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280B1 -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280B1
KR102071280B1 KR1020190021697A KR20190021697A KR102071280B1 KR 102071280 B1 KR102071280 B1 KR 102071280B1 KR 1020190021697 A KR1020190021697 A KR 1020190021697A KR 20190021697 A KR20190021697 A KR 20190021697A KR 102071280 B1 KR102071280 B1 KR 10207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unit
button
smart terminal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혜선
Original Assignee
송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혜선 filed Critical 송혜선
Priority to KR102019002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2Access control comprising means for the enrolment of users

Abstract

본 발명 홈오토 메이션 및 핸드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도어락과, 도어락의 집안쪽에서 구동 버튼부 후미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것으로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봉과, 홈오토메이션부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봉을 전후진 시키는 작동봉 구동 모터부와, 도어의 집 밖에 설치되어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홈오토메이션부로 전송하는 기존 카메라부와, 출입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출입 시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가 기저장된 번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모터 제어 신호를 작동봉 구동 모터부로 전송하는 홈오토메이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Digital DoorLock Control Ssystem by Using Home Automation and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기존 홈 오토에이션 및 핸드폰과 연동된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홈 오토메이션에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방문자가 벨을 누르면 홈 오토메이션에 부착된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 정보를 모니터를 통하여 확인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의 구동 버튼을 누르면 디지털 도어락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출입허가자가 모니터상에 나타난 영상을 통하여 방문자가 누가인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8-0049713호(2018.04.30)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도어락(100)과, 도어락의 집안쪽에서 구동 버튼부 후미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것으로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봉(200)과, 홈오토메이션부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봉을 전후진 시키는 작동봉 구동 모터부(300)와, 도어의 집 밖에 설치되어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홈오토메이션부로 전송하는 기존 카메라부(400)와, 출입허가자의 안면인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하여 전송한 영상 정보에서 안면인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면인식 정보와 기저장된 안면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모터 제어 신호를 작동봉 구동 모터부로 전송하는 홈오토메이션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작동봉 구동 모터부는 홈오토메이션과의 통신을 위하여 모터 송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작동봉 구동 모터부와 홈오토메인션의 통신은 지그비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도어락(100)은 기존 도어락의 구성에 관한 것이고, 도어의 집 밖에 설치되어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홈오토메이션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부(400)도 홈오토메이션에 부속된 기존 카메라부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홈오토메이션을 이용하고 안면인식 정보를 이용하므로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고 시스템 구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하면서도 어려움 없이 시스템을 구축하고 모든 사람이 소유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를 손쉽게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홈오토 메이션 및 핸드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도어락과, 도어락의 집안쪽에서 구동 버튼부 후미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것으로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봉과, 홈오토메이션부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봉을 전후진 시키는 작동봉 구동 모터부와, 출입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출입 시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가 기저장된 번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모터 제어 신호를 작동봉 구동 모터부로 전송하는 홈오토메이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작동봉 구동 모터부는 홈오토메이션과의 통신을 위하여 모터 송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작동봉 구동 모터부와 홈오토메인션부의 통신은 지그비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일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기와 홈오토메이션부와의 통신도 스마트 단말기가 디지털 도어락에 근접하면 지그비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홈오토메이션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도어락(100)은 기존 도어락의 구성에 관한 것이고, 도어의 집 밖에 설치되어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홈오토메이션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부(400)도 홈오토메이션부에 부속된 기존 카메라부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은 출입허가자의 특별한 액션없이 스마트 단말기와 디지털 도어락과의 통신을 통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출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어린이나 노인과 같은 취약 계층으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기억하여야 하는 어려움 없이 편리하게 집안을 출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기존 도어락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제1실시 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제2실시 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제3실시 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제3실시 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적용되는 홈오토메이션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적용되는 홈오토메이션 블록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제1실시 예에 대한 제어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제2실시 예에 대한 제어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제3실시 예에 대한 제어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제4실시 예,
도 14는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을 도 2 내지 도 12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제1실시 예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제1실시 예는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기존 디지털 도어락(100-1)과, 기존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쪽에서 구동 버튼부(150-1) 후미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것으로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봉(200-1)과 홈오토메이션부(500-1)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봉을 전후진 시키는 작동봉 구동 모터부(300-1)로 구성될 수 있는 버튼 구동수단과 출입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출입 시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가 기저장된 번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모터 제어 신호를 작동봉 구동 모터부로 전송하는 홈오토메이션부(500-1) 및 홈오토메이션부로 번호 정보를 인터넷망 또는 무선통신망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60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홈오토메이션부에는 도어의 실외에 설치되어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홈오토메이션부로 전송하는 기존 카메라부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어락은 기존 디지털 도어락의 구동 버튼부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출입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인증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스마트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와 같은 고유 정보를 인증하는 방법도 채택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제2실시 예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제2실시 예는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기존 디지털 도어락(100-2)과, 기존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 쪽에서 구동 버튼부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것으로 구동 버튼부(150-2)의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봉(200-2)과, 홈오토메이션부로부터 솔레노이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솔레노이드 여자에 따라 작동봉을 전후진시켜는 솔레노이드부(300-2)와, 출입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출입 시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가 기저장된 번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솔레노이드 제어 신호를 솔레노이부로 전송하는 홈오토메이션부(500-2) 및 홈오토메이션부로 번호 정보를 인터넷망 또는 무선통신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600-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제3실시 예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제3실시 예는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집안에서 방문자를 확인한 후에 방문자에게 문열 열어 주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기존 디지털 도어락(100-3)과, 기존 디지털 도어락의 구동 버튼부의 버튼 접접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버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버튼 구동 수단(200-3)과,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번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버튼 구동 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모듈부(300-3)와, 집안에 설치되는 모듈부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출입 시도자의 스마트 단말기(600-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와 같이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도어락(100-1)은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10-1)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20-1)와, 키 입력부를 통하여 출입 허가자의 비밀 번호를 입력받아서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도록 제어하고, 방문자의 비밀 번호 입력 시 입력된 비밀번호와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구동 모터를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며,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 구동 모터를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1)와, 도어락을 록킹하거나 록킹을 해제하도록 구동하는 도어락 구동 모터(140-1)와, 도어락을 기준으로 실내에 위치하며 집안에서 도어락 구동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버튼부(150-1)로 구성된 기존 디지털 도어락과, 기존 디지털 도어락에 추가되는 것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작동시키는 작동봉(200-1)과 홈오토메이션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작동봉 구동 모터부(300-1)로 구성된 버튼 구동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도 6에서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도어락은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10-2)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20-2)와, 키 입력부를 통하여 출입 허가자의 비밀 번호를 입력받아서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도록 제어하고, 방문자의 비밀 번호 입력 시 입력된 비밀번호와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구동 모터를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며,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 구동 모터를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2)와, 도어락을 록킹하거나 록킹을 해제하도록 구동하는 도어락 구동 모터(140-2)와, 도어락을 기준으로 실내에 위치하며 집안에서 도어락 구동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버튼부(150-2)로 구성된 기존 디지털 도어락과, 기존 디지털 도어락에 추가되는 것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작동시키는 작동봉(200-2)과 홈오토메이션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봉을 밀어주는 솔레노이드부(300-2)로 구성된 버튼 구동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3실시 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도 7에서 본 발명 제3실시 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도어락은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10-3)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20-3)와, 키 입력부를 통하여 출입 허가자의 비밀 번호를 입력받아서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도록 제어하고, 방문자의 비밀 번호 입력 시 입력된 비밀번호와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구동 모터를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며,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 구동 모터를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3)와, 도어락을 록킹하거나 록킹을 해제하도록 구동하는 도어락 구동 모터(140-3)와, 도어락을 기준으로 실내에 위치하며 집안에서 도어락 구동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버튼부(150-3)로 구성된 기존 디지털 도어락과, 기존 디지털 도어락에 추가되는 것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작동시키는 버튼 구동 수단(200-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적용되는 홈오토메이션부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도 8에서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적용되는 홈오토메이션부는 작동봉 구동모터 및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510-1)와, 카메라부가 촬영하여 전송하는 영상 정보를 표출하는 모니터(520-1)와, 방문자가 사용할 수 있는 초인종 버튼부(530-1)와, 초인종 버튼부의 신호 또는 홈오토메이션부의 신호에 따라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540-1)와, 방문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550-1)와,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기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스피커로 전송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560-1)와, 음성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스피커(570-1)와, 출입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580-1)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번호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610-1) 및 카메라부가 전송하는 영상 정보를 모니터에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초인종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부를 통하여 알람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출입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비교부로 하여금 수신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비교하도록 제어하고, 비교결과 일치하는 경우 송수신부를 통하여 작동봉 구동 모터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고,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알람부로 하여금 알람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62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적용되는 홈오토메이션부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도 9에서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적용되는 홈오토메이션부는 솔레노이드부 및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510-2)와, 카메라부가 촬영하여 전송하는 영상 정보를 표출하는 모니터(520-2)와, 방문자가 사용할 수 있는 초인종 버튼부(530-2)와, 초인종 버튼부의 신호 또는 홈오토메이션부의 신호에 따라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540-2)와, 방문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550-2)와,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가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기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스피커로 전송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560-2)와, 음성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스피커(570-2)와, 출입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580-2)와,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번호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610-2) 및 카메라부가 전송하는 영상 정보를 모니터에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초인종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부를 통하여 알람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출입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비교부로 하여금 수신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출입 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비교하도록 제어하고, 비교결과 일치하는 경우 송수신부를 통하여 솔레노이드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고,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알람부로 하여금 알람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620-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솔레노이드부와 홈오토메이션부와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제1실시 예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10에서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제1실시 예는 출입 허가자의 비밀 번호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방문자의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비밀 번호와 기저장된 출입 허가자의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도어를 중심으로 집안에 위치한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기존 도어락을 기초로 홈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은 출입허가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홈오토메인션부의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11)와, 출입 시도자가 스마트 단말기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홈오토메이션부로 전송하는 단계(S12)와, 홈오토메이션부가 수신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와 기저장된 출입 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13)와, 일치하는 경우, 홈오토메이션부가 모터 제어신호를 실내 도어락 구동 버튼부의 후미에 설치된 작동봉 구동 모터로 전송하는 단계(S14)와, 작동봉 구동 모터가 작동하여 작동봉을 전진시켜 도어락의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누르는 단계(S15)와, 구동 버튼부의 신호를 수신한 도어락 구동 모터가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는 단계(S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S13 단계에서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알람부를 통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어락의 록킹이 해제되면 손잡이를 돌려 도어를 열거나 도어를 밀어 그냥 열 수도 있는 것으로 다양한 도어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제2실시 예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11에서 본 발명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제2실시 예는 출입허가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홈오토메인션부의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21)와, 출입 시도자가 스마트 단말기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홈오토메이션부로 전송하는 단계(S22)와, 홈오토메이션부가 수신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와 기저장된 출입 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23)와, 일치하는 경우, 홈오토메이션부가 솔레노이드 제어신호를 실내 도어락 구동 버튼부의 후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부로 전송하는 단계(S24)와, 솔레노이드부가 구동하여 작동봉을 전진시켜 도어락의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누르는 단계(S25)와, 구동 버튼부의 신호를 수신한 도어락 구동 모터가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는 단계(S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S23 단계에서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알람부를 통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S2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제3실시 예에 대한 제어 흐름도 이다. 상기도 12에서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제3실시 예는 출입허가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모듈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31)와, 출입 시도자가 스마트 단말기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구동버튼부 후미에 설치된 모듈부로 전송하는 단계(S32)와, 모듈부가 수신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와 기저장된 출입 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33)와, 일치하는 경우, 모듈부가 제어신호를 버튼 구동 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S34)와, 버튼 구동 수단이 구동하여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S35)와, 버튼의 전기 신호를 수신한 도어락 구동 모터가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는 단계(S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S33 단계에서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알람부를 통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S3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스마트 단말기와 모듈부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며, 스마트 단말기에서 번호 정보의 전송은 어플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제4실시 예이다. 상기도 13에서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제4실시 예는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락(100-4)과, 디지털 도어락에 설치되는 것으로 집안에서 방문자를 확인한 후에 방문자에게 문열 열어 주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버튼부(150-4)와, 도어락의 집안쪽에 설치되는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눌러 버튼 신호를 생성하거나 구동 버튼부의 버튼 접접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버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버튼 구동 수단(200-4)과, 출입 허가자의 안면인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안면 인식 정보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안면 인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버튼 구동 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모듈부(300-4)와,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출입시도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 영상 정보에서 안면 인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면 인식 정보를 모듈부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600-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물리적으로 눌러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는 도어락 제어 어플을 설치하고 도어락 제어 어플을 활성화하면 카메라가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제어 어플에 포함된 안면 인식 추출부를 이용하여 안면 인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면 인식 정보를 모듈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스마트 단말기에는 디지털 도어락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도어락 제어 어플을 활성화한 후 안면 인식 정보를 고유 정보가 저장된 디지털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14에서 본 발명 디지털 도어락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은 출입허가자의 안면 인식 정보를 모듈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41)와,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도어락 제어 어플을 활성화하는 단계(S42)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출입시도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 영상에서 안면 인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43)와, 스마트 단말기가 추출된 안면 인식 정보를 도어락에 설치된 모듈부로 전송하는 단계(S44)와, 모듈부가 수신된 안면인식 정보와 기저장된 출입 허가자의 안면인식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45)와, 일치하는 경우, 모듈부가 제어신호를 버튼 구동 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S46)와, 버튼 구동 수단이 구동하여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S47)와, 버튼의 전기 신호를 수신한 도어락 구동 모터가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는 단계(S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S45 단계에서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알람부를 통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S4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100, 100-2, 100-3 : 도어락 200, 200-2 : 작동봉,
300 : 작동봉 구동 모터, 400 : 카메라부,
500, 500-2 : 홈오토메이션부, 600 : 스마트 단말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집안에서 방문자를 확인한 후에 방문자에게 문을 열어 주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버튼부(150-1)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기존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존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기존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쪽에서 구동 버튼부(150-1) 후미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것으로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봉(200-1)과 모듈부(300-3)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봉을 전후진 시키는 작동봉 구동 모터부(300-1)로 이루어진 버튼구동수단(200-3)과;
    출입 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출입 시도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번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버튼 구동 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모듈부(300-3);
    및 실내에 설치되는 모듈부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600-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출입허가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모듈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31)와;
    출입 시도자가 스마트 단말기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구동버튼부 후미에 설치된 모듈부로 전송하는 단계(S32)와;
    모듈부가 수신된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와 기저장된 출입 허가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33)와;
    일치하는 경우, 모듈부가 제어신호를 구동버튼수단(200-3)으로 전송하는 단계(S34)와;
    기존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쪽에서 구동 버튼부(150-1) 후미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것으로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봉(200-1)과 모듈부(300-3)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봉을 전후진 시키는 작동봉 구동 모터부(300-1)로 이루어진 버튼 구동 수단이 구동하여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S35);
    및 버튼의 전기 신호를 수신한 도어락 구동 모터가 구동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는 단계(S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7. 비밀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시에 입력받은 출입 허가자의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집안에서 방문자를 확인한 후에 방문자에게 문열 열어 주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버튼부(150-4)의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기존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존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상기 기존 디지털 도어락의 집 안쪽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 버튼부의 버튼을 눌러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기존 디지털 도어락의 실내쪽에서 구동 버튼부(150-1) 후미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는 것으로 구동 버튼부의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봉(200-1)과 모듈부(300-3)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봉을 전후진 시키는 작동봉 구동 모터부(300-1)로 이루어진 버튼 구동 수단(200-4)과;
    출입 허가자의 안면인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출입 시도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안면 인식 정보를 수신하고 기저장된 안면 인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버튼 구동 수단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모듈부(300-4);
    및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출입시도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 영상 정보에서 안면 인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면 인식 정보를 모듈부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600-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1020190021697A 2019-02-25 2019-02-25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KR10207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697A KR102071280B1 (ko) 2019-02-25 2019-02-25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697A KR102071280B1 (ko) 2019-02-25 2019-02-25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280B1 true KR102071280B1 (ko) 2020-03-02

Family

ID=6980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697A KR102071280B1 (ko) 2019-02-25 2019-02-25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52B1 (ko) * 2020-03-06 2020-11-24 송혜선 스마트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635A (ko) * 2010-02-04 2011-08-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도어락 장치 및 그것의 키 관리 방법
KR20170033534A (ko) * 2015-09-17 2017-03-27 이근장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KR20180093844A (ko) * 2016-08-04 2018-08-22 양해성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635A (ko) * 2010-02-04 2011-08-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도어락 장치 및 그것의 키 관리 방법
KR20170033534A (ko) * 2015-09-17 2017-03-27 이근장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KR20180093844A (ko) * 2016-08-04 2018-08-22 양해성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52B1 (ko) * 2020-03-06 2020-11-24 송혜선 스마트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67741A (zh) 双信道人证合一智能锁控制方法和系统
CN102663846A (zh) 基于安卓操作平台的智能访客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5054566B2 (ja) 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577036B1 (ko) Ip 카메라 기반의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00540A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5074857B2 (ja) 電気錠システム
KR102071280B1 (ko) 홈 오토메이션 및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KR102085540B1 (ko) 가정에 설치되는 nas 서버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방법
CN111968275A (zh) 一种智能锁、智能楼宇可视对讲系统通信方法及装置
JP4984490B2 (ja) 不在時の訪問者認証システム
KR20150035644A (ko)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5257B1 (ko) 홈 오토메이션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제어 방법
KR100718196B1 (ko) 다단계 보안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JP7016043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97825A (ja) 開錠方法
JP2003129712A (ja) 共同玄関施解錠システム
JP4344303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0699234B1 (ko)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방재 무선네트워킹 시스템
KR20160098901A (ko) 사용자 인증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SE1951140A1 (en) A method for forming a network connection
JP2019196638A (ja) 集合住宅用エントランスドア解錠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の使用方法
JP2020148054A (ja) 集合住宅における玄関錠の解錠システム
CN111583450A (zh) 智能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