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268B1 -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268B1
KR101036268B1 KR1020100050067A KR20100050067A KR101036268B1 KR 101036268 B1 KR101036268 B1 KR 101036268B1 KR 1020100050067 A KR1020100050067 A KR 1020100050067A KR 20100050067 A KR20100050067 A KR 20100050067A KR 101036268 B1 KR101036268 B1 KR 10103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insurance
car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형
Original Assignee
이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형 filed Critical 이세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보험료를 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의 자동차 운행정보에 따라 각 가입자별로 차별화된 자동차 보험료를 산출할 수 있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험사 시스템이, 자동차 보험에 가입하는 가입자 정보와 상기 가입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에 장착된 자동차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자동차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신한 무선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와 상기 가입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보험가입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의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험료 산출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CAR INSURANCE}
본 발명은 보험료를 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보험료를 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보험은 보험에 가입한 운전자의 차량사용 빈도와 관련 없이, 계약 기간만으로 보험료를 산정하여, 차량사용이 과다한 가입자나 차량 사용을 적게 하는 가입자나 차등 없이 부가하고 있다.
즉, 자동차와 관련된 임의보험 성격의 종합보험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보험에서도 상기와 같은 부가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소유자면 누구나, 차량사고시 최소한의 피해자 보호를 위해 매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일종의 강제보험의 성격을 가진 책임보험의 경우 역시, 자동차의 종류 및 연식 등을 고려하여 동일한 조건을 가진 사용자라면, 실질적인 자동차 운행 시간과 상관없이, 1년 동안에 동일한 보험료를 부가하고 있다.
따라서, 영업 업무를 하는 A가입자가 영업을 위해 하루 평균 5시간 동안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으며, 사무 업무를 하는 B가입자는 출/퇴근 시에만 하루 평균 1시간 동안만 운전을 한다고 가정하면, B가입자는 A가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5배나 비싼 보험료를 지불하게 되는 것이다.
즉,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자동차 보험료 산정 방법은, 가입자의 운전 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를 많은 시간 운전하지 않는 가입자는, 많이 운전하는 가입자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보험료를 지급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의 자동차 운행정보에 따라 각 가입자별로 차별화된 자동차 보험료를 산출할 수 있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험사 시스템이, 자동차 보험에 가입하는 가입자 정보와 상기 가입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에 장착된 자동차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자동차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신한 무선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와 상기 가입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보험가입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의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험료 산출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의 자동차 운행정보에 따라 각 가입자별로 차별화된 자동차 보험료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자동차 보험료를 책정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이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이 적용되는 보험사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이 적용되는 자동차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이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이 적용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보험을 가입 받고, 자동차 사고시에는 그에 따른 보험료를 지급하기 위한 보험사 시스템(10), 자동차의 운행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20)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50), 보험사 시스템에 자동차 보험을 가입하고 상기 자동차를 운행하는 가입자가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기(30), 자동차의 무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차의 운행 정보를 수신받아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40) 및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험사 시스템(10)은 자동차 보험을 가입 받아, 그에 따른 보험료를 징수하고, 자동차 사고 발생시 해당 자동차 보험 가입자에게 보험료를 지급하는 보험사에 의해 운영되는 시스템으로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통신 시스템으로부터 각 가입자들에 의해 운행되는 자동차의 운행정보(이하, 간단히 '자동차 운행정보'라 함)를 제공받아, 각 가입자별로 차별화된 보험료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자동차(50)는 보험사 시스템에 보험을 가입한 가입자에 의해 운행되는 것으로서, 보험사 시스템에 보험가입 자동차로 등록되어 있는 자동차를 말한다. 자동차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자동차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자동차 운행정보를 추출하여 무선을 통해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자동차 단말기(20)가 장착되어 있다. 자동차 단말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무선통신 시스템(40)은 자동차에 장착된 자동차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차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자동차 운행정보를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을 위해 구성된 시스템일 수도 있다. 즉, 무선통신 시스템은 자동차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차 운행정보를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무선통신 시스템과 보험사 시스템 간에는 인터넷 망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다.
가입자 단말기(30)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가입자가 보험사 시스템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개인용 단말기, PDA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들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시스템(60)은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인공위성과 같은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이동통신용 중계기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자동차에 탑재된 자동차 단말기(20)는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이 적용되는 보험사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보험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보험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 시스템 또는 가입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1), 관리자로부터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4), 무선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각 자동차의 자동차 운행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 보험관련 정보와 각 자동차의 운행정보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홈페이지 운영부(16), 각 자동차의 자동차 운행정보와 각 자동차를 운행하는 가입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가입자별 보험료를 산출하기 위한 보험료 산출부(17)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보험사 시스템은 보험 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를 통해, 각 가입자별로 산출된 보험료 정보와, 각 가입자별 자동차 운행 정보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이 적용되는 자동차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단말기(2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자동차 단말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각 장치들과 연결되어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21), 수집된 자동차 운행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4), 자동차를 운행하는 가입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3),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5), 무선통신 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차 운행정보를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26), 외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촬영부(28), 자동차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 구동되어 자동차 단말기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부(29)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23)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고, 저장부(24)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거나 수집부(21) 또는 영상 촬영부(28) 또는 위치 추적부(27), 무선 통신부(26) 또는 제어부(22) 등을 통해 수집되거나 처리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출력부(25)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 또는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다양한 정보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22)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집부(21)는 다양한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자동차 운행정보는 저장부(23)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통신부(26)를 통해 보험사 시스템(26)으로 전송된다.
영상촬영부(28)는 자동차 운행 중 또는 자동차가 정지해 있는 경우에 자동차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자동차가 운행되어 자동차 단말기가 구동되면 영상촬영부는 주변의 영상들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가 무선통신부에 의해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보험사 시스템은 전송되어온 영상들과 위치추적부를 통해 전송되어온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행경로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영상촬영부에는 자동차의 충격 또는 일정 레벨 이상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어서, 자동차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감지되면, 영상촬영부는 영상촬영을 시작하여 영상을 수집한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충격 등이 감지되는 경우는, 차량절도를 위해 자동차의 도어 또는 유리창 등이 파손되는 경우이거나 또는 차량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경우로서, 이러한 충격 등이 감지되면, 영상촬영부는 영상을 수집하여 저장한다. 한편, 제어부는 도어 키 등에 의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도어 또는 창문 등이 열리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저장되어 있는 핸드폰 번호로 무단침입이 감지되었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보험료 산출에 적용되거나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보조전원부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위치추적부(27)는 자동차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위치추적부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는 저장부(24)에 저장되어 있다가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보조전원부(29)는 자동차 단말기(20)에 필요한 전원을 예비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운행시 재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동차가 운행되는 일반적인 경우에 있어서, 자동차 단말기는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동차를 운행하면서도 자동차 단말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임의로 차단시키는 경우에는 자동차 단말기가 자동차의 운행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집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에 의해 잘못된 보험료가 산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동차 배터리로부터 자동차 단말기로 유입되는 전원코드 등을 임의로 차단시키는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은 보조전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보조전원부에는 흔들림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어서, 자동차 운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자동차가 흔들리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지속적으로 흔들림정보 또는 엔진 구동 등의 정보가 감지됨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보조전원부를 구동시켜 자동차 단말기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는 보조전원부를 통해 자동차 단말기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구동되도록 하는 한편,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줄 수도 있다. 이러한 경고에 의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제어부는 보조전원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이러한 보조전원부에 의해 자동차 단말기가 구동되었음을 알리는 보조전원구동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부(26)는 자동차 단말기와 보험사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자동차 단말기는 자동차의 각종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집부(21)는 자동차의 시동장치 및 엔진으로부터 자동차의 시동여부 정보를 수집하거나, 자동차 바퀴축의 회전수 등을 통해 자동차의 운행거리를 수집하거나, 차량 내에 설치된 영상촬영부(28)에 의해 차량이 운행되는 지역의 주변 영상정보를 수집하거나, 타이머 등을 통해 자동차의 운행 날짜 정보 등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자동차에는, 전자 제어 유닛(ECU : Electronic Control Unit) 또는 자가진단장치(OBD : On-Board Diagnosis) 또는 차체제어모듈(BCM : Body Control Module) 등과 같이, 전자적으로 자동차의 각종 구성요소들을 수집 또는 제어하는 장치들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로부터 자동차의 주행속도, 주행거리 등과 같은 다양한 자동차 운행정보들이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차 단말기의 수집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들과 통신을 통해 자동차 운행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차 운행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는 모듈들을 직접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우선, 보험사 시스템을 통해 자동차 보험에 가입한다(202). 이하의 설명에서, 보험사 시스템에 자동차 보험을 가입한 사용자는 가입자라 하며, 자동차라 함은, 가입자가 자동차 보험과 관련하여 보험사 시스템에 등록한 자동차를 말한다. 또한, 가입자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자동차 단말기와 무선통신 시스템간의 무선통신을 위해, 자동차 단말기의 통신과 관련된 정보(이하, 간단히 '자동차 단말기 정보'라 함)도 보험사 시스템에 제공한다. 여기서, 자동차 단말기가 자동차 보험 가입과 함께 보험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별도로 자동차 단말기 정보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자동차 단말기가 자동차 보험과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 가입자는 자동차 보험 가입 시 자동차 단말기 정보를 보험사 시스템에 제공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은, 가입자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자동차 보험 가입시, 자동차 보험료를 후불제로 할 것인지 또는 선불제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선불제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는, 자동차 보험 가입시, 보험료의 최고 산출액을 지불하는 한편, 자동차 보험 만기시, 이하에서 설명될 자동차 운행정보에 따라 삭감된 환급액을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후불제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는, 자동차 보험 가입시 별도의 보험료를 지급하지 않으며, 자동차 보험 만기시에, 이하에서 설명될 자동차 운행정보에 따라 산출된 보험료를 보험사 시스템에 납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 보험에 가입한 사용자는, 선불제 또는 후불제와 상관없이, 보험사 시스템에 등록된 자동차를 보험기간 동안 운행할 수 있다(204).
가입자에 의해 자동차가 운행되는 경우, 자동차에 장착된 자동차 단말기는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집한다(206). 즉, 자동차 단말기는 자동차의 운행시각, 운행날짜, 운행거리, 운행속도, 운행시간 또는 영상정보 등의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자동차 단말기에 위치추적부(네비게이션)(27)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 자동차 단말기는 위치정보 시스템(60)과의 통신을 통해 자동차의 현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재의 자동차 위치를 출력부를 통해 운행자에게 제공하거나, 자동차의 이동궤적 정보(이하, 자동차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자동차의 이동궤적 정보를 간단히 '위치정보'라 함)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자동차 단말기는 자동차에 별도로 장착되어 있는 위치추적장치(네비게이션)와의 통신을 통해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영상 촬영부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자동차 운행정보에는 자동차 단말기가 직접 수집한 영상정보 또는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별도의 위치추적장치와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수집된 자동차의 영상정보 또는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자동차 단말기에 저장된 자동차 운행정보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에 중요한 요소로 이용된다. 한편, 가입자는 자동차 단말기의 입력부 및 출력부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차 운행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단말기에, 가입자가 가입한 자동차 보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해 보험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USB 단자를 통해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음)에는,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와 자동차 보험 정보를 비교하여 산출된 납부 또는 환급되어야할 보험료가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이러한 과정은 보험사 시스템에서도 이루어지는 것임). 한편, 자동차 단말기는 자동차의 속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자동차의 속도는 자동차의 사고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서, 보험사 시스템은 이러한 속도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얼마나 많이 과속을 하였는지를 보험료 산출에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속도정보와 위치추적부를 통해 수집된 도로의 제한속도에 대한 제한속도정보를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위치추적부는 자동차가 운행되고 있는 도로의 제한속도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 자동차 단말기가, 현재의 속도정보와 현재 자동차가 운행하고 있는 도로의 제한속도정보를 매칭시켜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보험사 시스템은 제한속도정보와 속도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얼마나 많은 속도위반을 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보험료 산출에 이용할 수도 있다.
자동차 단말기는 수집된 자동차 운행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한다(208). 이때, 자동차 운행정보의 송신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운행 정보는, 하루에 한번 만 전송되거나, 자동차가 운행되고 있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마다 전송되거나, 자동차의 운행 숫자(시동을 거는 숫자)가 기 설정된 숫자를 초과하는 경우마다 전송되거나, 자동차의 운행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할 때마다 전송되는 등 다양한 설정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자동차 단말기는 자동차 운행정보 외에도 다양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가입자가 자동차 단말기에 전송된 비상버튼을 선택하면, 비상버튼 신호가 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해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험사 시스템은 자동차 단말기(음성통신이 지원되는 자동차 단말기)로 자동차 고장 여부를 질의하여 차량정비반을 보내줄 것을 가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보험사 시스템은 보험사 시스템의 관리자가 직접 자동차 단말기를 통한 음성통화를 통해 고장발생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거나, 또는, 고장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자동음성메시지를 자동차 단말기로 전송한 후, 자동차 단말기로부터 확인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긴급처리(차량정비반 출동)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험사 시스템은 고장정보가 전송된 자동차의 가입자 정보에서 추출된 가입자의 무선단말기(핸드폰)로 전화통화를 연결하여,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확인한 후 차량정비반을 보내줄 것(긴급처리)을 가입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되어 있던 자동응답메시지(음성 또는 문자)를 핸드폰으로 전송한 후, 그에 따른 응답(가입자의 보험사 시스템으로의 전화통화, 문자전송 또는 핸드폰의 버튼입력)에 의해 긴급처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자동차 단말기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위치확인 절차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사고발생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충격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 단말기의 경우에는, 충격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정보를 분석한 결과 자동차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입자의 비상버튼 선택여부와 상관없이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자동차 단말기는 자동차 사고시에 발생되는 큰 충격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충격센서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가입자가 사고로 의식불명상태가 되어, 보험사 시스템이 자동차 단말기 또는 핸드폰을 통해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없는 경우, 자동으로 위치를 추적하여 사고처리반 또는 차량정비반을 사고지점으로 파견할 수 있으며, 119 등으로 사고를 접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자동차 도난 자동차 단말기가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보험사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어서, 차량도난의 예방과 도난차량 회수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과정(208)에 따라 자동차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자동차 운행정보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거쳐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된다(210). 보험사 시스템은 자동차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정상적인 자동차 운행정보인 경우에는, 저장부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비상버튼 선택에 의한 비상정보 등인 경우에는, 그에 따른 조치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보험사 시스템은 수신된 자동차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보험료를 산출한다(212). 이때, 자동차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보험료를 산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입된 보험의 종류가 선불제인지 또는 후불제인지에 따라, 환급해줄 보험료가 산출되거나 납부할 보험료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보험사 시스템은, 자동차 운행 거리를 단계별로 설정한 후, 자동차가 해당 운행거리를 초과한 경우마다 납부 또는 환급해줄 보험료를 재산출하거나, 자동차가 운행된 숫자(시동을 건 숫자)에 따라 재산출하거나, 자동차의 운행 시간에 따라 재산출하거나, 자동차가 운행된 날짜의 수에 따라 재산출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자동차 보험료를 재산출할 수 있다. 즉, 보험사 시스템은 자동차 보험의 가입시에 가입자와 합의된 보험가입조건, 예를 들어, 가입자가 설정한 운행거리, 운행시간, 운행날짜 등을, 수집된 자동차 운행정보와 비교하여, 자동차 운행정보에 따른 운행시간, 운행날짜 등이 가입조건의 운행시간, 운행날짜 등을 초과하였는지 또는 미달되었는지의 결과에 따라, 가입자의 보험료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보험사 시스템은 자동차 운행정보에 따라 보험료를 재산출하는 대신, 자동차 보험의 유효기간의 연장 또는 단축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가입자가 자동차 운행일자, 운행거리 또는 운행시간 등의 자동차 운행정보를 고의로 누락시킬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단말기가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의무적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한편,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차 운행정보의 정확성을 검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자동차를 운행하기 전에 미리 자동차 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 등에 의해 자동차 단말기의 기능을 무력화 시킨 후, 자동차를 운행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자동차의 실제 운행거리 또는 운행시간 등이 보험사 시스템으로 전송된 운행거리 또는 운행시간 보다 길 수도 있다. 따라서, 보험사 시스템은 자동차 단말기로부터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차의 위치가 단절되는 구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가입자에게 소명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보험료를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자동차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자동차의 위치정보 역시 자동차의 운행과 함께 연속적으로 형성될 것이다. 그러나, 가입자가 자동차 단말기의 기능을 임의로 제어하여 자동차 단말기가 동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임으로 장소로 옮긴 후, 자동차 단말기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다시 자동차를 또 다른 장소로 옮긴다면, 자동차의 이동궤적에 단절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절 구간이 어느 일정 한도 이상으로 발생된다면, 보험사 시스템의 관리자는 이를 가입자에게 소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자 단말기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전원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자동차가 운행됨에도 불구하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보조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동차 단말기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보험사 시스템은 상기에서 산출된 납부 또는 환급해줄 보험료 정보, 또는, 자동차 보험의 유효기간의 연장 또는 단축 정보(이하, 간단히 '보험료 산출 내역'이라 함)를 보험사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보험사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214). 따라서, 가입자는 보험사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자신의 보험료 산출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기능 또는 비상버튼 기능 또는 충격센서 기능 등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 가입자는 보험사 홈페이지를 통해 자신의 자동차의 운행궤적, 운행날짜, 운행시간, 운행거리, 사고발생시간, 사고발생지점, 고장발생지점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은, 자동차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합리적으로 보험료를 산출하는 한편, 자동차의 운행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 운행정보를 가입자가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자동차의 각종 긴급상황 발생을 모니터링하여 그에 따른 각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0 : 보험사 시스템 20 : 자동차 단말기
30 : 가입자 단말기 40 : 무선통신 시스템
50 : 자동차

Claims (10)

  1. 보험사 시스템이, 자동차 보험에 가입하는 가입자 정보와 상기 가입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에 장착된 자동차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자동차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신한 무선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와 상기 가입자에게 설정되어 있는 보험가입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의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험료 산출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보험이 후불제로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가 납부해야할 납부액을 산출하며,
    상기 자동차 보험이 선불제로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환불해주어야 할 환불액을 산출하고,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에는 상기 자동차 단말기가, 상기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전송되어온 전원이 아닌, 상기 자동차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보조전원부에 의해 구동되고 있음을 알리는 보조전원구동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보험료는 상기 보조전원구동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 보험의 유효기간을 단축하거나 연장시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사 시스템은, 상기 자동차 단말기로부터 비상버튼 신호가 전송되어온 경우에는, 상기 비상버튼 신호에 해당하는 긴급조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조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험사 시스템이, 상기 자동차 단말기로부터 비상버튼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 단말기로 음성통화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가입자의 핸드폰으로 비상발생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비상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비상상황 발생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긴급조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6.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에는 상기 자동차의 운행거리, 운행속도, 운행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보험가입조건에는 상기 운행정보와 대응하는 조건들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에는 상기 자동차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보험사 시스템은, 상기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의 이동궤적의 연속성을 판단하며, 상기 이동궤적의 연속성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8.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에는 상기 자동차의 속도정보와 상기 자동차가 상기 속도로 운행되고 있는 도로의 제한속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보험료는 상기 속도정보와 상기 제한속도정보로부터 파악된 과속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9. 삭제
  10.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운행정보에는 상기 자동차 단말기 또는 상기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영상 촬영부에 의해 수집된 영상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보험사 시스템은 상기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거나 또는 무단 침입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는 무선단말기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KR1020100050067A 2010-03-10 2010-05-28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KR101036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1216 2010-03-10
KR1020100021216 2010-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268B1 true KR101036268B1 (ko) 2011-05-23

Family

ID=4436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067A KR101036268B1 (ko) 2010-03-10 2010-05-28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2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288B1 (ko) * 2018-12-14 2020-03-31 (주)현대티앤알 블랙박스 기반의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KR20210025818A (ko) 2019-08-28 2021-03-10 강동연 스마트폰 입력행위 분석을 통한 안전운전 포인트 제공 시스템
KR20210071202A (ko) 2019-12-06 2021-06-16 강동연 입력창 커서 깜박임 분석을 통한 운전중 스마트폰 감시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그를 포함하는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증거 수집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264A (ko) * 1999-08-31 2001-06-15 가나이 쓰토무 차량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KR20020045186A (ko) * 2000-12-08 2002-06-19 오성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보험 이벤트 관리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차량 보험 이벤트 관리 방법
KR100430904B1 (ko) * 1999-12-23 2004-05-12 주식회사 카포인트 운행거리 및 시간에 따른 선불식 자동차 보험 처리방법 및처리시스템
US6868386B1 (en) * 1996-01-29 2005-03-15 Progressive Casualty Insurance Company Monitoring system for determining and communicating a cost of insur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8386B1 (en) * 1996-01-29 2005-03-15 Progressive Casualty Insurance Company Monitoring system for determining and communicating a cost of insurance
KR20010050264A (ko) * 1999-08-31 2001-06-15 가나이 쓰토무 차량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KR100430904B1 (ko) * 1999-12-23 2004-05-12 주식회사 카포인트 운행거리 및 시간에 따른 선불식 자동차 보험 처리방법 및처리시스템
KR20020045186A (ko) * 2000-12-08 2002-06-19 오성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보험 이벤트 관리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차량 보험 이벤트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288B1 (ko) * 2018-12-14 2020-03-31 (주)현대티앤알 블랙박스 기반의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
KR20210025818A (ko) 2019-08-28 2021-03-10 강동연 스마트폰 입력행위 분석을 통한 안전운전 포인트 제공 시스템
KR20210071202A (ko) 2019-12-06 2021-06-16 강동연 입력창 커서 깜박임 분석을 통한 운전중 스마트폰 감시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그를 포함하는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증거 수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918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an accident
US11669911B1 (en) Automated accident detection, fault attribution, and claims processing
US8125530B2 (e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collecting program
US10417713B1 (en)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is parked for automated accident detection, fault attribution, and claims processing
CN106228840B (zh) 一种停车管理系统
US116235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driving information
US11770681B2 (en) Communications hub for crash event detection, response, and reporting system
EP26527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vehicle behaviour
US20150307048A1 (en) Automobile alert information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KR101071914B1 (ko) 자동차 충돌사고 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EP3103095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100073893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1415214B (zh) 车辆状态评价装置
JP6655318B2 (ja) 車両防犯システム
CN205809925U (zh) 出租车智能计价、监控与全方位监视装置
KR101036268B1 (ko)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JP4556366B2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US20210241627A1 (en) Overdue parking warning
KR101498534B1 (ko) 자동차 주행거리를 적산하는 자동차 충돌사고 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26213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보 접수 방법
KR102506129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101217537B1 (ko) 차량용 전자단말기기 및 그를 이용한 휴일제 관리시스템
JP2003081061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KR101218477B1 (ko)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950012B1 (ko) 영상 정보 단말기 대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