)의 조정구멍(104)을 폐쇄하는 덮개(105)를 빼내고, 선단이 6각형 형상을 이루는 조정용의 공구(T1)를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부터 접근시켜서, 유닛 프레임(100)의 조정구멍(104) 및 규제 홀더(180)의 관통공(181)을 통하여, 어져스터(190)의 연결공(192)에 연결한다.
그리고, 공구(T1)를 축선방향(A)의 내측으로 소정 스트로크만큼 눌러넣어, 계합돌기(184)를 오목부(183)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어서, 공구(T1)를 축선(A) 주위로 적절히 회전시켜서, 즉, 어져스터(190)를 적절히 회전시켜서, 계합돌기(184)를 계합시키는 소망의 오목부(183)에 대응시키고, 그 후 공구(T1)를 빼낸다.
그러면, 어져스터(190)는 압축 스프링(160)의 부세력에 의해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 눌려져서, 계합돌기(184)가 선택된 오목부(183)(제 1 오목부(183a), 제 2 오목부(183b), 제 3 오목부(183c), 제 4 오목부(183d)의 어느 것)로 들어가서 축선방향(A)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여기서, 공구(T1)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2개의 환형홈이 형성되어, 축선방향(A)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 목인(Ma, Mb, Mc, Md)를 한정하고 있다.
즉, 공구(T1)의 목인(Ma)이 유닛 프레임(100)의 외벽면과 면일(面一)하게 될 때, 제 1 오목부(183a)에 계합돌기(184)가 계합하는 상태로 어져스터(190)가 위치되어, 압축 스프링(160)의 압축대(壓縮代)가 가장 작아진다. 따라서, 롤러(120)를 압압하는 압압력은 가장 작아지고, 롤러(120)의 반송력(회전력)은 가장 작은 레벨로 설정된다.
공구(T1)의 목인(Mb)이 유닛 프레임(100)의 외벽면과 면일하게 될 때, 제 2 오목부(183b)에 계합돌기(184)가 계합하는 상태로 어져스터(190)가 위치되고, 압축 스프링(160)의 압축대는 상기의 경우보다도 소정량만큼 커지게 된다. 따라서, 롤러(120)를 압압하는 압압력은 소정량만큼 커지고, 롤러(120)의 반송력(회전력)도 소정량만큼 큰 레벨로 설정된다.
공구(T1)의 목인(Mc)이 유닛 프레임(100)의 외벽면과 면일하게 될 때, 제 3 오목부(183c)에 계합돌기(184)가 계합하는 상태로 어져스터(190)가 위치되고, 압축 스프링(160)의 압축대는 추가로 소정량만큼 커지게 된다. 따라서, 롤러(120)를 압압하는 압압력은 소정량만큼 커지고, 롤러(120)의 반송력(회전력)도 소정량만큼 큰 레벨로 설정된다.
공구(T1)의 목인(Md)이 유닛 프레임(100)의 외벽면과 면일하게 될 때, 제 4 오목부(183d)에 계합돌기(184)가 계합하는 상태로 어져스터(190)가 위치되고, 압축 스프링(160)의 압축대는 가장 크게 된다. 따라서, 롤러(120)를 압압하는 압압력은 가장 크게 되고, 롤러(120)의 반송력(회전력)은 가장 큰 레벨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압압조정기구가 압축 스프링(160), 스프링 홀더(170), 규제 홀더(180), 및 어져스터(190)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 부품의 집약화,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압압력조정기구는 롤러(120)가 지지되는 원통부(1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로켓(110)(원통부(111))의 축선방향(A)에서의 치수를 작게하여, 롤러 유닛(U)의 폭의 협소화,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압조정기구를 조립할 때에는,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에 당접편(173)을 당접시키고, 또한 바닥(172)에 일단을 착좌시키도록 하여, 스프링 홀더(170)에 압축 스프링(160)을 삽입하고, 압축 스프링(160)의 타단을 압압하도록 어져스터(190)를 장착하고, 그 외측으로부터 규제 홀더(180)를 장착하여 원통부(111)에 고정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어져스터(190)를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부터 적절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 스프링(160)의 압축량을 조정하여, 당접편(173)을 거쳐서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 및 제 1 스러스트 플레이트(140)가 롤러(120)의 양측면(123)을 압압하는 압압력(즉, 롤러(120)의 반송력)을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조정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조정작업에 수반하는 메인티넌스 코스트 혹은 런닝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어져스터(190)는 규제 홀더(180)와의 관계에서, 규제 홀더(180)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에 따라서, 압축 스프링(160)의 압축량을 다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져스터(190)를 규제 홀더(18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압축 스프링(160)의 압축량을 다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단순한 나사체결과 같은 경우에 비하여, 소망의 압축량(반송력)으로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나아가 복수의 롤러(120) 사이에서의 불균일함을 일으키는 일 없이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롤러(120)가 스프로켓(110)(원통부(11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강제적으로 고정하는 작업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유닛 프레임(110)의 조정구멍(104)을 폐쇄하는 덮개(105)를 벗겨낸다. 이어서, 고정용의 볼트(B)를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부터 접근시켜서, 그 축부(B1) 및 머리부(B2)를 조정구멍(104) 및 규제 홀더(180)의 관통공(181)에 삽통시켜서, 볼트(B)의 머리부(B2)를 어져스터(190)에 당접시키면서 볼트(B)의 축부(B1)만을 어져스터(190)의 관통공(191)에 삽통시키고, 돌려넣기용의 공구(T2)를 머리부(B2)에 연결하여 볼트(B)를 회전시키고, 축부(B1)의 선단영역에 형성된 수나사를 스프로켓(110)의 암나사(119)에 돌려넣는다.
그리고, 어져스터(190)의 계합돌기(194)가 규제 홀더(180)의 오목부(183)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볼트(B)를 돌려넣는다. 그러면, 어져스터(190)의 회전에 따른 조정범위를 넘어서 압축 스프링(160)이 더욱 더 압축되고, 롤러(120)와 스프로켓(110)(원통부(111))의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롤러(120)가 스프로켓(110)에 강제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반송동작 및 반송력의 조정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압압조정기구에 의해, 롤러 유닛(U)이 미리 소정의 반송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먼저, 팰릿(P)을 롤러(120) 상에 세트하고, 구동원(50)을 기동시켜서 복수의 롤러(120)를 회전시킨다(S1). 그리고, 팰릿(P)이 반송되는 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서, 롤러(120)에 따른 반송력이 약한 경우(혹은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발생하지 않지만, 롤러(120) 상호간에서 반송력에 불균일함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T1)를 이용하여 어져스터(190)를 적절히 회전시켜서 소망의 반송력 이 되도록 조정한다.
이 조정작업에 임해서는, 공구(T1)의 목인(Ma, Mb, Mc. Md)을 확인하면서 어져스터(190)를 소망의 각도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단시간에 또한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롤러(120) 사이에서 반송력에 불균일함이 생기지 않도록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팰릿(P)이 방송방향(L)의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스토퍼 기구(40)의 스토퍼 부재(43)에 당접하면, 팰릿(P)이 미치는 부하에 의해 팰릿(P)을 담지하고 있는 롤러(120)가 정지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 여기서, 롤러(120)의 회전이 멈추지 않는 경우에는, 반송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T1)를 사용하여 어져스터(190)를 적절히 회전시켜서, 소망의 반송력이 되도록 조정한다.
이와 같이, 팰릿(P)이 정류하는 경우에, 팰릿(P)을 담지하는 롤러(120)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팰릿(P)과 롤러(120)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때문에 마모분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스토퍼 기구(40)를 구동시켜서 스토퍼 부재(43)를 하강시키면, 정류하고 있던 팰릿(P)이 하류측으로 향하여 반송되기 시작한다(S3).
여기서, 팰릿(P)이 확실하게 반송되도록, 스토퍼 기구(40)의 하류측에 배열된 소정영역까지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120)의 반송력을 다른 롤러(120) 보다 일단 높게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필요한 개소에서만 상이한 반송력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T1)를 사용하여 어져스터(190)를 적절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여, 조정작업을 용이하게 단시간에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컨베이어 장치를 연결하여 배열하는 경우, 연결상태에 의해 연결부근의 롤러(120)의 반송력이 약간 상이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롤러(120) 상을 팰릿(P)이 이동하면, 반송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 영역에 배열된 롤러(120)의 반송력을 일단 높게 설정하는 것으로, 팰릿(P)을 안정시켜 원활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유닛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압압조정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어져스터를 변경한 이외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롤러 유닛(U)에서, 어져스터(190')는,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방향(A)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191), 볼트(B)의 머리부(B2)를 수용하는 통부(192a'), 통부(192a')의 축선방향(A)의 외측에서 관통공(191)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공구(T1)의 선단을 연결하는 내육각형상의 연결공(192b'), 압축 스프링(160)의 타단을 수용하는 환형의 수용부(193), 원주방향에 등간격(120도 간격)으로 규제 홀더(18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축선방향(A)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3개의 계합돌기(19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공(191)은 볼트(B)의 머리부(B2)를 통과시키지 않고, 축부(B1)만을 통과시키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통부(192a')는 볼트(B)의 머리부(B2)를 축선방향(A)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함과 함께 관통공(191)을 한정하는 바닥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관통공(191)을 연결공(192b')으로부터 축선방향(A)의 내측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시키고 있다. 즉, 관통공(191)은 연결공(192b')보다도 축선방향(A)의 내측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거리라는 것은 머리부(B2)가 통부(192a')의 바닥벽에 당접하지 않도록 볼트(B)(의 축부(B1))가 미리 암나사(119)에 나사결합하여 조립된 상태로, 조정을 위해 어져스터(190')가 축선방향(A)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만큼의 간격이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120)를 스프로켓(110)에 강제적으로 고정하는 볼트(B)를 강제적으로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미리 조립한 채로, 조정용의 공구(T1)(의 선단)를 축선방향(A)의 외측으로부터 접근시켜서 어져스터(190')의 연결공(192b')으로 삽입하여 연결하고, 그 공구(T1)를 적절히 회전 혹은 소정 길이만큼 압입하여 회전시키고, 그 후 빼내는 것만으로 어져스터(190')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롤러(120)를 강제적으로 스프로켓(110)에 고정하는 경우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려넣기용의 공구(T2)를 사용하여, 미리 조립된 볼트(B)를 더욱 더 돌려넣는 것으로, 롤러(120)의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작업에서, 볼트(B)를 조립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용이하 게 또한 간단하게 고정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통부(111)를 가지는 회전체로서 스프로켓(110), 복수의 롤러 유닛(U)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로서 무단체인(70)을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체로서 원통부를 가지는 풀리 및 동력전달부재로서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닛 프레임(100)에 대하여 3개의 롤러 유닛(U)을 조립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롤러 유닛(U) 또는 4개 이상의 롤러 유닛(U)을 조립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닛 프레임(100)을 채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롤러 유닛(U)을 직접 컨베이어 프레임(10, 10')에 조립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압압조정기구로서, 압축 스프링(160), 스프링 홀더(170), 규제 홀더(180), 및 어져스터(190, 190')를 채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회전체(스프로켓(110))에 원통부(111)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원통부(111)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그 외의 기구를 채용해도 되며, 또한, 스프링 홀더(170)로부터 당접편(173)을 연장시켜서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150)의 수용홈(173)에 계합시키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계적인 강성이 확보된다면, 제 2 스러스트 플레이트에 대하여 원통부(111)의 슬릿(115)을 통하여 내부로 들어가는 복수의 연출편을 설치하고, 이 복수의 연출편을 스프링 홀더의 일부로 압압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는 구조의 간소화, 소형화, 런닝 코스트 혹은 메인티넌스 코스트의 저감 등을 달성하면서, 롤러의 반송력(회전력)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 혹은 기계부품 등의 제조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들의 분야에 한하지 않고, 그 외의 부품, 제품 등을 취급하는 다른 분야에서도 유용하다.

Claims (15)

  1. 컨베이어 프레임 상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롤러식의 컨베이어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롤러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축선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원통부를 가지고 회전구동되는 회전체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그 외주면에서 피반송물을 담지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양단면을 각각 사이에 두고 압압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원통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상기 롤러를 사이에 두고 압압하는 압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된 압압조정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압압조정기구는 상기 축선방향으로 압축가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을 당접시켜서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에 상기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당접하는 당접편을 가지는 스프링 홀더와,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타단측에 당접되어 상기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정하는 어져스터를 포함하는 롤러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압조정기구는 상기 원통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어져스터에 계합되는 규제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어져스터는 상기 규제 홀더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에 따라서,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다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져스터는 상기 규제 홀더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계합돌기를 가지고,
    상기 규제 홀더는 상기 축선방향에서 계단형으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계합돌기와 계합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계합돌기와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의 계합위치에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의 압축량을 다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접편은 상기 축선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또한 원주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에는, 상기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당접편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축선방향으로 암나사가 설치되고,
    상기 규제 홀더에는 상기 암나사에 나사체결되는 볼트의 머리부 및 축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어져스터에는 상기 볼트의 축부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홀더의 수용부에는 상기 볼트의 적어도 축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져스터는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조정용의 공구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보다도 상기 축선방향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볼트의 축부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원통부와 상기 롤러의 사이에는 상기 롤러와 일체적을 회전함과 함께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마찰력에 의해 전달하는 원통형의 부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유닛.
  8.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을 따라서 각각 배열된 복수의 롤러 유닛과,
    상기 복수의 롤러 유닛의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미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의 롤러 유닛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 유닛은 소정의 축선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원통부를 가지고 회전구동되는 회전체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그 외주면에서 피반송물을 담지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양측면을 각각 사이에 두고 압압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원통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가 상기 롤러를 사이에 두고 압압하는 압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된 압압조정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압압조정기구는 상기 축선방향으로 압축가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을 당접시켜서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으로 상기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당접하는 당접편을 가지는 스프링 홀더와,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타단측에 당접되어 상기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정하는 어져스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 유닛을 소정 개수만큼 나누어 조립하는 유닛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유닛 프레임이 한 쌍의 컨베이어 프레임을 따라서 배열되어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압압조정기구는 상기 원통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어져스터에 계합되는 규제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어져스터는 상기 규제 홀더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각도에 따라서,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다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어져스터는 상기 규제 홀더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계합돌기를 가지고,
    상기 규제 홀더는 상기 축선방향에서 계단형으로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계합돌기와 계합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계합돌기와 상기 복수의 오목부와의 계합위치에 따라서, 상기 압축 스프링의 압축량을 다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당접편은 상기 축선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또한 원주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일방에는, 상기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당접편을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축선방향으로 암나사가 설치되고,
    상기 규제 홀더에는 상기 암나사에 나사체결되는 볼트의 머리부 및 축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어져스터에는 상기 볼트의 축부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홀더의 수용부에는 상기 볼트의 적어도 축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어져스터는 상기 축선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조정용의 공구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보다도 상기 축선방향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볼트의 축부만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원통부와 상기 롤러의 사이에는, 상기 롤러와 일체적으로 회전함과 함께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마찰력에 의해 전달하는 원통형의 부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KR1020097007286A 2007-06-14 2007-06-14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KR101041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1977 WO2008152718A1 (ja) 2007-06-14 2007-06-14 ローラユニット及びコンベ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943A KR20090086943A (ko) 2009-08-14
KR101041481B1 true KR101041481B1 (ko) 2011-06-16

Family

ID=4012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286A KR101041481B1 (ko) 2007-06-14 2007-06-14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92705B2 (ko)
JP (1) JP5091236B2 (ko)
KR (1) KR101041481B1 (ko)
CN (1) CN101588975B (ko)
WO (1) WO20081527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69B1 (ko) * 2012-02-21 2014-04-10 이준석 체인 컨베이어
KR101753954B1 (ko) * 2015-03-19 2017-07-05 (주)옥산아이엠티 처짐 방지기능을 갖는 프릭션 롤러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150B1 (ko) 2009-01-09 2014-01-24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롤러 조립체,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US8774961B2 (en) * 2010-04-23 2014-07-08 Andersen & Associates, Inc. Automatic delivery system for continuous batch order processing
DE202013102994U1 (de) * 2012-11-19 2014-03-12 Kiener Maschinenbau Gmbh Friktionsantrieb zur Kraftübertragung, insbesondere für eine Transportfördereinrichtung
US9120627B2 (en) * 2013-01-05 2015-09-0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Guide device for hard workpiece transfer
CN114312464B (zh) * 2017-12-29 2024-03-15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滚筒翻转装置及包含其的载车平台
US20220190391A1 (en) * 2019-03-29 2022-06-16 Panasonic Corporation Transport drum for electrode assembly
CN110482163A (zh) * 2019-08-16 2019-11-22 航天晨光股份有限公司 一种辊道推进装置
CN110482181A (zh) * 2019-09-06 2019-11-22 长春市吉通伟业汽车底盘零部件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衬套自动送料装置
CN111252451A (zh) * 2019-09-20 2020-06-09 库卡柔性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积放辊道用机械阻尼器及其积放辊道
WO2021075510A1 (ja) * 2019-10-15 2021-04-22 平田機工株式会社 コンベア駆動ユニット及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CN111086854B (zh) * 2019-12-28 2023-08-01 浙江开浦科技有限公司 一种槟榔上料姿态调整装置及控制方法
CN111791006A (zh) * 2020-07-15 2020-10-20 厦门擎骏科技有限公司 一种集装箱底架翻转式焊接设备
CN114460074B (zh) * 2020-12-28 2024-04-26 湖南博隆矿业开发有限公司 矿石图像采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9527A (ja) * 1992-05-18 1993-12-03 Sony Corp フリーフローコンベア
KR950030338U (ko) * 1994-04-14 1995-11-20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롤러장치
KR950030337U (ko) * 1994-04-14 1995-11-20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컨베이어
KR19980072416A (ko) * 1997-03-05 1998-11-05 이대원 롤러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536A (en) 1980-03-21 1982-02-02 American Bottlers Equipment Co., Inc. Conveyor and control therefor
US4421224A (en) * 1981-11-30 1983-12-20 Dingman Robert D Driven roller for accumulator conveyor
JPS63169517A (ja) 1987-01-08 1988-07-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地磁気方位センサの着磁補正方法
JPH0340804Y2 (ko) * 1987-04-23 1991-08-28
DE3829447C1 (ko) * 1988-08-26 1990-01-18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De
US4993541A (en) * 1989-05-16 1991-02-19 Roh Jae Y Triple conveyor
JPH0614125U (ja) * 1992-07-24 1994-02-22 村田機械株式会社 コンベア
GB2318776B (en) * 1996-10-30 2000-03-08 Wang Shing Wong Roller conveyor
JPH10310219A (ja) 1997-05-07 1998-11-24 Okura Yusoki Co Ltd ローラ装置およびコンベヤ
US5971137A (en) * 1998-03-25 1999-10-26 Comau North America, Inc. Power roller conveyor
CN2503043Y (zh) * 2001-09-21 2002-07-31 曹伟 定轴式摩擦托轮
US6772874B2 (en) * 2002-01-30 2004-08-10 Okamura Corporation Roller convey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9527A (ja) * 1992-05-18 1993-12-03 Sony Corp フリーフローコンベア
KR950030338U (ko) * 1994-04-14 1995-11-20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롤러장치
KR950030337U (ko) * 1994-04-14 1995-11-20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컨베이어
KR19980072416A (ko) * 1997-03-05 1998-11-05 이대원 롤러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69B1 (ko) * 2012-02-21 2014-04-10 이준석 체인 컨베이어
KR101753954B1 (ko) * 2015-03-19 2017-07-05 (주)옥산아이엠티 처짐 방지기능을 갖는 프릭션 롤러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88975B (zh) 2011-12-07
WO2008152718A1 (ja) 2008-12-18
JP5091236B2 (ja) 2012-12-05
US20100006399A1 (en) 2010-01-14
KR20090086943A (ko) 2009-08-14
CN101588975A (zh) 2009-11-25
JPWO2008152718A1 (ja) 2010-08-26
US7992705B2 (en)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481B1 (ko)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JP2837161B2 (ja) 缶に装飾を施す装置、その生産方法及びその作動方法
WO2022001112A1 (zh) 一种自动十字轴装配线
US9498859B2 (en) Multi-axis temporary tightening tool
AU2016247118B2 (en) Mounting alignment system
WO2019089414A1 (en) A system for simultaneously pre-set torqueing and tensioning a multi-jackbolt tensioner
US5797306A (en) Lamination notching apparatus
CN113084651A (zh) 船用发动机连杆齿形配合研磨装置及研磨方法
US6142292A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event a bearing from rotating in a bearing housing
JP6486378B2 (ja) ローラコンベヤ用ブレーキ装置、ローラコンベヤ、およびローラコンベヤ用ブレーキ装置の製造方法
JPH01116324A (ja) ブレーキ/クラッチ・ユニット
US20200109724A1 (en) Clamping hub
US7246694B2 (en) Friction roller in conveyor
KR100245804B1 (ko) 기판반송장치
KR100965388B1 (ko) 너트가공장치
JPH0678319U (ja) アキュムレーションコンベヤ
JP2000176769A (ja) ワークコンベヤのワーク位置決め構造
US20240209899A1 (en) Keyless shaft assembly and keyless drive or idler wheel
JP2879530B2 (ja) ローラコンベア用ローラ装置
JP7199657B2 (ja) ナットランナー
CN212744769U (zh) 离合传动组件及驱动模块
CN214873107U (zh) 一种瓦楞纸板压合机
KR20030077107A (ko) 롤러체인의 윤활제 급지장치
KR200142879Y1 (ko) 컨베이어
JPH0753793Y2 (ja) 圧造成形機における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