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685B1 -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685B1
KR101809685B1 KR1020170009376A KR20170009376A KR101809685B1 KR 101809685 B1 KR101809685 B1 KR 101809685B1 KR 1020170009376 A KR1020170009376 A KR 1020170009376A KR 20170009376 A KR20170009376 A KR 20170009376A KR 101809685 B1 KR101809685 B1 KR 101809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rid
position information
lattic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이에스디
Priority to KR102017000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F17/3024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32Post and telecommunications
    • G06Q50/60

Abstract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위치정제장치는 주소, 관심지점정보, 좌표 또는 지도상의 일정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면 형태 또는 점 형태의 공간 영역을 파악하는 위치파악부와, 공간을 분할하는 일정 단위면적인 격자를 기초로, 위치정보의 공간 영역과 단위 격자의 맵핑관계를 설정하는 격자맵핑부와,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격자단위로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격자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Location cleans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위치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격자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관리하는 위치정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명 주소와 지번 주소, 관공서 이름이나 주요 건물 이름 등 위치를 나타내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존재한다. 주소 등은 토지의 분할이나 합병, 건물의 신축 등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그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생성 주체에 따라 형태와 값이 상이하므로 이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와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 43-205', 서울역의 '좌표값'은 모두 동일한 지리적 공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들 세 개의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맵핑할 수는 있으나, 매우 많은 위치정보가 존재하는 현실에서 사용자가 모든 위치 정보들 사이의 맵핑관계를 설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현재의 방법으로는 동일한 지리적 공간도 항상 똑같은 위치의 결과값을 보장하기는 매우 어렵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3206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리적 공간을 일정 크기로 나눈 격자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장치의 일 예는, 주소, 관심지점정보, 좌표 또는 지도상의 일정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면 형태 또는 점 형태의 공간 영역을 파악하는 위치파악부; 공간을 분할하는 일정 단위면적인 격자를 기초로, 상기 위치정보의 공간 영역과 단위 격자와의 맵핑관계를 설정하는 격자맵핑부; 및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격자단위로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격자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방법의 일 예는, 주소, 관심지점정보, 좌표 또는 지도상의 일정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면 형태 또는 점 형태의 공간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 공간을 분할하는 일정 단위면적인 격자를 기초로, 상기 위치정보의 공간 영역과 맵핑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를 파악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격자단위로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상의 점을 나타내는 좌표값이 아닌 공간상의 일정 면적을 나타내는 격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위치 정보를 용이하게 연계시킬 수 있다. 또한, 공간상의 일정 면적을 나타내는 격자는 불변이므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정보를 격자와 시점별로 맵핑하여 누적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체에 사용되는 격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와 위치정보의 맵핑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별 위치정보의 저장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별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별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별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색인데이터베이스의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방법 중 격자 갱신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를 이용한 서비스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이하, 위치 정보)(110)를 생성하거나 제공하는 복수의 정보제공기관과(100,102,104), 위치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격자를 이용하여 연계하는 위치정제장치(120)가 존재한다.
정보제공기관(100,102,104)은 관공서, 위치 정보 관련 유관기관, 민간기업 또는 일반 사용자 등 각종 위치 정보(110)를 생성하거나 제공 또는 사용하는 모든 개체를 의미한다. 위치정제장치(120)가 정보제공기관(100,102,104)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위치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로 구현된다면, 정보제공기관(100,102,104)은 그 용어에 불구하고 위치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서버나 각종 단말기(일반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등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 위치정제장치(120)는 정보제공기관(100,102,104)과 직접적 통신 연결 없이 저장매체(USB 메모리, SSD(Solid State Drive) 등)를 통해 위치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정제장치(12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위치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위치 정보(110)는 도로명 주소, 지번 주소, 관심지점(POI, Point of Interest) 정보, 우편번호, 좌표값, 지도상의 일정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주소나 관심지점, 우편번호, 좌표값 등의 위치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이고, 지도상의 일정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일 수 있다.
위치정제장치(120)는 각종 위치 정보를 격자와 맵핑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격자는 공간을 일정크기로 분할하는 단위면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격자는 지도상의 공간을 그물모양으로 분할하여 생기는 사각형의 단위면적이다. 이 외에도 지도상의 공간을 삼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일정크기로 분할하는 경우 삼각형이나 육각형의 단위면적이 격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격자라고 함은 반드시 사각형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양과 크기 등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격자는 지도상의 공간을 나타내므로, 위치 정보가 어떤 격자와 맵핑관계에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위치 정보가 지도상의 어떤 영역에 해당하는지 파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가 서울역의 주소라고 하면, 주소 그 자체가 아닌 주소가 가리키는 지도상의 공간 영역을 알아야 어떤 격자와 맵핑되는지 파악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치정제장치(120)는 위치 정보(110)를 수신하면, 각종 위치정보에 대한 지도상의 영역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 정보의 지도상의 영역 정보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위치정제장치(120)는 위치 정보가 지번 주소이면, 지리정보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지적도 등을 참조하여 지번 주소가 나타내는 공간 영역의 경계를 파악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종래 다양한 방법에 의해 미리 구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실시 예에 따라 위치정제장치(120)는 위치 정보와 함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도상의 영역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110)의 영역 정보는 좌표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110)가 건물이나 행정구역(예, 강남구, 목동 등) 등을 가리키는 주소라면, 위치 정보(110)가 지도상에 표시되는 공간 영역은 일정 면적을 가진 면 형태의 영역이므로 영역 정보는 해당 영역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표값 또는 폴리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의 공간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값은 기 설정된 좌표계의 값이다. 위치 정보 그 자체가 관심지점의 좌표값 또는 지도 공간의 특정 영역을 나타내는 폴리곤 데이터라고 하여도, 정보제공기관마다 사용하는 좌표계의 기준점이 다르고 좌표값의 표시체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위치정제장치는 이들 위치 정보에 포함된 좌표값을 기 설정된 좌표계의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체에 사용되는 격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격자(202,212,222)는 지도상의 특정 위치를 기준점으로 하여 공간을 일정 크기로 분할하는 단위면적이다. 격자 생성을 위한 기준점이 변경되지 않는 한 격자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격자(202,212,222)는 계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도상의 공간(200)을 일정 크기(일 예로, 100Km * 100Km)로 분할하는 제1 격자(202)를 정의하고, 제1 격자(202)의 크기를 가진 공간(210)을 다시 일정 크기(일 예로, 100m * 100m)로 분할하는 제2 격자(212)를 정의하고, 제2 격자(212)의 크기를 가진 공간(220)을 또 다시 일정 크기(일 예로, 1m * 1m)로 분할하여 제3 격자(222)를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격자(202,212,222)를 세 개의 계층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100Km - 10Km - 1Km - 100m - 10m - 1m 단위의 복수의 계층으로 격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실시 예에 따라 격자의 계층적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위치 정보와 맵핑되는 격자(202,212,222)는 계층적 격자들 중 특정 계층의 격자 또는 전 계층의 격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격자(202,212,222)가 나타내는 공간 영역의 크기에 따라 위치 정보와 맵핑되는 격자(202,212,222)의 계층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경기도' 등과 같이 시도단위의 행정구역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인 경우에, 이를 1m 단위의 격자(222)와 맵핑한다면 '서울특별시'와 맵핑되는 수백 만개 이상의 격자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시도단위의 행정구역과 같이 공간 영역이 큰 위치 정보인 경우에는 10km나 1km 단위의 격자로 맵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최소 단위의 격자로 모든 위치정보를 맵핑할 수도 있다.
각 격자(202,212,222)를 구분하기 위한 격자식별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부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격자(202)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가나다 ...'로 구분되고, 제2 격자(212) 및 제3 격자(222)는 '123..'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제1 격자(202)의 격자식별정보는 '라다'(230) 등과 같이 가로 및 세로의 각 값으로 구성되고, 제2 격자(212)의 격자식별정보는 제1 격자의 격자식별정보와 함께 제2 격자(212)의 가로 및 세로의 구분 숫자(예를 들어, 3 4)로 구성된다. 제3 격자(222)의 격자식별정보(230,232,234)는 제1 격자 및 제2 격자 격자식별정보와 더불어 제3 격자의 가로 및 세로의 구분 숫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이 외에도 다양한 격자식별정보의 부여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정제장치(120)는 위치파악부(300), 격자맵핑부(310), 격자갱신부(320), 격자저장부(330), 격자데이터베이스(340), 색인데이터베이스(350) 및 정보제공부(36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격자 갱신부(320), 색인데이터베이스(350) 및 정보 제공부(360) 등의 전부 또는 일부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위치파악부(300)은 수신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도상의 공간 영역을 파악한다. 위치 정보의 공간 영역은 지도에서 일정 크기의 면적일 수 있다. 위치 정보가 좌표값이면 이는 지도에서 면적이 아닌 특정 위치의 점 형태로 표시된다. 위치 정보 자체에 공간 영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위치파악부(300)는 위치 정보에 포함된 공간 영역의 정보를 추출한다. 위치 정보 자체에 공간 영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위치파악부(300)는 지리정보데이터베이스(130)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의 공간 영역을 파악하거나 종래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공간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위치 정보에 대한 공간 영역 정보는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좌표값이거나 영역 경계를 알 수 있는 폴리곤 데이터일 수 있다.
격자맵핑부(310)는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공간 영역과 대응되는 격자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위치 정보가 공간의 일정 면적을 나타내면, 격자맵핑부(310)는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공간 영역이 속하는 격자들을 파악하여 위치 정보와 맵핑시킨다. 격자맵핑부(310)의 맵핑 방법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다시 설명한다.
격자저장부(330)는 위치 정보와 격자 사이의 맵핑관계를 격자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한다. 이때 격자저장부(330)는 격자와 위치정보를 1:N(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맵핑관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격자5에 A위치정보와 B위치정보가 모두 속한다. 이 경우 격자저장부(330)는 격자5에 A위치정보 및 B위치정보를 함께 맵핑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격자5를 검색하면, 격자5와 관련된 위치정보로 A위치정보 및 B위치정보를 모두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필요시 격자와 위치정보의 맵핑관계를 1:1 정의하고자 할 경우 격자의 계층적 구조를 활용하여, 더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격자로 위치정보를 맵핑할 수 있다. 격자데이터베이스(340)의 일 예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격자는 공간 그 자체를 분할한 면적이므로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격자와 맵핑된 위치 정보는 그 공간에 필요에 따라 부여되는 주소나 명칭, 건물이름 등이므로, 토지의 분할/합병, 도로의 신설, 건물의 신축 또는 폐쇄, 주소의 변경이나 신주소 부여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변경된다. 따라서 위치정보가 변경되면 이를 격자데이터베이스(340)에 적절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격자갱신부(320)는 격자와 맵핑된 위치 정보의 변경 여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격자갱신부(320)는 1차 시점에 파악된 격자3의위치정보와 2차 시점에 파악된 격자3과 위치정보가 서로 상이함을 파악한다. 이 경우 격자저장부(330)는 2차 시점에 파악된 격자별 위치정보의 맵핑관계를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누적한다. 격자별 위치정보의 갱신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9에서 다시 설명한다.
색인데이터베이스(350)는 격자데이터베이스(340)의 검색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위치정보별 격자정보를 포함한다. 격자데이터베이스(350)는 격자별 위치정보가 저장되므로, 일정한 지역의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격자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총 36개의 격자가 존재할 때, '서초구 우나아파트'를 찾기 위해서는 36개의 모든 격자를 조회하여야 한다. 만약 '구' 단위의 위치정보와 관련된 격자들을 포함하는 색인데이터베이스(도 10의 1100)를 구축하면, '서초구 우나아파트'를 검색할 때 색인데이터베이스(도 10의 1100)를 참조하여 총 9개의 격자만을 조회하면 되므로 검색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정보제공부(360)는 격자식별정보 또는 지도상의 위치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격자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격자 정보 또는 지도상의 위치선택 정보가 가리키는 격자와 맵핑관계에 있는 위치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제공한다. 이때 정보제공부(360)는 색인데이터베이스(350)를 이용하여 격자데이터베이스(340)의 검색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 온라인 뱅킹 또는 위치 검색 사이트 등과 같은 각종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주소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해당 주소에 대한 격자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지도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하면, 정보제공부(360)는 격자식별정보 또는 지도에서 선택된 특정 위치와 관련된 격자를 격자데이터베이스(340)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격자에 해당하는 주소(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아파트 등과 같은 집합 건물인 경우에 사용자는 동호수 등의 상세 주소만 추가 입력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와 위치정보의 맵핑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간상에 면 형태로 표시되는 위치정보와 점 형태로 표시되는 위치정보가 존재한다. 면으로 표시되는 위치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에 걸쳐 존재한다.
예를 들어, A위치정보는 격자1,2,3,4,5,6에 걸쳐 존재하고, B위치정보는 격자4,5,7,8에 걸쳐 존재하고, 점으로 나타나는 C위치정보는 격자6 내에 존재한다. 이러한 각 위치정보와 격자 사이의 맵핑관계를 기초로 각 격자별 위치정보를 정리하면, 격자1,2,3은 각각 A위치정보와 맵핑되고, 격자4,5는 각각 A위치정보 및 B위치정보와 맵핑된고, 격자6은 B위치정보 및 C위치정보와 맵핑되고, 격자9는 맵핑되는 위치정보가 없다.
위치정제장치는 각 위치정보별 격자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격자별 위치정보를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격자1: A위치정보), (격자4: A위치정보, B위치정보), (격자6: B위치정보, C위치정보) 등과 같이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별 위치정보의 저장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격자와 맵핑되는 위치정보가 없거나, 격자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격자는 동일 종류의 복수 개의 위치 정보 및 종류가 다른 복수 개의 위치 정보와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1은 격자식별정보1과 맵핑하여 동일 종류인 도로명주소1 및 도로명주소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명 주소, 지번주소와 같이 종류가 다른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별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정제장치는 1차 시점에 격자1, 격자2, 격자3과 맵핑되는 위치정보1,2,3을 각각 파악하여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후 2차 시점에 위치정제장치는 격자1,2,3과 맵핑되는 위치정보1, 위치정보2A, 위치정보3A을 각각 파악한다. 이때, 위치정제장치는 2차 시점에 파악된 격자별 위치정보와 1차 시점에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격자별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파악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격자2 및 격자3의 위치정보가 각각 위치정보2->위치정보2A, 위치정보3-위치정보3A로 변경되었다. 위치정제장치는 변경사항이 발생한 격자의 위치정보를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누적하여 저장한다.
3차 시점에 위치정제장치는 격자1,2,3과 맵핑되는 위치정보1, 위치정보2A, 위치정보3B를 파악하면, 이를 2차 시점에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격자별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파악한다. 본 실시 예에서, 격자3의 위치정보가 위치정보3A->위치정보3B로 변경되었다. 위치정제장치는 변경사항이 발생한 격자3의 위치정보3B를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누적하여 저장한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위치정제장치는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격자별 위치정보 중 변경사항이 발생한 부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의 격자별 위치정보를 그대로 유지한 채 변경된 위치정보를 추가 누적한다. 따라서 격자에 대한 위치정보의 변경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별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2013년 1월에 A격자와 B격자에 지번 주소가 맵핑되어 저장된 후 2014년 1월에 A격자 및 B격자와 맵핑되는 지번 주소가 변경되고, 2015년 1월에 A격자 및 B격자에 건물 신축과 함께 도로명 주소가 추가되었고, 2016년 1월에 B격자에 또 다른 건물 신축과 함께 도로명 주소가 추가되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위치정제장치는 도 7의 시점별 격자의 위치정보 변경사항을 시계열적으로 모두 저장한다. A격자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2013.1의 시점정보와 함께 지번주소1의 위치정보를 A격자와 맵핑하여 저장하고, 2014.1의 A격자의 변경된 지번주소2의 위치정보를 시점정보와 함께 A격자와 맵핑하여 신규로 추가하여 저장한다. 다시 2015.1의 A 격자의 도로명주소1 및 건물정보1의 위치정보의 변경사항을 시점정보와 함께 A 격자와 맵핑하여 추가 저장하며 이때 변경사항이 없는 지번주소2 또한 포함하여 함께 저장한다. 따라서, 격자식별정보 및 시점정보를 격자식별키로 사용하여 특정 시점에 격자와 맵핑된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별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격자와 맵핑되는 위치정보의 변경사항이 발생하면, 위치정제장치는 변경된 위치 정보와 격자의 맵핑관계를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추가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격자의 도로명 주소가 2015.01.01에 변경되었다면, 위치정제장치는 제1 격자의 변경된 도로명 주소와 시점정보인 2015.01.01을 격자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위치정제장치는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도상의 공간 영역을 기초로 위치 정보와 맵핑관계에 있는 격자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지번 주소의 위치정보가 존재하면, 지번 주소가 나타내는 공간 영역을 지적도 등을 통해 파악한 후, 이에 해당하는 격자를 파악한다. 위치정보는 각 위치 정보의 종류별로 대응되는 격자들을 파악한 후, 격자별로 위치정보를 다시 취합하여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한다. 격자데이터베이스는 각 격자의 생성 및 변경 시점에 대한 정보에 함께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색인데이터베이스의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격자데이터베이스는 격자별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36개의 격자가 존재하고 몇몇 격자가 강남구, 서초구, 용산구 등의 위치 정보에 대응한다고 하자. '서초구 우나아파트'를 검색한다면 36개의 격자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야 한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을 위해 몇 개의 격자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10m 단위 격자를 가정할 때 서울시만 하여도 수백 만개 이상의 격자가 존재한다. 그래서 실제 구현시 격자를 일일이 검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격자별 위치정보가 아닌 일정한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별 격자정보를 포함하는 색인데이터베이스(1100,1110)를 이용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강남구, 서초구, 용산구에 해당하는 각 격자를 파악하여 색인데이터베이스(1100)를 생성하면, 이후 서초구의 특정 위치정보를 검색시 서초구에 해당하는 9개의 격자만을 검색하면 되므로 이전 36개의 격자를 검색하는 데 비해 많은 시간이 절약된다.
색인데이터베이스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구'단위나 '시도' 단위의 색인데이터베이스(1100,1110)뿐만 아니라, 명칭이나 상호 등 검색 키워드 주제별로 다양한 색인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체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위치정제장치는 마스터처리부(1200)와 복수의 분산처리부(1210,1220,1230)를 포함한다. 마스터처리부(1200)에는 지도상의 특정 영역을 나타내는 폴리곤 데이터 등과 같이 텍스트가 아닌 비정형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읽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1 모듈(1252)과, 위치 정보와 격자를 맵핑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제2 모듈(1254)이 존재한다.
마스터처리부(1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1250)를 수신하면 이들 위치 정보(1250)를 분할하여 분산처리부(1210,1220,1230)에 할당한다. 이때 분산처리부에 할당되는 위치 정보(1260,1264)가 텍스트 등의 정형화된 데이터이면 마스터처리부(1200)는 제2 모듈(1254)과 함께 분할된 위치정보(1260,1264)를 각 분산처리부(1210,1230)에 전송하고, 위치 정보(1262)가 비정형 데이터이면 제2 모듈(1254)과 분할된 위치정보(1262)와 함께 위치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제1 모듈(1252)을 추가 포함하여 분산처리부(1220)에 전송한다. 제2 모듈은 도 3 내지 도 11에서 살핀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정보와 격자를 맵핑할 수 있다.
분산처리부(1210,1220,1230)는 마스터처리부(120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정보와 격자의 맵핑관계를 파악하고 자체의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각 분산처리부(1210,1220,1230)가 수행하여야 할 작업을 정의한 모듈들과 위치 정보 등을 마스터처리부(1200)가 분산처리부(1210,1220,1230)에게 제공하므로, 분사처리부(1210,1220,1230)의 개수를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를 읽는 방식이 변화하거나, 격자와 위치정보의 맵핑방법 등이 변경되는 경우 이를 모듈(1252,1254)을 통해 용이하게 반영하여 각 분산처리부(1210,1220,1230)에서 수행되게 할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위치정제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1300). 위치정제장치는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지도 공간상의 면 형태 또는 점 형태 등의 영역을 파악한 후(S1310), 이들 영역과 맵핑되는 격자를 파악한다(S1320). 그리고 위치정제장치는 격자별 위치정보의 맵핑관계를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330).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방법 중 격자 갱신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위치정제장치는 위치 정보 수신하고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공간 영역을 파악한 후 이와 대응되는 격자를 파악한다(S1400,S1410,S1420). 위치정제장치는 새롭게 파악한 격자별 위치정보와 격자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격자별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위치정보가 변경된 격자를 파악한다(S1430). 그리고, 위치정제장치는 변경된 격자의 위치정보를 시점정보와 함께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누적한다(S1440).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제를 이용한 서비스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위치정제장치는 격자식별정보 또는 지도선택정보를 수신하면(S1500), 격자식별정보 또는 지도선택정보에 해당하는 격자의 위치정보를 격자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1510). 위치정제장치는 검색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S152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주소, 관심지점정보, 좌표 또는 지도상의 일정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면 형태 또는 점 형태의 공간 영역을 파악하는 위치파악부;
    지도상의 전체 공간을 일정크기로 분할하는 단위면적인 격자를 기초로, 상기 위치정보의 공간 영역과 단위 격자와의 맵핑관계를 설정하는 격자맵핑부; 및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격자단위로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격자저장부; 및
    격자식별키 또는 지도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격자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격자식별키 또는 지도선택정보가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와 맵핑관계에 있는 위치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격자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위치정보와 맵핑관계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격자는 서로 다른 시점에 파악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와 맵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저장부는,
    격자와 위치정보를 1:N(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맵핑관계로 상기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와 맵핑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 중 변경사항이 존재하는 격자를 파악하는 격자갱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자저장부는, 상기 변경사항이 존재하는 격자에 상기 위치정보의 맵핑관계를 시점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검색 키워드 지역별/위치정보별 격자정보를 포함하는 색인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제장치.
  5. 삭제
  6. 주소, 관심지점정보, 좌표 또는 지도상의 일정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면 형태 또는 점 형태의 공간 영역을 파악하는 단계;
    지도상의 전체 공간을 일정크기로 분할하는 단위면적인 격자를 기초로, 상기 위치정보의 공간 영역과 맵핑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를 파악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격자단위로 격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격자식별키 또는 지도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격자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격자식별키 또는 지도선택정보가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와 맵핑관계에 있는 위치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격자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위치정보와 맵핑관계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격자는 서로 다른 시점에 파악된 둘 이상의 위치정보와 맵핑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와 맵핑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 중 변경사항이 존재하는 격자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사항이 존재하는 격자에 상기 위치정보의 맵핑관계를 시점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제방법.
  8. 삭제
  9. 제 6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009376A 2017-01-19 2017-01-19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KR101809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376A KR101809685B1 (ko) 2017-01-19 2017-01-19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376A KR101809685B1 (ko) 2017-01-19 2017-01-19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685B1 true KR101809685B1 (ko) 2017-12-18

Family

ID=6092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376A KR101809685B1 (ko) 2017-01-19 2017-01-19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6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013A (ko) * 2017-12-27 2019-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102104642B1 (ko) * 2019-02-22 2020-04-24 주식회사 신관산업 등가면적 육각격자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29837A (ko) * 2020-08-31 2022-03-10 주식회사 구루아이오티 디지털 트윈 기반 그리드 주소체계를 통해 운영되는 자율주행 플랫폼
KR20220058793A (ko) * 2020-10-30 2022-05-10 주식회사 플럭시티 빌딩정보모델링 데이터의 xml 파싱을 이용한 디지털 트윈 구현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시각화 시스템
KR102401554B1 (ko) * 2021-11-24 2022-05-25 주식회사 씨엠월드 공간특성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92696B1 (ko) * 2021-10-06 2023-01-31 주식회사 플럭시티 그리드 기반의 공간 속성 부여를 통한 가시화 디지털 트윈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970B1 (ko) * 2015-04-06 2016-02-11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970B1 (ko) * 2015-04-06 2016-02-11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통합식별자 및 공간객체 기반 하이브리드 공간 정보 생성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013A (ko) * 2017-12-27 2019-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102053235B1 (ko) * 2017-12-27 2019-1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참여형 위치 식별 방법
KR102104642B1 (ko) * 2019-02-22 2020-04-24 주식회사 신관산업 등가면적 육각격자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29837A (ko) * 2020-08-31 2022-03-10 주식회사 구루아이오티 디지털 트윈 기반 그리드 주소체계를 통해 운영되는 자율주행 플랫폼
KR102387974B1 (ko) * 2020-08-31 2022-04-19 주식회사 구루아이오티 디지털 트윈 기반 그리드 주소체계를 통해 운영되는 자율주행 플랫폼
KR20220058793A (ko) * 2020-10-30 2022-05-10 주식회사 플럭시티 빌딩정보모델링 데이터의 xml 파싱을 이용한 디지털 트윈 구현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시각화 시스템
KR102546065B1 (ko) * 2020-10-30 2023-06-22 주식회사 플럭시티 빌딩정보모델링 데이터의 xml 파싱을 이용한 디지털 트윈 구현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시각화 시스템
KR102492696B1 (ko) * 2021-10-06 2023-01-31 주식회사 플럭시티 그리드 기반의 공간 속성 부여를 통한 가시화 디지털 트윈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01554B1 (ko) * 2021-11-24 2022-05-25 주식회사 씨엠월드 공간특성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685B1 (ko)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WO2020228706A1 (zh) 基于围栏地址的坐标数据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A2418989C (en) System and method of geospatially mapping topological regions and displaying their attributes
JP6092504B2 (ja) 興味ある地点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1350012B (zh) 一种地址匹配的方法和系统
Goetz et al. OpenStreetMap in 3D–detailed insights on the current situation in Germany
Chen et al. Indoor cartography
Touya et al. Inferring the scale of OpenStreetMap features
Bartie et al. Incorporating vegetation into visual exposure modelling in urban environments
CN111221867B (zh) 一种保护性建筑信息管理系统
US20150160030A1 (en) Method for identifying scenic routes
CN114925043B (zh) 基于时空网格块数据的应用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184048B1 (ko)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CN101978708A (zh) 兴趣点显示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子装置
Beeharee et al. Exploiting real world knowledge in ubiquitous applications
Bhanumurthy et al. Spatial data integration for disaster/emergency management: an Indian experience
Kemec et al. A framework for defining a 3D model in support of risk management
CN107801418B (zh) 利用地图检索记录的流动人口推算装置及方法
Vaziri et al. Discovering tourist attractions of cities using Flickr and OpenStreetMap data
Reijsbergen Probabilistic modelling of station locations in bicycle-sharing systems
Meek et al. The Influence of Digital Surface Model Choice on Visibility‐based Mobile Geospatial Applications
Deeksha et al. A spatial clustering approach for efficient landmark discovery using geo-tagged photos
JP3656852B1 (ja) 防災事業計画支援方法とそのシステム
de Armas García et al. Deployment of a National Geocoding Service: Cuban Experience.
Lwin et al.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d applications for geospatial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