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844A -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 Google Patents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844A
KR20180093844A KR1020180087672A KR20180087672A KR20180093844A KR 20180093844 A KR20180093844 A KR 20180093844A KR 1020180087672 A KR1020180087672 A KR 1020180087672A KR 20180087672 A KR20180087672 A KR 20180087672A KR 20180093844 A KR20180093844 A KR 20180093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uthentication
indoor
door loc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090B1 (ko
KR102401090B9 (ko
Inventor
양해성
Original Assignee
양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9938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85427B1/ko
Application filed by 양해성 filed Critical 양해성
Priority to KR102018008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0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090B1/ko
Publication of KR10240109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09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K9/00006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추가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지인, 이웃, 경비원, 보안업체직원, 경찰, 소방관 등)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정시간 동안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음과 함께 음성통화의 자동연결기능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성이 혼자 거주하는 여성전용원룸 등과 같이, 신체적으로 위험에 노출되기 쉬우면서 고가의 방법 시스템을 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방범취약 거주지역에 대해서도, 저가의 장치로 충분한 보안 및 방범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어락 분야, 보안 및 방범 분야, 특히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및 방범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Two-factor authentication door lock}
본 발명은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추가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지인, 이웃, 경비원, 보안업체직원, 경찰, 소방관 등)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락의 실내측모듈에 인증수단을 추가로 구성하여 실외측인증 후 실내측인증이 완료되어야만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 또는 전환하도록 하고, 일정시간 동안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음과 함께 음성통화의 자동연결기능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은 크게 금속재 열쇠를 사용하여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락과 전자키를 이용하여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보안성 및 사용의 편리성이 높은 디지털 도어락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마그네트카드, IC카드 등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음성인식,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체인식 등 인체의 특정 부위의 고유성을 이용하는 생체인식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9289호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은 두 개의 인증수단을 순서에 따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인증수단이 순차적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선행기술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도어락 관련 기술들은,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인증수단과 해당 인증방법에 대한 기술이 대부분이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의 도어락 관련 기술은, 사용자가 어떠한 인증수단을 이용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하느냐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디지털도어락의 근본적인 문제점 중 하나는,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 이후에 발생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도어락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여 실내로 들어온 후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를 닫은 이후 도어의 잠금장치가 작동하기까지 시간적 간격이 있게 된다.
바로 이러한 시간적 딜레이 동안에는 외부인의 침입이 가능하며, 외부의 침입자에게 위협을 받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도어 개폐시 외부인이 사용자를 따라서 들어온 상황에서, 도어락의 잠금장치가 작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외부인에 저항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내부와 외부가 완전히 차단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인해 혼자 거주하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도어락의 맹점은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 신체적 위험까지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도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락은 대부분 외부에서 번호키를 입력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현관 밖에 설치한 몰래카메라를 이용하여 번호를 알아낸 후 침입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밀번호가 노출되어 침입자가 미리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오게 되는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락의 잠금 기능이 작동하고 이를 해제할 수 없게 되면, 내부와 외부가 완전히 차단된 위험한 상태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어떠한 인증수단 및 인증방법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귀가시 곧바로 뒤따라 침입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이를 방지할 만한 방법이 없으며, 침입자가 미리 침입한 상태에 대해서도 특별한 해결책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방법시스템이 구성되어야 하지만, 개인주택 특히 1인가구를 위한 원룸 등에서는 각 방별로 고가의 방법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위험에 늘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9289호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어락의 실내측에 인증용 키버튼을 추가로 구성하고, 사용자의 실내측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지인, 이웃, 경비원, 보안업체직원, 경찰, 소방관 등)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귀가시 도어를 닫고 실내로 들어온 상태에서, 실내공간에 대한 안전을 확인한 이후에, 도어락의 실내측에서 인증을 수행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간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시간 동안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인 침입 등의 비상상황으로 판단하고, 경보음과 함께 음성통화의 자동연결기능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이웃, 경비원, 보안업체직원, 경찰, 소방관 등)에게 도움을 받아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은, 실외측키버튼을 이용한 실외측인증이 완료되면, 실내측키버튼을 이용한 실내측인증을 대기하는 실내측인증 대기단계;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실내측인증 확인단계; 정상적인 실내측인증에 실패한 경우, 도어를 해제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하는 해제상태 유지단계; 및 상기 도어의 해제상태가 유지되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경보프로세스에 대응하여 경보동작을 수행하는 경보동작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보동작 수행단계는, 위험상황이 발생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과정; 및 설정된 통신회선 및 연락처로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헬퍼(Helper)에게 위험상황이 발생됨을 알리는 위험상황 발생 알림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동작 수행단계는, 침입자의 위협 상황에서 상기 실내측키버튼을 통해 미리 설정해 놓은 기만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경보음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헬퍼에게 위험상황이 발생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인증 대기단계는, 상기 실외측인증이 완료되면 도어를 해제상태로 전환한 후 일정시간동안 도어의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은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후 닫히면, 상기 실내측인증 확인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인증 대기단계는,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를 유지하면, 도어개방인증과정을 더 수행하고, 상기 도어개방인증이 완료되면, 도어가 닫힐 때까지 현재상태로 대기하며, 상기 도어개방인증이 실패하거나 도어개방인증 후 도어가 닫히면, 상기 실내측인증 확인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인증 도어락은, 실외측인증정보를 입력받는 실외측모듈; 실내측인증정보를 입력받는 실내측모듈; 및 상기 실외측인증정보 및 실내측인증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실외측인증 및 실내측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실외측인증에 의해 도어의 잠금모듈이 해제상태로 전환되고 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의해 상기 잠금모듈이 닫힘상태로 전환된 후,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잠금모듈이 해제상태로 전환되어 해제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내측모듈은, 숫자정보를 입력받는 실내측키버튼;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지문입력부; 및 특정모양의 패턴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패턴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모듈은, 리모콘,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및 인터넷 무선공유기 중 어느 하나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제어모듈에 통화연결 및 문자 발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실내측인증이 실패하여 상기 잠금모듈의 해제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스마트폰을 제어하여 관련보안업체의 음성통화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실내를 촬영한 동영상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영상촬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넷 무선공유기와 연결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한 후, 상기 동영상을 설정된 인터넷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귀가시 실내공간의 안전이 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추가인증에 의해 도어의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추가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지인, 이웃, 경비원, 보안업체직원, 경찰, 소방관 등)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실내측에서의 인증이 완료되기 전까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실내측에서의 인증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이 쉽게 진입하여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어락의 실내측모듈에 인증수단을 추가로 구성하여 실외측인증 후 실내측인증이 완료되어야만 도어를 장금상태로 전환하도록 하거나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일정시간 동안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음과 함께, 음성토화 및 문자메시지 전송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거주자)가 외부인의 침입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도어락의 잠금해제상태를 유지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의 도움을 받아서 침입자를 제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경보음과 더불어 외부(경비실, 보안업체, 경찰서 등)와 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공개함으로써, 침입자의 도주를 유도하고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보안장치나 설비를 설치하지 않고, 도어락과 스마트폰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장치와 통신망(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이용하게 되므로, 설치와 운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성이 혼자 거주하는 여성전용원룸 등과 같이, 고가의 방법 시스템을 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방범취약 거주지역에 대해서도, 저가의 장치로 충분한 보안 및 방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어락 분야, 보안 및 방범 분야, 특히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및 방범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단계 'S1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단계 'S4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도어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은 실내측인증 대기단계(S100), 실내측인증 확인단계(S200), 해제상태 유지단계(S300) 및 경보동작 수행단계(S400)를 포함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각 단계들은 도어락의 내부에 구성된 제어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내측인증 대기단계(S100)는 도어락의 실외측모듈을 통해 실외측인증이 완료되면, 도어락의 실내측모듈을 이용한 실내측인등을 대기하는 과정으로, 각 인증은 키버튼을 이용한 번호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외측인증 대기단계(S100)에서, 실외측키버튼으로 입력된 실외측인증번호를 확인하고, 실외측인증이 완료되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여기서, 실외측키버튼은 실외측인증수단이 키버튼에 의한 번호입력인 경우에 해당하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인증수단이 변경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실외측키버튼은 지문인식의 경우 광학센서, 패턴인식의 경우 터치스크린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실내측인증 대기단계(S100)는 실외측인증이 완료된 시점 또는 실외측인증 후 도어가 개방되고 다시 닫힌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입력제한시간) 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제한시간은 실내측인증을 위한 인증수단의 종류 및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제한시간은 도어락의 실내측모듈에 실내측인증용 키버튼이 구성된 경우, 비교적 짧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제한시간은 도어락의 실내측인증수단이 무선리모콘인 경우, 사용자가 실내공간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교적 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도어락의 제어모듈은 실외측인증이 완료되고 도어가 열린후 닫히게 되면,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의 상태를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도어의 상태를 열린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실내측인증 확인단계(S300)는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정상적인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실내공간에 대한 안전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도어를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도어가 해제된 상태인 경우에는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해제상태 유지단계(S400)는, 실내측인증 확인단계(S300)에서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정상적인 실내측인증에 실패한 경우, 도어를 해제상태로 전환하여 유지하는 과정으로, 도어가 잠금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해제상태 유지단계(S400)는 경보음을 출력하여 이웃이나 경비원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미리 등록한 헬퍼(Helper, 지인, 보안업체, 경찰서, 소방서 등)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도어락은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하기 위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거나 유선전화와 연결될 수 있다.
경보동작 수행단계(S400)에서는, 도어가 해제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현재상태가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경보프로세스에 대응하여 경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동작은 경보음 출력, 외부와 통화연결, 위험상황 알림, 실내촬영동영상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위급상황시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주위에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침입자의 도주를 유도하고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단계 'S1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외측인증수단 중 하나인 실외측키버튼을 이용하여 실외칙인증이 완료되면(S101), 도어락의 내부에 구성된 제어모듈은 홀센서 등을 통해 도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102).
만약,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S103), 제어모듈은 도어를 다시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104).
실외측인증 후 도어가 열리게 되면(S103), 제어모듈은 도어가 닫히는지를 확인하고, 일정시간 내에 도어가 닫히게 되면 도어를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도 1에 나타난 실내측인증 확인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다(S106).
이때, 도어가 열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실내측인증 후 도어를 개방하거나, 실내측인증과 동일 또는 상이한 방법으로 도어개방인증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S107).
이에, 제어모듈은 도어개방인증이 완료되면(S107), 도어가 닫힐 때까지 현재상태로 대기할 수 있으며, 도어개방인증이 실패(S107)하거나 도어개방인증 후 도어가 닫히면(S105), 실내측인증 대기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다(S106).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단계 'S4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모듈은 실내측인증의 결과에 따라 도어의 해제상태가 유지되면(S300), 외부인 침입 등의 위험상황으로 판단(S401)하고 정해진 경보프로세스에 대응하여 경보음 출력 등의 경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02).
이때, 사용자는 현재의 상황이 실내측인증의 지연에 따른 것으로, 외부인 침입 등의 위험상황이 아닌 경우, 경보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S403).
이에, 제어모듈은 실내측모듈에 구성된 실내측키버튼에 의해 해제번호가 입력되면(S403), 경보음의 출력을 중단하고(S407) 헬퍼 또는 관련업체 등으로 위험상황이 해제됨을 알려줄 수 있다(S408). 여기서, 경보동작의 해제는 실내특측키버튼에 의한 해제번호 입력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인증수단 및 인증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외부인이 침입한 상황에서, 침입자가 사용자를 위협하여 경보음을 해제시키도록 강요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어모듈은, 실내측키버튼에 의해 기만번호가 입력되면(S404), 경보음 출력 등의 경보동작을 중단하면서(S405), 헬퍼나 관련업체에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다(S406).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락은 외부적으로 경보가 해제된 것처럼 동작하여 침입자가 안심하도록 유도하면서, 지인 및 이웃 등의 헬퍼나 관련업체(보안업체), 경찰서, 경비실 등에 위급상황을 알려 신속하게 침입자를 제압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어모듈은 경보음 출력 후(S502), 해제번호와 기만번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도(S403 및 S404), 위험상황이 발생했음을 헬퍼나 관련업체에 알릴 수 있다(S406).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도어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중인증 도어락(100)은 실외측모듈(110), 실내측모듈(120), 제어모듈(130), 잠금모듈(140) 및 스피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측모듈(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외측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실외측키버튼(1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모듈(12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내측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숫자정보를 입력받는 실내측키버튼(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지문입력부(122) 및 특정모양의 패턴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패턴입력부(12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측모듈(120)에 구성된 지문입력부 및 패턴입력부가 실외측모듈(110)에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내측모듈(120)의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침입자를 속이기 위한 기만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둘 이상의 인증수단을 구성할 수 있으며, 각 인증수단의 인증 순서에 따라 해제동작 또는 기만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인증수단인 실내측키버튼(121)에 의해서도 해제동작 또는 기만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지문입력부(122)를 이용하여 해제동작(엄지손가락 지문인식) 또는 기만동작(검지손가락 지문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130)은 실외측모듈(110)에 의해 입력되는 실외측인증정보 및 실내측모듈(120)에 의해 입력되는 실내측인증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실외측인증 및 실내측인증을 수행하며, 각 인증결과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제어 방법에 의해 잠금모듈(140) 및 스피커(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잠금모듈(140)은 도어의 잠금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Solenoid, 141)의 동작에 의해 도어의 상태를 잠금상태로 전환하거나,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스피커(15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의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상황 발생시 경비실과 연결될 경우, 경비원과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폰을 더 구상할 수 있다.
특히, 제어모듈(130)은 외부와 음성통화가 연결된 것으로 위장하기 위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위험상황이 접수되었습니다. 현장요원이 5분안에 도착할 예정입니다.'등의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침입자가 도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난 이중인증 도어락(100)은 도 1 내지 도 3에 의한 제어 방법에 의해 동작되면서, 귀가시 사용자를 따라 침입하는 침입자에 의한 위험상황으로부터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앞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침입자가 사용자의 귀가전에 미리 침입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실내의 모든 공간에 대한 확인을 거친 후에 실내측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실내측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도어락까지 다시 오지 않고, 실내에 구비된 리모콘이나 자신이 휴대한 스마트기기를 통해 실내측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내측모듈(120)은 근거리 무선통신부(12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부(124)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선리모콘(210)과 더불어, 스마트폰(220) 및 스마트워치(230) 등의 스마트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실내공간에 대한 확인이 완료된 후, 무선리모콘(210)이나 스마트기기를 통해 실내측인증을 수행하여 도어를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이중인증 도어락(100)은 위급상황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해 지인(헬퍼)이나 외부업체(보안업체)와 음성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스마트폰(220) 등을 이용하여, 제어모듈(130)에 통화연결 및 문자 발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제어모듈(130)은 실내측인증이 실패하여 잠금모듈(140)의 해제상태가 유지되면, 미리 부여된 권한 및 통화연결정보에 따라, 스마트폰(220)을 제어하여 관련보안업체의 음성통화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연결정보는 관련보안업체의 음성통화단말기와 통화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24)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터넷 무선공유기(2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인터넷망을 통해 위험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이때, 이중인증 도어락(100)은 실내를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모듈(12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촬영모듈(125)에서 실내를 촬영한 동영상이 제어모듈(130)로 전송되면, 제어모듈(130)은 근거리 무선통신부(124)를 통해 인터넷 무선공유기(240)와 연결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한 후, 해당 동영상을 설정된 인터넷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인터넷주소는 보안업체서버 또는 경찰서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실내측모듈(120)에 LED램프(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성하고, 동영상 촬영시 LED램프를 점등하여, 침입자가 현재상황이 촬영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도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보음과 더불어 외부와 연결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침입자의 도주를 유도하고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성이 혼자 거주하는 여성전용원룸 등과 같이, 고가의 방법 시스템을 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방범취약 거주지역에 대해서도, 저가의 장치로 충분한 보안 및 방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이중인증 도어락
110 : 실외측모듈 111 : 실외측키버튼
120 : 실내측모듈 121 : 실내측키버튼
122 : 지문입력부 123 : 패턴입력부
124 : 근거리 무선통신부 125 : 영상촬영모듈
130 : 제어모듈
140 : 잠금모듈

Claims (10)

  1. 실외측키버튼을 이용한 실외측인증이 완료되면, 실내측키버튼을 이용한 실내측인증을 대기하는 실내측인증 대기단계;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실내측인증 확인단계;
    정상적인 실내측인증에 실패한 경우, 도어를 해제상태로 전환 또는 유지하는 해제상태 유지단계; 및
    상기 도어의 해제상태가 유지되면, 위험상황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경보프로세스에 대응하여 경보동작을 수행하는 경보동작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동작 수행단계는,
    위험상황이 발생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과정; 및
    설정된 통신회선 및 연락처로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헬퍼(Helper)에게 위험상황이 발생됨을 알리는 위험상황 발생 알림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동작 수행단계는,
    상기 실내측키버튼을 통해 기만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경보음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헬퍼에게 위험상황이 발생됨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인증 대기단계는,
    상기 실외측인증이 완료되면 도어를 해제상태로 전환한 후 일정시간동안 도어의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은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 후 닫히면, 상기 실내측인증 확인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인증 대기단계는,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를 유지하면, 도어개방인증과정을 더 수행하고,
    상기 도어개방인증이 완료되면, 도어가 닫힐 때까지 현재상태로 대기하며,
    상기 도어개방인증이 실패하거나 도어개방인증 후 도어가 닫히면, 상기 실내측인증 확인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6. 실외측인증정보를 입력받는 실외측모듈;
    실내측인증정보를 입력받는 실내측모듈; 및
    상기 실외측인증정보 및 실내측인증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실외측인증 및 실내측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실외측인증에 의해 도어의 잠금모듈이 해제상태로 전환되고 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의해 상기 잠금모듈이 닫힘상태로 전환된 후, 입력제한시간 이내에 상기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잠금모듈이 해제상태로 전환되어 해제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이중인증 도어락.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모듈은,
    숫자정보를 입력받는 실내측키버튼;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지문입력부; 및
    특정모양의 패턴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패턴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인증 도어락.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모듈은,
    리모콘,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및 인터넷 무선공유기 중 어느 하나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인증 도어락.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제어모듈에 통화연결 및 문자 발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실내측인증이 실패하여 상기 잠금모듈의 해제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스마트폰을 제어하여 관련보안업체의 음성통화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인증 도어락.
  10. 제 8항에 있어서,
    실내를 촬영한 동영상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영상촬영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터넷 무선공유기와 연결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한 후, 상기 동영상을 설정된 인터넷주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인증 도어락.
KR1020180087672A 2016-08-04 2018-07-27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KR10240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72A KR102401090B1 (ko) 2016-08-04 2018-07-27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385A KR101885427B1 (ko) 2016-08-04 2016-08-04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KR1020180087672A KR102401090B1 (ko) 2016-08-04 2018-07-27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385A Division KR101885427B1 (ko) 2016-08-04 2016-08-04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844A true KR20180093844A (ko) 2018-08-22
KR102401090B1 KR102401090B1 (ko) 2022-05-23
KR102401090B9 KR102401090B9 (ko) 2024-09-05

Family

ID=8180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672A KR102401090B1 (ko) 2016-08-04 2018-07-27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0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280B1 (ko) * 2019-02-25 2020-03-02 송혜선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CN110886555A (zh) * 2019-12-05 2020-03-17 上海新微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ble智能门锁交互方法
CN112330850A (zh) * 2020-07-10 2021-02-0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门锁播报控制方法、装置、智能门锁及存储介质
CN113202353A (zh) * 2020-01-31 2021-08-03 青岛海尔智能家电科技有限公司 用于智能门锁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智能门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339A (ko) * 2004-05-04 2005-11-09 주식회사 아이레보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도어락
KR100919289B1 (ko) 2007-11-26 2009-10-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339A (ko) * 2004-05-04 2005-11-09 주식회사 아이레보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도어락
KR100919289B1 (ko) 2007-11-26 2009-10-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280B1 (ko) * 2019-02-25 2020-03-02 송혜선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CN110886555A (zh) * 2019-12-05 2020-03-17 上海新微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ble智能门锁交互方法
CN113202353A (zh) * 2020-01-31 2021-08-03 青岛海尔智能家电科技有限公司 用于智能门锁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智能门锁
CN112330850A (zh) * 2020-07-10 2021-02-0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门锁播报控制方法、装置、智能门锁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090B1 (ko) 2022-05-23
KR102401090B9 (ko) 202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090B1 (ko)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KR101996900B1 (ko)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JP6012538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入退室管理システム用のコンピュータ装置
JP2020521227A (ja) 監視及びコンシェルジェサービスのためのスケーラブルなシステム及び方法
JP5996598B2 (ja) 暗証番号ロックを備える警備システム
EP3886420A1 (en) Intercom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KR20140117264A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0922831B1 (ko) 디지털 도어락, 그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102345479B1 (ko) 건물 출입 관리시스템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1885427B1 (ko)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KR101746750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제어방법
KR101107011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KR20160050965A (ko) 불법침입 방지를 위한 댁내 보안장치 및 그 보안방법
KR102227133B1 (ko)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JP4684610B2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装置
KR102370195B1 (ko)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JP5367949B2 (ja) セキュリティ機能付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JP4994782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防犯設定システム
KR20230071261A (ko) 스마트 도어락
JP2007164714A (ja) 入室管理装置
KR200459992Y1 (ko)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입력오류 확인 및 처리 시스템
KR20110044481A (ko) 리모컨 제어 및 원격 통신 제어가 가능한 유무선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145617A (ko) 비상 탈출이 용이한 개폐 장치 및 개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