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210A -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210A
KR20180029210A KR1020180024909A KR20180024909A KR20180029210A KR 20180029210 A KR20180029210 A KR 20180029210A KR 1020180024909 A KR1020180024909 A KR 1020180024909A KR 20180024909 A KR20180024909 A KR 20180024909A KR 20180029210 A KR20180029210 A KR 2018002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subscriber
vehicle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734B1 (ko
Inventor
이도훈
천정서
이주상
이지민
Original Assignee
이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훈 filed Critical 이도훈
Priority to KR102018002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7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210A/ko
Priority to PCT/KR2019/002117 priority patent/WO201916829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휴대한 이동단말과 차재ID만으로써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 그리고 안전지수를 분석하고, 사고 및 교통 정보를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을 결제중인 경우에는 보험요율 산정에서 배제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휴대한 이동단말 및 보험 가입된 차량의 ID를 이동단말로 제공하는 차재 ID와 상기 이동단말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보험요율 산출을 위한 가입자의 동적 정보로서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서버, 그리고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어 가입자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험 요율을 산정하는 보험사 서버로 구성된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Premium rate offering system with high reliability}
본 발명은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휴대한 이동단말과 차재ID만으로써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 그리고 안전지수를 분석하고, 사고 및 교통 정보를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을 결제중인 경우에는 보험요율 산정에서 배제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9102 B1호의 OBD 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운행기록 자기진단장치(OBD, On-Board Diagnostics)와 근거리 통신(Wi-Fi 또는 블루투스)을 통해 스마트폰(OBD 데이터 App)으로 OBD 데이터를 전송하고, 스마트폰으로부터 시시각각 자동차의 실시간 GPS 위치정보와 OBD 데이터를 SaaS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 운행기록 서버가 차량 상태와 운전 행태의 텔레매틱스 정보가 포함된 OBD 데이터를 수집하며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장/이상 운행/사고시에 그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결과를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며, 자동차 운행기록 서버로부터 개인화 서비스로 상기 스마트 기기의 OBD데이터 앱(app)으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결과를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사고 예방과 정비 이력을 관리하고, 자동차의 운행 정보, 이상 운행 정보(급발진/급회전), 고장 정보 및 사고 정보 기반 자동차 보험 처리를 제공하는 보험사 서버와 연계된 자동차와 무선 통신을 결합한 신개념의 Telecommunication + Informatics가 결합된 차량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자동차 운행기록 자기진단장치(OBD, On-Board Diagnostics), OBD 데이터 App이 설치된 GPS 수신기가 탑재된 스마트 기기, 자동차 운행기록 서버, 및 보험사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차량에 운행기록 자기진단장치(OBD, On-Board Diagnostics)를 별도로 구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반드시 해당 OBD가 설치된 차량만을 운전할 때에만 적용할 수 있는 제약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2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3015 B1호의 UBI 기반 보험료율 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운전습관연계 운전자 보험 및 자동차 보험의 보험료율 산정 시스템 [0001]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전습관과 상관관계를 갖는 보험손해율을 산출하여 최적의 보험료율을 산정할 수 있는 UBI 기반 보험료율 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주기마다 GPS 정보를 생성하는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 상기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GPS 정보 저장부와, 상기 GPS 정보의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지도상 위치 정보와 도로 정보를 매칭하는 정보 매칭부와, 상기 매칭된 정보 중 유효한 정보를 필터링하는 정보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된 정보로부터 운행정보를 추출하여 운행점수를 산출하는 운행점수 산출부로 이루어지는 통신사 서버와;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운행점수를 수신하고 고객보험정보를 저장하는 고객보험정보 저장부와, 상기 운행점수에 상응하는 보험료율을 산정하는 보험료율 산정부로 이루어지는 보험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주행거리를 설정하고, 상기 통신사 서버의 운행점수 산출부는, 상기 설정된 주행거리의 주행 동안 수신된 GPS 정보로 상기 운행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운행점수 및 상기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암호화된 고유식별코드를 상기 보험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보험사 서버의 고객 보험정보 저장부는, 상기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고객보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유식별코드를 통해서, 상기 운행점수와 상기 보험사 서버의 고객보험정보를 합치고, 상기 보험료율 산정부는 상기 고유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운행점수에 상응하는 보험료율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주행거리를 설정 후, 내비게이션을 실행하고 주행 한 기록에 대한 데이터만을 판단하여 운행 점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운전데이터를 산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고의로 내비게이션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할 경우에는 운전 시간대, 제한속도초과, 급가속, 급감속 등에 대한 운행기록이 차단됨으로써 모든 주행 기록에 따른 운행정보와 손해율과의 상관관계를 고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운전자들이 할인조건에 해당하는 주행거리 동안 주행 후 조건이 충족되면 안전운전을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운전자별로 매월 또는 분기별 주행거리가 일정하지 않아, 기간별로 안전운전 점수를 산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4867B1호의 자동차보험 가입자의 대중교통 이용 성향을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출 시스템 및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고객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교통카드 번호 또는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빙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 증빙자료를 입력받은 경우 해당 증빙자료에 대해 설정된 검증 조건에 따라 검증처리하는 단계; 교통카드 번호를 입력받은 경우 해당 교통카드 번호에 대응하는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대중교통 이용정보 집적기관 서버로부터 조회하는 단계; 및 대중교통 이용정보 집적기관 서버로부터 조회한 대중교통 이용정보 또는 입력받은 증빙자료에 포함된 대중교통 이용정보에 따라 할인율을 적용하여 자동차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고객이 단말로 교통카드 번호 또는 대중교통 이용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빙자료를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대중교통 이용 성향을 파악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KR 10-1769102 B1 KR 10-1823015 B1 KR 10-1744867 B1
본 발명은, 운전자가 휴대한 이동단말과 차재ID만으로써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 그리고 안전지수를 분석하고, 사고 및 교통 정보를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을 결제중인 경우에는 보험요율 산정에서 배제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휴대한 이동단말 및 보험 가입된 차량의 ID를 이동단말로 제공하는 차재 ID와 상기 이동단말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보험요율 산출을 위한 가입자의 동적 정보로서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서버, 그리고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어 가입자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험 요율을 산정하는 보험사 서버로 구성된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은, 운전자가 휴대한 이동단말과 차재ID만으로써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 그리고 안전지수를 분석하고, 사고 및 교통 정보를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을 결제중인 경우에는 보험요율 산정에서 배제함으로써 보험 요율의 신뢰도를 보장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대한 배경 기술로서 OBD 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배경 기술로서 UBI 기반 보험료율 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자동차보험 가입자의 대중교통 이용 성향을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출 시스템 및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안전지수 산출의 구조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주요 작용관계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100)의 구성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가입자 관리서버(200)의 구성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보험사 서버(300)의 구성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 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은, 운전자가 휴대한 이동단말(100) 및 보험 가입된 차량의 ID를 이동단말(100)로 제공하는 차재 ID와 상기 이동단말(1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보험요율 산출을 위한 가입자의 동적 정보로서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서버(200), 그리고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어 가입자 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험 요율을 산정하는 보험사 서버(300)로 구성된다. 상기 차재 ID는 보험 가입된 차량의 ID를 이동단말(100)로 근거리 통신수단으로써 제공하여 운전자가 보험 가입 차량을 운전 중인지를 인식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차재 ID는, RFID(radio frequency I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WiFi 와 같은 근거리 채널로 보험 가입 차량의 ID 정보만을 이동단말(100)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안전지수 산출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은, 운전자가 휴대한 이동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관리서버(200)에서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를 분석한다. 다음의 표1은 이동위험도 분석을 위한 항목 설정의 일례를 도시한다.
주요 항목 모바일기기의 이동 위험도 분석 기준
위험도(Danger) ; 항목 별 차등 단계 적용 가능
D0, D1, D2, D3, D4, ... Dn
도로 별
이동 비중
자가 운전 시, 고속도로 / 대로 / 로 / 길로 구분되는
약 16만개 도로 별 이동 비중 - 도로 별 사고 비율 매칭
→ 위험도 분석
도로 별
이동 평균속도
자가 운전 시, 전국 약 16만개 도로 별, 제한 초과속도 매칭
→ 초과 횟수 및 초과속도 평균 위험도 분석
이동 시간 대 자가 운전 시, 이동 시간대별 위험도 분석 출ㆍ퇴근 시간대
/ 주간 (10시 ~ 5시) / 야간(21시 ~ 06시)
월별
자가운전 횟수
주별 또는 월별, 자가운전 횟수에 따른 위험도 분석
승용차 요일제
가입 및 준수
승용차 쉬는 날, 전자태그(RFID)가 아닌 모바일기기로 확인
지자체별 규정 준수 위반여부에 따른 위험도 분석
급정거 횟수 이동단말의 자이로센서로 감지된 급정거 횟수
다음의 표2는 가입자 관리서버(200)에서 분석되는 사고예방 참여도 항목의 일례를 도시한다.
주요 항목 사고예방 참여도(P) 분석 기준
사고예방 참여도(Prevention) ; 항목 별 차등 단계 적용 가능
P0, P1, P2, P3, P4, ... Pm
고장ㆍ사고 발생 시 신고 고장ㆍ사고 상황 발생 시, 모바일기기 신고 및 실제 신고에
따른 2차 사고 예방 참여도 분석
과속주행 시
자동 음성안내 및
일정속도 이상 주행 시
거절문자 자동발송
자가 운전 시, 전국 약 16만개 도로 별, 제한 초과속도 매칭
초과 속도 주행 시 자동 음성 안내 동의 및 일정속도 이상
주행 시, 수신거절 문자 자동전송 동의에 따른 사고예방
참여도 분석
위험상황
전파수신 및 자동알림
주행도로 전방 및 설정 범위 이내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재난전파, 자동수신 및 알림에 따른 사고예방 참여도 분석
의식불명 사고 발생 시
긴급구난 자동신고
단독 운전 중, 의식불명 사고 발생 시, 사고감지 단말기 및
긴급구난 자동신고, 자동실행에 따른 긴급구난 신고로써
요구조자 골든타임 확보 및 2차사고 예방 참여도 분석
주차위치에 따른
차량 이동주차 정보
하천 주차장, 골목 주차장 등 주차 위치에 따른 집중 호우,
소방차 출동 등에 따른 차량 이동요청, 알림 동의에 따른
사고예방 참여도 분석
가입자 관리서버(200)는, 이동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관리서버(200)에서 표 1의 이동 위험도(D) 분석에 따른 보험 손해율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가중치 D (D0 ~ Dn)와 표 2의 사고예방 참여도(P) 분석에 따른 보험손해율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가중치 P (P0 ~ Pm)를 각각 산출하고 각각의 가중치를 더한 안전지수(S = D + P)를 산출한다. 전술한 각 이동단말(100)별 이동 위험도 가중치 D 및 사고예방 참여도 가중치 P로부터 산출된 안전지수(S=D+P)를 산출하는 과정을 예시하면 도면 제5도와 같다.
도면 제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은, 도로 별, 이동 비중, 이동 평균 속도, 이동 시간대, 월별 자가운전 횟수, 승용차 요일제 준수 여부 등으로 각각 이동 위험도 가중치 D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이동단말(100)의 도로별 이동 기록과 도로별 과속 기준을 대비하여, 제한속도를 위반한 한 횟수를 기준으로 하여 D0 ~ Dn 로써 가중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월별 자가 운전 횟수에 따라 운전한 날짜수를 기준으로 3일 이하 운전 시 D0, 4~7일 운전 시 D1, 8~14일 운전 시 D1 등으로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승용차 요일제 가입 모바일기기의 승용차 쉬는 날 운행에 대한 모바일기기 인증을 통하여 0회 위반 시 D0로 하고 1회 위반 시 D1, 2회 위반 시 D2 등으로 상관도를 산출 할 수 있다. 또한 지하철이나 버스 등의 대중 교통을 이용한 이동단말(100)의 모바일 결제 금액 및 시간을 바탕으로 하여 월 또는 주별로 일정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에도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 이동단말(1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급정거 횟수를 기반으로 이동위험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즉, 이동단말(1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급정거 횟수를 감지하고 그 횟수에 따라 D0 ~ Dn 까지의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단말(1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는 충돌이나 추돌과 같이 사고 충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은, 고장ㆍ사고 모바일 실시간 신고, 사고 시 긴급구난 신고 등을 포함하는 이동단말(100)의 정보 제공 횟수에 따라 사고예방 참여도 가중치 P (P0 ~ Pm)를 부여한다. 이 경우 가입자 관리서버(200)는 제공되는 주행도로 전방의 돌발상황 안내, 일정속도 이상 시 음성 안내, 일정 영역 이내 재난상황을 알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에 따른 보험손해율과의 상관관계를 안전지수(S = D + P)는 예를 들어;
- 도로별 이동 평균 속도 : 초과 위반 횟수 0회, 위험도 = D0
- 월별 자가 차량 운행 횟수 : 23일, 위험도 = D9
- 승용차 요일제 가입 및 준 수 : 위반 사항 0회, 위험도 = D0
- 고장ㆍ사고 발생 시 모바일 신고 : 앱 설치 및 실제 신고 1회, 사고예방 참여도 = P2
- 위험 상황 자동 수신 및 자동 알림 : 수신 알림 동의, 사고예방 참여도 = P1
- 의식불명 사고 시, 긴급구난 자동 신고 : 단말기 설치 및 자동신고 동의, 사고예방 참여도 = P3
로 각각 부여되어 이로부터 산출되는 안전지수(S)는;
S = (D0) + (D9) + (D0) + (P2) + (P1) + (P3) 과 같이 구해진다.
예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안전지수(S)가 위험도 가중치 D 및 사고예방 참여도 가중치 P의 합산으로 구해지므로, 바람직하게는 위험도 가중치 D를 음의 가중치값으로하고 사고예방 참여도 가중치 P를 양의 가중치값으로 설정하여 안전지수(S)를 구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때, 보험사 별로 보험 손해율과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이동 위험도(D) 및 사고 예방 참여도(P)에 대한 주요항목별 가중치값은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안전지수(S)에 대한 보험 손해율과의 상관관계 또한 보험사별로 달리할 수 있다.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의 주요 작용관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운전자의 이동단말(100), 차량에 탑재되어 보험 가입된 차량의 ID를 이동단말(100)로 제공하는 차재ID,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서버(200), 그리고 보험 요율을 산정하는 보험사 서버(300)로 구성된다.
1. 이동단말(100)은 설정된 시간 간격(1분~30분)마다 현재의 GPS 좌표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이동 속도로 환산하여, 현재의 GPD 좌표와, 차재 모듈로부터 근거리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차량의 ID와 현재 시각을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이동단말(100)은 자이로 센서로 감지되는 급정거 신호와 자차 및 타 차량의 사고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동단말(100)을 휴대한 운전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이동단말(100)에 구비되는 대중교통 결제유닛의 동작에 따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지의 상태도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단말(100)은, 차량의 이동 속도, 차량의 ID, 현재 시각, 사고 정보, 대중교통 이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2. 가입자 관리 서버(200)는,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된 현재의 GPS 좌표, 차량의 이동 속도, 차량의 ID, 현재 시각, 사고 정보, 대중교통 이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산출한다.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200)는, 사고 정보가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되거나 또는 차량의 이동 속도가 반복하여 저속(20Km/시)인 경우 교통 체증으로 판단하고 이를 사고 및 교통 정보로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200)는, 도로명, 도로코드, 도로별 허용속도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를 구비하여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된 현재의 GPD 좌표에 대응되는 도로의 도로명, 도로코드, 도로별 허용속도를 참조하여 사고 및 교통 정보로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전파한다. 다수의 이동단말(100) 각각은 이동단말(100) 별로 현재의 GPS 좌표를 참조하여 사고 및 교통 정보를 선택적으로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200)는,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산출된 안전지수(S = D + P) 정보를 보험사 서버(30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동단말(100)로부터, 대중교통을 결제중인 이용 상태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산출하지 않는다.
3. 보험사 서버(300)는,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산출된 안전지수(S = D + P)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보험요율을 산출하고, 일,월,분기의 기간별 안전지수 및 부가 정보를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은, 운전자가 휴대한 이동단말(100)과 차재ID만으로써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 그리고 안전지수를 분석하고, 사고 및 교통 정보를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을 결제중인 경우에는 보험요율을 산정하지 않음으로써 신뢰도가 높은 보험 요율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가 휴대하는 이동단말(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100)은,
이동단말(100)의 통신과 제어를 수행하는 모바일 프로세서(102);
이동단말(100)의 통신망 접속을 위한 RF 인터페이스(104);
이동단말(100)의 지리적 위치 좌표를 감지하여 제공하는 GPS 추출부(106);
GPS 추출부(106)로부터 이동단말(100)의 지리적 위치 좌표를 추출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고 현재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클럭 타이머(108);
클럭 타이머(108)에 설정된 시간 간격과 GPS 추출부(106)로부터 추출되는 이동단말(100)의 이전과 현재의 지리적 위치 좌표 변동을 이용하여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이동속도 연산부(110);
이동단말(100)에 가해지는 급격한 충격을 감지하여 급정거 내지 충돌이나 추돌 사고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112);
보험가입 차량의 ID를 저장하고 보험 가입 차량에 탑재되는 차재ID로부터 차량의 ID를 제공받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114);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정보 저장부(116);
교통카드를 내장하거나 대중교통 이용 시 모바일 결제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교통의 이용 개시와 종료의 상태를 모바일 프로세서(102)로 제공하는 교통카드 대중교통 결제 유닛(118);
이동단말(100)의 ID를 저장하는 회원 ID 저장부(120);
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단말(100)의 모바일 프로세서(102)는, 클럭 타이머(108)로 설정된 시간 간격(1분~30분)마다 현재의 GPS 좌표를 GPS 추출부(106)로부터 추출하고, 이로부터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이동속도 연산부(110)를 통해 이동 속도로 환산하여, 차재 모듈로부터 근거리 통신부(114)를 통해 제공되는 차량의 ID와 현재의 GPD 좌표와, 클럭 타이머(108)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시각, 그리고 대중교통 이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RF 인터페이스(104)를 경유하여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관리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가입자 관리서버(200)는,
가입자 관리 서버(200)의 통신망 접속을 위한 이동통신망 접속부(202);
가입자 관리 서버(200)의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컨트롤러(204);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전송하기 위한 사고 정보와 교통 정보를 저장하는 사고/교통정보 버퍼(206);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사고 정보와 교통 체증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저장하는 사고/교통 데이터 버퍼(208);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된 현재의 GPS 좌표, 차량의 이동 속도, 차량의 ID, 현재 시각, 사고 정보, 대중교통 이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산출하는 위험도 및 참여도 산출부(212);
도로명, 도로코드, 도로별 허용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도로정보 DB(214);
도로명을 포함하고 GPS 좌표에 대응되는 전자지도 DB(216);
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입자 관리서버(200)의 서버 컨트롤러(204)는, 이동단말(100)로부터 이동통신망 접속부(202)를 통해 제공된 현재의 GPS 좌표, 차량의 이동 속도, 차량의 ID, 현재 시각, 사고 정보, 대중교통 이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위험도 및 참여도 산출부(212)를 통해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산출하되, 상기 이동단말(100)로부터, 대중교통을 결제중인 이용 상태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산출에서 배제하며,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사고 정보 또는 차량의 이동 속도가 반복하여 저속인 경우 교통 체증으로 판단하고 이를 사고 및 교통 정보로 사고/교통정보 버퍼(206)에 저장하여 이동통신망 접속부(202)를 경유해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하며,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200)는, 도로명, 도로코드, 도로별 허용속도를 포함하는 도로정보 DB(214)와 도로명을 포함하고 GPS 좌표에 대응되는 전자지도 DB(216)를 검색하여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된 현재의 GPD 좌표에 대응되는 도로의 도로명, 도로코드, 도로별 허용속도를 참조하여 사고 및 교통 정보로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전파하고,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산출된 안전지수(S = D + P) 정보를 보험사 서버(300)에 제공한다.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보험사 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보험사 서버(300)는,
이동단말(100) 및 가입자 관리 서버(200)와 통신망 접속을 위한 통신유닛(302);
보험사 서버(3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304);
이동단말(100)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전송 데이터 버퍼(306);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보험요율을 산정하는 보험요율 산정부(308);
보험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를 저장하는 보험 가입자 정보 DB(310);
보험 가입 차량들의 차재ID 정보를 저장하는 차재 ID DB(312);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위험도(D)를 보험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이동 위험도 DB(314);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사고예방 참여도(P)를 보험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사고예방 참여도 DB(31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험사 서버(300)의 서버 제어부(304)는,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가입자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산출된 안전지수(S = D + P) 정보와 보험 가입자 정보를 통신 유닛(302)을 경유하여 제공받고, 보헙 가입자 정보 DB(310)를 참조하여 가입자로 판별되면 보험요율 산정부(308)를 통해 가입자의 보험요율을 산출하고,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위험도(D)를 보험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에 대응시켜 이동 위험도 DB(314)에 저장하며,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사고예방 참여도(P)를 보험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에 대응시켜 사고예방 참여도 DB(316)에 저장하고, 일,월,분기의 기간별 안전지수 및 부가 정보를 산출하여 통신 유닛(302)을 통해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은, 운전자가 휴대한 이동단말과 차재ID만으로써 이동 위험도 및 사고예방 참여도, 그리고 안전지수를 분석하고, 사고 및 교통 정보를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을 결제중인 경우에는 보험요율을 산정하지 않음으로써 신뢰도가 높은 보험 요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이동단말 102 : 모바일 프로세서
104 : RF 인터페이스 106 : GPS 추출부
108 : 클럭 타이머 110 : 이동속도 연산부
112 : 자이로 센서 114 : 근거리 통신부
116 : 교통정보 저장부 118 : 대중교통 결제 유닛
120 : 회원 ID 저장부 200 : 가입자 관리 서버
202 : 이동통신망 접속부 204 : 서버 컨트롤러
206 : 사고/교통정보 버퍼 208 : 사고/교통 데이터 버퍼
210 : 가입자 DB 212 : 위험도 및 참여도 산출부
214 : 도로정보 DB 216 : 전자지도 DB
300 : 보험사 서버 302 : 통신 유닛
304 : 서버 제어부 306 : 전송 데이터 버퍼
308 : 보험요율 산출부 310 : 보험 가입자 정보 DB
312 : 차재 ID DB 314 : 이동 위험도 DB
316 : 사고예방 참여도 DB

Claims (7)

  1. 통신망에 접속되는 운전자의 이동단말(100) 및 차재 ID와 가입자 관리서버(200), 그리고 보험사 서버(300)로 구성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100)은,
    차량의 이동 속도, 차량의 ID, 현재 시각, 사고 정보, 대중교통 이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200)는,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된 현재의 GPS 좌표, 차량의 이동 속도, 차량의 ID, 현재 시각, 사고 정보, 대중교통 이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산출하고,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된 현재의 GPD 좌표에 대응되는 도로의 도로명, 도로코드, 도로별 허용속도를 참조하여 사고 및 교통 정보를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전파하며,

    상기 보험사 서버(300)는,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산출된 안전지수(S = D + P)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보험요율을 산출하고, 일,월,분기의 기간별 안전지수 및 부가 정보를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100)은,
    이동단말(100)의 통신과 제어를 수행하는 모바일 프로세서(102);
    이동단말(100)의 통신망 접속을 위한 RF 인터페이스(104);
    이동단말(100)의 지리적 위치 좌표를 감지하여 제공하는 GPS 추출부(106);
    GPS 추출부(106)로부터 이동단말(100)의 지리적 위치 좌표를 추출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고 현재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클럭 타이머(108);
    클럭 타이머(108)에 설정된 시간 간격과 GPS 추출부(106)로부터 추출되는 이동단말(100)의 이전과 현재의 지리적 위치 좌표 변동을 이용하여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이동속도 연산부(110);
    이동단말(100)에 가해지는 급격한 충격을 감지하여 급정거 내지 충돌이나 추돌 사고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112);
    보험가입 차량의 ID를 저장하고 보험 가입 차량에 탑재되는 차재ID로부터 차량의 ID를 제공받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114);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를 저장하는 교통정보 저장부(116);
    교통카드를 내장하거나 대중교통 이용 시 모바일 결제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교통의 이용 개시와 종료의 상태를 모바일 프로세서(102)로 제공하는 교통카드 대중교통 결제 유닛(118);
    이동단말(100)의 ID를 저장하는 회원 ID 저장부(1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프로세서(102)는,
    클럭 타이머(108)로 설정된 시간 간격(1분~30분)마다 현재의 GPS 좌표를 GPS 추출부(106)로부터 추출하고,
    이로부터 이동거리를 산출하여 이동속도 연산부(110)를 통해 이동 속도로 환산하고,
    차재 모듈로부터 근거리 통신부(114)를 통해 제공되는 차량의 ID와 현재의 GPD 좌표와, 클럭 타이머(108)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시각, 그리고 대중교통 이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RF 인터페이스(104)를 경유하여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관리서버(200)는,
    가입자 관리 서버(200)의 통신망 접속을 위한 이동통신망 접속부(202);
    가입자 관리 서버(200)의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컨트롤러(204);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전송하기 위한 사고 정보와 교통 정보를 저장하는 사고/교통정보 버퍼(206);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사고 정보와 교통 체증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저장하는 사고/교통 데이터 버퍼(208);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된 현재의 GPS 좌표, 차량의 이동 속도, 차량의 ID, 현재 시각, 사고 정보, 대중교통 이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산출하는 위험도 및 참여도 산출부(212);
    도로명, 도로코드, 도로별 허용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도로정보 DB(214);
    도로명을 포함하고 GPS 좌표에 대응되는 전자지도 DB(21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컨트롤러(204)는,
    이동단말(100)로부터 이동통신망 접속부(202)를 통해 제공된 현재의 GPS 좌표, 차량의 이동 속도, 차량의 ID, 현재 시각, 사고 정보, 대중교통 이용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위험도 및 참여도 산출부(212)를 통해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산출하되,
    상기 이동단말(100)로부터, 대중교통을 결제중인 이용 상태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산출에서 배제하며,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사고 정보 또는 차량의 이동 속도가 반복하여 저속인 경우 교통 체증으로 판단하고 이를 사고 및 교통 정보로 사고/교통정보 버퍼(206)에 저장하여 이동통신망 접속부(202)를 경유해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하며,
    상기 가입자 관리 서버(200)는, 도로명, 도로코드, 도로별 허용속도를 포함하는 도로정보 DB(214)와 도로명을 포함하고 GPS 좌표에 대응되는 전자지도 DB(216)를 검색하여 이동단말(100)로부터 제공된 현재의 GPD 좌표에 대응되는 도로의 도로명, 도로코드, 도로별 허용속도를 참조하여 사고 및 교통 정보로 다수의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전파하고,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산출된 안전지수(S = D + P) 정보를 보험사 서버(30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사 서버(300)는,
    이동단말(100) 및 가입자 관리 서버(200)와 통신망 접속을 위한 통신유닛(302);
    보험사 서버(3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304);
    이동단말(100)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전송 데이터 버퍼(306);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안전지수(S = D + P)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보험요율을 산정하는 보험요율 산정부(308);
    보험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를 저장하는 보험 가입자 정보 DB(310);
    보험 가입 차량들의 차재ID 정보를 저장하는 차재 ID DB(312);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위험도(D)를 보험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이동 위험도 DB(314);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사고예방 참여도(P)를 보험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사고예방 참여도 DB(316);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304)는,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가입자 이동 위험도(D) 와 사고예방 참여도(P) 및 산출된 안전지수(S = D + P) 정보와 보험 가입자 정보를 통신 유닛(302)을 경유하여 제공받고,
    보헙 가입자 정보 DB(310)를 참조하여 가입자로 판별되면 보험요율 산정부(308)를 통해 가입자의 보험요율을 산출하고,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위험도(D)를 보험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에 대응시켜 이동 위험도 DB(314)에 저장하며,
    가입자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사고예방 참여도(P)를 보험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에 대응시켜 사고예방 참여도 DB(316)에 저장하고,
    일,월,분기의 기간별 안전지수 및 부가 정보를 산출하여 통신 유닛(302)을 통해 가입자 이동단말(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KR1020180024909A 2018-02-28 2018-02-28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KR10224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909A KR102241734B1 (ko) 2018-02-28 2018-02-28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PCT/KR2019/002117 WO2019168296A1 (ko) 2018-02-28 2019-02-21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909A KR102241734B1 (ko) 2018-02-28 2018-02-28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210A true KR20180029210A (ko) 2018-03-20
KR102241734B1 KR102241734B1 (ko) 2021-04-16

Family

ID=6191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909A KR102241734B1 (ko) 2018-02-28 2018-02-28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1734B1 (ko)
WO (1) WO20191682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2111A (zh) * 2019-02-21 2020-02-11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风险评估方法和系统
KR20200140514A (ko) * 2019-06-07 2020-12-16 주식회사 쿠프파이맵스 운행 정보에 기초한 운전자 보험 상품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027485A1 (ko) * 2021-08-23 2023-03-02 이도훈 차량 운행 정보와 차량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는 보험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898A (ko) * 1998-10-29 2000-05-15 김영환 차량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자동 rgs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20090079085A (ko) * 2008-01-16 2009-07-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동적 보험요율 관리 방법 및 실시간 동적 보험요율관리 시스템과 보험요율관리서버
KR20150038799A (ko) * 2013-09-30 2015-04-09 주식회사 지엠에스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1744867B1 (ko) 2016-03-29 2017-06-20 주식회사 케이비손해보험 자동차보험 가입자의 대중교통 이용 성향을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출 시스템 및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KR101769102B1 (ko) 2016-11-25 2017-08-17 주식회사 오복소프트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823015B1 (ko) 2016-01-29 2018-01-30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Ubi 기반 보험료율 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635B1 (ko) * 2001-09-28 2004-09-22 (주)팍스인슈 대중교통 이용량에 따른 보험료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JP4995046B2 (ja) * 2007-11-21 2012-08-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保険料設定システム
KR20170004141A (ko) *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케이티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및 스마트 후측방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는 보험 요율 산정 장치, 보험 요율 산정 시스템 및 보험 요율 산정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898A (ko) * 1998-10-29 2000-05-15 김영환 차량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자동 rgs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20090079085A (ko) * 2008-01-16 2009-07-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동적 보험요율 관리 방법 및 실시간 동적 보험요율관리 시스템과 보험요율관리서버
KR20150038799A (ko) * 2013-09-30 2015-04-09 주식회사 지엠에스 차선 위반을 감지하는 vsdt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비용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1823015B1 (ko) 2016-01-29 2018-01-30 디비손해보험 주식회사 Ubi 기반 보험료율 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4867B1 (ko) 2016-03-29 2017-06-20 주식회사 케이비손해보험 자동차보험 가입자의 대중교통 이용 성향을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출 시스템 및 자동차 보험료 산출 방법
KR101769102B1 (ko) 2016-11-25 2017-08-17 주식회사 오복소프트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2111A (zh) * 2019-02-21 2020-02-11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风险评估方法和系统
CN110782111B (zh) * 2019-02-21 2023-04-25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风险评估方法和系统
KR20200140514A (ko) * 2019-06-07 2020-12-16 주식회사 쿠프파이맵스 운행 정보에 기초한 운전자 보험 상품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027485A1 (ko) * 2021-08-23 2023-03-02 이도훈 차량 운행 정보와 차량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는 보험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8296A1 (ko) 2019-09-06
KR102241734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4102B2 (en) Methods of facilitating emergency assistance
US11551309B1 (en) Reward system related to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11295391B1 (en) Reward system related to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11891071B2 (en) Vehicle to vehicle telematics
US10204460B2 (en) System for performing driver and vehicle analysis and alerting
US9390451B1 (en) Insurance system related to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2241734B1 (ko) 고 신뢰도의 보험 요율 제공 시스템
JP7227577B2 (ja) 交通リスク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交通リスク情報出力プログラム
US20140279587A1 (en) System for tracking vehicle speed violations
CN111914237A (zh) 汽车驾驶员生物特征认证和gps服务
JP4249995B2 (ja) 車輌の運行状況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構成装置、運行状況監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050446A (ko) 교통 데이타와 운전자를 연계한 차량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507929B1 (ko) 단말 장치, 후방 서버, 차량 탑재 트랜스폰더, 판정 시스템,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
US20220067838A1 (en) Technology for Analyzing Previous Vehicle Usage to Identify Customer Opportunities
CN218825836U (zh) 一种基于车牌识别技术的车辆实时定位核查系统
KR20240008509A (ko) 운전자 단말기를 이용한 안전운전 관제 시스템
CN116828414A (zh) 一种触发紧急呼叫救援功能的方法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0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405

Effective date: 20201214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