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530B1 -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530B1
KR101039530B1 KR1020100093595A KR20100093595A KR101039530B1 KR 101039530 B1 KR101039530 B1 KR 101039530B1 KR 1020100093595 A KR1020100093595 A KR 1020100093595A KR 20100093595 A KR20100093595 A KR 20100093595A KR 101039530 B1 KR101039530 B1 KR 10103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e
gas
fire extinguishing
interlock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10009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530B1/ko
Priority to US13/235,702 priority patent/US838182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Interlock) 회로부에 의해 소화 가스 방출의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방호 구역에 대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로서, 상기 방호 구역 내의 소화 가스 방출을 차단시키는 온(On) 모드와 상기 방호 구역 내의 소화 가스 방출 가능 상태인 오프(Off)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정지 스위치를 포함한 모드 전환부; 및 상기 정지 스위치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를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 구역 내에 사람(출입자)이 들어가는 경우 방호 구역 내에 소화 가스 방출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Digestion Gas}
본 발명은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호 구역에 관한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Interlock)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써, 방호 구역 내에서의 소화 가스 방출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는 방호 구역 내에서 일정한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람이 들어가는 경우에도 비정상적인 또는 정상적인 소화 가스 방출에 의해 상기 방호 구역 내에 있는 사람이 상기 방출된 소화 가스에 의한 부상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호 구역 내에 사람(출입자)이 들어가는 경우 정지 스위치를 조작하여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Interlock)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써, 방호 구역 내에 소화 가스 방출을 차단시킬 수 있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호 구역 내에 소화 가스 방출의 차단 여부에 관한 정보를 방호 구역에 관한 방재 센터로 전송하여 보다 확실한 방재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Interlock) 회로부에 의해 소화 가스 방출의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방호 구역에 대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로서, 상기 방호 구역 내의 소화 가스 방출을 차단시키는 온(On) 모드와 상기 방호 구역 내의 소화 가스 방출 가능 상태인 오프(Off)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정지 스위치를 포함한 모드 전환부; 및 상기 정지 스위치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를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방호 구역을 출입하는 출입자의 ID가 저장된 RF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RF 카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호 구역 내에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들의 ID 정보가 기록된 출입자 정보 DB를 포함한 출입 정보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된 출입자의 ID가 상기 출입자 정보 DB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지 스위치의 온(On)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를 온(On)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에 관한 정보와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된 출입자 ID 정보를 상기 방호 구역에 대한 소방 방재 상황을 관리하는 방재 센터의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정지 스위치의 온(On)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정지 스위치의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입력된 시간 동안만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의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가 온(On) 모드 상태임을 표시하는 제1 램프를 포함한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고부는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가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될 시간을 표시하는 제1 카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 방출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에 관한 정보 신호와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되거나 또는 사용 정보 입력부에 입력된 출입자 ID 정보 신호를 무선통신 모듈과 연결된 방재 센터의 통제 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가스 방출 제어 장치는, 상기 방재 센터와 육성 통신이 가능한 인터폰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되고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간 출입자의 RF 카드를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재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정지 스위치와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를 온(On) 모드 상태에서 오프(Off)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간 출입자의 RF 카드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되고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간 복수 개인 출입자의 RF 카드를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모두 재 인식한 경우에만, 상기 정지 스위치와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를 온(On) 모드 상태에서 오프(Off)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 구역 내에 사람(출입자)이 들어가는 경우 방호 구역 내에 소화 가스 방출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 구역 내에 소화 가스 방출의 차단 여부에 관한 정보를 방호 구역에 관한 방재 센터로 전송하여 보다 확실한 방재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4b는 모드 전환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출입 정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경고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방호 구역 내의 상태 알림부의 구성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와 방호 구역 및 방재 센터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a 내지 도 4b는 모드 전환부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출입 정보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방호 구역은 화재 기타 연소 등을 방재하기 위하여 소화 가스가 자동 살포되도록 설치된 공장이나 빌딩 등의 일정한 구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100)는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Interlock) 회로부(210)에 의해 소화 가스 방출의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방호 구역(200)에 대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로서, 상기 방호 구역 내의 소화 가스 방출을 차단시키는 온(On) 모드와 상기 방호 구역 내의 소화 가스 방출 가능 상태인 오프(Off)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정지 스위치(111)를 포함한 모드 전환부(110) 및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 가스 방출 장치(100)는 모드 전환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드 전환부(110)는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Interlock) 회로부(210)에 의해 방호 구역(200)에서의 소화 가스 방출의 차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지 스위치(111)를 포함한다.
상기 정지 스위치(111)는 온(On) 모드와 오프(Off)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 모드 상태는 상기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 모드 상태로 전환시켜 상기 방호 구역 내에 소화 가스가 방출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이고,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오프 모드 상태는 상기 인터록 회로부(210)를 오프 모드 상태로 전환시켜 상기 방호 구역 내에 소화 가스가 방출 가능한 상태이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정지 스위치(111)는 오프(Off) 모드 상태를 유지하여 화재 등의 상태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소화 가스가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방출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방호 구역 내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출입자가 상기 방호 구역 내로 들어가는 경우 상기 정지 스위치(111)를 온(On) 모드 상태로 전환시켜 소화 가스가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정지 스위치(111)는 일반 스위치, 회전식 스위치, 버튼식 스위치 등 다양한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인터록 회로부(210)는 상기 방호 구역 내에서 출입자가 들어간 경우 상기 출입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출입자가 상기 방호 구역 내를 벗어날 때까지 소화 가스 방출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부로서, 상기 인터록 회로부의 구성 및 작동 원리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정지 스위치(111)가 오프(Off) 모드인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회로부(210)도 오프(Off) 모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방호 구역 내에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방호 구역 내에 소화 가스가 자동으로 방출되고, 상기 정지 스위치(111)가 온(On)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인터록 회로부(210) 역시 온(On) 모드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방호 구역 내로의 소화 가스 방출이 강제 차단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모드 전환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 또는 오프 모드 상태에 따라 상기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 또는 오프 모드 상태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100)는 출입 정보 서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 정보 서버(140)는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출입이 가능한 모든 출입자들의 ID(Identity) 또는 (방호 구역에 대한 출입) 비밀 번호 성명, 소속 부서 등 출입자에 관한 신원 정보가 기록된 출입자 정보 D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드 전환부(120)는 RF 카드 인식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F 카드는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출입할 수 있는 출입자들의 ID가 저장된 RF 카드이고,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는 상기 RF 카드를 인식한다.
즉, 상기 모드 전환부(110)는 상기 방호 구역을 출입하는 출입자의 ID가 저장된 RF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RF 카드 인식부(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들의 ID 정보가 기록된 출입자 정보 DB(141)를 포함한 출입 정보 서버(140)와 연결되고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에서 인식된 출입자의 ID가 상기 출입자 정보 DB(141)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On)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모드 전환부(120)는 RF 카드 인식부(112)에 갈음하여 또는 함께 사용 정보 입력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정보 입력부(113)는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ID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모드 전환부(110)는 상기 방호 구역을 출입하는 출입자의 ID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사용 정보 입력부(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방호 구역 내에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들의 ID 또는 패스워드 정보가 기록된 출입자 정보 DB(141)를 포함한 출입 정보 서버(140)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 정보 입력부(113)에 입력된 출입자의 ID 또는 비밀번호가 상기 출입자 정보 DB(141)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On)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출입 정보 서버(140)는 상기 출입자 정보 DB(141)와 함께 사용 기록 DB(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기록 DB(142)는 상기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 또는 상기 사용 정보 입력부(113)에서 인식되거나 입력된 출입자의 ID, 출입자가 상기 방호 구역 내에 있었던 체류 시간, 후술하는 타이머(115)의 시간 등을 기록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에서 인식되고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간 출입자의 RF 카드를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에서 재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정지 스위치(111)와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On) 모드 상태에서 오프(Off)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에서 인식된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간 출입자의 RF 카드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에서 인식되고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간 복수 개인 출입자의 RF 카드를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에서 모두 재 인식한 경우에만, 상기 정지 스위치(111)와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On) 모드 상태에서 오프(Off)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전환부(1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타이머(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타이머에 입력된 시간 동안만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의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정지 스위치(111)를 온(On)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타이머(115)에 일정 시간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일정 시간 동안만 상기 인터록 회로부(210)가 온(On) 모드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소화 가스가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경고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100)는 경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부(130)는 상기 정지 스위치(111)가 온(On) 모드로 선택되고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상기 인터록 회로부(210)가 온(On) 모드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소화 가스의 방출이 차단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를 표시하는 제1 램프(1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고부(130)는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가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될 시간을 표시하는 제1 카운터(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카운터(132)는 상기 타이머(131)에 의해 설정된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모드가 유지될 시간, 즉 상기 정지 스위치(111)가 오프(Off) 모드로 다시 전환되고 상기 인터록 회로부(210)가 다시 오프(Off) 모드 상태로 전환되어 평상시처럼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소화 가스 방출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방호 구역(200)에는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가 설치되고 상태 알림부(2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태 알림부(220)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호 구역(200)의 현재 모드 상태, 즉 상기 정지 스위치(111) 내지 상기 인터록 회로부(210)가 온(On) 모드 상태로서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소화 가스 방출이 차단되도록 제어되어 있는 상태임을 표시하는 제2 램프(221)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태 알림부(221)는 상기 경고부(130)의 제1 카운터(132)와 같은 시간을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제2 카운터(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방호 구역(200)에 관한 방재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재 센터(300)의 통제 서버(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방호 구역(200)에 대한 소방 방재 상황을 관리하는 방재 센터(300)의 통제 서버(3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에서 인식되었거나 또는 사용 정보 입력부(113)에 입력된 출입자 ID 정보, 상기 타이머(115)에 입력된 일정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제 서버(31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재 서버(310)에는 상기 방호 구역(200)에 대한 소화 가스 방출의 차단 여부에 대한 상황, 상기 방호 구역 내에 출입한 출입자들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상기 방재 센터(300)에서 상기 방호 구역에 대한 관리가 더욱 철저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100)는 상기 방재 센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재 센터(300)에는 상기 통제 서버(310)뿐만 아니라 상기 무선 통신부(16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3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320)은 상기 통제 서버(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선 통신부(160)에서 전송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에 관한 정보 신호,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에서 인식되었거나 또는 사용 정보 입력부(113)에 입력된 출입자 ID 정보, 상기 타이머(115)에 입력된 일정 시간 등에 관한 정보 신호 등을 수신하여 상기 통제 서버(310)로 전달한다.
즉, 상기 가스 방출 제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에 관한 정보 신호와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에서 인식되거나 또는 사용 정보 입력부(113)에 입력된 출입자 ID 정보 신호 등을 무선통신 모듈(320)과 연결된 방재 센터의 통제 서버(310)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100)는 인터폰(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호 구역(200) 내의 상태 알림부(220)에도 인터폰(223)과 스피커(22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인터폰(160)을 이용하여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출입하는 출입자는 상기 방재 센터(300)에 직접 육성 통신으로 방호 구역(200) 내에 진입함으로 알리고 상기 정지 스위치(111) 내지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On) 모드 상태로 전환 하였음을 확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폰(160)과 상기 상태 알림부(220)의 인터폰 내지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출입자와 통화 내지 주의 사항에 관한 통지 등이 가능하다.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시스템은,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Interlock) 회로부에 의해 소화 가스 방출의 차단 여부가 제어되는 복수 곳의 방호 구역(200) 각각의 출입구에 설치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를 이용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 곳의 방호 구역(200) 각각의 출입구에 설치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100)는 각기 상기 방호 구역(200) 내의 소화 가스 방출을 차단시키는 온(On) 모드와 상기 방호 구역 내의 소화 가스 방출 가능 상태인 오프(Off)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정지 스위치(111)를 포함한 모드 전환부(110)와,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전환부(110)는 상기 방호 구역(200)을 출입하는 출입자의 ID가 저장된 RF 카드를 인식하여 상기 출입자의 방호 구역에 대한 체크 인(Check In)과 체크 아웃(Check Out)을 인식할 수 있는 RF 카드 인식부(112)와,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타이머(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들의 ID 정보가 기록된 출입자 정보 DB(141)를 포함한 출입 정보 서버(140)와 연결되고, 상기 RF 카드 인식부(112)에서 체크 인(Check In)으로 인식된 출입자의 ID가 상기 출입자 정보 DB(141)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지 스위치(111)의 온(On)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를 온(On)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RF 카드 인식부(111)에서 체크 인(Check In)으로 인식된 출입자의 ID가 상기 RF 카드 인식부(111)에서 체크 아웃(Check Out)으로 다시 인식된 경우 또는 상기 타이머(115)에 입력된 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상기 정지 스위치(111)와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를 오프(Off) 모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상기 정지 스위치(111)와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에 관한 정보와 상기 RF 카드 인식부(111)에서 상기 방호 구역(200)에 대한 체크 인(Check In) 또는 체크 아웃(Check Out)으로 인식된 출입자의 ID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고, 상기 방호 구역(200) 내에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들의 ID와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가 포함된 출입자 신상 정보 DB(미도시)를 포함한 상기 방호 구역에 대한 소방 방재 상황을 관리하는 방재 센터(300)의 통제 서버(310)를 포함하며, 상기 통제 서버(310)는, 상기 방재 센터(300)의 상용 유무선 전화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통제 서버(310)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이머(115)에 입력된 시간의 연장 여부에 대한 선택 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상기 타이머(115)에 입력된 시간의 연장 선택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출입자 신상 정보 DB에 저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와 상기 통제 서버(310)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및 상기 통제 서버(310)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에 대응하는 출입자의 ID가 체크 인(Check In)으로 인식된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출입자의 ID가 체크 인(Check In)으로 인식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의 제어부(120)로 타이머 연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타이머 연장 신호를 전송 받은 제어부(120)는 상기 타이머(115)에 입력된 시간이 기 입력된 시간만큼 연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정지 스위치(111)와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210)가 상기 연장된 시간만큼 더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소화 가스 방출 제어기(100)의 구성은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상기 모드 전환부(110)의 RF 카드 인식부(112)에 RF 카드를 인식 시키고 상기 정지 스위치(111)를 온(On) 모드로 선택한 후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간 출입자가, 상기 타이머(115)에 입력한 시간보다 더 오랜 시간을 상기 방호 구역 내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가 있는 출입자는 다시 밖으로 나와 상기 모드 전환부(110)에서의 조작을 할 필요가 없이도 간단한 이동 통신 단말기(휴대폰)를 이용하여 상기 타이머(115)의 시간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정지 스위치(111)와 인터록 회로부(210)를 필요한 시간만큼 더 온(On) 모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방호 구역 내의 출입자가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방재 센터(300)의 통제 서버(310)에 접속하면, 상기 통제 서버(31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타이머의 입력 시간을 연장하도록 하는 일정한 버튼 신호(예컨대, 상기 휴대폰의 우물 정자 버튼 또는 별표 버튼 등)와 상기 통제 서버에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확인한다.
상기 통제 서버(310)는 상기 타이머 입력 시간 연장에 관한 신호가 전송되면 그 신호를 전송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휴대폰 번호)가 상기 출입자 신상 정보 DB에 저장된 휴대폰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타이머(115)에 대한 연장 신호를 상기 체크 인(Check In)으로 인식되고 체크 아웃(Check Out)을 인식하지 않은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상기 타이머(115)에 대한 연장 신호를 전송 받은 제어부(120)는 해당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100)의 상기 타이머(115)에 입력된 시간을 연장시키고 상기 정지 스위치(111)와 인터록 회로부(210)를 상기 연장된 시간만큼 더 온(On)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타이머(115)에서 연장된 시간이 지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지 스위치(111)와 인터록 회로부(210)를 다시 온(On) 모드 상태에서 오프(Off) 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방호 구역 내에서 소화 가스 방출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110: 모드 전환부
111: 정지 스위치 112: RF 카드 인식부
113: 사용 정보 입력부 115: 타이머
120: 제어부 130: 경고부
131: 제1 램프 132: 제1 카운터
140: 출입 정보 서버 141: 출입자 정보 DB
142: 사용 기록 DB 150: 인터폰
160: 무선 통신부 200: 방호 구역
210: 인터록 회로부 220: 상태 알림부
221: 제2 램프 222: 제2 카운터
223: 인터폰 224: 스피커

Claims (13)

  1. 삭제
  2.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Interlock) 회로부에 의해 소화 가스 방출의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방호 구역에 대한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로서,
    상기 방호 구역 내의 소화 가스 방출을 차단시키는 온(On) 모드와 상기 방호 구역 내의 소화 가스 방출 가능 상태인 오프(Off)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정지 스위치를 포함한 모드 전환부; 및
    상기 정지 스위치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를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방호 구역을 출입하는 출입자의 ID가 저장된 RF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RF 카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호 구역 내에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들의 ID 정보가 기록된 출입자 정보 DB를 포함한 출입 정보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된 출입자의 ID가 상기 출입자 정보 DB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정지 스위치의 온(On) 모드에 따라서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를 온(On) 모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에 관한 정보와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된 출입자 ID 정보를 상기 방호 구역에 대한 소방 방재 상황을 관리하는 방재 센터의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정지 스위치의 온(On)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정지 스위치의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입력된 시간 동안만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의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가 온(On) 모드 상태임을 표시하는 제1 램프를 포함한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가 온(On) 모드 상태가 유지될 시간을 표시하는 제1 카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방출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의 온(On) 또는 오프(Off) 모드 상태에 관한 정보 신호와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된 출입자 ID 정보 신호를 무선통신 모듈과 연결된 방재 센터의 통제 서버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방출 제어 장치는,
    상기 방재 센터와 육성 통신이 가능한 인터폰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되고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간 출입자의 RF 카드를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재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정지 스위치와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를 온(On) 모드 상태에서 오프(Off)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간 출입자의 RF 카드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인식되고 상기 방호 구역 내에 들어간 복수 개인 출입자의 RF 카드를 상기 RF 카드 인식부에서 모두 재 인식한 경우에만, 상기 정지 스위치와 상기 가스계 소화 설비 장치의 인터록 회로부를 온(On) 모드 상태에서 오프(Off)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13. 삭제
KR1020100093595A 2010-09-28 2010-09-28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KR10103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595A KR101039530B1 (ko) 2010-09-28 2010-09-28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US13/235,702 US8381824B2 (en) 2010-09-28 2011-09-19 Fire extinguishing gas emission contro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595A KR101039530B1 (ko) 2010-09-28 2010-09-28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530B1 true KR101039530B1 (ko) 2011-06-09

Family

ID=4440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595A KR101039530B1 (ko) 2010-09-28 2010-09-28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81824B2 (ko)
KR (1) KR101039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7965B1 (fr) * 2011-07-12 2014-06-06 Finsecur Procede d'identification d'extincteur et dispositif d'identification d'extincteur
EP3215238B1 (en) 2014-11-05 2019-10-02 Wwtemplar LLC Remote control of fire suppression systems
JP6009631B2 (ja) * 2015-07-27 2016-10-19 能美防災株式会社 消火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2021077392A (ja) * 2021-01-25 2021-05-20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受信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9582A (ja) * 1992-10-05 1994-04-28 Nohmi Bosai Ltd トンネルの防災盤
JPH06210018A (ja) * 1993-01-20 1994-08-02 Secom Co Ltd 自動消火装置
JPH09201428A (ja) * 1996-01-30 1997-08-05 Toshiba Eng Co Ltd 建屋内の二酸化炭素消火設備
JPH1189962A (ja) * 1997-09-18 1999-04-06 Nippon Dry Chem Co Ltd 炭酸ガス消火設備用保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569A (en) * 1929-07-01 1935-12-10 C O Two Fire Equipment Co Automatic and manual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ing selector valve
JP2813318B2 (ja) * 1995-05-12 1998-10-22 株式会社コーアツ 不活性ガス消火設備
US5676712A (en) * 1995-05-16 1997-10-14 Atmi Ecosys Corporation Flashback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ng deflagration in combustion-susceptible gas flows
JPH09201458A (ja) 1996-01-29 1997-08-05 Sankyo Kk 遊技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9582A (ja) * 1992-10-05 1994-04-28 Nohmi Bosai Ltd トンネルの防災盤
JPH06210018A (ja) * 1993-01-20 1994-08-02 Secom Co Ltd 自動消火装置
JPH09201428A (ja) * 1996-01-30 1997-08-05 Toshiba Eng Co Ltd 建屋内の二酸化炭素消火設備
JPH1189962A (ja) * 1997-09-18 1999-04-06 Nippon Dry Chem Co Ltd 炭酸ガス消火設備用保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73837A1 (en) 2012-03-29
US8381824B2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530B1 (ko) 소화 가스 방출 제어 장치
CN201681464U (zh) 监狱安防系统
JP5010423B2 (ja) 警備システムおよび警備方法
JP5996598B2 (ja) 暗証番号ロックを備える警備システム
JP2016038755A (ja) 利用者所在管理システム
JP2012203616A (ja) 警報システム
KR101071917B1 (ko) 유비쿼터스 건물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154521B1 (ko)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KR20180093844A (ko)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JP5411772B2 (ja) 警備装置
CN104853169B (zh) 个人携带式移动监控及家庭服务平台
JP4548965B2 (ja) 携帯端末及びそれを用いた照合システム
EP39700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urse of work
KR101553231B1 (ko) 스위치 장치의 보안 관리 시스템
US20170018163A1 (en) Method for triggering of the emergency responding system by using human scream
US20130052979A1 (en) Initiative notification apparatus and the notifying method thereof
CN111899479A (zh) 意外事故监测系统
JP2012173977A (ja) 警備装置および警備方法
KR101885427B1 (ko)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CN105955172B (zh) 一种开放小区的智能安保系统
KR101430955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007924A (ja) 警備システムおよび誤報処理装置
KR102055360B1 (ko) IoT 적용 전국 공동주택 원격점검용 수신기 및 수신기 관제시스템
JP6618831B2 (ja) 警備システム
KR101939781B1 (ko) 화재 관리 시스템에서의 인명구조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정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