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805A -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805A
KR20140097805A KR1020130010337A KR20130010337A KR20140097805A KR 20140097805 A KR20140097805 A KR 20140097805A KR 1020130010337 A KR1020130010337 A KR 1020130010337A KR 20130010337 A KR20130010337 A KR 20130010337A KR 20140097805 A KR20140097805 A KR 20140097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information
code
block number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13001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7805A/ko
Publication of KR20140097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82Tablespace storage structures; Manage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주변을 블록으로 나눠 블록번호 부여를 규칙적으로 부여하여 정확성·일관성·유통성·경제성·검색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을 갖출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로 편리함과 활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블록번호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국의 지역별 구분(시·도·군·구·읍·면·동·리·지번)·지도·지적임야약도·새주소도로명·우편번호 등에 좌표(x y)위치 값을 부여해 따라 해당 지역주변을 블록(구역)으로 나눠 블록번호 표시와 함께 그 블록번호가 속한 위치를 인지하게 하여 차후 그 지역을 찾아가고자 할 때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됨으로써 지번의 생성과 말소가 반복되었다. 이로 인해 불규칙하고 비효율적인 주소표시 체계가 초래되어 번지수만 보고는 위치를 찾기 힘든 상태가 되었고 배달·방문등 물류비용의 증가 및 범죄·화재·구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기가 곤란하게 되어 새로운 방법이 필요해졌다.
그래서 선진국과 같은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주소체계의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어 왔으며 정확성·일관성·유통성·경제성·검색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을 갖출 수 있는 도로방식에 의한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체계적으로 부여하는 새로운 주소체계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이에 100년 만에 바뀌는 새 주소가 정착되면 물류비 절감과 각종 응급상황 발생 때 빠른 대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국제 표준의 주소체계에도 맞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부여한 새주소 체계는 도시정비가 잘 되어있는 대도시를 바탕으로 잘 추진되고 있으나 농촌에서는 오히려 주소 찾기가 더 혼란스러워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치표시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는 정확성과 간결성으로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쉬우면서 정보교환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간결하여야 하며, 찾아가는 경로에 관한 정보를 쉽게 전달하고,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해 예측이 가능한 위치표시체계를 전국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역주변을 블록(구역)으로 나눠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으로 정확성, 일관성, 유통성, 경제성, 검색성 등 운영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Coordinates (x, y) position value using a systematic block code generated and the address matching service using methods}
본 발명은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새 주소 체계의 블록번호 부여방식에 있어서 도로마다 특성 여건의 차이로 번호부여의 일관성이 없을 뿐 아니라 또 다시 생성과 말소의 형성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지역주변을 블록(구역)으로 나눠 블록번호를 규칙적으로 부여하여 정확성·일관성·유통성·경제성·검색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을 갖출 수 있는 체계적인 주소관리로 편리함과 활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블록번호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국의 지역별 구분(도·시·군·구·읍·면·동·리·지번)·지도(지적·임야·약도)·새주소도로명·우편번호 등에 좌표(x, y)위치 값을 부여해 해당 지역주변을 블록(구역)으로 나눠 블록번호 표시와 함께 그 블록번호가 속한 위치를 인지하게 하여 차후 그 지역을 찾아가고자 할 때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좌표값을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주소표시 체계는 지번을 기초로 하고 있다. 현재의 지번제도는 1910년 토지조사사업 당시부터 100여년 사용해 오고 있으며,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됨으로써 지번의 생성과 말소가 반복되었다. 이로 인해 불규칙하고 비효율적인 주소표시 체계가 초래되어 번지수만 보고는 위치를 찾기 힘든 상태가 되었고 배달, 방문등 물류비용의 증가 및 범죄·화재·구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기가 곤란하게 되어 새로운 방법이 필요해졌다.
그래서 선진국과 같은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주소체계의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어 왔으며 정확성·일관성·유통성·경제성·검색성 등의 여러가지 특성을 갖출 수 있는 도로방식에 의한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체계적으로 부여하는 새로운 주소체계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정부는 새 주소가 길 찾는 데 걸리는 시간과 기름값을 줄이는 등 3조4천억 원의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100년 만에 바뀌는 새 주소가 정착되면 물류비 절감과 각종 응급상황 발생 때 빠른 대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국제 표준의 주소체계에도 맞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새도로명주소 사업은 국가경쟁력 강화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소체계는 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가 병행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부여한 새주소 체계는 도시정비가 잘 되어있는 대도시를 바탕으로 잘 추진되고 있으나 농촌에서는 오히려 주소 찾기가 더 혼란스러워졌다.
주소가 바뀐 사실의 인지 여부는 그다지 큰 의미는 없다. 한 세기 넘도록 써온 기존 지번주소의 문제점을 인정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
또한 우편주소는 우편물·택배의 접수 및 구분 및 배달 처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지번 기반의 우편번호 6자리는 우편물의 발송과 도착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데 앞으로 도로명 기반의 주소에서는 지금의 우편번호 체계를 계속 유지하기는 여러가지 한계를 갖는다.
새 도로명주소 체계의 종속번호 부여방식에 있어서 도로마다 특성 여건의 차이로 종속번호부여의 일관성이 없을 뿐 아니라 또 다시 주소의 생성과 말소로 인하여 종속번호의 형성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에 해당지역 주변을 블록(구역)을 체계적으로 구분허여 블록번호를 규칙적으로 적용시켜 편리함과 활용성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소 위치표시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는 정확하고 간결하여야 한다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쉬우면서 정보교환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간결하여야 하며, 찾아가는 경로에 관한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주소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해 예측이 가능하여야 하나, 위치표시체계가 각 분야별로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연계성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부처간, 지역간, 목적별로 위치표시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위치표시체계에 대하여 지역주변을 블록(구역)으로 나눠 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운영방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새주소 체계의 변화에 따라 기존에 적용할 수 없었던 도로망기반의 주소체계를 이용하여 주소를 특징에 따라 세분화 된 지역기반 구획을 블록(구역)으로 구축하여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지역기반 블록(구역) 구획 구축 시 주소의 범위 및 특징에 따라 중심선을 수정함으로써 위치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지역의 지역기반 블록(구역)구획별로 별도로 설정하여 위치를 정확하고 빠른 시간 내에 찾을 수 있도록 한 블록번호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편번호 정보와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좌표(x, y)위치 값에 의해 블록번호에 순차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지역기반 블록(구역) 분할시 블록종속번호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블록번호가 합칠시 블록번호가 병합하여 설정할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기존 주소정보인 지번주소정보와, 주소체계 변경에 따른 상기 지번주소정보의 새로운 주소정보인 도로명주소 정보를 매칭 시킬 수 있는 좌표(x, y) 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블록번호는 정확성·일관성·유통성·경제성·검색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을 갖출 수 있는 도로방식에 의한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구성하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블록(구역)을 구획화하여 세부 건물단위의 기준점 좌표(x, y)위치 값을 부여하여 입력된 우편번호·구지번주소·새도로명주소의 좌표(x, y)위치 값을 체계적인 주소 변경에 표준화가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여 블록번호를 매칭하는 좌표(x, y) 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입력된 주소의 데이터구성(분리·누락된 주소 복원·주소매칭 오류 원인 및 결과 집계) 으로 변환 기능 제공으로 실시간 블록번호를 매칭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공간 좌표(x, y)화 할 수 있는 좌표(x, y)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검색 데이터는 기존 우편주소 지번주소명·새도로명주소·우편번호 값을 검색 또는 미리 정해진 철자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인식하고 해당하는 특정 단어 나 용어로 검색할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블록번호 조건을 제거 추가 병합 등의 일을 포함 할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역주변을 블록(구역)으로 나눠 부여한 블록번호를 통하여 정확성, 일관성, 유통성, 경제성, 검색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을 갖출 수 있는 도로방식에 의한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비게이션·스마트폰 등에 신속·간결하게 간단한 블록번호 입력을 통하여 지번명 및 새도로명 주소·상세 건물위치 등을 쉽게 검색하여 방문지나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이용자들을 확대시킬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문자에게 설명하기 쉬우면서 정보교환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블록번호를 통하여 지번명 및 새도로명 주소·상세 건물위치 등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신속·간결하게 전달하여 찾아오는 경로에 관한 정보를 예측이 가능하게 하여 방문자가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하여 서비스 이용자들을 확대시킬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번호를 통하여 지번명 및 새도로명 주소·상세 건물위치 등 위치를 찾아가는 경로에 관한 정보를 통해 예측이 가능하여 방문지나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어 서비스 이용자들을 확대시킬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번호를 통하여 지번명 및 새도로명 주소·상세 건물위치 등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해 예측이 가능하여 쉽게 각인되며 택배·우편물 등을 분리하고 배달하는데 효율적인 작업을 통하여 서비스 이용자들을 확대시킬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번호 서비스를 다른 분야에 응용하여 이용자 증가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은, 블록번호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국의 지역별 구분(도·군·구·읍·면·동·리·지번)·지도(지적·임야)·새주소도로명·우편번호 등 체계적으로 정리된 데이터베이스와 건물데이터베이스와 해당 지역주변을 체계적으로 블록(구역)으로 나눠 세부 건물단위로 기준점 좌표(x, y)위치 값을 부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블록번호 표시와 함께 그에 속한 위치를 설정 할 수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은 입력된 주소(지번주소 <-> 새도로명주소) 변환 기능 제공으로 실시간 주소 매칭과 정확한 좌표(x, y)계로 구성된 요소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공(분리·누락된 주소·복원·주소매칭)·오류 원인 및 결과 집계 등 체계적인 주소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 하여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공간 좌표(x, y)화하여 미리 정해진 철자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인식하고 해당하는 특정 단어나 용어로 검색, 조건을 제거·추가·병합 등의 일을 포함 하여 결정 하는 등 좌표(x, y)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소항목들이 분류되는 상기 유형은 영문, 숫자, 기호 등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로 지정된 순서대로 주출 정보를 포함하고
각 블록번호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검색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색테이블은 동일한 명칭을 갖는 복수개의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복수개의 테이블은 서로 다른 정보와 연관되며, 상기 블록번호검색테이블은 임의 건물에 대한 표준화된 명칭, 일상적으로 상용되는 명칭 또는 약칭, 그리고 오류로 기재될 수 있는 명칭 또는 약칭을 각각의 테이블로서 구성한다.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유형에 매칭되는 테이블이 상기 검색테이블에서 복수개로 찾아지는 경우 상기 상위주소에 의해 지정되는 다른 검색테이블을 검색하여 매칭되는 테이블 찾고, 상기 블록번호에는 법정주소명·행정주소명·번지 그리고 새주소를 포함하는 정보가 더 포함되어 추출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표(x, y)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은 현재 기존 우편번호·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를 매칭,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공간 좌표(x, y)화하여 분류된 유형별로 일치하는 주소와 맵핑하여 블록번호를 찾은 후, 상기 분류된 유형들이 그 찾은 주소 맵핑 블록번호내의 주소 맵핑 조건의 어느 하나에 부합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부합되는 주소 맵핑 조건에 연관된 주소 할당에 따라 상기 분류된 유형들이 적어도 하나를 주소에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검색테이블에서, 상기 주소에 할당된 유형 과 동일하거나 그 유형을 포함하고 있는 테이블을 찾고, 그 찾은 테이블에 연계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주소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주소처리 방식에 따라 주소관련 정보를 추출 또는 결합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좌표(x, y)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소에 의해 지정되는 검색테이블에서, 상기 주소에 할당된 유형과 동일하거나 그 유형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찾고, 그 찾은 데이터베이스에 연계되어 있는 주소정보로부터, 입력된 주소처리 방식에 따라 주소관련 정보를 추출 또는 결합하여 출력하기 위한 주소정보 추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유형요소에 대해 역방향 매칭여부를 조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으로 조건을 제거·추가·병합 등의 일을 포함 하여 결정할 수 있는 주소데이터가 건물명을 포함하는 경우 건물명을 건물위치를 근거로 상기 지역구분 기준은 법정동·행정동 또는 상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주소는 광역시·시군구·읍면동·리·번지·건물명·건물동 또는 건물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은 주소의 표준화를 위한 주소처리 프로그램과, 주소의 표준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가 수록되어 있되, 상기 하위주소에 속하는 주소항목들을 유형별 구성들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유형들이 순차적 유형 순서에 따라 식별하는 과정과, 분할시 블록종속번호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블록번호가 합칠시 블록번호가 병합하여 설정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좌표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방법은, 입력되는 데이터의 중복 표기 또는 일부 누락 주소를 자동으로 정정하여 이를 근거로 각각의 주소 체계에 대응, 정확하게 표준화된 주소데이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은 위치표시체계가 각 분야별로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연계성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부처간, 지역간, 목적별로 위치표시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를
본 발명을 통하여 전국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위치표시체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쉬우면서 정보교환이 신속·간결하여야 하며, 찾아가는 경로에 관한 정보를 쉽게 전달하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해 예측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국의 지역별 구분(도·시·군·구·읍·면·동·리)·지도·지적임야약도·새주소도로명에 따라 해당 지역주변을 블록(구역)으로 나누어 그 블록번호가 속한 위치를 인지하게 되어 뇌리에 깊게 각인되므로 차후 그 지역을 찾아가고자 할 때 쉽게 기억할 수 있고 또한 편리성으로 인하여 블록번호가 정착되면 물류비 절감과 각종 응급상황 발생 때 빠른 대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길 찾는 데 걸리는 시간과 기름값을 줄이는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도로명주소와 결합해 추진될 도시계획, 금융, 교통, 환경, 국방, 토지관리, 물류·유통분야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여 이용자 증대를 촉진할 수 있으며 활발한 서비스 이용으로 인한 수익 증대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구역)에 블록번호를 생성하여 매칭시킨 블록(구역)의 이미지 해상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GPS 및 인터넷을 통해본 지도에서 위치검색 이미지 해상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목록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테이블·데이터베이스·서버 등 운영체제 환경에서 실행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하는 용어로 정의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구역)에 블록번호를 생성하여 매칭시킨 블록(구역)의 이미지 해상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GPS 및 인터넷을 통해본 지도에서 위치검색 이미지 해상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목록 이다
여기서, 기존 주소정보인 지번주소정보(110)와, 주소체계 변경에 따른 상기 지번주소정보의 새로운 주소정보인 도로명주소(410) 및 우편번호 정보(110)를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 매칭시켜 관리서버에(200)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0)로부터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매칭테이블로 검색하여 상기 좌표(x, y)위치 값(510)에 대응하는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검색부(140)에서 검색하여 기존 지번주소명 정보(110)와 새주소도로명 정보(410)의 좌표(x, y)위치 값(510)을 주출하여 매칭 시켜 통합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한다.
통합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를 매칭 시켜 블록번호(610)를 생성부(180)를 통하여 생성하고 부여한다.
정보를 블록번호(610)와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하여 정보를 매칭 시킨 정보 등을 통합데이터베이스(100)에 또 다시 저장한다.
상기 지역구분 기준 및 표준화코드와의 일치정도에 따라 각 주소에 우선순위에 대한 코드인 블록번호코드(610)를 부여하여 블록번호 생성부(180)로부터 상위 주소의 코드에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최종코드를 생성한다
검색부(140)를 통하여 주소에 매칭되는 코드의 부재 또는 불일치에 따라 오류 여부를 판단하여 오류 발생 시 표준화코드를 선택하여 최종코드를 구성제어부(170)를 둔다.
입력부(190)에서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 또는 블록번호(610)을 입력하여 주소데이터(400)를 분류하여 상기 생성부(180)에 분류된 주소데이터(400)를 추출부(160)를 통하여 각 건물의 주소를 시군구명, 상기 주도로명, 상기 지점번호, 및 상기 건물번호(810)의 형식으로 지정한다
1개의 블록번호(610)가 2개의 블록번호(610)로 중복 지정된 경우에 상기 지정된 블록번호(610)를 1개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1개의 블록번호(610)에서 분할된 경우에 상기 지정된 블록번호(610)를 종속블록번호(710)를 추가로 부여한다.
상기 블록번호(610)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건물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사항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지역구분 기준은 법정동·행정동(210) 또는 상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위주소는 광역시·시군구·읍면동·리·번지·건물명·건물동 또는 건물호(8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건물명·상호명·아파트명·도로명·행정동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하면 요청받은 상기 블록번호(610)와 매칭되는 상세주소(110, 410)를 포함한 주소정보를 제어부를 통해 통합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 추출하여 주소항목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유형들을 순차적 순서에 따른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 블록번호(610)를 수신한다.
건물명, 상호명, 아파트명, 도로명, 행정동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하면 유형 구성에 대해 역방향 매칭여부를 조건으로 더 규정하며 주소에 의해 지정되는 검색에서, 상기 주소에 할당된 유형 구성과 동일하거나 그 유형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찾고, 그 찾은 정보에 연계되어 있는 주소정보 데이터(300)로 부터 입력된 주소처리 방식에 따라 주소관련 정보를 추출 또는 결합(200)하여 출력하기 위한 주소정보 추출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번호 주소 체계는 각 국가를 구분하는 국가번호 코드(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00)로부터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좌표(x, y)위치 값(510)에 대응하는 주소정보 지번주소(110)·새도로주소(410)·우편번호(310)와 지도 정보의 좌표(x, y)위치 값(510)을 주출하여 매칭 시켜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고 블록번호(610)를 생성하여 부여한다
지번주소명 정보(110)와 새주소도로명 정보(410)를 블록번호(610)와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하여 지도 정보를 매칭 시킨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하고 지역구분 기준의 범위에 따라 각 주소에 매칭되는 지역구분 기준 및 표준화코드와의 일치정도에 따라 각 코드에 우선순위에 대한 코드인 블록번호코드(610)를 블록번호 생성부(180)로부터 순차적으로 매칭하여 주소코드에 좌표(x y)위치 값(510) 코드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최종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주소에 매칭되는 코드의 부재 또는 불일치에 따라 오류여부를 판단하여 오류 발생시 상기 표준화코드를 선택하여 상기 최종코드를 구성한다.
오류발생은 상기 주소와 매칭되는 상기 표준화코드가 없거나 상기 주소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지역구분 기준의 범위 중 일부가 누락되어 상기 범위의 단위주소를 건너뛰는 경우를 포함한다.
입력된 주소(지번주소 <-> 새도로명주소) 변환 기능 제공으로 실시간 주소 매칭과 정확한 좌표(x, y)계로 구성된 요소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공(분리·누락된 주소·복원·주소매칭)·오류 원인 및 결과 집계 등 체계적인 주소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 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공간 좌표화(21)한다.
검색 데이터는 기존 우편번호·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의 좌표(x y)위치 값(510) 을 검색 또는 미리 정해진 철자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인식하고 해당하는 특정 단어 나 용어로 검색할 수 있다
블록번호(610)에 해당하는 새도로명 주소(410) 항목들은 상위주소로, 그 나머지의 주소항목(110)들은 하위주소로 분류되며 유형은 영문, 숫자, 기호 등으로 식별하고 각 유형에 지정된 순서대로 주출할 수 있다
블록번호(610) 검색데이터베이스(200)는, 블록번호(610)를 기준으로 그 범위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데이터베이스(300)로 구성하고 있는 검색데이터베이스(200)로 배열된 지번주소·우편번호데이터베이스(400)·지도데이터베이스(20)·새주소도로명데이터베이스(500)·건물명 동 호수 데이터베이스 등 각각 데이터베이스(300)로서 구성되어 포함하고,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는 연관된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각 상위 블록번호(610)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검색 데이터베이스(200)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색테이블은 동일한 명칭을 갖는 복수개의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복수개의 테이블은 서로 다른 정보와 연관되며, 상기 블록번호(610)검색테이블은 임의 건물에 대한 표준화된 명칭, 일상적으로 상용되는 명칭 또는 약칭, 그리고 오류로 기재될 수 있는 명칭 또는 약칭을 각각의 테이블로서 구성된다.
주소 맵핑 조건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형 주소의 표준화를 위해 주소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주소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주소를 새도로명 주소(410)와 지번주소(110)로 분리하기 위한 검색부(140)와 주소에 속하는 주소항목들을 유형별 구성으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유형 구성들이 순차적 유형 순서에 따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150)와 유형에 대해 주소 맵핑 조건과 주소 할당이 구성되어 있는 주소 맵핑 블록번호(610)들에서 식별된 유형과 일치하는 유형의 주소 맵핑 블록번호(610)를 찾은 후 분류된 유형 구성들이 그 찾은 주소 맵핑 블록번호내(610)의 주소 맵핑 조건의 어느 하나에 부합되는 지를 확인하고, 부합되는 주소 맵핑 조건에 연관된 주소 할당에 따라 상기 분류된 유형 구성들의 적어도 하나를 주소에 할당하기 위한 주소 매칭 제어부(170)와 주소에 의해 지정된다.
주소데이터(400, 500)가 건물명을 포함하는 경우 건물명을 건물키워드와 키워드 위치를 근거로 분류하는 건물명 식별부(150)와 조건을 제거·추가·병합 등의 일을 포함 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오류발생은 주소와 매칭되는 표준화코드가 없거나 주소데이터(400, 500)에 포함된 지역구분 기준의 범위 중 일부가 누락되어 범위의 주소를 건너뛰는 경우를 모니터링하여 각 코드마다 상기 오류발생을 체크하며, 오류가 발생된 코드마다 대응하는 결과코드를 생성하여 취합하는 결과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주소의 표준화를 위한 주소처리 단계와 주소의 표준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가 수록되어 있되, 주소에 속하는 주소항목들을 유형별 구성들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유형 구성들이 순차적으로 유형 순서에 따른 유형을 식별하는 과정과 블록(구역)을 분할시 블록종속번호(710)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블록번호가 합칠시 블록번호가 병합(720)하여 설정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관리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블록번호(610)가 2개의 블록번호(610)로 중복 지정된 경우에 지정된 블록번호(610)를 1개로 지정하며 1개의 블록번호(610)에서 분할된 경우에 상기 지정된 블록번호(610)를 종속블록번호(710)를 추가로 부여한다.
블록번호(610)에 상응하는 정보는 건물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사항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역기반 블록(구역) 구획 구축 시 주소의 범위 및 특징에 따라 중심선을 수정함으로써 위치정확도를 증가시키며 새주소 체계의 변화에 따라 기존에 적용할 수 없었던 도로망기반의 주소체계를 이용하여 주소를 특징에 따라 세분화 된 지역기반을 블록(구역)으로 구축하여 좌표(x, y)값을 매칭하여 정확한 블록번호(610)를 생성시킨다.
지역을 블록(구역)별로 별도로 설정하여 위치를 정확하고 빠른 시간 내에 찾을 수 있도록 한 블록번호(610)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편번호 정보와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좌표(x, y)값에 의해 블록번호(610)에 순차적으로 설정하고 분할시 블록종속번호(710)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블록번호가 합칠시 블록번호가 병합(720)하여 설정하는 지번주소정보(110)의 새로운 주소정보인 도로명주소(410) 정보를 대응시켜 주소정보 데이터베이스에(400, 500) 저장한다.
구역을 세분화하여 세부 건물단위의 기준점 좌표(x, y)위치 값(510)을 부여하여 입력된 우편번호·구지번주소(110. 310)·새도로명주소(410)의 좌표(x, y)위치 값(510)을 체계적인 주소 변경에 표준화가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여 블록번호(610)를 매칭 한다
또한 입력된 주소의 데이터구성(분리·누락된 주소 복원·주소매칭 오류 원인 및 결과 집계) 으로 변환 기능 제공으로 실시간 블록번호(610)를 매칭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공간 좌표(x, y)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를(20)를 구비한다.
주소를 관리하는 주소 관리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유형 구성요소에 대해 역방향 매칭여부를 조건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데이터의 중복 표기 또는 일부 누락 주소를 자동으로 정정하여 이를 근거로 각각의 주소 체계에 대응되는 정확하게 표준화된 주소데이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도면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 에서는 좌표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번호 이용시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100 : 통합 데이터베이스
200 : 관리서버(검색데이터베이스)
300 : 데이터베이스
400 : 지번주소 우편번호 데이터베이스
500 ; 새도로명 데이터베이스
600 : 좌표(x y)위치 데이터베이스
700 : 블록번호 데이터베이스
20 : 지도정보 데이터베이스
130 : 저장부
140 : 검색부
150 : 식별부
160 : 추출부
170 : 제어부
180 : 생성부
190 : 입력부
110 : 지번주소
210 : 행정동/법정동
310 : 지번주소우편번호
410 : 새도로명 주소
510 : 좌표(X Y)위치 값
610 : 블록번호
620 : 블록번호 기준점
710 : 분할번호
720 : 병합번호
810 : 동 호수
910 : 국가를 구분하는 국가번호 코드

Claims (12)

  1. 지번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새도로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우편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지도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좌표(x, y)위치 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기존 주소정보인 지번주소정보와, 주소체계 변경에 따른 상기 지번주소정보의 새로운 주소정보인 도로명주소 및 우편번호 정보를 매칭시켜 주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매칭테이블로 검색하여 상기 좌표(x, y)위치 값에 매칭하는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기존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의 좌표(x, y)위치 값을 주출하여 매칭 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기존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 및 좌표(x, y)위치 값을 주출하여 매칭 시켜 블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에 블록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블록번호와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매칭 시킨 정보 등을 저장하는 블록번호 데이터 저장부;
    상기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 및 블록번호를 매칭 시켜 저장하는 주소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지역구분 기준의 범위에 따라 각 주소에 매칭되는 코드와 상기 표준화코드가 매칭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지역구분 기준 및 표준화코드와의 일치정도에 따라 각 주소에 우선순위에 대한 코드인 블록번호코드를 부여하는 블록번호 추가생성부와;
    상기 블록번호 생성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매칭하여 상위주소의 코드에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최종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주소에 매칭되는 코드의 부재 또는 불일치에 따라 오류여부를 판단하는 식별부;
    상기 오류 발생 시 상기 표준화코드를 선택하여 상기 최종코드를 구성한 것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 명령 또는 블록번호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주소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생성부에 분류된 주소데이터를 전달하는 문자열 생성부가 더 구성되는 추출부;
    각 건물의 주소를 시군구명·주도로명 및 상기 건물번호의 형식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 주소 지정 단계;
    상기 블록번호가 2개의 블록번호로 중복 지정된 경우에 상기 지정된 블록번호를 1개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번호 지정 단계;
    상기 1개의 블록번호에서 분할된 경우에 상기 지정된 블록번호를 종속블록번호를 추가로 부여하는 단계;
    상기 블록번호 주소 체계는 각 국가를 구분하는 국가번호 코드를 더 포함하는 단계;
    상기 블록번호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건물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사항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번호 지정 단계;
    상기 지역구분 기준은 법정동·행정동 또는 상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위주소는 광역시·시군구·읍면동·리·번지·건물명·건물동 또는 건물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지번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새도로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우편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지도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좌표(x, y)위치 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기존 주소정보인 지번주소정보와, 주소체계 변경에 따른 상기 지번주소정보의 새로운 주소정보인 도로명주소 및 우편번호 정보를 매칭시켜 주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매칭테이블로 검색하여 상기 좌표(x, y)위치 값에 매칭하는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기존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의 좌표(x, y)위치 값을 주출하여 매칭 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기존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 및 좌표(x, y)위치 값을 주출하여 매칭 시켜 블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에 블록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블록번호와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매칭 시킨 정보 등을 저장하는 블록번호 데이터 저장부;
    상기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 및 블록번호를 매칭 시켜 저장하는 주소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건물명·상호명·아파트명·도로명·행정동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하는 단계;
    입력부에 지번을 입력하여 블록번호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요청받은 상기 블록번호와 매칭되는 상세주소를 포함한 주소정보를 검색부가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소항목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유형들의 순차적 순서에 따른 유형을 식별하는 과정과, 구성들을 수집 및 가공하는 단계;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 블록번호와 건물명·상호명·아파트명·도로명·행정동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 블록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표준화한 매핑 결과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단계;
    유형 구성에 대해 역방향 매칭여부를 조건으로 더 규정하는 단계;
    상기 주소에 의해 지정되는 검색에서, 상기 주소에 할당된 유형 구성과 동일하거나 그 유형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찾고, 그 찾은 정보에 연계되어 있는 주소정보 데이터로 부터 입력된 주소처리 방식에 따라 주소관련 정보를 추출 또는 결합하여 출력하기 위한 주소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블록번호 주소 체계는 각 국가를 구분하는 국가번호 코드를 더 포함하는 단계;
    상기 블록번호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건물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사항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번호 지정 단계;
    상기 지역구분 기준은 법정동·행정동 또는 상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위주소는 광역시·시군구·읍면동·리·번지·건물명·건물동 또는 건물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3. 지번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새도로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우편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지도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좌표(x, y)위치 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기존 주소정보인 지번주소정보와, 주소체계 변경에 따른 상기 지번주소정보의 새로운 주소정보인 도로명주소 및 우편번호 정보를 매칭시켜 주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매칭테이블로 검색하여 상기 좌표(x, y)위치 값에 매칭하는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기존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의 좌표(x, y)위치 값을 주출하여 매칭 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기존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 및 좌표(x, y)위치 값을 주출하여 매칭 시켜 블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에 블록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블록번호와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주소정보 지번주소·새도로주소·우편번호와 지도 정보를 매칭 시킨 정보 등을 저장하는 블록번호 데이터 저장부;
    지역구분 기준의 범위에 따라 각 주소에 매칭되는 코드와 상기 코드의 주소가 속한 표준화코드가 매칭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지역구분 기준 및 표준화코드와의 일치정도에 따라 각 코드에 우선순위에 대한 코드인 블록번호코드를 부여하는 블록번호 추가생성부와;
    상기 블록번호 생성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매칭하여 주소의 코드에 주소의 코드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최종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주소에 매칭되는 코드의 부재 또는 불일치에 따라 오류여부를 판단하는 식별부;
    상기 오류 발생 시 상기 표준화코드를 선택하여 상기 최종코드를 구성되는 생성부;
    사용자의 조작 명령 또는 블록번호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주소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분류부에서 분류된 주소데이터를 전달하는 문자열 생성부가 더 구성되는 추출부;
    지역구분 기준의 범위에 따라 각 새도로명 주소에 매칭 되는 지번주소와 상기 지번코드의 지번주소가 속한 새도로망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가 매칭 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지역구분 기준 및 표준화코드와의 일치정도에 따라 각 단위코드에 우선순위에 대한 블록번호코드를 부여하는 블록번호생성부와;
    상기 블록번호 생성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매칭하여 주소코드에 좌표(x y)위치 값 코드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최종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주소에 매칭되는 코드의 부재 또는 불일치에 따라 오류여부를 판단하여 오류 발생시 상기 표준화코드를 선택하여 상기 최종코드를 구성되는 블록번호 표준화 단계;
    상기 주소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검색부에서 분류된 주소데이터를 전달하는 문자열 생성부가 더 구성되는 단계;
    상기 오류발생은 상기 주소와 매칭되는 상기 표준화코드가 없거나 상기 주소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지역구분 기준의 범위 중 일부가 누락되어 상기 범위의 단위주소를 건너뛰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식별부에서 식별하여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상기 블록번호 주소 체계는 각 국가를 구분하는 국가번호 코드를 더 포함하는 단계;
    상기 블록번호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건물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사항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번호 지정 단계;
    상기 지역구분 기준은 법정동, 행정동 또는 상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위주소는 광역시, 시군구, 읍면동, 리, 번지, 건물명, 건물동 또는 건물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4. 입력된 주소(지번주소 <-> 새도로명주소) 변환 기능 제공으로 실시간 주소 매칭과 정확한 좌표(x, y)계로 구성된 요소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공(분리·누락된 주소·복원·주소매칭)·오류 원인 및 결과 집계 등 체계적인 주소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 할 수 있는 단계;
    현재 기존 우편번호·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를 매칭,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공간 좌표화한 단계;
    검색 데이터는 기존 우편번호·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의 좌표(x y)위치 값을 검색 또는 미리 정해진 철자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인식하고 해당하는 특정 단어나 용어로 검색할 수 있는 단계;등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5. 조건을 제거·추가·병합 등의 일을 포함 하여 결정할 수 있는 단계;
    입력된 주소(지번주소 <-> 새도로명주소) 변환 기능 제공으로 실시간 주소 매칭과 정확한 좌표(x, y)계로 구성된 요소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공(분리·누락된 주소·복원·주소매칭)오류 원인 및 결과 집계 등 체계적인 주소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 할 수 있는 단계;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블록번호에 해당하는 새도로명 주소 항목들은 상기 상위주소로, 그 나머지의 주소항목들은 상기 하위주소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주소항목들이 분류되는 상기 유형은 영문, 숫자, 기호 등;
    상기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각 유형에 지정된 순서대로 주출;
    상기 블록번호 검색데이터베이스는, 블록번호를 기준으로 그 범위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고 있는 검색데이터베이스로 배열된 지번주소데이터베이스·지도데이터베이스·지적임야약도데이터베이스·새주소도로명데이터베이스·우편번호데이터베이스 건물명 동 호수 데이터베이스 등 각각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성되어 포함하고,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는 연관된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각 상위 블록번호에 대응하여 지정되어 있는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색테이블은 동일한 명칭을 갖는 복수개의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복수개의 테이블은 서로 다른 정보와 연관되며, 상기 블록번호검색테이블은 임의 건물에 대한 표준화된 명칭, 일상적으로 상용되는 명칭 또는 약칭, 그리고 오류로 기재될 수 있는 명칭 또는 약칭을 각각의 테이블으로서 포함되며;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유형 구성에 매칭되는 테이블이 상기 검색테이블에서 복수개로 찾아지는 경우 상기 상위주소에 의해 지정되는 다른 검색테이블을 검색하여 매칭되는 테이블 찾고,
    상기 블록번호에는, 법정주소명, 행정주소명, 번지, 그리고 새주소를 포함하는 정보가 더 포함되어 추출과정을 수행하는 추출부를 포함한다.
  6. 현재 기존 우편번호·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를 매칭,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공간 좌표화한 단계;
    각 유형에 대해 주소 맵핑 조건과 주소 할당이 구성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주소 맵핑 블록번호들에서
    상기 식별된 유형과 일치하는 유형의 주소와 맵핑; 블록번호를 찾은 후, 상기 분류된 유형 구성들이 그 찾은 주소 맵핑 블록번호내의 주소 맵핑 조건의 어느 하나에 부합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부합되는 주소 맵핑 조건에 연관된 주소에 따라 상기 분류된 유형중 적어도 하나를 주소에 포함하는 과정과,
    상기 주소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검색테이블에서, 상기 주소가 유형 구성과 동일하거나 그 유형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테이블을 찾고, 그 찾은 테이블에 연계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내의 주소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주소처리 방식에 따라 주소관련 정보를 추출 또는 결합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
    상기 주소 맵핑 조건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형 주소의 표준화를 위해 주소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주소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주소를 새도로명 주소와 자번주소로 분리하기 위한 주소 분리부;와,
    상기 주소에 속하는 주소항목들을 유형별 구성으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유형 구성들이 순차적 유형 순서에 따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와,
    유형에 대해 주소 맵핑 조건과 주소 할당이 구성되어 있는 주소 맵핑 블록번호들에서, 상기 식별된 유형과 일치하는 유형의 주소 맵핑 블록번호를 찾은 후, 상기 분해된 유형 구성들이 그 찾은 주소 맵핑 블록번호내의 주소 맵핑 조건의 어느 하나에 부합되는 지를 확인하고, 부합되는 주소 맵핑 조건에 연관된 주소 할당에 따라 상기 분류된 유형 구성들의 적어도 하나를 주소에 할당하기 위한 주소 매칭 결정부; 와,
    상기 주소에 의해 지정되는 검색테이블에서, 상기 주소에 할당된 유형 구성과 동일하거나 그 유형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찾고, 그 찾은 데이터베이스에 연계되어 있는 주소정보로부터, 입력된 주소처리 방식에 따라 주소관련 정보를 추출 또는 결합하여 출력하기 위한 주소정보 추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유형 구성요소에 대해 역방향 매칭여부를 조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7. 검색 테이블은 기존 우편번호·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의 좌표(x y)위치 값을 위치 검색 또는 미리 정해진 철자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인식하고 해당하는 특정 단어 나 용어로 검색할 수 있는 단계;
    지역구분 기준의 범위에 따라 각 주소에 매칭 되는 코드와 상기 코드의 표준화코드가 매칭 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지역구분 기준 및 표준화코드와의 일치정도에 따라 각 코드에 우선순위에 대한 코드인 블록번호코드를 부여하는 블록번호 생성부와;
    상기 블록번호 생성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매칭하여 주소의 코드에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최종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주소코드에 매칭되는 코드의 부재 또는 불일치에 따라 오류여부를 판단하여 오류 발생 시 상기 표준화코드를 선택하여 상기 최종코드를 구성되는 블록번호 식별부와;
    상기 주소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생성부에 분류된 주소데이터를 전달하는 생성부가 더 구성되는 출력부;
    상기 지역구분 기준은 법정동, 행정동 또는 상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주소는 광역시, 시군구, 읍면동, 리, 번지, 건물명, 건물동 또는 대로, 로, 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8. 본 발명에 따른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으로 조건을 제거·추가·병합 등의 일을 포함 하여 결정할 수 있는 단계;
    상기 주소데이터가 건물명을 포함하는 경우 건물명을 건물키워드와 키워드 위치를 근거로 분류하는 건물명 식별부;
    상기 오류발생은 상기 주소와 매칭되는 상기 표준화코드가 없거나 상기 주소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지역구분 기준의 범위 중 일부가 누락되어 상기 범위의 주소를 건너뛰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식별부에서 식별하여 제어부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준화코드를 모니터링하여 각 주소코드마다 상기 오류발생을 체크하며, 오류가 발생된 주소코드마다 대응하는 결과코드를 생성하여 취합하는 결과코드 생성부;
    상기 지역구분 기준은 법정동, 행정동 또는 상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위주소는 광역시·시군구·읍면동·리·번지·건물명·건물동·대로·로·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9.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은 주소의 표준화를 위한 주소처리 단계;와, 주소의 표준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가 수록되어 있되, 상기 주소에 속하는 주소항목들을 유형별 구성들로 분류하고, 그 분류된 유형 구성들이 순차적으로 유형 순서에 따른 유형을 식별하는 과정과,
    블록(구역)이 분할될 시 블록종속번호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블록(구역)이 합칠시 블록번호가 병합하여 설정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방법은, 입력되는 데이터의 중복 표기 또는 일부 누락 주소를 자동으로 정정하여 이를 근거로 각각의 주소 체계에 대응, 정확하게 표준화된 주소데이터를 제공 한다.
  10. 기존 주소정보인 지번주소정보와, 주소체계 변경에 따른 상기 지번주소정보의 새로운 주소정보인 도로명주소 정보를 대응시켜 주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에 블록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블록번호와 순차적으로 연계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기존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 및 블록번호를 매칭 시켜 저장하는 주소정보 데이터베이스;
    기존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 및 블록번호를 매칭 시켜 저장하는 주소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각 건물의 주소를 시군구명·상기 주도로명 및 상기 건물번호의 형식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 주소 지정 단계;
    상기 블록번호가 2개의 블록번호로 중복 지정된 경우에 상기 지정된 블록번호를 1개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번호 지정 단계;
    상기 1개의 블록번호에서 분할된 경우에 상기 지정된 블록번호를 종속블록번호를 추가로 부여하는 단계;
    상기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에 인접한 건물에 블록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블록번호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건물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사항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번호 지정 단계;
    지번명·새주소명 매칭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입력받은 블록번호에 대응하는 지번명·새주소명을 검색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조작 명령 또는 블록번호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주소정보와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입력부에 지번을 입력하여 블록번호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요청받은 상기 블록번호와 매칭되는 상세주소를 포함한 주소정보를 추출부가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구획 구축 시 주소의 범위 및 특징에 따라 중심선을 수정함으로써 위치정확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새주소 체계의 변화에 따라 기존에 적용할 수 없었던 도로망기반의 주소체계를 이용하여 주소를 특징에 따라 세분화 된 지역기반 구획을 블록(구역)으로 구축하여 좌표(x, y)위치 값을 매칭하여 정확한 블록번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지역 블록(구역)별로 별도로 설정하여 위치를 정확하고 빠른 시간 내에 찾을 수 있도록 한 블록번호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편번호 정보와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를 좌표(x, y)위치 값에 의해 블록번호에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분할시 블록종속번호를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블록번호가 합칠시 블록번호가 병합하여 설정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기존 주소정보인 지번주소정보와, 주소체계 변경에 따른 상기 지번주소정보의 새로운 주소정보인 도로명주소 정보를 대응시켜 주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기존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 및 좌표(x, y)위치 값을 블록번호에 매칭 시켜 저장하는 블록번호 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구역을 구획화하여 세부 건물단위의 기준점 좌표(x, y)위치 값을 부여하여 입력된 우편번호·구지번주소·새도로명주소의 좌표(x, y)위치 값을 체계적인 주소 변경에 표준화가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여 블록번호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된 주소의 데이터구성(분리·누락된 주소 복원·주소매칭 오류 원인 및 결과 집계) 으로 변환 기능 제공으로 실시간 블록번호를 매칭.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공간 좌표(x, y)화하여 관리 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검색 데이터는 블록번호 기존 우편주소 지번주소명·새도로명주소를 검색 또는 미리 정해진 철자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인식하고 해당하는 특정 단어 나 용어로 검색하는 단계;
    조건을 제거·추가·병합 등의 일을 포함 할 수 있는 결정하는 단계;
    관리 서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블록(구역)에 연계된 주소에 종속블록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지번주소명 정보와 새주소도로명 정보 주소체계 적용에 따른 주소정보 변경에 관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블록번호 데이터베이스에서 수행되는 블록번호 검색 방법에 있어서, 획득한 숫자열에 대해 공백을 기준으로 단어로 분리하고, 각 단어에 순차적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블록번호코드는, 상위주소를 구분하는 상위지역코드에서, 하위지역코드를 구분하여 이루어지는 단계;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 블록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 블록번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블록번호·건물명·상호명·아파트명·도로명·행정동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표준화된 매핑 결과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단계;
    유형 구성요소에 대해 역방향 매칭여부를 더 조건으로 규정하는 단계;
    본 발명은 입력되는 데이터의 중복 표기 또는 일부 누락 주소를 자동으로 정정하여 이를 근거로 각각의 주소 체계에 대응되는 정확하게 표준화된 주소데이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소표준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표준화 결과코드를 통해 최종코드의 정확도 및 생성된 결과값의 종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류정정 기회를 제공받을 수도 있어 제공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블록번호 생성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매칭하여 상위주소의 코드에 하위주소의 코드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최종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단위주소에 매칭되는 단위코드의 부재 또는 불일치에 따라 오류여부를 판단하여 오류발생시 상기 표준화코드를 선택하여 상기 최종코드를 구성하여 지번명 정보·새주소도로명 정보와 블록번호를 서로 일치시켜 간소화하고 도로망을 체계화함으로서 운전자 또는 보행자가 목적지 또는 가고자 하는 지역이나 건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된 블록번호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KR1020130010337A 2013-01-30 2013-01-30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KR20140097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337A KR20140097805A (ko) 2013-01-30 2013-01-30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337A KR20140097805A (ko) 2013-01-30 2013-01-30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805A true KR20140097805A (ko) 2014-08-07

Family

ID=5174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337A KR20140097805A (ko) 2013-01-30 2013-01-30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7805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970B1 (ko) * 2015-04-06 2016-02-11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WO2018186591A1 (ko) * 2017-04-06 2018-10-11 권요한 격자와 단어를 이용한 위치 표시와 검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79013A (ko) * 2017-12-27 2019-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102021308B1 (ko) * 2018-10-31 2019-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KR20200012051A (ko) * 2018-03-06 2020-02-05 주식회사 올앤올 건설 인허가 협의 서류 작성을 위한 지장물 조서 자동 생성 방법
KR20200013988A (ko) * 2018-07-31 2020-02-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정보 제보 메시지 지도사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271234B1 (ko) * 2020-10-06 2021-06-30 장영태 Pnu를 활용한 부동산 유사사례 db 생성 방법
CN113568951A (zh) * 2021-07-30 2021-10-29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数据挖掘、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6541801A (zh) * 2023-07-07 2023-08-04 小象飞羊(北京)科技有限公司 多设备信息集中处理系统、设备及存储介质
WO2023239173A1 (ko) * 2022-06-10 2023-12-14 렉스젠(주)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970B1 (ko) * 2015-04-06 2016-02-11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WO2018186591A1 (ko) * 2017-04-06 2018-10-11 권요한 격자와 단어를 이용한 위치 표시와 검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984025B2 (en) 2017-04-06 2021-04-20 John Kwo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searching for location by using grid and words
KR20190079013A (ko) * 2017-12-27 2019-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20200012051A (ko) * 2018-03-06 2020-02-05 주식회사 올앤올 건설 인허가 협의 서류 작성을 위한 지장물 조서 자동 생성 방법
KR20200013988A (ko) * 2018-07-31 2020-02-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정보 제보 메시지 지도사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21308B1 (ko) * 2018-10-31 2019-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KR102271234B1 (ko) * 2020-10-06 2021-06-30 장영태 Pnu를 활용한 부동산 유사사례 db 생성 방법
CN113568951A (zh) * 2021-07-30 2021-10-29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数据挖掘、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WO2023239173A1 (ko) * 2022-06-10 2023-12-14 렉스젠(주)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6541801A (zh) * 2023-07-07 2023-08-04 小象飞羊(北京)科技有限公司 多设备信息集中处理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6541801B (zh) * 2023-07-07 2023-09-05 小象飞羊(北京)科技有限公司 多设备信息集中处理系统、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7805A (ko)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CN110175216B (zh) 坐标纠错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WO2006020088B1 (en) Location codes for destination routing
US10718621B2 (en) System for producing compact location codes
USRE48213E1 (en) Techniques for synchronized address coding and print sequencing
CN110109908B (zh) 基于社会基础信息挖掘人物潜在关系的分析系统及方法
US9158790B2 (en) Server, dictionary creation method, dictionary cre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JP2016004526A (ja) 客動線作成システム
US20130246410A1 (en) Server, information-management method, information-managemen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said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3514235A (zh) 一种增量码库的建立方法和装置
Christen et al. A probabilistic geocoding system based on a national address file
CN110990520A (zh) 一种地址编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931077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199570A (zh) 基于网络爬虫的房地产信息可视化分析系统和方法
Baldovin et al. Geocoding health data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 pilot study in northeast Italy for developing a standardized data-acquiring format
KR101983714B1 (ko) 명칭 유사성과 거리 근접성을 이용한 gis 지명속성 자동갱신 시스템
Haldorson High demand for local area level statistics–How do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s respond?
JP5192413B2 (ja) データ統合装置及びデータ統合方法
CN111723172A (zh) 一种数据融合方法及装置
CN107798450A (zh) 业务分配方法和装置
JP5046107B2 (ja) Poi情報の住所データ更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de Armas García et al. Deployment of a National Geocoding Service: Cuban Experience.
CN113254561A (zh) 一种位置数据处理系统
KR102053235B1 (ko)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Choi et al. Redefining Korean road name address system to implement the street-based addr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