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970B1 -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970B1
KR101591970B1 KR1020150048529A KR20150048529A KR101591970B1 KR 101591970 B1 KR101591970 B1 KR 101591970B1 KR 1020150048529 A KR1020150048529 A KR 1020150048529A KR 20150048529 A KR20150048529 A KR 20150048529A KR 101591970 B1 KR101591970 B1 KR 101591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spatial
information
objects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식
황진상
유재용
심재민
김재구
조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Priority to KR102015004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5Map projections or methods associated specifically therewi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건물, 도로 등 지형지물을 지도상 개체로 대응하여 표시하는 공간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지도상 개체에 고유한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하고, 상기 지도상 개체의 크기와 형상을 면, 선, 점 등 다수의 공간객체로 구성하여 표시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형지물에 대응하는 지도상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상 개체에 고유한 값인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하는 지도객체 생성부; 상기 지도상 개체의 크기, 형상, 설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공간객체를 구성하되, 상기 공간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지도상 개체에 속하고 자신이 속하는 지도상 개체의 통합식별자가 부여되는 공간객체 구성부;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가 변경될 때 변경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이력관리부; 및, 상기 지도상 개체 및 공간객체들을 그들의 속성 정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지도로 그룹화하는 레이어 구성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위치 기준으로 모든 지도상 개체에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연계,융합함으로써, 지형지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고, 특히, 행정정보 및 그 밖에 다양한 정보 조회가 가능하게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 A system of generating hybrid geospacial information based on UFID and spatial objects }
본 발명은 건물, 도로 등 지형지물을 지도상 개체로 대응하여 표시하는 공간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지도상 개체에 고유한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하고, 상기 지도상 개체의 크기와 형상을 면, 선, 점 등 다수의 공간객체로 구성하여 표시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형지물 및 그 표현 정보를 표시하는 공간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지형지물 및 그 표현 정보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 작성 작업규칙에서는 수치지도를 지표면, 지하, 수중 및 공간의 위치와 지형지물 및 지명 등의 각종 지형공간정보를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정한 축척에 의하여 디지털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과거 구축된 수치지도 1.0 이 가진 한계와 기타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사항을 반영하여 기본지리정보 구축에 기반이 되는 데이터로 수치지도 2.0을 제작하였다. 수치지도 2.0의 경우 1:1,000, 1:5,000, 1:25,000의 축척으로 구분되며, 기존 구축된 지형지물에 대해 8개의 대분류와 104개의 지형지물로 재분류하여 레이어를 구성하여 제작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 3].
기존 사용된 수치지도 1.0 및 2.0 에서는 격자(도엽) 단위로 정보가 단절되어 넓은 지역의 데이터를 활용하는데 불편함을 겪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수치지도 2.0의 연속화를 통해 연속성, 연계성 및 일관성을 가진 전국 기반의 연속수치지도를 구축하였으며, 기존 수치지도 2.0과 달리 106개의 지형지물 레이어로 제작·관리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수치지도 2.0 및 연속수치지도는 지도객체의 유지·관리의 어려움 및 타 정보와의 연계·융합이 제한되는 구조 등으로 인해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비특허문헌 4].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내에서는 국가기본도 제작기준의 개선을 위한 데이터 모델 분석을 통해 데이터 모델간의 연계방안을 제시하였으며, UFID 활용 극대화를 위해 해당 수치지도 레이어와 수치지도 활용 시스템의 레이어 간 연계를 위한 UFID 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였다[비특허문헌 4]. 영국 Ordnance Survey의 마스터맵(Mastermap)에서는 지도객체를 구성하는 도형구조를 단순하게 분류하고[비특허문헌 5], 속성정보를 특화하여 다양한 장점을 도출하고 있다[비특허문헌 6]. 또한 미국 The National Map에서는 위치, 경계, 세부표현, 3차원 표현 등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로 설계하고, 구조물 데이터의 경우 4개의 Feature Dataset과 2개의 추가 속성테이블로 구성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TOID로 데이터를 상호 연계하여 관계형 DB를 지향하고 있다[비특허문헌 8].
따라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국가기본도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국가기본도용 하이브리드(Hybrid) 공간정보 DB 모델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즉, 시공간지도 구조, 정보연계가 가능한 마스터지도 구조, 다중레이어 토폴로지 구조, 고도구분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공간정보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하이브리드 공간정보가 개발된다면, 이를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에 탑재함으로써 3차원 공간정보 및 국가행정정보, 방재·안전 정보 등 타 정보와의 연계·융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비특허문헌 1] Chang, E., Lee, J., and Shin, J. (2009), A Study on Framework Data Standardization in 2009, NGII Publication No. 11-1611265-000021-1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Korea, 300p.(in Korean) [비특허문헌 2] Choi, J., Kim, M., and Choi, D. (2014), Linking toponym database with digital map databas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9, No. 2, pp. 310-3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비특허문헌 3] Kim, E., Hong, S., and Chang, E. (2008), A Study on Framework Data Standardization in 2007, NGII Publication No. 11-1500714-000068-1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Korea, 317p.(in Korean) [비특허문헌 4] Lee, J. (2012), A Study on the Advanced Aspects of National Basemap, GOVP120123931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Korea, 276p.(in Korean) [비특허문헌 5] Ordnance Survey (2001), OS MasterMap Real-world Object Catalogue, D00778, Ordnance Survey, Southampton, United Kingdom, 566p. [비특허문헌 6] Ordnance Survey (2008), OS MasterMap Topography Layer User Guide Contents, D05300_27, Ordnance Survey, Southampton, United Kingdom, 139p. [비특허문헌 7] Park, K. (2011), A study on the consecutive renewal of road and building information in the multi-scale digital ma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9, No. 1, pp. 2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비특허문헌 8] USGS (2008), The National Map US Topo, USGS, Virginia, USA, http://nationalmap.gov/ustopo/about.html(last date accessed: 1 August 2014).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도로 등 지형지물을 지도상 개체로 대응하여 표시하는 공간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지도상 개체에 고유한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하고, 상기 지도상 개체의 크기와 형상을 면, 선, 점 등 다수의 공간객체로 구성하여 표시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형지물 및 그 표현 정보를 표시하는 공간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지형지물 및 그 표현 정보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형지물에 대응하는 지도상 개체에 수명기간 속성을 부여하여, 지형지물의 형성시기(또는 건축시기)와 소멸시기를 기록하고, 동일 위치에 수명기간이 다른 지형지물에 대하여 동일한 통합식별자를 부여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형지물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형지물에 대응하는 지도상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상 개체에 고유한 값인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하는 지도객체 생성부; 상기 지도상 개체의 크기, 형상, 설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공간객체를 구성하되, 상기 공간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지도상 개체에 속하고 자신이 속하는 지도상 개체의 통합식별자가 부여되는 공간객체 구성부;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가 변경될 때 변경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이력관리부; 및, 상기 지도상 개체 및 공간객체들을 그들의 속성 정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지도로 그룹화하는 레이어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 객체에는 형성시기 및 소멸 시기를 나타내는 수명기간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간객체는 지도상의 면을 표시하는 면형객체(TopographicArea), 폴리라인으로 구성되는 선형객체(TopographicLine), 점을 도형정보로 이용하며 2차원의 좌표정보와 표고값을 가지는 점형객체(TopographicPoint), 점을 도형정보로 이용하며 문자열을 가지는 문자객체(CatographicText), 점을 도형정보로 이용하며 심볼을 가지는 심볼객체(CatographicSymbol), 삭제된 지도상 개체의 위치를 나타내며 사각형을 도형정보로 사용하는 이력객체(Depatur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력관리부는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가 삭제되는 경우 삭제되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를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는 현재의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속성의 속성값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속성값의 변경 이력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력관리부는 상기 속성값의 변경 이력을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시계열 속성에 기록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구성부는 상기 레이어 지도별로 레이어 토폴로지 규칙을 정하고, 상기 지도상 개체 및 공간객체가 상기 토폴로지 규칙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지도는 상공에서 조감할 때의 지형지물의 형상을 표시하는 지형지도(Topography), 지상 및 지하의 층별 지도를 포함하는 층별지도(Floor), 지형의 기복을 표시하는 지세지도(Landform), 탑 또는 굴뚝을 포함하는 지상물을 표시하는 탑문지도(Pylons), 및, 행상경계를 표시하는 경계지도(Boundarie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도상 개체는 폴리곤의 면형객체와, 상기 폴리곤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과 겹치는 폴리라인의 선형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라인에 경계특성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고도별 2차원 공간정보를 구성하여 표시하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를 생성하되, 상기 지도상 개체 및 공간객체는 동일한 위치의 지도상 개체와 동일한 통합식별자를 부여하고, 고도구분 속성의 속성값을 달리 부여하여 고도를 구별하는고도구성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다른 공간정보의 지형지물에, 상기 지형지물과 동일한 위치를 갖는 상기 지도상 개체의 통합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다른 공간의 지형지물과 상기 지도상 개체와 연계시키는 지도연계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도연계부는 서로 다른 2개의 공간정보 내의 지형지물의 위치가 일정한 영역으로 표시되는 경우, 영역이 가장 많이 겹치는 지형지물이 동일한 위치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의하면, 위치 기준으로 모든 지도상 개체에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하고 다양한 정보들을 연계융합함으로써, 지형지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고, 특히, 행정정보 및 그 밖에 다양한 정보 조회가 가능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의하면, 지도상 개체의 형상을 속성을 가진 다수의 공간객체로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지형지물의 외곽 경계선의 특성을 상세하게 부여할 수 있고, 지형지물의 위치와 형상정보 외에 접근성, 통과 가능성, 인접 지도상 개체 사이에서의 위치상 연계특성 등을 표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세한 공간정보 구축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의하면, 공간정보의 지도상 개체들을 지형지물의 특성에 따라 다중레이어 토폴로지 구조로 구성하고 마스터지도 구조를 통해 위치기준으로 모든 지도상 개체를 연계함으로써, 지도상 개체의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정보 조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의하면, 공간정보에 시간이라는 새로운 차원을 추가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이력 및 버전정보 등과 같은 속성정보를 활용함으로써, 현재뿐 아니라 과거정보를 연계·분석할 수 있는 공간적 기준을 제공하며, 최종 갱신 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지도정보 갱신이 필요한 지형·지물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의하면, 실내 및 지하지도 연계를 위한 고도구분 구조를 통해 기존 2차원 지도의 표현 한계를 극복하였으며, 건물의 층별 단면도나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2차원 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형지물과 이에 대응하는 지도상 개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객체 모델과 데이터셋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상 개체와 공간객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형객체의 링과 다각형에 대한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객체의 폴리라인에 대한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 포인트의 종류와 번호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력객체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체 또는 개체 변화에 의해 공간객체 또는 지도상 개체의 변화 및 그 이력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시계열 속성 논리구조 구현의 예를 나타낸 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과거 수정된 객체를 조회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 레이어 그룹 및, 그 토폴로지의 구성 규칙을 표시한 표.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 규칙에 대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표현에 사용되는 폴리라인(Polyline)에 부여되는 속성을 보여주는 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적인 공간객체를 사용한 지도에 대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에 부여될 수 있는 고도구분 속성의 고도구분값을 보여주는 표.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도구분 구조를 표시한 지도의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지도를 위한 마스터지도 속성을 나타낸 표.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지도 속성이 구현된 지도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공간정보 생성 시스템(30), 공간정보 쿼리 시스템(50), 및, 공간정보 DB(40)로 구성된다.
공간정보 생성 시스템(30)은 개인용 컴퓨터(PC), 통상의 서버 등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단말 또는 서버에 설치되어 탑재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다. 공간정보 생성 시스템(30)은 지형지물의 위치, 크기, 형상, 명칭 등 지형지물 데이터를 입력받아, 하이브리드 공간정보로 생성한다. 생성된 하이브리드 공간정보는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공간정보 DB(40)에 저장된다.
또한, 공간정보 쿼리 시스템(50)은 공간정보 DB(40)에 구축된 공간정보에 대하여, 공간정보의 위치, 또는 속성 등을 제한하여 쿼리를 요청한다. 그리고 공간정보 쿼리 시스템(50)은 쿼리에 의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지도 데이터(20)를 지도상에 표시한다.
공간정보 DB(40)은 공간정보 데이터들이 데이터베이스 화되어 구축된 DB이다. 공간정보 데이터는 다수의 레이어로 구분되어 저장되고, 각 레이어는 다수의 지도상 개체로 구성된다. 또한 각 지도상 개체는 점, 선, 면 등 다수의 공간객체로 구성된다. 한편,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 객체들은 하나의 객체(Object)로서 다수의 속성들로 구성된다.
또한, 공간정보 DB(40)는 각 지형지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형지물DB(41), 지도상 개체를 저장하는 지도객체DB(42), 공간객체를 저장하는 공간객체DB(43), 지도상 객체 또는 공간객체, 변경 정보 등 이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력DB(44), 레이어 토폴로지 규칙, 각 레이어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레이어DB(45), 및, 층별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들의 데이터르 저장하는 고도개체DB(46)로 이루어진다. 그외에도 마스터 지도를 위한 속성에 대한 DB 등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간정보 쿼리 시스템(50)의 용도에 따라, 전체 공간정보 DB(40) 중 일부 데이터들만을 추출하여, 전용 공간정보 DB(미도시)가 구축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공간정보 쿼리 시스템(50)은 일부 공간정보 데이터들로만 구성된 전용 공간정보 DB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전용 공간정보 DB에 공간정보를 쿼리하고, 쿼리된 데이터로 지도 데이터(20)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30)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은 데이터 입력부(31), 지도개체 생성부(32), 공간객체 구성부(33), 개체이력 관리부(34), 및, 레이어 구분부(35)로 구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고도구성부(36), 또는 지도 연계부(3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입력부(31)는 지형지물에 대한 데이터 및, 지도개체 또는 공간객체에 대한 속성 정보 등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데이터는 일괄적으로 파일 형태로 입력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지도개체 생성부(32)는 실제의 지형지물에 대응하는 지도상 개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지도상 개체에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한다. 통합식별자(UFID)는 지도상 위치를 기준으로 부여된다. 즉, 하이브리드 공간정보에서 사용하는 UFID는 각 지도상에 존재하는 개체별로 부여하고 있으며, 지도상의 개체를 구분하는 고유값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통합식별자(UFID)는 하이브리드 공간정보 DB(40)에서 임의의 난수에 의해 개체간 식별을 할 수 있도록 부여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통합식별자(UFID)는 "ngii" + "임의의 난수 15자리"의 결합으로 표현한다.
또한, 지도개체 생성부(32)는 지형지물에 대응하는 지도상 개체(또는 지도개체)가 생성되면, 해당 지도상 개체 또는 지도 개체에, 지형지물의 특성이나 특징 등의 설명을 속성으로 부여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건물(지형지물)에 통합식별자(UFID)가 "ngii2311572331245"이 부여되고, 그 속성으로서, 명칭, 층수, 우편번호, 버전 등 속성 및, 그 속성값이 부여된다.
또한, 지도개체 생성부(32)는 지도상 개체에 수명기간 속성(또는 형성 및 소멸시기 속성)을 부여하여, 지형지물의 형성시기(또는 건축시기)와 소멸시기를 기록한다. 형성시기 또는 건축시기는 해당 지형지물이 실제 건축되거나 건설된(또는 생성된) 시간을 말하며, 소멸시기란 해당 지형지물이 철거되는 등 해체되어 소멸된 때를 말한다. 따라서 해당 지형지물은 수명기간 동안만 존재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지형지물이 현존하여 아직 소멸되지 않은 경우, 소멸시기를 기재하지 않거나 소멸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속성값으로 기록된다. 이 경우, 이러한 소멸시기의 속성값으로 현재 조회 시점에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동일 지도상에 존재하는 지도상 개체라 하더라도, 해당 지형지물이 완전히 소멸되고(철거되고) 새로운 지형지물이 형성(건축, 건설)되면, 새로운 지형지물에 대해서는 새로운 지도상 개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체에 새로운 통합식별자(UFID)가 부여된다.
또한, 지도상 개체의 속성의 속성값이 변경되는 경우, 이력 관리부(34)에 의해 그 속성값의 변경에 관한 이력이 관리되어, 과거의 속성값과 그 변경시기도 기록된다. 또한, 지도상 개체에 속하는 공간객체들이 변경(소멸, 생성, 변경 등)되는 경우에도 그 변경에 대한 이력이 관리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음으로, 공간객체 구성부(33)는 지도상 개체의 크기, 형상, 설명 등을 표현하는 공간객체를 구성하고, 구성된 공간객체들을 상기 지도상 개체의 구성으로 생성한다. 하이브리드(Hybrid) 공간정보에서는 실세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지형지물을 지도상에 표현하기 위해 6개의 공간객체모델을 사용한다. 즉, 공간객체 구성부(33)는 지형지물에 대응하는 지도상 개체의 크기, 형상, 설명 등을 6가지의 공간객체로 구성하여 표현한다.
각 공간객체에는 지형지물(또는 지도상 개체)의 위치와 형상을 표현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면형, 선형, 점형 객체모델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수치지도 1.0에만 포함되어 있던 문자객체와 심볼 객체를 추가함으로써, 현행 수치지도 2.0과 연속수치지도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시각적인 효과와 디자인 부분을 보완하고, 공간정보 조회기능 외에 인터넷 배경지도, 종이지도 출력 등의 역할까지 가능하게 하여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이력객체는 현실세계에서 사라진 지형지물을 표현하던 지도객체가 위치했던 영역과 관련 이력을 표현하는 객체로서 사각형의 영역을 나타내는 도형정보와 이력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로 구성되는데, 이는 시계열 지도조회기능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든 지형지물(지도상 개체)의 크기, 형상, 설명 등을 면형객체(TopographicArea), 선형객체(TopographicLine), 점형객체(TopographicPoint), 문자객체(CatographicText), 심볼객체(CatographicSymbol), 이력객체(Depatured)로 구분하였으며, 면형객체는 단일한 면형객체 DB에, 선형객체는 선형객체 DB에 저장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러한 저장 방식을 통해 공간정보 DB(40)의 데이터셋 구분을 최소화하고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하이브리드 공간정보의 객체모델 및 데이터셋 구분을 보여준다.
또한, 각 공간객체는 하나의 객체로서, 지형지물 또는 지도상 개체를 표현하기 위한 다수의 속성을 갖는다. 특히, 각 공간객체는 통합식별자(UFID) 속성을 가지고 있어, 자신이 속하는 지도상 개체의 통합식별자 값을 속성값으로 부여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지형지물에 대응되는 지도상 개체에 통합식별자(UFID)가 부여되고, 해당 지도상 개체를 구성하는 공간객체들도 동일한 통합식별자(UFID)의 값으로 속성을 갖는다. 즉, 지형지물의 건물은 "건물"이라는 지도상 개체로 표시되고 통합식별자 "ngii2311572331245"이 부여된다. 그리고 지형지물의 건물의 형상 또는 지도상 개체의 형상을 표현하는 면형객체(TopographicArea)와, 선형객체(TopographicLine)로 구성된다. 각 면형객체 및 선형객체의 통합식별자 속성은 모두 지도상 개체의 통합식별자 "ngii2311572331245"과 동일하게 부여된다. 하나의 지도상 개체를 이루고 있는 공간객체 요소들은 모두 동일한 통합식별자를 가진다.
또한, 각 공간객체는 수명시기 속성을 가져서 형성시기와 소멸시기를 기록한다. 단, 공간객체가 자신이 속하는 지도상 개체와 동일한 수명을 가지면(즉, 지도상 개체 또는 지형지물의 생성과 동시에 생성되고, 지도상 개체의 소멸과 동시에 소멸함), 지도상 개체의 속성을 상속하여 지도상 개체의 수명시기 속성과 동일한 값을 갖는다. 또는 공간객체의 수명시기 속성이 디폴트이면, 해당 지도상 개체의 수명시기 속성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공간객체의 속성의 속성값이 변경되는 경우, 이력 관리부(34)에 의해 그 속성값의 변경에 관한 이력이 관리되어, 과거의 속성값과 그 변경시기도 기록된다.
각 공간객체(공간객체 모델)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면형객체(TopographicArea)는 지도상의 면을 표현하는 공간객체(모델)로서, 한 개 이상의 링(Ring)으로 구성된다. 각 링(Ring)은 4개 이상의 점(Point)들로 구성되며, 각 폴리곤(Polygon)은 1개의 외부 링(Ring), 그리고 0개 이상의 내부 링(Ring)으로 구성된다. 내부 링(Ring)은 내부에 공백 부분을 가지면서 면적을 갖는 지형, 지물을 표현할 수 있다. 면형객체는 지형지물의 형상 또는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다수의 속성들을 갖는다. 면형객체의 속성은 지도상 객체의 기본키인 통합식별자(UFID), 지형지물 분류를 위한 속성, 시계열 구현을 위한 속성, 고도구분 또는 토롤로지 구현을 위한 속성들을 갖는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형객체(TopographicLine)는 폴리라인(polyline)으로 구성된다. 폴리라인(polyline) 최소 2개 이상의 점(Point)들의 연결이라는 점에서는 링(Ring)과 비슷하나, 시점과 종점이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는 링(Ring) 구조와는 차이가 있다. 선형객체의 속성은 면형객체의 속성과는 다르게 위치정확도와 높이정확도에 대한 속성을 더 포함한다. 이들 속성을 통해, 실세계의 객체를 공간정보로 구축하는 과정 중에 어느 정도의 정확도를 기준으로 만들어졌는가를 파악하여 3차원 분석 작업에 활용 가능하다.
점형객체(TopographicPoint)는 점(Point)을 도형정보로 사용하며 2차원의 좌표정보와 표고값을 가진다.
문자객체(CartographicText)는 점(Point)을 도형정보로 활용하여 위치를 나타내며, 기본적인 속성 외에 문자열의 표시 위치, 높이, 각도, 고정점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문자객체(CartographicText)의 속성으로는 글자를 나타내는 폰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폰트(font), 앵커 포인트(AnchorPoint)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 각도를 나타내는 방향(orientation), 포인트 좌표가 글자의 존재 위치에 따라 나눌 때의 기준이 되는 점들 나타내는 앵커 포인트(AnchorPoint), 화면상에 출력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텍스트 스트링(textString), 문자열이 위치할 표고값을 나타내는 높이(height) 등의 속성들을 포함한다. 한편 앵커 포인트는 확대 및 축소하는 과정에서도 그 기준점이 되어 이를 기준으로 글자열의 모양이 바뀌게 된다. 도 8은 앵커 포인트의 종류와 번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심볼객체(CartographicSymbol)는 점(Point)을 도형정보로 활용하여 위치를 나타내며, 기본적인 속성 외에 심볼의 종류, 표시 각도를 저장할 수 있는 속성구조를 가진다. 심볼객체(CartographicSymbol)의 속성에는 심볼로 표시할 대상 개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당 개체의 UFID값이 할당되는 속성을 더 포함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력객체(Departured)는 삭제된 지도상 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공간객체로서, 사각형(Rectangle)을 도형정보로 사용한다. 삭제된 이력을 표시하기 위한 속성정보로서, 통합식별자(UFID), 삭제 날짜, 및 그 이유 등을 포함한다.
이력 관리부(24)는 지도상 개체 나 공간객체가 변경될 때 해당 변경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한다.
지도상 개체가 변경되는 경우란, 지도상 개체가 소멸(삭제)되고 새로운 지도상 개체가 생성되는 경우, 지도상 개체의 속성값이 변경되는 경우, 지도상 개체에 속하는 공간객체(지도상 개체와 동일한 통합식별자를 가지는 공간객체)가 변경되는 경우이다. 또한, 공간객체가 변경되는 경우란, 공간객체가 생성되거나 소멸(삭제)되는 경우, 공간객체의 속성값이 변경되는 경우를 말한다.
동일 지도상에 존재하는 지도상 개체의 경우 현재 및 과거에 상관없이 동일한 통합식별자(UFID)를 가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식별자(UFID)는 지도상 위치를 기반으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값이므로, 동일한 위치에 지형지물이 변화되어도 그 지형지물의 동일성이 유지된다면 동일한 통합식별자(UFID)가 부여된다. 지도상에서 변경된 개체가 발생할 경우 이를 동일한 개체로 볼 수 있다면, 이 개체를 이루는 공간객체는 동일한 UFID를 가지게 된다.
도 10의 예에서, 하나의 지형지물이 4번의 변경 과정을 거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지형지물인 하나의 건물이 1970.01.01.에서 형성(생성, 건축)되었다가, 2001.03.07에 증축되었다. 그리고 2010.12.31.에 건물 외부 형상의 변화 없이 개보수 되었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 2012.12.31.에 건물의 일부가 개보수되고 증축되었다. 이때, 도 10의 건물은 3번에 걸쳐 증축 또는 개보수 되었으나, 그 동일성이 유지되는 하나의 동일한 지형지물이다. 따라서 지도상 개체는 동일하고 동일한 UFID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1970.01.01.에 건물(지형지물)이 건축되면서, 이에 대응하는 지도상 개체가 생성되고 고유의 통합식별자(UFID)가 부여된다. 또한, 지형지물의 크기 또는 형상 등을 나타내는 공간객체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면형객체 또는 각 모서리를 나타내는 선형객체 등이 생성될 수 있고, 이때 통합식별자는 지도상 개체와 동일하게 부여된다.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 객체는 앞서 지도개체 생성부(32) 또는 공간객체 구성부(33)에 의해 생성된다.
2001.03.07.에 증축되어 지형지물은 본 건물에 연결된 부 건물이 건축되었다. 이 부 건물을 나타내는 공간객체들이 새로 생성되고, 생성된 공간객체들에는 지도상 개체의 통합식별자(UFID)와 동일한 UFID가 부여된다. 또한,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속성이 일부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상 개체의 건물 면적 또는 연면적이나 층 수 등의 세부 정보들이 변경된다. 또는, 본 건물의 형상을 나타내는 공간객체 중에서 부 건물과 연결되는 부분의 선형객체에 출입문이나 통로가 생기는 등의 변경이 생기면, 해당 속성을 변경시켜준다.
이때, 공간객체의 생성은 공간객체 구성부(33)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이력 관리부(24)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속성을 변경하고, 속성 변경에 대한 이력정보를 기록한다. 이력 정보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에 이력 속성을 가지게 하여, 이력 정보를 기록한다. 이력 정보는 변경시기와 변경내용을 기록한다.
또한, 이력관리부(24)는 공간객체 중 소멸(삭제)되는 공간객체를 이력DB(44)에 저장하고, 삭제되는 공간객체의 수명기간 속성에 소멸시기에 대한 값을 기록한다.
2010.12.31에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속성 중 일부 값들이 변경된 예이다. 이때에는 새롭게 생성되거나 소멸되는 공간객체는 없다. 따라서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속성들 중 일부 속성값들이 변경된다. 이력 관리부(24)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속성을 변경하고, 속성 변경에 대한 이력정보를 기록한다.
2012.12.31에는 본 건물에 연결된 부 건물의 크기가 변경되었다. 이때, 부 건물을 나타내는 공간객체가 소멸(삭제)되고 새로운 공간객체를 생성하거나, 부 건물의 공간객체의 크기 속성이 변경될 수 있다. 이력 관리부(24)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속성을 변경하고 속성 변경에 대한 이력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이력 관리부(24)는 공간객체가 삭제되는 경우, 해당 공간객체를 이력DB(44)에 저장하고 해당 공간객체의 수명기간 속성에 소멸시기에 대한 값을 기록한다.
앞서 예와 같이, 동일 건물의 증축, 보수 등의 경우에도, 해당 UFID가 바뀌지 않는다. 또한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과거 이력을 관리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력 관리를 위한 시계열 속성(또는 이력 속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객체가 변화하는데 객체의 고유 값인 UFID는 변하지 않고, 변화된 날짜, 변화된 이유, 버전에 대한 속성 값만 바뀌게 된다. 하이브리드(Hybrid) 공간정보 DB에 있어 UFID가 각 객체의 기본 키로 설정되며, 각 객체는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지도개체DB(42) 및 공간객체DB(43) 등 현재DB와 이력DB(44)로 저장소를 구분한다. 이를 통해, 정보연계상의 무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변화된 정보를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에 저장할 수 있도록 시계열 속성정보를 모든 개체 또는 객체에 적용한다. 도 11의 표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시계열 속성 논리구조 구현의 예를 보여준다. 이후에서 지도상 개체와 공간 객체를 모두 지칭할 때에는 객체, 또는 일반객체로 부르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적용한 시계열 속성정보를 사용하여 특정 영역 및 시간을 기준으로 수정된 과거 지도 조회와 관련된 프로세스를 정리하면 도 12와 같다. 시계열 이력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DB(Present DB)와 이력DB(History DB)에서 조회시기에 부합하는 객체들을 조회·표시하여 특정 시기에 대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현재 DB는 앞서 설명한 지도개체DB(42) 및 공간객체DB(43)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력관리부(24)는 하나의 통합식별자에 대하여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변경이 발생되면, 변경 발생을 순차적으로 순번을 정하여 버전으로 관리할 수 있다. 즉, 어느 것이 처음 변경된 것을 버전 1, 그 다음 변경된 것이면 버전 2 등으로 관리한다. 이를 통해, 수많은 객체와 각 객체의 변화이력 중 객체의 공간정보와 최종 변화이력으로 간소화하고, 변경된 이력을 열람하거나 검색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이어 구성부(35)는 다수의 레이어 토폴로지의 규칙을 정하고, 특정 레이어에 대한 지도상 개체를 생성시, 생성된 지도상 개체가 상기 특정 레이어에 해당하는 레이어 토폴로지 규칙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지도상 개체를 생성시, 그 표현 정보의 특성에 따라 레이어 토폴로지를 선택하고, 해당 토폴로지에 따라 지도상 개체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 객체는 그들의 속성 정보를 기준으로 레이어를 구분할 수 있다.
다중 레이어 토폴로지 구조는 하이브리드(Hybrid) 공간정보의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키고 지도 객체(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들 사이의 위치상 연관관계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구조이다. 또한 이와 함께 지형지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지도를 구현할 수 있다.
기존 수치지도 2.0과 연속수치지도에서는 전체 레이어 중 일부에만 토폴로지 규칙을 적용하여 도로와 같은 일부 지도객체들의 위치관계만 정의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보다 향상된 품질관리와 지도의 활용성 제고를 위해 다중 레이어 토폴로지 구현이 필요하다.
도 13과 같이, 전체 레이어(또는 지도, 레이어 지도)를 가상의 토폴로지 레이어 그룹으로 결정하고, 해당 그룹에 포함되는 모든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들 사이에 토폴로지 규칙을 적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토폴로지 레이어 그룹은 지형지도(Topography), 층별지도(Floor), 지세지도(Landform), 탑문지도(Pylons), 및, 경계지도(Boundaries)로 구성된다. 지형지도(Topography)는 상공에서 조감할 때 일반적으로 보이는 지형지물들 중에 지형에 급격한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지도상 개체들이 포함되는 레이어를 말한다. 층별지도(Floor)는 지상 및 지하의 층별 지도들이 포함되는 레이어를 말한다. 또한, 지세지도(Landform)는 지형의 기복을, 탑문지도(Pylons)는 탑, 굴뚝과 같은 레이어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경계지도(Boundaries)는 주로 행정경계를 나타내는 레이어를 말한다.
또한, 도 14는 토폴로지 레이어 그룹에 포함되는 공간객체들 사이에서의 토폴로지 규칙들을 예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토폴로지 규칙의 일례는 다음과 같이 규정될 수 있다.
a) 선형 객체의 경우 다른 선과 연결되지 않고 끊어져 있으면 안된다.
b) 교차되지 않아야 할 선들은 서로 만나서는 안된다.
c) 면형 객체의 경우는 중첩되면 안된다.
d) 면형 객체의 경우 빈 공간이 생기면 안된다.
상기 일반적인 토폴로지 규칙에, 각 토폴로지 레이어 마다 다음과 같은 특정한 토폴로지 규칙(또는 예외적인 규칙)을 적용시킬 수 있다. 층별지도(Floor)에서 각 건물별, 층별로 적용시킨다. 이때, 빈 공간이 생길 수 있다. 상기 d)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탑문지도(Pylons)에서 면형객체와 면형객체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역시 상기 d)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경계지도(Boundaries)에서 면형객체가 아닌 선형, 점형객체로 이루어져, 면형객체에 해당하는 토폴로지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a)와 b)의 규칙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지형지도(Topography)에 경계특성(또는 경계 속성)을 규정할 수 있도록, 토폴로지 규칙을 정할 수 있다. 즉, 인접 객체들 사이의 위치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정의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간객체로 단일한 지형지물을 표현하도록 한다. 예로써, 건물의 표현에 있어서 폴리곤(Polygon) 등 면형객체(TopographicArea)를 사용하여 건물의 크기와 형상을 표현하고 경계선 부분에 폴리라인(Polyline) 등 선형객체(TopographicLine)를 배치하고 경계속성을 부여함으로써 건물 내에서 인접한 지도객체들과 차단된 외벽 혹은 인접한 도로와 연결된 출입구가 어디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지도상 개체는 폴리곤의 면형객체와, 상기 폴리곤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과 겹치는 폴리라인의 선형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라인에 경계특성이 부여된다.
경계특성은 폴리라인 내의 하나의 속성이다. 다중 레이어를 이루고 있는 레이어 중, 지형 라인(TopographicLine)의 경우 경계를 표현하기 위한 경계특성(혹은 경계속성)이라는 속성을 갖게 되며 그 값으로 구분한다. 한편, 경계 특성은 지형지도(topography)에만 적용된다.
도 15는 경계표현에 사용되는 폴리라인(Polyline)에 부여되는 속성을 보여준다. 도보운행자의 통과 가능성, 출입구 여부, 지면과의 인접 여부 등을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를 구성하는 모든 폴리라인(Polyline)에 12개 중 한 개의 경계 특성 값이 입력되도록 하였다.
도 16은 상세한 위치관계 표현을 위하여 복합적인 공간객체를 사용한 지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16의 예와 같이, 단일한 건물을 다수의 폴리곤과 폴리라인으로 표현하고 각 폴리라인에 경계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속성을 표현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건물의 외벽, 주출입구, 일반출입구가 표현되어 건물과 인접한 지도객체들 사이의 위상관계가 명확하게 표현되고 있다. 건물 전체의 외곽선을 하나의 폴리곤만으로 표현하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관리 지형·지물에 대한 정보를 매우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도구성부(36)는 고도구분 구조, 즉, 고도별 2차원 지도 정보를 구성하여 표시한다. 고도구성부(36)는 건물의 층별 단면도나 지하에 위치한 시설물의 정보까지 포함하도록 지도객체의 높이와 층 정보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고도구성부(36)는 고도별 2차원 공간정보를 구성하여 표시하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를 생성하되, 상기 지도상 개체 및 공간객체는 동일한 위치의 지도상 개체와 동일한 통합식별자를 부여하고, 고도구분 속성의 속성값을 달리 부여하여 고도를 구별한다.
기존 국가기본도에서는 상공에서 조감할 때 보이는 면(정규지도표고면)에 위치하고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지형지물들만을 묘사하였으나, 이는 지도 사용자들의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실내측위 기술이 보편화 되면서 실내, 지하 등에 위치한 지형·지물에 대한 표현까지 필요하게 되었으며, 다축척 연속지도에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고자 다양한 고도에 위치한 지도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고도의 지도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하여, 기존 2차원 지도의 표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다축척 연속지도에 포함된 모든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들에 고도구분 속성을 부여하고, 상기 고도구분 속성에 고도의 물리적 수준을 기록한다.
도 17은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에 부여된 고도구분값을 보여주며, 고도구분값을 기준으로 지도객체의 표현여부를 결정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고도의 지도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8의 예와 같이, 건물의 외곽선 외에 다양한 층별 지도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도연계부(37)는 위치를 기준으로 한 정보의 연계·융합을 통해 다양한 축척의 지도를 통합하여 가장 높은 정확도 및 품질을 가지는 단일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든 지도상 객체 또는 공간객체에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하여,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공간정보와 연계한다.
지도연계부(37)는 앞서 생성한 공간정보 또는 레이어(지도)를 마스터 지도로 사용하여 다른 공간정보(예를들어 다축적 수치지도)와 연계한다. 이때, 통합식별자(UFID)를 통해 다른 공간정보와 연계한다.
즉, 지도연계부(37)는 다른 공간정보(또는 다축적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하되, 당해 레이어(지도)에서 동일한 위치의 지도상 개체에 부여한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한다 한다. 즉, 동일한 통합식별자(UFID)는 위치를 기준으로 부여된다. 서로 다른 2개의 공간정보 내의 지형지물은 동일한 통합식별자(UFID)가 부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지형지물과 지도객체에 UFID를 부여하여 1:1로 매칭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지도연계부(37)는 서로 다른 2개의 공간정보 내의 지형지물의 위치가 일정한 영역으로 표시되는 경우, 영역이 가장 많이 겹치는 지형지물이 동일한 위치를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19는 마스터 지도를 적용하기 위하여 모든 지도 객체 또는 지형지물에 부여되어야 하는 속성을 보여준다. 마스터지도를 위한 속성에서는 UFID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하며, 평면 및 표고 정확도를 입력하여 해당 객체가 어떠한 축척 기준으로 제작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도객체에 정확도 속성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객체가 어떠한 축척 기준으로 제작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0은 마스터지도 속성이 구현된 지도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UFID를 기준으로 관련 DB를 조회하여 지도객체와 연관된 다양한 종류의 정보들을 조회하고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여러 기관들이 각각 구축하는 DB의 정보들 중에서 위치와 연관된 정보들에 다축척 연속지도에 부여된 UFID를 연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지도객체를 기준으로 여러 종류의 정보들을 조회할 수 있다. 마스터 지도는 위치를 기준으로 여러 종류의 정보들을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정보의 연계 및 융합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지형지물 데이터 20 : 지도 데이터
30 : 공간정보 생성 시스템 31 : 데이터 입력부
32 : 지도개체 생성부 33 : 공간객체 구성부
34 : 이력관리부 35 : 레이어 구성부
36 : 고도구성부 36 : 지도 연계부
40 : 공간정보 DB 41 : 지형지물DB
42 : 지도개체DB 43 : 공간객체DB
44 : 이력DB 45 : 레이어DB
46 : 고도개체DB
50 : 공간정보 쿼리 시스템

Claims (12)

  1. 지형지물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형지물에 대응하는 지도상 개체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상 개체에 고유한 값인 통합식별자(UFID)를 부여하는 지도객체 생성부;
    상기 지도상 개체의 크기, 형상, 설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공간객체를 구성하되, 상기 공간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지도상 개체에 속하고 자신이 속하는 지도상 개체의 통합식별자가 부여되는 공간객체 구성부;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가 변경될 때 변경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이력관리부; 및,
    상기 지도상 개체 및 공간객체들을 그들의 속성 정보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지도로 그룹화하는 레이어 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어 구성부는 상기 레이어 지도별로 레이어 토폴로지 규칙을 정하고, 상기 지도상 개체 및 공간객체가 상기 토폴로지 규칙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 객체에는 형성시기 및 소멸 시기를 나타내는 수명기간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객체는 지도상의 면을 표시하는 면형객체(TopographicArea), 폴리라인으로 구성되는 선형객체(TopographicLine), 점을 도형정보로 이용하며 2차원의 좌표정보와 표고값을 가지는 점형객체(TopographicPoint), 점을 도형정보로 이용하며 문자열을 가지는 문자객체(CatographicText), 점을 도형정보로 이용하며 심볼을 가지는 심볼객체(CatographicSymbol), 삭제된 지도상 개체의 위치를 나타내며 사각형을 도형정보로 사용하는 이력객체(Depatur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관리부는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가 삭제되는 경우 삭제되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를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는 현재의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속성의 속성값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속성값의 변경 이력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관리부는 상기 속성값의 변경 이력을 상기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의 시계열 속성에 기록하는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지도는 상공에서 조감할 때의 지형지물의 형상을 표시하는 지형지도(Topography), 지상 및 지하의 층별 지도를 포함하는 층별지도(Floor), 지형의 기복을 표시하는 지세지도(Landform), 탑 또는 굴뚝을 포함하는 지상물을 표시하는 탑문지도(Pylons), 및, 행상경계를 표시하는 경계지도(Boundarie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상 개체는 폴리곤의 면형객체와, 상기 폴리곤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과 겹치는 폴리라인의 선형객체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라인에 경계특성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고도별 2차원 공간정보를 구성하여 표시하는 지도상 개체 또는 공간객체를 생성하되, 상기 지도상 개체 및 공간객체는 동일한 위치의 지도상 개체와 동일한 통합식별자를 부여하고, 고도구분 속성의 속성값을 달리 부여하여 고도를 구별하는고도구성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다른 공간정보의 지형지물에, 상기 지형지물과 동일한 위치를 갖는 상기 지도상 개체의 통합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다른 공간의 지형지물과 상기 지도상 개체와 연계시키는 지도연계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연계부는 서로 다른 2개의 공간정보 내의 지형지물의 위치가 일정한 영역으로 표시되는 경우, 영역이 가장 많이 겹치는 지형지물이 동일한 위치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KR1020150048529A 2015-04-06 2015-04-06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KR101591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29A KR101591970B1 (ko) 2015-04-06 2015-04-06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29A KR101591970B1 (ko) 2015-04-06 2015-04-06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970B1 true KR101591970B1 (ko) 2016-02-11

Family

ID=5535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529A KR101591970B1 (ko) 2015-04-06 2015-04-06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9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685B1 (ko) * 2017-01-19 2017-12-18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79013A (ko) * 2017-12-27 2019-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20230018713A (ko) 2021-07-30 2023-02-07 손승우 오픈소스기반 국가공간정보를 이용한 표고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726A (ja) * 2004-01-15 2004-07-22 Hitachi Ltd 図形データ管理方法
KR101076224B1 (ko) * 2011-07-08 2011-10-2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시계열보기가 가능한 도시계획이력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시계획이력정보 제공방법
KR101150348B1 (ko) * 2011-12-09 2012-06-08 중앙항업(주) 지상기준점 측량을 연계한 지하시설물 및 정사영상 제작과 항공라이다 측량 데이터 처리에 활용 가능한 통합 ufid가 부여된 수치지형도의 제작방법
KR20140097805A (ko) * 2013-01-30 2014-08-07 권형석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726A (ja) * 2004-01-15 2004-07-22 Hitachi Ltd 図形データ管理方法
KR101076224B1 (ko) * 2011-07-08 2011-10-26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시계열보기가 가능한 도시계획이력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시계획이력정보 제공방법
KR101150348B1 (ko) * 2011-12-09 2012-06-08 중앙항업(주) 지상기준점 측량을 연계한 지하시설물 및 정사영상 제작과 항공라이다 측량 데이터 처리에 활용 가능한 통합 ufid가 부여된 수치지형도의 제작방법
KR20140097805A (ko) * 2013-01-30 2014-08-07 권형석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Chang, E., Lee, J., and Shin, J. (2009), A Study on Framework Data Standardization in 2009, NGII Publication No. 11-1611265-000021-1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Korea, 300p.(in Korean)
[비특허문헌 2] Choi, J., Kim, M., and Choi, D. (2014), Linking toponym database with digital map databas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9, No. 2, pp. 310-3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비특허문헌 3] Kim, E., Hong, S., and Chang, E. (2008), A Study on Framework Data Standardization in 2007, NGII Publication No. 11-1500714-000068-1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Korea, 317p.(in Korean)
[비특허문헌 4] Lee, J. (2012), A Study on the Advanced Aspects of National Basemap, GOVP120123931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Korea, 276p.(in Korean)
[비특허문헌 5] Ordnance Survey (2001), OS MasterMap Real-world Object Catalogue, D00778, Ordnance Survey, Southampton, United Kingdom, 566p.
[비특허문헌 6] Ordnance Survey (2008), OS MasterMap Topography Layer User Guide Contents, D05300_27, Ordnance Survey, Southampton, United Kingdom, 139p.
[비특허문헌 7] Park, K. (2011), A study on the consecutive renewal of road and building information in the multi-scale digital ma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9, No. 1, pp. 2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비특허문헌 8] USGS (2008), The National Map US Topo, USGS, Virginia, USA, http://nationalmap.gov/ustopo/about.html(last date accessed: 1 August 201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685B1 (ko) * 2017-01-19 2017-12-18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79013A (ko) * 2017-12-27 2019-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102053235B1 (ko) 2017-12-27 2019-1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20230018713A (ko) 2021-07-30 2023-02-07 손승우 오픈소스기반 국가공간정보를 이용한 표고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779B1 (ko) 3차원 지리 공간 시스템에서의 3차원 도면 구축 방법
Talmaki et al. Real-time hybrid virtuality for prevention of excavation related utility strikes
Gold What is GIS and What is Not?
CN105701104A (zh) 一种基于地理信息的三维数据引擎系统
Gold Tessellations in GIS: Part I—putting it all together
KR101591970B1 (ko)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van Oosterom et al. Data structures for continuous generalisation: tGAP and SSC
Yan et al. Description approaches and automated generalization algorithms for groups of map objects
Bitelli et al. GIS and Geomatics for archive documentation of an architectural project: The case of the big Arc of entrance to the Vittorio Emanuele II Gallery of Milan, by Giuseppe Mengoni (1877)
Yu et al. A hybrid system of expanding 2D GIS into 3D space
Zhu et al. CyberCity GIS (CCGIS): integration of DEMs, images, and 3D models
Karim et al. The potential of the 3D Dual Half-Edge (DHE) data structure for integrated 2D-space and scale modelling: A Review
US7634149B2 (en) Method for dynamically updating a planar topology
Mao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3D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smart city
Guadagnoli et al. Ricostruzione 3D della città di Amatrice. Una operazione di ‘instant modeling'.
De Amorim et al. Documenting architectural heritage in Bahia, Brazil, using spherical photogrammetry
Hamid et al. Geo-database production of digital land use map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Gotlib et al. Integration of models of building interiors with cadastral data
Robles-Ortega et al. Design of Topologically Structured Geo-database for Interactive Navigation and Exploration in 3D Web-Based Urban Information Systems.
Zhu et al. Unified Representation of three dimensional city models
Lu et al.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based on 3D GIS for park design
Nyangweso et al. Cartographic Generalization in Multi-scale Environment: Case study of Lamu County, Kenya
Chokri et al. A simplified geometric and topological modeling of 3d building enriched by semantic data: combination of SURFACE-based and SOLID-based representations
Duran et al. Web-based multimedia GIS for historical sites
Hwang et al. Development of hybrid spatial information model for National Base 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