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821A -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821A
KR20180127821A KR1020170063060A KR20170063060A KR20180127821A KR 20180127821 A KR20180127821 A KR 20180127821A KR 1020170063060 A KR1020170063060 A KR 1020170063060A KR 20170063060 A KR20170063060 A KR 20170063060A KR 20180127821 A KR20180127821 A KR 20180127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ccident
information
vehicle
occurre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188B1 (ko
Inventor
박준희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여기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여기요 filed Critical (주)여기요
Priority to KR102017006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188B1/ko
Priority to PCT/KR2017/013716 priority patent/WO2018216863A1/ko
Publication of KR20180127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22
    • H04M1/725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은,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의 사고제보모드에서 위치정보가 포함된 사고발생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송신하는 제1 휴대용 단말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사고발생정보를 푸시 서비스로 제공받음에 있어서,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발생한 사고발생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2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송신되는 사고발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으로 사고발생정보를 푸시 서비스로 제공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Accident Vehicle Tow Position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견인위치 알림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모바일 앱으로 교통사고를 제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견인차 업체는 사고위치로 견인차를 출동시켜서 파손된 차량을 견인하고 있다.
견인차 업체는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 미리 견인차를 대기시켜 두어 신속하게 견인을 진행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택시, 버스, 보험업체 등을 통해 교통사고 발생위치를 제보 받아 해당 위치로 견인차를 출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 미리 견인차를 대기시키는 방식은, 단순한 확률에 의존한 방식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택시, 버스, 보험업체 등을 통해 사고위치를 제보 받아 견인차를 출동시키는 방식은, 견인차 업체의 관리자가 텍스트 문자 또는 음성으로 사고위치를 제보 받은 후, 다시 견인차 운전기사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고 위치를 전달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견인차 운전기사가 정확한 사고위치를 파악하기가 곤란한 경우도 있으며, 신속하게 출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 특허 공개번호 "10-2007-0100587"은 교통사고 감지 장치와 교통사고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교통상황 보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교통사고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사고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감지 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사고위치만을 파악할 수 있다.
KR 10-2007-010058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모바일 앱을 통해 원터치로 교통사고를 제보하여 견인차 업체에서 견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고 제보자에게 소정의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여 사고 제보에 대한 동기부여를 고취시킬 수 있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의 사고제보모드에서 위치정보가 포함된 사고발생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송신하는 제1 휴대용 단말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사고발생정보를 푸시 서비스로 제공받음에 있어서,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발생한 사고발생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2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송신되는 사고발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으로 사고발생정보를 푸시 서비스로 제공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사고발생정보는, 위치정보, 정지영상정보 및 동영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사고제보모드에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상기 사고발생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사고제보모드에서, 전자지도상에서 직접 지정한 현재위치정보를 상기 사고발생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의 사고제보모드에서 제보한 사고발생정보가, 상기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었을 경우, 소정의 보상 포인트가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으로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되는 사고발생정보를 이용할 때마다, 미리 예치된 보증금 포인트 중 소정의 포인트가 차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은,
모바일 앱을 통해 원터치로 교통사고를 제보하여 견인차 업체에서 견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고 제보자에게 소정의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여 사고 제보에 대한 동기부여를 고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1)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화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1)은 제보자 단말기(100)와, 견인차 단말기(2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1)의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보자 단말기(100) 및 견인차 단말기(200)는 휴대용 단말기로 지칭할 수 있는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1)은,
하나의 제보자 단말기(100)와, 하나의 견인차 단말기(200)로 구성된 예시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하나의 예시로써 제시한 것일 뿐이며, 실제로는 하나 이상의 제보자 단말기(100)와, 하나 이상의 견인차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보자 단말기(100), 견인차 단말기(200)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네트워크망은 2G, 3G, 4G Cellular network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보자 단말기(100)는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데, 사고제보모드에서 위치정보가 포함된 사고발생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송신한다.
사고발생정보는 위도/경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위성위치정보, 정지영상정보, 동영상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한다. 여기에서 텍스트 정보는 제보자가 직접 입력한 텍스트 정보로 정의된다.
참고적으로 텍스트 정보는 제보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인데, 제보자 단말기(100)의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음성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보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한 후 텍스트 정보에 삽입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영어,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한국어 및 베트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언어를 음성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지원되지 않는 언어는 구글 등과 같은 외부 포털서버의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견인차 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사고발생정보를 푸시 서비스로 제공받는데, 견인차 단말기(200)는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발생한 사고발생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범위는 기본적으로 10km 반경 이내로 설정되며, 이러한 반경의 범위는 1km ~ 20km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제보자 단말기(100)의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송신되는 사고발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견인차 단말기(200)의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으로 사고발생정보를 푸시 서비스로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은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보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제보자 앱 화면(11)은 로그인 화면이며, 회원가입, 둘러보기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둘러보기 기능은 회원가입을 하지 않더라도 게스트 자격으로서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권한이 부여된다.
제2 제보자 앱 화면(12)은 사고제보모드로 동작하는 메인화면이며, 사고접수 버튼을 선택하여 위치정보가 포함된 사고발생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제보자 앱 화면(13)은 사고접수 버튼을 선택했을 때 표시되며, 주소정보, 위도 및 경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의 전송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지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구글맵 등과 같은 외부지도서버에 연결되어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다.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사고제보모드에서, 기본적으로 제보자 단말기(100)의 현재위치정보를 사고발생정보에 포함시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송신한다.
제4 제보자 앱 화면(14)은 지도상에서 위치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즉,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사고제보모드에서, 전자지도상에서 직접 지정한 현재위치정보를 사고발생정보에 포함시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현재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랜드마크의 위치를 추가로 사고발생정보에 포함시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제5 제보자 앱 화면(15)은 제보자가 신고한 이력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보자가 신고한 사고발생정보가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견인성공, 처리중 등과 같은 처리상황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고를 취소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
제6 제보자 앱 화면(16)은 제보자가 신고한 사고발생정보에 의해 진행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즉, 출동한 견인차의 위치 등을 애플리케이션상에 표시된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7 제보자 앱 화면(17)은 사고제보에 의해 지급된 보상 포인트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제8 제보자 앱 화면(18)은 보상 포인트를 환전 신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즉,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의 사고제보모드에서 제보한 사고발생정보가,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었을 경우, 소정의 보상 포인트가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으로 지급되므로, 지급된 보상 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하여 보상받을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시청 등 관공서, 한국도로공사, 경찰서의 서버와 연계되어 가축, 이물질, 적치물, 낙하물 등과 같은 도로 장애물을 제보하는 기능이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지역별 각종 위치 기반 정보 제공함에 있어서, 지역별 사고 위치 정보 제공, 지역별 교통 정체 지역 위치 정보 제공, 지역별 사고 다발지역 위치 정보 제공, 지역별 음주 단속 위치 정보 공유, 지역별 견인 업체 위치 정보 제공, 지역별 정비 업체 위치 정보 제공, 지역별 맛집 위치 정보 제공, 지역별 대리운전 업체 정보 제공하는 기능이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보자 애플리케이션 및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은, 사고 현장 사진 업로드 기능, 사고 차량 대수 제보 기능, 사고 현장 인명 피해 제보 기능, 사고 현장 출동 렉카차량 이동 경로 제공 기능이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견인차 단말기(200)에 설치된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견인차 앱 화면(21)은 로그인 화면이며, 견인기사 회원가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견인차 앱 화면(22)은 견인차의 위치를 전송하는 메인화면이며, 위치전송 버튼을 선택하여 견인차 현재위치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한다.
제3 견인차 앱 화면(23)은 견인차 위치전송 버튼을 선택했을 때 표시되며, 주소정보, 위도 및 경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의 전송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부터 지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구글맵 등과 같은 외부지도서버에 연결되어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다.
제4 견인차 앱 화면(24)은 사고 접수이력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신고된 각각의 사고발생정보가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견인성공, 처리중 등과 같은 처리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제5 견인차 앱 화면(25)은 사고발생정보에 의해 진행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즉, 출동한 견인차의 위치 등을 애플리케이션상에 표시된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6 견인차 앱 화면(26)은 견인처리에 의해 지급해야 할 금액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사고발생정보를 이용할 때마다, 미리 예치된 보증금 포인트 중 소정의 포인트가 차감된다. 보증금은 포인트 형태로 차감될 수도 있고, 현금형태로 차감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견인차 기사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사고발생정보를 이용하여 견인에 성공할 경우, 보험사, 차주로부터 소정의 견인비용을 지급받는다.
따라서 견인차 기사는, 견인성공시 마다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는데, 견인차 기사는 미리 소정의 보증금을 예치해 둔 상태에서 포인트가 차감되는 형태로 수수료를 지급한다.
이때,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사고발생정보를 이용할 때,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이동경로를 파악하여 견인 성공여부를 추정한 후,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에 해당 상황을 통보할 수 있다.
즉, 견인차 기사가 견인 성공 여부를 임의로 선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의 이동경로를 파악하여 견인 성공여부를 추정한다. 참고적으로 견인 성공여부는 제보된 사고 발생지역에 머무르는 시간, 구간별 이동속도, 이동경로, 최종 목적지를 모두 고려하여 파악될 수 있다.
제7 견인차 앱 화면(27)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계정정보, 프로필 변경, 비밀번호 변경, 회원탈퇴, 공지사항, 도움말, 현재버전, 고객문의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보자 단말기(100)의 카메라로 사고영상을 촬영할 경우, 촬영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은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수신받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영상인식하여 차량의 종류(전륜, 후륜, 사륜), 차량의 크기, 파손상태, 차량의 수를 자동으로 파악한 후, 이러한 정보를 푸시 메세지에 포함시켜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번호판의 번호를 인식한 후, 번호를 바탕으로 차량의 종류를 인식할 수도 있다.
즉, 차량의 종류(전륜, 후륜, 사륜), 차량의 크기, 파손상태, 차량의 수에 따라 필요한 견인차의 대수와, 견인차의 크기, 견인형태(전륜,후륜,사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견인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영상인식하여 푸시 메세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의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제보자 단말기(100)가 위치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블랙박스와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 및 주차시에 외부 및 내부 상황을 녹화하는 영상기록장치로 정의된다. 블랙박스는 통상적으로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와,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로 구성되며,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촬영하는 좌측 카메라 및 우측 카메라가 추가될 수도 있다.
블랙박스는 제보자 애플리케이션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RF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보자가 제보자 단말기(100)를 블랙박스에 근접시킬 경우, 블랙박스는 현시점에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을 제보자 단말기(100)의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영상은 차량의 주행중에 녹화된 전방영상 및 후방영상을 포함하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전방영상 및 후방영상을 사고발생정보로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수신받은 전방영상 및 후방영상을 영상인식하여 차량의 종류(전륜, 후륜, 사륜), 차량의 크기, 파손상태, 차량의 수를 자동으로 파악한 후, 이러한 정보를 푸시 메세지에 포함시켜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종류(전륜, 후륜, 사륜), 차량의 크기, 파손상태, 차량의 수에 따라 필요한 견인차의 대수와, 견인차의 크기, 견인형태(전륜,후륜,사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견인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영상인식하여 푸시 메세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제보자가 날짜 및 시간을 지정한 후, 제보자 단말기(100)를 블랙박스에 근접시킬 경우, 지정된 날짜 및 시간이 블랙박스로 자동 전송되고, 블랙박스에서는 전송받은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하는 영상만을 자동으로 편집하여, 제보자 단말기(100)의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시키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제보자 단말기(100)의 카메라로 촬영된 제1 영상과, 블랙박스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이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될 경우,
우선,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제1 영상을 영상인식하여 차량의 종류(전륜, 후륜, 사륜), 차량의 크기, 파손상태, 차량의 수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제1 영상인식결과로써 저장한다.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제2 영상을 영상인식하여 차량의 종류(전륜, 후륜, 사륜), 차량의 크기, 파손상태, 차량의 수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제2 영상인식결과로써 저장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가중치 값을 제1 영상인식결과 및 제2 영상인식결과에 각각 반영한 후, 최종적인 영상인식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푸시 메세지에 포함시켜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영상인식을 통해 차량의 파손상태를 파악할 때, 차량의 각 바퀴부분의 손상여부를 수치로써 환산하여 푸시 메세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륜 좌측 바퀴의 손상상태를 1 ~ 100%(100% 가까울수록 손상상태가 큼), 전륜 우측 바퀴의 손상상태를 1 ~ 100%, 후륜 좌측 바퀴의 손상상태를 1 ~ 100%, 후륜 우측 바퀴의 손상상태를 1 ~ 100% 각각 환산하여 푸시 메세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1)의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가축, 이물질, 적치물, 낙하물 등과 같은 도로 장애물 등을 제보할 수 있는 제보모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에서 도로 장애물을 제보할 경우, 제보된 장애물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시청 등의 관공서, 한국도로공사, 경찰서 등의 데이터 서버에 제보된 장애물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가축, 이물질, 적치물, 낙하물 등과 같은 도로 장애물 등을 제보할 수 있는 제보모드에서, 제보자 단말기(100)의 카메라로 촬영된 제1 영상과, 블랙박스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이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될 경우,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제1 영상 또는 제2 영상을 영상인식하여 장애물의 종류를 파악한 후, 차량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물로 식별되었을 경우에만 시청 등의 관공서, 한국도로공사, 경찰서 등의 데이터 서버에 제보된 장애물 정보를 전송한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블랙박스의 전방영상 및 후방영상을 시간대별로 비교하여 장애물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박스와 같이 차량운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애물이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다고 가정할 때,
블랙박스가 설치된 차량이 종이박스를 치고 지나갈 경우, 전방영상 및 후방영상에 이러한 과정이 녹화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전방영상 및 후방영상에서 장애물의 파손정도, 파손형태 및 충돌과정시 변형되는 형태와, 영상으로 판독된 차량의 움직임을 모두 고려하여 차량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물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2)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2)은 제보자 단말기(100)와, 견인차 단말기(2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와, 렌터카업체 단말기(40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2)의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보자 단말기(100), 견인차 단말기(200) 및 렌터카업체 단말기(400)는 휴대용 단말기로 지칭할 수 있는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2)은, 도 1에 도시된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1)에 렌터카업체 단말기(400)가 추가되어 구성되는 점을 설명하는 것이므로,
제보자 단말기(100), 견인차 단말기(200)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300) 사이에 이루어지는 중복된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2)에 렌터카 서비스가 연동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을 동시에 참조하면,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2)에 렌터카 서비스가 연동될 경우,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제보자 단말기(100)의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송신되는 사고발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고, 견인차 단말기(200)의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으로 사고발생정보를 푸시 서비스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렌터카업체 단말기(400)의 렌터카 애플리케이션으로 렌터카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견인차 단말기(200)에 설치된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의 렌터카 요청모드에서 렌터카를 요청하거나, 제보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의 렌터카 요청모드에서 렌터카를 요청할 경우,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렌터카업체 단말기(400)에 설치된 렌터카 애플리케이션으로 렌터카 요청정보를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견인차 단말기(200)에 설치된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의 렌터카 요청모드에서 렌터카를 요청하고, 실제로 렌터카 업체에서 렌터카를 제공하여 수익이 발생했을 경우, 렌터카 업체에서 소정의 수수료를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결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온라인 결제 기능이 부여되어, 렌터카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접속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렌터카 사용에 의해 획득한 소정의 수수료 중 일부를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에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은,
모바일 앱을 통해 원터치로 교통사고를 제보하여 견인차 업체에서 견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고 제보자에게 소정의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여 사고 제보에 대한 동기부여를 고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1)은, 현재 국내 일반사업자 형태의 렉카업체에서 전국 온라인망이 아닌 지역으로 국한되어 있던 문제점을 고안하여, 모바일 앱 어플리케이션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전국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교통사고 접수 및 사고처리를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을 향상시킨 통합라인시스템이다.
스마트폰 원터치의 간단한 조작으로 사고현장(위도,경도)을 지정할 수 있으며 신고자 주위(10Km)에 있는 모든 렉카 차량에 푸시 알림 기능으로 견인서비스가 이루어진 후 최초 신고자가 신고보상금을 받을 수 있는 국내 최초 온라인을 연결 시켜주는 O2O플랫폼이다.
교통사고 발생 후 차량 견인시 신고자에게 주는 신고보상금 제도를 반영하여 교통사고 현장 목격에 대하여 자칫 지나치거나 무관심할 수 있는 일반시민들의 신고의식을 고취시키고, 사고 지점의 정확한 장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사고처리와 사고 발생 후 사고 재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국 렉카 기사의 직업의식 고취와 전국 렉카 업체의 무분별한 처리방법에 대한 질서유지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보자 단말기
200 : 견인차 단말기
300 : 애플리케이션 서버

Claims (6)

  1.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의 사고제보모드에서 위치정보가 포함된 사고발생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송신하는 제1 휴대용 단말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사고발생정보를 푸시 서비스로 제공받음에 있어서,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발생한 사고발생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2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송신되는 사고발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으로 사고발생정보를 푸시 서비스로 제공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를 포함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정보는,
    위치정보, 정지영상정보 및 동영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사고제보모드에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위치정보를 상기 사고발생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사고제보모드에서, 전자지도상에서 직접 지정한 현재위치정보를 상기 사고발생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의 사고제보모드에서 제보한 사고발생정보가, 상기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었을 경우, 소정의 보상 포인트가 상기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으로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차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되는 사고발생정보를 이용할 때마다, 미리 예치된 보증금 포인트 중 소정의 포인트가 차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KR1020170063060A 2017-05-22 2017-05-22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KR10204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060A KR102041188B1 (ko) 2017-05-22 2017-05-22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PCT/KR2017/013716 WO2018216863A1 (ko) 2017-05-22 2017-11-28 교통사고 처리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060A KR102041188B1 (ko) 2017-05-22 2017-05-22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821A true KR20180127821A (ko) 2018-11-30
KR102041188B1 KR102041188B1 (ko) 2019-11-06

Family

ID=6456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060A KR102041188B1 (ko) 2017-05-22 2017-05-22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1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365A (ko) 2019-02-11 2020-08-2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행중인 전방차량의 속도감지시스템
KR20210087704A (ko) * 2020-01-03 2021-07-13 박지윤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KR102610056B1 (ko) * 2023-06-08 2023-12-06 정태은 폐차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792A (ja) * 2000-12-20 2002-07-05 Hitachi Ltd 自動車プローブ情報の収集システム、走行経路周辺の環境情報の収集システム、および走行経路周辺の環境情報サービスの処理システム
KR20060014765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긴급 구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70100587A (ko) 2006-04-07 2007-10-11 이순영 교통사고 감지 장치와 교통사고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교통상황 보고 시스템
KR20130012430A (ko) * 2011-07-25 2013-02-04 나눔정보통신(주)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77761A (ko) * 2011-12-29 2013-07-09 정승현 콜 서비스 시스템 및 콜 서비스 방법
KR101687528B1 (ko) * 2016-05-19 2016-12-28 주식회사 차병원소프트 어플을 이용한 차량사고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9792A (ja) * 2000-12-20 2002-07-05 Hitachi Ltd 自動車プローブ情報の収集システム、走行経路周辺の環境情報の収集システム、および走行経路周辺の環境情報サービスの処理システム
KR20060014765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긴급 구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70100587A (ko) 2006-04-07 2007-10-11 이순영 교통사고 감지 장치와 교통사고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교통상황 보고 시스템
KR20130012430A (ko) * 2011-07-25 2013-02-04 나눔정보통신(주)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77761A (ko) * 2011-12-29 2013-07-09 정승현 콜 서비스 시스템 및 콜 서비스 방법
KR101687528B1 (ko) * 2016-05-19 2016-12-28 주식회사 차병원소프트 어플을 이용한 차량사고 처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365A (ko) 2019-02-11 2020-08-2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행중인 전방차량의 속도감지시스템
KR20210087704A (ko) * 2020-01-03 2021-07-13 박지윤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KR102610056B1 (ko) * 2023-06-08 2023-12-06 정태은 폐차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188B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9725A1 (en) Vehicle traffic and vehicle related transaction control system
US7133661B2 (en) Emergency information notifying system, and apparatus, method and moving object utiliz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notifying system
US9418553B2 (en) Easy parking finder
EP2567371B1 (de) Verfahren zum ermitteln von kraftfahrzeugnah beparkbarem parkraum und hierfür geeignetes fahrzeug-assistenzsystem
CN106710291B (zh) 停车场的停车位获取方法及装置
KR101139340B1 (ko)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US20180108252A1 (en) Device known as real time total control digital tachograph (tcdt) for vehicle and other nearby vehicles by means of cameras and mobile connections
US20220299324A1 (en) Accident fault detection based on multiple sensor devices
JP4295287B2 (ja) 公道駐車管理システム及び公道駐車管理方法
US20070040701A1 (en) Parking space locator
SA515360480B1 (ar) مراقبة استخدام موقف واحد لعدة مركَبات بواسطة عدة كاميرات
WO2014014095A1 (ja) 車両周辺監視装置、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
KR101649829B1 (ko) 주차관리 시스템, 차량감지장치, 주차정보관리장치, 주차정보공유장치, 사용자단말기 및 주차관리방법
CN106489173A (zh) 用于确定停车位的方法和空闲停车位辅助系统
KR102000555B1 (ko) 주차위치 확인시스템
US20100328102A1 (en) Interactiv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n urban and extra-urban road network subjected to safety and feature-related standards and/or restrictions
CN109671270B (zh) 行车事故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20180127821A (ko)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GB2600812A (en) Instant personal electronic parking system and method
JP4010316B2 (ja) 違法駐車取締り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KR102429515B1 (ko) 차량번호 모바일 인식 기반 주차관리시스템
WO2017022268A1 (ja) 車両特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特定システム
JP2001264087A (ja) 車載の位置管理情報表示装置
KR20200109680A (ko) IoT 무선 차량 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