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704A -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704A
KR20210087704A KR1020200000748A KR20200000748A KR20210087704A KR 20210087704 A KR20210087704 A KR 20210087704A KR 1020200000748 A KR1020200000748 A KR 1020200000748A KR 20200000748 A KR20200000748 A KR 20200000748A KR 20210087704 A KR20210087704 A KR 20210087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input
correction
nam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819B1 (ko
Inventor
박지윤
Original Assignee
박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윤 filed Critical 박지윤
Priority to KR102020000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8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08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speech input, e.g. using 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소지 입력이 필요한 택배 배송을 포함하는 물류 주소지, 내비게이션 장치의 목적지 등의 주소지를 주소 음성 입력 단말기에 음성으로 입력하여 구글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일반적인 음성인식 서버의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하여 주소 음성 입력 단말기에서 주소지를 보정할 뿐만 아니라 주소지 입력 방법의 혼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보정한 후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입력되어야 할 주소지를 보정함으로써 음성 입력자의 발성 또는 입력 성향과 상관없이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소지 입력 방법에 의한 오류를 교정하여 정확성을 확보함으로써 주소지 입력의 정확성, 통일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한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Address voice input system}
본 발명은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소지 입력이 필요한 택배 배송을 포함하는 물류 주소지, 내비게이션 장치의 목적지 등의 주소지를 주소 음성 입력 단말기에 음성으로 입력하여 구글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일반적인 음성인식 서버의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하여 주소 음성 입력 단말기에서 주소지를 보정할 뿐만 아니라 주소지 입력 방법의 혼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보정한 후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입력되어야 할 주소지를 보정함으로써 음성 입력자의 발성 또는 입력 성향과 상관없이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소지 입력 방법에 의한 오류를 교정하여 정확성을 확보함으로써 주소지 입력의 정확성, 통일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한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주소 체계는 각 구획마다 부여된 땅 번호, 즉 지번을 그대로 주소로 삼는 지번주소가 유일한 주소 체계였으나 2011년 7월 29일부터 도로명 주소와 병행되기 시작했으며, 2014년 1월 1일부터 도로명 주소의 전면 시행으로 공법관계에서의 주소는 대부분 도로명 주소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민간에서는 2019년 현재까지도 두 주소 체계가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서, 도로명 주소는 '도로명주소법' 제2조에서는 "도로명, 건물번호 및 상세 주소(상세 주소가 있는 경우만 해당한다)에 의하여 표기하는 주소"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주소 체계의 사용은 주로 우편, 택배로 대표되는 물류 및 차량 항법(navigation) 등의 적용분야에서 주소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주소를 입력할 때, 전국단위의 방대한 도로명주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도로명, 건물명 등을 기준으로 검색된 결과 내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선택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소 체계의 주요한 적용 분야에서 주소 데이터 각각의 입력 시간을 줄일 수 있다면 전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행 주소 및 우편번호 입력 시스템에 따르면, 상세한 검색 조건 또는 많은 검색어를 설정할수록 데이터베이스 검색 결과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검색 조건 또는 검색어를 간단하게 설정할수록 검색 결과의 개수가 많아진다.
이와 같이, 검색 조건 또는 검색어를 설정하는 시간도 줄이고, 검색 결과 내에서 원하는 주소 데이터를 선택하는 시간을 모두 줄이는 방안의 마련은 미흡하여 최소화된 검색 조건 또는 검색어를 설정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빠른 시간 내에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주소 입력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중 하나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3012호의 "주소 입력 간편화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검색어 타입에 대응하는 사전을 이용한 검색 결과인 중간 검색 결과를 이용하는 도로명 주소 입력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단계 S410에서의 도로명 주소 입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검색어 설정을 대기할 수 있다. 사용자의 검색어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는 방식, 시스템에 의해서 제시된 검색어 후보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검색어 입력창에 검색어가 입력된 후,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1초 내지 3초)이 경과된 후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가 입력 명령(예를 들어, 엔터키 입력)을 내리는 시점에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단계 S420에서 도로명 주소 입력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검색어의 타입이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타입 중의 어떤 타입인지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 제2 타입, 제3 타입은 각각 도로명, 우편번호, 건물명에 대응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검색어 타입은 사용자에 의한 직접 설정,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검색어의 포맷 등에 기초하여 도로명 주소 입력 시스템이 스스로 검색어 타입을 인지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검색어가 도로명, 우편번호, 건물명 중의 둘 이상이 조합된 검색어가 설정되는 복합 타입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또는 도로명 주소 입력 시스템은 검색어를 타입 별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검색어(즉, 부분 검색어)가 각각의 타입에 따른 프로세스로 분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타입의 검색어인 경우에는 단계 S510으로 분기하고, 제2 타입의 검색어인 경우에는 단계 S610으로 분기하고, 제3 타입의 검색어인 경우에는 단계 S710으로 분기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도로명 주소 입력 시스템은, 분기되어 각각 추출된 중간 검색 결과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아무런 중간 결과도 선택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440으로 진행하여 도로명 주소 입력 시스템은 검색 실패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다시 단계 S410으로 진행하여 대기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중간 검색 결과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선택하는 경우, 단계 S450으로 진행하여 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도로명 주소 원본 레코드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사용자는 검색어에 기초한 중간 검색 결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둘 이상의 타입의 중간 검색 결과의 각각에서 하나씩의 중간 검색 결과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S450에서 도로명 주소 입력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중간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도로명 주소 원본 데이터를 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시도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검색에 성공하는 경우에는 단계 S470으로 진행하여 최종 검색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로명 주소 입력 시스템의 동작에 따르면, 사용자가 하나의 타입의 검색어만을 설정한 경우에도, 사용자로 하여금 중간 검색 결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중간 검색 결과에 해당하는 최종 검색 결과(즉, 주소 데이터베이스의 원본 레코드에 해당하는 도로명 주소 중에서 중간 검색 결과의 그룹에 속하는 후보들)만을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지를 대폭 줄여서 사용자가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는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도로명 주소 입력 시스템 등은 도로명 주소의 활용 등 협소한 적용분야에 적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음성인식 기술의 향상에 의하여 차량 항법 등의 적용분야와 같이 안내를 받고자 하는 목적지를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이에 의하여 목적지를 설정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주소 입력의 정확성이 더욱 요구되는 우편, 택배 및 물류 등의 분야에서의 주소 입력 방법의 고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주소입력 시스템은 동일한 분야에서의 적용 뿐만 아니라 적용분야가 상이한 경우 각각 주소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구축되어 주소 데이터베이스의 범용성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주소지 입력이 필요한 택배 배송을 포함하는 물류 주소지, 내비게이션 장치의 목적지 등의 주소지를 주소 음성 입력 단말기에 음성으로 입력하여 구글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일반적인 음성인식 서버의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주소지 입력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소지 입력이 필요한 택배 배송을 포함하는 물류 주소지, 내비게이션 장치의 목적지 등의 주소지를 주소 음성 입력 단말기에 음성으로 입력하여 구글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일반적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발생될 수 있는 음성 인식 오류를 교정함으로써 주소지 입력을 위한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주소 음성 입력 단말기에서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입력되어야 할 주소지를 보정함으로써 주소지 입력에 사용되는 주소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에 따른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지번 주소, 도로명 주소 및 건물명을 주소지 입력에 사용되는 주소로 사용함으로써 도로명 주소의 확산이 단기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입력 단말기에서 주소지 입력을 위한 앱을 구동하는 앱 구동 단계; 입력되어야 할 주소지의 주소가 상기 주소 입력 단말기의 상기 앱에 음성 입력되는 음성 입력 단계; 상기 주소 입력 단말기의 앱에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주소 입력 단말기로 음성 인식 결과를 반환받는 음성 인식 단계; 음성 인식 결과가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의 형식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도록 사전에 보정하는 제1 보정, 지번 주소에 숫자가 포함된 행정동명 형식 또는 실제 주소를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된 주소와 상세 주소를 결합하는 보정을 하는 제2 보정 및 하나의 주소 입력에 대해 복수개의 결과가 반환되는 경우 복수개의 반환 결과중 하나와 입력된 주소 입력과 일치시키는 보정, 실제 주소가 포함되지 않은 하나의 주소 입력에 대하여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되는 결과가 없는 경우 실제 주소의 행정동명을 추가하여 결과를 반환받는 보정 및 반환된 결과에 건물명이 포함되어 반환되는 경우 사후적으로 건물명과 관련된 보정을 하는 제3 보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정이 수행되는 보정 단계; 및 상기 보정 단계에서 보정된 주소가 상기 주소 입력 단말기의 앱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소지 입력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은 주소지 입력을 주소 음성 입력 단말기에 음성으로 입력하여 구글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일반적인 음성인식 서버의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주소지 입력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발생될 수 있는 음성 인식 오류를 교정함과 주소지 입력 방법의 혼용에 의한 오류를 교정함으로써 주소지 입력을 위한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주소 음성 입력 단말기에서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입력되어야 할 주소지를 보정함으로써 주소지 입력에 사용되는 주소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에 따른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지번 주소, 도로명 주소 및 건물명을 주소지 입력에 사용되는 주소로 사용함으로써 도로명 주소의 확산이 단기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중간 검색 결과를 이용하는 도로명주소 입력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번 주소 및 도로명 주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행정구역인 '서울특별시 중구' 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등은 행정구역명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요지와 관련성이 낮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그 기재를 대부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지 입력이 필요한 택배 배송을 포함하는 물류 주소지, 내비게이션 장치의 목적지 등의 주소지를 주소 입력 단말기에서 주소지 입력을 위한 앱을 구동한다(S10).
여기서, 주소 입력 단말기는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장치 등으로 음성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택배 종사자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사용자 등의 사용자에 의해 택배 배송지 또는 차량 운행 목적지와 같은 입력되어야 할 주소지의 주소를 주소 입력 단말기의 앱에 음성 입력되도록 한다(S20).
여기서, 사용자에 음성 입력되는 주소는 완전하게 입력되는 것이 좋으나 부분 입력만으로도 목적의 달성이 가능한 경우에는 입력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보다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주소는 "행정구역, 실제주소(도로명 주소인 경우 도로명과 건물번호), 상세주소"의 체계를 가지며 '행정구역'의 경우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같이 반드시 입력되지 않아도 목적의 달성이 가능하므로 선택적으로 음성 입력을 하며, '행정구역'의 주소는 주소지의 시군구까지의 주소이다.
이후 주소 입력 단말기의 앱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주소 입력을 위하여 주소 입력 단말기로 음성 인식 결과를 반환한다(S30).
사용자의 음성 인식은 스마트폰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등에 구현되는 주소 입력 단말기에서 직접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나 사용자가 소지하는 장치는 확장성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구글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기업에서 이미 상용화하고 있는 음성 인식 서버의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제공받아 그 결과는 활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성 인식 결과가 주소지 입력이 필요한 택배 배송을 포함하는 물류 주소지, 내비게이션 장치의 목적지 등의 주소지와 같이 필요로 하는 주소지가 완벽하게 반환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작업 수행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는 주소지 입력과 관련된 음성 인식의 오류, 주소지 입력시 편의성 제고를 위한 부분적인 주소의 입력 등에 의하여 주소지가 완벽하게 완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주소 보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소 보정은 음성 인식 결과가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의 형식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도록 사전에 보정하는 제1 보정(S41), 지번 주소에 숫자가 포함된 행정동명 형식 또는 실제 주소를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된 주소와 상세 주소를 결합하는 보정을 하는 제2 보정(S42) 및 하나의 주소 입력에 대해 복수개의 결과가 반환되는 경우 복수개의 반환 결과중 하나와 입력된 주소 입력과 일치시키는 보정, 실제 주소가 포함되지 않은 하나의 주소 입력에 대하여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되는 결과가 없는 경우 실제 주소의 행정동명을 추가하여 결과를 반환받는 보정 및 반환된 결과에 건물명이 포함되어 반환되는 경우 사후적으로 건물명과 관련된 보정을 하는 제3 보정(S4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주소 보정이 수행된다(S40).
이러한 주소 보정은 음성 인식 결과와 비교되는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는 행정안전부 주소 데이터베이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보정은 음성 인식 결과가 입력되어 주소를 반환하는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가 가능한 형식과 부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전에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음성 인식 결과를 보정하는 보정에 해당된다(S41).
이러한 예로서는 도로명에서 "△△△ 1길"과 같이 공백이 존재하는 경우 "△△△1길"로 공백을 제거하며, 또한 상세 주소중 건물명에서 "△△ 빌딩"과 같이 공백이 존재하는 경우 "△△빌딩"으로 공백을 제거하거나, 지번 주소의 행정동명에 숫자가 포함된 "△△1동"과 같은 경우 숫자를 삭제하는 하는 보정이 있다.
또한, 지번 주소중 번지의 경우에는 "123-4"를 음성 입력하는 경우에는 음성 인식 결과가 "120 3-4"와 같이 나타나는 결과가 있어 이를 '숫자 뒤에 숫자'만 있는 경우인 "120 3"을 "123"으로 보정함으로써 지번 주소중 번지의 본번과 부번을 구분하는 구분자인 '-'를 기준으로 번지의 본번만으로 번지를 보정하는 보정함으로써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제2 보정은 실제 주소를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된 주소와 상세 주소를 결합하는 보정에 해당된다(S42).
이러한 예로서는 실제 주소인 지번 주소 또는 도로명 주소와 상세 주소가 결합되어 입력되는 경우는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된 주소와 상세 주소인 "△△빌딩 3층 □□팀" 등이 결합되는 보정에 해당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세 주소는 주소 입력 단말기의 임시 메모리에 저장한 후 결합된다. 여기서, 상세 주소에 건물명이 포함되는 경우 브랜드명과 건물 속성으로 건물명을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건물명 데이터베이스로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구축된다.
여기서, 건물 속성은 아파트, 빌딩, 타워, 학교, 빌라 또는 센터 등을 의미한다.
제3 보정은 하나의 주소 입력에 대해 복수개의 결과가 반환되는 경우 복수개의 반환 결과중 하나와 입력된 주소 입력과 일치시키는 보정, 실제 주소가 포함되지 않은 하나의 주소 입력에 대하여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되는 결과가 없는 경우 실제 주소의 행정동명을 추가하여 결과를 반환받는 보정 및 반환된 결과에 건물명이 포함되어 반환되는 경우 사후적으로 건물명과 관련된 보정에 해당된다(S43).
이러한 예로서는 하나의 주소 "△△동 3"의 입력에 대해서는 행정동에서는 변화가 없으나 '3'에 대해서는 '1-3', '2-3', '3', 4-3'과 같이 복수개의 결과가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반환되어 정확하게 일치되는 주소로 보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결과는 그 갯수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일치되는 주소를 비교하기에 곤란함이 있으므로 비교하기에 용이한 일정한 갯수로 한정하고 이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정확하게 일치되는 주소를 찾아 보정하게 된다.
또한, 건물명 및 상세 주소를 결합하는 보정인 경우에는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된 주소에 건물명이 포함되는 경우 상세 주소에 포함된 건물명과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중복되지 않도록 어느 하나 이상의 건물명을 삭제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아파트 단지, 주민센터 등과 같이 랜드마크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들에게는 주소 체계의 모든 입력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주소 입력에 "△△아파트+동호수" 또는 "△△3동+주민센터 3층" 같은 건물의 브랜드명, 건물 속성인 건물명 및 상세 주소만으로 입력되는 경우가 자주 사용되어 실제 주소에서의 행정동, 건물의 브랜드명과 건물속성으로 이루어지는 건물명 및 상세주소를 결합하는 보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건물명을 구성하는 건물의 브랜드명 또는 건물 속성은 건물명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물명에서는 띄어쓰기가 배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3동+주민센터 3층"의 경우를 예시하면, "△△3동+주민센터 3층" 인 경우에는 음성인식 서버의 음성인식 결과는 "△△3동"+"주민센터"+"3층"과 같이 각각 구분되어 검색되며, 이를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는 경우 실제주소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를 건물명과 관련한 건물명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실제주소가 검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건물의 브랜드명 또는 건물 속성은 건물명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번 주소 또는 도로명 주소의 입력에 의하여 건물명이 포함된 주소가 반환되는 경우의 상세 주소의 건물명과 중복되므로 하나의 건물명 만으로 이루어지도록 삭제함으로써 건물명의 중복을 제거하는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주소 보정 단계(S40)에서 보정된 주소가 주소 입력 단말기의 앱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0).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주소 입력 단말기에서 주소지 입력을 위한 앱을 구동하는 앱 구동 단계(S10);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야 할 주소지의 주소가 상기 주소 입력 단말기의 상기 앱에 음성 입력되는 음성 입력 단계(S20);
    상기 주소 입력 단말기의 앱에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주소 입력 단말기로 음성 인식 결과를 반환받는 음성 인식 단계(S30);
    음성 인식 결과가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의 형식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도록 사전에 보정하는 제1 보정(S41), 지번 주소에 숫자가 포함된 행정동명 형식 또는 실제 주소를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된 주소와 상세 주소를 결합하는 보정을 하는 제2 보정(S42) 및 하나의 주소 입력에 대해 복수개의 결과가 반환되는 경우 복수개의 반환 결과중 하나와 입력된 주소 입력과 일치시키는 보정, 실제 주소가 포함되지 않은 하나의 주소 입력에 대하여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되는 결과가 없는 경우 실제 주소의 행정동명을 추가하여 결과를 반환받는 보정 및 반환된 결과에 건물명이 포함되어 반환되는 경우 사후적으로 건물명과 관련된 보정을 하는 제3 보정(S4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정이 수행되는 주소 보정 단계(S40); 및
    상기 주소 보정 단계에서 보정된 주소가 상기 주소 입력 단말기의 앱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소 입력 단계(S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되는 주소는 선택적으로 행정구역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행정구역 주소는 주소지의 시군구까지의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은 상용화된 외부 음성 인식 서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결과는 텍스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는 행정안전부 주소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은 상기 음성 인식 단계에서 반환받은 음성 인식 결과가 비교될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의 형식과 부합 여부를 판단하여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의 형식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은 상기 음성 인식 결과가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의 형식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도로명에서의 공백 또는 상세 주소중 건물명에서 공백을 제거하거나 지번 주소의 행정동명에 숫자가 포함된 경우 숫자를 삭제하는 하는 보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은 지번 주소중 번지의 본번과 부번을 구분하는 구분자인 '-'를 기준으로 번지의 본번만으로 번지를 보정하는 보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은 실제 주소와 상세 주소가 결합되어 입력되는 경우에는 실제 주소를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된 주소와 상세 주소를 결합하는 보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주소에 건물명을 포함하는 경우에 건물명을 브랜드명과 건물 속성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정은 상기 건물명 및 상세 주소를 결합하는 보정인 경우에는 상기 표준 주소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반환된 주소에 포함되는 건물명과 상세 주소에 포함되는 건물명 중 어느 하나의 건물명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정은 건물의 브랜드명, 건물속성인 건물명 및 상세주소만으로 입력되는 경우 실제 주소에서의 행정동과 건물의 브랜드명, 건물속성 및 상세주소를 결합하는 보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브랜드명 또는 건물 속성은 건물명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에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정은 하나의 주소 입력에 대하여 복수개의 결과가 반환되는 경우 반환되는 갯수를 일정 갯수로 설정하여 받아온 후 반환된 값과 입력값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일치시키는 보정, 브랜드명과 건물속성이 결합된 건물명이 행정안전부 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 반환되지 않는 경우에는 실제 주소를 추가로 결합하여 주소를 반환받는 보정, 지번 주소 또는 도로명 주소의 입력에 의하여 건물명이 포함된 주소가 반환되는 경우의 상세 주소의 건물명과 중복되므로 하나의 건물명 만으로 이루어지도록 중복을 제거하는 보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KR1020200000748A 2020-01-03 2020-01-03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KR10233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748A KR102333819B1 (ko) 2020-01-03 2020-01-03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748A KR102333819B1 (ko) 2020-01-03 2020-01-03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704A true KR20210087704A (ko) 2021-07-13
KR102333819B1 KR102333819B1 (ko) 2021-12-02

Family

ID=7685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748A KR102333819B1 (ko) 2020-01-03 2020-01-03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260A1 (ko) * 2022-03-28 2023-10-05 쿠팡 주식회사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755A (ko) * 2016-01-07 2017-07-17 에스케이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57853A (ko) * 2016-11-23 2018-05-31 잠쉬딘 허지무하메도브 주소 변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27821A (ko) * 2017-05-22 2018-11-30 (주)여기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755A (ko) * 2016-01-07 2017-07-17 에스케이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음성 인식 기반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57853A (ko) * 2016-11-23 2018-05-31 잠쉬딘 허지무하메도브 주소 변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27821A (ko) * 2017-05-22 2018-11-30 (주)여기요 사고 차량 견인위치 알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260A1 (ko) * 2022-03-28 2023-10-05 쿠팡 주식회사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819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71731A1 (en) Fence address-based coordinat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device
US9883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communicating locations
CN107656913B (zh) 地图兴趣点地址提取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US7574428B2 (en) Geometry-based search engine for navigation systems
US8321375B2 (en) Search data update method and search data update system
US20130218879A1 (en) Update systems of space of interest data and methods thereof
CN111797182B (zh) 一种地址编码解析方法及系统
CN111291277A (zh) 一种基于语义识别和高级语言搜索的地址标准化方法
CN110019645B (zh) 索引库构建方法、搜索方法及装置
CN110992681A (zh) 交通路网属性信息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40097805A (ko)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CN106251164A (zh) 一种景区推荐方法及系统
KR102333819B1 (ko) 주소 음성 입력 시스템
CN108204816B (zh) 定位导航的地址精细化处理方法及装置、物流导航系统及终端
CN103324749A (zh) 一种基于标准文本地址的空间化解析及纠偏方法
CN116414823A (zh) 一种基于分词模型的地址定位方法和装置
CN111896016A (zh) 位置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11401051B (zh) 快递信息解析方法及系统
JP2008090334A (ja) 所在地解析装置、所在地解析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CN108664984B (zh) 一种数据检查的方法及装置
CN112380858A (zh) 基于政务大数据的地址补全和纠正方法
JP2003223459A (ja) 住所情報の管理方法
KR102042610B1 (ko) 지도 제공 서버에서 이명 수집 저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JP4510784B2 (ja) 所在地解析装置、所在地解析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CN114510543A (zh) 行程地点纠错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