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852B1 -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852B1
KR101032852B1 KR1020047011535A KR20047011535A KR101032852B1 KR 101032852 B1 KR101032852 B1 KR 101032852B1 KR 1020047011535 A KR1020047011535 A KR 1020047011535A KR 20047011535 A KR20047011535 A KR 20047011535A KR 101032852 B1 KR101032852 B1 KR 101032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virtu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4763A (ko
Inventor
요시히로 와키타
켄이치 타케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8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5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를 동시에 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유저(A) 주택에는, 홈 서버(11)가 마련되어 있다. 홈 서버(11)에는, 휴대형 유저 단말(1) 등이 액세스할 수 있다.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가상 주택의 레이아웃 정보 등을 휴대형 유저 단말(1)에 공급한다. 인증 서버(22)는, 휴대형 유저 단말(1)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복수의 유저 사이의 통신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각 유저의 개인 데이터, 다른 유저에게 공유시키는 컨텐츠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리얼타임의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R1020047011535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프로그램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공간상의 아이콘을 조작함에 의해 실재하는 기기를 원격 조작하거나 하는 경우에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에 수반하여,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하여 주택 내부(宅內) 네트워크에 접속된 가전 기기 등을 제어하는 것(예를 들면, 특개2002-44765호 공보를 참조), 인터넷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 장치(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동일한 컨텐츠를 공용하는 것 등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진척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가전 기기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는, UPnP, Jini, HAVi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미들웨어로서, 유저가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조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UPnP 등의 미 들웨어를 이용하는 다른 소프트웨어에 의존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으로서는, FTP나 HTTP를 이용한 파일 데이터로서 통신하는 방법, RTSP나 RTP를 이용한 스트림 데이터로서 통신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의 방법에서는, 컨텐츠를 통신하기 전에 개인 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에 의해, 컨텐츠의 송신처를 제한할 수가 있디.
주택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가전 기기를 인증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BS 방송 수신기기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사이의 인증에 적용되고 있는 5C 프로텍션이 있다.
그런데,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구축된 가상공간에 복수의 유저가 동시에 참가하고, 리얼타임의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는 방법이, 예를 들면, 특개20O1-15496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가전 기기를 원격 조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종래의 소프트웨어는,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기능, 즉, 실용성만을 구비한 것이 많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에, 실용성뿐만 아니라 유희성(遊戱性)도 겸비하는 것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희망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과제가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가상공간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형성은, 공공의 가상공간에 각 유저가 참가함으로써 실현되기 때문에, 유저끼리의 친밀한 커뮤니케이션 형성이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실현되는 가상공간상에서는, 가상공간의 참가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른 참가자에게 리얼타임으로 공용시킬 수 없다는 과제가 있 다.
단, 종래의 종래 기술에 의해 실현되는 가상공간에, FTP, HTTP, RTSP, RTP 등을 이용함에 의해 인터넷을 통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종래의 방법을 적용한 경우에는, 가상공간의 참가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른 참가자에게 공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만, 이 경우, 인증용의 개인 ID와 패스워드가 공표되어 버리면, 가상공간에서 관리 저작물이 컨텐츠로서 부정하게 배포되어 버리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주택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 기기를, 가상공간이라는 유희성이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을 한정된 멤버만으로 공유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동시에 공용하는 유저 사이의 보다 깊은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 1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수단과, 정보 처리 장치의 이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도중의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이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다른 이용자중, 이용자가 허가한 다른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공유시키는 공유 수 단과,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수단을 포함하고, 정보 처리 장치가, 제 1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공유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정보는, 이용자의 개인 ID 및 패스워드, 및 정보 처리 장치의 기기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이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사적인 제 2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 기기에 보존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용 수단은,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제 1 및 제 2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제 1 및 제 2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또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와 같이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가상공간에 배치된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한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 2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또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수단과, 정보 처리 장치의 이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도중의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이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다른 이용자중, 이용자가 허가한 다른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공유시키는 공유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스텝과,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스텝과, 정보 처리 장치의 이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도중의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이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다른 이용자중, 이용자가 허가한 다른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공유시키는 공유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스텝과,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스텝과, 정보 처리 장치의 이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도중의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이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다른 이용자중, 이용자가 허가한 다른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공유시키는 공유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 발명의 제 1의 프로그램은, 제 1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스텝과,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스텝과, 정보 처리 장치의 이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도중의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이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다른 이용자중, 이용자가 허가한 다른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공유시키는 공유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정보는, 이용자의 개인 ID 및 패스워드, 및 정보 처리 장치의 기기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이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사적인 제 2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 기기에 보존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용 스텝의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제 1 및 제 2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와 같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공유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 용하는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 공유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지시하는 지시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 공유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지시하는 지시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프로그램은, 제 1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 공유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지시하는 지시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 정보는, 이용자의 개인 ID 및 패스워드, 및 단말 장치의 기기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이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사적인 제 2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전자 기기에 보존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프로그램은, 제 1 및 제 2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와 같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프로그램은, 가상공간에 배치된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한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 2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제 1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이 인증되고,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도중의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가, 이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다른 이용자중, 이용자가 허가한 다른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공유된다. 또한,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컨텐츠 데이터가 공용된다. 한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공유의 요구가 허가되고,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공유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지시된다.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이 인증되고,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 스가 제공된다. 또한,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도중의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가, 이용자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다른 이용자중, 이용자가 허가한 다른 이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공유된다. 또한,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컨텐츠 데이터가 공용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공유의 요구가 허가되고,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공유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지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형 유저 단말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PC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1의 PC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가상 주택 뷰어 윈도우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가상방에 배치된 아이콘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로그인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8은 로그인 시의 가상 주택 뷰어 윈도우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레이아웃 정보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0은 가상방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이벤트 정보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주택 내부 네트워크 정보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3은 멤버 정보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4는 로그아웃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5는 도어 아이콘을 선택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아이콘의 이동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아이콘의 이동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아이콘 방향의 변경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에 중첩하여 배치하는 조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A는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에 중첩하여 배치하는 조작과, 다른 아이콘의 뒤에 배치하는 조작의 차이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B는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에 중첩하여 배치하는 조작과, 다른 아이콘의 뒤에 배치하는 조작의 차이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클로짓에 아이콘을 수납하는 조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클로짓 아이콘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아이템 일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아이템 일람중, 하나의 아이템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클로짓으로부터 가상방에 아이콘을 되돌리는 조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클로짓으로부터 가상방에 아이콘을 되돌리는 조작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PC 아이콘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PC 아이콘으로부터,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 오디오 플레이어 아이콘, 및 포토 앨범 아이콘이 분리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이 분리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표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EPG 정보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32는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표의 방송프로그램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녹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이 선택되어 있는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녹화필 방송프로그램 일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컨텐츠 일람 정보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37은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중의 하나를 선택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8은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을 재생한 때의 출력처를 선택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9는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을 메인 패널에 표시시킨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0은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을 메인 패널에 표시시킬 때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41은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을 재생한 영상을 실재하는 TV에 표시시킨 때의 메인 패널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2는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을 재생한 영상을 실재하는 TV에 표시시킨 때의 메인 패널의 다른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3은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을 실재하는 TV에 표시시킬 때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44는 TV 아이콘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5는 실재하는 TV의 제어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6은 실재하는 TV의 제어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7은 메모장 아이콘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8은 도 47의 「신규」 버튼이 눌려진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9는 메모장의 페이지에 텍스트를 입력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0은 메모용지 아이콘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1은 전화 아이콘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2는 도 51의 「멤버 일람」 버튼이 눌려진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3은 도 52의 「유저 검색」 버튼이 눌려진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4는 유저 검색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5는 「하나코」를 멤버에 가등록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6은 「하나코」가 가등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7은 「히데오」를 멤버로부터 삭제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8은 「히데오」를 멤버로부터 삭제한 후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9는 가등록된 「하나코」의 가상방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0은 가등록된 때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61은 전화 아이콘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2는 「유미코」에 전화를 거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3은 현황 정보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64는 전화 채팅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65는 전화가 걸려 온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6은 통화중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7은 전화 채팅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8은 전화 채팅을 종료하는 때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9는 전화 채팅 종료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70은 자동응답전화 기록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71은 전화의 호출처가 자동응답전화였던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2는 전화 아이콘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3은 자동응답전화 메시지 일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4는 자동응답전화 메시지를 확인하는 때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5는 도어 아이콘이 선택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6은 「유미코의 집」에 방문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7은 컴퍼런스 생성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78은 「유미코의 집」에 방문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9는 컴퍼런스의 동기 정보로서, 유저(B)의 조작에 대응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80은 인터폰을 호출하는 조작을 설명한 도면.
도 81은 컴퍼런스의 동기 정보로서, 유저(A)의 조작에 대응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82는 「차임벨」 버튼이 눌려진 것에 대응하는 가상방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3은 인터폰 채팅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84는 인터폰 채팅시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5는 인터폰 채팅을 종료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6은 인터폰 채팅시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7은 도어를 개정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8은 입실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9는 마스코트(A)가 유저(B)의 가상방에 입실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0은 마스코트(A)가 유저(B)의 가상방에 입실한 때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1은 개정으로부터 입실까지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92는 마스코트끼리가 직접적으로 아이템을 건네주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3은 마스코트끼리가 직접적으로 아이템을 건네주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4는 마스코트끼리가 직접적으로 아이템을 건네주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5는 직접적인 소유권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96은 직접적으로 건네준 아이템을 확인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7은 직접적으로 건네준 아이템을 가상방이 배치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8은 포스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아이템을 건네주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9는 포스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아이템을 건네주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0은 포스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건네준 아이템을 확인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1은 포스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건네준 아이템을 가상방이 배치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2는 간접적인 소유권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03은 인터넷 라디오 공유 처리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4는 인터넷 라디오 공유 처리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5는 인터넷 라디오 공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06은 화상 공유 처리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7은 화상 공유 처리시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8은 화상 공유 처리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9는 화상 공유 처리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0은 화상 공유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11은 공유된 화상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2는 화상 공유 종료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은, 휴대형 유저 단말의 화면에, 유저 전용의 가상적인 공간(이하, 가상 주택(假想宅), 또는 가상방(假想部屋)이라고 기술한다)을 CG(Computer Graphic)로서 표시시킬 수 있고, 가상 주택 내에 마련되는 퍼스널 컴퓨터 아이콘이나 텔레비전 수상기 아이콘 등을 조작함에 의해, 유저의 주거에 실재하는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기술한다), 텔레비전 수상기(이하, TV라고 기술한다), 오디오 기기 등의 각종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은, 다른 유저 전용의 가상 주택을 방문하거나, 다른 유저와 리얼타임으로 메시지를 교환하거나, 동일한 가상 주택을 공용하고 있는 복수의 유저 사이에서 컨텐츠 데이터(악곡 등의 오디오 데이터, 정지 화상 또는 동화의 비디오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등)를 공용하거나 하는 것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하, 유저가 휴대형 유저 단말 등에 표시시킨 가상 주택의 화면을 조작하여, 유저 주택에 실재하는 PC 등을 제어하는, 다른 유저와 관계 없는 처리를, 이하, 스탠드 얼론 처리라고 기술한다.
한편, 유저가 다른 유저의 가상 주택을 방문하는 것 같은, 복수의 유저가 관련되는 처리를, 이하, 커뮤니케이션 처리라고 기술한다.
도 1은,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은, 유저측의 기기와 서비스 제공자측의 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최초로, 유저측의 기기에 관해 설명한다. 휴대형 유저 단말(1)은, 예를 들면,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전화기 등으로 이루어지고, 내장된 CPU(31)(도 2)가 가상 주택 뷰어 프로그램(51)(도 2)을 실행함에 의해,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임의의 서버 등에 접속하고, 이하에 기술하는 동작을 실현한다.
유저(A)에 의해 사용되는 휴대형 유저 단말(1)은,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측의 가상 주택 DB 서버(21) 등에 접속하고, 유저(A)의 가상 주택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 화상, 즉, 가상 주택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 가상 주택의 화상에는, 유저(A)의 주거(이하, 유저(A) 주택이라고 기술한다)에 실재하는 PC(12)나 TV(13)에 각각 대응하는 PC 아이콘이나 TV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휴대형 유저 단말(1)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가상 주택의 PC 아이콘이나 TV 아이콘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여,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A) 주택의 주택 내부 네트워크(2)를 구성하는 홈 서버(11)에 접속하고, 인증이 행하여진 후, 주택 내부 네트워크(2)에 접속된 PC(12)나 TV(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유저 단말(1)은, 홈 서버(11)를 제어하고, PC(12)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인터넷(5)을 통하여 취득할 수 있다.
유저(A) 주택에는, 홈 서버(11)를 중심으로 하는 주택 내부 네트워크(2)가 마련되어 있다.
홈 서버(11)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고 있다. 따라서 홈 서버(11)에 대해, 휴대형 유저 단말(1) 등이 인터넷(5)을 통하여 액세스할 수 있다. 홈 서버(11)에는, 유저(A)에 고유한 개인 ID 및 패스워드, 및 유저(A)가 사용하는 유저 단말(지금의 경우, 휴대형 유저 단말(1)) 고유의 기기 ID 및 패스워드가 등록되어 있고, 인터넷(5)을 통하여 액세스가 발생한 경우, 인증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홈 서버(11)는, 유저(A)가 미리 기기 ID 및 패스워드가 등록되어 있는 유저 단말(1)을 사용하고, 정확한 개인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때만, 인터넷(5)을 통한 유저 단말(1)로부터의 액세스를 허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홈 서버(11)에 등록 가능한 유저 단말의 수를 수대(數台)로 제한을 하거나, 또는, 동일한 개인 ID 및 패스워드에 의해 액세스가 허가되는 유저 단말의 수를 1대로 제한하거나 하면, 부정한 액세스에 의해 컨텐츠가 취득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홈 서버(11)가, 액세스 발생시에 실행한 인증 처리를, 후술하는 인증 서버(22)에 대행시켜도 상관없다. 이 경우, 인증 서버(22)에, 각 유저 주택의 홈 서버에 대한 부정한 액세스에 이용된 유저 ID 및 패스워드, 및 기기 ID 및 패스워드의 정보를 축적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정한 액세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1인의 유저가 복수의 주택 내부 네트워크를 갖고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개인 ID, 기기 ID 등의 등록에 요하는 수고를 한번으로 끝낼 수 있다.
홈 서버(11)는, 휴대형 유저 단말(1)로부터 인터넷(5)을 통하여 송신된 PC(12)나 TV(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UPnP 등의 미들웨어를 실행함에 의해, PC(12)나 TV(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PC(12)나 TV(13)에 중계한다.
또한, 홈 서버(11)는, 휴대형 유저 단말(1)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PC(12)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인터넷(5)을 통하여 휴대형 유저 단말(1)에 송신한다.
유저(A) 주택의 PC(12)는, 휴대형 유저 단말(1)과 마찬가지로, 인터넷(5)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측의 가상 주택 DB 서버(21) 등에 접속하고, 유저(A)의 가상 주택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PC(12)는, 표시되는 가상 주택의 PC 아이콘이나 TV 아이콘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여, 홈 서버(11)에 접속되어 있는 TV(13)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유저(B)에 의해 사용되는 PC(3)는, 휴대형 유저 단말(1)과 마찬가지로, 인터넷(5)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측의 가상 주택 DB 서버(21) 등에 접속하고, 유저(B)의 가상 주택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PC(3)는, 표시되는 가상 주택의 PC 아이콘이나 TV 아이콘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대응하여,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B) 주택의 홈 서버에 접속하고, 홈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PC(모두 불도시)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유저측의 기기로서는, 유저(A, B) 이외의 유저가 조작하는 휴대형 유저 단말이나 PC가 존재하고, 유저(A, B) 이외의 유저 주택에도, 각각 홈 서버가 배치되어 있지만, 그들의 도시는 생략한다.
다음에 서비스 제공자측의 기기에 관해 설명한다.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각 유저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가상 주택의 레이아웃 정보(가상 주택의 외관, 가상 주택 내의 벽의 모양, 바닥의 재질, 가상 주택 내의 각종 아이콘의 배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나, 각 유저의 이벤트 정보(유저 앞으로 메시지가 도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다른 유저로부터 채팅의 신청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등)를 기억하고 있고, 인터넷(5)을 통하여 접속하여 온 휴대형 유저 단말(1) 등에 대해, 가상 주택의 정보나 이벤트 정보를 공급한다.
인증 서버(22)는, 인터넷(5)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측의 장치에 액세스하여 온 휴대형 유저 단말(1) 등에 대한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유저 단말(1)로부터 송신된 개인 ID 및 패스워드, 및 기기 ID 및 패스워드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일 때만, 서비스 제공자측의 장치에 대한 액세스권을 공급하고, 휴대형 유저 단말(1)로부터 가상 주택 DB 서버(21),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 또는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송신되는 액세스권의 진위를 판별한다.
또한, 인증 서버(22)는, 홈 서버(11)가 인터넷(5)을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휴대형 유저 단말(1) 등에 대해 실행하는 인증 처리를 대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서버(22)는, 인증 후, 홈 서버(11)에 대한 액세스권을 휴대형 유저 단말(1)에 공급하고, 휴대형 유저 단말(1)로부터 홈 서버(11)에 송신되는 액세스권의 진위를 판별한다.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을 이용하는 복수의 유저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각 유저가 속하는 유저 그룹의 멤버 리스트를 기억하거나, 복수의 유저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채팅을 관리하거나, 가상방이 공유되는 때에 생성되는 컴퍼런스의 동기(同期) 정보(상세는 후술한다)를 관리하거나 한다.
또한, 유저는, 복수의 유저 그룹에 중복하여 소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각 유저의 개인 데이터, 즉, 이벤트 정보에 대한 이벤트 상세 정보(유저 앞으로의 메일이나 메시지의 텍스트 데이터 등), 유저가 취득한 각종의 증명증 데이터(후술), 메모장 기능을 이용하여 유저가 기입한 텍스트 데이터, 다른 유저에게 공유시키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한다.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버(25)는, 인터넷(5)을 통하여 접속하여 온 휴대형 유저 단말(1) 등으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프로그램표 및 각 방송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EPG 정보를 공급한다.
오디오 서버(26)는, 이른바, 인터넷 라디오의 방송 서버로서, 인터넷(5)을 통하여 접속하여 온 휴대형 유저 단말(1) 등으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오디오의 스트림 데이터를 공급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측의 가상 주택 DB 서버(21) 내지 오디오 서버(26)는,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개로 마련하지 않아도 좋고, 가상 주택 DB 서버(21) 내지 오디오 서버(26)중의 몇개를, 적절히, 통합하여도 좋다.
도 2는 휴대형 유저 단말(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형 유저 단말(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31)를 내장하고 있다. CPU(31)에는 버스(34)를 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35)가 접속되어 있다. 버스(34)에는, ROM(Read Only Memory)(32) 및 RAM(Random Access Memory)(33)이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5)에는, 음성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36), 유저(A)가 조작 커맨드를 입력하는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부(37), 가상 주택 등의 영상을 표시하는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38), 각종의 프로그램 및 각종의 데이터를 수납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39), 및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4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35)에는, 자기 디스크(42), 광디스크(43), 광자기 디스크(44), 및 반도체 메모리(45)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해 데이터를 판독 기록하는 드라이브(41)가 접속되어 있다.
CPU(31)는, 자기 디스크(42) 내지 반도체 메모리(45)로부터 판독되어 기억부(39)에 기억되고, 기억부(39)로부터 RAM(33)에 로드된 가상 주택 뷰어 프로그램(51)을 실행함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가상 주택 뷰어(91)를 실현한다. 이상으로, 휴대형 유저 단말(1)의 구성예의 설명을 종료한다.
도 3은, PC(12)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PC(12)는, CPU(61)를 내장하고 있다. CPU(61)에는 버스(64)를 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65)가 접속되어 있다. 버스(64)에는, ROM(62) 및 RAM(63)이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5)에는, 음성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66), 유저(A)가 조작 커맨드를 입력하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부(67), 가상 주택 등의 영상을 표시하는 CRT 또는 LCD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68), 각종의 프로그램 및 각종의 데이터를 수납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69), 및 홈 서버(11)와의 통신이나, 홈 서버(11) 및 인터넷(5)을 통한 서비스 제공자측의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7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65)에는, 자기 디스크(74), 광디스크(75), 광자기 디스크(76), 및 반도체 메모리(77)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해 데이터를 판독 기록하는 드라이브(73), 및, 텔레비전 방송 등의 AV 신호를 인코드하며, 또한 디코드하는 비디오 인코더/디코더(71)가 접속되어 있다. 비디오 인코더/디코더(71)에는,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72)가 내장되어 있다.
CPU(61)는, 자기 디스크(74) 내지 반도체 메모리(77)로부터 판독되어 기억부(69)에 기억되고, 기억부(69)로부터 RAM(63)에 로드된 가상 주택 뷰어 프로그램(81), 하드 디스크(HDD) 비디오 레코더(82), 오디오 데이터 배신 서비스 프로그램(83), 및 사진 데이터 배신 서비스 프로그램(84)을 각각 실행함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4종류의 기능, 즉, 가상 주택 뷰어(91), HDD 비디오 레코더(92), 오디오 데이터 배신 서비스(93), 및 사진 데이터 배신 서비스(94)를 실현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프로그램은 각종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배포되어도 좋고, 인터넷(5)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배포되어도 좋다.
가상 주택 뷰어(91)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로부터 유저(A)의 가상 주택의 정보를 취득하고, 화면상에 가상 주택을 표시시킴과 함께, 가상 주택 내의 PC 아이콘이나 TV 아이콘에 대한 유저(A)의 조작에 대응하여, PC(12)나 TV(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홈 서버(11)에 출력한다. 또한, 가상 주택 뷰어(91)는, 후술하는 오디오 데이터 배신 서비스(93)와 동등하게, 배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성을 재생할 수 있다.
HDD 비디오 레코더(92)는, 비디오 인코더/디코더(71)를 제어하고, 텔레비전 방송 등의 AV 신호를 인코드시키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기억부(69)에 기억시킨다. 또한, HDD 비디오 레코더(92)는, 기억부(69)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시켜서 디코드시키고, 복원되는 AV 신호의 영상을 표시부(68)에 표시시키고, 음성을 출력부(66)로부터 출력시킨다. 또는, 복원시키는 AV 신호를,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TV(13)에 공급시킨다.
오디오 데이터 배신 서비스(93)는, 오디오 서버(26) 등으로부터 취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부(66)로부터 출력시킨다.
사진 데이터 배신 서비스(94)는, 예를 들면, 기억부(69)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표시부(68)에 표시시키거나,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섬네일 화상(축소 화상)의 일람을 표시부(68)에 표시시키거나 한다. 이상으로, PC(12)의 구성예의 설명을 종료한다.
또한, PC(3)의 구성예는, 도 2에 도시된 휴대형 유저 단말(1)의 구성예, 또는 도 3에 도시된 PC(12)의 구성예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홈 서버(11), 및 가상 주택 DB 서버(21) 내지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도, 도 3에 도시된 PC(12)의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구성예의 설명은 생략한다. 홈 서버(11), 및 가상 주택 DB 서버(21) 내지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각각에 내장되는 CPU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후술하는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도 5는, 휴대형 유저 단말(1) 등의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주택 뷰어 윈도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가상 주택 뷰어 윈도우(101)의 상부에는, 해당 윈도우를 닫을 때 눌려지는 「종료」 버튼(102), 해당 윈도우의 사이즈를 최대화할 때, 또는 해당 윈도우의 사이즈를 최대화의 상태로부터 원래의 사이즈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최대화」 버튼(103), 및 해당 윈도우를 최소화할 때 눌려지는 「최소화」 버튼(104)이 마련되어 있다.
가상 주택 뷰어 윈도우(101)는, 가상 주택의 화상이 표시되는 메인 패널(105), 메인 패널(105)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콘중,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아이콘에 관련되는 정보 등이 표시되는 컨트롤 패널(106), 및 채팅이나 메일의 텍스트나 시사 뉴스 등이 표시되는 커뮤니케이션 패널(107)로 구분되어 있다.
메인 패널(105)에 표시되는 가상 주택에 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상 주택의 실내(적절히, 가상방이라고도 기술한다)에는, 실내에서 자율적으로 행동하거나, 유저의 대리로서 다른 유저의 가상 주택에 방문하거나 하는 마스코트(121)가 존재한다.
여기서, 마스코트란, 현재 표시되어 있는 장소에 방문하고 있다는 인상을 유저에게 환기하는 기능, 가상 주택 뷰어 프로그램의 상태가 변화한 것에 관해 유저의 주의를 환기하는 기능, 다른 유저가 자신의 가상 주택을 방문하고 있는 것을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타인의 가상 주택을 방문할 때에 아이콘을 운반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마스코트란, 특개20O244765호 공보에 기재된 에이전트와 같이, 유저의 처리를 어떠한 형태로 대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단, 이 유저의 처리를 대행하는 기능은 반드시 갖고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가상방에는, 마스코트(121)를 다른 유저 주택에 방문시킬 때 눌려지는 도어 아이콘(122), 해당 유저 앞으로의 메일을 수신할 때 눌려지는 포스트 아이콘(123), 자기가 속하는 멤버 그룹의 멤버에게 통화할 때(단,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채팅할 때) 등에 눌려지는 전화 아이콘(124), 유저(A) 주택에 실재하는 PC(12)를 제어할 때 눌려지는 PC 아이콘(125), 및 유저(A) 주택에 실재하는 TV(13)를 제어할 때 눌 려지는 TV 아이콘(12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가상방에는, 가구에 상당하는 소파 아이콘(127), 및 테이블 아이콘(128), 및 실내 장식품이나 소형 물품(이하, 아이템이라고 기술한다) 등에 상당하는 식물(植物) 아이콘(129), 및 휴지통 아이콘(130)이 마련되어 있다.
PC 아이콘(125) 내지 휴지통 아이콘(130)은, 유저가 임의의 장소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식물 아이콘(129) 등의 아이템 아이콘은, 다른 유저 주택에 방문할 때에 자기의 가상방으로부터 갖고나와, 방문처의 유저에게 프레젠트할 수 있다.
또한, 가상방에는, 식물 아이콘(129) 등의 아이템 아이콘을 수납하거나(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거나), 수납하고 있던 아이템 아이콘을 가상방으로 되돌리거나(화면상에 재차 표시하거나) 할 때 눌려지는 클로짓 아이콘(13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아이콘의 디자인, 가상방의 벽지의 모양, 바닥의 재질 등도, 미리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선택가지 중에서, 유저가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휴대형 유저 단말(1)의 CPU(31)가 RAM(33)에 로드된 가상 주택 뷰어 프로그램(51)을 실행한 때에 행하여지는 일련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휴대형 유저 단말(1)의 동작의 주어(主語)를, 가상 주택 뷰어(51)라고 기술한다.
처음에, 서비스 제공자측의 기기에 대해 로그인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로그인 처리에 관해,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상 주택 뷰어(51)가 기동되면, 화면상의 메인 패널(105)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A)의 가상 주택의 외측이 표시된다. 이 화상의 표시에는, 전회 로그인하고 있던 때에 가상 주택 DB 서버(21)로부터 공급되고, 기억부(39) 등에 캐시되어 있던(보존되어 있던) 레이아웃 정보가 이용된다. 컨트롤 패널(106)에는, 패스워드 입력란(108), 및 「집의 속」 버튼(109)이 표시된다.
유저(A)에 의해, 패스워드 입력란(108)에 로그인용의 패스워드가 입력되고, 「집의 속」 버튼(109)이 눌려진 것에 대응하여, 스텝 S1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액세스하고, 로그인 요구를 송신한다.
이 로그인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인증 서버(22)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통지한다.
스텝 S2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인증 서버(22)에 액세스하고, 유저(A)에 의해 입력된 유저(A)의 개인 ID 및 패스워드, 및 휴대형 유저 단말(1)에 보존되어 있는 기기 ID 및 패스워드를, 인증 요구와 함께 송신한다.
이 인증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21에서, 인증 서버(22)는, 개인 ID 등의 정당성을 확인한 후,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서비스 제공자측의 모든 기기, 및 유저(A) 주택의 홈 서버(11)에 대한 액세스권을 공급한다.
스텝 S3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취득한 액세스권을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통지한다. 스텝 S12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가상 주택 뷰어(51)로부터 통지된 액세스권의 확인을, 인증 서버(22)에 요구한다. 스텝 S22에서, 인증명 서버(22)는, 액세스권의 진위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통지한다.
스텝 S13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인증 서버(22)로부터 통지된 확인 결과가, 액세스권이 진짜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로그인이 성공한 것을,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통지한다.
이 로그인 성공의 통지를 수령함에 의해, 가상 주택 뷰어(51)는, 이 이후의 처리를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로그인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메인 패널(105)에 가상방을 표시하기 위해 레이아웃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레이아웃 정보 취득 처리에 관해, 도 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31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유저(A)의 가상 주택의 레이아웃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4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자기가 기억하고 있는 유저(A)의 가상 주택의 최신의 레이아웃 정보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공급한다.
스텝 S32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취득한 최신의 레이아웃 정보와, 기억부(39) 등에 캐시되어 있던 레이아웃 정보를 비교하고, 예를 들면, 캐시되어 있던 레이아웃 정보에는 존재하지 않고, 최신의 레이아웃 정보에는 존재하고 있는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 등과 같은, 갱신된 부분의 데이터를,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42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요구된 아이콘의 화상 데이터 등등의 갱신된 부분의 데이터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공급한다. 이 후, 스텝 S33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가상방의 화상을 표시한다. 이 때, 가상방의 어느 아이콘도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컨트롤 패널(106)에는, 가상방의 상태(축일수(築日數)[만든 후 지나간 날짜수], 누계 로그인 시간, 벽의 종류, 바닥의 종류 등)가 표시된다. 이상으로, 레이아웃 정보 취득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유저(A)의 이벤트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유저(A)의 이벤트 정보 취득 처리에 관해, 도 1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벤트 정보란,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서, 다른 유저로부터의 유저(A)에 대한 어떠한 동작(예를 들면, 유저(A) 앞으로 메일이 도착하여 있는 것, 유저(A) 앞으로 자동응답전화 메시지가 녹음되어 있는 것, 유저(A)의 가상 주택에 다른 유저가 방문하러 와 있는 것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스텝 S51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유저(A)의 이벤트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6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유저(A)의 이벤트 정보를 가상 주택 뷰어(51)에 공급한다.
스텝 S52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가상 주택 DB 서버(21)로부터 공급된 유저(A)의 이벤트 정보에 의거하여,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액세스하고,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상세 정보를 요구한다. 여기서, 이벤트 상세 정보란, 예를 들면, 유저(A) 앞으로의 메일이나 메시지의 구체적인 내용인 텍스트 데이터를 가리킨다.
단, 지금의 경우, 로그인 후의 최초의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대한 접속이기 때문에,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 상세 정보를 요구하기 전에, 상술한 로그인 처리에 있어서의 스텝 S3, S12, S22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가상 주택 뷰어(51)가, 인증 서버(22)로부터 취득한 액세스권을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통지하고,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가, 가상 주택 뷰어(51)로부터 통지된 액세스권의 확인을, 인증 서버(22)에 요구하고, 인증 서버(22)가, 액세스권의 진위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통지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71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요구된 이벤트 상세 정보를 공급한다. 이상으로, 이벤트 정보 취득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또한, 이 이벤트 정보 취득 처리는, 이 이후, 소정의 타이밍에서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즉, 폴링(polling) 방식으로 실행된다.
다음에, 유저(A) 주택의 주택 내부 네트워크(2)를 구성하고 있는 기기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주택 내부 네트워크 정보 취득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주택 내부 네트워크 정보 취득 처리에 관해, 도 1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81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 저(A) 주택의 홈 서버(11)에 액세스하고, 주택 내부 네트워크(2)의 검색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91에서, 홈 서버(11)는, 주택 내부 네트워크(2)의 검색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자기(自己)에게 접속하여 있는 모든 기기에 대해, 응답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01에서, TV(13)는,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홈 서버(11)에, 자기를 특정하는 정보를 응답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홈 서버(11)에 접속되어 있는 PC(12)도 마찬가지 처리를 실행한다. 이 이후에도, PC(12)는, TV(13)와 마찬가지 처리를 실행하지만,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92에서, 홈 서버(11)는, 데이터 버스(14)에 접속된 TV(13), PC(12)로부터의 응답에 의거하여, 주택 내부 네트워크(2)를 구성하는 기기의 일람을 나타내는 주택 내부 네트워크 내 서비스 일람을 작성하고,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통지한다.
홈 서버(11)로부터 통지된 주택 내부 네트워크 내 서비스 일람에 의거하여, 스텝 S82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홈 서버(11)에, 주택 내부 네트워크(2)를 구성하는 기기(네트워크 기기도 기술한다)의 상세 정보를 요구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의 상세 정보란, 가상 주택 뷰어(51)로부터 제어할 수 있는 항목(TV(13)의 경우, 전원의 온/오프, 음량의 증감, 채널의 변경, 다중 음성의 전환, 입력 신호의 전환 등이다. PC(12)의 경우, 실현할 수 있는 HDD 비디오 레코더(92), 오디오 데이터 배신 서비스(93), 및 사진 데이터 배신 서비스(94)의 각종의 조작 등이다),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할 때에 컨트롤 패널(106)에 표시하는 조작 버튼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93에서, 홈 서버(11)는, 주택 내부 네트워크(2)를 구성하는 TV(13)에 상세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02에서, TV(13)는, 홈 서버(11)에, 자기의 상세 정보를 통지한다. 스텝 S94에서, 홈 서버(11)는, 각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상세 정보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통지한다.
스텝 S83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홈 서버(11)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스태터스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95에서, 홈 서버(11)는, TV(13)에 현재 스태터스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03에서, TV(13)는, 홈 서버(11)에, 자기의 현재 스태터스 정보를 통지한다. TV(13)의 현재 스태터스 정보란, 예를 들면, 수신중의 채널, 음량의 설정치 등이다. 스텝 S96에서, 홈 서버(11)는, 각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현재 스태터스 정보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주택 내부 네트워크 정보 취득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또한, 가상 주택 뷰어(51)는, 이상과 같이 하여 취득한 각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스태터스 정보에 의거하여, 메인 패널(105)에 표시되어 있는 가상방 내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유저 주택(A)의 TV(13)가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수신중인 경우, TV 아이콘(126)의 화면에 화상 을 표시시킨다.
다음에,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의 멤버 리스트를 취득하기 위해, 멤버 리스트 취득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멤버 리스트 취득 처리에 관해, 도 1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11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액세스하고, 상술한 로그인 처리로 인증 서버(22)로부터 취득한 액세스권을 통지하고, 멤버 리스트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2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가상 주택 뷰어(51)로부터 통지된 액세스권의 확인을, 인증 서버(22)에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31에서, 인증 서버(22)는, 액세스권의 진위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통지한다.
스텝 S12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인증 서버(22)로부터 통지된 확인 결과가, 액세스권이 진짜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의 멤버 리스트를 공급한다. 이상으로, 멤버 리스트 취득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여기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완료된 후, 각종의 스탠드 얼론 처리나 커뮤니케이션 처리(모두 상세는 후술한다)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가상 주택 뷰어(51)를 종료하는 때의 로그아웃 처리에 관해, 도 1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로그아웃 처리는, 유저에 의해, 가상 주택 뷰어 윈도우(101)의 「종료」 버튼(102)이 눌려진 경우에 시작된다. 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표시되어 있는 가상방의 도어 아이콘(122)이 선택됨에 의해 컨트롤 패널(106)에 표시되는 각종의 버튼(도 75를 참조하여 상술한다)중, 「로그아웃」 버튼(137)이 눌려진 경우에 시작된다.
스텝 S141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현재의 레이아웃 정보(가상방 내의 각 아이콘의 배치나 방향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고, 가상 주택 DB 서버(21)에서 기억되어 있는 레이아웃 정보의 갱신을 요구한다. 이 갱신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5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자기가 기억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갱신한다. 이 후,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레이아웃 정보의 갱신 완료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통지한다.
스텝 S142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메모장 기능(도 47 내지 도 5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을 이용하여 입력한 메모 기재 등의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를 송신하고,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서 기억되어 있는 개인 데이터의 갱신을 요구한다. 이 갱신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6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자기가 기억하는 유저(A)의 개인 데이터를 갱신한다. 이 후,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개인 데이터의 갱신 완료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통지한다.
스텝 S143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로그아웃을 요구한다. 이 로그아웃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52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이 이후, 재차 로그인되기 까지의 동안, 가상 뷰어(51)로부터의 액세스를 거절하도록 자기를 설정하고,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로그아웃 완료를 통지한다.
스텝 S144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로그아웃을 요구한다. 이 로그아웃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62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이 이후, 재차 로그인되기 까지의 동안, 가상 뷰어(51)로부터의 액세스를 거절하도록 자기를 설정하고,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로그아웃 완료를 통지한다.
스텝 S145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로그아웃을 요구한다. 이 로그아웃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7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이 이후, 재차 로그인되기 까지의 동안, 가상 뷰어(51)로부터의 액세스를 거절하도록 자기를 설정하고,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로그아웃 완료를 통지한다. 이 로그아웃 완료의 통지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의 처리가 완료된다. 이상으로, 로그인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로그인 후에 실행 가능한 스탠드 얼론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유저는, 가상방 내의 임의의 아이콘을 임의의 위치에 드래그 앤드 드롭함에 의해, 임의의 아이콘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단, 도어 아이콘(122)에 부수되는 포스트 아이콘(123)과 같이, 배치를 변경할 수 없는 아이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가상방의 소파 아이콘(127)을 드래그하여, 테이 블 아이콘(128)의 오른쪽 위에 드롭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파 아이콘(127)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가상방 내의 임의의 아이콘을 더블 클릭할 때마다, 임의의 아이콘 방향을, 좌로 비스듬히 앞을 향하게 또는 우로 비스듬히 앞을 향하게 교대로 전환할 수 있다(단, 방향을 전환할 수 없는 아이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가상방의 우로 비스듬히 앞을 향한 소파 아이콘(127)을 더블 클릭하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방향을, 좌로 비스듬히 앞을 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가상방의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을 드래그하소, 테이블 아이콘(128)에 중첩한 상태로 드롭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아이콘(128)의 위에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을 테이블 아이콘(128)의 뒤에 배치할 수도 있다. 즉,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을, 예를 들면, 화면의 오른쪽 하측에서부터 왼쪽 상측을 향하여, 테이블 아이콘(128)의 위치까지 드래그하여 드롭하면,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아이콘(128)의 위에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을 배치할 수 있다.
반대로,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을, 예를 들면, 화면의 왼쪽 상측에서부터 오른쪽 하측을 향하여, 테이블 아이콘(128)의 위치까지 드래그하여 드롭하면,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아이콘(128)의 뒤에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을 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각 아이콘의 배치나 방향이 변경된 경우, 그것에 대응하여, 수시로, 레이아웃 정보가 갱신되고, 갱신된 레이아웃 정보는, 소정의 주기마다,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송신된다.
유저는, 가상방 내의 임의의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클로짓 아이콘(131)에 드롭함에 의해, 임의의 아이콘을 클로짓에 수납할 수 있다(단, 수납할 수 없는 아이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짓 아이콘(131)에,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을 드래그하면, 클로짓 아이콘(131)의 문이 열리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을 드롭하면,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이 클로짓에 수납된 것으로 된다.
클로짓 아이콘(131)에 임의의 아이콘이 수납된 때, 클로짓 아이콘(131)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상태(도면에서는, 굵은 테두리로 둘러싸인 상태)로 된다. 클로짓 아이콘(131)이 선택된 상태로 되었음에 의해, 클로짓 아이콘(131)에 인접하여 팝 업 리스트(151)가 표시된다.
팝 업 리스트(151)에는, 클로짓에 수납되어 있는 아이콘을 축소한 것이, 수납된 순서에 따라 소정의 수(도 22의 경우, 5개)까지 표시되다. 또한, 클로짓에 소정의 수 이상의 아이콘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 팝 업 리스트(151)의 중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을 스크롤시킬 때 눌려지는 스크롤 버튼(159)이 표시된다.
또한, 클로짓 아이콘(131)이 선택된 상태로 됨에 의해, 컨트롤 패널(106)에는, 「아이템 일람 표시」 버튼(157), 및 「닫는」 버튼(158)이 표시된다.
「아이템 일람 표시」 버튼(157)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짓에 수납되어 있는 모든 아이콘을 나타내는 아이템 일람을 메인 패널(105)에 표시시킬 때 눌려진다. 「닫는」 버튼(158)은, 메인 패널(105)에 아이템 일람이 표시되어 있는 때,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가상방으로 되돌릴 때 눌려진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아이템 일람중의 하나(도 24의 경우, 수납되어 있는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경우, 컨트롤 패널(106)에는, 선택된 아이콘의 프로퍼티와,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가상방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161)이 표시된다.
단, 도 24의 경우, 선택된 보드게임 세트 아이콘(141)의 프로퍼티는 특히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닫는」 버튼(161)만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닫는」 버튼(161)이 눌려진 경우,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의 표시가 가상방으로 되돌아온다.
유저는, 팝 업 리스트(151)의 속에서부터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가상방의 임의의 위치에서 드롭함에 의해, 클로짓에 격납되어 있는 아이콘을, 재차 가상방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은, 클로짓에 수납되어 있던 재떨이 아이콘(154)이, 가상방의 테이블 아이콘(128)의 위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은, 메인 패널(105)의 가상방에 있어서, PC 아이콘(125)이 선택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PC 아이콘(125)이 유저에 의해 선택됨에 의해, 컨트롤 패널(106)에는, 가상 주택 뷰어(51)로부터 제어 가능한 유저(A) 주택에 실재하는 PC(12)가 실현 가능한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비디오 레코더 버튼」(161), 「오 디오 플레이어」 버튼(162), 및 「포토 앨범」 버튼(163)이 표시된다.
「비디오 레코더 버튼」(161)은, PC(12)의 실현 가능한 기능인 HDD 비디오 레코더(92)를 제어할 때 눌려진다. 「오디오 플레이어」 버튼(162)은, PC(12)의 실현 가능한 기능인 오디오 데이터 배신 서비스(93)를 제어할 때 눌려진다. 「포토 앨범」 버튼(163)은, PC(12)의 실현 가능한 기능인 사진 데이터 배신 서비스(94)를 제어할 때 눌려진다.
또한, 컨트롤 패널(106)에는, PC(12)에 대응하는 PC 아이콘(125)과는 달리, HDD 비디오 레코더(92) 내지 사진 데이터 배신 서비스(94)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을 가상방에 표시시킬 때 눌려지는 「기능 분할」 버튼(164)이 표시된다. 즉, 「기능 분할」 버튼(164)이 눌려진 경우,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 아이콘(125)과는 별개로,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 오디오 플레이어 아이콘(172), 및 포토 앨범 아이콘(173)이, 바닥의 비어 있는 장소에 출현한다. 유저는, 다른 아이콘에 대한 조작과 마찬가지로,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 내지 포토 앨범 아이콘(173)의 배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9는, 가상방에 있어서의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 및 오디오 플레이어 아이콘(172)의 배치가, 도 28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변경되고,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이 선택됨에 의해, 컨트롤 패널(106)에는,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의 프로퍼티로서 HDD 비디오 레코더(92)의 현재의 상태가 표시되다. 또한, HDD 비디오 레코더(92)의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방금전 실행한 주택 내부 네트워 크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 취득된 PC(12)의 현재 스태터스 정보가 이용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106)에는, 메인 패널(105)에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프로그램표(이하,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표라고 기술한다)를 표시시킬 때 눌려지는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표」 버튼(181), 메인 패널(105)에 녹화 예약의 정보를 표시시킬 때 눌려지는 「녹화 예약 확인」 버튼(182), 메인 패널(105)에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시킬 때 눌려지는 「녹화필 방송프로그램 일람」 버튼(183),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가상방의 화상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184)이 표시된다.
도 30은,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표」 버튼(181)이 눌려진 것에 대응하여, 메인 패널(105)에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표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표의 표시에는, 가상 주택 뷰어(51)가 EPG 서버(25)로부터 취득하는 EPG 정보가 이용된다.
가상 주택 뷰어(51)에 의한 EPG 정보 취득 처리에 관해, 도 3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81에서, 가상 주택 뷰어(51)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EPG 서버(25)에 액세스하고, EPG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191에서, EPG 서버(25)는,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51)에 EPG 정보를 공급한다. 이상으로, EPG 정보 취득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표의 하나의 방송프로그램명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경우, 컨트롤 패널(106)에는, 선택된 방송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와, 선택된 방송프로그램을 녹화할 때의 녹화 모드를, 표준 모드, 고화질 모드, 또는 장시간 모드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때 눌려지는 「녹화 모드」설정란(191), 선택된 방송프로그램의 녹화를 예약할 때 눌려지는 「녹화」 버튼(192),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가상방에서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193)이 표시된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표의 하나의 방송프로그램명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녹화」 버튼(192)이 눌려진 경우, 가상 주택 뷰어(51)는, 선택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녹화 예약을 HDD 비디오 레코더(92)에 지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홈 서버(11)에 송신한다. 홈 서버(11)는, 이 제어 신호를,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PC(12)에 송신한다.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PC(12)의 HDD 비디오 레코더(92)는, 제어 신호에 따라 녹화 예약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형 유저 단말(1)에서 실행되는 가상 주택 뷰어(51)의 조작 화면으로부터, 유저(A) 주택의 PC(12)에 대해 텔레비전 방송의 녹화 예약 설정을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이 선택된 때의 컨트롤 패널(106)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녹화필 방송프로그램 일람」 버튼(183)이 눌려진 경우, 메인 패널(105)에는, PC(12)의 HDD 비디오 레코더(92)에 의해 이미 녹화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일람이 표시된다.
그런데, 여기까지 설명한, 휴대형 유저 단말(1)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가상 주택 뷰어(51)에 의한 처리는, 유저(A) 주택의 PC(12)가 가상 주택 뷰어 프로그램(81)을 실행함에 의해 실현하는 가상 주택 뷰어(91)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가상 주택 뷰어(91)에 의한,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에 관련된 유저(A)주택 내부만에서 완결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주택 뷰어(91)의 메인 패널(105)에 가상방이 표시되고, 그리고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이 선택되고, 컨트롤 패널(106)에,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표」 버튼(181) 내지 「닫는」 버튼(184)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녹화필 방송프로그램 일람」 버튼(183)이 눌려진 경우,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주택 뷰어(91)의 메인 패널(105)에는, HDD 비디오 레코더(92)에 의해 이미 녹화되어 있는 방송프로그램의 일람을 나타내는 녹화필 방송프로그램 일람이 표시된다.
이 녹화필 방송프로그램 일람을 표시하기 위해, 가상 주택 뷰어(91)는, HDD 비디오 레코더(92)로부터 컨텐츠 일람 정보를 취득한다. 이 컨텐츠 일람 정보 취득 처리에 관해, 도 36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201에서, 가상 주택 뷰어(91)는, HDD 비디오 레코더(92)에 컨텐츠 일람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211에서, HDD 비디오 레코더(92)는, 컨텐츠 일람 정보를 가상 주택 뷰어(91)에 공급한다. 이상으로, 컨텐츠 일람 정보 취득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녹화필 방송프로그램 일람의 하나의 방송프로그램 명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경우, 컨트롤 패널(106)에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와, 선택된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을 재생시킬 때 눌려지는 「재생」 버튼(194), 재생을 일시 정지시킬 때 눌려지는 「일시 정지」 버튼(195), 재생을 정지시킬 때 눌려지는 「정지」 버튼(196), 선택된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을 삭제시킬 때 눌려지는 「삭제」 버튼(197),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가상방에서 비디오 레코더 아이콘(171)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198)이 표시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녹화필 방송프로그램 일람의 하나의 방송프로그램명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재생」 버튼(194)이 눌려진 경우,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버튼(194)에 인접하여, 재생되는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출력처을 선택하기 위한 「메인 패널」 버튼(194A), 및 「TV」 버튼(194B)이 표시된다.
「메인 패널」 버튼(194A)이 눌려진 경우, 재생되는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은,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을 재생한 영상을 메인 패널(105)에 표시시킬 때의 처리에 관해, 도 4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221에서, 가상 주택 뷰어(91)는, HDD 비디오 레코더(92)에 대해, 선택되어 있는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스트림 재생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231에서, HDD 비디오 레코더(92)는,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재생을 시작하고, 그 스트림 데이터를 가상 주택 뷰어(91)에 공급한다.
그 후, 가상 주택 뷰어(91)의 컨트롤 패널(106)의 「일시 정지」 버튼(195) 또는 「정지」 버튼(196)이 유저에 의해 눌려진 경우, 스텝 S222에서, 가상 주택 뷰어(91)는, HDD 비디오 레코더(92)에 재생 정지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232에서, HDD 비디오 레코더(92)는,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재생을 정지하고, 가상 주택 뷰어(91)에 대한 스트림 데이터의 공급을 정지하고, 스트림 데이터의 공급 정지를 가상 주택 뷰어(91)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해당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도 38로 되돌아온다. 한편, 「TV」 버튼(194B)이 눌려진 경우, 그때까지 메인 패널(105)의 상단에 표시되어 있던 문자열 「녹화필 방송프로그램 일람」이,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열 「∼TV에서 재생중∼」로 치환된다. 이 상태에서, 「닫는」 버튼(198)이 눌려진 경우,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의 표시는 가상방으로 되돌아오고, 또한, TV 아이콘(126)의 화면에는, 재생된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실재하는 「TV」 버튼(194B)이 눌려진 경우, HDD 비디오 레코더(92)에 의해 재생된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이 TV(13)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HDD 비디오 레코더(92)에 의해 재생된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영상을 TV(13)에 표시시키는 처리에 관해, 도 4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241에서, 가상 주택 뷰어(91)는,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TV(13)에,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스트림 데이터를 HDD 비디오 레코더(92)로부터 취득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스텝 S251에서, TV(13)는,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HDD 비디오 레코더(92)에,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스트림 재생을 요구한다. 스텝 S261에서, HDD 비디오 레코더(92)는,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TV(13)에, 이 요구에 대한 양해(了解)를 통지한다. 스텝 S252에서, TV(13)는, HDD 비디오 레코더(92)가 스트림 재생을 양해한 것을,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91)에 통지한다.
스텝 S262에서, HDD 비디오 레코더(92)는,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재생을 시작하고, 그 스트림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TV(13)에 공급하기 시작한다.
그 후, 가상 주택 뷰어(91)의 컨트롤 패널(106)의 「일시 정지」 버튼(195) 또는 「정지」 버튼(196)이 유저에 의해 눌려진 경우, 스텝 S242에서, 가상 주택 뷰어(91)는,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TV(13)에, HDD 비디오 레코더(92)로부터의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스트림 데이터의 취득을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스텝 S252에서, TV(13)는,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HDD 비디오 레코더(92)에, 스트림 데이터의 공급 정지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263에서, HDD 비디오 레코더(92)는, 녹화필 방송프로그램의 재생을 정지하고, TV(13)에 대한 스트림 데이터의 공급을 정지하고, 스트림 데이터의 공급 정지를 TV(13)에 통지한다. 스텝 S253에서, TV(13)는, HDD 비디오 레코더(92)가 스트림 데이터의 공급 정지를 양해한 것을, 데이터 버스(14)를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91)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해당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도 44는, 메인 패널(105)의 가상방에 있어서, TV 아이콘(126)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TV 아이콘(126)이 선택됨에 의해, 컨트롤 패널(106)에는, TV 아이콘(126)의 프로퍼티로서, 유저(A) 주택에 실재하는 TV(13)의 상태(현재, TV(13)의 전원은 오프이기 때문에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다)와, TV(13)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 즉, 전원을 온/오프시킬 때 눌려지는 「POWER」 버튼(211), TV(13)의 수신 채널을 지정할 때 눌려지는 숫자 버튼(212), 음량을 증감시킬 때 눌려지는 「음량」 버튼(213) 등이 표시된다.
유저에 의해 「POWER」 버튼(211)이 눌려진 경우, 가상 주택 뷰어(91)는, TV(13)의 전원을 온으로 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홈 서버(11)에 출력한다. 홈 서버(11)는, 이 제어 신호를 TV(13)에 중계한다. TV(13)는, 가상 주택 뷰어(9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고, 전원을 온으로 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채널(예를 들면, 10ch)의 수신을 시작한다.
TV(13)로부터의 응답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91)는,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아이콘(126)을 전원 온의 상태로 변화시킨다. 즉, TV 아이콘(126)의 화면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가상 주택 뷰어(91)는, 컨트롤 패널(106)에, TV 아이콘(126)의 프로퍼티로서, TV(13)가 현재 수신중의 채널(지금의 경우, 10ch)과, 그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킨다.
이 후, 유저에 의해, 예를 들면, 6ch의 수신을 지시하는 숫자 버튼(212 내지 6)이 눌려진 경우, 가상 주택 뷰어(91)는, TV(13)에 대해 6ch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홈 서버(11)에 출력한다. 홈 서버(11)는, 이 제어 신호를 TV(13) 에 중계한다. TV(13)는, 가상 주택 뷰어(91)에 응답함과 함께, 수신하는 채널을 6ch로 전환한다.
TV(13)로부터의 응답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91)는,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아이콘(126)의 양면의 화상을 변경한다. 또한, 가상 주택 뷰어(91)는, 컨트롤 패널(106)에, TV 아이콘(126)의 프로퍼티로서, TV(13)가 수신중의 채널(지금의 경우, 6ch)과, 그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킨다.
다음에, 가상방의 메모장 아이콘(231)(도 47)을 이용하는 간이 메모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도 47은, 메인 패널(105)의 가상방에 있어서, 테이블 아이콘(128)의 위에 있는 메모장 아이콘(231)이 선택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메모장 아이콘(231)이 선택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 컨트롤 패널(106)에는, 메모장 아이콘(231)의 프로퍼티로서, 메모장의 전회에 열려 있던 페이지(지금의 경우, 3/500 페이지)의 선두 부분 「4/13 야구의 연습…」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06)에는, 프로퍼티로서 표시시키는 메모장의 페이지를 선택할 때 눌려지는 「페이지」 버튼(232), 메인 패널(105)에 신규의 페이지를 열 때 눌려지는 「신규」 버튼(233), 프로퍼티로서 선택된 페이지의 전체를 메인 패널(105)에 표시시킬 때 눌려지는 「여는」 버튼(234), 선택된 페이지를 메모장으로부터 절취하여 별개의 메모용지 아이콘(241)(도 50)을 생성할 때 눌려지는 「절취」 버튼(235),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메모장이 선택되어 있는 페이지의 문면(文面)으로부터 가상방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236)이 표시된다.
도 48은, 「신규」 버튼(233)이 눌려짐에 의해, 메인 패널(105)에 신규의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유저는,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페이지에 대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0은, 「절취」 버튼(235)이 눌려짐에 의해, 메모장이 선택되어 있던 페이지가 절취되고, 메모장 아이콘(231)과는 별개로, 1장의 메모용지에 대응하는 메모용지 아이콘(241)이 가상방에 출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메인 패널(105)의 가상방에서는, 메모용지 아이콘(241)이 선택된 상태로 되어 있고, 컨트롤 패널(106)에는, 선택되어 있는 메모용지 아이콘(241)의 프로퍼티로서, 거기에 기입되어 있는 텍스트의 선두 부분(지금의 경우, 「이것은 메모의 테스트입니다. …」)이 표시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106)에는, 메모용지에 기입되어 있는 텍스트를, 메인 패널(105)에 표시시킬 때 눌려지는 「여는」 버튼(242),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메모용지에 기입되어 있는 텍스트로부터 가상방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243)이 표시된다.
메모용지 아이콘(241)은, 후술하는 커뮤니케이션 처리에서, 다른 유저에게 건네줄 수 있다.
또한, 메모장의 각 페이지에 기록된 텍스트, 새롭게 출현한 메모용지 아이콘(241)의 배치나 방향, 메모용지에 기입된 텍스트는, 유저의 개인 데이터로서, 소정의 기간마다,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업 로드된다.
이상으로, 다른 유저와 관계 없는 각종의 스탠드 얼론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에 의한, 복수의 유저가 관련되는 각종의 커뮤니케이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유저(A)가 커뮤니케이션 처리를 상호간에 실행할 수 있는 상대는,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유저중, 유저(A) 자신이 속하는 유저 그룹의 멤버로 한정된다.
유저(A)는, 가상방의 전화 아이콘(124)을 선택하고, 그것에 의해 컨트롤 패널(106)에 표시되는 버튼을 누름에 의해, 유저(A) 자신이 속하는 유저 그룹에 속하여 있는 멤버중의 1인을 선택하여 통화할 수 있다(실제로는, 채팅에 의해 텍스트를 교환할 수 있다).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방의 전화 아이콘(124)이 선택된 경우, 컨트롤 패널(106)에는, 전화 아이콘(124)의 프로퍼티로서, 전화를 걸 수 있는 상대, 즉, 유저(A) 자신이 속하는 유저 그룹에 속하여 있는 멤버의 이름을 나타내는 호출처 리스트(251)가 표시된다.
호출처 리스트(251)에는, 유저(A) 자신이 속하는 유저 그룹에 속하여 있는 멤버의 이름이 소정의 수만큼 표시된다. 유저 그룹에 속하여 있는 멤버의 수가, 해당 소정의 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멤버의 이름의 표시를 스크롤시키기 위한 스크롤 버튼(도시 생략)이 표시된다. 멤버의 이름의 옆에는, 각각 호출 버튼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유미코」의 호출 버튼이 눌려진 경우, 같은 유저 그룹의 멤버인 「유미코」와 통화할 수 있다(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호출처 리스트(251)의 표시에는, 기동시의 일련의 처리로 취득된 멤버 리스트가 참조되는데, 이 표시와 함께,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멤버 리스트 취득 처리가 재차 실행되고, 최신의 멤버 리스트가 취득된 후, 호출처 리스트(251)의 표시가 갱신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106)에는, 유저(A) 자신이 속하는 유저 그룹에 속하여 있는 멤버의 이름의 일람을 메인 패널(105)에 표시시킬 때 눌려지는 「멤버 일람」 버튼(252), 통화를 종료할 때 눌려지는 「통화 절단」 버튼(253), 다른 유저로부터 유저(A) 앞으로 남아 있던 자동응답전화의 녹음의 내용(실제로는 텍스트 데이터)를 확인할 때 눌려지는 「자동응답전화 확인」 버튼(254),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자동응답전화의 녹음의 내용으로부터 가상방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255)이 표시된다.
유저(A) 자신이 속하는 유저 그룹에, 새롭게, 멤버를 추가등록하기 위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멤버 일람」 버튼(252)이 눌려진 경우,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는, 유저(A) 자신이 속하는 유저 그룹에 속하여 있는 멤버의 이름의 일람이 표시된다. 메인 패널(105)의 멤버 일람에는, 멤버 이름 외에, 「유저 검색」 버튼(261)이 표시된다.
「유저 검색」 버튼(261)이 눌려진 경우,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06)이, 전화의 프로퍼티인 호출처 리스트(251) 등의 표시로부터, 유저 검색을 위한 표시로 전환된다. 즉, 컨트롤 패널(106)에는, 검색 조건으로서의 유저명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271), 검색을 시작시키고, 메인 패널(105)에 검색 결과를 표시시킬 때 눌려지는 「검색」 버튼(272),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검색 결과로부터 멤버 일람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멤버 일람」 버튼(273),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가상방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274)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 조건으로서 「하나코」가 입력란(271)에 입력되고, 「검색」 버튼(272)이 눌려진 경우, 검색 조건 「하나코」가,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통지되고,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의해 모든 유저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이 실행되고, 그 검색 결과가 되돌아와서, 메인 패널(105)에 검색 결과로서, 검색 조건 「하나코」를 포함하는 유저명의 일람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검색 결과로서 표시된 유저명 「하나코」가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경우, 컨트롤 패널(106)에는, 선택된 유저명 「하나코」의 프로퍼티(「하나코」 자신에 의해 미리 공개용으로 등록되어 있는 문면 등), 선택된 유저명의 유저를, 유저 그룹에 추가등록할 때 눌려지는 「멤버 등록」 버튼(281),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멤버 일람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282)이 표시된다.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검색 결과에 있어서, 유저명 「하나코」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멤버 등록」 버튼(281)이 눌려진 경우, 유저(A) 자신이 속하는 유저 그룹에 「하나코」를 가등록(假登錄)하는 요구가,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통지된다.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의해 「하나코」의 가등록이 행하여진 후, 메인 패널(105)의 표시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버 일람으로 되고, 기존의 멤버의 이름에 계속해서, 유저명 「하나코(가등록)」가 추가 표시된다. 또한, 이 처리의 상세는, 도 6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에, 유저(A) 자신이 속하는 유저 그룹으로부터 기존의 멤버를 삭제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멤버 일람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 그룹에 속하는 멤버의 이름중, 「히데오」를 선택한 경우, 컨트롤 패널(106)에는, 선택된 유저명 「히데오」의 프로퍼티(「히데오」 자신에 의해 미리 공개용으로 등록되어 있는 문면 등), 선택된 유저명의 유저를, 유저 그룹으로부터 삭제할 때 눌려지는 「멤버 삭제」 버튼(291),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가상방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292)이 표시된다.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멤버 일람에 있어서, 「히데오」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멤버 삭제」 버튼(291)이 눌려진 경우, 유저(A) 자신이 속하는 유저 그룹으로부터 「히데오」를 삭제하는 요구가,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통지되고,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의해, 유저 그룹으로부터 「히데오」의 삭제가 행하여진 후,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멤버 일람으로부터, 「히데오」가 삭제된다.
다음에, 유저(A)의 조작에 의해,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에 「하나코」(이하, 거절이 있을 때까지, 「하나코」를 유저(B)라고 기술한다)가 가등록된 때의 처리에 관해 설명하지만, 그 전에, 유저(B)의 가상방에 관해, 도 5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9는, 유저(B)가 조작하는 PC(3)의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주택 뷰어의 윈도우(30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윈도우도, 메인 패널(301), 컨트롤 패널(302), 및 커뮤니케이션(303)으로 구분되어 있고, 메인 패널(301)에는, 유저(B)의 가상방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B)의 가상방에는, 유저(A)의 가상방과 마찬가지로, 마스코트(321)가 존재하고, 도어 아이콘(322), 포스트 아이콘(323), 전화 아이콘(324), PC 아이콘(325) 등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유저(A)의 조작에 의해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에 유저(B)가 가등록된 때의 처리에 관해, 도 6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271에서, 유저(A)가 조작하는 휴대형 유저 단말(1)의 가상 주택 뷰어 프로그램(51)(이하, 가상 주택 뷰어(A)라고 기술한다)은,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유저(B)의 가등록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28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에 유저(B)를 가등록하고, 가등록이 종료된 것을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그런데, 유저(B)측은,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에 자기가 가등록된 것을, 자기가 속하는 유저 그룹의 멤버 리스트를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로부터 취득한 때에 비로서 인식한다.
즉, 스텝 S291에서, 유저(B)가 조작한 PC(3)의 상주택 뷰어 프로그램(이하, 가상 주택 뷰어(B)라고 기술한다)은, 예를 들면, 기동시의 일련의 처리로서,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멤버 리스트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28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유저(B)가 속하는 유저 그룹의 멤버 리스트(유저(A)는 아직 포함되어 있지 않다)와,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에 유저(B)를 본등록하여도 좋은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멤버 등록 허가 문의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로부터 멤버 등록 허가 문의가 통지됨에 의해,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B)의 가상방의 포스트 아이콘(323)에, 멤버 등록표 아이콘(326)이 배달된다. 유저(B)에 의해 멤버 등록표 아이콘(326)이 선택된 경우, 컨트롤 패널(302)에는,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에 유저(B)가 가등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 본등록을 용인하는 때 조작되는 「멤버 등록 허가」 버튼(311), 본등록을 거부할 때 조작되는 및 「멤버 등록 거부」 버튼(312)이 표시된다.
유저(B)에 의해 「멤버 등록 허가」 버튼(311), 또는 「멤버 등록 거부」 버튼(312)이 눌려진 경우, 스텝 S292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유저(B)의 조작 결과를,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283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에 유저(B)를 본등록하는지, 또는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로부터 가등록되어 있는 유저(B)를 삭제하는지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그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또한, 유저(B)가 본등록되었는지 여부의 통지는, 가상 주택 뷰어(A)에 대해 명시적으로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러나, 유저(A)는, 이 이후, 가상 주택 뷰어(A)에 멤버 일람을 표시시킨 때에, 본등록된 유저(B)의 이름이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에 의해, 유저(B)가 본등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유저(A)의 조작에 의해 유저(A)가 속하는 유저 그룹에 유저(B)가 가등록된 때의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다른 유저와 통화(실제로는, 텍스트 채팅)하는 때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는, 같은 유저 그룹에 속하여 있는 멤버와의 사이에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A)가 같은 유저 그룹에 속하여 있는 「유미코」와의 통화를 시작하는데는,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방의 전화 아이콘(124)을 선택하고, 그것에 의해 컨트롤 패널(106)에 호출처 리스트(251)를 표시시키고,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처 리스트(251)에 포함되는 멤버중, 「유미코」 버튼을 누르면 좋다.
「유미코」 버튼이 눌려진 것에 대응하여, 「유미코」(이하, 거절이 있을 때까지, 유저(B)라고 기술한다)의 현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가상 주택 DB 서버(21)로부터 취득된다. 이 현황 정보 취득 처리에 관해, 도 6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30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유저(B)의 현황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31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3)는, 유저(B)의 현황 정보로서, 로그아웃 중(통화 불가), 로그인하고 있고 가상방에 재택중(통화 가능), 로그인하고 있고 가상방에 재택 중이지만 다른 유저와 통화중(통화 불가), 로그인하고 있고 다른 유저의 가상방에 외출중 등(통화 불가)의 어느 하나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현황 정보 취득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현황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 유저(B)가 로그인하고 있고 가상방에 재택중(통화 가능)인 것을 알은 경우, 가상 주택 뷰어(A)는, 전화 채팅 처리를 시작한다. 이 전화 채팅 처리에 관해, 도 6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32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유저(B)에 대한 전화 채팅 호출 이벤트를 요구한다. 스텝 S33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유저(B)에 대한 전화 채팅 호출 이벤트를 발생하고, 이 이벤트 요구를 양해한 취지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이 이후, 가상 주택 뷰어(A)는, 주기적으로,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유저(B)로부터 유저(A) 앞으로 송신되는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요구한다. 단, 유저(B)가 전화 채팅 호출에 응하지 않는다면, 아무것도 회신되지 않는다.
한편, 스텝 S341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이벤트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이벤트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332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유저(A)의 요구에 의해 전화 채팅 호출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는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이 유저(A)의 요구에 의해 전화 채팅 호출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는 취지의 통지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B)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301)의 가상방의 전화 아이콘(324)을, 예를 들면, 일부분을 점등시키거나, 또 는 전체를 점멸시키거나 하여, 강조하여 표시시키고, 전화의 호출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컨트롤 패널(302)에, 전화 채팅의 발신자명과, 전화 채팅의 호출에 응할 때에 눌려지는 「응답」 버튼(341)을 표시시킨다.
여기서, 유저(B)가 「응답」 버튼(341)을 누른 경우, 커뮤니케이션 패널(303)에는,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42),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42)에 입력한 텍스트를 송신할 때에 눌려지는 「SEND」 버튼(343), 및,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344)가 마련된다.
유저(B)가 「응답」 버튼(341)을 누르고,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42)에 텍스트 「여보세요」를 입력하고, 「SEND」 버튼(343)을 누른 경우, 스텝 S342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전화 채팅 호출에 대해 응답한 취지와, 전화 채팅의 텍스트 「여보세요」를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35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유저(A)로부터 유저(B) 앞으로의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회신한다. 단, 스텝 S351의 단계에서는, 유저(A)로부터 유저(B) 앞으로의 전화 채팅의 텍스트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회신되지 않는다.
한편, 전화 채팅에 호출한 유저(B)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고 있는 가상 주택 뷰어(A)는, 지금까지의 동안, 주기적으로,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유저(B)로부터 유저(A) 앞으로 송신되는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요구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아무것도 회신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스텝 S322에서, 가상 주택 뷰어(A)가,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유저(B)로부터 유저(A) 앞으로 송신된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요구한 경우,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35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유저(B)가 전화 채팅 호출에 대해 응답한 취지와, 유저(B)로부터 유저(A) 앞으로 송신된 전화 채팅의 텍스트 「여보세요」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A)는,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06)의 호출처 리스트(251)에, 「유미코」와 통화중인 것을 표시한다. 또한, 가상 주택 뷰어(A)는, 커뮤니케이션 패널(107)의 표시를,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51),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51)에 입력한 텍스트를 송신할 때에 눌려지는 「SEND」 버튼(352), 및,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353)로 변경한다.
이 이후, 가상 주택 뷰어(A)는, 「SEND」 버튼(352)이 눌려질 때마다,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51)에 입력된 유저(B) 앞으로의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353)에 표시함과 함께,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송신하고, 그 시점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보존되어 있는 유저(A) 앞으로의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취득하여,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도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353)에 표시한다. 또한, 가상 주택 뷰어(A)는, 주기적으로,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로부터, 유저(A) 앞으로의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취득하고, 이것도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353)에 표시한다. 가상 주택 뷰어(B)도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이들 가상 주택 뷰어(A, B)의 처리는,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A)에 의해 컨트롤 패널(106)에 표시되어 있는 「통화 절단」 버튼(253)이 눌려질 때까지 계속된다.
「통화 절단」 버튼(253)이 눌려진 때의 전화 채팅 종료 처리에 관해, 도 6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36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통화 절단, 즉, 전화 채팅의 종료를,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37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통화 절단의 양해와, 이 단계까지 수신하고 있는 유저(A) 앞으로의 전화 채팅을 회신한다. 이 회신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A)는, 컨트롤 패널(105) 및 커뮤니케이션 패널(106)의 표시를 전화 채팅 시작 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한편, 스텝 S381에서, 가상 주택 뷰어(B)가, 주기적으로,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유저(B) 앞으로의 전화 채팅의 텍스트를 요구하면,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37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유저(A)와의 통화 절단, 즉, 전화 채팅의 종료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B)는, 컨트롤 패널(302) 및 커뮤니케이션 패널(303)의 표시를 전화 채팅 시작 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이상으로, 전화 채팅 종료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유저(A)가 유저(B)에 전화를 건 때, 유저(B)가 통화 불가의 상태인 때에 행하여지는 자동응답전화 기록 처리에 관해, 도 7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자동응답전화 기록 처리는, 상술한 현황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 취득한 유저(B)의 현황 정보가, 로그인하고 있고 가상방에 재택중(통화 가능)은 아닌 경우에 시작된다.
스텝 S39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06)의 호출처 리스트(251)에 판독처가 통화 불가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자동응답전화)를 표시한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패널(107)의 표시를, 통화 채팅용으로 전환하고, 그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353)에 정형(定型) 메시지 「지금 집을 비우고 있습니다.」를 표시한다.
여기서, 유저(A)가,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51)에 메시지(예를 들면, 「지금부터 놀러 갈려고 생각하였지만 유감. 다시 연락합니다.」)를 입력하고, 「SEND」 버튼(352)을 누르면,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오브젝트(유저(B)의 자동응답전화에 대한 메시지)의 보존을 요구하고, 메시지 「지금부터 놀러 …」를 송신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401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메시지를 보관함과 함께,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대해, 오브젝트 보존의 요구를 양해한 취지를 응답한다.
스텝 S392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뷰어(21)에, 이벤트 정보(유저(B)의 자동응답전화에 대해 메시지를 남겨둔 것)를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41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 는,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이벤트 정보를 수령한 것을 응답한다.
이 후, 스텝 S421에서,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B)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요구한 경우, 스텝 S412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이벤트 정보(유저(B)의 자동응답전화에 대한 메시지가 존재하는 것)를 통지한다. 또한, 이 이벤트 정보는, 가상 주택 뷰어(B)로부터 삭제를 요구될 때까지,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보존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422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유저(B)의 자동응답전화에 대한 메시지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402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보존하고 있는 유저(B)의 자동응답전화에 대한 메시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공급하다. 또한, 이 후, 유저(B)의 자동응답전화에 대한 메시지는, 가상 주택 뷰어(B)로부터 삭제를 요구될 때까지,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의해 보존된다.
이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B)는, 메인 패널(301)의 가상방의 전화 아이콘(324)을 점멸시키는 등으로, 자동응답전화에 대한 메시지가 존재하는 것을 유저(B)를 알아차리게 한다. 점멸하고 있는 전화 아이콘(324)을 유저가 선택한 경우, 도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302)에는, 유저(B)가 속하는 유저 그룹의 멤버를 나타내는 호출처 리스트(361), 「멤버 일람」 버튼(362), 「통화 절단 」 버튼(363), 「자동응답전화 확인」 버튼(364), 및 「닫는」 버튼(365)이 표시되다. 또한, 「멤버 일람」 버튼(362) 내지 「닫는」 버튼(365)은, 도 51에 도시된 「멤버 일람」 버튼(252) 내지 「닫는」 버튼(255)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 패널(302)의 「자동응답전화 확인」 버튼(364)이 눌려진 경우, 도 7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301)에는, 메시지를 기록한 유저명과 메시지의 기록 일시가 표시된 테두리로 이루어지는 자동응답전화 메시지 일람이 표시된다(도 73의 경우, 1개만이 표시되어 있다).
메인 패널(301)에 표시된 자동응답전화 메시지 일람의 하나의 테두리가 선택된 경우, 도 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패널(303)에는, 대응하는 메시지 「지금부터 놀러 갈려고 생각하였지만 유감. 다시 연락합니다.」가 표시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302)에는, 자동응답전화 메시지 일람에서 선택되어 있는 테두리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관한 기록을, 가상 주택 DB 서버 및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로부터 삭제할 때 눌려지는 「삭제」 버튼(371), 및 메인 패널(301)의 표시를, 자동응답전화 메시지 일람으로부터 가상방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372)이 표시된다.
여기서, 유저(B)가 「삭제」 버튼(371)을 누른 경우, 스텝 S423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유저(B)의 자동응답전화에 대한 메시지가 존재하는 것)의 삭제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413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지정된 이벤트 정 보를 자기의 기록으로부터 삭제하고, 삭제가 종료된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스텝 S424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대응하는 메시지의 삭제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403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지정된 메시지를 자기의 기록으로부터 삭제하고, 삭제가 종료된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자동응답전화 기록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자기가 속하는 유저 그룹의 멤버의 가상방에 방문하고(단, 화면상에서는 마스코트가 멤버의 가상방을 방문하는 것으로 된다), 채팅을 행하거나, 프레젠트를 건네거나 하는 처리에 관해, 유저(A)가 유저(B)의 가상방에 방문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유저(A)는, 다른 멤버의 가상방에 방문하는 경우, 도 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가상방의 도어 아이콘(122)을 선택하고, 또한, 도어 아이콘(122)이 선택된 것에 대응하여 컨트롤 패널(106)에 표시되는 도어 아이콘(122)의 프로퍼티로서의 버튼중, 방문처의 버튼을 누르면 좋다.
여기서, 도어 아이콘(122)의 프로퍼티로서 컨트롤 패널(106)에 표시되는 버튼에 관해 설명한다. 「유미코의 집」 버튼(132)은, 마스코트(121)를 「유미코」의 가상방에 방문시킬 때 눌려진다. 「쓰요시의 집」 버튼(133) 및 「히데오의 집」 버튼(13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집의 밖」 버튼(135)은, 자기의 마스코트(121)를 가상방의 밖에 내는 때 눌려진다. 「시정(施錠)」 버튼(136)은, 가상방의 도어를 시정할 때 눌려진다.
「종료」 버튼(137)은, 가상 주택 뷰어(A)를 종료시킬 때 눌려진다.
예를 들면,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미코의 집」 버튼(132)이 눌려짐에 의해 시작되는 컴퍼런스 생성 처리에 관해, 도 7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유저(A)와 같은 유저 그룹에 속하는 멤버 「유미코」를, 거절이 있을 때까지 유저(B)라고 한다.
스텝 S43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유저(B)의 주최에 의한 컴퍼런스의 생성」을 요구하는 이벤트를 통지한다. 여기서, 컴퍼런스란, 가상방을 공유하는 복수의 유저의 집합을 가리키고, 컴퍼런스에 속하는 유저 사이에서는, 각종의 데이터가, 컴퍼런스의 동기(同期) 정보로서, 거의 리얼타임으로 통신되게 된다.
가상 주택 뷰어(A)로부터의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44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통지된 이벤트를 기억함과 함께,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이벤트를 수령한 것을 통지한다. 이 이후, 가상 주택 뷰어(A)는, 주기적으로,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유저(A) 앞으로의 채팅의 취득을 요구한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B)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451에서,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이벤트 정보를 요구하면, 스텝 S442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이벤트 정보(유저(B)의 주최에 의한 컴퍼런스의 생성 요구)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이 이벤트 정보의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452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자기가 주최하는 컴퍼런스(B)((B)는 컴퍼런스을 특정하기 위한 명칭이다) 생성을 요구한다. 스텝 S46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컴퍼런스(B)를 생성하고, 그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스텝 S453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가상 주택 뷰어(A) 앞으로의 채팅으로서, 유저(A)에 대한 컴퍼런스(B)(도면에 있어서는, conf.(B)라고 한다)에의 참가 요구를,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송신한다. 여기서, 채팅이란, 각종의 데이터를 리얼타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구조, 또는 리얼타임으로 송수신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가리킨다.
스텝 S462는,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가상 주택 뷰어(B) 앞으로의 채팅을 송신한다(단, 지금의 경우, 가상 주택 뷰어(B) 앞으로의 채팅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송신되지 않는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A)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432에서,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채팅의 취득을 요구하면, 스텝 S46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가상 주택 뷰어(A) 앞으로의 채팅으로서, 유저(A)에 대한 컴퍼런스(B)에의 참가 요구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송신한다.
컴퍼런스(B)에의 참가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433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 스(B)에 유저(A)가 참가하는 것을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463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컴퍼런스(B)에 유저(A)를 추가하고, 그 취지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컴퍼런스 생성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이 이후, 컴퍼런스(B)에 유저(A)와 유저(B)가 참가하고 있기 때문에, 가상 주택 뷰어(A)와 가상 주택 뷰어(B)와의 사이에서는, 채팅에 의해 메시지나 데이터를 리얼타임으로 통신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데이터(상세는 후술)를 동기 정보로서 공유할 수 있다.
컴퍼런스 생성 처리가 종료된 후,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주택 뷰어(A)가 표시하는 메인 패널(105)에는, 유저(B)의 가상 주택의 도어의 밖에 마스코트(121)가 방문하고 있는 양상이 표시된다. 컨트롤 패널(106)에는, 마스코트(121)를 유저(B)의 가상방에 입실시킬 때 눌려지는 「집의 속」 버튼(381), 마스코트(121)를 유저(A)의 가상방으로 귀가시킬 때 눌려지는 「자택」 버튼(382), 및 유저(B)의 가상방의 인터폰(전화와 공통)의 차임벨을 울릴 때 눌려지는 「차임벨」 버튼(383)이 표시된다. 「집의 속」 버튼(381)은, 유저(B)가 도어를 개정하지 않으면, 누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예를 들면, 유저(B)가 가상방의 외관의 레이아웃을 변경한 경우, 갱신된 레이아웃 정보와 갱신 전의 레이아웃 정보와의 차분(差分)이, 컴퍼런스(B) 동기 정보로서, 가상 주택 뷰어(A)에도 통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저(B)의 조작에 대응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처리에 관해, 도 7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저(B)가 가상방의 외관의 레이아웃을 변경한 경우, 스텝 S471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갱신된 레이아웃 정보와 갱신 전의 레이아웃 정보와의 차분을,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48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통지된 동기 정보를 보존함과 함께,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A)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491에서,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요구한 경우, 스텝 S48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유저(B)의 가상방의 갱신된 레이아웃 정보와 갱신 전의 레이아웃 정보와의 차분을,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유저(B)의 조작에 대응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A)에 의해 「차임벨」 버튼(383)이 눌려진 경우, 이 정보가,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가상 주택 뷰어(B)에도 통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저(A)의 조작에 대응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처리에 관해, 도 8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저(A)에 의해 「차임벨」 버튼(383)이 눌려진 경우, 스텝 S50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유저(B)의 가상방의 차임벨이 울린 것을,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51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통지된 동기 정보를 보존함과 함께,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B)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521에서,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요구한 경우, 스텝 S51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유저(B)의 가상방의 차임벨이 울린 것을,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유저(B)의 조작에 대응하는 정보를 공유하는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유저(A)와 유저(B)에 의한 인터폰에 의해 통화하는(실제로는, 채팅에 의해 텍스트를 리얼타임으로 통신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82는, 유저(A)에 의해 「차임벨」 버튼(383)이 눌려지고, 그 정보가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된 때의 가상 주택 뷰어(B)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가상 주택 뷰어(B)는, 메인 패널(301)의 가상방의 전화 아이콘(324)을, 예를 들면, 일부분을 점등시키거나, 전체를 점멸시키거나 하여 강조하여 표시시키고, 전화의 호출음과는 다른 인터폰의 호출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컨트롤 패널(302)에, 인쿠후온의 발신자명과, 인터폰 채팅의 호출에 따른 때에 눌려지는 「응답」 버튼(341)을 표시시킨다.
여기서, 유저(B)가 「응답」 버튼(341)을 누른 경우, 커뮤니케이션 패널(303)에는, 채팅의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42),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42)에 입력한 텍스트를 송신할 때에 눌려지는 「SEND」 버튼(343), 및, 채팅의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344)가 마련된다.
또한, 유저(B)가 「응답」 버튼(341)을 누름에 의해, 도 83에 도시한 인터폰 채팅 처리가 시작된다. 스텝 S531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가상 주택 뷰어(A) 앞으로의 채팅으로서, 유저(B)가 인터폰에 응답한 것을,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송신한다. 스텝 S541은,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가상 주택 뷰어(B) 앞으로의 채팅을 송신한다(단, 지금의 경우, 가상 주택 뷰어(B) 앞으로의 채팅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송신되지 않는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A)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551에서,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채팅의 취득을 요구하면, 스텝 S54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가상 주택 뷰어(A) 앞으로의 채팅으로서, 유저(B)가 인터폰에 응답한 것을,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한 가상 주택 뷰어(A)는, 도 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패널(107)의 표시를, 인터폰 채팅용의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51)와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353)로 전환한다. 이 이후, 한편이 메시지를 송신하면, 다른쪽이 폴링에 의해, 그 메시지를 수신하기 때문에, 유저(A)와 유저(B)의 인터폰에 의한 통화 가 가능해진다(실제로는, 채팅에 의해 텍스트를 리얼타임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유저(AB) 유저(B)의 인터폰에 의한 통화는, 도 8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중에 컨트롤 패널(302)에 표시되어 있는 「절단」 버튼(401)이 유저(B)에 의해 눌려질 때까지 계속된다.
인터폰에 의한 통화에서, 예를 들면 도 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A)가 메시지 「도어의 키를 열어 주십시요!」를 송신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도 8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B)가 메시지 「예, 잠깐 기다리시요.」를 송신하고, 도어 아이콘(322)을 선택하고, 또한, 도어 아이콘(322)이 선택됨에 의해 컨트롤 패널(302)에 표시된 「개정(開錠)」 버튼(411)을 누르면, 도 8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주택 뷰어(A)의 화면에서는, 컨트롤 패널(106)의 「집의 속」 버튼(381)이 누름 가능한 상태로 변화한다.
여기서, 유저(A)가, 버튼(381)을 누른 경우, 도 8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주택 뷰어(A)의 화면의 메인 패널(105)에는, 마스코트(121)와 마스코트(321)가 존재하는 유저(B)의 가상방이 표시된다. 커뮤니케이션 패널(107)에는, 계속해서, 채팅용의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51), 「SEND」 버튼(352), 및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353)가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 주택 뷰어(B)의 화면에도, 도 9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301)에는, 마스코트(121)가 추가된 유저(B)의 가상방이 표시된다. 커뮤니케이션 패널(303)에는, 계속해서, 채팅용의 텍스트 입력 에어리어(342), 「SEND」 버튼(343), 및 텍스트 표시 에어리어(344)가 마련되어 있다.
개정으로부터 입실까지의 처리에 관해, 도 9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저(B)에 의해 「개정」 버튼(411)이 눌려진 경우, 스텝 S561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유저(B)의 가상방의 도어가 개정된 것을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57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통지된 동기 정보를 보존함과 함께,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지금의 경우, 보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통지하지 않는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A)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581에서,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요구한 경우, 스텝 S57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유저(B)의 가상방의 도어가 개정된 것을,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A)는, 컨트롤 패널(106)의 「집의 속」 버튼(381)을 누름 가능한 상태로 변화시킨다. 「집의 속」 버튼(381)을 유저(A)가 누른 경우, 스텝 S582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유저(A)의 마스코트(121)가 유저(B)의 가상방에 입실한 것을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573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통지된 동기 정보를 보존함과 함께,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지금의 경우, 보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통지하지 않는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B)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562에서,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요구한 경우, 스텝 S574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유저(A)의 마스코트(121)가 유저(B)의 가상방에 입실한 것을,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563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유저(A)의 마스코트(121)(이하, 마스코트(A)라고도 기술한다)의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59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마스코트(A)의 화상 데이터를 공급한다. 이로써, 가상 주택 뷰어(B)의 화면의 가상방에는, 마스코트(A)도 표시되게 된다.
스텝 S564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마스코트(A)가 입실한 상태의 유저(B)의 가상방의 레이아웃 정보를 통지한다(레이아웃 정보의 차분을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575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통지된 동기 정보를 보존함과 함께,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지금의 경우, 보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통지하지 않는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A)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583에서,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요구한 경우, 스텝 S576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마스코트(A)가 입실한 상태의 유저(B)의 가상방의 레이아웃 정보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이로써, 가상 주택 뷰어(A)의 메인 패널(105)에, 마스코트(A)가 입실한 상태의 유저(B)의 가상방이 표시되게 된다. 이상으로, 개정으로부터 입실까지의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에, 유저가 다른 유저에게 아이템(식물 아이콘(129) 등)을 프레젠트하는 때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아이템을 프레젠트하는 방법은, 마스코트끼리가 직접적으로 건네주는 방법과, 도어의 포스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건네주는 방법이 있다.
마스코트(121)(마스코트(A))가 휴대하고 있는 식물 아이콘(129)을, 마스코트(321)(이하, 마스코트(B)라고 기술한다)에 직접적으로 건네주는 때의 조작에 관해 설명한다.
유저(A)는, 도 9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 표시되어 있는 마스코트(121)(마스코트(A))를 선택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팝 업 표시되는 말풍선(421) 속의 식물 아이콘(129)을, 마스코트(B)에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좋다. 이 때, 식물 아이콘(129)을 마스코트(B) 이외(예를 들면 바닥)에 드롭할 수는 없 다.
식물 아이콘(129)은, 말풍선(421) 속에서는, 축소 사이즈로 표시되고, 말풍선(421) 속으로부터 나와진 단계에서, 도 9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래의 사이즈로 표시된다.
또한, 이 때, 가상 주택 뷰어(B)의 화면에서는, 도 9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코트(A)로부터 마스코트(B)에, 식물 아이콘(129)이 이동되는 양상이 애니메이션 표시된다. 또한, 유저(B)의 가상방에 또다른 유저(유저 C라고 한다)의 마스코트가 입실하고 있는 경우, 유저(C)의 화면에도, 마스코트(A)로부터 마스코트(B)에게, 식물 아이콘(129)이 이동되는 양상이 애니메이션 표시된다.
마스코트(A)가 마스코트(B)에 아이템(지금의 경우, 식물 아이콘(129))을 직접적으로 건네준 때의 소유권 이동 처리에 관해, 도 9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직접적인 소유권 이동 처리는, 가상 주택 뷰어(A)의 화면에서, 식물 아이콘(129)이 마스코트(B)에 드래그 앤드 드롭된 때에 시작된다.
스텝 S60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식물 아이콘(129)의 소유권을 유저(A)로부터 유저(B)에세 옮긴 것을 증명하는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61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게,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발행한다.
스텝 S602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아이콘 양도 증명 서(A→B)를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62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통지된 동기 정보를 보존함과 함께,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지금의 경우, 보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통지하지 않는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B)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631에서,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요구한 경우, 스텝 S62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스텝 S632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송신하여 식물 아이콘(129)의 소유권의 양도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612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식물 아이콘(129)의 소유권을 유저(B)에게 옮기고, 그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직접적인 소유권 이동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직접적인 소유권 이동 처리가 종료됨에 의해, 유저(B)는, 도 9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301)에 표시되어 있는 가상방의 마스코트(321)(마스코트(B))를 선택하면, 그것에 대응하여, 마스코트(321)가 휴대하고 있는 아이템을 나타내는 말풍선(431)이 팝 업 표시되기 때문에, 프레젠트된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팝 업 표시된 말풍선(431) 속의 아이템(지금의 경우, 식물 아이콘(129))을, 가상방의 임의의 위치에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도 9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젠트된 아이템을 본래의 사이즈로 가상방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마스코트(A)가 유저(B)의 가상방이 입실하고 있는 때, 역으로, 유저(B)로부터 유저(A)에게 아이템을 프레젠트하는데는, 유저(B)가 프레젠트하는 아이템을, 마스코트(A)에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좋다.
다음에, 아이템을 도어의 포스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건네주는 방법에 관해, 도어의 밖에 있는 마스코트(A)가 휴대하고 있는 메모용지 아이콘(241)을, 도어의 포스트를 통하여, 마스코트(B)에 건네주는 때의 조작을 예로 설명한다.
유저(A)는, 메인 패널(105)에 표시되어 있는 마스코트(A)를 선택하고, 도 9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풍선(451)을 팝 업 표시시키고, 말풍선(451) 속의 메모용지 아이콘(241)을, 도 9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의 외측의 포스트 아이콘(323)에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좋다.
이 조작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B)의 화면에서는, 도 10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패널(301)에 표시된 가상방에서는, 포스트 아이콘(323)의 외관이, 속에 아이템이 들어가고 있는 상태로 변경된다. 여기서, 유저(B)가, 포스트 아이콘(323)을 선택하면, 말풍선(461)이 팝 업 표시되고, 그 속에, 유저(A)로부터의 아이템(지금의 경우, 메모용지 아이콘(241))이 표시된다. 또한, 포스트 아이콘(323)이 선택됨에 의해, 컨트롤 패널에(302)에는, 포스트 아이콘(323)의 프로퍼티로서, 투입되어 있는 아이템 등의 수가 표시된다.
또한, 유저(B)가, 팝 업 표시된 말풍선(461) 속의 메모용지 아이콘(241)을, 가상방의 임의의 위치에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도 1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스트를 통하여 건네받은 아이템(지금의 경우, 메모용지 아이콘(241))을 본래의 사이즈로 가상방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포스트를 이용하여 아이템(지금의 경우, 메모용지 아이콘(241))을 간접적으로 건네준 때의 소유권 이동 처리에 관해, 도 10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때접적인 소유권 이동 처리는, 가상 주택 뷰어(A)의 화면에서, 메모용지 아이콘(241)이, 도어 밖의 포스트 아이콘(323)에 드래그 앤드 드롭된 때에 시작된다.
스텝 S64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메모용지 아이콘(241)의 소유권을 유저(A)로부터 유저(B)에게 옮긴 것을 증명하는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651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게,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발행한다.
스텝 S642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송신하고, 오브젝트로서 보존할 것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661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송신하고, 오브젝트로서 보존하고, 그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스텝 S643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가 상 주택 DB 서버(21)에, 유저(B) 앞으로 아이템이 배달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652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유저(B) 앞으로 아이템이 배달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보존하고, 그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B)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671에서,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이벤트 정보를 요구한 경우, 스텝 S653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유저(B) 앞으로 아이템이 배달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B)의 화면에서는, 도 10O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패널(301)에 표시된 가상방에서는, 포스트 아이콘(323)의 외관이, 무엇인지가 넣어진 상태로 변경된다.
스텝 S672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유저(A)가 보존시킨 아이콘 양도 증명서(A→B)의 공급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662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공급한다.
스텝 S673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유저(B) 앞으로 아이템이 배달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의 삭제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654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유저(B) 앞으로 아이템이 배달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삭제한다.
스텝 S674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유저(A)가 보존시킨 아이콘 양도 증명서(A→B)의 삭제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663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삭제하고, 그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스텝 S675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DB 서버(21)에, 아이콘 양도 증명서(A→B)를 송신하여 아이템(지금의 경우, 메모용지 아이콘(241))의 소유권의 양도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655에서, 가상 주택 DB 서버(21)는, 메모용지 아이콘(241)의 소유권을 유저(B)에게 옮기고, 그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간접적인 소유권 이동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간접적인 소유권 이동 처리가 종료됨에 의해, 유저(B)는, 메인 패널(301)에 표시되어 있는 가상방의 포스트 아이콘(323)을 선택하면, 그것에 대응하여 말풍선(461)이 팝 업 표시되기 때문에, 배달된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팝 업 표시된 말풍선(461) 속의 아이템(지금의 경우, 메모용지 아이콘(241))을, 가상방의 임의의 위치에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배달된 아이템을 본래의 사이즈로 가상방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예를 들면, 유저(A)의 가상방에 유저(B)의 마스코트(321)(마스코트(B))가 방문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A)가 조작하는 가상 주택 뷰어(A)와 유저(B)가 조작하는 가상 주택 뷰어(B)가 동일한 BGM(백 그라운드 뮤직)을 재생하는 BGM 공유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이 BGM 공유 처리에는, 오디오 서버(26)가 배신하는, 이른바 인터넷 라디오의 스트림 데이터를 이용한다.
도 103은, 가상 주택 뷰어(A)의 화면으로서, 메인 패널(105)에는, 유저(A)의 가상방에 마스코트(B)가 방문하고 있는 양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때, 가상 주택 뷰어(B)의 화면의 메인 패널(301)에도, 동일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유저(A)가, 메인 패널(105)에 표시되어 있는 가상방의 오디오 플레이어 아이콘(172)을 선택하면, 컨트롤 패널(106)에는, 오디오 플레이어 아이콘(172)의 프로퍼티로서, 재생중의 BGM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표시 에어리어(471), BGM의 출력을 온/오프시킬 때 눌려지는 「POWER」 버튼(472), 및 BGM을 변경할 때 눌려지는 「채널」 버튼(473)이 표시된다.
또한, 도 1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A)가 「POWER」 버튼(472)을 누르면, BGM의 출력이 온으로 되고, 오디오 서버(26)가 배신하는 스트림 데이터의 수신 및 재생이 시작된다. 이 때, 가상 주택 뷰어(B)에서도 마찬가지로, 오디오 서버(26)로부터 배신되는 동일한 스트림 데이터의 수신과 재생이 시작된다.
유저(A)가 「POWER」 버튼(472)을 누름에 의해 시작되는 BGM 공유 처리에 관해, 도 10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68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오디오 서버(26)에, 스트림 재생을 요구한다(스트림 데이터의 배신을 요구한다). 스텝 S691에서, 오디오 서버(26)는, 이 요구를 양해한 취지를, 인터넷(5) 및 기지국(4)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하고, 스텝 S692에서, 가상 주택 뷰 어(A)에 대한 스트림 데이터의 배신을 시작한다.
이로써, 가상 주택 뷰어(A)에서는, 스트림 데이터의 수신, 재생이 시작되고, BGM이 출력되게 된다. 스텝 S682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기지국(4) 및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BGM의 출력을 온으로 한 취지를,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통지한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B)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711에서,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요구한 경우, 스텝 S70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BGM의 출력을 온으로 한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712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오디오 서버(26)에, 스트림 재생을 요구한다(스트림 데이터의 배신을 요구한다). 스텝 S693에서, 오디오 서버(26)는, 이 요구를 양해한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하고, 스텝 S694에서, 가상 주택 뷰어(B)에 대한 스트림 데이터의 배신을 시작한다. 이로써, 가상 주택 뷰어(B)에서도, 스트림 데이터의 수신, 재생을 시작되고, BGM이 출력되게 된다. 이상으로, BGM 공유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또한, BGM 공유 처리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측의 오디오 서버(26)가 배신하는 인터넷 라디오의 스트림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유저(A)측의 기기(예를 들면, PC(12))에 축적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가상 주택 뷰어(A, B)에 스트 림 배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11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화상 공유 처리와 마찬가지 처리에 의해, 해당 악곡 데이터를 공용하도록 한다.
다음에, 예를 들면, 유저(A)의 가상방에 유저(B)의 마스코트(321)(마스코트(B))가 방문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A)가 조작하는 가상 주택 뷰어(A)의 화면과, 유저(B)가 조작하는 가상 주택 뷰어(B)의 화면에, 유저(A)가 보존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공유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이 화상 공유 처리에는, 예를 들면, PC(12)의 기능 블록인 사진 데이터 배신 서비스(94)가 관리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다.
도 106은, 가상 주택 뷰어(A)의 화면으로서, 메인 패널(105)에는, 유저(A)의 가상방에 마스코트(B)가 방문하고 있는 양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때, 가상 주택 뷰어(B)의 화면의 메인 패널(301)에도, 동일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유저(A)가, 메인 패널(105)에 표시되어 있는 가상방의 포토 앨범 아이콘(173)을 선택하면, 컨트롤 패널(106)에는, 포토 앨범 아이콘(173)의 프로퍼티로서, 화상 데이터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표시 에어리어(481), 메인 패널(105)에 복수의 축소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일람을 표시시킬 때 눌려지는 「화상 일람 표시」 버튼(482),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화상 일람 등으로부터 가상방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482)이 표시된다.
유저(A)가 「화상 일람 표시」 버튼(482)을 누른 경우, 도 lO7에 도시한 바 와 같이, 메인 패널(105)에는, 사진 데이터 배신 서비스(94)가 관리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축소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일람이 표시된다.
메인 패널(105)에 표시된 화상 일람중, 하나의 축소 화상이 유저(A)에 의해 선택된 경우, 도 10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표시 에어리어(481)에는, 선택된 축소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화상 사이즈 및 작성 일시가 표시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106)에는, 선택된 축소 화상을 메인 패널(105)에 확대 표시시킬 때 눌려지는 「확대 표시」 버튼(491), 선택된 축소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입실하고 있는 다른 유저에게 공유시킬 때 눌려지는 「전원(全員)에게 표시」 버튼(492),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확대 표시된 화상으로부터 화상 일람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일람 표시」 버튼(493), 선택된 축소 화상을 화상 일람으로부터 삭제할 때 눌려지는 「삭제」 버튼(494), 및 메인 패널(105)의 표시를, 화상 일람으로부터 가상방으로 되돌릴 때 눌려지는 「닫는」 버튼(495)이 표시된다.
여기서, 유저(A)가 「전원에게 표시」 버튼(492)을 누른 경우, 도 10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축소 화상이 메인 패널(105)에 확대 표시시켜짐과 함께, 선택된 축소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다른 유저(지금의 경우, 유저(B))에게 공급된다.
「전원에게 표시」 버튼(492)이 눌려짐에 의해 시작되는 화상 공유 처리에 관해, 도 11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72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공유하는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한 화상 데이터의 보존을 요구 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731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공유하는 화상 데이터를 보존하고, 그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스텝 S722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유저(A)의 화상 데이터를 유저(B)가 공유하는 것을 허가한 화상 취득 허가증(A→B)을 발행하고,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발행한 화상 취득 허가증(A→B)을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74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통지된 동기 정보를 보존함과 함께,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지금의 경우, 보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통지하지 않는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B)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751에서,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요구한 경우, 스텝 S74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화상 취득 허가증(A→B)을,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통지한다.
스텝 S752에서, 가상 주택 뷰어(B)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화상 취득 허가증(A→B)을 송신하고, 화상 데이터의 공급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732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스텝 S731의 처리에서 보존한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 공급한다. 가상 주택 뷰어(B)에서는, 도 1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된 화상 데이터가 메인 패널(301)에 표시된다. 따라서 가상 주택 뷰어(A)의 메인 패널(105)과, 가상 주택 뷰어(B)의 메인 패널(301)에 동일한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상으로, 화상 공유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또한, 공유하는 화상 데이터를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홈 서버(11)에 보존하도록 하고, 홈 서버(11)로부터 가상 주택 뷰어(B)에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화상 공유 처리에 의해, 가상 주택 뷰어(A)의 메인 패널(105)과, 가상 주택 뷰어(B)의 메인 패널(301)에 동일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A)가, 「일람 표시」 버튼(493) 또는 「닫는」 버튼(495)을 누른 경우, 화상 공유 종료 처리가 실행되고, 가상 주택 뷰어(B)의 메인 패널(301)의 표시가 유저(A)의 가상방으로 되돌아온다.
이 화상 공유 종료 처리에 관해, 도 11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761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화상 데이터의 공유 열람 종료를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스텝 S771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통지된 동기 정보를 보존함과 함께,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지금의 경우, 보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통지하지 않는다).
한쪽의 가상 주택 뷰어(B)가, 주기적인 동작으로서, 스텝 S781에서,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에,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 를 요구한 경우, 스텝 S772에서, 유저 단말간 통신 중계 서버(23)는, 이 시점에서 보존하고 있는 컴퍼런스(B)의 동기 정보로서, 화상 데이터의 공유 열람 종료를 통지한다. 이 통지에 대응하여, 가상 주택 뷰어(B)에서는, 메인 패널(301)의 표시가 유저(A)의 가상방으로 되돌아온다.
스텝 S762에서, 가상 주택 뷰어(A)는, 인터넷(5)을 통하여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에, 공유하기 위해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삭제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대응하여, 스텝 S791에서, 유저 정보 보존 서버(24)는, 보존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그 취지를, 인터넷(5)을 통하여 가상 주택 뷰어(A)에 통지한다. 이상으로, 화상 공유 종료 처리의 설명을 종료한다.
또한, 상술한 화상 공유 처리 및 화상 공유 종료 처리와 마찬가지로 처리에 의해, 화상 데이터 이외의 컨텐츠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를 공유하더라도, 유저(A)와 유저(B)는 공유하며, 또한 그 공유를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에 의하면, 주택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 기기를, 가상방이라는 유희성을 갖는 GUI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택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 기기에 보존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이용하거나, 다른 유저와 리얼타임에 메시지를 교환하거나(전화 채팅, 인터폰 채팅), 가상방을 복수의 유저에서 공유하거나, 가상방을 공유하고 있는 상태의 유저로 한정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엔터테인먼트성, 커뮤니케이션성을 관련시킴에 의해, 가상공간 원격 조작 시스템을 이용하는 유저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이용 빈도를 높일 수 있다.
가상방의 아이콘을 증가시키기위해, 유저가 전자 기기를 구입하여 주택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가상 주택 뷰어에 의해 제어 가능한 기기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써, 이용 빈도가 높아지는, 또한, 전자 기기를 늘린다는 포지티브 스파이럴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유저의 가상방에 방문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함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이나 기기 자체의 선전을 행하기 위한 모델 룸을 개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모델 룸에 있어서의 채팅을 이용하여 상품의 선전을 행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택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 기기를, 가상공간이라는 유희성을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을 한정된 멤버만으로 공유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동시에 공용하는 유저 사이의 보다 깊은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33)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와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로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용자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제 1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오너로서 제공하는 제공 수단과,
    상기 제 1의 이용자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상기 제 1의 이용자가 허가한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게스트로서 공유시키는 공유 수단과,
    상기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스트림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이용자의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게스트로서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상기 게스트로서 공유하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스트림 재생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각각,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용자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제 1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오너로서 제공하는 제공 수단과,
    상기 제 1의 이용자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상기 제 1의 이용자가 허가한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게스트로서 공유시키는 공유 수단과,
    상기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스트림 재생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의 게스트로서의 공유가 허가되고 있는 상기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스트림 재생은, 상기 서비스를 공유하고 있는 때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3.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각각,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용자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스텝과,
    제 1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오너로서 제공하는 제공 스텝과,
    상기 제 1의 이용자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상기 제 1의 이용자가 허가한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게스트로서 공유시키는 공유 스텝과,
    상기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스트림 재생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의 게스트로서의 공유가 허가되고 있는 상기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스트림 재생은, 상기 서비스를 공유하고 있는 때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4.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각각,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용자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스텝과,
    제 1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오너로서 제공하는 제공 스텝과,
    상기 제 1의 이용자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상기 제 1의 이용자가 허가한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게스트로서 공유시키는 공유 스텝과,
    상기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스트림 재생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의 게스트로서의 공유가 허가되고 있는 상기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스트림 재생은, 상기 서비스를 공유하고 있는 때만 행해지는 처리를 서비스 제공 장치의 컴퓨터에 실행 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5.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게스트로서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상기 게스트로서 공유하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스트림 재생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광역 통신망으로서의 상기 상기 네트워크에 비교하여 국소적인 통신망인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전자 기기에 축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된, 상기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게스트로서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상기 게스트로서 공유하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스트림 재생을 지시하는 지시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게스트로서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상기 게스트로서 공유하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스트림 재생을 지시하는 지시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와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로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용자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제 1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오너로서 제공하는 제공 수단과,
    상기 제 1의 이용자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상기 제 1의 이용자가 허가한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게스트로서 공유시키는 공유 수단과,
    상기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스트림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이용자의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게스트로서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상기 게스트로서 공유하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및 재생 종료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의 공유가 게스트로서 허가되고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공유하고 있는 때만,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고 있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재생 개시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고, 재생 종료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종료하는 재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각각,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용자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수단과,
    제 1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오너로서 제공하는 제공 수단과,
    상기 제 1의 이용자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상기 제 1의 이용자가 허가한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게스트로서 공유시키는 공유 수단과,
    상기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의 게스트로서의 공유가 허가되고 있는 상기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및 재생 종료는,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고 있는 상기 제 1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3.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각각,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용자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스텝과,
    제 1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오너로서 제공하는 제공 스텝과,
    상기 제 1의 이용자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상기 제 1의 이용자가 허가한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게스트로서 공유시키는 공유 스텝과,
    상기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스트림 재생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의 게스트로서의 공유가 허가되고 있는 상기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및 재생 종료는,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고 있는 상기 제 1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4.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각각,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하여 온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접속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용자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인증하는 인증 스텝과,
    제 1의 이용자가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오너로서 제공하는 제공 스텝과,
    상기 제 1의 이용자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제공되고 있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상기 제 1의 이용자가 허가한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정보 처리 장치에도 게스트로서 공유시키는 공유 스텝과,
    상기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공유하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이용자가 각각 이용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스트림 재생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공용시키는 공용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의 게스트로서의 공유가 허가되고 있는 상기 제 2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및 재생 종료는,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고 있는 상기 제1의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지시의 따라 행해지는 처리를 서비스 제공 장치의 컴퓨터에 실행 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5.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게스트로서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상기 게스트로서 공유하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및 재생 종료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의 공유가 게스트로서 허가되고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공유하고 있는 때만,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고 있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재생 개시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고, 재생 종료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종료하는 재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광역 통신망으로서의 상기 상기 네트워크에 비교하여 국소적인 통신망인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전자 기기에 축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에 배치된, 상기 전자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9.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게스트로서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상기 게스트로서 공유하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및 재생 종료를 지시하는 지시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의 공유가 게스트로서 허가되고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공유하고 있는 때만,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고 있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재생 개시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고, 재생 종료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종료하는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액세스하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프라이빗한 가상공간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에 대한 다른 이용자로부터의 게스트로서의 공유의 요구를 허가하는 허가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상기 게스트로서 공유하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및 재생 종료를 지시하는 스텝과,
    프라이빗한 가상 공간의 상기 서비스의 공유가 게스트로서 허가되고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공유하고 있는 때만, 상기 서비스가 오너로서 제공되고 있는 상기 다른 이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재생 개시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고, 재생 종료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종료하는 재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047011535A 2002-12-12 2003-10-27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KR101032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1135 2002-12-12
JP2002361135A JP4218336B2 (ja) 2002-12-12 2002-12-12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763A KR20050084763A (ko) 2005-08-29
KR101032852B1 true KR101032852B1 (ko) 2011-05-06

Family

ID=3250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535A KR101032852B1 (ko) 2002-12-12 2003-10-27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8307201B2 (ko)
EP (3) EP2757512A1 (ko)
JP (1) JP4218336B2 (ko)
KR (1) KR101032852B1 (ko)
CN (1) CN100416524C (ko)
WO (1) WO2004053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8336B2 (ja) * 2002-12-12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666524B2 (en) 2003-01-02 2014-03-04 Catch Media, Inc. Portable music player and transmitter
US8644969B2 (en) 2003-01-02 2014-02-04 Catch Media, Inc. Content provisioning and revenue disbursement
US8732086B2 (en) * 2003-01-02 2014-05-20 Catch Medi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ights for digital music
US8918195B2 (en) 2003-01-02 2014-12-23 Catch Media, Inc. Media management and tracking
US7458030B2 (en) * 2003-12-12 2008-11-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essaging having image sharing feature
AU2005258460B2 (en) * 2004-07-06 2008-09-04 Ntt Docomo, Inc.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ssage transmission method
JP4501063B2 (ja) 2004-07-27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655190B2 (ja) * 2004-08-06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77152B1 (ko) * 2004-11-17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바인딩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에서의 콘텐츠 전송방법
US7849512B2 (en) * 2005-03-21 2010-12-07 Fortressware, Inc. Method and system to create secure virtual project room
JP2007026016A (ja) * 2005-07-15 2007-02-01 Hitachi Ltd グループ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
US7684673B2 (en) * 2006-01-03 2010-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a digital video recorder via a network
EP2016513A4 (en) 2006-04-20 2010-03-03 Veveo Inc USER INTERFACE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CONTENT BASED ON NAVIGATION AND USER SELECTION ACTIONS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20080065722A1 (en) * 2006-09-11 2008-03-13 Apple Computer, Inc. Media device playlists
US8243017B2 (en) * 2006-09-11 2012-08-14 Apple Inc. Menu overlay including context dependent menu icon
US9565387B2 (en) * 2006-09-11 2017-02-07 Apple Inc. Perspective scale video with navigation menu
JP5012202B2 (ja) * 2007-05-21 2012-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AU2008261648B2 (en) * 2007-06-12 2013-10-03 Facebook, Inc. Personalized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content
JP4478892B2 (ja) * 2007-07-11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送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送信プログラム
US8732846B2 (en) 2007-08-15 2014-05-20 Facebook, Inc. Platform for providing a social context to software applications
US9968850B2 (en) * 2007-09-17 2018-05-15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paces for access by users
US8196050B2 (en) 2007-09-17 2012-06-05 Mp 1, Inc.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 view of a virtual space in a banner ad and enabling user interaction with the virtual space within the banner ad
US20090077475A1 (en) * 2007-09-17 2009-03-19 Areae, Inc.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paces with separate places and/or acoustic areas
KR20090046159A (ko) * 2007-11-05 2009-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Epg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영상기기
WO2009070193A2 (en) * 2007-11-21 2009-06-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aintaining a user profile based on dynamic data
US8943539B2 (en) 2007-11-21 2015-01-27 Rovi Guides, Inc. Enabling a friend to remotely modify user data
JP5181180B2 (ja) 2007-11-22 2013-04-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三次元仮想空間上での取引方法、プログラム及びそのサーバシステム
KR101503678B1 (ko) * 2008-04-02 2015-03-19 알까뗄 루슨트 고정된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이용자 단말기들의 액세스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8066571B2 (en) * 2008-06-09 2011-11-29 Metaplace,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haracters to be manifested within a plurality of different virtual spaces
US9403087B2 (en) * 2008-06-09 2016-08-02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ccess to virtual spaces that are associated with physical analogues in the real world
JP2010093576A (ja) * 2008-10-08 2010-04-22 Sony Corp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100249B2 (en) * 2008-10-10 2015-08-04 Metaplac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spaces for access by users via the web
JP5352178B2 (ja) * 2008-10-14 2013-11-27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システム
JP5793426B2 (ja) * 2009-01-29 2015-10-14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との物理的相互作用を解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JP2011070511A (ja) * 2009-09-28 2011-04-07 Sony Corp 端末装置、サーバ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867603A (zh) * 2010-05-21 2010-10-20 深圳积享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特定区域内移动终端的自动识别方法
JP5698475B2 (ja) * 2010-07-29 2015-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中継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中継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202088A (zh) * 2011-04-26 2011-09-28 崔山 一种物联网动态信息交互器
JP5857443B2 (ja) * 2011-05-12 2016-02-10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
JP2012238219A (ja) * 2011-05-12 2012-12-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
CN102306370A (zh) * 2011-08-26 2012-01-04 浙江大学 一种基于云计算的数字图像处理系统
CN102566910B (zh) * 2011-12-14 2015-02-04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刷新虚拟桌面客户端屏显的方法及虚拟桌面系统
US9311681B2 (en) * 2012-01-24 2016-04-12 Facebook, Inc. Claiming conversations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9326014B2 (en) * 2012-06-22 2016-04-26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correlating TV broadcasting information with TV panelist status information
CA2821726C (en) * 2012-07-23 2016-02-09 Brian William Karam Entertainment, lighting and climate control system
EP2883204B1 (en) * 2012-08-10 2020-10-07 Nuance Communications, Inc. Virtual agent commun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CN102880814A (zh) * 2012-09-14 2013-01-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屏蔽系统及屏蔽方法
US20150304725A1 (en) * 2012-11-26 2015-10-22 Hitachi Maxell, Ltd. Network terminal system,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display device, and program
EP2793481B1 (en) 2013-02-20 2016-05-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5529358B1 (ja) 2013-02-20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961187B1 (en) 2013-02-20 2018-10-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program
CN104126313B (zh) * 2013-02-20 2018-12-0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信息终端的控制方法和装置
JP6189929B2 (ja) * 2013-03-08 2017-08-3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共有方法
US9491205B2 (en) * 2013-03-15 2016-11-08 Sorenson Communications, Inc.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devices having a plurality of unique identifiers
WO2015011861A1 (ja) * 2013-07-22 2015-01-2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情報管理方法
JP5856717B1 (ja) * 2014-03-06 2016-02-1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機器制御方法、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システムに接続される宅内サーバ装置
USD761859S1 (en) * 2014-06-20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9955007B1 (en) 2014-07-07 2018-04-24 Ultratec, Inc. Dual compatibility phone system
US10536691B2 (en) * 2016-10-04 2020-01-14 Facebook, Inc. Controls and interfaces for user interactions in virtual spaces
JP6219548B1 (ja) * 2017-03-31 2017-10-25 株式会社ドワンゴ 仮想処理サーバ、仮想処理サーバの制御方法、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CN108388142A (zh) * 2018-04-10 2018-08-1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控制家居设备的方法、装置和系统
US11722535B2 (en) * 2021-03-30 2023-08-08 Snap Inc. Communicating with a user external to a virtual conference
US11310295B1 (en) 2021-08-27 2022-04-19 Salesforce Inc. Integrated workspace on a communication platform
US11575676B1 (en) * 2021-08-28 2023-02-07 Todd M Banks Computer implemented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sharing and archiving content including the use of a user interface (UI) virtual environment and associated rooms, content prompting tool, content vault, and intelligent template-driven content posting (AKA archive and networking platform)
USD983818S1 (en) * 2023-01-30 2023-04-18 Hangzhou Ruisheng Software Co., Ltd.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508B1 (ko) 1998-06-26 2001-05-02 민기철 인터넷을이용한원격가정자동화시스템
KR100359286B1 (ko) 2000-02-10 2002-11-07 윤봉수 사이버 공동체 구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78291B (ko) * 1992-06-30 1996-06-11 Motorola Inc
US20010044725A1 (en) 1996-11-19 2001-11-22 Koichi Matsud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 medium for use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space sharing system
US6988248B1 (en) * 1997-06-30 2006-01-17 Sun Microsystems, Inc. Animated indicators that reflect function activity or state of objects data or processes
JPH1133230A (ja) * 1997-07-16 1999-02-09 Sega Enterp Ltd 通信ゲームシステム
US6512520B1 (en) * 1997-07-31 2003-01-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treams representing 3-dimensional virtual space
JPH1196402A (ja) * 1997-09-18 1999-04-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仮想空間構築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仮想空間構築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WO1999016282A1 (fr) * 1997-09-25 1999-04-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elecommande
US6078948A (en) * 1998-02-03 2000-06-20 Syracuse University Platform-independent collaboration backbone and framework for forming virtual communities having virtual rooms with collaborative sessions
WO1999065192A1 (en) 1998-06-08 1999-1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platform for connectivity based services
US5999208A (en) * 1998-07-15 1999-12-07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implementing multiple simultaneous meetings in a virtual reality mixed media meeting room
US6212548B1 (en) * 1998-07-30 2001-04-03 At & T Corp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asynchronous text chat conversations
US6215498B1 (en) * 1998-09-10 2001-04-10 Lionhearth Technologies, Inc. Virtual command post
US6249810B1 (en) * 1999-02-19 2001-06-19 Chaincast,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internet radio device for receiving and/or transmitting media information
WO2000065774A1 (en) * 1999-04-26 2000-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control of a device
US7143356B1 (en) * 1999-06-02 2006-1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unication link system based on user indicator
US7089278B1 (en) * 1999-09-07 2006-08-08 Fuji Xerox Co., Ltd. Anchored conversations: adhesive, in-context, virtual discussion forums
US6539421B1 (en) * 1999-09-24 2003-03-25 America Online, Inc. Messaging application user interface
US7315837B2 (en) * 1999-11-01 2008-01-01 Accenture Llp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 financial modeling and counseling system
JP2001154966A (ja) 1999-11-29 2001-06-08 Sony Corp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上で構築・提供される共有仮想空間上で複数ユーザが参加可能な仮想会話を支援する会話支援システム及び会話支援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0350455B1 (ko) * 1999-12-1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신자의 메시지 확인을 발신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
US20010051982A1 (en) * 1999-12-27 2001-12-13 Paul Graziani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specific chat room access
US6678215B1 (en) * 1999-12-28 2004-01-13 G. Victor Treyz Digital audio devices
US6252952B1 (en) * 1999-12-30 2001-06-26 At&T Corp Personal user network (closed user network) PUN/CUN
EP1552440A2 (en) * 2000-01-31 2005-07-13 Trivnet Ltd. Applications of automatic internet identification methods
JP2001229282A (ja) 2000-02-15 2001-08-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948131B1 (en) * 2000-03-08 2005-09-20 Vidiator Enterprises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rich media tools
WO2001072020A2 (en) * 2000-03-17 2001-09-27 America Online, Inc. Instant messaging with additional voice communication
US6539354B1 (en) * 2000-03-24 2003-03-25 Fluent Speech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ducing and using synthetic visual speech based on natural coarticulation
US20020002032A1 (en) * 2000-06-21 2002-01-03 Fleenor Michael D. User customized radio
US6699125B2 (en) * 2000-07-03 2004-03-02 Yahoo! Inc. Game server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messenger server
JP2002044765A (ja) 2000-07-28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システムとゲートウェイ装置
JP2002055935A (ja) * 2000-08-07 2002-02-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JP3874598B2 (ja) 2000-09-27 2007-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受信システム
US7072461B2 (en) * 2000-10-02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Merging various request methods into a single unified user interface
US7168051B2 (en) * 2000-10-10 2007-01-23 Addnclick, Inc. System and method to configure and provide a network-enabled three-dimensional computing environment
JP2002132618A (ja) * 2000-10-27 2002-05-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媒体、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2140278A (ja) 2000-10-31 2002-05-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2207632A (ja) * 2001-01-12 2002-07-26 Fujitsu Ltd 共有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6865268B1 (en) * 2001-01-16 2005-03-08 Charles Terence Matthews Dynamic, real-time call tracking for web-base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US20020120503A1 (en) * 2001-01-29 2002-08-29 Fujitsu Limited Advertising method and advertising device
US7606909B1 (en) * 2001-02-20 2009-10-20 Michael Ely Method and apparatus for a business contact center
US20020128067A1 (en) * 2001-03-09 2002-09-12 Victor Keith Blanco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soundtracks in a gaming system
JP2002312612A (ja) 2001-04-13 2002-10-25 Sony Communication Network Corp 仮想空間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20155587A1 (en) * 2001-04-20 2002-10-24 Sequenom, Inc.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biological sample
US7080139B1 (en) * 2001-04-24 2006-07-18 Fatbubb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sharing and passively tracking communication device experiences
US6983305B2 (en) * 2001-05-30 2006-01-0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a user in instant messaging
US7269632B2 (en) * 2001-06-05 2007-09-11 Xdyne, Inc. Networked computer system for communicating and operating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20030046433A1 (en) * 2001-07-25 2003-03-06 Omer Luzzatti Method to synchronize information between online devices
US7266583B2 (en) * 2001-08-20 2007-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act management to chat session participants
US20090006543A1 (en) * 2001-08-20 2009-01-01 Masterobjects System and method for asynchronous retrieval of information based on incremental user input
WO2003030051A1 (en) * 2001-09-30 2003-04-10 Realcontacts Ltd Connection service
US8288641B2 (en) * 2001-12-27 2012-10-16 Intel Corporation Portable hand-held music synthesizer and network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30210265A1 (en) * 2002-05-10 2003-11-13 Haimberg Nadav Y. Interactive chat messaging
US20030221009A1 (en) * 2002-05-21 2003-11-27 Logitech Europe S.A. Dual mode peer-to-peer link establishment for instant message video
US20040003090A1 (en) * 2002-06-28 2004-01-01 Douglas Deeds Peer-to-peer media sharing
WO2004008719A2 (en) * 2002-07-12 2004-01-22 Sca Technica, Inc Self-booting software defined radio module
US7908324B2 (en) * 2002-10-02 2011-03-15 Disney Enterprises, Inc. Multi-user interactiv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JP2004135051A (ja) * 2002-10-10 2004-04-30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9100218B2 (en) * 2002-11-18 2015-08-04 Aol Inc. Enhanced buddy list interface
US20050083851A1 (en) * 2002-11-18 2005-04-21 Fotsch Donald J. Display of a connection speed of an on-line user
JP4218336B2 (ja) * 2002-12-12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463872B2 (en) * 2004-07-02 2013-06-11 Broadsoft Casab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family center
KR100636784B1 (ko) * 2005-02-22 200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JP2007164286A (ja) 2005-12-09 2007-06-28 Sony Corp 情報信号処理装置、機能ブロックおよび機能ブロックの制御方法
US8243017B2 (en) * 2006-09-11 2012-08-14 Apple Inc. Menu overlay including context dependent menu ic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508B1 (ko) 1998-06-26 2001-05-02 민기철 인터넷을이용한원격가정자동화시스템
KR100359286B1 (ko) 2000-02-10 2002-11-07 윤봉수 사이버 공동체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62099A1 (en) 2019-11-28
US8307201B2 (en) 2012-11-06
US9684796B2 (en) 2017-06-20
US10417444B2 (en) 2019-09-17
CN1692342A (zh) 2005-11-02
US20050210395A1 (en) 2005-09-22
EP1473635A1 (en) 2004-11-03
JP4218336B2 (ja) 2009-02-04
JP2004192451A (ja) 2004-07-08
CN100416524C (zh) 2008-09-03
EP2757512A1 (en) 2014-07-23
EP1473635A4 (en) 2006-09-20
US20100306404A1 (en) 2010-12-02
EP2757511A1 (en) 2014-07-23
US20130067356A1 (en) 2013-03-14
KR20050084763A (ko) 2005-08-29
WO2004053703A1 (ja)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852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KR100980547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US7673015B2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processing methods, recording mediums, and programs
CN101346993B (zh) 具有多个装置的交互式媒体导航系统
CN106411686A (zh) 网络接入设备与用户间交互的方法和装置
JP200518233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422042A (zh) 经由电视提供共享文件夹的系统和方法
CN103024443A (zh) 具有多个装置的交互式媒体导航系统
CN106411687A (zh) 网络接入设备与绑定用户间交互的方法和装置
CN106559312A (zh) 基于受控设备的群组管理方法和装置
US9445056B2 (en) Automatic display of messages on display screen
TW202341038A (zh) 電腦程式、終端及伺服器
EP2154819B1 (en) Content sharing method, server and system
CN101547297A (zh) 开放有线应用平台机顶盒个人简档及通信应用
CN108370456A (zh) 信息处理方法和显示装置
KR100694396B1 (ko) 프로그램 예약 녹화 설정 시스템 및 방법
JP2002108941A (ja) リンク管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