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165B1 - 타이어 유지 기구 및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 Google Patents

타이어 유지 기구 및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165B1
KR101034165B1 KR1020080134631A KR20080134631A KR101034165B1 KR 101034165 B1 KR101034165 B1 KR 101034165B1 KR 1020080134631 A KR1020080134631 A KR 1020080134631A KR 20080134631 A KR20080134631 A KR 20080134631A KR 101034165 B1 KR101034165 B1 KR 101034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upport
flange
lock shaft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929A (ko
Inventor
요시카츠 히네노
도시후미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33After-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vulcanising tyres
    • B29D30/0643Cooling during post cure inflation; Post cure inflators used therefor

Abstract

본 타이어 유지 기구는, 외부 설비와의 사이에서 타이어의 수수(授受)를 함과 함께, 상기 타이어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와,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제 1 지지체는 타이어의 일방측의 제 1 비드를 지지하는 대략 고리형의 제 1 플랜지와, 로크 기구를 갖고, 상기 제 1 플랜지의 축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그 제 1 플랜지를 상기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하는 로크 샤프트와, 상기 제 1 플랜지를 상기 로크 샤프트의 기단측에서 걸리게 하는 스토퍼를 갖는다. 제 2 지지체는 상기 타이어의 타방측의 제 2 비드를 지지하는 대략 고리형의 제 2 플랜지와, 상기 로크 기구가 걸림 이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어맞춤부를 갖는다. 이동 수단은 상기 제 1 지지체를 타이어 유지 위치와 타이어 수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타이어 유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진다.
가황기, 타이어 유지 기구,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Description

타이어 유지 기구 및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TIRE HOLDING MECHANISM AND POST CURE INFLATOR}
(관련 출원과의 상호 참조)
본원은 2008년 6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08-155375 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타이어의 수수 및 유지를 실시하는 타이어 유지 기구, 그리고 그 타이어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의 냉각을 실시하는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는, 미가황 타이어를 가황기의 금형 내에 있어서 소정 압력 소정 온도에서 유지하면서 가황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가황 처리 직후의 타이어는 온도가 높고 부드러우므로, 자중(自重)에 의해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냉각에 수반하여 수축될 가능성도 있다. 그 때문에, 가황기에는 가황 처리 직후의 타이어를 타이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냉각시키는 처리, 이른바 인플레이트 처리를 실시하는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PCI) 가 병설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 가황기와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사이에는 로더가 형성되어 있고, 가황 처 리 직후의 타이어는 로더에 의해 가황기로부터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로 수수된다.
구체적으로는,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는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의 일방측의 제 1 비드를, 외측 림을 개재하여 지지하는 외측 림 장착 플랜지 (제 1 플랜지) 와,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의 타방측의 제 2 비드를 내측 림을 개재하여 지지하는 내측 림 장착 플랜지 (제 2 플랜지) 를 갖고 있다. 내측 림 장착 플랜지가 장착된 중통 (걸어맞춤부) 에는 외측 림 장착 플랜지가 장착되어 돌출되는 로크 샤프트가 삽입된다. 중통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갈고리가 로크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로크 갈고리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외측 림 장착 플랜지와 내측 림 장착 플랜지가 일체화된다. 이로써, 양 플랜지 사이에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가 유지된다.
외측 림 장착 플랜지 및 로크 샤프트가 이동 장치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로더에 의해 고정되는 내측 림 장착 플랜지에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가 설치된다. 외측 림 장착 플랜지 및 로크 샤프트가 이동 장치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걸어맞춤 갈고리가 로크 갈고리와 걸어맞춰짐으로써,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가 원하는 폭 치수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그 후, 유지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는 인플레이트 처리된다.
제조해야 할 타이어의 폭 치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내측 림 장착 플랜지가 장착된 중통의 축방향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걸어맞춤 갈고리가 로크 샤프트와 걸어맞춰진 상태에 있어서의 외측 림 장착 플랜지와 내측 림 장착 플랜지의 간격이 조정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2670251호를 참조).
상기와 같은 가황기 및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가황기와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사이에 로더를 형성할 필요가 있고, 로더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가황기와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사이에서 로더를 개재하여 타이어의 수수를 실시하기 위하여, 가황기에는 금형을 대피시킬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또한,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에는 외측 림 장착 플랜지 및 로크 샤프트를 대피시킬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유지 기구에 가황 처리 후의 타이어를 수취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045053호를 참조). 구체적으로는, 이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는 착탈측 림 금형이 장착된 외측 림 장착 플랜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수단과, 그 결합 수단이 선단에 형성된 회전 운동 아암을 갖는 타이어 급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 수단에 외측 림 장착 플랜지를 결합시키고, 회전 운동 아암을 회전시켜 외측 림 장착 플랜지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황기의 금형 (201) 에 수용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202A) 를 수취할 수 있다.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202A) 를 수취한 후에는, 회전 운동 아암을 회전시켜 외측 림 장착 플랜지를 다시 이동시킴으로써, 외측 림 장착 플랜지와 내측 림 장착 플랜지가 일체화된다. 이로써, 양 플랜지 사이에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가 유지되어, 인플레이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장치에서는, 외측 림 장착 플랜지를 이동시킴으로써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를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로더는 불필요하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4045053호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해야 하는 타이어의 폭 치수가 작은 경우에는, 금형 (201) 에 수용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202B) 를 수취할 때에, 로크 샤프트 (203) 가 금형 (201) 의 저면 (201a) 이나, 금형 중심부에 설치되는 도시 생략된 중심 기구와 간섭한다. 폭이 작은 타이어에 맞추어 로크 샤프트 (203) 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내측 림 장착 플랜지가 장착되는 걸어맞춤부를 돌출시킬 필요가 있다. 제조해야 하는 타이어의 폭 치수를 크게 하는 경우에도, 걸어맞춤부를 돌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폭 치수의 대소에 상관없이, 타이어를 지장 없이 수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타이어를 원하는 폭 치수로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타이어 유지 기구 및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 유지 기구는, 외부 설비와의 사이에서 타이어의 수수를 함과 함께, 상기 타이어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와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제 1 지지체는, 타이어의 일방측의 제 1 비드를 지지하는 대략 고리형의 제 1 플랜지와, 로크 기구를 갖고, 상기 제 1 플랜지의 축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그 제 1 플랜지를 상기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하는 로크 샤프트와, 상기 제 1 플랜지를 상기 로크 샤프트의 기단측에서 걸리게 하는 스토퍼를 갖는다. 제 2 지지체는, 상기 타이어의 타방측의 제 2 비드를 지지하는 대략 고리형의 제 2 플랜지와, 상기 로크 기구가 걸림 이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어맞춤부를 갖는다. 이동 수단은, 상기 제 1 지지체를 타이어 유지 위치와 타이어 수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타이어 유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진다.
본 발명의 타이어 유지 기구에 의하면, 이동 수단에 의해 제 1 지지체를 타이어 수수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타이어의 수수를 실시할 수 있 다. 여기서, 제 1 지지체의 제 1 플랜지를 로크 샤프트의 선단측으로 진출시킴으로써, 로크 샤프트의 제 1 플랜지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양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타이어 수수 위치에 있어서, 로크 샤프트의 타이어의 중심에 삽입되는 양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제 1 플랜지에 의해 타이어의 제 1 비드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로크 샤프트가 지장이 되지 않고, 외부와 타이어의 수수를 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를 유지할 때에는, 이동 수단에 의해 제 1 지지체를 타이어 유지 위치까지 이동시킴과 함께, 제 1 지지체의 제 1 플랜지를 로크 샤프트의 기단측으로 후퇴시킴으로써, 로크 샤프트의 제 1 플랜지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로크 샤프트의 로크 기구를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가 일체화된다. 이로써,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 사이에서 타이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플랜지가 스토퍼에 걸려 제 1 플랜지가 고정된다.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의 거리와 동등한 폭 치수로 타이어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유지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체는 상기 제 1 플랜지보다 상기 로크 샤프트의 기단 근처에 형성되고, 상기 로크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플랜지에 상기 타이어를 걸리게 하는 걸림 부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이어 수수 위치에 있어서, 걸림 부재를 직경 방향 내방으로 폐쇄함으로써, 제 1 지지체는 로크 샤프트를 타이어의 중심에 삽입함과 함께 제 1 플랜지로 일방측의 비드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걸림 부재를 직경 방향 외방으로 개방함으로써, 제 1 플랜지에 지지된 타이어의 일방측의 비드를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타이어 수수 위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타이어를 보다 확실하게 수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유지 기구는,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걸어맞춤부에 이탈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로크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이어 유지 위치에 있어서, 전환 수단에 의해 로크 샤프트의 로크 기구와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으로써, 제 1 지지체를 제 2 지지체와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전환 수단에 의해 걸림 부재를 개폐시킴으로써, 타이어 수수 위치에 있어서 타이어를 걸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전환 수단에 의해, 제 1 지지체와 제 2 지지체의 착탈을 실시함과 함께 걸림 부재의 개폐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걸림 부재의 개폐를 실시하는 수단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기구 전체의 소형화,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외부로부터 확실하게 타이어를 수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는, 상기 타이어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체와 상기 제 2 지지체에 의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를 유지하면서, 상기 타이어를 냉각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반송 수단을 형성할 필요 없이, 타이어 유지 기구에 의해 가황기로부터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를 수취하여 유지하고, 인플레이트 처 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트 처리 후의 타이어를 외부로 건넬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 유지 기구에 의하면, 제 1 플랜지가 로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제 1 지지체가 스토퍼를 가지므로, 어떠한 폭 치수의 타이어라도 지장 없이 수수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폭 치수의 타이어라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에 의하면, 어떠한 폭 치수의 타이어도 확실하게 유지하여 인플레이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반송 수단을 형성하지 않고, 외부 설비와의 사이에서 타이어의 수수를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함과 함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황기 (1) 는, 도시 생략된 외부 설비로부터 반입된 미가황 타이어 (T1) 를 가황하는 가황기 본체 (2) 와, 가황기 본체 (2) 에 의해 가황 처리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인플레이트 처리하는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이하, PCI 이라고 부른다) (30) 를 구비하고 있다. 가황기 본체 (2) 및 PCI (30) 는 바닥면 (F) 상에 병설되어 있다.
프레임 (3) 은 바닥면 (F) 상에 세워 형성되는 3 개의 포스트재 (3a, 3b, 3c) 와, 포스트재 (3a, 3b, 3c) 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 빔재 (3d) 와, 포스트재 (3a, 3c)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빔재 (3e) 와, 포스트재 (3b, 3c)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빔재 (3f) 를 포함하고 있다. 가황기 본체 (2) 의 하부 금형 (5) 은 하부 빔재 (3e) 에 지지되고, PCI (30) 에 포함되는 이동 수단 (70) 인 제 2 이동부 (73) 는 하부 빔재 (3f) 에 지지되어 있다.
가황기 본체 (2) 는 미가황 타이어 (T1) 를 수용하는 상부 금형 (4) 및 하부 금형 (5) 과, 상부 금형 (4) 을 상하 방향 X 로 이동시키는 승강 수단 (6) 과, 외부 설비로부터 미가황 타이어 (T1) 를 반입하는 반입 수단 (7) 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금형 (5) 은 하부 빔재 (3e) 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 수단 (6) 은 승강 가이드부 (8) 와, 금형 지지부 (9) 와, 금형 지지부 (9) 를 상하 방향 X 로 이동시키는 금형 구동부 (10) 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가이드부 (8) 는 프레임 (3) 의 가이드 부재 (3g) 에 지지되고, 수평 방향 Y 로 이동 가능하다. 금형 지지부 (9) 는 승강 가이드부 (8) 에 지지되고, 상하 방향 X 로 이동 가능하다. 금형 지지부 (9) 는 상하 방향 X 로 연장되는 1 쌍의 승강 슬라이더 (9a) 와, 금형 지지판 (9b) 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금형 (4) 은 금형 지지판 (9b) 에 장착되어 있다. 승강 가이드부 (8) 는 가이드 부재 (3g) 상에 세워 형성된 1 쌍의 승강 가이드 본체 (8a) 와, 승강 가이드 본체 (8a) 에 형성된 4 개의 가이드 부재 (9c) 를 구비하고 있다. 일방의 승강 가이드 본체 (8a) 의 상단 및 하단에 가이드 부재 (9c) 가 하나씩 배치되고, 타방의 승강 가이드 본체 (8a) 의 상단 및 하단에도 가이드 부재 (9c) 가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승강 슬라이더 (9a) 는 가이드 부재 (9c) 를 따라 상하 방향 X 로 이동 가능하다.
금형 승강 구동부 (10) 는 실린더 (10a) 와, 피스톤 로드 (10b) 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10a) 는 승강 가이드부 (8) 에 지지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 (10b) 의 하단은 금형 지지판 (9b) 에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 (10b) 는 상하 방향 X 로 구동된다. 피스톤 로드 (10b) 가 실린더 (10a) 로부터 돌출되면, 상부 금형 (4) 이 하강하여 하부 금형 (5) 과 결합되고, 피스톤 로드 (10b) 가 실린더 (10a) 로 끌어당겨지면, 상부 금형 (4) 이 상승하여 하부 금형 (5) 으로부터 이간된다.
반입 수단 (7) 은 미가황 타이어 (T1) 를 파지하는 파지부 (11) 와, 파지부 (11) 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타이어 승강부 (12) 를 구비하고 있다. 타이어 승강부 (12) 는 지지 부재 (12a) 와, 슬라이드 부재 (12b) 와, 구동부 (12c) 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 (12a) 는 금형 지지부 (9) 의 금형 지지판 (9b) 상에 세워 형성되고, 상하 방향 X 로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 (12b) 는 지지 부재 (12a) 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 (12b) 에는 파지부 (11) 가 고정되어 있다.
구동부 (12c) 는 실린더 (12d) 와 피스톤 로드 (12e) 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12d) 는 지지 부재 (12a) 에 지지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 (12e) 의 하단은 파지부 (11) 에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 (12e) 는 상하 방향 X 로 구동된다. 피스톤 로드 (12e) 가 실린더 (12d) 로부터 돌출되면, 파지부 (11) 가 하강하여 미가황 타이어 (T1) 를 파지하고, 피스톤 로드 (12e) 가 실린더 (12d) 로 끌여당겨지면, 파지부 (11) 에 파지된 미가황 타이어 (T1) 가 들어올려진다.
반입 수단 (7) 은, 금형 지지부 (9) 를 개재하여, 승강 수단 (6) 의 승강 가이드부 (8) 의 승강 가이드 본체 (8a) 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반입 수단 (7) 은 제 1 이동부 (72) 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평 방향 Y 로 이동한다. 파지부 (11) 는 타이어 승강부 (12) 의 구동부 (12c) 를 작동시킴으로써, 상하 방향 X 로 이동 가능하다. 반입 수단 (7) 은 외부 설비로부터 반입되는 미가황 타이어 (T1) 를 상부 금형 (4) 및 하부 금형 (5) 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파지부 (11) 를 사용하여 파지하고, 하부 금형 (5) 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PCI (30) 는 가황기 본체 (2) 로부터 수취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유지하는 타이어 유지 기구 (31) 와, 인플레이트 처리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타이어 유지 기구 (31) 로부터 반출하는 반출 수단 (32) 을 구비하고 있다.
반출 수단 (32) 은 PCI (30) 의 외부를 향하여 하강하도록 경사진 컨베이어로서, PCI (30) 로부터 반출 기구 (E) 를 향하여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안내한다. 또한, 반출 수단 (32) 의 중앙에는 구멍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고, 타이어 유지 기구 (31) 의 제 1 지지체 (40) 는 그 구멍을 통하여 반출 수단 (32) 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또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이어 유지 기구 (31) 는 제 1 플랜지 (41) 를 갖는 제 1 지지체 (40) 와, 제 2 플랜지 (61) 를 갖는 제 2 지지체 (60) 와, 상부 금형 (4) 및 제 2 지지체 (60) 에 대하여 제 1 지지체 (40) 를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 (70) 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플랜지 (41) 는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일방측의 제 1 비드 (T2b) 를 외측 림 (91) 을 개재하여 지지한다. 제 2 플랜지 (61) 는 제 1 지지체 (40) 와 연결되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타방측의 제 2 비드 (T2a) 를 내측 림 (90) 을 개재하여 지지한다. 타이어 유지 기구 (31) 는 제 1 지지체 (40) 및 제 2 지지체 (60) 의 세트를 2 개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동시에 2 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 수단 (70) 은 회전체 (71) 와 제 1 이동부 (72) 와 제 2 이동부 (73) 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 (71) 에는 2 개의 제 2 지지체 (60) 가 축대칭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 1 이동부 (72) 는 하부 금형 (5) 을 제외한 가황기 본체 (2), 및 회전체 (71) 를 수평 방향 Y 로 이동시킨다. 제 1 이동부 (72) 는 2 개의 제 2 지지체 (60) 뿐만 아니라, 이들 제 2 지지체 (60) 중 어느 일방에 조합된 제 1 지지체 (40), 또는 2 개의 제 2 지지체 (60) 에 각각 조합된 2 개의 제 1 지지체 (40) 도 수평 방향 Y 로 이동시킨다. 제 2 이동부 (73) 는 제 1 지지체 (40) 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하 방향 X 로 이동시킨다.
제 1 이동부 (72) 는 제 1 슬라이더 (74) 와, 연결 부재 (75) 와, 제 1 구동부 (76)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슬라이더 (74) 는 프레임 (3) 의 상부 빔재 (3d) 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 (3g) 에 의해, 상부 빔재 (3d) 를 따라 수평 방향 Y 로 이동한다. 추가로, 제 1 슬라이더 (74) 는 대들보 부재 (74a) 와 현수 부재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다. 대들보 부재 (74a) 는 상부 빔재 (3d) 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또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부 빔재 (3d) 를 따라 수평 방향 Y 로 이동한다. 현수 부재는 대들보 부재 (74a)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2 개의 제 2 지지체 (60) 가 고정된 회전체 (71) 를 수평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현수 부재에는 회전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체 (71) 를 수평축 둘레로 회전시켜, 회전체 (71) 에 장착된 2 개의 제 2 지지체 (60) 의 상하의 위치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 부재 (75) 는 제 1 슬라이더 (74) 와 승강 가이드부 (8) 를 연결하고 있다.
제 1 구동부 (76) 는 실린더 (76a) 와 피스톤 로드 (76b) 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76a) 는 상부 빔재 (3d) 에 지지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 (76b) 의 선단은 승강 가이드부 (8) 의 승강 가이드 본체 (8a) 에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 (76b) 는 수평 방향 Y 로 구동된다.
제 1 구동부 (76) 의 피스톤 로드 (76b) 가 구동되면, 승강 가이드부 (8) 를 갖는 승강 수단 (6), 상부 금형 (4), 반입 수단 (7), 연결 부재 (75) 를 개재하여 승강 가이드부 (8) 에 연결된 제 1 슬라이더 (74), 및 회전체 (71) 를 개재하여 제 1 슬라이더 (74) 에 연결된 제 2 지지체 (60) 가 수평 방향 Y 로 이동한다.
추가로, 제 2 이동부 (73) 는 가이드 부재 (77) 와 제 2 슬라이더 (78) 와 지지판 (79) 과 제 2 구동부 (80) 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 (77) 는 하부 빔재 (3f) 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슬라이더 (78) 는 가이드 부재 (77) 에 상하 방향 X 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 (79) 은 제 1 지지체 (40) 를 지지하고 있다. 지지판 (79) 에는 삽입 통과 구멍 (79a) (도 2 참조)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통과 구멍 (79a) 에 제 2 슬라이더 (78) 가 통과된다. 삽입 통과 구멍 (79a) 에 통과된 제 2 슬라이더 (78) 의 상단은 지지판 (79) 에 지지되는 제 1 지지체 (40) 의 제 1 플랜지 (41) 에 맞닿는다.
제 2 구동부 (80) 는 실린더 (80a) 와, 피스톤 로드 (80b) 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80a) 는 하부 빔재 (3f) 에 지지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 (80b) 의 상단은 전환 수단 (100) 을 개재하여 지지판 (79) 에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 (80b) 는 상하 방향 X 로 구동된다.
제 2 구동부 (80) 의 피스톤 로드 (80b) 가 구동되면, 지지판 (79), 및 지지판 (79) 에 지지된 제 1 지지체 (40) 가 하부 빔재 (3f) 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 X로 이동한다.
이동 수단 (70) 에 있어서, 제 1 이동부 (72) 와 제 2 이동부 (73) 를 협동시킴으로써, 제 1 지지체 (40), 제 2 지지체 (60), 및 상부 금형 (4)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 이동부 (72) 에 의해, 제 2 지지체 (60) 를 제 1 지지체 (40) 와 상하 방향 X 에 대향시키고,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제 1 지지체 (40) 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 1 지지체 (40) 가 제 2 지지체 (60) 와 연결되는 타이어 유지 위치 (A) 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이동부 (72) 에 의해, 상부 금형 (4) 을 제 1 지지체 (40) 와 상하 방향 X 에 대향시키고,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제 1 지지체 (40) 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상부 금형 (4) 이 타이어 유지 위치 B (도 8 참조) 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제 1 지지체 (40) 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 1 지지체 (40) 가 제 2 지지체 (60) 또는 상부 금형 (4) 으로부터 이간된 대기 위치 (C) 에 배치된다. 또한, 대기 위치 (C) 에는, 제 1 지지체 (40) 가 반출 수단 (32) 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 1 대기 위치 (C1) (도 8 참조) 와, 제 1 지지체 (40) 가 반출 수단 (32) 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 2 대기 위치 (C2) 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각 위치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제 2 지지체 (60) 는 대략 통 형상의 본체부 (62) 를 개재하여, 회전체 (71) 에 축대칭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 2 지지체 (60) 는 본체부 (62) 의 내부에 배치된 걸어맞춤부 (63) 와, 본체부 (62) 에 고정된 전술한 제 2 플랜지 (61) 를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부 (63) 는 외통부 (64) 와 내통부 (66) 를 구비하고 있다. 외통부 (64) 는 본체부 (62) 의 내부에서 본체부 (62) 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내통부 (66) 는 외통부 (64) 의 저부 (65) 를 관통하여 외통부 (64) 에 삽입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63) 는 공지된 기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2670251호를 참조) 을 이용하여 본체부 (62) 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본체부 (62) 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제 1 플랜지 (41) 와 제 2 플랜지 (61) 의 거리가 조정되므로, 폭 치수가 상이한 여러가지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통부 (64) 의 선단의 내주면에는 걸림 갈고리 (64b) 가, 외통부 (64) 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외통부 (64) 의 선단의 개구 (64c) 는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통부 (64) 의 내주면에는 홈 (64d) 이 외통부 (64) 의 축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홈 (64d) 에는 제 1 지지체 (40) 의 비드 포착 갈고리 (43) 를 안내하는 가이드축 (45) 이 끼워맞춰진다.
또한, 제 2 플랜지 (61) 는 대략 고리형을 이루어, 본체부 (62) 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플랜지 (61) 의 내측에는 걸어맞춤부 (63) 가 본체부 (62) 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제 2 플랜지 (61) 의 일방의 측면 (61a) 에는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비드 (T2a) 를 지지하는 내측 림 (90) 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플랜지 (61) 에는 제 2 플랜지 (61) 의 일방의 측면 (61a) 으로부터 타방의 측면 (61c) 으로 관통하는 급기공 (61d) 이 형성되어 있다. 급기공 (61d) 은 일방의 측면 (61a) 에 있어서는 내측 림 (90) 의 내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급기공 (61d) 에는 제 2 플랜지 (61) 에 지지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 (도시 생략) 이 접속된다.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지지체 (40) 는 제 1 플랜지 (41) 와 로크 샤프트 (42) 와 3 개의 비드 포착 갈고리 (43) 와 지지 디스크 (44) 와 3 개의 가이드축 (45) 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플랜지 (41) 는 대략 고리형을 이루고 있고, 제 1 플랜지 (41) 의 내측에는 로크 샤프트 (42) 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제 1 플랜지 (41) 의 일방의 측면에는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비드 (T2a) 를 지지하는 외측 림 (91) 이 고정되어 있다. 제 1 플랜지 (41) 는 로크 샤프트 (42) 에 대하여 로크 샤프트 (42) 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비드 포착 갈고리 (43) 는 외측 림 (91) 에 지지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비드 (T2b) 를 걸리게 한다. 지지 디스크 (44) 는 비드 포착 갈고리 (43) 를 지지한다. 가이드축 (45) 은 로크 샤프트 (42) 의 주위에,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지지체 (40) 가 제 2 지지체 (60) 에 조합되었을 때, 가이드축 (45) 은 걸어맞춤부 (63) 의 외통부 (64) 의 홈 (64d) 에 끼워맞춰지고, 제 1 플랜지 (41), 비드 포착 갈고리 (43), 및 지지 디스크 (44) 를 본체부 (62) 의 축방향으로 안내한다.
로크 샤프트 (42) 는 대략 원주상을 이루고 있고, 외통부 (64) 의 개구 (64c) 에 삽입 가능하다. 로크 샤프트 (42) 가 개구 (64c) 에 삽입되었을 때, 로크 샤프트 (42) 의 축선은 제 2 지지체 (60) 의 축선과 일치한다.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에는 로크 기구로서의 로크 갈고리 (42a) 가 로크 샤프트 (42) 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 부분은 개구 (64c) 의 형상을 모방하여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 샤프트 (42) 의 기단에는 구멍 (42b) 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샤프트 (42) 를 외통부 (64) 내부에 삽입할 때, 구멍 (42b) 에는 내통부 (66) 가 가이드로서 삽입된다. 로크 샤프트 (42) 의 외측면에는 대략 고리형의 스토퍼 (46) 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 (46) 는 로크 샤프트 (42) 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제 1 플랜지 (41) 를 걸리게 한다. 로크 샤프트 (42) 의 기단면에는 전환 수단 (100) 의 구동축 (100c) 이 끼워맞춰지는 각진 오목부 (42c) 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46) 보다 로크 샤프트 (42) 의 기단 근처의 외측면에는 걸림 플랜지 (47) 가 로크 샤프트 (42) 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걸림 플랜지 (47) 보다 더욱 로크 샤프트 (42) 의 기단 근처의 외측면에는 링 부재 (48) 가 로크 샤프트 (42) 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에는 걸림 돌기부 (42d) 가 로크 샤프트 (42) 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랜지 (41) 에는 3 개의 관통공 (41d) 이 형성되고, 걸림 플랜지 (47) 에도 3 개의 관통공 (47a) 이 형성되고, 링 부재 (48) 에도 3 개의 관통공 (48a)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41d, 47a, 48a) 은 로크 샤프트 (42) 의 축방향에 연통하고, 마침 3 개의 구멍을 이룬다. 이들 3 개의 구멍에 3 개의 가이드축 (45) 이 각각 삽입 통과된다. 가이드축 (45) 은 걸림 플랜지 (47) 에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축 (45) 의 선단은 로크 갈고리 (42a) 보다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걸림 플랜지 (47) 와 링 부재 (48) 사이의 가이드축 (45) 에는 걸림 플랜지 (47) 와 링 부재 (48) 를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 (49) 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디스크 (44) 는 대략 고리형을 이루고 있고, 로크 샤프트 (42) 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관통공 (44a) 을 갖고 있다. 관통공 (44a) 은 로크 갈고리 (42a) 가 형성된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의 형상을 모방하여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디스크 (44) 에는 3 개의 가이드축 (45) 을 각각 삽입 통과 가능한 3 개의 삽입 통과 구멍 (44b)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 통과 구멍 (44b) 은 관통공 (44a) 의 3 개의 정점의 위치에 있고, 실제로는 관통공 (44a) 과 연결되어 있다. 3 개의 비드 포착 갈고리 (43) 는 지지 디스크 (44) 의 로크 샤프트 (42) 의 기단 근처의 측면에 지지 디스크 (44) 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지지 디스크 (44) 에는 각 비드 포착 갈고리 (43) 에 대응하는 3 개의 장공(長孔) (44c)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3 개의 장공 (44c) 은 지지 디스크 (44) 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각각이 서로 이웃하는 2 개의 삽입 통과 구멍 (44b)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장공 (44c) 은 지지 디스크 (44) 의 접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에 길게 형성되어 있다.
비드 포착 갈고리 (43) 의 기단은 가이드축 (45) 에, 비드 포착 갈고리 (43) 가 가이드축 (45) 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비드 포착 갈고리 (43) 의 중간 부분에는 슬라이드축 (44d) 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축 (44d) 은 장공 (44c) 에 끼워넣어져 있다. 로크 샤프트 (42) 에 대하여 지지 디스크 (44) 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드축 (44d) 이 장공 (44c) 을 따라 지지 디스크 (44) 의 직경 방향 내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수반하여 비드 포착 갈고리 (43) 가 가이드축 (45) 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 디스크 (44) 의 직경 방향 내방으로 요동 한다. 그리고, 슬라이드축 (44d) 이 장공 (44c) 의 내단 (44e) 에 접하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드 포착 갈고리 (43) 의 선단은 지지 디스크 (44) 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폐쇄 상태). 지지 디스크 (44) 를 축방향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보면, 모든 비드 포착 갈고리 (43) 는 지지 디스크 (44) 아래에 숨겨진다. 한편, 로크 샤프트 (42) 에 대하여 지지 디스크 (44) 를 역방 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드축 (44d) 이 장공 (44c) 을 따라 지지 디스크 (44) 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수반하여 비드 포착 갈고리 (43) 가 가이드축 (45) 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 디스크 (44) 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드축 (44d) 이 장공 (44c) 의 외단 (44f) 에 접하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드 포착 갈고리 (43) 의 선단은 지지 디스크 (44) 의 외연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개방 상태).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부재 (50) 는 제 1 플랜지 (41) 에 고정됨과 함께, 비드 포착 갈고리 (43) 에 걸어맞춰져 있다. 걸어맞춤 부재 (50) 가 형성됨으로써, 비드 포착 갈고리 (43) 는 가이드축 (45) 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 (79) 의 접속면 (79b) 에는 제 1 지지체 (40) 가 접속된다. 지지판 (79) 에는 전환 수단 (100) 과 변위 수단 (101) 이 형성되어 있다. 전환 수단 (100) 은 로크 샤프트 (42) 를 회전시켜 제 1 지지체 (40) 와 제 2 지지체 (60) 의 착탈을 실시한다. 변위 수단 (101) 은 지지판 (79) 에 접속된 제 1 지지체 (40) 의 제 1 플랜지 (41) 를 지지판 (79) 에 대하여 변위시킨다.
전환 수단 (100) 은 지지판 (79) 의 접속면 (79b) 과는 반대의 측면 (79c) 에 형성된 지지 프레임 (100a) 과, 지지 프레임 (100a) 에 고정된 액추에이터 (100b) 를 구비하고 있다. 액추에이터 (100b) 의 구동축 (100c) 은 로크 샤프트 (42) 와 동일축에 배치되고, 지지판 (79) 에 형성된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 (100c) 은 접속면 (79b)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구동축 (100c) 의 선단에는 로크 샤프트 (42) 의 오목부 (42c) 에 끼워맞춰지는 각두부(角頭部) (100d) 가 형성되어 있다. 각두부 (100d) 의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지지판 (79) 의 접속면 (79b) 에는 고리형 부재 (79d) 가 접속면 (79b) 으로부터 돌출된 각두부 (100d) 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부재 (79d) 에는 로크 샤프트 (42) 의 기단을 삽입 가능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부재 (79d) 의 내주면에는 직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79e)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체 (40) 의 로크 샤프트 (42) 의 기단이 고리형 부재 (79d) 의 내측에 삽입되고, 구동축 (100c) 의 각두부 (100d) 가 로크 샤프트 (42) 의 오목부 (42c) 에 끼워맞춰지고, 링 부재 (48) 가 고리형 부재 (79d) 에 의해 스프링 부재 (49)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밀어올려지고, 또한 고리형 부재 (79d) 의 돌출부 (79e) 가 걸림 돌기부 (42d) 와 걸어맞춰지면, 제 1 지지체 (40) 가 지지판 (79) 에 접속된다.
제 1 지지판 (40) 이 지지판 (79) 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전환 수단 (100) 의 액추에이터 (100b) 를 작동시킴으로써, 구동축 (100c) 을 개재하여 로크 샤프트 (42) 가 회전한다. 로크 샤프트 (42) 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2 지지체 (60) 의 걸어맞춤부 (63) 의 개구 (64c) 에 대하여 제 1 지지체 (40) 의 로크 갈고리 (42a) 의 위상을 축 둘레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개구 (64c) 에 대하여 로크 갈고리 (42a) 의 위상을 일치시킴으로써, 걸어맞춤부 (63) 의 외통부 (64) 에 로크 샤프트 (42) 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통부 (64) 에 로크 샤프트 (42) 를 삽입한 상태에서 로크 샤프트 (42) 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크 갈고리 (42a) 가 걸림 갈고리 (64b) 와 걸어맞춰지므로, 제 1 지지체 (40) 를 제 2 지지체 (60) 와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위 수단 (101) 은 실린더 (101a) 와 피스톤 로드 (101b) 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101a) 는 지지판 (79) 의 접속면 (79b) 과는 반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 (101b) 는 접속면 (79b) 으로부터 제 1 플랜지 (41) 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변위 수단 (101) 의 피스톤 로드 (101b) 가 구동되면, 피스톤 로드 (101b) 의 선단이 제 1 플랜지 (41) 를 누른다. 이로써, 제 1 플랜지 (41) 를 로크 샤프트 (42) 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가황기 (1) 및 타이어 유지 기구 (31) 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에서는, 가황기 (1) 의 가황기 본체 (2) 가 상부 금형 (4) 및 하부 금형 (5) 내에 반입된 미가황 타이어 (T1) 의 가황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황기 (1) 에 있어서는, 가황 처리와 병행하여, 제 1 지지체 (40) 와 제 2 지지체 (60) 에 의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인플레이트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도 7 의 상태에서는, 2 개의 제 1 지지체 (40) 중,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일방의 제 1 지지체 (40) 는 지지판 (79) 에 접속되고, 대응하는 일방의 제 2 지지체 (60) 로부터 이간된 제 2 대기 위치 (C2) 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황기 본체 (2) 에 형성된 반입 수단 (7) 을 사용하여, 상부 금형 (4) 및 하부 금형 (5) 에 인접한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미가황 타이 어 (T1) 를 반입한다. 즉, 타이어 승강부 (12) 에 의해 파지부 (11) 를 하강시키고, 강하된 파지부 (11) 에 의해 미가황 타이어 (T1) 를 파지한다.
가황기 본체 (2) 의 상부 금형 (4) 및 하부 금형 (5) 에 의한 가황 처리가 종료되면, 상부 금형 (4) 에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가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 수단 (6) 에 의해 상부 금형 (4) 을 상승시킨다. 이로써,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는 하부 금형 (5) 으로부터 이탈되고, 상부 금형 (4) 과 함께 상승한다. 한편, 상부 금형 (4) 및 하부 금형 (5) 에 의한 가황 처리 중에 반입 수단 (7) 에 의해 외부로부터 반입된 미가황 타이어 (T1) 도, 승강 수단 (6) 에 의해 반입 수단 (7) 전체가 상승함으로써, 상부 금형 (4) 과 함께 상승한다.
다음으로, 이동 수단 (70) 을 작동시키고,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PCI (30) 의 타이어 유지 기구 (31) 에 수수한다. 즉,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수단 (70) 의 제 1 이동부 (72) 에 의해, 상부 금형 (4) 및 상부 금형 (4) 에 수용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제 1 지지체 (40) 와 상하 방향 X 에 마주보는 위치까지 수평 방향 Y 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 2 지지체 (60) 는 상부 금형 (4) 의 이동에 수반하여 포스트재 (3b) 의 외측으로 대피한다. 다음으로,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제 1 지지체 (40) 를 상승시킨다. 이 때, 비드 포착 갈고리 (43) 는 지지 디스크 (44) 의 외연보다 직경 방향 내방에 수용되어 있다 (폐쇄 상태).
또한, 변위 수단 (101) 을 작동시켜 피스톤 로드 (101b) 를 돌출시킴으로써, 제 1 플랜지 (41) 를 스토퍼 (46) 에 걸린 상태 (도 3 참조) 로부터,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5 참조). 또한, 로크 샤프트 (42) 의 로크 갈고리 (42a) 를 지지 디스크 (44) 의 관통공 (44a) 에 끼워맞춘다.
이로써, 제 1 플랜지 (41) 로부터 돌출되는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 부분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크 샤프트 (42) 와 지지 디스크 (44) 를 일체로 하여 축 둘레에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제 1 지지체 (40) 를 상승시킴으로써,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 부분의 일부만이, 상부 금형 (4) 에 수용되어 있는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중심에 삽입되어, 제 1 플랜지 (41) 에 고정된 외측 림 (91) 이 비드 (T2b) 에 맞닿는다. 이로써, 제 1 지지체 (40) 는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수취 가능한 타이어 수취 위치 B 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플랜지 (41) 로부터 돌출되는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 부분의 길이가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으므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비드 (T2b) 에 외측 림 (91) 이 맞닿아 있어도,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은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폭 Bt 에 상관 없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방의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상부 금형 (4) 의 캐비티 (4a) 의 면 (4b), 또는 상부 금형 (4) 의 중심에 형성된 도시 생략된 장치에 맞닿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 1 지지체 (40) 는 제 1 플랜지 (41) 에 장착된 외측 림 (91) 에 의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부 금형 (4) 을 제 1 지지체 (40) 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수평 방향 Y 로 이동시킬 때, 반입 수단 (7) 도 상부 금형 (4) 의 이동에 수반하여 수평 방향 Y 로 이동한다. 이로써, 반입 수단 (7) 에 의해 외부로부터 반입된 미가황 타이어 (T1) 는 프레임 (3) 에 지지된 하부 금형 (5) 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PCI (30) 로 반송하는 것과 동시에, 미가황 타이어 (T1) 를 상부 금형 (4) 에 방해받지 않고 가황기 본체 (2) 로 반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파지부 (11) 에 파지된 미가황 타이어 (T1) 를 하강시킴으로써, 미가황 타이어 (T1) 를 하부 금형 (5) 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환 수단 (100) 의 액추에이터 (100b) 를 작동시켜, 구동축 (100c) 을 개재하여 로크 샤프트 (42) 를 회전시킨다. 이 때, 로크 샤프트 (42) 의 로크 갈고리 (42a) 가 지지 디스크 (44) 의 관통공 (44a) 에 끼워맞춰져 있고, 지지 디스크 (44) 가 로크 갈고리 (42a) 와 끼워맞춰지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으므로, 가이드축 (45) 의 선단은 삽입 통과 구멍 (44b) 으로부터 빠져나와 있다. 그 때문에, 지지 디스크 (44) 도 로크 샤프트 (42) 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전환 수단 (100) 에 의해 지지 디스크 (44) 를 축 둘레에 소정 각도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60 도)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드축 (44d) 이 장공 (44c) 을 따라 내단 (44e) 으로부터 외단 (44f) 까지 이동한다. 슬라이드축 (44d) 을 개재하여 지지 디스크 (44) 와 접속된 각 비드 포착 갈고리 (43) 는 가이드축 (45) 주위에 회전하고, 지지 디스크 (44) 의 외연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된다 (개방 상태).
그리고, 이동 수단 (70) 의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제 1 지지체 (40) 를 상부 금형 (4) 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강시킴으로써, 비드 포착 갈고리 (43) 가 비 드 (T2b) 에 걸리고,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는 제 1 지지체 (40) 와 함께 상부 금형 (4) 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어, 제 1 지지체 (40) 로 건네진다.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제 1 지지체 (40) 를 상부 금형 (4) 과 간섭하지 않는 제 1 대기 위치 (C1) 까지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제 1 지지체 (40) 와 제 2 지지체 (60) 를 접속하고, 제 1 플랜지 (41) 와 제 2 플랜지 (61) 사이에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유지하고, 인플레이트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제 2 지지체 (60) 에 있어서, 걸어맞춤부 (63) 의 본체부 (62) 로부터의 돌출량은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폭 Bt 에 대응하도록 미리 조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 (71) 는 2 개의 제 2 지지체 (60) 중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일방의 제 2 지지체 (60) 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회전되고 있다.
다음으로, 이동 수단 (70) 인 제 1 이동부 (72) 에 의해, 제 2 지지체 (60) 를 제 1 지지체 (40) 와 상하 방향 X 에 마주보는 위치까지 수평 방향 Y 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제 1 지지체 (40) 를 상승시킨다. 이 때, 로크 샤프트 (42) 를 개재하여 지지 디스크 (44) 를 회전시킴으로써, 비드 포착 갈고리 (43) 를 폐쇄 상태로 되돌린다. 또한, 변위 수단 (101) 의 피스톤 로드 (101b) 를 후퇴시킴으로써, 지지 디스크 (44) 를 기단측으로 이동시키고, 로크 샤프트 (42) 의 로크 갈고리 (42a) 와 지지 디스크 (44) 의 관통공 (44a) 의 끼워맞춤을 해소한다. 또한, 지지 디스크 (44) 는 스토퍼 (46) 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필요는 없고, 적어도 로크 갈고리 (42a) 와 관통공 (44a) 의 끼워맞춤 이 해소되면 된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그리고,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제 1 지지체 (40) 를 상방에 위치하는 제 2 지지체 (60) 와의 접속이 가능한 타이어 유지 위치 A 까지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 1 지지체 (40) 의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체 (60) 의 걸어맞춤부 (63) 의 외통부 (64)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이 걸어맞춤부 (63) 의 외통부 (6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로크 샤프트 (42) 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크 샤프트 (42) 의 로크 갈고리 (42a) 가 걸어맞춤부 (63) 의 걸림 갈고리 (64b) 와 걸어맞춰지고, 제 1 지지체 (40) 가 제 2 지지체 (60) 와 일체화된다. 이로써,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는 제 1 플랜지 (41) 와 제 2 플랜지 (61) 사이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도시 생략된 공급 수단으로부터 급기공 (61d) 을 개재하여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내부에 압력 기체를 충전한다.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내압이 상승하고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폭이 넓어지면, 제 1 플랜지 (41) 가 눌려내려가 스토퍼 (46) 에 확실하게 걸린다. 제 1 플랜지 (41) 가 더욱 눌려내려감으로써, 제 1 지지체 (40) 가 로크 갈고리 (42a) 및 걸림 갈고리 (64b) 에 의해 제 2 지지체 (60) 와 강고하게 걸어맞춰진다. 그리고,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폭 Bt 는 미리 설정된 걸어맞춤부 (63) 의 돌출량 및 스토퍼 (46) 에 의해 규정되는 제 1 플랜지 (41) 와 제 2 플랜지 (61) 의 이간 거리와 동등해지도록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가황 처리 직후의 타이어 (T2) 는 고온이므로 변형되기 쉽다. 그 때문에, 자중에 의해 변형되고, 비드 (T2a) 와 비드 (T2b) 의 이간 거리가 바람직한 치수보다 작아져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플랜지 (41) 가 변위 수단 (101) 에 의해 스토퍼 (46) 보다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 근처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제 1 플랜지 (41) 와 제 2 플랜지 (61) 의 이간 거리가 비드 (T2a) 와 비드 (T2b) 의 최종적인 이간 거리보다 작게 설정된다. 그 때문에,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는 냉각 전의 폭에 관계 없이, 제 1 플랜지 (41) 에 장착된 외측 림 (91), 및 제 2 플랜지 (61) 에 장착된 내측 림 (90) 에 확실하게 맞닿는다. 따라서, 비드 (T2b) 와 외측 림 (91) 의 접촉 부분, 및 비드 (T2a) 와 내측 림 (90) 의 접촉 부분으로부터의 기체 누설이 없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내부에 압력 기체를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다. 추가로, 압력 기체를 충전 후의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는 그 폭 Bt 가 바람직한 치수가 되도록 형성된다.
압력 기체를 충전 후의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냉각시킬 때에는, 전환 수단 (100) 을 작동시키지 않고,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지지판 (79) 을 하강시킨다. 제 1 지지체 (40) 는 제 2 지지체 (60) 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지지판 (79) 만이 제 1 지지체 (40) 로부터 이탈하여 하강한다. 냉각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회전체 (71) 를 회전시켜, 냉각이 완료된 가황 완료 타이어 (T2) 를 하방에 배치한다. 그리고,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지지판 (79) 을 상승시켜, 지지판 (79) 과 제 1 지지체 (40) 를 접속한다. 그리고, 전환 수단 (100) 의 로크 샤프트 (42) 를 회전시켜 로크 갈고리 (42a) 를 걸어맞춤부 (63) 의 개구 (64c) 로부터 삽입 이탈 가능하게 한 후,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다시 지지판 (79) 을 하강시킨다. 제 1 지지체 (40) 는 지지판 (79) 과 함께 하강하고, 제 1 지지체 (40) 에 유지되어 있던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도 제 2 지지체 (60) 로부터 이탈하여 하강한다. 그리고, 제 1 지지체 (40) 를 제 2 대기 위치 (C2) 까지 하강시키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만이 반출 수단 (32) 상에 유치된다.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는 반출 수단 (32) 에 의해 외부로 반출된다.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제 1 지지체 (40) 및 지지판 (79) 을 제 2 이동부 (73) 에 의해 하강시킬 때, 비드 포착 갈고리 (43) 를 펼친 상태에서 제 1 대기 위치 (C1) 까지 하강시키고, 그 후 비드 포착 갈고리 (43) 를 닫은 상태로 전환한 후, 제 2 대기 위치 (C2) 까지 하강시켜도 된다.
상기 인플레이트 처리의 과정에서, PCI (30) 의 타이어 유지 기구 (31) 에 의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유지하고, 그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외부로 반출하기까지의 동안, 제 1 이동부 (72) 에 의한 PCI (30) 의 수평 방향 Y 에 대한 이동은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가황기 본체 (2) 에서는, PCI (30) 에 의한 인플레이트 처리와 병행하여, 새롭게 반입된 미가황 타이어 (T1) 에 가황 처리가 행해진다.
이상, 가황기 (1), 특히 PCI (30) 에 형성된 타이어 유지 기구 (31) 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유지 기구 (31) 에서는, 제 1 지지체 (40) 의 제 1 플랜지 (41) 를 로크 샤프트 (42) 를 따라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고, 변위 수단 (101) 에 의한 이동, 및 스토퍼 (46) 에 의한 위치 결정을 가능 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의 폭의 크기에 관계없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로크 샤프트 (42) 에 방해받지 않고 확실하게 수취할 수 있다. 추가로, 수취한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원하는 폭치수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유지 기구 (31) 에서는, 제 1 지지체 (40) 의 제 2 지지체 (60) 에 대한 착탈을 전환 수단 (100) 에 의해 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변위 수단 (101) 에 의해 지지 디스크 (44) 의 위치 조정을 실시함으로써, 지지 디스크 (44) 의 회전, 즉 걸림 부재인 비드 포착 갈고리 (43) 의 개폐를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드 포착 갈고리 (43) 의 개폐를 실시하는 수단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비드 포착 갈고리 (43) 를 사용하여 상부 금형 (4) 으로부터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확실하게 수취할 수 있다. 그 결과, 기구 전체의 공간 절약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타이어 유지 기구 (31) 를 갖는 PCI (30) 가 탑재된 가황기 (1) 에 있어서는, 타이어 유지 기구 (31) 에 의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수취하여 유지하고, 인플레이트 처리를 실시하므로, 가황기 본체 (2) 와 PCI (30) 사이에 별도로 반송 수단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장치 전체의 공간 절약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황기 (1) 에 있어서는, 상부 금형 (4) 을 승강 수단 (6) 에 의해 상하 방향 X 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부 금형 (4) 을 타이어 유지 기구 (31) 의 이동 수단 (70) 에 의해 수평 방향 Y 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미가황 타이어 (T1) 를 반입하는 반입 수단 (7) 도 이동 수단 (70) 에 의해 수평 방향 Y 로 이동 가능하다. 이 때문에, 미가황 타이어의 하부 금형 (5) 에 대한 반입의 공정과,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의 상부 금형 (4) 으로부터 제 1 지지체 (40) 로의 수수의 공정을 서로 간섭하지 않고 동시에 실시 가능하다. 그 결과, 사이클 타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금형 (5) 을 이동시키지 않고, 하부 금형 (5) 을 기준으로 용이하게 각 부의 위치 조정을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금형 (5) 을 이동시키지 않고, 상부 금형 (4), 반입 수단 (7), 제 1 지지체 (40) 및 제 2 지지체 (60) 를 상하 방향 X 및 수평 방향 Y 로 이동 가능하므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요컨대, 가황기 본체 (2) 와 PCI (30) 사이에 별도로 반송 수단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에 더하여, 장치 전체의 공간 절약화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클레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유지 기구 (31) 는 PCI (30)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지만, PCI (30) 와는 독립적으로 타이어를 외부로부터 수취하고, 유지하거나, 혹은 유지한 타이어를 외부에 건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플랜지 (41) 로부터의 로크 샤프트 (42) 의 선단의 돌출량을 작게 함으로써, 외부의 지그 등과 간섭하지 않고, 타이어를 수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 유지 기구 (31) 에 있어서, 제 1 지지체 (40) 는 걸림 부재로서의 비드 포 착 갈고리 (43) 를 구비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상부 금형 (4) 으로부터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가 용이하게 이탈 가능하면, 제 1 지지체 (40) 가 비드 포착 갈고리 (43)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는,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 (T2) 를 상부 금형 (4) 으로부터 꺼내는 기구를 제 1 지지체 (40) 와는 별도로 형성해도 되고, 상부 금형 (4) 에 형성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가황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타이어 유지 기구에 있어서, 제 1 지지체 및 제 2 지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타이어 유지 기구에 있어서, 제 1 지지체를 나타내는 도 4 중의 P-P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Q-Q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타이어 유지 기구에 있어서, 타이어 수수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지지체를 나타내는 도 6 중의 R-R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타이어 유지 기구에 있어서, 타이어 수수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지지체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가황기로 행해지는 가황 처리 및 인플레이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가황기로 행해지는 미가황 타이어의 하부 금형에 대한 반입 및 인플레이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종래의 PCI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PCI 31 타이어 유지 기구
40 제 1 지지체 41 제 1 플랜지
46 스토퍼 60 제 2 지지체
61 제 2 플랜지 63 걸어맞춤부
70 이동 수단 71 회전체

Claims (4)

  1. 외부 설비와의 사이에서 타이어의 수수를 함과 함께, 상기 타이어를 유지하는 타이어 유지 기구로서,
    타이어의 일방측의 제 1 비드를 지지하는 대략 고리형의 제 1 플랜지와, 로크 기구를 갖고, 상기 제 1 플랜지의 축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그 제 1 플랜지를 상기 축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하는 로크 샤프트와, 상기 제 1 플랜지를 상기 로크 샤프트의 기단측에서 걸리게 하는 스토퍼를 갖는 제 1 지지체와,
    상기 타이어의 타방측의 제 2 비드를 지지하는 대략 고리형의 제 2 플랜지와, 상기 로크 기구가 걸림 이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제 2 지지체와,
    상기 제 1 지지체를 타이어 유지 위치와 타이어 수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타이어 유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지는 타이어 유지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체는 상기 제 1 플랜지보다 상기 로크 샤프트의 기단 근처에 형성된 걸림 부재를 갖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로크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플 랜지에 상기 타이어를 걸리게 하는 타이어 유지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걸어맞춤부에 이탈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걸어맞춤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로크 샤프트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타이어 유지 기구.
  4.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로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타이어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지체와 상기 제 2 지지체에 의해 가황이 완료된 타이어를 유지하면서, 상기 타이어를 냉각시키는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KR1020080134631A 2008-06-13 2008-12-26 타이어 유지 기구 및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KR101034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55375A JP5335292B2 (ja) 2008-06-13 2008-06-13 タイヤ保持機構、及び、pci装置
JPJP-P-2008-155375 2008-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929A KR20090129929A (ko) 2009-12-17
KR101034165B1 true KR101034165B1 (ko) 2011-05-12

Family

ID=4105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631A KR101034165B1 (ko) 2008-06-13 2008-12-26 타이어 유지 기구 및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37187B2 (ko)
EP (1) EP2133193B1 (ko)
JP (1) JP5335292B2 (ko)
KR (1) KR101034165B1 (ko)
CN (1) CN1016022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122B1 (ko) * 2007-12-14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래버서를 이용한 타이어 자동 공급 장치
JP5424727B2 (ja) * 2009-06-10 2014-02-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FR2958876B1 (fr) * 2010-04-15 2014-02-21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 manutention d'une ebauche crue de pneumatique
CN102107477B (zh) * 2010-11-25 2012-11-28 四川远星橡胶有限责任公司 一种轮胎后充气定型装置
KR102044811B1 (ko) * 2011-12-15 2019-12-02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타이어 가황 기구 및 방법
JP5705762B2 (ja) * 2012-02-03 2015-04-22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および、タイヤ加硫設備
JP5968249B2 (ja) * 2013-02-22 2016-08-10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EP3221135B1 (de) 2014-11-18 2021-08-11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und transporteinrichtung zur handhabung von reifenrohlingen
WO2020161726A1 (en) 2019-02-07 2020-08-13 L&T Rubber Processing Machinery Post cure inflator for tires and corresponding method after vulcanisation
EP3912781B1 (en) * 2019-02-20 2023-04-0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Systems, Ltd. Tire vulcanization system, and vulcanized tire manufacturing method
JP7234751B2 (ja) 2019-04-03 2023-03-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方法及びタイヤ加硫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82A (ko) * 1990-07-17 1992-02-28 원본미기재 소성변형 가능한 점착성 재료 절단 방법 및 유리판 표면에 형상 접착 비드를 기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
KR950012843A (ko) * 1993-10-08 1995-05-17 김광호 레이저 다이오드와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5179A (en) * 1961-12-26 1965-07-20 Cooper Tire & Rubber Co Rim for post curing inflation of pneumatic tires
US4092090A (en) * 1977-05-18 1978-05-30 Nrm Corporation Tire curing system
JPS6145931A (ja) 1984-08-09 1986-03-06 Ishida Scales Mfg Co Ltd 計量装置
JPH01154714A (ja) 1987-12-11 1989-06-16 Mitsubishi Heavy Ind Ltd Pci装置
JPH01306208A (ja) * 1988-06-06 1989-12-1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機のタイヤ冷却機におけるタイヤ取付機構
JPH0679815B2 (ja) 1991-10-15 1994-10-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
JPH05131462A (ja) * 1991-11-13 1993-05-28 Kobe Steel Ltd ポストキユアインフレータ
JP2925477B2 (ja) * 1995-10-11 1999-07-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
JP2670251B2 (ja) 1995-11-13 1997-10-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加硫済タイヤの把持冷却装置
US6241501B1 (en) * 1998-03-20 2001-06-0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er
JP4045053B2 (ja) * 1999-07-23 2008-02-13 株式会社市丸技研 加硫後インフレート処理装置のタイヤ掴み装置
JP4291465B2 (ja) * 1999-08-20 2009-07-08 Hirotek株式会社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のロック・アンロック機構
WO2002055278A1 (fr) 2001-01-09 2002-07-18 Ichimaru Giken Co., Ltd. Dispositif de prehension de pneumatiques installe sur un dispositif de gonflage par post-vulcanisation
US7001164B2 (en) * 2001-01-09 2006-02-21 Ichimaru Giken Co., Ltd.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of post-curing inflator
JP4820278B2 (ja) 2006-12-20 2011-11-2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制御コンピュータ、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82A (ko) * 1990-07-17 1992-02-28 원본미기재 소성변형 가능한 점착성 재료 절단 방법 및 유리판 표면에 형상 접착 비드를 기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
KR950012843A (ko) * 1993-10-08 1995-05-17 김광호 레이저 다이오드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929A (ko) 2009-12-17
JP2009298032A (ja) 2009-12-24
JP5335292B2 (ja) 2013-11-06
EP2133193A1 (en) 2009-12-16
US8337187B2 (en) 2012-12-25
CN101602240A (zh) 2009-12-16
US20090311355A1 (en) 2009-12-17
CN101602240B (zh) 2014-06-18
EP2133193B1 (en)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165B1 (ko) 타이어 유지 기구 및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
US20110233822A1 (en) Bisected mold for tire mold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ire with use of the mold
CN109689327B (zh) 轮胎硫化装置以及轮胎硫化装置的组装方法
EP1938936A1 (en) Tire vulcanizer
JPH11105515A (ja) 車両用タイヤインフレータ
JPH01271207A (ja) 車両用空気タイヤの加硫方法と装置
JPH0626817B2 (ja) タイヤ、特に車両用タイヤの加硫機
JP3701087B2 (ja) タイヤ加硫方法および装置
US20090162462A1 (en) Tire vulcanizing device
JPH09225944A (ja) タイヤ加硫用ローダ
EP2100708B1 (en) Bisplit mold for tire form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ire therewith
JP4047688B2 (ja) タイヤ加硫機
CN111791404A (zh) 轮胎硫化方法以及轮胎硫化装置
JPH08238626A (ja) タイヤ加硫用金型組立体
JPH11333845A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金型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JP5078435B2 (ja) 空気嚢の加硫方法および空気嚢加硫システム
JP4921047B2 (ja) タイヤ搬送用ローダ及びタイヤ加硫機
JPH11300747A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モールド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JP2014073617A (ja) 剛性中子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CN110099787A (zh) 用于处理自行车生胎的方法和设备
JP2000084934A (ja) タイヤの加硫成形装置および加硫成形方法
JP2002254435A (ja) タイヤの加硫成型方法及び装置
JP2004114641A (ja) タイヤ加硫装置
CN115605344A (zh) 用于硫化和模制轮胎的硫化设备和方法
JP2008254401A (ja) タイヤ加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