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477B1 -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477B1
KR101218477B1 KR1020110071791A KR20110071791A KR101218477B1 KR 101218477 B1 KR101218477 B1 KR 101218477B1 KR 1020110071791 A KR1020110071791 A KR 1020110071791A KR 20110071791 A KR20110071791 A KR 20110071791A KR 101218477 B1 KR101218477 B1 KR 10121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terminal
accident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영
전용배
박상배
유지광
심규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를 접수한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대차 요청을 수신하고, 대차 요청에 따라 렌터카 센터 단말로 출차 요청을 하는 단계,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 및 사고 대차를 인도받을 사용자 휴대 단말로 출차/반납 인증 번호 전송하는 단계, 렌터카 센터 단말로부터 송신한 출동 명령을 수신한 출동 기사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인수 위치에 도착한 시간을 수신하고,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출차 인증 번호와 미리 결정된 출장 인증 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성공한 시간을 수신하여 단계,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반납 위치에 도착한 시간을 수신하고,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반납 인증 번호와 미리 결정된 반납 인증 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성공한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이용 내역 확인을 수신할 경우, 렌터카 센터 단말, 위치 안내 단말 및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대차 관리 서버를 기반으로 사고 대차 접수부터 이용 내역 정산까지 한번에 처리되기 때문에 관리 업무가 빠르고 편리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OF PROVIDING FREE RENTAL SERVICE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를 소유, 사용, 관리하면서 예기치 못한 사고들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런 사고가 발생시에 물질적 그리고 정신적으로 많은 손해를 줄이기 위해서 사람들은 보험에 가입한다.
사고가 발생 되었을 때 보험 가입자는 보험 회사에 사고 접수를 하여 보험 처리를 받게 되는데 이때 “보험 담당자는 누구인지?”,“신속한 사고 처리는 되고 있는지?”, “사고 현장은 확인하였는지?”, “경찰서 사고 기록은 나왔는지?”, “피해규모는 어떻게 되며 피해액은 어떻게 되는지?”,“보험처리 시 할인할증은 어떻게 되는지?” 등 신속 정확한 사고 처리와 안내 서비스가 되도록 보험회사에 요구하고 있고 보험회사도 그렇게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렇듯 먼저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피해자는 보험회사에 사건을 접수하고, 보험회사는 해당 사고 사건 접수 번호와 담당자 안내 문자 메시지를 피해자에게 발송한다. 이때, 피해자는 보험 회사 담당자로부터 사고사실, 계약, 사고내용, 과실안내, 피해상황, 차주면담, 사고현장, 보험금산정 및 결정지급까지의 일련의 과정 동안 보험 회사 담당자의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험 회사는 렌터카 센터로 피해자가 사고가 발생된 곳으로 대차를 보내줄 것을 지시하고, 렌터카 센터는 출동 기사를 피해자가 사고가 발생된 곳으로 출동시켜 출동 기사가 사용자에게 대차를 인도하고 피해자의 차량을 견인하여 자동차 정비소로 인도하도록 지시한다. 출동 기사는 견인한 피해자의 차량을 자동차 정비소로 인도한 후 보험 회사로 이 내역을 통보한다.
보험 회사는 렌터카 센터에게 대금을 청구할 시, 정확한 규정에 따라 대금을 청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금을 과다 청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렌터카 센터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출동 기사의 영업비와 보험회사에서 과다 청구하는 금액을 모두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렌터카 센터입장에서는 많은 비용에 대한 부담감이 생길 수도 있다. 더구나, 고객은 보험회사가 출동 기사를 통해 대차만을 인도받기 때문에 보험회사의 서비스 품질에 만족하지 않아 불만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사고 대차 관리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교통 사고에 따라 사고 접수를 하고, 사고 현장에 출동된 사고 대차의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기초로 하여 사고 대차를 관리하는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 현장에 출동된 사고 대차의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기초로 렌터카 센터에 지불할 이용료를 정산하는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를 접수한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대차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대차 요청에 따라 렌터카 센터 단말로 출차 요청을 하는 단계, 상기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 및 상기 사고 대차를 인도받을 사용자 휴대 단말로 출차/반납 인증 번호 전송하는 단계, 상기 렌터카 센터 단말로부터 송신한 출동 명령을 수신한 출동 기사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인수 위치에 도착한 시간을 수신하고,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출차 인증 번호와 미리 결정된 출장 인증 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성공한 시간을 수신하여 단계,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반납 위치에 도착한 시간을 수신하고,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반납 인증 번호와 미리 결정된 반납 인증 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성공한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이용 내역 확인을 수신할 경우, 상기 렌터카 센터 단말, 위치 안내 단말 및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를 접수하는 피해자 보험사 단말, 상기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대차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대차 요청에 따라 렌터카 센터 단말로 출차 요청을 하고,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 및 상기 사고 대차를 인도받을 사용자 휴대 단말로 출차 인증 번호 전송하고, 상기 사고 대차가 반납될 시 상기 위치 안내 단말 및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로 반납 인증 번호를 전송하고, 사고 대차 정보, 사고 대차 출차 내역 및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저장하는 사고 대차 관리 서버, 상기 출차 요청에 출동 기사 단말로 출동 명령을 전송하여 출동 기사를 사고 대차 출차 위치로 출동시키는 렌터카 센터 단말, 상기 사고 대차 관리 장치로부터 출차 인증 번호 및 사고 대차 반납 인증 번호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대차 인수 인증 번호 또는 사고 대차 반납 인증 번호를 수신할 시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안내 단말을 포함하는 사고 대차 및 상기 사고 대차 관리 장치로부터 출차 인증 번호 및 사고 대차 반납 인증 번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인증을 수행할 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휴대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는 정확한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기초로 이용료를 정산하기 때문에 사고 대차 이용료를 과다 청구할 수 없으며, 사고 대차 관리 서버를 기반으로 사고 대차 접수부터 이용 내역 정산까지 한번에 처리되기 때문에 관리 업무가 빠르고 편리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고 대차 관리 시스템은 사고 대차 관리 서버(100), 피해자 보험사 단말(200), 렌터카 센터 단말(300) 및 가해자 보험사 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피해자 보험사 단말(200), 렌터카 센터 단말(300) 및 가해자 보험사 단말(400)은 유선 전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다양한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고 대차 관리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고 대차 관리 서버(100)는 송/수신부(101), 제어부(102) 및 저장부(1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운전 중 사고가 발행하여 사고 대차 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사고 대차 요청을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운전 중 사고가 발행한 경우 사용자는 피해자 보험사 단말(200)로 사고를 알리고, 피해자 보험사 단말(101)은 차량 운전자에게 “현장 출동”, “차량 운전자 면담”, “사고현장 확인”, “경찰서 방문”, “유관 업체, 예를 들어 병원, 정비업체 등의 방문”, “보험금 산정 및 결정” 등 일련의 과정에 대한 내용을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달한다.
그리고, 피해자 보험사 단말(200)은 사고 대차 관리 서버(100)의 송/수신부(101)로 대차 요청을 한다. 송/수신부(101)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기 때문에, 송/수신부(101)와 제어부(102)의 동작을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사고 대차 관리 서버(100)의 제어부(102)는 송/수신부(101)가 피해자 보험사 단말(101)로부터 대차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렌터카 센터 단말(300)로 출차 요청을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01)를 제어하고, 출차될 사고 대차의 위치 안내 단말 및 사고 대차를 인도받는 사용자 휴대 단말로 동일한 출차 인증 번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01)를 제어한다.
제어부(102)는 송/수신부(101)가 출동 기사 단말, 사용자 휴대 단말 및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수신할 경우 저장부(103)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먼저, 송/수신부(101)가 출동 기사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수신할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렌터카 센터 단말로부터 출동 지시를 받은 출동 기사는 사고 대차를 사용자에게 인도하기 위해서 사고 대차 인수 위치에 도착한 후 사고 대차 인수 위치에 도착한 시간을 송/수신부(101)로 전송할 시, 송/수신부(101)는 출동 기사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둘째, 송/수신부(101)가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수신할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사고 대차 인수 위치에서 렌터카 센터의 출동 기사로부터 사고 대차를 인수를 받은 후 인수 받은 시간을 송/수신부(101)로 전송할 시, 또한, 사용자가 사고 대차의 사용 후 반납을 위해 사고 대차 반납 위치 도착한 후 사고 대차 반납 위치에 도착하는 시간을 송/수신부(101)로 전송할 시, 송/수신부(101)는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셋째, 송/수신부(101)가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수신할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사고 대차 인수 위치에서 렌터카 센터의 출동 기사로부터 사고 대차를 인수를 받은 후,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에 사고 대차 관리 서버(100)의 송/수신부(101)로부터 수신한 출차 인증 번호 또는 반납 인증 번호를 입력할 경우, 위치 안내 단말이 사고 대차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미리 저장한 출차 인증 번호 또는 반납 인증 번호와 비교하여 인증을 성공한 시간을 송/수신부(101)로 전송할 시, 송/수신부(101)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안내 단말이 내장된 GPS 칩을 통해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도출한 좌표 정보가 미리 결정된 스테이션 좌표와 일치한다고 판단하여 스테이션에 도착하는 시간을 송/수신부(101)로 전송할 시, 송/수신부(101)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송/수신부(101)가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이용 내역 송신 요청을 수신할 시 저장부(103)에 저장된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01)를 제어한다.
저장부(103)는 사고 대차 정보, 사고 대차 차고 내역 및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저장한다. 사고 대차 정보는 차종, 등급, 차명, 모델명 및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사고 대차 출차 내역은 렌터카 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총 사고 대차 중 렌터카 센터에서 사용자에게 대차한 사고 대차 내역을 나타낸다.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은 송/수신부(101)에 의해 출동 기사 단말, 사용자 휴대 단말,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내역을 나타낸다.
렌터카 센터 단말(300)은 사고 대차 관리 서버(100)로부터 사고 대차 출차 지시를 받고, 출동 기사 단말로 출동 명령을 전송하여 출동 기사를 사고 현장으로 출동 시킨다. 출동 기사는 정확한 사고 사실 확인과 계약 및 사고 내용을 파악하고 필요 구비 서류를 차량 운전자에게 안내하며 사고 대차를 차량 운전자에게 인도한 후, 사고 차량을 견인하여 자동차 정비소로 인도한다. 그 후, 피해자 보험사 단말(200)로 이와 같은 상황 처리 결과를 알린다.
가해자 보험사 단말(400)은 렌터카 센터 단말로부터 이용료를 청구를 수신할 시, 사고 대차 관리 서버(100)를 통해서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확인한 후 렌터카 센터 단말(300)로 이용료를 정산한다. 이때, 피해자 보험사 단말, 가해자 보험사 단말 및 렌터카 센터는 유선 전화,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다양한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고 대차 관리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전 중 사고가 발행한 경우(S201) 사용자는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 사고 접수를 한다(S202). 피해자 보험사 단말은 렌터카 센터로 사고 대차 여부를 확인하고(S203), 출차 가능한 사고 대차 여부의 확인 결과를 렌터카 센터로부터 수신한다(S204). 이때, 피해자 보험사 단말은 렌터카 센터로 사고 차량에 대응하는 차종, 등급, 차명, 모델명, 옵션 등을 포함하는 사고 대차가 출차 가능한지 확인한다.
여기서, 차종은 승용, 지프, 화물, 승합, RV로 구분될 수 있으며, 등급은 경차, 소형, 중형, 대형, 고급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옵션은 엔진, 연료, 에어컨, 구동방식, 스티어링기어, 휠, ABS, 에어백, 안개등, 도어록, 백미러, 선루프, 스포일러, ECS, 계기판, 터보, 인터쿨러, HID 램프, 리어와이퍼, 범퍼가드, CDP, 시트, 루프캐리어, 루프랙, AV, 백워닝 센서, 네비게이션, 이모빌라이져, 핸즈프리, 커튼에어백, 파워트렁크, CD 체인저, 연소식히터, DVD 체인저, 레인센서, 후방카메라, 헤드램프와셔 등 옵션 장치의 종류 및 장착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사고 대차 관리 서버는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대차 접수를 수신하고(S205), 렌터카 센터로 출차 지시를 한다(S206). 이때, 사고 대차 관리 서버는 렌터카 센터로 출차 지시한 사고 대차 정보, 예를 들어 사고 날짜, 출차 시간, 반환 날짜, 반환 시간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그 후,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정보의 송신을 요청 받을 경우 저장된 사고 대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해자 보험사 단말은 요금을 정산하여 렌터카 센터로 지급할 수 있다.
사고 대차 관리 서버에 의해 사고 대차 출차 지시를 받은 렌터카 센터는 출동 기사를 사고 현장으로 출동 시킨다(S207). 그 후, 렌터카 센터가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 사고 대차 이용료를 청구할 시(S208), 가해자측 보험회사는 사고 대차 관리 서버를 통해서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확인한 후(S209), 이용료를 렌터카 센터로 지급한다(S210).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제공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전 중 사고가 발행한 경우(S301) 사용자는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 사고 접수를 한다(S302). 피해자 보험사 단말은 렌터카 센터로 긴급 출동 기사의 출동을 지시를 한다(S303).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긴급 출동 지시를 수신한 렌터카 센터는 사고 대차 관리 서버로 사고 대차 접수를 하고(S305), 사고 현장으로 긴급 출동 기사를 사고 현장으로 출동 시킨다(S306).
이때, 긴급 출동 기사는 사고 현장으로 출동 하여 사용자의 사고 차량을 견인하고, 사고 대차를 사용자에게 대차한다. 그 후, 긴급 출동 기사는 사고 차량을 자동차 정비소로 인도한 후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 이와 같은 사실을 통보한다.
그 후, 렌터카 센터가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 사고 대차 이용료를 청구할 시(S307), 가해자측 보험회사는 사고 대차 관리 서버를 통해서 사고 대차 이용 내역을 확인한 후(S308), 이용료를 렌터카 센터로 지급한다(S309).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대차 관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사고 대차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고를 접수한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대차 요청을 수신하고, 대차 요청에 따라 렌터카 센터 단말로 출차 요청을 한다(S401). 그후, 사고 대차 관리 서버는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 및 사고 대차를 인도받을 사용자 휴대 단말로 출차/반납 인증 번호 전송한다(S402). 사고 대차 관리 서버는 렌터카 센터 단말로부터 송신한 출동 명령을 수신한 출동 기사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인수 위치에 도착한 시간을 수신하고,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출차 인증 번호와 미리 결정된 출장 인증 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성공한 시간을 수신한다(S403). 그리고, 사고 대차 관리 서버는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사고 대차 반납 위치에 도착한 시간을 수신하고, 사고 대차에 장착된 위치 안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반납 인증 번호와 미리 결정된 반납 인증 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성공한 시간을 수신한다(S404). 만약, 사고 대차 관리 서버는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이용 내역 확인을 수신할 경우, 상기 렌터카 센터 단말, 위치 안내 단말 및 사용자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 전송한다(S405).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사고 대차 관리 서버 101: 송/수신부
102: 제어부 103: 저장부
200: 피해자 보험 회사 300: 렌터카 센터
400: 가해자 보험 회사

Claims (11)

  1. 사고 대차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고 대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출동 기사 단말, 사용자 단말 및 위치 안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대차의 출고 시간 결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출동 기사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위치 안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대차의 입고 시간 결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상기 대차의 이용 내역 확인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한 상기 대차의 출고 시간 결정 정보 및 상기 대차의 입고 시간 결정 정보를 상기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의 출고 시간 결정 정보는 상기 대차의 전달 위치인 제 1 스테이션에서 상기 대차에 구비된 위치 안내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성공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위치 안내 단말이 수신한 GPS 신호로부터 도출한 위치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위치 좌표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대차의 입고 시간 결정 정보는 상기 대차의 반납 위치인 제 2 스테이션에서 상기 대차에 구비된 위치 안내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성공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위치 안내 단말이 수신한 GPS 신호로부터 도출한 위치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스테이션의 위치 좌표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대차 관리 방법은,
    상기 대차의 출고 시간 결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대차의 출차 가능 여부 확인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고 차량에 대응하는 차종, 차명 및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상응하는 대차의 출차 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대차 관리 방법은,
    상기 대차의 출고 시간 결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대차 요청에 상응하여 렌터카 센터 단말로 대차의 출고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대차 관리 방법은,
    상기 대차의 입고 시간 결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상기 대차의 이용 내역 확인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렌터카 센터에서 대차된 차량의 이용 내역을 상기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된 차량의 이용 내역은,
    상기 가해자 보험사 단말에서 상기 대차의 사용에 대한 이용료를 정산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료는,
    상기 대차된 차량의 이용 내역에 기초하여 정산한 금액에서 시스템 이용료 및 약정 수수료를 차감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방법.
  7. 출동 기사 단말, 사용자 단말 및 위치 안내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대차의 출고 시간 결정 정보 및 대차의 입고 시간 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상기 대차의 이용 내역 확인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상기 대차의 출고 시간 결정 정보 및 상기 대차의 입고 시간 결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대차의 이용 내역 확인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한 상기 대차의 출고 시간 결정 정보 및 상기 대차의 입고 시간 결정 정보를 상기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 제공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의 출고 시간 결정 정보는 상기 대차의 전달 위치인 제 1 스테이션에서 상기 대차에 구비된 위치 안내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성공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위치 안내 단말이 수신한 GPS 신호로부터 도출한 위치 좌표 정보가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위치 좌표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대차의 입고 시간 결정 정보는 상기 대차의 반납 위치인 제 2 스테이션에서 상기 대차에 구비된 위치 안내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성공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위치 안내 단말이 수신한 GPS 신호로부터 도출한 위치 좌표 정보가 상기 제2 스테이션의 위치 좌표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부가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대차의 출차 가능 여부 확인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고 차량에 대응하는 차종, 차명 및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상응하는 대차의 출차 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피해자 보험사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부터 상기 대차의 이용 내역 확인 요청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렌터카 센터에서 대차된 차량의 이용 내역을 상기 가해자 보험사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된 차량의 이용 내역은,
    상기 가해자 보험사 단말에서 상기 대차의 사용에 대한 이용료를 정산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료는,
    상기 대차된 차량의 이용 내역에 기초하여 정산한 금액에서 시스템 이용료 및 약정 수수료를 차감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대차 관리 장치.
KR1020110071791A 2011-07-20 2011-07-20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21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791A KR101218477B1 (ko) 2011-07-20 2011-07-20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791A KR101218477B1 (ko) 2011-07-20 2011-07-20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477B1 true KR101218477B1 (ko) 2013-02-01

Family

ID=4789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791A KR101218477B1 (ko) 2011-07-20 2011-07-20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011B1 (ko) * 2016-06-02 2017-03-29 렌카 주식회사 보험사 연계형 렌터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21546B1 (ko) * 2020-04-10 2021-03-02 렌카 주식회사 Ai(artificial intelligence)에 의한 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 수행하여 보험 대차에 이용되는 중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44A (ko) * 2002-02-02 2003-08-09 임병덕 온 라인을 통한 차량의 임대시스템 및 그 임대방법
KR20060028966A (ko) * 2004-09-30 2006-04-04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상금 결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4267A (ko) * 2005-08-26 2007-03-02 오성준 보험가입정보 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리운전통합관리방법
KR20100036076A (ko) * 2008-09-29 2010-04-07 사단법인 보험개발원 차량 보험 통합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44A (ko) * 2002-02-02 2003-08-09 임병덕 온 라인을 통한 차량의 임대시스템 및 그 임대방법
KR20060028966A (ko) * 2004-09-30 2006-04-04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상금 결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4267A (ko) * 2005-08-26 2007-03-02 오성준 보험가입정보 확인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리운전통합관리방법
KR20100036076A (ko) * 2008-09-29 2010-04-07 사단법인 보험개발원 차량 보험 통합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011B1 (ko) * 2016-06-02 2017-03-29 렌카 주식회사 보험사 연계형 렌터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21546B1 (ko) * 2020-04-10 2021-03-02 렌카 주식회사 Ai(artificial intelligence)에 의한 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 수행하여 보험 대차에 이용되는 중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112B2 (en) Fleet trigger-based incentives with blockchain
US20110208387A1 (en) System and On-Board Unit For Integrating Functions of Vehicle Devices
US20130325565A1 (en) Method for locating a parking space that is suitable for parking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nd a vehicle assistance system that is suitable for this purpose
US20070136083A1 (en) Vehicle pay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bidreturn communication link
JP2001060293A (ja) 充電状態の1番高い或いは2番目に高い車両を割当てる車両共用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060072756A1 (en) Computer-based vehicle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computer-based vehicle reservation system
CN103700149A (zh) 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系统及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方法
JP6474257B2 (ja) 駐車場の予約システム
KR102000555B1 (ko) 주차위치 확인시스템
CN111416835A (zh) 车辆服务提供装置和车辆服务提供方法
JP2020112956A (ja) 車両貸出管理装置
CN112288518A (zh) 一种基于自动驾驶的短时租车系统及方法
JP2009059259A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JP5401184B2 (ja) 運送事業用自動車保険料決定装置および運送事業用自動車保険料決定プログラム
KR101218477B1 (ko)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80029210A (ko)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CN108022145A (zh) 利用车辆远程信息处理定制车辆使用消费
JP2002149797A (ja) 車両レンタルシステム
KR20180127821A (ko)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KR101206077B1 (ko) 사고 대차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036268B1 (ko)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US20210158435A1 (en)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s management method
US20170053250A1 (en) Mobile method for preparing vehicle towing fees
US20180211349A1 (en) Mobile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504321B1 (ko) 포인트를 이용한 콜 택시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