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067B1 - 전해 콘덴서 - Google Patents

전해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067B1
KR101037067B1 KR1020087013613A KR20087013613A KR101037067B1 KR 101037067 B1 KR101037067 B1 KR 101037067B1 KR 1020087013613 A KR1020087013613 A KR 1020087013613A KR 20087013613 A KR20087013613 A KR 20087013613A KR 101037067 B1 KR101037067 B1 KR 10103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ic capacitor
foil
electrode foil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705A (ko
Inventor
후사요시 엔도
켄타로 나카아키
마사시 오자와
코이치 요시다
오사무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폰 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42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G9/045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ased on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Diaphragms;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2Electrolytes; Absorbents
    • H01G9/035Liquid electrolytes, e.g. impregn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48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01G9/055Etched foil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145Liquid electrolytic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해 콘덴서는, 양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양극박과 음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감거나 또는 적층한 콘덴서 소자를 이용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양극박의 단부가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음극박에 대향하고, 또한, 음극 내부 단자는 표면이 확산 처리되어 있으므로, 양극박에 대향하는 음극박에 면적이 작은 부분이 없어져서, 충/방전 특성이 향상된다. 또, 양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양극박과 음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감거나 또는 적층한 콘덴서 소자에 구동용 전해액을 함침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음극 내부단자는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을 에칭 처리하여, 이 에칭층의 철의 농도를 300ppm 미만으로 하였다.
전해 콘덴서, 용액 처리층, 음극 내부단자, 양극 내부단자.

Description

전해 콘덴서{ELECTROLYTIC CAPACITOR}
본 발명은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에칭박에 화성 피막을 형성한 양극박(4)과, 에칭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음극박(3)을 절연지 등의 세퍼레이터(separator)(2)를 개재해서 감은 콘덴서 소자(1)를 가지고 있다. 상기 양극박(4) 및 음극박(3)에는 가늘고 긴 박(箔) 형상의 양극 내부단자(6) 및 음극 내부단자(5)가 각각의 전극박에 스티치(stitch)나 냉간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콘덴서 소자(1)에는 구동용 전해액이 함침되고, 밑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장 케이스에 수납된다. 외장 케이스는 그 개구부가 개구 봉합체에 의해 봉지되고, 상기 개구 봉합체에 배치된 리벳을 개재해서 콘덴서 소자로부터 도출된 양극 내부단자와 양극 외부단자가 각각에 접속되어서 전해 콘덴서가 형성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종래의 콘덴서에서는, 충/방전 회로에 사용된 경우에는, 상기 음극 내부단자(5)는 음극박(3)에 비해서 그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음극박(3)에 비해서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버려, 그 방전 시 상기 음극 내부단자(5) 및 그 부근의 음극박(3)에 피막 생성 반응에 수반되는 수소 가스 등의 생성물을 발생하고, 이 수소 가스의 발생에 의해서 콘덴서의 내압이 상승해서 폭발방지 밸브 작동이라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는, 음극박(3)에 접속된 음극 내부단자(5)의 양 세퍼레이터와 대향하는 면을 조면화(粗面化) 가공하고, 또한 음극박(3)과 접하는 면을 평탄하게 하는 발명이 알려져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 특허 제2005-39132호 공보.
그러나, 최근 서보 모터 용도 등에서는, 주기가 짧고, 또 전압차도 큰 충/방전 전압이 인가되는 바와 같은 사용이 되도록 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에서는, 안전 밸브의 작동뿐만 아니라,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가 새롭게 생겼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주기가 짧고, 또 전압차도 큰 충/방전 회로에 있어서의 사용에 있어서, 전해 콘덴서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충/방전 회로에서 사용할 때에 생기는 단락의 발생 요인을 해명하기 위해, 단락이 발생한 전해 콘덴서를 분석한 바, 음극 내부단자의 표면에 철이 노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현상은, 충전 시에 있어서, 음극박 및 음극 내부단자 부근의 구동용 전해액은, 산소와 물의 환원 반응과 수소의 환원 반응에 의해 알칼리화하는 것을 전기 화학적 메커니즘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고, 여기에서, 전압차가 큰 충/방전 회로에서의 전해 콘덴서의 사용 등, 충전 전류가 많이 흐르는 조건하에서는, 상기의 환원 반응이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음극박 및 음극 내부단자 부근의 구동용 전해액의 알칼리화에 크게 작용한다. 이 환원 반응은, 음극 내부단자에 포함되는 이종 금속의 함유량이 균일하면, 음극 내부단자의 전체 면에서 반응이 일어나지만, 음극 내부단자의 일부에 이종 금속을 많이 함유하는 부위가 존재하면, 해당 이종 금속과 구동용 전해액과의 계면에 환원 반응이 집중해서 일어난다. 종래의 음극 내부단자에서는, 순도가 높은(예를 들면 99.99% 이상의 순도) 알루미늄 재료를 이용하면, 유연해서 음극박과의 접속성이 불안정하게 되고, 또는 고가이기 때문에, 순도가 낮은 알루미늄 재료가 이용되고 있고, 따라서, 주로 음극박보다도 이종 금속, 특히 철금속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음극 내부단자에 함유되어 있는 철과 구동용 전해액과의 계면에서의 환원 반응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음극 내부단자 부근의 구동용 전해액이 알칼리화에 이르고, 이것에 의해서 음극 내부단자 표면의 산화 피막이나 알루미늄이 용출되어, 음극 내부단자에 함유되는 이종 금속인 철이 노출되고, 이 철에 전류가 집중하여, 단락에 이르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이들 부분에 있어서, 음극 내부단자의 표면 부근에 존재하는 이종 금속을 매우 소량으로 함으로써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해내어,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또, 상기 음극 내부단자 이외에도, 콘덴서 소자의 감기 시작 부분과 음극 내부단자 근방에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기 시작 부분에서는 양극박을 선행해서 감기 시작했을 때의 음극박 단부에 대향하는 양극박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음극 내부단자에 대향하는 양극박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충/방전 전압 인가 시의 충전 종료 후에 단락이 발생하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전해 콘덴서의 구조를 고찰하면, 전해 콘덴서에서는 양극박의 산화 피막이 유전체로 되고, 이 산화 피막에 대향하는 음극박과의 사이에 전하가 축적되어서 콘덴서를 형성한다. 여기서, 양극박에 대향하는 음극박이 없거나 혹은 음극박의 면적이 작으면, 이들 부분의 양극박의 전하가 가장 가까운 음극박 혹은 작은 면적의 음극박에 대향하는 부분에 집중된다. 그리고, 지금까지 없는 엄격한 조건에서의 충/방전 인가에 의해서 유전체 피막이 열화한 데다가, 충전 종료 후의 전하가 최대로 축적된 상태에서 유전체 피막에 큰 전압이 인가되어서 단락에 이르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즉, 양극박을 선행해서 감기 시작한 때에는, 양극박에 대향하는 음극박이 없는 상태로 되어, 음극 내부단자에 있어서는 양극박에 대향하는 것은 면적이 작은 평탄한 음극 내부단자이며, 전자의 경우는 대향하는 음극박이 없는 양극박의 부분의 전하의 모두가 음극박의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집중하고, 후자의 경우는 평탄한 음극 내부단자에 대향하는 부분에 집중해서 단락에 이른다. 이것은, 전해 콘덴서 구동용 전해액을 이용한 전해 콘덴서에 대한 고찰이지만,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전해 콘덴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거동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이들 부분에 있어서, 양극박에 대향하는 음극박의 면적을 확대하는 것에 착안해서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해 콘덴서는, 양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양극박과 음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감거나 또는 적층한 콘덴서 소자에 구동용 전해액을 함침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음극 내부단자는, 표면이 용해 처리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용해 처리층 중의 철의 농도를 300ppm 미만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용해 처리가 에칭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용해 처리(에칭 처리)에 의해 음극 내부단자의 표면을 용해시킴으로써, 용해 처리층(에칭층) 중의 철의 농도를 소정량으로 제한함으로써, 해당 용해 처리층(에칭층)의 표면 부근에 잔존하는 철을 매우 소량으로 할 수 있어, 이 철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순도 99.9%의 알루미늄의 합금 중에서는, 알루미늄은 다결정의 상태로 되어 있고, 고용한계를 초과한 철은 알루미늄의 결정 계면에 편석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결정 계면에는 그 밖의 불순물 성분도 편석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합금을 에칭 등의 용해 처리를 실시한 때에는, 알루미늄의 결정 계면은 알루미늄의 결정 부분에 비하면, 철이나 그 밖의 불순물 성분에 의한 국부 전지 등의 작용에 의해서 용해 속도가 보다 빠른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결정 계면에서 용해가 보다 빨리 진행하는 것에 의해 결정 계면에 편석해서 존재하는 철은 탈락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이러한 작용 때문에, 거시적으로 보면, 에칭에 의해서 철이 선택적으로 탈락하게 되어, 음극 내부단자의 에칭층 속의 철 농도가 감소하는 동시에, 적어도 에칭층의 표면 부근에 노출하는 철은 매우 적은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용해 처리층(에칭층) 중의 철의 농도는 300ppm 미만이 바람직하고, 40ppm 이하가 최적이다.
또, 본 발명의 전해 콘덴서는, 양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양극박과 음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감거나 또는 적층한 콘덴서 소자를 이용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양극박의 단부가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음극박에 대향하고, 또한 음극 내부단자는 표면이 확장 처리되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는, 양극박의 단부가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음극박에 대향하고 있으므로, 양극박의 단부에 있어서 음극박이 대향하고, 전하가 집중하는 일이 없다. 또, 음극 내부단자에 면 확장 처리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양극박에 대향하는 음극 내부단자의 면적이 확대된다. 이들에 의해서, 양극박에 전하가 집중하는 부분이 없어져, 충/방전 특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 콘덴서는, 양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양극박과 음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감은 콘덴서 소자를 이용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음극박을 양극박에 선행시켜서 감기 시작하여 감고, 또한 음극 내부단자는 표면이 확장 처리되어 있다. 음극박을 양극박에 선행시켜서 감기 시작하고, 음극박으로 감기 종료하도록 해서 감음으로써, 양극박의 단부에 있어서 음극박을 대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극박을 안쪽에 감은 때에는, 감기 시작 단부의 양극박의 안쪽에는 대향하는 음극박이 없는 상태로 되지만, 선행한 음극박이 감겨 들어가서 감기 시작 단부의 양극박에 대향하므로, 전하의 집중을 억제할 수 있어, 충/방전 특성이 향상한다.
또, 양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양극박과 음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감거나 또는 적층한 콘덴서 소자를 이용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양극박 전체 면이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음극박에 대향하고, 또한 음극 내부단자는 표면의 확장 처리를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양극박의 단부뿐만 아니라, 양극박의 전체 면이 음극박에 대향하여, 더욱 충/방전 특성이 향상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표면에 확장 처리를 실시한 음극 내부단자를 음극박에 접합할 때에는, 냉간 용접 등의 음극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는 방법을 이용한다. 종래와 같은 전극박과 내부단자를 포개어, 바늘 형상의 천공 도구를 찌르고, 그 후에 눌러서 접합하는 것과 같은 방법에서는, 전극박, 내부단자의 절단면이 노출한다. 즉, 이러한 방법에서는 면 확장 처리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고, 양극박에 대향하는 음극박에 면적이 작은 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원의 효과는 크게 저감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양극박의 단부가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음극박에 대향하고, 음극 내부단자는 표면이 확장 처리되어 있지 않은 전해 콘덴서와, 양극박의 단부가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음극박에 대향하지 않고, 음극 내부단자는 표면이 확장 처리되어 있는 전해 콘덴서의 충/방전 특성은 전자의 쪽이 양호하였다. 이것으로부터, 음극박의 단부 쪽이 면 확장 처리되지 않은 음극 내부단자보다, 양극박에 대향하는 면적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는, 양극박의 전하가 집중하기 쉬운 부분에 있어서는 음극박과 대향시키고, 또, 음극박의 면적이 작은 부분이 없게 되도록 함으로써, 본원의 효과를 얻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극 내부단자의 알루미늄 순도가 99.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음극 내부단자에 이용하는 알루미늄을 고순도로 함으로써, 음극 내부단자의 철의 함유량을 미리 적게 하고, 용해 처리 후의 음극 내부단자의 용해 처리층의 표면 부근에 있어서의 철의 농도를 저감하여, 단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음극 내부단자에는, 화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음극 내부단자의 표면을 화성 피막으로 덮는 것에 의해, 해당 음극 내부단자의 표면 부근에 잔존한 철과 구동용 전해액에 있어서의 환원 반응을 억제하고, 음극 내부단자 부근의 알칼리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박은 에칭 처리가 실시되고, 이 에칭 배율에 대해서 음극 내부단자의 에칭 배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음극 내부단자의 정전용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음극 내부단자에의 전력집중이 저감되어, 음극 내부단자 부근에서의 알칼리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구동용 전해액은, 그 pH가 5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구동용 전해액의 pH를 약산성쪽으로 함으로써, 음극 내부단자 부근에 생성된 알칼리를 중화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의 저밀도 쪽의 면을 상기 음극 내부단자에 대면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세퍼레이터의 저밀도 쪽의 면은, 구동용 전해액의 유지성이 높고, 음극 내부단자 부근으로의 구동용 전해액의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음극 내부단자 부근의 알칼리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크래프트(craft), 대마, 면(cotton)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세퍼레이터의 구동용 전해액의 유지성을 더욱 높여, 음극 내부단자 부근에의 구동용 전해액의 공급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음극 내부단자 부근의 알칼리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아민염을 함유하는 구동용 전해액을 이용함으로써, 유전체 피막의 피막특성이 향상하고, 특히 전압차가 큰 충/방전에 대한 특성이 향상한다.
또한, 유전체 피막이 알루미늄 상의 균일하게 결정화한 층과 이 층 상의 규소를 함유하는 층으로 이루어진 양극박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유전체 피막의 피막특성이 향상하고, 특히 전압차가 큰 충/방전에 대한 특성이 향상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전압차가 크고 주기가 짧은 충/방전 회로에 있어서의 사용에 있어서, 음극 내부단자의 표면 부근에 존재하는 이종 금속을 매우 소량으로 함으로써,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의 음극 내부단자 부근을 기점으로 하는 단락의 발생을 방지하여, 장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양극박의 단부가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음극박에 대향하고, 또한 음극 내부단자는 표면이 확장 처리되어 있으므로, 음극박의 단부가 양극박에 대향하는 일이 없고, 또 양극박에 대향하는 음극 내부단자의 면적이 확대된다. 이들에 의해서, 양극박에 대향하는 음극박에 면적이 작은 부분이 없어져, 충/방전 특성이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해 콘덴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 내부단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해 콘덴서의 음극박, 양극박 및 세퍼레이터를 얹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를 나타낸 사시도.
부호의 설명
1: 콘덴서 소자 2: 세퍼레이터
2a: 저밀도 쪽 2b 고밀도 쪽
3: 음극박 4: 양극박
5: 음극인출단자 6: 양극인출단자
7: 접속부 8: 에칭층
9: 중심 금속부
(제1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해 콘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 내부단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해 콘덴서의 음극박, 양극박 및 세퍼레이터를 얹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양극박(4)은 에칭 처리하여 화성 피막을 형성한 알루미늄 박으로 이루어지고, 음극박(3)은 에칭 처리한 알루미늄 박으로 이루어지며, 임의로 화성 피막이 형성된다. 이 두 전극박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박 형상의 내부 탭 단자나 둥근 막대부 및 편평부 및 해당 둥근 막대부에 접속한 리드부로 이루어진 리드 단자 등의 전극 내부단자가 스티치법이나 냉간 용접법에 의해 접속되어 접속부(7)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박(4) 및 음극박(3) 사이에 세퍼레이터(2)를 개재해서 감거나 또는 적층함으로써 콘덴서 소자(1)가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음극 내부단자(5)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그 순도는 99% 이상인 것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그 표면은 교류 에칭에 의해 에칭 처리되고, 또한 그 위에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해 화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에칭층(8)은 상기 에칭 처리 부분 및 그 위에 형성된 화성 피막을 나타내고, 중심 금속부(9)는 상기 에칭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알루미늄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음극 내부단자(5)에 실시하는 에칭 처리의 배율은 주로 음극박(3)에 실시된 에칭 처리의 배율과 같은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음극 내부단자(5)의 에칭 처리의 배율은 음극박(3)의 에칭 처리의 배율의 적어도 70% 이상의 배율이면, 충/방전 시 음극 내부단자(5)에 가해지는 전압이 저감되어, 음극 내부단자(5) 부근의 알칼리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음극 내부단자(5)의 양극 산화 처리 전압은 음극박(3)에 실시되는 양극 산화 처리 전압과 같은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음극 내부단자(5)와 음극박(3)과의 에칭 배율이나 양극 산화 처리 전압이나 재질을 같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음극 내부단자(5)에는, 미리 철이나 구리 등의 이종 금속이 함유된 알루미늄 재료를 에칭 처리함으로써, 에칭층의 표면 부근에 존재하는 철이나 구리 등의 이종 금속을 용해 제거하여, 표면 부근에 이종 금속이 매우 적은 상태를 만들어내고, 이것에 의해 충/방전 시의 음극 내부단자(5) 부근의 알칼리화를 억제한 것이다. 이 에칭 처리에 의해서, 음극 내부단자(5)의 에칭층(8)에 있어서의 철의 함유량은 300ppm 미만이 바람직하고, 40ppm 이하가 최적이다.
한편, 양극 내부단자(6)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해 화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양극 산화 처리 전압은 양극박(4)에 실시되는 양극 산화 처리 전압과 같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2)는 셀룰로스계 섬유지 및 그 혼초지(混抄紙), 적층지 등이며, 셀룰로스계 섬유지로서는 마닐라 삼, 크래프트, 대마, 에스파르토(esparto: 아프리카에서 나는 풀의 일종), 면(cotton)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세퍼레이터는 초지 공정에 의해 표면, 이면에서 다른 상태로 되어, 한쪽이 평탄 형상(고밀도 쪽(2b))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이 요철 형상(저밀도 쪽(2a))으로 형성된다. 통상의 전해 콘덴서에서는, 양극 내부단자(6)에 생기는 깔쭉깔쭉 부분(burr)을 방지하기 위해서, 해당 양극 내부단자(6) 쪽에 세퍼레이터(2)의 고밀도 쪽(2b)의 면을 배치하고 있지만, 구동용 전해액의 유지량이 큰 세퍼레이터(2)의 저밀도 쪽(2a)의 면을 상기 음극 내부단자(5) 쪽에 대면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구동용 전해액의 상기 음극 내부단자(5) 부근으로의 공급이 가능해져, 알칼리화가 억제된다. 또한, 세퍼레이터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도이미드, 폴리에터이미드, 레이온 등의 합성 수지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음극박(3), 양극박(4) 및 세퍼레이터(2)의 감기 방법으로서는, 음극박(3)은 방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외주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 때문에 감기 축에 세퍼레이터(2), 양극박(4), 세퍼레이터(2), 음극박(3)의 순서대로 얹어놓고, 감기 축을 회전시켜서 상기 놓인 순서로 감고 있다. 여기서 양극박(4)과 음극박(3)의 놓인 위치를 맞추어 감으면, 콘덴서 소자(1)의 중심부에서는, 양극박(4)의 내주면에 음극박(3)이 대향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여, 음극박(3)에의 전압의 분산이 불균등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음극박(3)을 양극박(4)보다 소정 길이만 먼저 감기 축에 얹어놓고, 해당 감기 축을 소정 횟수 회전한 후에 양극박(4)을 감기 축에 얹어놓고 감으면 된다. 또한, 음극박(3)과 양극박(4)의 폭을 동등하게 하면, 이 감기 시에 어긋남이 생겨서, 음극에 대향하지 않는 양극박(4)의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양극박(4)의 폭에 대하여 음극박(3)의 폭을 10% 이상 크게 하면 바람직하다. 게다가, 콘덴서 소자를 외장 케이스에 수납할 때에 외장 케이스의 안쪽 바닥면에 별도의 세퍼레이터편을, 그 저순도 쪽을 콘덴서 소자 쪽을 향해서 배치하고, 이 세퍼레이터편에 구동용 전해액을 유지시켜, 필요에 따라서 콘덴서 소자에 공급시킬 수도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감거나 또는 적층해서 형성된 콘덴서 소자(1)에는, pH가 5 내지 7인 구동용 전해액이 함침된다. 이 구동용 전해액의 용매로서는, 프로 톤성 극성 용매,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 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톤성 극성 용매로서는, 1가 알코올류(에탄올, 프로판올, 뷰탄올, 펜탄올, 헥산올, 사이클로뷰탄올, 사이클로펜탄올, 사이클로헥산올, 벤질알코올 등), 다가 알코올류 및 옥시알코올 화합물류(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메톡시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메톡시프로판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로서는, 아마이드계(N-메틸포름아마이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N-에틸포름아마이드, N,N-다이에틸포름아마이드, N-메틸아세트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N-에틸아세트아마이드, N,N-다이에틸아세트아마이드, 헥사메틸포스포릭아마이드 등), 락톤류(γ-뷰티로락톤, δ-발레로락톤, γ-발레로락톤 등), 설포란계(3-메틸설포란, 2,4-다이메틸설포란 등), 환상 아마이드계(N-메틸-2-피롤리돈,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아이소뷰틸렌카보네이트 등), 나이트릴계(아세토나이트릴 등), 옥사이드계(다이메틸설폭사이드 등), 2-이미다졸리디논계[1,3-다이알킬-2-이미다졸리디논(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디논, 1,3-다이에틸-2-이미다졸리디논, 1,3-다이(n-프로필)-2-이미다졸리디논 등), 1,3,4-트라이알킬-2-이미다졸리디논(1,3,4-트라이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 등을 대표로서 열거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 글라이콜, 물, 설포란, γ-뷰틸락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용액을 단독 혹은 혼합 용액으로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구동용 전해액에 함유되는 용질로서는, 보통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용 전해액에 이용되는, 산의 공액 염기를 음이온 성분으로 하는, 암모늄염, 아민염, 4 급 암모늄염 및 환상 아미딘 화합물의 4급 염을 들 수 있다. 제4급 암모늄염을 구성하는 제4급 암모늄으로서는 테트라알킬암모늄(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테트라뷰틸암모늄, 메틸트라이에틸암모늄, 다이메틸다이에틸암모늄 등), 피리듐(1-메틸피리듐, 1-에틸피리듐, 1,3-다이에틸피리듐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민염을 구성하는 아민으로서는, 1급 아민(메틸아민,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뷰틸아민, 에틸렌다이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등), 2급 아민(다이메틸아민, 다이에틸아민, 다이프로필아민, 에틸메틸아민, 다이페닐아민, 다이에탄올아민 등), 3급 아민(트라이메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뷰틸아민, 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센-7, 트라이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민염을 이용하면, 유전체 피막의 피막 특성이 향상하고, 특히 전압차가 큰 충/방전에 대한 특성이 향상한다.
또한, 구동용 전해액에 함유되는 음이온 성분으로서는,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벤조산, 아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말레산, 톨루일산, 에난트산, 말론산, 개미산, 1,6-데케인다이카복실산, 5,6-데케인다이카복실산 등의 데케인다이카복실산, 1,7-옥테인다이카복실산 등의 옥테인다이카복실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등의 유기산, 혹은, 붕산, 붕산과 다가 알코올로부터 얻어지는 붕산의 다가 알코올 착화합물, 인산, 탄산, 규산 등의 무기산의 공액 염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데케인다이카복실산, 옥테인다이카복실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벤조산, 아이소프탈산, 개미산 등의 유기 카복실산, 또는, 붕산, 붕산의 다가 알코올 착화합물이다.
양극박으로서는, 전해 콘덴서용의 금속박을 산성 용액 중에서 통전 처리해서 표면적을 확대하는 에칭을 행하고, 이어서 붕산, 인산 혹은 이들의 염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전해액 중에서 양극 산화시켜 유전체 산화 피막을 형성해서 제작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이러한 양극박 중에서도, 유전체 피막이 알루미늄 상의 균일하게 결정화한 층과 이 층상의 규소를 함유하는 층으로 이루어진 양극박을 이용하면, 유전체 피막의 피막특성이 향상하고, 특히 전압차가 큰 충/방전에 대한 특성이 향상한다.
제1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전해 콘덴서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 실시예 1)
음극 내부단자는 순도 99.9% 이상의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지고, 교류 에칭 배율 28배, 양극 산화 전압 3V에 의한 화성 피막이 형성되며, 이 에칭층에 있어서의 철의 농도는 40ppm이다. 양극 내부단자는 99.9% 이상의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지고, 양극 산화 전압 620V에 의한 화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음극박은 에칭 배율 28배, 양극 산화 전압 3V에 의한 화성 피막이 형성되고, 양극박은 에칭되는 동시에, 양극 산화 전압 620V에 의한 화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 내부단자를, 각각 각 전극박의 소정 위치에 스티치에 의해 부착한 후, 세퍼레이터의 저밀도 쪽의 면이 음극 내부단자 쪽에 대면하도록 감아서 콘덴서 소자를 형성하고, pH 6의 구동용 전해액을 함침시켜 외장 케이스에 수납하였다.
( 실시예 2)
음극 내부단자의 교류 에칭 배율을 10배로 하고, 양극 산화를 행하지 않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전해 콘덴서를 작성하였다.
( 실시예 3)
음극 내부단자에 있어서의 에칭층 중의 철함유량을 280ppm으로 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전해 콘덴서를 작성하였다.
( 비교예 1)
음극 내부단자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재료의 순도를 99% 이상으로 하고, 에칭층 중의 철함유량을 400ppm으로 하고, 그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전해 콘덴서를 작성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의 전해 콘덴서를 400V-200V의 전압차 200V, 3㎐에서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또, 철의 농도는 음극 내부단자에 있어서의 중심 금속부(9)를 제외하고 에칭층(8)을 황산 또는 질산 등으로 용해시키고, 이 용해액 중의 철의 농도에 의거해서 측정한 것이다.
음극 내부단자 결과
Al 순도 Fe 순도 에칭 화성 단락 음극 내부 단자 부근의
구동용 전해액 pH
실시예 1 99.9% 40ppm 28배 3V 5000만회 이상없음 pH 6.5~7.2
실시예 2 99.9% 40ppm 10배 - 5000만회 이상없음 pH 7.2~8.0
실시예 3 99.9% 150ppm 28배 3V 5000만회 이상없음 pH 7.2~8.0
실시예 4 99.9% 280ppm 28배 3V 1500만회에서 단락 -
비교예 1 99% 400ppm 28배 3V 250만회에서 단락 -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전해 콘덴서는, 충/방전 시험에서 5000만회 경과한 후에도 단락 불량은 발생하지 않고, 실시예 4는 1500만회까지 수명이 연장된 데 대해서, 비교예 1은 250만회에서 단락 불량이 발생하였다. 또, 실시예 1 내지 3의 전해 콘덴서를 분해하여, 음극 내부단자 부근의 구동용 전해액의 pH를 측정한 바, 실시예 1에 대해서 실시예 2 및 3에서는, pH가 다소 알칼리쪽의 수치로 되고, 음극단자 부근을 관찰한 바 다소 변색을 보였다.
(제2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양극박(4)은 에칭 처리하여 화성 피막을 형성한 알루미늄 박으로 되며, 음극박(3)은 에칭 처리한 알루미늄 박으로 이루어지고, 임의로 화성 피막이 형성된다. 이 두 전극박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박 형상의 내부 탭 단자나 둥근 막대부 및 편평부 및 해당 둥근 막대부에 접속한 리드부로 이루어진 리드 단자 등의 전극 내부단자가 스티치법이나 냉간 용접법에 의해 접속되어 접속부(7)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박(4) 및 음극박(3) 사이에 세퍼레이터(2)를 개재해서 감거나 또는 적층함으로써 콘덴서 소자(1)가 형성된다. 상기 세퍼레이터(2)는 셀룰로스계 섬유지 및 그 혼초지, 적층지 등이고, 셀룰로스계 섬유지로서는 마닐라 삼, 크래프트, 대마, 에스파르토, 면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며, 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도이미드, 폴리에터이미드, 레이온 등의 합성 수지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는, 음극박(3)을 양극박(4)에 선행시켜서 감기 시작하고,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감기 종료 부분은 음극박(3)으로 감기 종료하도록 해서, 양극박(4)의 단부가 음극박(3)에 대향하도록 한다. 또, 음극 내부단자에 에칭에 의해 면 확장 처리해서, 양극박에 대향하는 음극 내부단자의 면적의 확대, 즉 양극박에 대향하는 음극부의 면적의 확대를 행한다.
음극 내부단자에 면 확장을 위해 실시하는 에칭 처리는, 에칭 처리가 실시되어 있으면 본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에칭 배율은 음극박의 에칭 배율의 5%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욱 35%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이 음극 내부단자에 화성 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한편, 양극 내부단자(6)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해 화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양극 산화 처리 전압은 양극박(4)에 실시되는 양극 산화 처리 전압과 같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감거나 또는 적층해서 형성된 콘덴서 소자(1)에는 구동용 전해액이 함침된다. 이 구동용 전해액의 pH는 5 내지 7이 바람직하다. 이 구동용 전해액의 용매로서는, 프로톤성 극성 용매,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 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톤성 극성 용매로서는, 1가 알코올류(에탄올, 프로판올, 뷰탄올, 펜탄올, 헥산올, 사이클로뷰탄올, 사이클로펜탄올, 사이클로헥산올, 벤질알코올 등), 다가 알코올류 및 옥시알코올 화합물류(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메톡시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메톡시프로판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로서는, 아마이드계(N-메틸포름아마이드,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N-에틸포름아마이드, N,N-다이에틸포름아마이드, N-메틸아세트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N-에틸아세트아마이드, N,N-다이에틸아세트아마이드, 헥사메틸포스포릭아마이드 등), 락톤류(γ-뷰티로락톤, δ-발레로락톤, γ-발레로락톤 등), 설포란계(3-메틸설포란, 2,4-다이메틸설포란 등), 환상 아마이드계(N-메틸-2-피롤리돈,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토, 아이소뷰틸렌카보네이트 등), 나이트릴계(아세토나이트릴 등), 옥사이드계(다이메틸설폭사이드 등), 2-이미다졸리디논계[1,3-다이알킬-2-이미다졸리디논(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디논, 1,3-다이에틸-2-이미다졸리디논, 1,3-다이(n-프로필-2-이미다졸리디논 등), 1,3,4-트라이알킬-2-이미다졸리디논(1,3,4-트라이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 등을 대표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 글라이콜, 물, 설포란, γ-뷰틸락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용액을 단독 혹은 혼합 용액으로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구동용 전해액에 함유되는 용질로서는, 통상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용 전해액에 이용되는, 산의 공액 염기를 음이온 성분으로 하는, 암모늄염, 아민염, 4급 암모늄염 및 환상 아미딘 화합물의 4급 염을 들 수 있다. 제4급 암모늄염을 구성하는 제4급 암모늄으로서는 테트라알킬암모늄(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테트라뷰틸암모늄, 메틸트라이에틸암모늄, 다이메틸다이에틸암모늄 등), 피리듐(1-메틸피리듐, 1-에틸피리듐, 1,3-다이에틸피리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민염을 구성하는 아민으로서는, 1급 아민(메틸아민,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뷰틸아민, 에틸렌다이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등), 2급 아민(다이메틸아민, 다이에틸아민, 다이프로필아민, 에틸메틸아민, 다이페닐아민, 다이에탄올아민 등), 3급 아민(트라이메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뷰틸아민, 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센-7, 트라이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민염을 이용하면, 유전체 피막의 피막특성이 향상하고, 특히 전압차가 큰 충/방전에 대한 특성이 향상한다.
또한, 구동용 전해액에 함유되는 음이온 성분으로서는,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벤조산, 아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말레산, 톨루일산, 에난트산, 말론산, 개미산, 1,6-데케인다이카복실산, 5,6-데케인다이카복실산 등의 데케인다이카복실산, 1,7-옥테인다이카복실산 등의 옥테인다이카복실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등의 유기산, 혹은, 붕산, 붕산과 다가 알코올로부터 얻어지는 붕산의 다가 알코올 착화합물, 인산, 탄산, 규산 등의 무기산의 공액 염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데케인다이카복실산, 옥테인다이카복실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벤조산, 아이소프탈산, 개미산 등의 유기 카복실산, 또는, 붕산, 붕산의 다가 알코올 착화합물이다.
양극박으로서는, 전해 콘덴서용의 금속박을 산성 용액 중에서 통전 처리해서 표면적을 확대하는 에칭을 행하고, 이어서 붕산, 인산 혹은 이들의 염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전해액 중에서 양극 산화시켜 유전체 산화 피막을 형성해서 제작한 것을 이용한다. 이러한 양극박 중에서도, 유전체 피막이 알루미늄 상의 균일하게 결정화한 층과 이 층상의 규소를 함유하는 층으로 이루어진 양극박을 이용하면, 유전체 피막의 피막특성이 향상하고, 특히 전압차가 큰 충/방전에 대한 특성이 향상한다.
제2실시예
이하에 제2실시형태에 관한 제2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실시예 4)
음극 내부단자는 순도 99.9% 이상의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지고, 에칭 배율 9배의 면 확장 처리가 실시된다. 양극 내부단자는 99.9% 이상의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지고, 양극 산화 전압 620V에 의한 화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음극박은 에칭 배율 28배의 면 확장 처리가 실시되고, 양극박은 에칭되는 동시에 양극 산화 전압 620V에 의한 화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 내부단자를 각각 각 전극박의 소정 위치에 냉간 용접에 의해 부착한 후, 두께 50㎛, 밀도 0.75g/㎤의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음극박이 선행하도록 감기 시작해서 음극박으로 감기 종료하도록 감아서 콘덴서 소자를 형성하고, 에틸렌 글라이콜을 용매로 하고 붕산 암모늄을 용질로 하는 구동용 전해액을 함침해서 외장 케이스에 수납하였다.
( 실시예 5)
구동용 전해액으로서 에틸렌 글라이콜을 용매로 하고 아젤라산 다이에틸아민을 용질로 하는 구동용 전해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전해 콘덴서를 제작하였다.
( 실시예 6)
알루미늄 상의 균일하게 결정화한 층과 이 층상의 규소를 함유하는 층으로 이루어진 유전체 피막을 가지는 양극박을 이용하여,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전해 콘덴서를 제작하였다.
( 실시예 7)
구동용 전해액으로서 에틸렌 글라이콜을 용매로 하고 아젤라산 다이에틸아민을 용질로 하는 구동용 전해액을 이용하고, 알루미늄 상의 균일하게 결정화한 층과 이 층 상의 규소를 함유하는 층으로 이루어진 유전체 피막을 가지는 양극박을 이용하여,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전해 콘덴서를 제작하였다.
( 실시예 8)
콘덴서 소자를 감을 때에, 두께 40㎛, 밀도 0.75g/㎤의 세퍼레이터를 이용하여 양극박의 길이방향의 단부가 음극박에 대향하도록, 즉, 양극박의 전체 면이 음극박과 대향하여 겹치도록 하여,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전해 콘덴서를 제작하였다.
( 비교예 2)
실시예 4에 있어서, 음극 내부단자에 에칭을 실시하지 않고 전해 콘덴서를 제작하였다.
( 비교예 3)
실시예 4에 있어서, 양극박이 선행하도록 감기 시작해서 양극박으로 감기 종료하도록 해서 감아서 전해 콘덴서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실시예와 비교예의 전해 콘덴서를 400V-200V의 전압차 200V, 3㎐(충/방전 시험 1)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고, 단락의 발생을 평가하였다. 또한, 280V-OV의 전압차 280V, 1㎐(충/방전 시험 2)에서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여, 누설 전류가 1000㎂에 이르는 횟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충/방전 시험 1 충/방전 시험 2
실시예 4 5000만회 이상 없음 150만회
실시예 5 5000만회 이상 없음 5000만회에서 1000㎂에 이르지 못함
실시예 6 5000만회 이상 없음 5000만회에서 1000㎂에 이르지 못함
실시예 7 5000만회 이상 없음 5000만회에서 1000㎂에 이르지 못함
실시예 8 5000만회 이상 없음 5000만회에서 1000㎂에 이르지 못함
비교예 2 350만회에서 단락 발생 -
비교예 3 100만회에서 단락 발생 -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충/방전 시험 1에 있어서, 음극박이 선행하도록 감기 시작하여 음극박으로 감기 종료하도록 감은 비교예 3에서는 350만회에서 단락에 이르고 있고, 음극 내부단자에 에칭을 실시한 비교예 3에서는 더욱 짧은 100만회에서 단락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비해서, 쌍방의 수단을 이용한 실시예 4에서는 5000만회에서 단락의 발생이 없고, 본 발명의 현저한 효과가 명확하다.
또한, 실시예 4에 더욱 아민염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이용한 실시예 5, 알루미늄 상의 균일하게 결정화한 층과 이 층상의 규소를 함유하는 층으로 이루어진 유전체 피막을 가지는 양극박을 이용한 실시예 6에서는, 충/방전 시험 2에 있어서는 누설전류특성이 향상하고 있다.
또,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통상보다 낮은 것을 이용해서 가속 시험을 행한 실시예 8에 있어서도 단락의 발생은 없어, 본원의 현저한 효과가 명확하다.

Claims (13)

  1. 양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양극박과 음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감거나 또는 적층한 콘덴서 소자에 구동용 전해액을 함침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음극 내부단자의 표면은 용해 처리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용해 처리에 의해서 형성된 용해 처리층의 철의 농도를 300ppm 미만으로 한 전해 콘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처리가 에칭 처리인 것인 전해 콘덴서.
  3. 양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양극박과 음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감거나 또는 적층한 콘덴서 소자를 이용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양극박의 단부가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음극박에 대향하고, 음극 내부단자는 표면이 확장 처리되며, 구동용 전해액은 pH가 5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콘덴서.
  4. 제3항에 있어서, 양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양극박과 음극 내부단자를 구비한 음극박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감은 콘덴서 소자를 이용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음극박을 양극박에 선행시켜서 감기 시작하고, 음극박으로 감기 종료하도록 감은 것인 전해 콘덴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박의 전체 면은 상기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상기 음극박에 대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콘덴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내부단자의 알루미늄 순도는 99.9% 이상인 것인 전해 콘덴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내부단자에는 화성 피막이 형성된 것인 전해 콘덴서.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박은 에칭 처리가 실시되고, 이 에칭 배율에 대해서 음극 내부단자의 에칭 배율을 5% 이상으로 한 것인 전해 콘덴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전해액은 그 pH가 5 내지 7인 것인 전해 콘덴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저밀도 쪽의 면을 상기 음극 내부단자에 대면하도록 배치한 것인 전해 콘덴서.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크래프트(craft), 대마, 면을 포함하는 것인 전해 콘덴서.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소자에 구동용 전해액을 함침시키고, 해당 구동용 전해액이 아민염을 함유하는 것인 전해 콘덴서.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박의 유전체 피막은 알루미늄 상의 균일하게 결정화한 층과 이 층 상의 규소를 함유하는 층으로 이루어진 것인 전해 콘덴서.
KR1020087013613A 2005-11-15 2006-11-15 전해 콘덴서 KR101037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0912 2005-11-15
JPJP-P-2005-00330912 2005-11-15
JP2006270151 2006-09-30
JPJP-P-2006-00270151 2006-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705A KR20080072705A (ko) 2008-08-06
KR101037067B1 true KR101037067B1 (ko) 2011-05-26

Family

ID=3804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613A KR101037067B1 (ko) 2005-11-15 2006-11-15 전해 콘덴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90303664A1 (ko)
EP (1) EP1962306A4 (ko)
JP (2) JP5152643B2 (ko)
KR (1) KR101037067B1 (ko)
CN (1) CN101341559B (ko)
WO (1) WO2007058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9261A1 (ja) 2010-02-15 2011-08-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US20150022951A1 (en) * 2011-11-11 2015-01-22 Nippon Kodoshi Corporation Separator for electrolytic capacitor and electrolytic capacitor
BR112014020551B1 (pt) * 2012-02-21 2022-10-11 Nippon Chemi-Con Corporation Capacitor eletrolítico
CN103779093A (zh) * 2014-01-15 2014-05-07 南通一品机械电子有限公司 焊片式铝电解电容器及其电解液
CN104934224B (zh) * 2015-05-05 2017-12-01 益阳市锦汇电子有限公司 一种铝电解电容器
US20170354828A1 (en) * 2016-06-14 2017-12-14 Pacesetter, Inc. Aromatic polyamide fiber material separators for use in electrolytic capacitors
DE102018107292A1 (de) 2018-03-27 2019-10-02 Tdk Electronics Ag Kondens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densators
DE102018107289A1 (de) * 2018-03-27 2019-10-02 Tdk Electronics Ag Kondens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densators
JP7329986B2 (ja) * 2019-06-26 2023-08-21 ルビ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1517A (ja) * 1991-06-10 1992-12-15 Canon Inc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
JP2001203127A (ja) * 2000-01-21 2001-07-27 Nichicon Corp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8157A (en) * 1940-07-03 1942-06-30 Magnavox Company Inc Dry electrolytic capacitor and spacing means therefor
JPS5040277Y2 (ko) * 1971-08-28 1975-11-18
JPS4834035A (ko) 1971-09-04 1973-05-15
US4031436A (en) * 1975-05-09 1977-06-21 United Chemi-Con, Inc. Electrolyte capacitors
US4480290A (en) * 1979-07-17 1984-10-30 Les Condensateurs Sic Safco Electrolytic capacitor including a composite separato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hereof
US4479166A (en) * 1981-09-30 1984-10-23 Sprague Electric Company High temperature electrolytic capacitor
JPS63265415A (ja) * 1987-04-23 1988-11-01 Showa Alum Corp 電解コンデンサ電極用アルミニウム合金箔
FR2672153B1 (fr) * 1991-01-28 1994-05-13 Bollore Technologies Separateur pour condensateurs electrolytiques et condensateurs ainsi formes.
US5448448A (en) * 1991-06-10 1995-09-05 Canon Kabushiki Kaisha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device
JPH07173562A (ja) 1993-10-28 1995-07-11 Kobe Steel Ltd 電解コンデンサ電極材料用アルミニウム合金箔および電解コンデンサ陰極材料
JPH088146A (ja) * 1994-06-16 1996-01-12 Marcon Electron Co Ltd 電解コンデンサ
JP2774078B2 (ja) 1994-11-25 1998-07-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用アルミニウム合金箔地の製造方法
JPH08213288A (ja) * 1995-02-03 1996-08-20 Mitsubishi Shindoh Co Ltd 電解コンデンサ用陽極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71077B2 (ja) * 1996-11-20 2007-01-24 日立エーアイシー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US5949638A (en) * 1997-05-02 1999-09-07 Cm Components, Inc. Multiple anode capacitor
US6104600A (en) * 1998-02-02 2000-08-15 Asahi Glass Company Lt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JP4178342B2 (ja) 1998-11-12 2008-11-12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JP3457222B2 (ja) * 1999-07-19 2003-10-14 ニチコン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
FR2788877B1 (fr) * 1999-01-27 2001-11-09 Nichicon Corp Condensateur electrolytique d'aluminium
JP2000277384A (ja) * 1999-03-23 2000-10-06 Hitachi Aic Inc 電解コンデンサ
KR100400241B1 (ko) * 1999-06-04 2003-10-0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커패시터 및 커패시터 제조방법
JP2001102265A (ja) * 1999-09-30 2001-04-13 Nippon Chemicon Corp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
US6452784B2 (en) * 2000-05-31 2002-09-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689323B2 (ja) * 2000-09-20 2005-08-31 昭和電工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電極用アルミニウム材
JP4039129B2 (ja) * 2002-06-05 2008-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駆動用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解コンデンサ
US6845003B2 (en) * 2002-11-29 2005-01-18 Honda Motor Co., Ltd. Metal collector foil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method of producing the metal collector foil,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using the metal collector foil
MY137710A (en) * 2002-12-06 2009-02-27 Panasonic Corp Electrolytic capacitor
JP2005039132A (ja) 2003-07-17 2005-02-10 Nippon Chemicon Corp 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17276A1 (en) * 2003-12-01 2005-06-02 Yanming Liu Electrolytes for high voltage electrolytic capacitors
JP3987837B2 (ja) * 2004-03-31 2007-10-10 ニチ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駆動用電解液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1517A (ja) * 1991-06-10 1992-12-15 Canon Inc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
JP2001203127A (ja) * 2000-01-21 2001-07-27 Nichicon Corp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66509B2 (ja) 2015-02-12
CN101341559A (zh) 2009-01-07
EP1962306A4 (en) 2014-04-02
JP2013055326A (ja) 2013-03-21
US20090303664A1 (en) 2009-12-10
KR20080072705A (ko) 2008-08-06
WO2007058204A1 (ja) 2007-05-24
EP1962306A1 (en) 2008-08-27
CN101341559B (zh) 2012-03-28
US20130301189A1 (en) 2013-11-14
JPWO2007058204A1 (ja) 2009-04-30
JP5152643B2 (ja) 2013-02-27
US9627145B2 (en)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067B1 (ko) 전해 콘덴서
TWI742168B (zh) 電極箔以及電解電容器
JP2004165203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06A (ja) 電解コンデンサ
WO2004042758A1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09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62A (ja) 電解コンデンサ用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解コンデンサ
JP2007273912A (ja) 電解コンデンサ
JP3918893B2 (ja) 電解コンデンサ
JP4811969B2 (ja) 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65261A (ja) 電解コンデンサ用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解コンデンサ
JP2003297675A (ja) 電解コンデンサ
JP4096133B2 (ja) 電解コンデンサ用電解液
JP2000294465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07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64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04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08A (ja) 電解コンデンサ
JP4493280B2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63A (ja) 電解コンデンサ用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59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58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60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12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65211A (ja) 電解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