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2561A -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2561A
KR20000072561A KR1020000053640A KR20000053640A KR20000072561A KR 20000072561 A KR20000072561 A KR 20000072561A KR 1020000053640 A KR1020000053640 A KR 1020000053640A KR 20000053640 A KR20000053640 A KR 20000053640A KR 20000072561 A KR20000072561 A KR 20000072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aw
building
review
reg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옥
김성우
김정훈
황용하
Original Assignee
구본옥
김성우
김정훈
황용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옥, 김성우, 김정훈, 황용하 filed Critical 구본옥
Priority to KR102000005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2561A/ko
Publication of KR2000007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561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이 보편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21C의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여 현재 일일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설계의 기초 작업 및 각종 행정상의 심의 업무의 '전산화' '자동화'라는 기본적인 목표 하에 진행된 건축 법규 검토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이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대한 간단한 요약은 다음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다.
건축설계의 프로세스 중에서, 건축법이라는 것은 항상 중요한 제약요건으로 작용한다. 한편으로 건축법은 개정되는 빈도가 다른 법에 비해 상당히 높고 관련된 타 법규 항목이 매우 많기 때문에 건축 설계에 필요한 법규상의 모든 항목을 최신의 법률을 참조하여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검토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인터넷의 출현과 더불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면, 개정되는 건축법이 관련업무 종사자들에게 빠르게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법규정보의 검색도 용이하다.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법규의 원문 검색과 같은 서비스들은 이미 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해당 법규의 원문 조회에 그칠 뿐 관련된 법률정보를 모두 찾아보고, 알고자 하는 사항의 가부 및 실제로 적용되는 수치를 판단하는 것은 여전히 사용자의 몫으로 남겨져 있다는 점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시스템은 이러한 수동적인 정보 제공의 방식을 GIS의 결과물과 연계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자동화한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즉, 웹사이트를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처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건축법규 검토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을 발명하였다. 이 시스템은 현재 구축되어 있는 통신망(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어진 정보를 통하여 이를 종합 분석하여 그 결과물을 그래픽으로 출력하여 줄 수 있는 서버와 이에 접속할 수 있는 가입자 단말기를 기본 구성 요소로 하여 실시되는 건축법규 검토 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대지의 주소만 알면, 대지에 설정된 지적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그 대지에 해당하는 법규를 검토하여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그 발명으로 한다.

Description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Interactive Building Code system based on GIS system}
본 발명은 지적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대지에 대한 기본적인 법규 검토 사항의 결과물로부터 시작하여 주어진 대지의 조건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값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여주는 상호 대응 시스템으로 기존의 건축 법규검토에 있어서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보다 객관화 자동화 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하나의 검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의 발명을 하기 전의 건축법규 검토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설계자의 경험의 축적에 의한 노하우를 통하여, 기존의 경험적 지식에 덧붙여 새로이 개정된 법조항만을 수작업으로 검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마찬가지로 이렇게 지어진 건축물의 심의에 있어서도 행정업무의 처리 방식이라는 것이 일일이 도면을 보고 비교해 보는 방식을 취해 왔던 것이다. 이는 법규의 개정이 잦은 현재의 현실을 감안해 볼 때 신뢰도의 측면이나 효율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반복되는 행위에 대한 인력낭비와 건축물 설계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건축과 관련한 일련의 프로세스에서 효율성의 배가와 설계지연의 방지 및 법규 개정에 대한 민첩한 대응이라는 차원에서 웹을 이용한 법규 검토 시스템의 자동화 구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건축법규 검토 서비스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개선하여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축하려는 데에 그 주요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이를 최근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과 연동하여 최신의 법규를 신속히 반영하고 사용자층을 확대하고 보다 나은 서비스를 모두에게 주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발명이 상용화 되기 위한 기술적인 과제는 地籍 데이터의 디지털 작업이 그 선행작업으로 요구 된다. 그리고, 2차원 디지털 지도는 이미 어느 정도 상용화 단계에 있으며, 이것이 3차원 작업까지 이루어 진다면 이러한 기본 자료를 바탕으로 건축법규와 관련한 모든 검토를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서비스가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면.
도 2은 도 1에 도시되어진 법규 검토 시스템의 해석엔진에서 하나의 법률적 항목을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은 첨부한 도면1, 2,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1>은 본 지능형 법규 검토 서비스가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지능형 건축법규 검토 시스템은 서비스를 받기 위한 사용자의 단말기(5)와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입력받은 자료를 건축법규 시스템으로 넘겨주고, 건축법규 시스템(1)으로부터 추출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보내주는 웹서버(4), 그리고 법규검토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법규검토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2), 법규해석 엔진(3), 업데이트 로봇(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기반으로 하여 수행되는 서비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단, 웹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는 대지의 주소를 입력한다(a). 이 단계에서는 이와 같이 가장 최소한의 자료만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이 발명의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하여 입력받은 기본적인 정보는 통신망을 통하여 웹서버(4)에서 수집을 하여 이를 다시 DB서버(2)로 전송을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서버측에서 미리 확보하고 있는 대지에 대한 DB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단계로서 그 역할을 한다.
한편, DB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지를 참조하여 건축법규분석에 필요한 해당 주소지의 정보(지역, 지구, 구역, 접도 길이 등)를 로드하고 이를 다시 법규해석의 변수로 환원한 후, 법규해석 엔진(3)내에 프로그래밍된 개체로 전송한다. 또한 검토된 결과는 USER DB로 전송되어 이후에 원하는 검색을 할 수 있도록 누적되며 수많은 건축법에서 변수로 작용하는 인자들은 공통된 변수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법규 검색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법규검토 시스템은 수시로 개정되는 법규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화된 업데이트 로봇(6)을 포함한다. 업데이트 로봇은 자체 알고리즘을 통해 법제처 서버(9)와 지적DB 센터(8), GIS DB 센터(7)를 검색하여 변경된 내용을 법규검토시스템으로 가져온다. 이 정보는 코드화 되어 DB서버내의 각 DB를 수정하고, 해석엔진의 프로그램 또한 변경한다.
다음 단계로 세부 사항 검토<도 2>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정보가 주소만으로 알 수 있는 검색을 넘어서는 즉 사용자의 보다 구체적인 변수들을 입력받게 되는데, 용적률의 경우를 예로 든 <도 2>의 경우 주소의 입력만으로 얻을 수 있는 기본 사항의 검토 출력에 이어서, 바닥면적, 건축면적, 거실로 사용하는 면적, 바닥면적의 총합, 주차 전용시설 유무,등의 세부 정보를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체크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사항을 입력받게 된다. 이와 같이 입력 받은 결과는 사용자 DB(2-1)로 저장되고 이는 법규 DB(2-4)로부터 프로그래밍된 개체에 의하여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값을 출력한다. 이러한 결과 용적률에 대한 세부검토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작동은 건축과 관련한 다른 법, 혹은 법조항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며, 따라서 건축법 내의 건폐율, 용적률, 용도변경, 용도검토, 대지분할, 심의, 높이제한, 방화구획, 내화구조, 출구, 계단, 승강기, 옥상광장, 조경, 공개공지, 주차장, 장애인 관련법 등 기타 모든 건축 관련 법규에 적용되어 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모든 검토 사항마다 일일이 모든 변수를 새로이 입력해야 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사용자가 입력한 변수들을 USER DB에 누적된 자료를 이용하여, 빈번히 요구되는 변수에 대한 사용자의 재입력의 과정을 생략하여 효율을 높이며, 모든 결과를 한번에 출력 받을 수 있다.
<도면 3>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웹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주소를 입력받으며, 주소의 입력은 전체의 주소를 직접적으로 입력하는 방법과 단계별로 선택해나가면서 주소를 입력받는 방법의 두 가지를 사용한다. 입력된 주소 정보를 토대로 GIS DB로부터는 해당주소의 지형에 대한 수치정보를 지적 DB에서는 해당주소에 현재 적용되고 있는 법률적 정보를 불러온다. 이 두가지 정보를 토대로 얻어낼 수 있는 모든 법규 항목에 대한 기본적인 법규의 검토사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각각의 법규 항목에 대한 기본적 법규 검토사항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세부적이고 심화된 법규 검토정보를 얻고자하는 해당 법규 항목을 선택하면 웹서버는 어느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법규해석엔진에게 알려주고, 법규 해석엔진은 세부적인 검토결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변수가 더 필요한지를 웹서버에 전달하고, 웹서버는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추가적인 변수값을 입력받는다. 사용자가 입력한 추가적인 변수값을 웹서버가 법규해석엔진에 전달하고 법규해석엔진은 이를 토대로 세부적인 검토결과를 산출하여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다른 법규항목을 선택하여 같은 과정을 통해 세부적인 검토사항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러가지 법규항목의 세부사항을 검토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변수들은 USER DB에 계속하여 기록이 되며, 다른 법규항목의 검토에 있어 이미 이전에 입력한 적이 있었던 변수의 경우에는 USER DB에서 참조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건축법규의 해석에 있어서 빈번히 사용되는 변수의 경우에 항상 재입력을 하지 않아도 되어 효율을 높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토대로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GIS를 통한 지적의 검색 및 대지 기본정보 습득
GIS를 토대로 지적의 형상, 대지 둘레의 길이 도로에 면한 길이, 용도지역지정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가시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주소만을 입력하는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로 가능한 서비스이다.
2. 건축법규의 검토
건물 설계시 필요한 기본 정보인 건폐율, 용적율, 높이제한을 비롯하여 건축물의 용도검토와 용도변경 가능여부 ,계단, 승강기, 대지분할, 공개공지, 조경 등 건축법에 관한 거의 모든 사항을 다루고 있으며 관련법으로 장애인과 각종 심의, 도시계획법, 주차장법, 수도권 정비 계획법, 도로법, 교통평가, 조례, 기타 관련법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여 모두 20~30여개의 건축의 프로세스와 관련한 모든 법 규정을 종합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들은 보다 구체적인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보다 추가적인 자료의 입력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입력된 자료들은 USER DB를 통하여 누적되며, 건축법에서의 특기할 사항인 여러 조항에 서로 맞물려서 제한을 받게되는 과정을 모두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3. 관련법규만을 추출한 원문서비스
사용자가 입력한 사항을 담고 있는 USER DB를 토대로 사용자의 입력사항과 관계가 있는 법규만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 역시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가 가능한 부분으로 이는 단순히 검색어에 의한 관련법규 검색의 기능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체크 항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법규들을 포괄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원문 서비스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4. 법규 검토 종합과 지적DB를 통합한 3차원 정보 제공
사용자는 지금까지의 검색의 모든 결과물을 토대로 하여 문서화 된 법규검토 종합 서비스를 제공 받음과 동시에 이를 토대로 하여 한계값을 보여주는 3차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건축 설계의 프로세스가 2차원 3차원의 도면을 위주로 작업과 시공이 이루어짐을 감안하여 실시하는 서비스로 발명의 응용 가능성이 큰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축법의 종합적인 DB와 지적에 관련한 DB를 토대로 하여 건축 프로세스의 가장 기초적인 초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어서 그 능률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건축물의 건축 이후의 사업성 검토와 같은 추가적인 서비스 사항 이전의 기본 자료로서 가장 까다로운 건축의 관련법 20~30여 종의 종합적인 분석을 지적 정보 DB와 GIS data 등과 연동하여 건축설계의 극한값(boundary)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건축 설계와 심의의 guide line을 제시한다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은 또한 기존의 방식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설계를 할 때, 건축관련법의 각 조항을 찾아가며 일일이 모든 사항을 체크해야 했던 불편을 덜고, 수시로 개정되는 건축관련법을 인터넷상에서 즉시 조회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와 시스템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Interacive한 건축법규정보(Building Code)제공에 그 커다란 효과를 강조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지적 정보 DB구축을 통한 서비스와 GIS 시스템에 있어서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건축이라는 그래픽적 요소가 중요한 시스템에서 실제적인 결과물을 그래픽으로 보여줄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각 대지가 현재 적용받고 있는 법규에 정확히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일종의 맞춤 서비스와 같은 것으로 이는 사용자로부터 일일이 정보를 입력받아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덜 수 있으며 한편으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표준화 시스템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수시로 개정되는 법률이라는 가변성에 대하여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수시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이러한 업데이트 과정에 있어서도 일일이 법조항을 따져 보는 비능률적인 시스템을 프로시저를 통하여 개정된 사항에 대한 프로시저의 업데이트로 반복되는 작업에 대한 업데이트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수작업의 수준에 그치는 토지관리와 지적관리 및 허가와 심의에 대해 새로운 변화를 유도하고 나아가서는 서울시 전체 혹은 전국에 걸쳐 확대 적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띠고 있다.

Claims (4)

  1. 건축 법규 검토를 시작함에 있어서 주소를 입력하는 가입자 단말기와;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해당 주소를 입력하는 단계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건축 법규에 관련한 모든 사항을 검토해 주는 건축 법규 검토 시스템.
  2. 건축 법규의 검토에 있어서 법규의 개정에 대응하도록 만드는 건축법규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WEB_ROBOT.
  3.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를 토대로 지적 정보 DB를 통해 법규해석을 위한 자료를 추출하는 시스템과 이의 기록 매체.
    이를 기반으로 하여 관련 법규를 모두 검토해 주는 시스템.
  4. 관련법규의 검색을 토대로 하여 건축설계가 가능한 영역을 3차원 정보를 반환해 주는 시스템과, 설계상의 여러 가지 요소들의 수 산정 및, 안내 시스템
KR1020000053640A 2000-09-08 2000-09-08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KR20000072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640A KR20000072561A (ko) 2000-09-08 2000-09-08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640A KR20000072561A (ko) 2000-09-08 2000-09-08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561A true KR20000072561A (ko) 2000-12-05

Family

ID=1968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640A KR20000072561A (ko) 2000-09-08 2000-09-08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25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482A (ko) * 2001-03-16 2001-08-21 이해동, 김준환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법령정보 제공 사업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102009651B1 (ko) 2018-09-13 2019-08-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관련 법령범위가 전산적으로 설정된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1308B1 (ko) 2018-10-31 2019-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KR102384931B1 (ko) * 2021-10-13 2022-04-08 최봉근 최신의 건축관계법률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건축 계획설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482A (ko) * 2001-03-16 2001-08-21 이해동, 김준환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법령정보 제공 사업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102009651B1 (ko) 2018-09-13 2019-08-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관련 법령범위가 전산적으로 설정된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1308B1 (ko) 2018-10-31 2019-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KR102384931B1 (ko) * 2021-10-13 2022-04-08 최봉근 최신의 건축관계법률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건축 계획설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81106B (zh) 一种融合处置机构网格语义的政务事件自动派单方法
CN116108169B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热线工单智能分派方法
KR102014648B1 (ko) 폐기물 수거 업체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Martinez Earthmover-simulation tool for earthwork planning
Lin et al. A vector-based spatial model for landfill siting
Demetriou et al. LandSpaCES: a spatial expert system for land consolidation
Laureri et al. An algorithm for the optimal collection of wet waste
Chan et al. Decision-making approach for the distribution centre location problem in a supply chain network using the fuzzy-based hierarchical concept
Weyrer et al. Intermodal door-to-door routing for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in a web-based, open-source platform
KR102184048B1 (ko)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Laurini et al. Technology 4.0 for buildings management: from building site to the interactive building book
KR20000072561A (ko) 웹을 이용한 지능형 법규 검토 시스템
Janela et al. Arc routing with trip-balancing and attractiveness measures—A waste collection case study
Bragança et al. Perspectives of building sustainability assessment
KR19980087704A (ko) 건축 컨설팅 서비스 시스템
US108249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e request entry configured for defining multiple excavation sites as part of a single locate request
Nnene et al. Application of metaheuristic algorithms to the improvement of the MyCiTi BRT network in Cape Town
Neisani Samani et al. Uncertainty modelling of citizen-centered group decision making using fuzzy-vikor case study: Site selection of healthcare services
House Circular economy
KR102021308B1 (ko)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CN112463871A (zh) 一种基于城市管理的两违整治信息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20020012733A (ko) 자동 건축 설계 및 자동 컨설팅을 위한 전문가시스템 및방법
Tecim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ourism planning and development
JP2006178940A (ja) ごみ収集カレンダー作成装置、ごみ収集カレンダー作成ソフトウエア、ごみ収集カレンダー情報作成システム及び情報端末装置
Balling et al. City planning with a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and a pareto set sc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