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133B1 -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 Google Patents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133B1
KR102227133B1 KR1020190078557A KR20190078557A KR102227133B1 KR 102227133 B1 KR102227133 B1 KR 102227133B1 KR 1020190078557 A KR1020190078557 A KR 1020190078557A KR 20190078557 A KR20190078557 A KR 20190078557A KR 102227133 B1 KR102227133 B1 KR 102227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door lock
door
user
lock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005A (ko
Inventor
양해성
Original Assignee
양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해성 filed Critical 양해성
Priority to KR102019007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1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005A/ko
Priority to KR1020210029449A priority patent/KR102370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추가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거나 해제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침입자에 의해 실내공간에 갇히게 되는 상황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지인, 이웃, 경비원, 보안업체직원, 경찰, 소방관 등)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락의 실내측모듈에 인증수단을 추가로 구성하고, 실외측인증과 실내측인증 그리고 도어의 개폐 순서에 따른 인증 패턴에 기초하여 도어락을 제어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락 분야, 보안 및 방범 분야, 특히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및 방범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Door lock control method and door lock based on two-factor authentication pattern}
본 발명은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추가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거나 해제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침입자에 의해 실내공간에 갇히게 되는 상황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지인, 이웃, 경비원, 보안업체직원, 경찰, 소방관 등)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락의 실내측모듈에 인증수단을 추가로 구성하고, 실외측인증과 실내측인증 그리고 도어의 개폐 순서에 따른 인증 패턴에 기초하여 도어락을 제어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은 크게 금속재 열쇠를 사용하여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락과 전자키를 이용하여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보안성 및 사용의 편리성이 높은 디지털 도어락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마그네트카드, IC카드 등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음성인식,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체인식 등 인체의 특정 부위의 고유성을 이용하는 생체인식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9289호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은 두 개의 인증수단을 순서에 따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인증수단이 순차적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선행기술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도어락 관련 기술들은,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인증수단과 해당 인증방법에 대한 기술이 대부분이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의 도어락 관련 기술은, 사용자가 어떠한 인증수단을 이용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하느냐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디지털도어락의 근본적인 문제점 중 하나는,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 이후에 발생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도어락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여 실내로 들어온 후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를 닫은 이후 도어의 잠금장치가 작동하기까지 시간적 간격이 있게 된다.
바로 이러한 시간적 딜레이 동안에는 외부인의 침입이 가능하며, 외부의 침입자에게 위협을 받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도어 개폐시 외부인이 사용자를 따라서 들어온 상황에서, 도어락의 잠금장치가 작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외부인에 저항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내부와 외부가 완전히 차단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사용자의 외출시 문앞에서 사용자를 밀고 들어오는 경우, 또는 택배기사 등과 같은 방문자를 가장하여 침임하는 경우에도 앞서와 동일 내지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들어,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인해 혼자 거주하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도어락의 맹점은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 신체적 위험까지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도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락은 대부분 외부에서 번호키를 입력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현관 밖에 설치한 몰래카메라를 이용하여 번호를 알아낸 후 침입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밀번호가 노출되어 침입자가 미리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오게 되는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락의 잠금 기능이 작동하고 이를 해제할 수 없게 되면, 내부와 외부가 완전히 차단된 위험한 상태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어떠한 인증수단 및 인증방법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귀가시 곧바로 뒤따라 침입하는 경우 또는 외출시 사용자를 밀치고 침입하는 경우 또는 택배기상 등과 같은 방문자를 가장하여 침입하는 경우 등에 대해서는 이를 방지할 만한 방법이 없으며, 침입자가 미리 침입한 상태에 대해서도 특별한 해결책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방법시스템이 구성되어야 하지만, 개인주택 특히 1인가구를 위한 원룸 등에서는 각 방별로 고가의 방법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위험에 늘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9289호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어락의 실내측모듈에 인증수단을 추가로 구성하고, 사용자의 추가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거나 해제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침입자에 의해 실내공간에 갇히게 되는 상황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지인, 이웃, 경비원, 보안업체직원, 경찰, 소방관 등)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외측인증과 실내측인증 그리고 도어의 개폐 순서에 따른 인증 패턴에 기초하여 도어락을 제어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유예인증을 통해 인증대기시간을 추가로 확보하거나, 침입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인증번호를 입력해야 할 경우 기만번호를 입력하여 침입자를 안심시키면서 경보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은, 실외측인증 및 실내측인증 중 어느 하나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해당 인증인 첫 번째 인증의 정당성 및 인증위치를 확인하는 제1차인증 확인단계;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을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도어개폐 확인단계; 도어가 열린 후 또는 닫힌 후 일정시간 내에 두 번째 인증이 진행되는지를 확인하고, 두 번째 인증이 진행된 위치를 확인하는 제2차인증 확인단계; 및 확인된 제1차인증 위치, 도어의 개폐, 제2차인증 여부 및 제2차인증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차인증 확인 후 도어락의 잠금상태에 대한 유지여부를 결정하는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는, 상기 제1차인증위치가 실외측이고, 도어의 개폐가 정상출입시간 내에 이루어지면,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는, 상기 제1차인증위치가 실외측이고 도어의 개폐가 정상출입시간 내에 이루어지면, 도어락이 해제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어락의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는, 상기 제1차인증위치가 실외측이고, 도어의 개폐가 정상출입시간 내에 이루어지면,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는, 상기 제1차인증위치가 실외측이고 도어의 개폐가 정상출입시간 내에 이루어지면, 도어락이 해제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어락의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는, 상기 제1차인증위치가 실내측이고, 도어의 개폐가 정상출입시간 내에 이루어지면,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는, 상기 제1차인증위치가 실내측이고 도어의 개폐가 정상출입시간 내에 이루어지면, 도어락이 해제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어락의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는, 상기 제1차인증위치가 실내측이고, 도어의 개폐가 정상출입시간 내에 이루어지면,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는, 상기 제1차인증위치가 실내측이고 도어의 개폐가 정상출입시간 내에 이루어지면, 도어락이 해제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어락의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제2차인증의 수행을 일정시간 경과 이후로 유예하는 유예인증을 대기하는 유예인증 대기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예인증 대기단계는, 유예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도어의 개방 후 설정된 유예시간 동안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고, 유예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설정된 경보프로세서에 대응하여 경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귀가시 실내공간의 안전이 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추가인증에 의해 도어의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추가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지인, 이웃, 경비원, 보안업체직원, 경찰, 소방관 등)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출하는 상황에서 침입자가 사용자를 밀면서 실내로 침입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외부의 방문자를 확인하는 상황에서 해당 방문자가 실내로 침입하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상황에 따라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범죄에 대한 예방 및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어락의 실내측모듈에 인증수단을 추가로 구성하고 실외측인증과 도어의 개폐 및 실내측인증에 대한 절차를 확인한 후, 이에 대응하여 도어락을 장금상태로 전환하도록 하거나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일정시간 동안 실내측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음과 함께, 음성토화 및 문자메시지 전송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거주자)가 외부인의 침입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도어락의 잠금해제상태를 유지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서 외부인의 도움을 받아서 침입자를 제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경보음과 더불어 외부(경비실, 보안업체, 경찰서 등)와 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공개함으로써, 침입자의 도주를 유도하고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보안장치나 설비를 설치하지 않고, 도어락과 스마트폰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장치와 통신망(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이용하게 되므로, 설치와 운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성이 혼자 거주하는 여성전용원룸 등과 같이, 고가의 방법 시스템을 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방범취약 거주지역에 대해서도, 저가의 장치로 충분한 보안 및 방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어락 분야, 보안 및 방범 분야, 특히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및 방범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단계 'S25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단계 'S50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은 도 14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은 제1차인증 확인단계(S100), 도어개폐 확인단계(S200), 제2차인증 확인단계(S300) 및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S400)를 포함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각 단계들은 도어락의 내부에 구성된 제어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차인증 확인단계(S100)는 실외측인증 및 실내측인증 중 어느 하나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해당 인증인 첫 번째 인증의 정당성 및 인증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로, 각 인증은 키버튼을 이용한 번호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지문인식, 패턴인식 등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어개폐 확인단계(S200)는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을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단계로, 현재 도어가 열려있는지, 열렸다 닫혔는지, 열린 상태로 얼마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활용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황별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2차인증 확인단계(S300)는 도어가 열린 후 또는 닫힌 후 일정시간 내에 두 번째 인증이 진행되는지를 확인하고, 두 번째 인증이 진행된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로, 앞서 살펴본 제1차인증 확인단계(S100)와 더불어 사용자가 어떠한 목적으로 도어를 개폐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차인증 위치가 실외측이고 제2차인증 위치가 실내측인 경우, 사용자가 외출에서 돌아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차인증 위치가 실내측이고 제2차인증 위치가 실외측인 경우,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차인증 위치가 실내측이고 제2차인증 위치가 실내측인 경우, 외부인이 방문한 경우 또는 배달이나 택배 물건을 받기 위해 도어를 개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S400)는 확인된 제1차인증 위치, 도어의 개폐, 제2차인증 여부 및 제2차인증 위치에 기초하여, 제2차인증 확인 후 도어락의 잠금상태에 대한 유지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 앞서 살펴본 다양한 상황들에 대하여 특정 조건시 사용자가 외부와 단절된 상태에서 침입자에 의해 실내공간에 갇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위급상황시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주위에 도움을 요청함으로써, 침입자의 도주를 유도하고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상황별 도어락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의 경우, 사용자가 외출에서 돌아오는 상황 등과 같이 외부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중 인증절차의 패턴에 따라 침입자 발생시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락의 실외측 키버튼을 이용하여 실외측인증을 완료하고(S110), 도어를 열어 실내로 들어온 후 도어를 닫게 되면(S210),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220).
다시 말해, 사용자가 외출에서 돌아오는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오고 도어가 닫히게 되면, 도어락이 신속하게 작동하여 해당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글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특별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고 실내로 들어온 후 다시 도어를 닫을 때까지의 시간을 정상출입시간이라 하며, 이러한 정상출입시간 이내에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진 경우, 정상적인 상황으로 판단하고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내에 실내측인증(제2차인증)을 수행하고(S310) 해당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S410), 실내에서의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411). 여기서, 실내측인증은 키버튼, 지문입력, 패턴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410), 침입자가 있거나 기타 특별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외부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S412).
이후, 정상적인 제2차인증이 이루어지면 도어락을 다시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후(S210) 도어락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230). 이는 비상상황시 도어락이 잠김으로 인해 실외로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도어락의 잠김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락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S230),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S421)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S422),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421)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423).
도 4 및 도 5의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서 실내에 물건을 들여놓기 위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중 인증절차의 패턴에 따라 침입자 발생시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락의 실외측 키버튼을 이용하여 실외측인증을 완료하고(S110), 사용자가 실외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 원하는 물건을 실내로 들여 놓은 후 도어를 닫게 되면(S210),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220).
다시 말해, 사용자가 장을 보거나 기타 이유로 물건을 소지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볼일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물건을 실내로 옮겨 놓은 후 도어가 닫히게 되면, 도어락이 신속하게 작동하여 해당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글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내에 실외측인증(제2차인증)을 수행하고(S320) 해당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S410),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411).
만약, 제2차인증위치인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410), 사용자가 위험에 처하는 등의 특별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실내로 대피할 수 있도록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S412).
이후, 실내측에서 제3차인증이 이루어지면 도어락을 다시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후(S210) 도어락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230).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험에 처하는 등의 비상상황시 도어락이 잠김으로 인해 실내로 신속하게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도어락의 잠김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락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S230),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S421)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S422),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421)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423).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위험상황에서 실내도 대피한 이후, 실내측에서 제3차인증이 이루어지면 도어락을 다시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및 도 7의 경우, 사용자가 실내에서 외출하는 상황 등과 같이 실내에서 외부로 나가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락의 실내측 키버튼을 이용하여 실내측인증을 완료하고(S120), 도어를 열어 외부로 나간 후 도어를 닫게 되면(S210), 도어락은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220).
이후,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내에 실외측인증(제2차인증)을 수행하고(S320) 해당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S410), 문 밖에서의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락을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411).
만약, 제2차인증위치인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421),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신속하게 실내로 대피할 수 있도록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다(S412).
이후, 사용자가 위험을 피해 실내측으로 대피한 경우 또는 문 밖의 위험이 해소되어 다시 나간 경우, 실내측 또는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제2차인증이 이루어지면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후(S210) 도어락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230). 다시 말해, 사용자가 외출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밖으로 나가게 되면, 이후 도어가 닫히더라도 도어락은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외출시 도어락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외출시 침입자가 문 앞에 대기하고 있는 경우 또는 문 앞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신속히 실내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도어락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S230), 실외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S421)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S422),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421)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423).
도 8 및 도 9의 경우, 사용자가 실내에서 방문자가 들어오도록 문을 개방한 상황 또는 배달이나 택배 등의 물건을 받기 위해 문을 개방한 상황 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실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를 잠시 개방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락의 실내측 키버튼을 이용하여 실내측인증을 완료하고(S120), 도어를 개방한 후 물건을 받거나 방문자가 들어오고 다시 도어를 닫게 되면(S210), 도어락은 잠금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220).
이후,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내에 실내측인증(제2차인증)을 수행하고(S310) 해당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S410), 실내에서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락을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411).
만약,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410), 배달원이나 택배원으로 위장한 침입자 등에 의해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S412).
이후,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제2차인증이 이루어지면 도어락을 다시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의 개폐후(S210) 도어락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230).
이와 같이 도어락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S230),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S421)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S422),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421)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423).
따라서, 다양한 상황에서 각 상황별 인증패턴에 따라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위험상황시 사용자가 실내에 갇힌 상황에서 외부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은 유예인증 대기단계(S250) 및 경보동작 수행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예인증 대기단계(S250)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제2차인증의 수행을 일정시간 경과 이후로 유예하는 유예인증을 대기하는 단계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도어를 일정시간 동안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 후 귀가하는 상황에서 문 앞에 택배 등의 물건이 놓여진 경우, 해당 물건을 실내로 옮기기 위하여 일정시간 동안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외출하는 상황에서 생활쓰레기나 재활용품을 버리기 위하여 일정시간 동안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예로, 배달이나 택배 등의 물품을 실내로 옮기거나 방문자가 가지고 온 물건을 실내로 옮기기 위하여 일정시간 동안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유예인증 대기단계(S25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경보동작 수행단계(S500)는, 앞서 설명한 자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S400)에 의하여 각 상황에 따라 도어락이 해제상태로 전환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할 경우,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경보프로세스에 대응하여 경보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에 대해서도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단계 'S25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차인증이 이루어진 이후 도어가 개방되면 일정시간 동안 유예인증을 대기할 수 있다(S251).
이때, 유예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S252), 도어가 개방된 시점부터 설정된 유예시간 동안 도어가 개방된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253). 다시 말해 유예시간 동안은 제2차인증 확인 등과 같은 별도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유예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S254), 도어가 닫히게 되면(S255) 일정시간동안 실내측인증 또는 실외측인증에 의한 제2차인증을 대기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2차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S256), 사용자가 원하는 용무를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257).
만약, 유예시간이 경과되거나(S254), 도어가 닫히고(S255) 정상적인 제2차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S256),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고 하기에 설명될 경보프로세서를 진행할 수 있다(S258).
도 12은 도 10에 나타난 단계 'S50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모듈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상황별로 사용자의 위험이 감지되면, 외부인 침입 등의 위험상황으로 판단(S501)하고 정해진 경보프로세스에 대응하여 경보음 출력 등의 경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02).
이때, 사용자는 현재의 상황이 제2차인증의 지연에 따른 것으로, 외부인 침입 등의 위험상황이 아닌 경우, 경보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S503).
이에, 제어모듈은 제2차인증이 수행되거나 별도의 해제번호가 입력되면(S503), 경보음의 출력을 중단하고(S507) 헬퍼(Healper) 또는 관련업체 등으로 위험상황이 해제됨을 알려줄 수 있다(S508). 여기서, 헬퍼는 지인 및 이웃, 보안업체 직원, 경비원, 경찰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보동작의 해제는 키버튼에 의한 해제번호 입력 방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인증수단 및 인증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외부인이 침입한 상황에서 경보움이 울리게 되면, 침입자가 사용자를 위협하여 경보음을 해제시키도록 강요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경보의 해제를 가장하여 기만번호를 입력하면(S504), 경보음 출력 등의 외적인 경보동작은 중단하면서(S505), 헬퍼나 관련업체에 위험상황을 알리는 내적인 경보동작은 계속 수행할 수 있다(S506).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락은 외부적으로 경보가 해제된 것처럼 동작하여 침입자가 안심하도록 유도하면서, 지인 및 이웃 등의 헬퍼나 관련업체(보안업체), 경찰서, 경비실 등에 위급상황을 알려 신속하게 침입자를 제압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경보음 출력 후(S502), 해제번호와 기만번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도(S503 및 S504), 위험상황이 발생했음을 헬퍼나 관련업체에 알릴 수 있다(S506).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중인증 도어락(100)은 실외측모듈(110), 실내측모듈(120), 제어모듈(130), 잠금모듈(140) 및 스피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측모듈(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외측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실외측키버튼(1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모듈(12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내측인증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숫자정보를 입력받는 실내측키버튼(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지문입력부(122) 및 특정모양의 패턴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패턴입력부(12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측모듈(120)에 구성된 지문입력부 및 패턴입력부가 실외측모듈(110)에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내측모듈(120)의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침입자를 속이기 위한 기만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둘 이상의 인증수단을 구성할 수 있으며, 각 인증수단의 인증 순서에 따라 해제동작 또는 기만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인증수단인 실내측키버튼(121)에 의해서도 해제동작 또는 기만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지문입력부(122)를 이용하여 해제동작(엄지손가락 지문인식) 또는 기만동작(검지손가락 지문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130)은 실외측모듈(110) 및 실내측모듈(120)에 의해 이루어진 인증의 시간적 순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1차인증위치, 도어의 개폐, 제2차인증 여부 및 제2차인증위치에 기초하여, 제2차인증위치 확인 후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난 도어락 제어 방법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상태에 대한 유지여부 및 경보프로세서에 의한 경보동작의 수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잠금모듈(140)은 도어의 잠금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Solenoid, 141)의 동작에 의해 도어의 상태를 잠금상태로 전환하거나,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스피커(150)는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의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상황 발생시 경비실과 연결될 경우, 경비원과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폰을 더 구상할 수 있다.
특히, 제어모듈(130)은 외부와 음성통화가 연결된 것으로 위장하기 위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위험상황이 접수되었습니다. 현장요원이 5분안에 도착할 예정입니다.'등의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침입자가 도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난 이중인증 도어락(100)은 도 1 내지 도 12에 의한 제어 방법에 의해 동작되면서, 침입자에 의한 위험상황으로부터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침입자가 사용자의 귀가전에 미리 침입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실내의 모든 공간에 대한 확인을 거친 후에 실내측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실내측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도어락까지 다시 오지 않고, 실내에 구비된 리모콘이나 자신이 휴대한 스마트기기를 통해 실내측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5는 도 14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내측모듈(120)은 근거리 무선통신부(12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부(124)는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선리모콘(210)과 더불어, 스마트폰(220) 및 스마트워치(230) 등의 스마트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실내공간에 대한 확인이 완료된 후, 무선리모콘(210)이나 스마트기기를 통해 실내측인증을 수행하여 도어를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난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100)은 위급상황에서 스마트기기를 통해 지인(헬퍼)이나 외부업체(보안업체)와 음성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스마트폰(220) 등을 이용하여, 제어모듈(130)에 통화연결 및 문자 발송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제어모듈(130)은 실내측인증이 실패하여 잠금모듈(140)의 해제상태가 유지되면, 미리 부여된 권한 및 통화연결정보에 따라, 스마트폰(220)을 제어하여 관련보안업체의 음성통화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연결정보는 관련보안업체의 음성통화단말기와 통화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24)는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터넷 무선공유기(2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인터넷망을 통해 위험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이때,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100)은 실내를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모듈(12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촬영모듈(125)에서 실내를 촬영한 동영상이 제어모듈(130)로 전송되면, 제어모듈(130)은 근거리 무선통신부(124)를 통해 인터넷 무선공유기(240)와 연결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한 후, 해당 동영상을 설정된 인터넷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인터넷주소는 보안업체서버 또는 경찰서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실내측모듈(120)에 LED램프(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성하고, 동영상 촬영시 LED램프를 점등하여, 침입자가 현재상황이 촬영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도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보음과 더불어 외부와 연결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침입자의 도주를 유도하고 사용자의 재산 및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성이 혼자 거주하는 여성전용원룸 등과 같이, 고가의 방법 시스템을 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방범취약 거주지역에 대해서도, 저가의 장치로 충분한 보안 및 방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110 : 실외측모듈 111 : 실외측키버튼
120 : 실내측모듈 121 : 실내측키버튼
122 : 지문입력부 123 : 패턴입력부
124 : 근거리 무선통신부 125 : 영상촬영모듈
130 : 제어모듈
140 : 잠금모듈

Claims (10)

  1. 키버튼, 지문입력, 패턴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실외측인증 및 실내층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실외측인증 및 실내측인증 중 어느 하나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해당 인증인 첫 번째 인증의 정당성 및 인증위치를 확인하는 제1차인증 확인단계;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을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도어개폐 확인단계;
    도어가 열린 후 또는 닫힌 후 일정시간 내에 두 번째 인증이 진행되는지를 확인하고, 두 번째 인증이 진행된 위치를 확인하는 제2차인증 확인단계; 및
    확인된 제1차인증 위치, 도어의 개폐, 제2차인증 여부 및 제2차인증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차인증 확인 후 도어락의 잠금상태에 대한 유지여부를 결정하는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상태 유지여부 결정단계는,
    상기 제1차인증위치가 실외측이고, 도어의 개폐가 정상출입시간 내에 이루어지면,
    도어락이 잠금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차인증위치인 실내측에서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제2차인증의 수행을 일정시간 경과 이후로 유예하는 유예인증을 대기하는 유예인증 대기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예인증 대기단계는,
    유예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도어의 개방 후 설정된 유예시간 동안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고,
    유예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설정된 경보프로세서에 대응하여 경보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78557A 2019-07-01 2019-07-01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KR102227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57A KR102227133B1 (ko) 2019-07-01 2019-07-01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KR1020210029449A KR102370195B1 (ko) 2019-07-01 2021-03-05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57A KR102227133B1 (ko) 2019-07-01 2019-07-01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574A Division KR101996900B1 (ko) 2017-09-29 2017-09-29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449A Division KR102370195B1 (ko) 2019-07-01 2021-03-05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005A KR20190084005A (ko) 2019-07-15
KR102227133B1 true KR102227133B1 (ko) 2021-03-11

Family

ID=6725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557A KR102227133B1 (ko) 2019-07-01 2019-07-01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1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2446A (ja) 2004-08-31 2006-03-16 Systemneeds Inc 入退室時の利用者認証による電子機器の電源制御システム
KR100965428B1 (ko) 2009-12-22 2010-06-24 (주)코스텍시스템 2개의 지능카메라를 이용한 인증자입장 자동검증시스템 및 운영방법
JP2014214477A (ja) 2013-04-25 2014-11-17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入退室管理システム用のコンピュ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2941B (en) * 2001-03-15 2007-06-21 Toshiba Corp Entrance management apparatus and entrance management method by using face features identification
KR20070115081A (ko) * 2006-05-30 2007-12-05 (주)아이알큐브 실내/실외 구조 디지털 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
KR100919289B1 (ko) 2007-11-26 2009-10-01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전동 커버를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커버의 개폐방법
KR101873929B1 (ko) * 2016-02-25 2018-07-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5955A (ko) * 2017-01-31 2017-02-10 김민겸 사용자 콜백에 의한 2차인증수행 디지털 도어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2446A (ja) 2004-08-31 2006-03-16 Systemneeds Inc 入退室時の利用者認証による電子機器の電源制御システム
KR100965428B1 (ko) 2009-12-22 2010-06-24 (주)코스텍시스템 2개의 지능카메라를 이용한 인증자입장 자동검증시스템 및 운영방법
JP2014214477A (ja) 2013-04-25 2014-11-17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入退室管理システム用のコンピュ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005A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900B1 (ko)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US10944940B1 (en) Intercom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KR102401090B1 (ko)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KR20190013005A (ko) 방범용 디지털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를 이용한 도난 방지방법
KR20140117264A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0922831B1 (ko) 디지털 도어락, 그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102154405B1 (ko) 스마트 도어락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02227133B1 (ko)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KR101840661B1 (ko)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
KR102370195B1 (ko)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KR20160050965A (ko) 불법침입 방지를 위한 댁내 보안장치 및 그 보안방법
KR101885427B1 (ko)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KR101107011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KR20150114618A (ko) 이동통신망의 m2m기반에서 nfc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의한 현관카메라 및 도어락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JP2006079236A (ja) 集合住宅における通行人管理システム
KR102052734B1 (ko) 스마트 방범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59169A (ko) 클라우드 방식의 보안 제어 시스템
JP200610119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2633901B1 (ko)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보호 시스템 제공방법
KR20220170715A (ko)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KR20180000185U (ko) 영상 촬영 및 전송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한 잠금상태감시장치
JP2007164714A (ja) 入室管理装置
KR20110044481A (ko) 리모컨 제어 및 원격 통신 제어가 가능한 유무선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30071261A (ko) 스마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