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715A -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715A
KR20220170715A KR1020210081942A KR20210081942A KR20220170715A KR 20220170715 A KR20220170715 A KR 20220170715A KR 1020210081942 A KR1020210081942 A KR 1020210081942A KR 20210081942 A KR20210081942 A KR 20210081942A KR 20220170715 A KR20220170715 A KR 20220170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control unit
user
alarm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현
Original Assignee
남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현 filed Critical 남정현
Priority to KR102021008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715A/ko
Publication of KR20220170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원이 확인되지 아니한 방문자의 방문시,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와 안전 확인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정해진 단말기에 사용자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도록 한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해진 시간 동안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경보음의 발생, 지정인 또는 지정기관으로의 위험 발생 메시지 전송 등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신속한 구조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그 밖에도 사용자의 비명 감지, 녹취 내용 전송, 사전 경보음 발생, 지정인 또는 지정기관과의 신속한 통화 등에 의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 및 개방 안내 음성 출력을 통해 침입자의 심리적 압박과 함께, 누구나 손쉽게 사용자의 구조를 위한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Smart home doorbel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해진 시간 동안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경보음의 발생, 지정인 또는 지정기관으로의 위험 발생 메시지 전송 등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신속한 구조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강도나 성폭행 기타 범죄자들이 피해자의 주거지에 침입하여,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에서 혼자 집에 있을 때, 누군가가 초인종을 눌러 방문하는 것은 상당히 두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방문자는 택배기사처럼 그냥 현관문 앞에 택배물품을 놔두고, 가는 경우도 있으나, 배달 음식을 시켜먹는 경우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배달하는 경우 또는 등기우편을 배달하는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와 불가피하게 대면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근래에는 주거침입 범죄에 대한 사회적인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막상 범죄가 발생하면, 전화기를 들고 경찰에 신고할 시간적 여유도 없고, 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도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3378호의 " 비명감지기를 이용한 돌발침입범죄 대응 방범시스템과 오경보를 방지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홈네트워크 월패드에 도어카메라 호출후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를 대기하는 기준시간과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 수신후 비명감지기 경보신호를 대기하는 기준시간을 저장하는 스텝과, 홈네트워크 월패드는 도어카메라의 호출신호 수신후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가 수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홈네트워크 월패드에 저장된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 대기 기준시간과 대조하는 스텝과 홈네트워크 월패드는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 수신후 비명감지기의 경보신호가 수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홈네트워크 월패드에 저장된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 수신후 비명감지기 경보신호대기 기준시간과 대조하는 스텝과 상기 대조결과 방문객이 도어카메라를 호출후, 저장된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 대기 기준시간내에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가 수신되고, 저장된 비명감지기 경보신호 대기 기준시간내에 수신된 비명감지기의 경보신호는 범죄발생으로 판단하고 홈네트워크 방범시스템을 통하여 홈네트워크 월패드의 경보음을 울리고, 저장된 연락처에 따라 경비실기, 인접세대 월패드, 또는 휴대폰 등으로 범죄발생메시지를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대조결과 도어카메라 호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도어카메라 호출신호가 수신되었어도 저장된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 대기 기준시간내에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저장된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 대기 기준시간내에 자석감지기의 문열림신호가 수신되었어도 저장된 비명감지기 경보신호 대기 기준시간을 경과하여 수신되는 비명감지기의 경보신호는 모두 취소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비명감지만으로는 침입자에 의한 범죄를 제대로 예방 내지 신속한 조치를 어렵게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침입자에 의한 사용자의 입막음 등에 의해 비명 발생이 차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안전을 담보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를 개선시킬 필요성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해진 시간 동안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경보음의 발생, 지정인 또는 지정기관으로의 위험 발생 메시지 전송 등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신속한 구조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밖에도 사용자의 비명 감지, 녹취 내용 전송, 사전 경보음 발생, 지정인 또는 지정기관과의 신속한 통화 등에 의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도어의 개방 및 개방 안내 음성 출력을 통해 침입자의 심리적 압박과 함께, 누구나 손쉽게 사용자의 구조를 위한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신원이 확인되지 아니한 방문자의 방문시,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와 안전 확인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정해진 단말기에 사용자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조작부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주변에 대한 오디오의 입력을 위해 마련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오를 녹음하는 녹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녹음부에 의해 녹음되는 오디오를 데이터로서 상기 전송부에 의해 정해진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주변에 대한 오디오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오디오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디오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가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경보음발생부가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정해진 단말기에 사용자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시키도록 하고, 상기 도어락이 개방된 상태일 때 출력하는 도어 개방 안내 음성 가이드를 도어의 비밀번호 입력시까지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록킹해제/안내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방문자와의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통화버튼과 도어락의 개방을 위한 개방버튼과 함께, 상기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안심버튼이 마련되고,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시간의 만료를 사전에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경보음발생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안전 확보 실행 시간을 등록하면, 상기 등록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에 의한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의 입력이 없더라도, 상기 도어락이 개방된 때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경보음발생부를 통한 경보음의 발생과 정해진 단말기에 사용자의 위험을 위한 정보를 상기 전송부에 의해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송부는, 관리사무소단말기, 경찰서단말기, 지정인단말기 및 경비업체단말기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정해진 단말기로 하여, 사용자의 위험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의 전화번호나 인적사항을 상기 정보로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에 의하면, 정해진 시간 동안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경보음의 발생, 지정인 또는 지정기관으로의 위험 발생 메시지 전송 등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신속한 구조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그 밖에도 사용자의 비명 감지, 녹취 내용 전송, 사전 경보음 발생, 지정인 또는 지정기관과의 신속한 통화 등에 의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 및 개방 안내 음성 출력을 통해 침입자의 심리적 압박과 함께, 누구나 손쉽게 사용자의 구조를 위한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10)은 조작부(11), 제어부(12), 경음발생부(14) 및 전송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10)은 벽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및 외부인과의 통화 등을 수행하는 홈 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홈 시스템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홈 시스템과 연동 또는 별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조작부(11)는 신원이 확인되지 아니한 방문자의 방문시,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와 안전 확인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위하여 마련된다. 조작부(11)는 예컨대, 방문자와의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통화버튼(11a)과 도어락(5)의 개방을 위한 개방버튼(11b)과 함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안심버튼(11c)이 마련될 수 있고, 패스워드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11d)가 마련될 수 있는데, 전체적으로 터치패널로 구성되거나, 터치패널과 함께 물리적인 버튼이 추가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조작부(11)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조작부(11)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2)는 디스플레이부(22)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조작부(11)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1)는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 사용자마다 패스워드를 등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패스워드는 숫자, 알파벳, 기호 등일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버튼들이 해당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설정된 시간의 카운트를 위하여 타이머(1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타이머(13)는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시간 완료시, 이를 신호로서 제어부(12)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12)가 설정된 시간의 완료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설정된 시간은 2~4분, 일례로 3분일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제어부(12)가 조작부(11)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설정된 시간의 만료를 사전에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경보음발생부(14)를 제어할 수 있는데, 사전 경보음의 발생시간은 예컨대 설정된 시간의 만료 1분 전이나 30초 전 또는 그 밖에 사용자가 입력부(11)를 통해 설정된 시간 전일 수 있다. 또한 사전 경보음은 설정된 시간의 만료를 출력하는 경보음과는 음량 및 종류 등에 있어서 달리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사용자가 조작부(11)에 의해 안전 확보 실행 시간을 등록하면, 등록된 시간 동안 조작부(11)에 의한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의 입력이 없더라도, 도어락이 개방된 때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 조작부(11)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경보음발생부(14)를 통한 경보음의 발생과, 정해진 단말기(1,2,3,4)에 사용자의 위험을 위한 정보를 전송부(15)에 의해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보발생부(14)는 제어부(12)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하는데, 미리 정해진 경보음이나 사용자가 조작부(11)의 조작에 의해 선택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용 스피커일 수 있다.
전송부(15)는 제어부(12)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정해진 단말기(1,2,3,4)에 사용자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전송부(15)는 관리사무소단말기(1), 경찰서단말기(2), 지정인단말기(3) 및 경비업체단말기(4)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정해진 단말기(1,2,3,4)로 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처한 것임을 나타내는 위험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의 전화번호나 인적사항을 정보로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Wi-Fi, 3G, LTE, 5G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기(1,2,3,4)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2,3,4)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PC나 노트북 등을 비롯하여 정해진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과 함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다양한 정보처리 및 통신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10)은 마이크로폰(16), 녹음부(17) 및 오디오감지센서(1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록킹해제/안내음성출력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은 조작부(11)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시,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주변에 대한 오디오의 입력을 위해 마련된다. 또한 마이크로폰(16)은 방문자, 관리실의 관리자, 경비실의 경비원 또는 외부 입주자와의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 입력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녹음부(17)는 마이크로폰(16)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오를 녹음하도록 하는데, 녹음된 오디오는 전송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정해진 형식의 파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조작부(11)의 조작신호, 예컨대 안심버튼(11c)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조작부(11), 예컨대 입력부(11d)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녹음부(17)에 의해 녹음되는 오디오를 데이터로서 전송부(15)에 의해 정해진 단말기(1,2,3,4)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2,3,4)에 전송되는 녹음된 오디오를 통해서 현재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오디오감지센서(18)는 조작부(11)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시,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주변에 대한 오디오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감지센서(18)는 마이크로폰(16)과는 별개로서, 일종의 소음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마이크로폰(16)이 오디오의 감지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조작부(11)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감지센서(18)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가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위해가 가해지는 상황으로 판단되어, 경보음발생부(14)가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정해진 단말기(1,2,3,4)에 사용자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록킹해제/안내음성출력부(19)는 조작부(11)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조작부(11)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도어락(5)의 록킹을 해제시키도록 하고, 도어락(5)이 개방된 상태일 때 출력하는 도어 개방 안내 음성 가이드를 도어의 비밀번호 입력시까지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록킹해제/안내음성출력부(19)는 사용자의 안전이 위협을 받는 상황인 경우, 즉 조작부(11)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조작부(11)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도어를 개방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도어의 개방상태를 음성으로 계속해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소란을 감지한 이웃이나 주변인, 단말기(1,2,3,4)에 제공되는 사용자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제공받아 출동한 관리사무소 직원, 경찰, 지정인 또는 경비업체의 경비원 등이 사용자의 구조를 위해, 별도의 도어 개방 작업없이 신속하게 집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문자가 위해를 가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경우, 도어가 개방상태임을 인지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현재의 집안으로 진입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심리적 부담을 가짐으로써 범행의 의지를 급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10)은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메모리부(21)와, 화상 통화시 상대방이나 주변의 영상을 제공함과 아울러, 동작 상태나 입력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2)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23)와, 설치 장소에 대한 영상 획득을 위해 필요한 카메라(24)와, 영상 통화 등을 위해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5) 등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에 따르면, 정해진 시간 동안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경보음의 발생, 지정인 또는 지정기관으로의 위험 발생 메시지 전송 등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신속한 구조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그 밖에도 사용자의 비명 감지, 녹취 내용 전송, 사전 경보음 발생, 지정인 또는 지정기관과의 신속한 통화 등에 의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 및 개방 안내 음성 출력을 통해 침입자의 심리적 압박과 함께, 누구나 손쉽게 사용자의 구조를 위한 진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관리사무소단말기 2 : 경찰서단말기
3 : 지정인단말기 4 : 경비업체단말기
5 : 도어락 11 : 조작부
11a : 통화버튼 11b : 개방버튼
11c : 안심버튼 11d : 입력부
12 : 제어부 13 : 타이머
14 : 경보음발생부 15 : 전송부
16 : 마이크로폰 17 : 녹음부
18 : 오디오감지센서 19 : 록킹해제/안내음성출력부
21 : 메모리부 22 : 디스플레이부
23 : 전원공급부 24 : 카메라
25 : 스피커

Claims (5)

  1. 신원이 확인되지 아니한 방문자의 방문시,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와 안전 확인용 패스워드의 입력을 위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정해진 단말기에 사용자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주변에 대한 오디오의 입력을 위해 마련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오를 녹음하는 녹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녹음부에 의해 녹음되는 오디오를 데이터로서 상기 전송부에 의해 정해진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주변에 대한 오디오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오디오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디오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가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경보음발생부가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정해진 단말기에 사용자의 위험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시키도록 하고, 상기 도어락이 개방된 상태일 때 출력하는 도어 개방 안내 음성 가이드를 도어의 비밀번호 입력시까지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록킹해제/안내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방문자와의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통화버튼과 도어락의 개방을 위한 개방버튼과 함께, 상기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안심버튼이 마련되고,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시간의 만료를 사전에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경보음발생부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안전 확보 실행 시간을 등록하면, 상기 등록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에 의한 안전 확보를 위한 조작신호의 입력이 없더라도, 상기 도어락이 개방된 때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작부를 통한 패스워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경보음발생부를 통한 경보음의 발생과 정해진 단말기에 사용자의 위험을 위한 정보를 상기 전송부에 의해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송부는,
    관리사무소단말기, 경찰서단말기, 지정인단말기 및 경비업체단말기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정해진 단말기로 하여, 사용자의 위험 메시지와 함께 사용자의 전화번호나 인적사항을 상기 정보로서 전송하도록 하는,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KR1020210081942A 2021-06-23 2021-06-23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KR20220170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942A KR20220170715A (ko) 2021-06-23 2021-06-23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942A KR20220170715A (ko) 2021-06-23 2021-06-23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715A true KR20220170715A (ko) 2022-12-30

Family

ID=8453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942A KR20220170715A (ko) 2021-06-23 2021-06-23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7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5995B2 (ja) 監視及びコンシェルジェサービスのためのスケーラブルなシステム及び方法
CA2880597C (en) System and method of alerting central monitoring station and registered users about a potential duress situation using a mobile application
EP2933783A1 (en) System and method to access/restrict a security system for temporary users using a mobile application
KR101996900B1 (ko)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CN106355693A (zh) 一种家居安防系统及其实现方法
US10944940B1 (en) Intercom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EP3136362A1 (en) Prognosticating panic situations and pre-set panic notification in a security system
KR102208616B1 (ko)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
US20200312073A1 (en) System for receiving delivery items and method therefor
JP5364654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220327881A1 (en) System for receiving delivery items and method therefor
KR20220170715A (ko) 스마트홈 도어벨 시스템
JP2014045356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107011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KR20210030602A (ko) 스마트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KR20100012156A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JP2005029958A (ja) 防犯システム
KR102227133B1 (ko)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KR102370195B1 (ko)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패턴 기반의 도어락
JP7377652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459992Y1 (ko)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입력오류 확인 및 처리 시스템
KR20030078139A (ko) 방문자 확인장치
JP2005094621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8219475A (ja) セキュリティ機能付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10044481A (ko) 리모컨 제어 및 원격 통신 제어가 가능한 유무선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