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616B1 -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616B1
KR102208616B1 KR1020190150420A KR20190150420A KR102208616B1 KR 102208616 B1 KR102208616 B1 KR 102208616B1 KR 1020190150420 A KR1020190150420 A KR 1020190150420A KR 20190150420 A KR20190150420 A KR 20190150420A KR 102208616 B1 KR102208616 B1 KR 10220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der
door lock
public toilet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준
주성현
백현규
Original Assignee
정해준
주성현
백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준, 주성현, 백현규 filed Critical 정해준
Priority to KR102019015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인증과정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도어락시스템은 공중화장실의 위치, 공중화장실 사용가능성별, 사용가능 인원수를 포함하는 시설세부정보 및 도어락 장치 상태정보를 파악하고, 개인가입자들의 성별,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서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성별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지문, 얼굴을 포함하는 생체정보에 의해 사용자 성별을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 성별과 공중화장실이용 가능 사용자 성별이 일치하는 경우,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락;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공공화장실 도어락 해제를 위한 성별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하고, 공공화장실 사용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성별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PUBLIC TOILET DOOR LOCK SYSTEM AND GENDER RECOGNITION METHOD}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지문, 얼굴, 목소리 등의 생체정보 및 주민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통해 사용자 성별을 인식하여 공중화장실 이용 가능 성별에게만 화장실 문에 설치된 도어락을 해제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KOSIS(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2014년~2016년까지 전국 공중화장실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범죄 발생건수는 총 5천826건에 달했으며, 2016년 2천50건(강력 169건, 절도 439건, 폭력 232건, 지능 379건, 풍속 654건, 기타 115건)으로 매년 10%~15%씩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경찰청에서는 여성이나 아동 등을 대상으로 하는 강력범죄 증가에 따라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회적 약자 안전과 보호대책을 마련했다. 보호 대책 중 하나로 공원이나 방문객이 많은 장소의 공중 여성 화장실에 지자체와 공동체 협업치안을 통해 음성비상벨 설치해 운용 하면서 점차 확대하고 있다.
공중화장실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공간으로 비상상황 발생 시 기존에 설치된 비상벨은 버튼을 직접 눌려야 경보음이 울려 112와 연결되는 시스템이다. 종래 비상벨은 긴박한 상황에서 비상벨을 찾아 누르기가 쉽지 않고 감금 등의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서는 상황대처에 어려움 등 단점이 많아 사용에 제약이 있다. 또한, 경찰관들이 긴급 출동한 현장 실상은 취객들의 소란, 청소년들의 호기심에 의한 장난 등으로 범죄 현장과 무관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경찰에서는 화장실 비상벨 신고를 최우선 순위로 처리를 하다가 보니 정작 다른 긴급한 112신고에 대해 대응이 늦어져 경찰력 낭비와 주민들이 치안서비스를 제때 받을 수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또한, 음성비상벨 등 여러 보호대책이 실효 되는 중에도 몰카와 같은 강력범죄가 공중화장실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최소한의 안전 확보 및 공중화장실 범죄예방을 위한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672814호(2016.10.31) 2. 등록특허공보 제10-1706674호(2017.02.08)
실시예에 따른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은 공중화장실을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성별을 인식하여 인식된 성별이 공중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성별인 경우에만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도어락을 해제한다. 이로써 공중화장실에 설정된 사용자 성별과 다른 성별의 사용자는 공중화장실 출입을 제한하여 공중화장실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은 공중화장실의 위치, 공중화장실 사용가능성별, 사용가능 인원수를 포함하는 시설세부정보 및 도어락 장치 상태정보를 파악하고, 개인가입자들의 성별,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서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성별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지문, 얼굴을 포함하는 생체정보에 의해 사용자 성별을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 성별과 공중화장실이용 가능 사용자 성별이 일치하는 경우,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락;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공공화장실 도어락 해제를 위한 성별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하고, 공공화장실 사용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성별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의 성별 인증 방법은 관리서버는 공중화장실의 위치, 시설정보, 화장실이용가능성별, 이용가능인원 및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의 상태정보를 파악하고, 개인가입자들의 성별,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 도어락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성별이 인식되거나, 지문, 목소리, 얼굴 및 주민번호 뒷자리를 포함하는 성별인증정보에 의해 사용자 성별을 인증하는 제2단계; 사용자 단말은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공공화장실 도어락 해제를 위한 성별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공공화장실 사용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성별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제3단계; 및 도어락은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성별인증 정보와 잠금 해제 하려는 화장실의 사용가능 성별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제4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공중화장실에 설정된 성별의 사용자만 공중화장실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몰카 등 공중화장실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0)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데이터 처리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처리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의 신호흐름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의 신호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은 관리서버(100), 도어락(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공중화장실의 위치, 시설정보 및 도어락 장치 상태정보를 파악하고, 개인가입자들의 성별,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관리서버(100)는 남녀 공중화장실 각각의 출입문 위치를 파악하고, 각 출입문에 설치된 도어락이 정상 동작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으로부터 위험상황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위험발생신호를 전송한 화장실 도어락의 위치를 파악하고 근방 경찰서에 출동요청 메시지를 보내거나 도어락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안전한 공중화장실 이용을 위한 성별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300)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가 자신의 성별을 미리 인증하고 공중화장실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락(200)은 공중화장실 출입문에 설치되어, 핀 넘버를 포함하는 인증코드가 정상 입력되거나, 기 설정된 화장실 이용가능 사용자의 성별과 도어락을 해제시키려는 사용자의 성별이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도어락을 해제 시킨다. 또한, 실시예에서 도어락(200)은 화장실로 입장하는 사람과 나가는 사람을 카운팅 하여 화장실에 사람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는 경우 위험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공중화장실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성별인증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지문, 얼굴, 목소리 등의 생체 정보와 주민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통해 성별을 인증한다. 또한, 생체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성별인증을 미리 수행해 둘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관리서버는 사용자가 전송한 생체정보 및 개인정보로 성별인증을 미리 수행해 두고, 사용자가 공중화장실 이용을 위해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도어락에 지문 또는 개인인증 번호 등을 입력하면, 성별인증이 자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0)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 성별인증모듈(130) 및 제어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는 공중화장실의 위치, 공중화장실 이용가능 성별 및 이용가능 인원을 포함하는 시설세부정보와 사용자의 성별, 주민번호, 지문, 목소리, 얼굴인식정보를 포함하는 성별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업데이트 한다.
성별인증모듈(130)은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 체지방률,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성별인증 정보를 통해 도어락이 설치된 공중화장실을 사용 가능한 성별과 성별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파악한다. 실시예에서 성별인증모듈(130)은 주민번호 뒷자리 등 개인정보를 이용한 1차인증과, 사용자목소리, 얼굴인식데이터, 지문 등의 생체정보 이용한 2차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성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공중화장실을 사용 가능한 성별과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을 해제하여 사용자가 공중화장실을 이용가능 하도록 한다. 만약, 공중화장실을 사용 가능한 성별과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가 불일치 하는 경우, 제어모듈(150)은 성별 인증정보에 포함된 성별이 이용 가능한 공중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50)은 공중화장실을 사용 가능한 성별과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가 불일치 하고, 다른 성별의 사용자가 도어락을 무단 해제 시킨 것으로 확인된 경우, 관리자 및 공중화장실 근방 경찰서로 불법침입을 알릴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데이터 처리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200)은 통신부(210), 성별확인부(230) 및 제어부(250), 카메라(도면 미 도시) 및 카운팅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관리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한다. 예컨대, 도어락의 통신부(210)는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성별인증정보 또는 성별 확인 완료 정보를 전달받아 도어락 해제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위험상황 알림 메시지를 관리서버(100) 또는 근방 경찰서로 전송한다.
성별확인부(230)는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에서 전송된 개인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성별을 파악하거나, 도어락에 바깥쪽 방향으로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속 사용자의 성별을 인식한다.
잠금 제어부(250)는 공중화장실 이용 가능성별과 개인정보 또는 영상인식을 통해 인증된 성별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한다.
카운팅부(220)는 공중화장실로 입장하는 사용자와 나가는 사용자의 수를 카운팅 한다. 실시예에서 카운팅부(220)는 도어락에 바깥 방향으로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화장실로 출입하는 사용자를 카운팅 할 수 있다. 또한, 카운팅부(220)는 도어락의 잠금 해제 횟수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수를 파악하여, 화장실 안에 남아있는 사용자가 있는지 판단한다. 실시예에서 카운팅부(220)는 화장실 안에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일정시간(예컨대, 30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화장실 밖으로 나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상황 발생 메시지를 인근 경찰서 및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200)은 공중화장실 사용가능 성별과 일치하지 않은 사용자의 도어락 무단 해제 및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를 울리거나, 위험상황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경찰서 및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처리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성별정보 입력부(310) 및 통신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성별인증정보 입력부(310)는 지문, 주민번호, 체지방률을 포함하는 성별인증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실시예에서 성별인증정보에는 생체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 등록자의 성별 정보도 포함 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입력된 성별 인증 정보를 도어락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서버 또는 도어락으로부터 성별인증 이후 도어락 해제에 필요한 인증코드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330)는 사용자 단말 등록자의 성별정보를 도어락으로 전송해 성별인증정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공중화장실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성별인증과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성별인증 방법의 작용(기능)은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상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의 신호흐름도이다.
S510 단계에서 관리서버(100)는 공중화장실 위치, 시설정보 및 가입자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S520 단계에서는 도어락(200)에서 도어락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한 사용자 얼굴인식 정보, 지문인식 정보 등 성별인증에 필요한 성별인증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서버(100)으로 전송한다.
S530 단계에서는 관리서버(100)에서 공중화장실 사용 가능 성별과 성별 인증정보에 포함된 성별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일치하는 경우, S540 단계에서 관리서버(100)는 도어락으로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S550 단계에서는 도어락을 해제하여 성별이 확인된 사용자가 공중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S530 단계에서 공중화장실 사용 가능 성별과 성별 인증정보에 포함된 성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S560 단계에서는 도어락 잠금 신호를 도어락(200)으로 전송하여 S565 단계에서 도어락 잠금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의 신호흐름도이다.
S610 단계에서는 관리서버(100)에서 공중화장실의 위치, 시설정보, 사용가능 성별 및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S62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성별인증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공중화장실 고유정보를 관리서버(100)으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공중화장실 고유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관리서버(100)로 전송되거나, 사용자 단말의 공중화장실 고유코드 입력을 통해 관리서버(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S630 단계에서는 관리서버(100)에서 사용자가 접근하려는 공중화장실 사용가능 성별과 성별 인증정보에 포함된 성별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일치하는 경우, S640 단계에서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으로 도어락의 핀 넘버를 전송한다. S65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도어락 핀 넘버를 출력하여 성별인증이 완료된 사용자가 공중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S630 단계에서 관리서버(100)가 공중화장실 사용가능 성별과 성별 인증정보에 포함된 성별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S655 단계에서 관리서버(100)는 다른 공중화장실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S66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다른 공중화장실 위치 정보 중 사용자의 성별과 화장실 사용 가능 성별이 일치하는 공중화장실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른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은 공중화장실을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성별을 인식하여 인식된 성별이 공중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성별인 경우에만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도어락을 해제함으로써, 공중화장실에 설정된 사용자 성별과 다른 성별의 사용자는 공중화장실 출입을 제한한다. 이를 통해 공중화장실에 설정된 성별의 사용자만 공중화장실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몰카 등 공중화장실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0)

  1.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공중화장실의 위치, 공중화장실 사용가능성별, 사용가능 인원수를 포함하는 시설세부정보 및 도어락 장치 상태정보를 파악하고, 개인가입자들의 성별,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서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성별확인 정보를 수신하거나, 지문, 얼굴을 포함하는 생체정보에 의해 사용자 성별을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 성별과 공중화장실이용 가능 사용자 성별이 일치하는 경우,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락;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공공화장실 도어락 해제를 위한 성별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하고, 공공화장실 사용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성별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 는
    공중화장실의 위치, 시설정보, 이용가능 성별정보, 이용가능 인원수를 포함하는 시설세부정보와 사용자의 성별, 주민번호, 지문을 포함하는 성별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업데이트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 체지방률,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성별인증 정보를 통해 도어락이 설치된 공중화장실 사용 가능 성별과 상기 성별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파악하는 성별인증모듈;
    상기 공중화장실 사용 가능 성별과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을 해제하여 사용자가 공중화장실을 이용가능 하도록 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 은
    상기 공중화장실 사용 가능 성별과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가 불일치 하는 경우, 상기 성별 인증정보에 포함된 성별이 이용 가능한 공중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공중화장실 사용 가능 성별과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가 불일치 하고, 다른 성별의 사용자가 도어락을 무단 해제 시킨 경우, 관리자 및 공중화장실 근방 경찰서로 불법침입을 알리는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은
    상기 관리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에서 전송된 개인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성별을 파악하는 성별 확인부;
    상기 공중화장실을 이용 가능한 성별과 상기 개인정보를 통해 인증된 성별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지문, 얼굴, 목소리, 주민번호, 체지방률을 포함하는 성별인증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성별인증정보 입력부; 및
    입력된 성별 인증 정보를 도어락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 또는 도어락으로부터 성별인증 이후 도어락 해제에 필요한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도어락 시스템.
  7.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의 성별 인증 방법에 있어서,
    관리서버는 공중화장실의 위치, 시설정보, 화장실이용가능성별, 이용가능인원 및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의 상태정보를 파악하고, 개인가입자들의 성별,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
    도어락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성별이 인식되거나, 지문, 목소리, 얼굴 및 주민번호 뒷자리를 포함하는 성별인증정보에 의해 사용자 성별을 인증하는 제2단계;
    사용자 단말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공공화장실 도어락 해제를 위한 성별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공공화장실 사용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지문,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성별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도어락은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성별인증 정보와 잠금 해제 하려는 화장실의 사용가능 성별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제4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 는
    상기 공중화장실을 사용 가능한 성별과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가 불일치 하는 경우, 상기 성별 인증정보에 포함된 성별이 이용 가능한 공중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공중화장실 사용 가능 성별과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가 불일치 하고, 공중화장실 사용가능 성별과 다른 성별의 사용자가 도어락을 무단 해제 시킨 경우, 관리자 및 공중화장실 근방 경찰서로 위험상황 알림 메시지를 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별인증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는
    기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 체지방률, 주민번호를 포함하는 성별인증 정보를 통해 도어락이 설치된 공중화장실을 사용 가능한 성별과 상기 성별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파악하는 단계;
    상기 공중화장실을 사용 가능한 성별과 인증 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을 해제하여 사용자가 공중화장실을 이용가능 하도록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별인증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50420A 2019-11-21 2019-11-21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 KR10220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420A KR102208616B1 (ko) 2019-11-21 2019-11-21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420A KR102208616B1 (ko) 2019-11-21 2019-11-21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616B1 true KR102208616B1 (ko) 2021-01-28

Family

ID=7423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420A KR102208616B1 (ko) 2019-11-21 2019-11-21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883B1 (ko) * 2021-04-26 2022-02-08 허정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169082A1 (ko) * 2021-02-04 2022-08-11 허정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2088A (ja) * 2007-06-22 2009-01-08 Nec Corp トイレ設備利用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トイレ設備利用情報管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9266098A (ja) * 2008-04-28 2009-11-12 Miwa Lock Co Ltd 入退出管理システム
KR101672814B1 (ko) 2014-12-29 2016-11-04 주식회사 에스원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한 성별인식 방법
KR101706674B1 (ko) 2015-04-02 2017-02-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거리 가시광선 영상과 열 영상에 기반한 성별 인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2088A (ja) * 2007-06-22 2009-01-08 Nec Corp トイレ設備利用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トイレ設備利用情報管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9266098A (ja) * 2008-04-28 2009-11-12 Miwa Lock Co Ltd 入退出管理システム
KR101672814B1 (ko) 2014-12-29 2016-11-04 주식회사 에스원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한 성별인식 방법
KR101706674B1 (ko) 2015-04-02 2017-02-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거리 가시광선 영상과 열 영상에 기반한 성별 인식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082A1 (ko) * 2021-02-04 2022-08-11 허정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6806350A (zh) * 2021-02-04 2023-09-26 韩国土地住宅公社 出入门开闭控制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58883B1 (ko) * 2021-04-26 2022-02-08 허정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231107A1 (ko) * 2021-04-26 2022-11-03 허정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558B2 (en) Biometric verification and dures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090079A1 (en) Voice authenticated alarm exit and entry interface system
US9734644B2 (en) Wireless camera facilitated building security
CN106097495A (zh) 一种智能声控声纹人脸认证门禁控制系统及方法
US20140019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unting Alarms Using Identifying Tokens
JP2020521227A (ja) 監視及びコンシェルジェサービスのためのスケーラブルな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08616B1 (ko)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
US10192375B1 (en) Two-factor authentication pattern-based door lock control method and two-factor authentication pattern-based door lock
KR20180045761A (ko) 옥상문 개폐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09544755A (zh) 一种智能门锁控制方法及系统
KR101765080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453091A (zh) 集合住宅的对讲机系统
CN107610306A (zh) 一种机房门禁系统及进入机房的控制方法
KR20160006126A (ko)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KR20070101963A (ko) 얼굴인식에 기반한 차량의 보안구조 및 보안방법
AU2011383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nd tracking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JP2017215737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US20130027182A1 (en) Electronic locking device having a concealed notification function and the notification method thereof
CN106856019A (zh) 一种基于nfc技术的门禁防盗系统
KR20200060094A (ko) 출입문 보안 관리시스템
KR20170094470A (ko)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N111210546A (zh) 一种利用智能锁实现的出入口控制管理方法和系统
WO2012083456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102220921B1 (ko) 비가역함수를 이용하여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는 부정승차 검출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