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258B1 -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 Google Patents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258B1
KR101037258B1 KR1020057019322A KR20057019322A KR101037258B1 KR 101037258 B1 KR101037258 B1 KR 101037258B1 KR 1020057019322 A KR1020057019322 A KR 1020057019322A KR 20057019322 A KR20057019322 A KR 20057019322A KR 101037258 B1 KR101037258 B1 KR 101037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ring
steel
fixing
divided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664A (ko
Inventor
츠토무 카도타니
타카시 타카가키
마사토 야마다
요시유키 마츠바라
모토노부 니시노
에이지 이노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코 스틸 와이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15083A external-priority patent/JP3565348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코 스틸 와이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코 스틸 와이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16G11/04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friction clamps deforming the cable, wire, rope or cord
    • F16G11/048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friction clamps deforming the cable, wire, rope or cord by moving a surface into th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강재의 외주에 분할편을 균등하게 배치해서, PC강재에 가해지는 부가응력의 편향을 방지할 수 있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를 제공한다. 복수의 분할편(11)을 조합함으로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서 PC강재를 파지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이다. 상기 분할편(11)을 원뿔형상으로 유지하는 구속링(20)을 구비한다. 이 구속링(20)은,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21)를 가진다. 구속링(20)의 돌기(21)를 분할편(11)의 틈새에 끼워넣도록 구성함으로서, PC강재의 긴장 시, 각 분할편(11)의 배치를 균등하게 유지해서, PC강재에 균등하게 부가응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PC강재의 정착용 웨지{WEDGE FOR FIXING PC STEEL}
본 발명은, PC구조물에 있어서, PC강재(鋼材)의 단부를 정착하는 데에 이용하는 웨지에 관한 것이다.
PC강(鋼)꼬임선 등의 PC강재를 PC구조물에 정착하는 구조로서, 웨지와 앵커디스크를 이용한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68158호 공보(도 4) 참조). 이 정착구조는,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PC강꼬임선(30)의 외주를 내ㆍ외부 트럼펫체(41, 42)로 피복하고, 콘크리트구조물(60)의 단부면쪽에 리브캐스트앵커(43)를 배치한 것이다.
리브캐스트엥커(43) 위에는 앵커디스크(46)가 배치된다. 앵커디스크(46)는, PC강꼬임선(30)의 관통구멍을 복수 가지는 원반형상의 것으로서, 이 관통구멍의 일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후술하는 웨지(10)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PC강꼬임선(30)의 단부에는 웨지(10)가 장착된다. 웨지(10)는 복수의 분할편(分割片)(11)을 조합함으로서 원뿔대형상으로 형성된다. 분할편(11)을 조합한 상태에서, 웨지(10)의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뻗는 둥근구멍이 형성된다. 이 둥근구멍 안에서 PC강꼬임선(30)이 웨지(10)에 파지(把持)된다. 각 분할편(11)은, 고무나 강철제품의 구속링(20)에 의해 뿔뿔이 흩어지지 않도록 일체화된다. 구속링(20)은, 예를 들면, 원뿔대형상으로 조합한 웨지의 외주에 끼워지는 ○링이다.
웨지가 장착된 PC강꼬임선은, 잭에 의해 소정의 긴장력이 부여되고, 이 긴장상태로 웨지를 앵커디스크의 관통구멍에 끼워넣음으로서 정착된다.
그러나, 상기의 웨지에서는, PC강재의 둘레방향으로 각 분할편이 불균일하게 배치되고, PC강재에 가해지는 부가응력도 불균일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지는 복수의 분할편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웨지는 정착 후에 있어서, (1) 긴쪽방향에 대해서는 균일하게, (2) 원둘레방향에 대해서는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쪽방향에 대해서는 긴장 작업 시에 잭의 정착판의 부가력에 의해 분할편의 단부가 균일하게 맞춰진 다음에 정착되기 때문에, 웨지는 긴쪽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배치된다. 한편, 원둘레방향에 대해서는, 정착 후에 균등 배치하는 것이 어렵다. 이것은 긴장 시에 웨지가 일단 앵커디스크로부터 들뜨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강꼬임선(30)의 긴장 전에 각 분할편(11)이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장 중, 웨지의 외주에 끼운 결속링(40) 내부를 이동해서 분할편(11)이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고, 도 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후에 있어서도 어긋난 상태인 채로 되는 경우가 있다. 긴장 전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해서 각 분할편을 균등하게 배치해도, 긴장 중에 웨지가 일단 들뜨기 때문에, 균등한 배치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PC강재의 외주에 분할편을 균등하게 배치해서, PC강재에 가해지는 부가응력의 편향을 방지할 수 있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웨지의 분할편을 보형(保形)하는 구속링의 형태를 여러 가지로 궁리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즉, 본 발명 PC강재의 정착용 웨지는, 복수의 분할편을 조합함으로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서 PC강재를 파지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로서, 상기 분할편을 원뿔형상으로 유지하는 구속링을 구비하고, 이 구속링은,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할편을 조합해서 PC강재를 파지하면, 각 분할편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긴장 시, 이 틈새분만큼 각 분할편은 PC강재의 둘레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불균일한 배치가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는, 분할편을 원뿔형상으로 보형하는 구속링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를 분할편의 틈새에 끼워넣도록 구성한다. 이 돌기에 의해, PC강재의 긴장 시, 각 분할편의 배치를 균등하게 유지해서, PC강재에 균등하게 부가응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통상, 이 웨지는, 분할편을 조합한 경우에, 원뿔대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분할편의 각각은, 웨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각 분할편은, 조합한 경우, 안쪽에 둥근구멍을 형성해서 PC강재와의 접촉면을 구성한다. 이 분할편의 내부면에는 산형태의 톱니를 형성해서, PC강재를 긴장ㆍ정착한 경우, 이 톱니가 PC강재에 맞물림으로서 PC강재에 도입된 하중을 부담한다. 분할편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2 ~ 3개 정도이다. 각 분할편의 큰 직경쪽 외주에는 고리형상 홈이 형성되고, 이 고리형상 홈을 이용해서 구속링을 웨지에 유지한다.
구속링은, 통상, 둥근고리부와, 이 둥근고리부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를 가진다. 둥근고리부는 폐쇄한 것과 개방한 것의 양쪽 모두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둥근고리부는, 웨지의 외주면에 배치하도록 해도 되고,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폐쇄된 둥근고리부로서는, 고무링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링이나 금속고리 등을 들 수 있다. 고무링인 경우, 잡아늘일 수 있기 때문에, 고무링의 직경을 잡아늘인 상태로 웨지 외주의 고리형상 홈에 끼워넣는다. 고무링을 고리형상 홈에 끼워넣어 이용하는 경우, 돌기는, 둥근고리부의 내주쪽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한다.
또, 구속링의 둥근고리부로서 폐쇄된 고무링을 이용하는 경우, 돌기는 둥근고리부와 동일한 두께로 해도 된다. 또, 이 둥근고리부의 웨지의 큰 직경쪽으로 블록부를 일체 성형하도록 해서, 이 블록부의 일부를 둥근고리부의 내주쪽을 행하여 돌출시켜서 돌기를 형성해도 된다. 블록부를 형성하는 경우, 이 블록부에 의해 분할편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배치를 보다 확실히 균등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둥근고리부는 웨지 외주의 고리형상 홈에 끼워넣도록 한다.
또, 폐쇄된 둥근고리부로서 금속고리를 이용하고, 또한, 이 금속고리를 웨지 외주의 고리형상 홈에 끼워넣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둥근고리부를 주름통 형상으로 굴곡시키면서 고리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둥근고리부에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둥근고리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고리는, 주름통부분에 의해 스프링의 효과를 가지므로, 웨지의 작은 직경 부분에서 삽입해서, 금속고리의 직경을 잡아늘인 상태로 웨지 외주의 고리형상 홈에 끼워넣을 수 있다. 금속고리를 주름통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굴곡부분의 일부를 둥근고리부의 내주쪽으로 크게 굴곡시켜서 돌기를 성형할 수 있다.
또, 고무링과 같이 직경을 넓힐 수 없는 금속고리의 경우는, 금속고리에 둥근고리부를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유지하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한다. 걸어맞춤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둥근고리부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거의 축방향으로 뻗어서, 둥근고리부의 직경방향으로 탄성을 지니는 탄성돌출편을 들 수 있다. 이 탄성돌출편을 웨지의 고리형상 홈에 끼워넣음으로서 둥근고리부를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유지한다. 또한, 금속고리에서는,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도 둥근고리부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둥근고리부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시키면 된다.
또한, 폐쇄된 둥근고리부를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유지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 이 둥근고리부에 유지 핀이 삽입통과되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웨지에 둥근고리부를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부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걸어맞춤부에 유지 핀을 삽입통과시켜서, 유지 핀을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유지 핀을 개재해서 걸어맞춤부가 웨지에 유지된다. 또한, 둥근고리부는 금속고리이어도 되고, 판형상의 고무링이어도 된다.
또한, 돌기는 웨지의 작은 직경쪽을 향하여 돌출시켜서 둥근고리부에 형성되는 돌출체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돌출체를 분할편의 사이의 틈새에 끼워넣도록 한다. 이 돌출체는, 통형상으로 해도 되고, 원기둥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돌출체는, 웨지 정착 시에 있어서 각 분할편의 사이에서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 연유로, 돌출체는, 통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등의 변형되기 쉬운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원기둥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탄성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방된 고리형상부로서는, 선형상체나 띠형상체 등의 장척체를 고리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들 수 있다. 일단부와 타단부를 가지는 장척체를 고리형상으로 성형하고, 또한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도 상기 장척체에 연속해서 성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척체가 금속선 등의 선형상체이고, 이 선형상체를 굴곡해서 일단부와 타단부가 겹쳐지도록 고리형상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도 상기 선형상체를 굴곡해서 성형한다.
또, 장척체가 띠형상체이고, 이 띠형상체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간격을 두고 고리형상으로 성형되는 동시에,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도 상기 띠형상체와 일체로 성형되어도 된다. 그 때, 상기 띠형상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이들 양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지그의 장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장척체를 띠형상체로 구성해서 개방된 고리형상부에 성형하는 경우, 2매의 상기 띠형상체를 단부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포개서 상기 분할편의 고리형상 홈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각의 단부가 다른 쪽의 띠형상체로 폐쇄된 상태가 되므로, 구속링이 전체적으로 둘레방향으로 폐쇄된 둥근고리 상태가 되어서, 분할편을 보다 확실히 균등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 개방된 고리형상부로서는, 띠형상체를 고리형상으로 성형하고,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체를 띠형상체의 웨지의 큰 직경쪽으로 돌출해서 형성하여, 이 블록체에 의해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블록체를 형성하는 경우, 이 블록체에 의해 분할편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배치를 보다 확실히 균등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개방된 고리형상부를 가지는 구속링에서는, 어느 경우도, 고리형상부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가지는 장척체로 구성되고, 이 양단부는 서로 연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둥근고리부의 직경을 넓힐 수 있어서, 웨지의 고리형상 홈에 구속링을 장착할 수 있다.
돌기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돌기의 수는 분할편의 수에 맞춰서 형성한다. 예를 들면, 분할편이 3개이면, 각 분할편의 틈새도 3개소 가능하기 때문에, 돌기의 수도 3개소로 한다. 돌기의 배치는, 구속링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되도록 실시한다. 또, 이 돌기는, 둥근고리부의 내주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둥근고리부의 외주로부터 중심방향쪽을 향해서 비스듬히 돌출하도록 형성되어도 되며, 둥근고리부로부터 축방향을 향해서 돌출시키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속링의 구성재료는, 고무 등의 탄성재가 매우 적합하다. PC강재의 정착 시, 각 분할편의 틈새가 죄임으로서 돌기가 변형되지만,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배치는 균등하게 유지된다. 그 이외, 구속링은, 금속 혹은 플라스틱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 웨지는, 피복되지 않은 PC강꼬임선은 물론, 에폭시수지 등의 수지피복을 형성한 PC강꼬임선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웨지에 의하면, 구속링의 사양(仕樣)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분할편을 PC강재의 외주에 균등하게, 또한, 긴쪽방향에 대해서 균일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런 연유로, PC강재를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정착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PC강재의 긴장 작업도, 종래의 웨지를 이용한 경우와 하등 변화가 없어서, 특별한 기구나 장치를 이용해서 긴장을 실시할 필요도 없다.
도 1(A)는 본 발명 웨지의 단면도, 도 1(B)는 해당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웨지에 이용하는 실시예 1에 관한 구속링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웨지에 의한 PC강꼬임선의 유지상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 3(A)는 PC강꼬임선 긴장 전, 도 3(B)는 PC강꼬임선 긴장 중, 도 3(C)는 정착 후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실시예 2에 관한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구속링의 평면도, 도 4(B)는 A-A단면도, 도 4(C)는 B-B단면도;
도 5는 도 4의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A)는 실시예 3에 관한 클립형상 구속링의 평면도, 도 6(B)는 정면도, 도 6(C)는 오른쪽 측면도;
도 7은 도 6의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A)는 실시예 4에 관한 판형상 구속링의 평면도, 도 8(B)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도 8의 구속링의 웨지에의 다른 장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A)는 실시예 5에 관한 판형상 구속링의 평면도, 도 11(B)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A)는 실시예 6에 관한 주름통 형상 구속링의 평면도, 도 13(B)는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도 13의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6(A)는 실시예 7에 관한 웨지의 단부면쪽으로부터 장착 가능한 구속링의 평면도, 도 16(B)는 A-A단면도, 도 16(C)는 B-B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8(A)는 실시예 8에 관한 판형상 구속링의 평면도, 도 18(B)는 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0(A)는 PC강꼬임선의 정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B)는 도 20(A)의 파선부의 확대도;
도 21은 종래의 웨지에 의한 PC강꼬임선의 유지상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 21(A)는 PC강꼬임선 긴장 전, 도 21(B)는 PC강꼬임선 긴장 중, 도 21(C)는 정착 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웨지 11: 분할편
15: 고리형상 홈 16: 위치결정구멍
20: 구속링 21: 돌기
22: 둥근고리부 23: 걸어맞춤부
24: 위치결정부 25: 개구부
26: 둥근구멍 27: 돌출부분
30: PC강꼬임선 41,42: 내ㆍ외부 트럼펫체
43: 리브캐스트앵커 44: 리세스튜브
45: 스파이럴근 46: 앵커디스크
47: 그라우트캡 51: 블록부
52: 블록체 53: 돌출체
60: 콘크리트구조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 웨지(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분할편(11)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분할편(11)은 거의 부채꼴의 단면을 가지고, 일단부는 직경이 크고, 타단부는 직경이 작은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분할편(11)을 조합하면 거의 원뿔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분할편(11)은, 원호면을 가지는 단면이 부채꼴인 것이다. 이 분할편의 내부면은 PC강꼬임선과의 접촉면으로 되는 개소에서, 분할편(11)을 조합함으로서 PC강꼬임선을 파지하는 둥근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분할편의 내부면에는 산형태의 톱니(14)를 형성해서, PC강꼬임선을 보다 강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한편, 웨지(10)의 큰 직경쪽의 외주에는 고리형상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홈(15)에는, 후술하는 구속링이 끼워진다.
이 구속링(20)의 평면도를 도 2에 도시한다. 구속링(20)은, 내주에 3개의 돌기(21)를 가지는 고무제의 0링이다. 구속링(20)은, 돌기(21)를 포함해서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가 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돌기(21)는, 분할편(11)(도 1 참조)을 조합했을 때, 각 분할편의 사이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구속링(20)을 웨지의 고리형상 홈(15)(동일 도면 참조)에 끼워넣고, 동시에 돌기(21)를 분할편(11)의 사이에 끼워넣는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속링(20)의 돌기(21)에 의해, PC강꼬임선(30)의 긴장 전에 있어서 각 분할편을 균등하게 배치한다. 긴장 중에 있어서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편(11)의 균등한 배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착 후에 있어서는 돌기가 압축되어서 변형되지만, 분할편의 배치는 균등하게 유지된다(도 3(C) 참조). 따라서, PC강꼬임선에 균일한 부가응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상의 웨지도, 도 20(A)의 정착구조 등에 이용되는 점에서 종래의 웨지와 공통하고 있다. 이 정착구조는, 복수의 PC강꼬임선(30)의 외주를 내ㆍ외부 트럼펫체(41, 42)로 피복하고, 콘크리트구조물(60)의 단부면쪽으로 리브캐스트앵커(43)를 배치한 것이다.
내ㆍ외부 트럼펫체(41, 42)의 단부에는 리세스튜브(44)가 장착된다. 내ㆍ외부 트럼펫체(41, 42) 및 리브캐스트앵커(43)의 외주에는, 스파이럴근(45)이 배치되어 있다. 또, 리브캐스트앵커(43) 위에는 앵커디스크(46)가 배치된다.
앵커디스크(46)는, PC강꼬임선(30)의 관통구멍을 복수 가지는 원반형상의 것으로서, 이 관통구멍의 일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의 웨지(10)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앵커디스크와 PC강꼬임선의 단부는 그라우트캡(47)에 의해 피복된다.
PC강꼬임선의 긴장ㆍ정착은, 예를 들면 다음의 순서에 의해 실시된다.
1. PC강꼬임선을 내부 트럼펫체 내부에 배치한다.
2. PC강꼬임선의 양단부에 앵커디스크를 세트한다.
3. 앵커디스크의 테이퍼구멍 안에 웨지를 주입시킨다.
4. 긴장 잭을 PC강꼬임선의 단부에 세트한다.
5. 긴장 잭에 의해 소정 하중까지 PC강꼬임선을 긴장한다.
6. 긴장한 상태로 앵커디스크의 테이퍼구멍 안에 웨지를 끼워넣어 압입한다.
7. 잭의 긴장력을 개방함으로서 PC강꼬임선을 웨지로 정착시킨다.
물론, 도 20(A)에 예시한 정착구조는 웨지를 이용하는 정착구조의 일예이며, 그 밖에도, (1) 내ㆍ외부 트럼펫 시스를 이용하지 않는 홑겹관 시스를 이용한 구조, (2) 리브캐스트앵커를 이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단부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이용한 구조, (3) PC강꼬임선을 복수가 아닌 1개만 배치하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동일한 고무제의 링으로 구성된 구속링을 도 4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구속링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A-A단면도, 도 4(C)는 B-B단면도이다.
구속링(20)은, 둥근고리부(22)와, 이 둥근고리부(22)의 웨지의 큰 직경쪽에 일체 성형되는 블록부(51)를 가지고, 이 블록부(51)의 일부를 둥근고리부(22)의 내주쪽을 향하여 돌출시켜서 돌기(21)를 형성한다. 블록부(51)는, 둥근고리부(22)에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120˚간격으로 3개소의 블록부(51)를 형성했다. 이 블록부(51)의 둥근고리부(22)로부터 내주쪽이 돌기(21)로 된다.
이 구속링(20)의 웨지(10)에의 장착상태를 도 5에 나타낸다. 이 구속링(20)은, 둥근고리부(22)를 웨지의 큰 직경쪽 외주에 형성된 고리형상 홈(15)에 끼워넣음으로서 장착된다. 고리형상 홈(15)에의 둥근고리부(22)의 장착에 의해 각 돌기(21)는, 각 분할편의 사이에 끼워진다.
이 구속링으로도,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불균일한 배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록부(51)에 의해 분할편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배치를 보다 확실히 균등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3)
다음에, 금속선으로 구성된 클립형상의 구속링을 도 6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6(A)는 클립형상 구속링의 평면도, 도 6(B)는 정면도, 도 6(C)는 오른쪽 측면도이다.
이 구속링은 1개의 금속선을 굴곡해서 고리형상의 구속링을 구성하고 있다. 즉, 금속선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겹쳐지도록 금속선을 원형으로 굴곡해서 둥근고리부(22)를 형성하고, 또한 둥근고리부(22)의 도중을 U형으로 굴곡해서, 둥근고리부(22)의 중심쪽을 향해서 돌기(21)를 형성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120˚간격으로 3개소의 돌기(21)를 형성했다.
이 구속링(20)의 웨지(10)에의 장착상태를 도 7에 나타낸다. 이 구속링은, 웨지의 큰 직경쪽 외주에 형성된 고리형상 홈(15)에 끼워넣음으로서 장착된다. 구속링(20)을 구성하는 금속선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연속되지 않고 겹쳐져 있을 뿐이기 때문에, 이 둥근고리부(22)를 외주쪽으로 넓힘으로서 웨지(10)의 외주에 구속링(20)을 장착할 수 있다. 그 때, 둥근고리부(22)는 웨지의 고리형상 홈(15)에 끼워지면, 돌기(21)는 각 분할편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 구속링으로도,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불균일한 배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금속판으로 구성된 구속링을 도 8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8(A)는 동일 구속링의 평면도, 도 8(B)는 단면도이다.
이 구속링은, 금속판을 뚫어서, 띠형상의 둥근고리부(22)와 둥근고리부(22)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기(21)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둥근고리부(22)는, 띠형상체의 일단부와 타단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둘 수 있고, 둘레방향의 일부에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띠형상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둥근구멍(26)을 형성했다. 이 둥근구멍(26)에는, 적절한 지그를 끼워넣어서, 개구부(25)의 간격을 넓히는 데에 이용한다. 또, 돌기(21)는, 둥근고리부(22)로부터 중심쪽으로 돌출하는 설편(舌片)으로 했다. 본 예에서는, 120˚간격으로 3개소의 돌기(22)를 형성하였다. 또한, 둥근구멍(26)을 형성하지 않아도 개구부(25)의 간격을 넓힐 수 있는 경우에는, 둥근구멍(26)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도 9에 나타낸다. 이 구속링(20)은, 웨지(10)의 큰 직경쪽 외주에 형성된 고리형상 홈(15)에 끼워넣음으로서 장착된다. 구속링을 구성하는 둥근고리부(22)는, 개구부(25)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둥근고리부(22)를 외주쪽으로 넓힘으로서 웨지(10)의 외주에 구속링(20)을 장착할 수 있다. 그 때, 둥근고리부(20)는 웨지의 고리형상 홈(15)에 끼워지면, 돌기(21)는 각 분할편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 구속링으로도,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불균일한 배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구속링을 단부, 즉, 개구부(25)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포개서 상기 분할편(11)의 고리형상 홈(15)에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속링을 2매 포개는 경우에는, 각각의 단부가 다른 쪽의 띠형상체로 폐쇄된 상태가 되므로, 구속링이 전체적으로 둘레방향으로 폐쇄된 둥근고리상태가 되어서, 분할편을 보다 확실히 균등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에, 일단부와 타단부를 가지는 띠형상체를 고리형상으로 성형하고,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체를 띠형상체의 웨지의 큰 직경쪽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구속링을 도 11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1(A)는 동일 구속링의 평면도, 도 11(B)는 단면도이다.
이 구속링은, 금속판을 뚫어서, 띠형상의 둥근고리부(22)와 둥근고리부(22)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분(27)을 일체로 성형하고, 이 돌출부분(27)과 돌출부분(27)에 연속되는 둥근고리부(22) 위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체(52)를 고정한 것이다.
블록체(52)는, 둥근고리부(22)를 웨지에 장착했을 때에, 둥근고리부(22)의 웨지의 큰 직경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해서, 이 블록체(52)와 둥근고리부(22)에 형성된 돌출부분(27)에 의해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21)를 형성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120˚간격으로 3개소의 돌기(21)를 형성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둥근고리부(22)는, 띠형상체의 일단부와 타단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둘 수 있고, 둘레방향의 일부에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도 12에 나타낸다. 이 구속링(20)은, 둥근고리부(22)를 웨지(10)의 큰 직경쪽 외주에 형성된 고리형상 홈(15)에 끼워넣음으로서 장착된다. 구속링을 구성하는 둥근고리부(22)는, 개구부(25)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둥근고리부(22)를 외주쪽으로 넓힘으로서 웨지(10)의 외주에 구속링(20)을 장착할 수 있다. 둥근고리부(20)가 웨지의 고리형상 홈(15)에 끼워지면, 돌기(21)는 각 분할편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 구속링으로도,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불균일한 배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블록체에 의해 분할편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배치를, 보다 확실히 균등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6)
다음에, 둥근고리부를 주름통 형상으로 굴곡시킨 구속링을 도 13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3(A)는 동일 구속링의 평면도, 도 13(B)는 단면도이다.
이 구속링은, 금속제의 띠형상체를 주름통 형상으로 굴곡시키면서 고리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고리형상으로 성형해서 폐쇄된 둥근고리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둥근고리부의 굴곡부분의 일부를 내주쪽으로 크게 굴곡시켜서 돌기(21)를 성형한다.
이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다. 이 구속링(20)은, 둥근고리부(22)를 웨지(10)의 작은 직경쪽에서 삽입해서 큰 직경쪽 외주에 형성된 고리형상 홈(15)에 끼워넣음으로서 장착된다. 둥근고리부(22)는, 주름통 부분에 의해 스프링의 효과를 가지므로, 둥근고리부(22)의 직경을 잡아늘인 상태로 웨지 외주의 고리형상 홈(15)에 끼워넣을 수 있다. 둥근고리부(20)가 웨지의 고리형상 홈(15)에 끼워지면, 돌기(21)는 각 분할편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 구속링으로도,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불균일한 배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21)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형상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21)의 분할편에의 접촉면적을 실시예 1과 같이 판형상 링부재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돌기에 비해서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배치를 확실히 균등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7)
다음에, 웨지의 단부면쪽으로부터 장착 가능한 구속링을 도 16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6(A)는 동일 구속링의 평면도, 도 16(B)는 A-A단면도, 도 16(C)는 B-B단면도이다.
이 구속링(20)은, 둥근고리부(22)와, 둥근고리부(22)를 웨지의 단부면에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부(23)와, 웨지의 각 분할편의 사이에 개재되는 돌기(21)와, 웨지 단부면에 끼워지는 위치결정부(24)로 구성된다. 이들 각 구성요소는, 모두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걸어맞춤부(23), 돌기(21) 및 위치결정부(24)는, 둥근고리부(22)로부터 연속되는 돌출편을 절곡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23)는, 둥근고리부(22)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거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선단부가 V형으로 굴곡된 돌출편이다. 이 V형으로 굴곡된 개소가 웨지 외주의 고리형상 홈(15)에 끼워짐으로서 둥근고리부(22)를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유지한다. 본 예에서는, 60˚간격으로 6개소의 걸어맞춤부(23)를 형성했다.
돌기(21)는, 둥근고리부(22)의 외주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중심방향쪽을 향해서 비스듬히 돌출하는 직선형상의 돌출편이다. 이 돌출편은 웨지(10)를 구성하는 각 분할편의 사이에 개재된다. 본 예에서는, 120° 간격으로 3개소의 돌기(21)를 형성했다.
위치결정부(24)는, 둥근고리부(22)의 내주 가장자리부분에 거의 직사각형의 노치를 형성하고, 이 노치의 깊숙한 쪽 부분으로부터 거의 축방향으로 뻗는 직선형상의 돌출편이다. 이 위치결정부(24)는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6)에 삽입되고, 구속링(20)을 웨지(10)에 대해서 적성위치에 유지한다. 본 예에서는, 각 돌기(21)의 중간에 상당하는 위치에 120° 간격으로 3개소의 위치결정부(24)를 형성했다.
이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도 17에 나타낸다. 이 구속링은,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으로부터 장착된다. 즉, 위치결정부(24)를 웨지 단부면의 위치결정구멍(16)에 삽입하는 동시에, 걸어맞춤부(23)를 웨지 외주에 형성된 고리형상 홈(15)에 끼워넣음으로서 장착된다. 그 때, 돌기(21)는 각 분할편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 구속링으로도,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불균일한 배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8)
다음에, 탄성재에 의해 판형상의 둥근고리부를 성형하고, 이 둥근고리부에 금속성의 통형상의 돌출체를 형성한 구속링을 도 18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8(A)는 동일 구속링의 평면도, 도 18(B)는 단면도이다.
이 구속링은, 탄성재로 형성된 도너츠판형상의 둥근고리부(22)와, 둥근고리부(22)에 웨지의 작은 직경쪽을 향하여 돌출시켜서 형성되는 돌출체(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둥근고리부(22)에, 유지 핀(54)이 삽입통과되는 구멍(28)을 형성한다. 이 구멍(28)이,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유지 핀(54)을 개재해서 유지되는 걸어맞춤부로 된다. 돌출체(53)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형상체를 둥근고리부(22)에 고정한다. 이 돌출체(53)에 의해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21)를 형성하고 있다. 돌기는, 웨지 정착 시에 있어서 분할편의 사이의 틈새가 작아졌을 경우에 뭉개버려져서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 연유로, 돌출체(53)는, 알루미늄 등의 변형되기 쉬운 금속재료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120° 간격으로 3개소의 돌기(21)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21)의 사이에 구멍(28)을 형성했다.
유지 핀(54)은, 둥근고리부(22)의 구멍(28)에 삽입통과한 후에,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6)에 삽입되고, 유지 핀(54)의 웨지에의 고정에 의해 구속링(20)을 웨지(10)에 대해서 적성위치에 유지한다.
이 구속링의 웨지에의 장착상태를 도 19에 나타낸다. 이 구속링은,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으로부터 장착된다. 즉, 둥근고리부(22)에 형성된 구멍(28)을 웨지 단부면의 위치결정구멍(16)에 맞춰서, 이들 구멍(28)과 위치결정구멍(16)에 유지 핀(54)을 삽입해서 고정함으로서 구속링이 웨지에 장착된다. 그 때, 돌기(21)가 되는 돌출체(53)는 각 분할편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 구속링으로도,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불균일한 배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의 돌출체(53)에 의해 분할편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각 분할편의 둘레방향으로의 배치를 보다 확실히 균등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웨지는, PC강재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웨지의 분할편을 배치할 수 있고, 또한, 긴쪽방향에 대해서 균일하게 분할편을 배치할 수 있는 정착용 웨지에 매우 적합하다.

Claims (12)

  1. 복수의 분할편을 조합함으로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서 PC강재를 파지(把持)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로서,
    상기 분할편을 원뿔형상으로 유지하는 구속링을 구비하고,
    이 구속링은,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링이 탄성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링은, 둥근고리부와, 이 둥근고리부의 웨지의 큰 직경쪽으로 일체 성형되는 블록부를 가지고, 이 블록부의 일부를 둥근고리부의 내주쪽을 향하여 돌출시켜서 상기 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링이, 일단부와 타단부를 가지는 장척체를 고리형상으로 성형하고, 또한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도 상기 장척체에 연속해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체가 선형상체이고, 이 선형상체를 굴곡해서 일단부와 타단부가 겹쳐지도록 고리형상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도 상기 선형상체를 굴곡해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체가 띠형상체이고, 이 띠형상체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간격을 두고 고리형상으로 성형되는 동시에,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도 상기 띠형상체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이들 양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지그의 장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2매의 상기 띠형상체를 단부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포개서 상기 분할편에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링이, 일단부와 타단부를 가지는 띠형상체를 고리형상으로 성형하고,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체를 띠형상체의 웨지의 큰 직경쪽으로 돌출해서 형성하여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링은, 둥근고리부를 가지고, 이 둥근고리부를 주름통 형상으로 굴곡시키면서 고리형상으로 성형하는 동시에, 상기 굴곡부분의 일부를 둥근고리부의 내주쪽으로 크게 굴곡시켜서 각 분할편간의 틈새에 끼워넣는 돌기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링은, 둥근고리부와, 이 둥근고리부를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유지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돌기는 둥근고리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링은, 둥근고리부와, 이 둥근고리부를 웨지의 큰 직경쪽 단부면에 유지 핀을 개재해서 유지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돌기는 둥근고리부에 웨지의 작은 직경쪽을 향하여 돌출시켜서 형성되는 돌출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KR1020057019322A 2003-04-18 2004-01-28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KR101037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5083A JP3565348B2 (ja) 2002-05-08 2003-04-18 Pc鋼材の定着用ウェッジ
JPJP-P-2003-00115083 2003-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664A KR20060004664A (ko) 2006-01-12
KR101037258B1 true KR101037258B1 (ko) 2011-05-26

Family

ID=3330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322A KR101037258B1 (ko) 2003-04-18 2004-01-28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30316A4 (ko)
KR (1) KR101037258B1 (ko)
CN (1) CN100545397C (ko)
HK (1) HK1090968A1 (ko)
WO (1) WO2004094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796A1 (en) * 2015-07-17 2017-01-26 Felix Sorkin Wedge for post tensioning tendon
KR102188106B1 (ko) * 2019-04-26 2020-12-07 휴인 주식회사 기둥과 보의 구조물
KR102188085B1 (ko) * 2019-04-26 2020-12-07 휴인 주식회사 이중 긴장재 도입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KR102188103B1 (ko) * 2019-04-26 2020-12-07 휴인 주식회사 슬라이딩 체결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CN113513338B (zh) * 2021-08-04 2022-04-08 华东交通大学 一种适用于盾构隧道集水井施工的环形支架及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8558A2 (en) 1982-11-02 1984-05-16 Ccl Systems Limited Wedge type anchorage device
JPS61161324U (ko) 1985-03-28 1986-10-06
JPS6214021U (ko) 1985-07-12 1987-01-28
JPH11210163A (ja) 1998-01-28 1999-08-03 Ps:Kk Frp緊張材の定着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3288A (en) * 1969-04-16 1974-10-22 Conenco Int Ltd Tendon anchorage with threaded support element
US3999418A (en) * 1974-01-25 1976-12-28 Juan Coll Morell Method of making a tapered wedge
US4059931A (en) * 1976-01-29 1977-11-29 Mongan William T Building framing system for post-tensioned modular building structures
US4362421A (en) * 1980-03-17 1982-12-07 Kelly William F Anchor for use in the post-tensioning of prestressed concrete
FR2582767A1 (fr) * 1985-05-30 1986-12-05 Freyssinet Int Stup Perfectionnements aux mors tronconiques d'ancrage
FR2586076B1 (fr) * 1985-08-12 1987-12-04 Freyssinet Int Stup Perfectionnements aux mors tronconiques d'ancrage pour cables et a leurs procedes de fabrication
JPH055938U (ja) * 1991-07-09 1993-01-2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レテンシヨニンググリツプ用楔止め具
JPH06117054A (ja) * 1992-10-09 1994-04-26 Mitsubishi Kasei Corp Frp製緊張材の緊張定着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8558A2 (en) 1982-11-02 1984-05-16 Ccl Systems Limited Wedge type anchorage device
JPS61161324U (ko) 1985-03-28 1986-10-06
JPS6214021U (ko) 1985-07-12 1987-01-28
JPH11210163A (ja) 1998-01-28 1999-08-03 Ps:Kk Frp緊張材の定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5397C (zh) 2009-09-30
HK1090968A1 (en) 2007-01-05
CN1774550A (zh) 2006-05-17
EP1630316A1 (en) 2006-03-01
KR20060004664A (ko) 2006-01-12
WO2004094745A1 (ja) 2004-11-04
EP1630316A4 (en)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5801B1 (en) Tubing joint
JP4542034B2 (ja) 外固定に弾性に締まる二重狭持部
KR101807336B1 (ko)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KR101037258B1 (ko) Pc강재의 정착용 웨지
JP6742346B2 (ja) クランプ
CN109964071B (zh) 型材夹具
JP2004011263A (ja) Pc鋼材の定着金具
JPS62188838A (ja) 固定シ−ル
KR20150023379A (ko) 내부 스프링을 갖는 외과용 클립
CA2618331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hoses
JP3565348B2 (ja) Pc鋼材の定着用ウェッジ
JP3602526B2 (ja) ウェッジのずれ防止構造
KR20040091550A (ko) 스프링 요소를 갖는 나사 요소
JP4987955B2 (ja) 伝動装置用テンショナユニット
KR100950414B1 (ko) 잠금 부재와 장치
GB2062085A (en) Clamping Assemblies and Screw Clamps for Use Therewith
JP3859619B2 (ja) Pc鋼材の定着くさび
KR20040078783A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체결장치
JP2004211442A (ja) 定着くさびの均等配置治具
KR20010034906A (ko) 2 방향의 탄성을 가진 와셔
JP2010060117A (ja) 金属リングの窒化処理治具
JPH0523043Y2 (ko)
JP3320273B2 (ja) スペーサ
JP2021053971A (ja) クリップ
KR200373744Y1 (ko) 의료용 스크류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