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373B1 -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373B1
KR101747373B1 KR1020160040170A KR20160040170A KR101747373B1 KR 101747373 B1 KR101747373 B1 KR 101747373B1 KR 1020160040170 A KR1020160040170 A KR 1020160040170A KR 20160040170 A KR20160040170 A KR 20160040170A KR 101747373 B1 KR101747373 B1 KR 101747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information
target
serv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균
조영선
홍승환
Original Assignee
한맥엔지니어링(주)
문정균
조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맥엔지니어링(주), 문정균, 조영선 filed Critical 한맥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6004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F17/3024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3Real estat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5Land develop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대상 토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토지가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상기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Methods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land and apparatuses for the same}
본 명세서는 토지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적전산자료란 지적공부에 관한 전산자료를 의미한다. 지적공부는 토지대장, 임야대장, 공유지연명부, 대지권등록부, 지적도, 임야도 및 경계점좌표등록부 등 지적 측양으로 조사한 토지의 표시와 해당 토지의 소유지등을 기록한 대장 및 도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존의 지적공부는 종이 문서 형태로 제작 및 관리되었으나, 현재는 전산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인 지적전산자료로 제작되어 관리되고 있다.
지적전산자료 중 하나인 지적측량파일은 지적측량을 통해 공부정리가 이루어지고 담당공무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된다. 반면 연속지적도는 국토이용정보체계에 사용되며, 각종 인허가,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토지이용규제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형도면고시, 도시계획선, 그리고 토목설계, 시공 등에 사용된다. 또한 지적측량파일을 이용하여 지적측량을 실시하면 그 결과가 연속지적도에 반영되여 갱신된다.
토지이용규제기본법(FARLU, FRAMEWORK ACT ON RESTRICTIONS ON LAND UTILIZATION, 2006)은 정부가 공공목적으로 사유지를 수용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개별법률에 의해 지역지구를 지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지구의 범위와 경계를 고시한 지도가 지적도 등의 갱신 지연으로 인해 법률에 의해 지정된 지역ㆍ지구가 무효 또는 취소가 무효 또는 취소가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방법은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방법은 토지정보 처리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대상 토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토지가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상기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서버로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나타내는 규제 판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서버로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인지를 나타내는 대상 판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토지가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상기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도면 고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토지가 상기 대상 토지가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상기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면적이 변경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경계가 변경될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지 이용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수치지적도가 변경되면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저장된 서버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서버로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토지의 면적 정보 및 토지의 경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방법은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에 해당하는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토지정보 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지정보는 지적측량파일 및 연속지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토지정보에서 필지 정보 및 도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 중 필지 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상기 필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 중 도곽 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상기 도곽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지정보는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2차원 이미지이고, 상기 필지 정보는 상기 2차원 이미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도곽 정보는 상기 2차원 이미지의 경계선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곽 매칭점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필지점 및 도곽 매칭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차원 이미지에서 식별 기호 및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토지정보에서 상기 대상 토지의 필지 정보인 제 1 필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서 상기 대상 토지의 필지 정보인 제 2 필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필지 정보에서 제 1 기준 필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필지 정보에서 상기 제 1 기준 필지점에 대응되는 제 2 기준 필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준 필지점의 정보를 상기 제 2 기준 필지점의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 필지점은 상기 제 2 필지 정보에 포함된 기준 필지점 중에서 상기 제 1 기준 필지점의 좌표와 가장 좌표값의 차이가 작은 기준 필지점일 수 있다.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토지정보에서 상기 대상 토지의 도곽 정보인 제 1 도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서 상기 대상 토지의 도곽 정보인 제 2 도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곽 정보에서 제 1 도곽 매칭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도곽 정보에서 상기 제 1 도곽 매칭점에 대응되는 제 2 도곽 매칭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도곽 매칭점의 정보를 상기 제 2 도곽 매칭점의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방치는 토지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토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토지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 토지가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상기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서버는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에 해당하는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토지정보 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를 갱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앞서 설명된 토지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방법은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함으로써,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이 자동으로 고시 자료에 반영되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시스템이 토지이용규제 대상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시스템이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 지역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이 아닌 경우에 토지정보를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인 경우에 토지정보를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서버의 토지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토지정보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토지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필지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곽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수치지적도에서 기준 필지점이 식별기호와 좌표로 표현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서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지역'이란 일단(一團)의 토지지역을 말한다. 지역의 의미에는 지역·지구·구역·권역·단지·도시·군계획시설 등 명칭에 관계없이 개발행위를 제한하거나 토지이용과 관련된 인가·허가 등을 받도록 하는 등 토지의 이용 및 보전에 관한 제한을 하는 일단(一團)의 토지지역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토지정보'는 토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며, '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토지정보는 지역에 관한 정보, 지구에 관한 정보, 구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시스템은 토지정보 처리장치(10)와 서버(20)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시스템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 그리고, 토지정보의 변경 내역 발생에 따라 토지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20). 먼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판단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를 결정한다(S310).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토지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 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토지 특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외부 단말로부터 토지 특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한다(S320).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시스템이 토지이용규제 대상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410). 실시 예에 따라,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만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대상토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대상 토지 중 어느 한 지점의 GPS 좌표계에 기초한 좌표값이거나, ITRF 좌표계에 기초한 좌표값일 수 있다. 또는 대상토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지적도상 대상 토지의 경계선 정보일 수 있으며, 적어도 경계선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을 나타내는 좌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서버는 수신한 토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한다(S420). 서버에는 토지의 목록과 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 또는 규제 대상지역이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매핑된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규제 대상지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정보와 규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규제 대상지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GPS 좌표계에 기초한 좌표값이거나, ITRF 좌표계에 기초한 좌표값일 수 있다.
서버는 이러한 매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수신한 토지정보에 포함된 좌표값이 규제 대상지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한 토지정보에 포함된 좌표값이 규제 대상지역경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경계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판별할 수 있다. 서버는 규제 대상지역에 속한다면 규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대상 토지의 규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는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나타내는 규제 판별 정보를 토지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430).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규제 판별 정보가 나타내는 값에 기초하여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한다(S330). 예를들어, 지적재조사사업은 기존의 지적공부를 디지털에 의한 새로운 지적공부로 대체함과 동시에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토지의 실제 현황과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이를 바로 잡기 위하여 실시하는 사업일 수 있다. 지적확정측량은 사업의 착수ㆍ변경 및 완료 사실을 지적소관청에 신고하기 위하여 토지의 표시를 새로 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지적측량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시스템이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 지역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510). 실시 예에 따라,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만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대상 토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도 4에서의 설명과 유사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는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 지역인지를 결정한다(S520). 서버에는 토지의 목록과 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인지 또는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이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매핑된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더하여, 서버에는 토지의 목록과 각 토지가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인지 또는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이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매핑된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는 이러한 매핑 데이터에 기반하여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 지역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는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 지역인지를 나타내는 대상 판별 정보를 토지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530).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상 판별 정보가 나타내는 값에 기초하여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 지역인지 또는 대상 지역이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예고 정보를 생성한다(S340).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 지역이고,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는 토지정보에 포함되는 1 비트의 플래그일 수 있다.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인지 아닌지에 따라 토지정보의 처리를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이 아닌 경우에 토지정보를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인지 아닌지를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이 아닌 경우, 기존 지형도면에 기반하여 지형도면을 고시할 수 있다. 즉,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별도의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바 없이 기존 지형도면에 기반하여 지형도면을 고시할 수 있다(S610). 그리고,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기존 지형도면에 기반하여 서버에 토지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즉,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별도의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바 없이 기존 지형도면에 기반하여 서버에 토지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620). 여기서 서버는 국토이용정보체계 중 하나인 토지이용규제 시스템(Land Use Regulaton System; LURIS)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토지에 대한 사업 시행 및 준공 절차는 기존 지형도면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인 경우에 토지정보를 처리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사업 지역인 경우,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지형도면을 고시할 수 있다(S710). 여기서 부가 정보는 대상 토지가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의 대상 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지적확정측량사업의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는 지형도면에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사업 지역이 좌표 및 식별기호로 도시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수치지적도(710)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720)를 포함하여 지형도면(700)을 고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을 다른 지역과는 다른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지역이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을 고시할 때, 수치지적도 내에 대상 지역의 좌표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을 나타내는 경계선에 해당 지역의 좌표를 표시할 수 있다. 더하여,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좌표가 적용되는 경계점을 나타내는 식별 기호를 좌표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좌표는 GPS 좌표계에 기초한 좌표값이거나, ITRF 좌표계에 기초한 좌표값일 수 있다.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도7b의 예와 같이 경계선의 연속 방향이 변경되는 변곡점에만 좌표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7c의 예와 같이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의 모든 경계에 좌표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여 서버에 토지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720). 여기서 부가 정보는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수치지적도에서 대상 토지의 면적 및 경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토지 이용 정보 관리 서버, 국토이용정보체계 중 하나인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Land Use Regulaton Information System; LURIS) 또는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발급 시스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LURIS 및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발급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등록된 지역별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표시는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부가정보를 포함하여 토지정보를 서버에 등록함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더하여, LURIS 및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발급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지역별로 등록된 토지 면적 또는 경계 변경 예정 표시도 자동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서버는 도 7b 및 도 7c와 같이 토지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토지정보 변경 내역 발생에 따라 토지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도 7a의 설명에 따라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서버에 토지 정보를 등록하기 위하여도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서버의 토지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토지정보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S810).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사업의 시행 또는 준공 과정에서 지적의 분할등이 발생하면 토지정보가 변경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지적재조사사업 또는 지적확정측량사업이 시행 또는 준공되어 신규 수치지적도가 제작됨에 따라 지적도상 토지의 면적 또는 경계등이 변경되면 토지정보가 변경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또는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 지역이고,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해당 지역의 신규 수치지적도가 입력된 경우 해당 토지의 토지정보가 변경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또는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 지역이고,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대상토지의 토지정보가 변경되었음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대상 토지의 수치지적도가 서버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토지정보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신규 수치지적도가 입력된 경우 기존 수치지적도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서버로부터 대상 토지의 제 1 토지정보를 수신한다(S910). 다음으로,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에 대하여 제 2 토지정보를 획득한다(S920). 예를 들어,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토지에 대한 제 2 토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다른 토지정보 처리장치로부터 대상 토지에 대한 제 2 토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토지정보는 대상 토지의 지적 분할 이후에 생성된 토지정보거나, 신규 수치지적도 생성 이후에 생성된 토지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토지정보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S930).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제 1 토지정보와 제 2 토지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동일하지 않은 경우 토지정보가 변경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하여 새로이 입력된 수치지적도가 기존 수치지적도와 상이하면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서버로 전송한다(S820). 예를 들어,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제 2 토지정보일 수 있다.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토지의 면적 정보 및 토지의 경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대상 토지의 수치지적도일 수 있다.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는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토지정보를 갱신한다(S830). 여기서 서버는 지적 공부 및 부동산 종합 공부 시스템(KRAS) 또는 한국 토지정보 시스템(KLIS)일 수 있다. 그리고 갱신되는 토지정보는 지적 전산 자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치지적도, 지적측량파일(Central Information File; CIF) 또는 연속지적도(serial cadastral map)일 수 있다.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토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토지의 정보가 저장된 서버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토지와 각 토지의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토지에 대응되는 서버로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토지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필지와 도곽을 분리하여 토지정보를 갱신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토지정보에서 필지 정보 및 도곽 정보를 분리한다(S1010). 다음으로, 서버는 대상 데이터가 필지 데이터인지를 판별한다(S1020). 서버는 대상 데이터가 필지 정보인 경우, 인접 필지점을 탐색한다(S1030). 다음으로, 서버는 인접 필지점을 기준으로 필지를 접합한다(S1040).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필지 정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node)로 표현된 기준 필지점과, 기준 필지점들을 잇는 간선(edge)인 필지 분할 경계선으로 표현되는 2차원 이미지일 수 있으며, 수치지적도로 표현될 수 있다. 기준 필지점은 도7b의 예와 같이 경계선의 연속 방향이 변경되는 변곡점일 수 있다.
먼저 서버는 기 저장된 토지정보에서 토지정보 갱신 대상 토지의 기존 필지 정보인 제 1 필지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서버는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서 대상 토지의 신규 필지 정보인 제 2 필지 정보를 획득한다. 제 2 필지 정보에는 신규 분할 경계 및 수치지적도의 필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S1310).
다음으로, 서버는 필지 데이터에서 기준 필지점을 탐색하고 정렬한다(S1320). 도 11에는 제 1 기준 필지점이 a1, a2 내지 an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 2 기준 필지 점이 A1, A2 내지 An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준 필지점과 제 2 기준 필지점이 탐색될 수 있다.
서버는 제 1 필지 정보에서 제 1 기준 필지점을 결정하고, 제 2 기준 필지점 중에서 제 1 기준 필지점에 대응되는 제 2 기준 필지점을 결정함으로써 각 기준 필지점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서버는 제 2 필지 정보에 포함된 기준 필지점 중에서 제 1 기준 필지점의 좌표와 가장 좌표값의 차이가 유클리드 거리 이론에 기초하여 가장 작은 기준 필지점을 제 1 기준 필지점에 대응되는 제 2 기준 필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 제 1 기준 필지점 a1, a2, an에 대응되는 제 2 기준 필지점은 A1, A2, An으로 결정된다.
다음으로, 서버는 제 1 기준 필지점과 제 2 기준 필지점이 동일점인지를 판단한다(S1330). 도 11에서 제 1 기준 필지점을 기준으로 도시된 원과 같이, 제 1 기준 필지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제 2 기준 필지점이 위치하면 제 1 기준 필지점과 제 2 기준 필지점이 동일점인 것으로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는 제 1 기준 필지점의 정보를 제 2 기준 필지점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서버는 제 1 기준 필지점을 제 2 기준 필지점의 위치로 접합할 수 있다(S1340). 도 12는 서버가 제 1 기준 필지점 an의 정보를 제 2 기준 필지점 An의 정보로 갱신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2와 같이 서버는 제 1 기준 필지점의 정보를 제 2 기준 필지점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는 갱신된 기준 필지점들의 정보에 따라 필지 정보를 수정한다(S1350).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는 대상 데이터가 도곽 정보인 경우 도곽 경계를 탐색한다(S1050). 다음으로, 서버는 도곽 경계를 매칭한다(S1060). 다음으로, 서버는 도곽 경계를 접합한다(S1070).
서버는 신규 지적 분할 경계 또는 지적 재조사 또는 지적 확정에 의한 신규 수치지적도를 기준으로 기존의 수치지적도의 도곽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서버는 대축척을 기준으로 도곽을 수정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서버는 기 저장된 토지정보에서 토지정보 갱신 대상 토지의 기존 도곽 정보인 제 1 도곽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서버는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서 대상 토지의 신규 도곽 정보인 제 2 도곽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들어, 제 2 도곽 정보는 신규 분할 경계 및 수치지적도의 도곽 정보다(S1510).
다음으로, 서버는 도곽 정보에서 도곽 매칭점을 탐색하고 정렬한다(S1520). 도 14의 예에는 제 1 도곽 매칭점이 a1, a2 내지 an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 2 도곽 매칭점이 A1, A2 내지 An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곽 매칭점과 제 2 도곽 매칭점이 탐색될 수 있다.
서버는 제 1 도곽 정보에서 제 1 도곽 매칭점을 결정하고, 제 2 도곽 매칭점 중에서 제 1 도곽 매칭점에 대응되는 제 2 도곽 매칭점을 결정함으로써 각 도곽 매칭점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서버는 제 2 도곽 정보에 포함된 도곽 매칭점 중에서 제 1 도곽 매칭점의 좌표와 좌표값의 차이가 유클리드 거리 이론에 기초하여 가장 작은 도곽 매칭점을 제 1 도곽 매칭점에 대응되는 제 2 도곽 매칭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 제 1 도곽 매칭점 a1, a2, an에 대응되는 제 2 도곽 매칭점은 A1, A2, An으로 결정된다.
다음으로, 서버는 제 1 도곽 매칭점과 제 2 도곽 매칭점이 동일점인지를 판단한다(S1530). 도 11에서 제 1 도곽 매칭점을 기준으로 도시된 원과 같이, 제 1 도곽 매칭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제 2 도곽 매칭점이 위치하면 제 1 도곽 매칭점과 제 2 도곽 매칭점이 동일점인 것으로 서버는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는 제 1 도곽 매칭점의 정보를 제 2 도곽 매칭점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서버는 제 1 도곽 매칭점을 제 2 도곽 매칭점의 위치로 접합할 수 있다(S1540). 이에 따라 서버는 제 1 도곽 매칭점의 정보를 제 2 도곽 매칭점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는 갱신된 도곽 매칭점들의 정보에 따라 토지정보를 수정한다(S1350).
도 16 내지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도곽 매칭을 수행하기 전과 후를 설명하는 예이다. 신규 수치지적도에 따라 도곽이 변경됨에 따라 도 16의 수치지적도에 도시되는 기준 필지점 1610 내지 1630의 위치는 도 17의 수치지적도에서 도시되는 기준 필지점 1710 내지 1730으로 변경된다.
서버는 이와 같이 갱신된 토지정보에 기초하여 지역의 경계 및 면적을 자동 계산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서버는 갱신된 수치지적도에 기반하여, 각 필지의 경계와 면적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지정보는 대상 토지에 대한 2차원 이미지 일 수 있다. 예를들어 토지정보는 수치지적도일 수 있다. 필지 정보는 2차원 이미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필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도곽 정보는 2차원 이미지의 경계선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곽 매칭점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필지점 및 도곽 매칭점 중 적어도 하나는 2차원 이미지에서 식별 기호 및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8은 수치지적도에서 기준 필지점이 식별기호와 좌표로 표현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1900)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토지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1910)와 토지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토지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하고,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인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19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토지정보 처리장치는 서버로 대상 토지의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나타내는 규제 판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서버로 대상 토지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는 서버로부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인지 및/또는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인지를 나타내는 대상 판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 및/또는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이고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도면 고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대상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 대상토지의 토지 면적이 변경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대상토지의 토지 경계가 변경될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지 이용 정보 관리 서버로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대상 토지에 대한 수치지적도가 변경되면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서버(2000)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통신부(2010) 및 프로세서(20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10)는 지적재조사 사업 및 지적확정측량 사업 중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에 해당하는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토지정보 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0)는 대상토지의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토지정보에서 필지 정보 및 도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토지정보 변경 내역 중 필지 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필지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토지정보 변경 내역 중 도곽 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도곽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토지정보는 대상 토지에 대한 2차원 이미지이고, 필지 정보는 2차원 이미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고, 도곽 정보는 2차원 이미지의 경계선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곽 매칭점을 포함하며, 기준 필지점 및 도곽 매칭점 중 적어도 하나는 2차원 이미지에서 식별 기호 및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토지정보에서 대상 토지의 필지 정보인 제 1 필지 정보를 획득하고,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서 대상 토지의 필지 정보인 제 2 필지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필지 정보에서 제 1 기준 필지점을 결정하고, 제 2 필지 정보에서 제 1 기준 필지점에 대응되는 제 2 기준 필지점을 결정하며, 제 1 기준 필지점의 정보를 제 2 기준 필지점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토지정보에서 대상 토지의 도곽 정보인 제 1 도곽 정보를 획득하고,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서 대상 토지의 도곽 정보인 제 2 도곽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도곽 정보에서 제 1 도곽 매칭점을 결정하며, 제 2 도곽 정보에서 제 1 도곽 매칭점에 대응되는 제 2 도곽 매칭점을 결정하고, 제 1 도곽 매칭점의 정보를 제 2 도곽 매칭점의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토지정보 처리 시스템의 토지정보 처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에 따라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참조된 도면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각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의 항목, 내용과 이미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토지정보 처리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대상 토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대상 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나타내는 규제 판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인지를 나타내는 대상 판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토지는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임을 상기 규제 판별 정보가 나타내고, 상기 대상 토지는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임을 상기 대상 판별 정보가 나타내면,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하여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임을 나타내는 예고 정보를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생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제1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는 제1 필지 정보로 획득되고,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상기 서버에서 제2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는 제2 필지 정보로 획득되며,
    상기 제2 기준 필지점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필지점과의 차이가 유클리드 거리 이론에 기초하여 가장 작은 기준 필지점이 상기 제1 기준 필지점에 대응되는 제2 기준 필지점으로 결정되며, 상기 차이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기준 필지점은 상기 제1 기준 필지점과 동일점인 것으로 결정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토지는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지역임을 상기 예고 정보가 나타내면, 상기 대상 토지는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하나의 사업의 대상 지역임을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지형도면을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토지는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임을 상기 규제 판별 정보가 나타내고, 상기 대상 토지는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임을 상기 대상 판별 정보가 나타내면, 상기 대상 토지가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지역임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면적이 변경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경계가 변경될 예정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토지 이용 정보 관리 서버로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수치지적도가 변경되면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저장된 서버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서버로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가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토지의 면적 정보 및 토지의 경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10.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토지정보 처리장치로부터 토지를 특정하는 토지 특정 정보를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토지 특정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규제 판별 정보를 상기 서버가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면,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대상 판별 정보를 상기 서버가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토지 정보 변경 내역에 따른 토지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 여부는 토지이용규제 대상 지역이 기록된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인지 여부는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이 기록된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인지 여부는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이 기록된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에 해당하는 토지에 대하여 신규 수치지적도가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에 입력된 경우에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제1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는 제1 필지 정보로 획득되고,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상기 서버에서 제2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는 제2 필지 정보로 획득되며,
    상기 제2 기준 필지점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필지점과의 차이가 유클리드 거리 이론에 기초하여 가장 작은 기준 필지점이 상기 제1 기준 필지점에 대응되는 제2 기준 필지점으로 결정되며, 상기 차이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기준 필지점은 상기 제1 기준 필지점과 동일점인 것으로 결정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정보는 지적측량파일 및 연속지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토지 정보 변경 내역에 따른 토지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정보에서 필지 정보 및 도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 중 필지 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상 토지의 필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지 정보 변경 내역에 따른 필지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 중 도곽 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상 토지의 도곽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도곽 정보 변경 내역에 따른 도곽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정보는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한 2차원 이미지이고,
    상기 필지 정보는 상기 2차원 이미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도곽 정보는 상기 2차원 이미지의 경계선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곽 매칭점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필지점 및 상기 도곽 매칭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차원 이미지에서 식별 기호 및 좌표로 표현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토지 정보 변경 내역에 따른 토지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에서 상기 대상 토지의 필지 정보인 제 1 필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서 상기 대상 토지의 필지 정보인 제 2 필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필지 정보에서 제 1 기준 필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 2 필지 정보에서 상기 제 1 기준 필지점에 대응되는 제 2 기준 필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기준 필지점의 정보를 상기 제 2 기준 필지점의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토지 정보 변경 내역에 따른 토지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에서 상기 대상 토지의 도곽 정보인 제 1 도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서 상기 대상 토지의 도곽 정보인 제 2 도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도곽 정보에서 제 1 도곽 매칭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 2 도곽 정보에서 상기 제 1 도곽 매칭점에 대응되는 제 2 도곽 매칭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 1 도곽 매칭점의 정보를 상기 제 2 도곽 매칭점의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지정보 처리 방법.
  18.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대상 토지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 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를 나타내는 규제 판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인지를 나타내는 대상 판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대상 토지는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임을 상기 규제 판별 정보가 나타내고, 상기 대상 토지는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임을 상기 대상 판별 정보가 나타내면, 상기 대상 토지에 대하여 신규 수치지적도 제작 대상 지역임을 나타내는 예고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 토지의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제1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는 제1 필지 정보로 획득되고,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상기 서버에서 제2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는 제2 필지 정보로 획득되며,
    상기 제2 기준 필지점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필지점과의 차이가 유클리드 거리 이론에 기초하여 가장 작은 기준 필지점이 상기 제1 기준 필지점에 대응되는 제2 기준 필지점으로 결정되며, 상기 차이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기준 필지점은 상기 제1 기준 필지점과 동일점인 것으로 결정되는 토지정보 처리장치.
  19. 토지를 특정하는 토지 특정 정보를 토지정보 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규제 판별 정보 및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대상 판별 정보를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토지 특정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이면,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규제 판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면,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및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임을 나타내는 대상 판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정보 변경 내역을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토지 정보 변경 내역에 따른 토지 정보로 갱신하고,
    상기 대상 토지가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인지 여부는 토지이용규제 대상 지역이 기록된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인지 여부는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이 기록된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되고,
    상기 대상 토지가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인지 여부는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이 기록된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대상지역 매핑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상기 지적재조사사업 및 상기 지적확정측량사업 중 적어도 어느 한 사업의 대상지역이고 상기 토지이용규제 대상지역에 해당하는 토지에 대하여 신규 수치지적도가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에 입력된 경우에 상기 토지정보 처리장치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대상 토지의 토지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제1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는 제1 필지 정보로 획득되고,
    상기 토지정보 변경 내역은 상기 서버에서 제2 기준 필지점을 포함하는 제2 필지 정보로 획득되며,
    상기 제2 기준 필지점 중에서 상기 제1 기준 필지점과의 차이가 유클리드 거리 이론에 기초하여 가장 작은 기준 필지점이 상기 제1 기준 필지점에 대응되는 제2 기준 필지점으로 결정되며, 상기 차이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기준 필지점은 상기 제1 기준 필지점과 동일점인 것으로 결정되는 서버.
  20. 제1항, 제4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5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040170A 2016-04-01 2016-04-01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747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70A KR101747373B1 (ko) 2016-04-01 2016-04-01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70A KR101747373B1 (ko) 2016-04-01 2016-04-01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373B1 true KR101747373B1 (ko) 2017-06-15

Family

ID=5921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70A KR101747373B1 (ko) 2016-04-01 2016-04-01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3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308B1 (ko) 2018-10-31 2019-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KR102269545B1 (ko) * 2021-02-22 2021-06-28 전라북도 정읍시 지적정보 이력을 활용한 수치화된 측량정보 분석 기능의 성과검사 시스템
KR102578638B1 (ko) * 2022-11-30 2023-09-18 주식회사 유오케이 고정밀 3차원 지적도 구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72B1 (ko) * 2008-07-08 2010-12-06 한국수자원공사 토지정보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72B1 (ko) * 2008-07-08 2010-12-06 한국수자원공사 토지정보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308B1 (ko) 2018-10-31 2019-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번정보 연계한 건축물 시설기준 정보검색 시스템
KR102269545B1 (ko) * 2021-02-22 2021-06-28 전라북도 정읍시 지적정보 이력을 활용한 수치화된 측량정보 분석 기능의 성과검사 시스템
KR102578638B1 (ko) * 2022-11-30 2023-09-18 주식회사 유오케이 고정밀 3차원 지적도 구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6974A1 (en) Location Based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Sales And Use Tax
JP6288648B2 (ja) 移動経路の生成、管理及び共有方法、並びにその装置
US10006774B2 (en) Method of resolving a point location from encoded data representative thereof
US10928218B2 (en) Map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rrection of geodata
US9110982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btaining crowd-sourced location information
US9497581B2 (en) Incident reporting
US9589259B2 (en) Location based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sales and use tax
US20130027427A1 (en) Associating Digital Images with Waypoints
KR101747373B1 (ko) 토지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413011B1 (ko) 위치 정보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US11910185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privacy protection based on geofence networks
US20230334850A1 (en) Map data co-registration and localization system and method
CN102638657A (zh) 信息处理设备和成像区域共享确定方法
JP2017156179A (ja) 設備状態検出方法および装置の設置方法
JPWO2016031229A1 (ja) 道路地図作成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車載装置
US9418351B2 (en) Automated network inventory using a user device
JP2014069907A (ja) 宅配配送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032914B (zh) 导航系统
US20150248192A1 (en) Semi-Automated Generation of Address Components of Map Features
Zein Fit-For-Purpose Land Administration: An implementation model for cadastre and land administration systems
KR20120092346A (ko) 전자 지도 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303048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map data
WO2014174649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表示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8142858A (ja)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第1電子装置
JP7412118B2 (ja) 台帳作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