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08B1 -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308B1
KR102021308B1 KR1020180132402A KR20180132402A KR102021308B1 KR 102021308 B1 KR102021308 B1 KR 102021308B1 KR 1020180132402 A KR1020180132402 A KR 1020180132402A KR 20180132402 A KR20180132402 A KR 20180132402A KR 102021308 B1 KR102021308 B1 KR 10202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building
unit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찬
이성옥
황은경
유기형
이종호
박선우
전무형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 입력(주소, 도로명, 지도)에 대응하여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토지이용 규제정보,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및 시설기준 요약정보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건축법령의 시설기준관련 법령 조항만을 추출하여 신속 정확하게 검토할 수 있는,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BUILDING REGULATION INFORMATION SEARCH SYSTEM CONNECTED WITH A LAND LOT NUMBER}
본 발명은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 입력(주소, 도로명, 지도)에 대응하여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를 추출하는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관련 법령은 1)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 등의 토지이용, 2) 신축, 증축, 개축, 재축 등의 건축물 건축행위, 3) 단독주택, 공동주택, 제1종 근린생활시설 등의 건축물 용도, 4) 면적, 층수, 높이, 길이 등의 규모, 5) 신고, 허가, 개발행위, 산지적용, 농지전용 등의 인허가 행정, 그리고 6) 설계(계획, 중간, 실시), 시공, 감리, 유지관리, 폐기 등의 건축물 생애단계에서 검토해야 할 관계 법령이 복잡하고 다양하여 모든 법령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기 어려웠다. 또한, 법령의 제정 및 개정이 빠르게 이루어짐에 따라 초기 검토에서 누락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업적 리스크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도 1은 한국건축규정을 건축서비스산업 정보체계에 반영할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의 건축관련 법령은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뿐만 아니라 각 개별부처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협의해야 할 관계부서가 많고, 건축행위관련 법령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시간적 소모와 행정업무로 상당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법령정보 시스템은 행정 각 부의 법령을 종합적 관점에서 지원 및 운영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정보 활용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건축기본법 제25조(한국건축규정의 공고 등)에 따르면, 『① 국토교통부장관은 건축물의 설계, 시공, 공사감리 및 유지관리 등과 관련된 「건축법」및 그 관계법령, 행정규칙 및 조례 등의 규정을 종합적으로 안내하고, 합리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건축물 관련 규정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협의하여 건축물 관련 규정을 통합한 한국건축규정을 공고할 수 있으며, 이를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제8조에 따른 건축서비스산업 정보체계에 반영하여 국민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②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관하는 건축물 관련 규정이 제정, 개정 또는 폐지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한국건축규정에 반영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건축관련 법령 및 기준이 정부 부처별 개별 법령에 산재됨으로써 현재 운영중인 건축관련 법령은 약 369개에 달하며, 이외에도 행정규칙, 조례에도 다수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관계자의 관련 법령 파악 및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관계 법령이 산재됨에 따라, 허가권자, 설계자 등의 법령 사용자는 설계, 시공, 감리, 유지관리, 인허가 등의 건축행위 시에 관련 법령을 적용하지 못할 수 있고, 업무수행에 차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법령 생산자 및 관리자가 각 개별부처에 산재된 건축규제를 파악하고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특히, 현행 건축법령 전체의 체계화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건축규정 법령정보검색시, 사용자 중심의 건축규제 정보 분류의 체계화가 필요하고, 사용자의 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조건이 맞는 법령의 조항만을 추출하여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건축관련 전체 법령의 범위에서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건축관련 법령 및 이에 대한 상세정보 검색이 어렵고, 또한, 해당 주소지의 지역, 지구 및 구역과 용도별 건축물의 선택에 따른 상세 검색 및 신속 정확한 법령정보 검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0-72561호(공개일: 2000년 12월 5일), 발명의 명칭: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86446호(출원일: 2009년 11월 4일), 발명의 명칭: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67931호(출원일: 2008년 6월 30일), 발명의 명칭: "지번 검색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지번 검색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96767호(출원일: 2016년 7월 13일), 발명의 명칭: "건축물의 법규 충족 판단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47373호(출원일: 2016년 4월 1일), 발명의 명칭: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0-86386호(공개일: 2010년 7월 30일), 발명의 명칭: "주소 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종합 분석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 입력(주소, 도로명, 지도)에 대응하여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토지이용 규제정보,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및 시설기준 요약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건축법령의 시설기준관련 법령 조항만을 추출하여 검토할 수 있는,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지번정보를 선택 입력하는 주소입력 선택부; 사용자가 입력한 지번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주소지에 대한 건축가능한 건축물 용도를 선택하는 건축물 용도 선택부; 상기 해당 주소지의 건축물 용도에 대응하는 시설기준 분류체계를 선택하는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른 시설기준 요약정보를 추출하는 시설기준 요약 추출부;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와 법령 원문 DB를 매핑시켜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를 생성하는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 토지이용 규제정보 제공자로부터 토지이용 규제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지번정보에 따른 해당 주소지의 토지이용 규제 여부를 확인하는 토지이용 규제 확인부; 용도별 건축가능 매핑정보 DB에 저장된 용도별 건축가능 매핑정보를 상기 건축물 용도 선택부에서 선택한 해당 주소지에 대한 건축물 용도와 매핑시켜 용도별 건축가능정보를 추출하는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추출부; 및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에서 생성된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를 추출하는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되,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시설기준 요약정보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을 추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는, 대지와 건축물, 구조설계, 피난 및 방제, 설비, 건축환경 및 에너지, 주차장, 장애인 편의시설, 개별법의 시설기준 중 어느 하나의 시설기준 분류체계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 항목은 각각 세부항목 및 세세부항목을 포함하되, 상기 세부항목 또는 세세부항목 선택시 상기 시설기준 요약정보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가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소입력 선택부는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지의 지번정보로서 지번 주소, 도로명 주소 또는 지도검색을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 용도 선택는 건축물 용도로서 건축물 용도 전체, 단독주택, 공공주택, 제1종 근린생화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 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뢰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관광 휴게시설, 장례식장 또는 야영시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는, 법령원문 제공자로부터 법령원문을 제공받아 법령 원문 DB에 저장된 건축관련 법령과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에 저장된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를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는,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에서 선택된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로부터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를 로딩하는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 로딩부; 상기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에 따라 서술어 검색대상을 생성하도록 법령 조단위 매핑 법령을 생성하는 서술어 검색대상 생성부; 상기 법령 조단위로 생성된 매핑 법령으로부터 시설기준 서술어를 로딩하는 시설기준 서술어 로딩부;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법->시행령->시행규칙의 순서로 상기 시설기준 서술어를 각각 검색하여 법 조문단위로 키워드를 분석하는 키워드 분석부; 상기 분석된 키워드에 따라 시설기준 서술어를 매칭시키는 서술어 매칭부; 및 상기 키워드에 따라 시설기준 서술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태스크 할당 제외처리하는 태스크 할당 제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 입력(주소, 도로명, 지도)에 대응하여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토지이용 규제정보,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및 시설기준 요약정보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건축법령의 시설기준관련 법령 조항만을 추출하여 상세하고 신속 정확하게 검토할 수 있다.
도 1은 한국건축규정을 건축서비스산업 정보체계에 반영할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에 적용되는 법령정보검색 DB 구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에서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이 구현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에서 건축물시설기준 규정을 정의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와 연계한 건축물의 시설기준 체계화 및 DB 구축을 위해 기술기준 규정 DB를 활용한 시설기준 전산화 알고리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와 연계한 건축물의 시설기준 체계화 및 DB 구축을 위해 시설기준 체계화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용도에 따른 전산화 DB 구축을 위해서 법령 조문분석을 통한 건축물 용도 유형을 분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을 위한 분류체계 항목별 시설기준요약 DB를 구축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100)]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에 적용되는 법령정보검색 DB 구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령 원문 DB는 법령 원문 제공자로부터 법령 원문을 제공받아, Open API를 이용하여 XML 형태로 가공한 법령 원문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법령 원문 제공자(200)는 국가법령정보센터, 자치법규정보시스템, 국가건설기준센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속성정보 DB는 각 건축관련 법령 조항별 기본속성 및 세부속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법령정보 DB는 법령 원문 DB에 저장된 법령 원문과 상기 속성정보 DB에 저장된 속성 데이터를 매핑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법령의 조항만을 추출하여 검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속성정보 DB는,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법령의 조항만을 추출하여 검토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도별 건축가능 매핑정보 DB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100)은, 주소입력 선택부(110), 토지이용 규제 확인부(120), 건축물 용도 선택부(130),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추출부(140),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150), 시설기준 요약 추출부(160),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170)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추출부(180)를 포함하며, 이때, 데이터베이스로서, 용도별 건축가능 매핑정보 DB(191), 시설기준 요약 DB(192), 법령 원문 DB(193)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194)를 포함할 수 있다.
주소입력 선택부(11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지번정보를 선택 입력한다. 이때, 상기 주소입력 선택부(110)는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지의 지번정보로서 지번 주소, 도로명 주소 또는 지도검색을 선택 입력할 수 있고, 지번 주소 입력부(111), 도로명 주소 입력부(112) 및 지도 검색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도 검색부(113)는 지번 주소 또는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위치맵 제공자(400)로부터 전자지도를 제공받아 특정 위치를 클릭하여 주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형도 버튼을 클릭하여 지형도를 확인할 수 있다.
토지이용 규제 확인부(120)는 토지이용 규제정보 제공자(500)로부터 토지이용 규제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지번정보에 따른 해당 주소지의 토지이용 규제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토지이용 규제정보 제공자(500)는 토지이용규제 정보시스템(Land Use Regulation Information System: LURIS)일 수 있고, 국토해양부에서 구축 운영중이며, 토지이용계획 열람, 지역 및지구별 행위제한, 규제안내서 열람, 지형도면고시 열람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축물 용도 선택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지번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주소지에 대한 건축가능한 건축물 용도를 선택한다. 이때, 선택한 주소에 대해 건축물 용도를 세부적으로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건축물 용도 선택부(130)는 건축물 용도로서 건축물 용도 전체, 단독주택, 공공주택, 제1종 근린생화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 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뢰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관광 휴게시설, 장례식장 또는 야영시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추출부(140)는 용도별 건축가능 매핑정보 DB(191)에 저장된 용도별 건축가능 매핑정보를 상기 건축물 용도 선택부(130)에서 선택한 해당 주소지에 대한 건축물 용도와 매핑시켜 용도별 건축가능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용도 선택시 건축가능한 용도의 경우, 예를 들면 흑색으로 표시되고, 불가능한 용도의 경우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150)는 상기 해당 주소지의 건축물 용도에 대응하는 시설기준 분류체계를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는 트리 형태로 제공되어 해당 항목 선택시 해당하는 법령에 관련된 내용만 조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은 키워드 검색시 입력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법령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때, 검색 결과로서, 법/시행령/시행규칙의 3단의 행태로 검색 결과를 조단위로 표시할 수 있고, 또한, 검색된 항목을 클릭하여 전체 조문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150)는, 대지와 건축물, 구조설계, 피난 및 방제, 설비, 건축환경 및 에너지, 주차장, 장애인 편의시설, 개별법의 시설기준 중 어느 하나의 시설기준 분류체계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 항목은 각각 세부항목 및 세세부항목을 포함하되, 상기 세부항목 또는 세세부항목 선택시 상기 시설기준 요약정보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시설기준 요약 추출부(160)는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른 시설기준 요약정보를 시설기준 요약정보 DB(192)로부터 추출한다.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170)는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와 법령 원문 DB를 매핑시켜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170)는, 법령원문 제공자(200)로부터 법령원문을 제공받아 법령 원문 DB(193)에 저장된 건축관련 법령과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194)에 저장된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를 매핑시킨다. 이때,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194)는 속성정보 DB로서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를 저장한다.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추출부(180)는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170)에서 생성된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를 추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시설기준 요약정보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에서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에서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170)는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 로딩부(171), 서술어 검색대상 생성부(172), 시설기준 서술어 로딩부(173), 키워드 분석부(174), 서술어 매칭부(175) 및 태스크 할당 제외 처리부(176)를 포함한다.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 로딩부(171)는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150)에서 선택된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194)로부터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를 로딩한다.
서술어 검색대상 생성부(172)는 상기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에 따라 서술어 검색대상을 생성하도록 법령 조단위 매핑 법령을 생성한다.
시설기준 서술어 로딩부(173)는 상기 법령 조단위로 생성된 매핑 법령으로부터 시설기준 서술어를 로딩한다.
키워드 분석부(174)는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법->시행령->시행규칙의 순서로 상기 시설기준 서술어를 각각 검색하여 법 조문단위로 키워드를 분석하고, 서술어 매칭부(175)는 상기 분석된 키워드에 따라 시설기준 서술어를 매칭시키며, 이와 같이 매칭된 경우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태스크 할당 제외 처리부(176)는 상기 키워드에 따라 시설기준 서술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태스크 할당 제외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 입력(주소, 도로명, 지도)에 대응하여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토지이용 규제정보,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및 시설기준 요약정보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건축법령의 시설기준관련 법령 조항만을 추출하여 신속 정확하게 검토할 수 있다.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지의 지번정보를 선택 입력한다(S110). 이때,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지의 지번정보로서 지번 주소, 도로명 주소 또는 지도검색을 선택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토지이용 규제정보 제공자(500)와 연계하여 해당 주소지에 대한 토지이용 규제를 확인할 수 있다(S120).
다음으로, 해당 주소지의 건축물 용도를 선택한다(S130). 예를 들면, 상기 건축물 용도로서 건축물 용도 전체, 단독주택, 공공주택, 제1종 근린생화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 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뢰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관광 휴게시설, 장례식장 또는 야영시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해당 주소지의 건축물 용도에 대응하는 시설기준 분류체계를 선택한다(S140). 이때, 대지와 건축물, 구조설계, 피난 및 방제, 설비, 건축환경 및 에너지, 주차장, 장애인 편의시설, 개별법의 시설기준 중 어느 하나의 시설기준 분류체계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 항목은 각각 세부항목 및 세세부항목을 포함하되, 상기 세부항목 또는 세세부항목 선택시 상기 시설기준 요약정보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와 법령 원문 DB를 매핑시킨다(S150). 구체적으로,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194)로부터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를 로딩하고, 상기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에 따라 서술어 검색대상을 생성하도록 법령 조단위 매핑 법령을 생성하며, 상기 법령 조단위로 생성된 매핑 법령으로부터 시설기준 서술어를 로딩한다. 이후,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법->시행령->시행규칙의 순서로 상기 시설기준 서술어를 각각 검색하여 법 조문단위로 키워드를 분석하고, 이후, 상기 분석된 키워드에 따라 시설기준 서술어를 매칭시킨다. 이때, 상기 키워드에 따라 시설기준 서술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태스크 할당 제외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시설기준 요약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을 추출한다(S160).
다음으로,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를 출력한다(S170). 이에 따라,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시설기준 요약정보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구현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이 구현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입력 선택부(110), 토지이용 규제 확인부(120), 건축물 용도 선택부(130),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150), 시설기준 요약 추출부(160)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추출부(180)가 각각 도시되도록 초기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 입력(주소, 도로명, 지도)에 대응하여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토지이용 규제정보,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및 시설기준 요약정보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에서 건축물시설기준 규정을 정의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시설기준규정을 정의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승강기에 대해 시설기준 항목을 건축법 -> 건축법시행령 ->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시행규칙)의 순서로 도출하며, 이때, 「승강기 + 설치하여야」, 「승강기 + 구조로 하여야」, 「승강기의 설치기준」 등을 시설기준 키워드로 하여 시설기준 항목인 검색어를 도출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와 연계한 건축물의 시설기준 체계화 및 DB 구축을 위해 기술기준 규정 DB를 활용한 시설기준 전산화 알고리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번정보와 연계한 건축물의 시설기준 체계화 및 DB 구축을 위해 기술기준 규정 DB를 활용한 시설기준 전산화 알고리즘을 구현하게 되며, 예를 들면,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대지와 건축물(항목)>대지(세부항목)>공지(세세부항목)의 순서로 시설기준규정(또는 기술기준규정)과 키워드를 결합하여 시설기준을 체계화하고, DB를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와 연계한 건축물의 시설기준 체계화 및 DB 구축을 위해 시설기준 체계화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의 경우, 지번정보와 연계한 건축물의 시설기준 체계화 및 DB 구축을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기준을 추출하게 되며, 예를 들면, 1단계로 지번을 입력하고, 2단계로 건축물 용도를 선택하게 되며, 이에 따른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시설기준 항목이 법 -> 시행령 -> 시행규칙 -> 조례의 순서로 도출되도록 체계화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용도에 따른 전산화 DB 구축을 위해서 법령 조문분석을 통한 건축물 용도 유형을 분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의 경우, 건축물 용도에 따른 전산화 DB 구축을 위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령 조문분석을 통한 건축물 용도 유형을 분석하며, 법령에서 용도 속성을 가지는 경우로서, 1) 조문에서 직접 언급하는 경우, 2) 조문 내의 용어를 통해 용도를 간접 언급하는 경우, 3) 관계 법령을 통한 용도를 언급하는 경우, 4) 각 호(목)에서 정하는 유형을 간접 언급하는 경우, 5) 용도의 체계를 통해 세부/세세부 용도속성을 갖는 경우 등으로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10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용도 속성 DB를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을 위한 분류체계 항목별 시설기준요약 DB를 구축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기준 분류체계 항목별로, 예를 들면, 구조 > 구조설계 > 내진등급에 따라 연관된 법령을 분석한 후 요약함으로써 시설기준 요약 DB를 구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 입력(주소, 도로명, 지도)에 대응하여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토지이용 규제정보,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및 시설기준 요약정보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건축법령의 시설기준관련 법령 조항만을 추출하여 신속 정확하게 검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200: 법령 원문 제공자
300: 사용자 단말
400: 위치맵(전자지도) 제공자
500: 토지이용 규제정보 제공자(LURIS)
110: 주소입력 선택부 111: 지번 주소 입력부
112: 도로명 주소 입력부 113: 지도 검색부
120: 토지이용 규제 확인부 130: 건축물 용도 선택부
140: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추출부
150: 시설기준 요약 추출부
160: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
170: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
171: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 로딩부
172: 서술어 검색대상 생성부
173: 시설기준 서술어 로딩부
174: 키워드 분석부
175: 서술어 매칭부
176: 태스크 할당 제외 처리부
180: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추출부
191: 용도별 건축가능 매핑정보 DB
192: 시설기준 요약 DB
193: 법령 원문 DB
194: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

Claims (13)

  1.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지번정보를 선택 입력하는 주소입력 선택부(110);
    사용자가 입력한 지번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주소지에 대한 건축가능한 건축물 용도를 선택하는 건축물 용도 선택부(130);
    상기 해당 주소지의 건축물 용도에 대응하는 시설기준 분류체계를 선택하는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150);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른 시설기준 요약정보를 추출하는 시설기준 요약 추출부(160);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와 법령 원문 DB를 매핑시켜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를 생성하는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170);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170)에서 생성된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를 추출하는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 추출부(180);
    토지이용 규제정보 제공자(500)로부터 토지이용 규제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지번정보에 따른 해당 주소지의 토지이용 규제 여부를 확인하는 토지이용 규제 확인부(120); 및
    용도별 건축가능 매핑정보 DB(191)에 저장된 용도별 건축가능 매핑정보를 상기 건축물 용도 선택부(130)에서 선택한 해당 주소지에 대한 건축물 용도와 매핑시켜 용도별 건축가능정보를 추출하는 용도별 건축가능정보 추출부(140)를 포함하되,
    해당 주소지에 건축가능한 건축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지번정보와 연계된 지역, 지구 및 구역에 따라 건축물 설계시 특별히 고려할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로서, 시설기준 요약정보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을 추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150)는, 대지와 건축물, 구조설계, 피난 및 방제, 설비, 건축환경 및 에너지, 주차장, 장애인 편의시설, 개별법의 시설기준 중 어느 하나의 시설기준 분류체계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 항목은 각각 세부항목 및 세세부항목을 포함하되, 상기 세부항목 또는 세세부항목 선택시 상기 시설기준 요약정보 및 시설기준관련 법령정보가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입력 선택부(110)는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지의 지번정보로서 지번 주소, 도로명 주소 또는 지도검색을 선택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용도 선택부(130)는 건축물 용도로서 건축물 용도 전체, 단독주택, 공공주택, 제1종 근린생화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 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뢰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관광 휴게시설, 장례식장 또는 야영시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170)는, 법령원문 제공자(200)로부터 법령원문을 제공받아 법령 원문 DB(193)에 저장된 건축관련 법령과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194)에 저장된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를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부(170)는,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 선택부(150)에서 선택된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상기 시설기준관련 법령 매핑정보 DB(194)로부터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를 로딩하는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 로딩부(171);
    상기 시설기준규정 매핑정보에 따라 서술어 검색대상을 생성하도록 법령 조단위 매핑 법령을 생성하는 서술어 검색대상 생성부(172);
    상기 법령 조단위로 생성된 매핑 법령으로부터 시설기준 서술어를 로딩하는 시설기준 서술어 로딩부(173);
    상기 시설기준 분류체계에 따라 법->시행령->시행규칙의 순서로 상기 시설기준 서술어를 각각 검색하여 법 조문단위로 키워드를 분석하는 키워드 분석부(174);
    상기 분석된 키워드에 따라 시설기준 서술어를 매칭시키는 서술어 매칭부(175); 및
    상기 키워드에 따라 시설기준 서술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태스크 할당 제외처리하는 태스크 할당 제외 처리부(176)를 포함하는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132402A 2018-10-31 2018-10-31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KR10202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402A KR102021308B1 (ko) 2018-10-31 2018-10-31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402A KR102021308B1 (ko) 2018-10-31 2018-10-31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308B1 true KR102021308B1 (ko) 2019-09-16

Family

ID=6806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402A KR102021308B1 (ko) 2018-10-31 2018-10-31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931B1 (ko) * 2021-10-13 2022-04-08 최봉근 최신의 건축관계법률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건축 계획설계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61A (ko) 2000-09-08 2000-12-05 구본옥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KR100967931B1 (ko) 2008-06-30 2010-07-06 (주)엠앤소프트 지번 검색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지번 검색 방법
KR20100086386A (ko) 2009-01-22 2010-07-30 전동양 주소 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종합 분석방법
KR101086446B1 (ko) 2009-11-04 2011-11-25 김경인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KR101167653B1 (ko) * 2009-11-17 2012-07-20 한국토지주택공사 웹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부동산 개발사업의 사업대상지 선정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30019629A (ko) * 2011-08-17 2013-02-27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부동산 물건의 유형별 입지 및 상권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97805A (ko) * 2013-01-30 2014-08-07 권형석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KR101747373B1 (ko) 2016-04-01 2017-06-15 한맥엔지니어링(주)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96767B1 (ko) 2016-07-13 2017-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의 법규 충족 판단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61A (ko) 2000-09-08 2000-12-05 구본옥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KR100967931B1 (ko) 2008-06-30 2010-07-06 (주)엠앤소프트 지번 검색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지번 검색 방법
KR20100086386A (ko) 2009-01-22 2010-07-30 전동양 주소 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종합 분석방법
KR101086446B1 (ko) 2009-11-04 2011-11-25 김경인 전자지도에 연관된 토지이용 계획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지번의 인덱스 배열에 기반한 통합 개발지침 제공 방법
KR101167653B1 (ko) * 2009-11-17 2012-07-20 한국토지주택공사 웹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부동산 개발사업의 사업대상지 선정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30019629A (ko) * 2011-08-17 2013-02-27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부동산 물건의 유형별 입지 및 상권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97805A (ko) * 2013-01-30 2014-08-07 권형석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KR101747373B1 (ko) 2016-04-01 2017-06-15 한맥엔지니어링(주)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96767B1 (ko) 2016-07-13 2017-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의 법규 충족 판단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931B1 (ko) * 2021-10-13 2022-04-08 최봉근 최신의 건축관계법률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건축 계획설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6618B2 (ja) 地理空間データベース統合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82714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and serving regulatory history for a property
Ahmad et al. Development of a decision support system using data warehousing to assist builders/developers in site selection
JP6892523B2 (ja) 建築規定分類体系別建築規定法令情報検索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im et al. Information retrieval framework for hazard identification in construction
CN108345596A (zh) 楼宇信息融合服务平台
Liu et al. A generalized framework for measuring pedestrian accessibility around the world using open data
Bruzelius et al. Satellite images and machine learning can identify remote communities to facilitate access to health services
Alzahrani et al. The adop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the public sector of Saudi Arabia: a conceptual model
Muczyński et al. Supporting tenant relocation in social housing management: Development of the dedicated geoinformation system in Poland
KR102021308B1 (ko)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Vela et al. A semi-automatic data–scraping method for the public transport domain
Silvennoinen et al. A semantic web approach to land use regulations in urban planning: The OntoZoning ontology of zones, land uses and programmes for Singapore
Nurnawati et al. Design of integrated database on mobile information system: a study of Yogyakarta smart city app
Lee et al. Machine learning based prediction of the value of buildings
Ahmadian et al. Semantic integration of OpenStreetMap and CityGML with formal concept analysis
Das et al. Geoetypes: Harmonizing diversity in geospatial data (short paper)
Osorio-Sandoval et al. Dataset of characterised construction safety risks and related treatments
KR102000546B1 (ko) 상위법령과 하위법령의 개별 조항간 직계여부를 전산적으로 설정하여 건축규정 법령을 매핑시키는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
Chow et al. Using web demographics to model population change of Vietnamese-Americans in Texas between 2000 and 2009
Afijal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 Determination for Poor Houses Beneficiary Using Profile Matching Method
Jacovine et al. Evidence-based planning: a multi-criteria index for identifying vacant properties in large urban centres
Azevedo et al. Using linked open data 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JP2015032268A (ja) 建物商品プラン提供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Shbita et al. Automatically Constructing Geospatial Feature Taxonomies from OpenStreetMap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