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508B1 - 인터넷을이용한원격가정자동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이용한원격가정자동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508B1
KR100288508B1 KR1019980024439A KR19980024439A KR100288508B1 KR 100288508 B1 KR100288508 B1 KR 100288508B1 KR 1019980024439 A KR1019980024439 A KR 1019980024439A KR 19980024439 A KR19980024439 A KR 19980024439A KR 100288508 B1 KR100288508 B1 KR 100288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home
interface
remote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244A (ko
Inventor
차주헌
이순걸
Original Assignee
민기철
주식회사태민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기철, 주식회사태민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민기철
Priority to KR101998002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50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3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원격 클라이언트(10)로 각종 통신채널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브라우져를 사용하여 가상현실속에서 3D로 모델링된 가정내 가전제품을 제어할 때 실시간으로 인터넷(30)에 접속된 홈서버에서 이 값을 받아 가정내 가전제품을 제어하고, 가전제품의 작동상태를 원격 클라이언트(10)의 웹브라우져상에서 양방향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세계 어느곳에서나 인터넷(30)에 접속하여 가정내 가전제품이나 방범장치 등을 가상현실속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REMOTE HOME AUTOMATION SYSTEM USED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통신채널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된 홈서버를 통해 가정내의 가전제품들과 양방향 통신을 행하여 실시간으로 가전제품들을 보면서 제어하는 것과 같은 가상현실속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서 실질 소득의 증가와 함께 일반 소비자의 고기능 가전기기에 대한 구매 욕구와 그 구매 능력이 증가함에 따라 가전 제조사 및 그와 연관된 중소기업군의 설비 투자 및 생산 시설이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으며 국민소득의 증가에 따른 여가활동의 증가와 함께 가전 제품의 원격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사용자가 외출하면 가정의 가전기기에 대한 실제적인 조작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비록 현재에 원격지에서 전화등을 통해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들이 있으나 아직까지는 단방향통신으로 가정의 가전기기가 작동되었는지 확인할 수가 없어 오동작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러종류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때에는 각각의 가전기기에 해당하는 선택키등의 입력이 매우 복잡하게 되며 복잡한 제어를 요하는 가전기기의 경우에는 원격지에서 제어하기는 불가능하기에 단순한 전원의 온/오프만을 수행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지에서 각종 통신매체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실시간적으로 가정내의 가전제품들과 양방향 통신을 행하면서 가전제품을 보면서 제어하는 것과 같은 가상현실속에서 직접 에어컨등의 작동이나 온도설정, VCR예약, 조명조작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범방재를 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제어기를 중심으로 나타낸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격 클라이언트 20 : 홈서버
30 : 인터넷 40 : 웹서버
50 : 제어기 52 : 중앙처리기
54 : 디코더/인코더부 55 : 제품접속부
53 : 저장부 60 : 방범방재부
102 : 사용자 인터페이스 104 : 가상현실 그래픽 처리기
106 : 이벤트 처리기 110,208 : 제1,2인터넷 인터페이스
204 :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 206 :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
108,202 : 제1,2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의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가정내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클라이언트와, 망접속부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되어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원격 클라이언트에서 가정내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홈서버와, 홈서버에서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정내 다수개의 가전제품이나 보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격 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져를 사용하여 가상현실속에서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현실의 가전제품 3차원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현실 그래픽 처리기와, 가상현실 그래픽 처리기에 의해 처리되어 가상현실속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이벤트 처리기와, 이벤트 처리기에서 처리된 이벤트정보를 홈서버로 전달하고 홈서버의 정보를 애플릿으로 실행시키고 홈서버와 소켓통신을 행하는 제 1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로 웹서버를 통해 웹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인터넷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홈서버는 망접속부를 통해 중앙처리기와 시리얼 통신을 하기 위한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와, 원격클라이언트의 애플릿과 동시에 가전제품과 상호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도록 멀티 쓰레드 기능을 사용하여 원격클라이언트와 소켓통신을 행하는 제 2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제 2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이벤트 정보를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며 가정내 가전제품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가상현실 하우스를 형성하는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과, 웹서버를 통해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을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로 웹서비스를 하기 위한 제 2인터넷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어기는 가정내의 다수개의 가전제품과 연결되어 다수개의 가전제품과 서로 통신하기 위한 제어명령 및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다수개의 제품접속부와, 집안 내부를 감시하거나 온도변화나 도어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이상발생시 경고하는 방범방재부와, 방범방재부와 다수개의 제품접속부를 통해 다수개의 가전제품들의 제어신호와 작동상태등의 신호를 변환하여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디코더/인코더부와, 원격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 및 가전제품의 제어변수나 상태변수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망접속부를 통해 원격지에서 들어오는 제어명령 및 구성정보나 작동상태 정보 등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해석하여 상기 디코더/인코더부를 통해 상기 다수개의 가전제품과 방범방재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기와, 중앙처리기의 작동상태를 로컬에서 터미널을 통해 모니터링하기 위한 터미널 접속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웹브라우져를 수행시켜 제 1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로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여 망접속부에 접속된 홈서버의 제 2인터넷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홈서버에 구축된 가상현실 클레스 모듈을 전송받아 원격 클라이언트에 가상현실 그래픽 처리기로 가상현실 공간을 형성한다. 원격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는 가상현실 공간에서 마우스등으로 가상현실 공간에 나타낸 가정내의 가전제품을 클릭하면 이 값을 이벤트 처리기에서 처리하여 제 1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제 2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켓통신을 수행해 쓰레드를 통해 이벤트정보와 작동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쓰레드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처리기로 전달되어 가전제품을 작동시키고 작동된 결과는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의 가전제품을 변경시키고 이 변경된 값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 원격 클라이언트의 가상현실 공간의 변화로 나타낸다.
위와 같이 작동하는 홈서버는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망접속부와 연결되어 중앙처리기와 통신하게 된다. 따라서 원격 클라이언트에서 홈서버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으면서 제품접속부에 접속된 다수개의 가전제품들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홈서버에서 제공하는 메뉴는 소프트웨어에 따라 가상현실 상황에서 가전제품을 실제로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작동정보와 현재의 작동상태 정보도 함께 제공함으로서 원격 클라이언트에서 현재 가전제품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통신 인터페이스 루틴 및 중앙처리기를 관리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가변 프로그램을 통해 중앙처리기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업그레이드시키고 제어변수나 상태변수등의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 또한 다수개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와 가전제품의 상태정보를 중앙처리기와 통신하기 위해 디코더/인코더부에서 상호변환한다.
그리고 터미널접속부를 통해 중앙처리기의 상태를 직접 로컬에서 터미널을 통해 관찰하거나 제어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격 클라이언트(10)에는 인터넷(30) 표준인 자바언어로 구현된 애플릿과 3차원 가상 환경을 제공하는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장면을 전용 브라우져를 통해 보거나, netscape사의 netscape navigator와 microsof사의 internet explorer인 웹브라우져에 플러그인(plug-in)되어 볼 수 있도록 하여 가상현실속에서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2)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가상현실의 가전제품 3차원 모델을 제공하여 집안에 들어와 있는 느낌을 갖도록 하기 위해 2-D의 일반적인 윈도우 GUI(Graphical User Interface)보다 좀 더 현실감있는 3-D환경을 제시하기 위한 가상현실 그래픽 처리기(104)와, 가상현실 그래픽 처리기(104)에 의해 처리되 가상현실속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입력되는 마우스의 움직임이나 클릭하는 상태 등의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이벤트 처리기(106)와, 이벤트 처리기(106)에서 처리된 이벤트정보를 홈서버(20)로 전달하고 홈서버(20)의 정보를 애플릿으로 실행시키고 홈서버(20)와 소켓통신을 행하는 제 1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8)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02)에 접속된 사용자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HTTP)로 웹서버(40)를 통해 웹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 1인터넷 인터페이스(1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홈서버(20)는 망접속부(21)를 통해 제어기(50)와 시리얼 통신을 하기 위한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206)와, 여러 원격 클라이언트(10)의 애플릿과 동시에 가전제품과 상호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도록 자바 언어의 멀티 쓰레드 기능을 사용하여 원격 클라이언트(10)와 소켓통신을 행하는 제 2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2)와, 제 2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입력된 이벤트 정보를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206)로 전달하며 가정내 가전제품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가상현실 하우스를 형성하고 VRML화일로 저장하는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204)과, 웹서버(40)를 통해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204)을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로 웹서비스를 하기 위한 제 2인터넷 인터페이스(208)로 이루어진다.
웹서버(40)는 인터넷(30) 상에서 자신의 고유 IP 어드레스(Internet Protocol Address)를 갖도록 구성되며, 이 웹서버(40)는 가정내의 홈서버(20)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업체에 설치하고 가정내 홈서버(20)와 메시지 교환을 통하여 중앙처리기(52)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홈서버(20)의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204)에서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중앙처리기(52)와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자바언어가 시스템 보안상 하드웨어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C언어로 작성된 동적 라이브러리를 호출하는 방법으로 구현한다.
또한,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204)에서 VRML을 이용하여 GUI를 개발할 때 간단한 모델(box, cone, sphere..)은 VRML로 쉽게 작성하고, 복잡한 형태의 모델은 3D Studio Max와 같은 저작툴을 사용하여 3D Max VRML Exporter을 통해 VRML파일을 얻을 수 있다.
VRML장면과 자바 애플릿을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한 문서상에서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벤트 처리기 에서 EAI(External Authoring Interface) 패키지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50)에는 가정내 가전제품인 에어컨(70)이나 보일러(80)등과 보안을 위한 방범방재부(60)가 연결되고, 제어기(50)를 직접 조절하는 터미널(90)이 연결된다.
도2는 도1의 제어기를 중심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하드웨어부분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접속부(55)는 가정내의 에어컨(70)이나 보일러(80)등의 가전제품에 직접 접속되어 제어명령 및 가전제품의 상태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 제품접속부(55)는 에어컨(70)이나 보일러(80)등의 가전제품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인터페이스(552)와, 접속된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채널 인터페이스(554)와, 접속된 가전제품들의 작동상태 및 설정상태등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채널 인터페이스(556)와, 접속된 가전제품이 제어명령에 따라 정확하게 작동되고 있는가를 비교확인하기 위한 피드백 인터페이스(558)로 이루어진다.
또한, 방범방재부(60)는 집안에 도둑이 침입하거나 화재 등이 발생한 것을 감시하여 방재하거나 경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집안 내부를 감시할 수 있는 CCTV(62)와, 집안의 온도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64)와, 도어가 강제적으로 열렸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개폐감지부(66)와, 화재 등이 발생할 경우 진화하기 위한 방재장치(68)로 이루어진다.
디코더/인코더부(54)는 중앙처리기(5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에어컨(70)이나 보일러(80)등에 접속된 가전제품이나 방범방재부(6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제어명령으로 가전제품의 각종 작동상태 및 설정상태 등을 중앙처리기(52)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의 정보로 변환하게 된다.
저장부(53)는 기본 통신 인터페이스 루틴을 저장하는 ROM(532)과, 중앙처리기(52)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인터넷(30)을 통해 전달되는 가변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중앙처리기(52)의 구조를 변경시키거나 제어 기능을 업그레이드시키거나 제어 프로그램의 일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래쉬 메모리(534)와, 제어변수나 상태변수 등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536)으로 구성되어 중앙처리기(52)와 디코더/인코더부(54)와 제품접속부(55)에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교환한다.
망접속부(21)는 홈서버(20)에 설치되어 인터넷(30)에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전화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전화 인터페이스(211)와,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종합 정보 통신망)라인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ISDN 인터페이스(212)와,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 인터페이스(213)와, 제어기(50)의 중앙처리기(52)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나 인터넷(30)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서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망인터페이스유닛(215)과, 망인터페이스유닛(215)에서 인터넷(3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설정하여 다중화하는 멀티플렉서(214)로 구성된다.
중앙처리기(52)는 인터넷(30) 접속된 원격지의 원격 클라이언트(10)에서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홈서버(20)를 입력받고 이 값에 따라 저장부(53)에 저장된 기본 구성과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디코더/인코더부(54)에서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품접속부(55)에 접속된 가전제품을 제어하고 가전제품의 제어상태를 입력받아 저장부(53)에 입력함과 아울러 방범방재부(60)의 값에 따라 방재하며 홈서버(20)를 통해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상태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터미널 접속부(51)는 위와 같은 중앙처리기(52)의 작동상태를 로컬에서 터미널(90)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중앙처리기(52)의 구성을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인터넷(30)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제어를 행하기 위한 가전제품에 제품접속부(55)를 장착한다. 즉, 에어컨(70)에 장착될 경우에는 전원 인터페이스(552)를 통해 에어컨(70)의 전원을 단속하게 되고, 제어채널 인터페이스(554)를 통해 에어컨의 운전선택이나 공기정화 풍량조절 온도설정 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데이터채널 인터페이스(556)를 통해 에어컨(70)의 설정상태, 즉 현재온도와 운전상태, 풍량상태, 온도설정상태 등을 원격지의 원격 클라이언트(10)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받게 되고, 피드백 인터페이스(558)를 통해 설정된 상태대로 에어컨(70)이 설정되었는가를 비교확인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품접속부(55)를 보일러(80)에 접속할 경우에는 전원 인터페이스(552)를 통해 보일러(80)를 끄고 켤 수 있도록 전원을 단속하고, 제어채널 인터페이스(554)를 통해 보일러(80)의 운전상태를 설정하게된다. 즉, 난방시 실내온도등을 설정한다. 또한 데이터채널 인터페이스(556)를 통해 현재의 보일러(80) 운전상태나, 실내온도 등을 입력받게 되고, 피드백 인터페이스(558)를 통해 제어채널 인터페이스(554)에서 설정한 대로 설정되었는지를 비교 확인하게 된다.
이렇게 제품접속부(55)를 원격 제어를 하기 위한 가전제품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전제품에 설치된 제품접속부(55)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는 저장부(53)에 저장됨과 아울러 디코더/인코더부(54)를 통해 중앙처리기(52)에 입력된다.
중앙처리기(52)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망접속부(21)를 통해 홈서버(20)로 출력되면 홈서버(20)에서 웹서버(40)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되어 인터넷(30)에 접속하는 원격 클라이언트(10)에게 웹브라우져를 통해 가정내의 가전제품을 제어하려고 할 때 제어 가능한 제품을 표시하고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냄으로서 실제적으로 작동되는 상황을 원격지에서 느끼면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원격지에서 인터넷(30)을 통해 홈서버(20)에 접속하여 집안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해 망접속부(21)를 통해 인터넷(30)에 접속하게 된다.
원격 클라이언트(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2)에서 netscape navigator이나 internet explorer의 웹브라우져를 수행시켜 제 1인터넷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로 인터넷(30)을 통해 웹서버(40)에 접속하여 망접속부(21)에 접속된 홈서버(20)의 제 2인터넷 인터페이스(208)를 통해 홈서버(20)에 구축된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204)을 전송받아 원격 클라이언트(10)에 가상현실 그래픽 처리기(104)로 가상현실 공간을 형성한다.
원격 클라이언트(10)의 사용자는 가상현실 공간에서 마우스 등으로 가상현실 공간에 나타낸 가정내의 가전제품을 클릭하면 이 값을 이벤트 처리기(106)에서 처리하여 제 1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8)와 제 2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소켓통신을 수행해 쓰레드를 통해 이벤트정보와 작동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쓰레드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중앙처리기(52)로 전달되어 가전제품을 작동시키고 작동된 결과는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204)의 가전제품을 변경시키고 이 변경된 값은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을 통해 원격 클라이언트(10)의 가상현실 공간의 변화로 나타나게 된다.
위와 같은 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방범방재부(60)는 계속 작동되어 도어개폐감지부(66)를 통해 도어가 잠겨있을 때 강제적으로 열리게 되는 상황을 감지하고, 온도감지부(64)를 통해 화재 등으로 인해 집안의 온도가 일정값이상 올라가는 경우를 감지하게 되며, CCTV(62)를 통해 집안 내부의 상황을 직접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화재가 발생하거나 도둑이 침입했을 경우에는 인근 관서에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방재장치(68)가 작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런 상황을 홈서버(20)를 통해 원격 클라이언트(10)에게 알려 원격지에서도 상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작동됨으로서 원격지에서 원격 클라이언트(10)가 임의의 통신채널을 사용하여 인터넷(30)에 접속한 후 홈서버(20)에 들어오게 되면 홈서버(20)에서 제공되는 집안의 가전제품이나 방범방재상황을 보면서 제어할 수 있고 제어된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망접속부(21)는 전화선이나 ISDN라인이나 이더넷라인을 통해 인터넷(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멀티플렉서(214)에 의해 통신채널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통신채널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고 이외의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서도 인터넷(3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접속부(51)에 터미널(90)을 연결할 경우에는 중앙처리기(52)와 시리얼통신을 행하여 망접속부(21)를 통한 접속 없이도 중앙처리기(52)의 구조 등을 변경하거나 제품접속부(55)에 접속된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내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나 가전제품의 작동상태등을 종합하여 가상현실상에서 실제 작동되는 상태를 확인하면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홈서버가 각종 통신채널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어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해 홈서버에 접속할 경우 가정내 가전제품의 작동상태나 방범방재상황을 실시간으로 가상현실속에서 확인하면서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원격지의 사용자가 원격클라이언트에서 가정내 홈서버에 접속하여 제어기를 통해 가전제품을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20)가 망접속부(21)를 통해 인터넷(30)에 접속되어 인터넷(30)을 통해 접속한 원격 클라이언트(10)에서 가정내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망접속부(21)를 통해 상기 제어기(50)와 시리얼 통신을 하기 위한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206)와,
    상기 원격 클라이언트(10)의 애플릿과 동시에 가전제품과 상호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도록 멀티 쓰레드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원격 클라이언트(10)와 소켓통신을 행하는 제 2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2)와,
    상기 제 2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입력된 이벤트 정보를 상기 시리얼통신 인터페이스(206)로 전달하며 가정내 가정제품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가상현실 하우스를 형성하는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204)과,
    웹서버(40)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클래스 모듈(204)을 하이퍼텍스트 전송프로토콜로 웹서비스를 하기 위한 제 2인터넷 인터페이스(20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접속부(21)는
    전화선으로 인터넷(30)에 접속하기 위한 전화 인터페이스(211)와,
    ISDN라인으로 인터넷(30)에 접속하기 위한 ISDN 인터페이스(212)와,
    LAN을 통해 인터넷(30)에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 인터페이스(213)와,
    상기 제어기(5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나 인터넷(30)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서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망인터페이스유닛(215)과,
    상기 망인터페이스유닛(215)에서 인터넷(30)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전화 인터페이스(211)와 상기 ISDN 인터페이스(212)와 이더넷 인터페이스(213)의 통신채널을 설정하여 다중화하는 멀티플렉서(214)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
KR1019980024439A 1998-06-26 1998-06-26 인터넷을이용한원격가정자동화시스템 KR100288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439A KR100288508B1 (ko) 1998-06-26 1998-06-26 인터넷을이용한원격가정자동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439A KR100288508B1 (ko) 1998-06-26 1998-06-26 인터넷을이용한원격가정자동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244A KR20000003244A (ko) 2000-01-15
KR100288508B1 true KR100288508B1 (ko) 2001-05-02

Family

ID=1954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439A KR100288508B1 (ko) 1998-06-26 1998-06-26 인터넷을이용한원격가정자동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50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211A (ko) * 2000-07-11 2002-01-19 김철병 인터넷을 통한 보일러 관리방법
KR20020006214A (ko) * 2000-07-11 2002-01-19 김철병 인터넷을 통한 보일러 관리시스템
KR20020014185A (ko) * 2000-08-16 2002-02-25 고대식 지능형 홈서버 시스템과 이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무선단말 장치
KR20020017133A (ko) * 2000-08-29 2002-03-07 신형범 통신라인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개인금융업무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80904B1 (ko) * 2000-10-13 2003-04-18 주식회사 엔써티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429617B1 (ko) * 2001-05-1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아이피 환경에서의 가전기기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05218B1 (ko) * 2001-07-20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연결체크방법
KR100556242B1 (ko) * 2002-07-2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냉장고의 원격접속시스템 및 원격접속방법
KR100571140B1 (ko) * 2002-06-12 2006-04-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통신제어장치와, 통신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7774733B2 (en) 2006-04-24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in home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for
KR101032852B1 (ko) 2002-12-12 2011-05-06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163B1 (ko) * 2000-02-01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0565583B1 (ko) * 2000-02-01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357045B1 (ko) * 2000-02-23 2002-10-19 전자부품연구원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363838B1 (ko) * 2000-04-01 2002-12-06 이재필 인터넷을 이용한 아파트 관리시스템
KR100390530B1 (ko) * 2000-04-15 2003-07-04 (주)디지털넷뱅크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000050084A (ko) * 2000-05-15 2000-08-05 고성욱 전등모듈 제어방법
KR20000050080A (ko) * 2000-05-15 2000-08-05 고성욱 다기능 제어기
KR100371167B1 (ko) * 2000-06-05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홈네트워크 기기의 원격제어장치
KR100371166B1 (ko) * 2000-06-05 200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358256B1 (ko) * 2000-06-08 2002-10-25 (주)성지인터넷 티씨피/아이피 기반 오픈 네트워크 컨트롤러
KR100371169B1 (ko) * 2000-06-09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로 인터넷 접속시 기기 접속상태정보 액세스장치 및 방법
KR20020006815A (ko) * 2000-07-13 2002-01-26 윤종용 가전 기기의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20007571A (ko) * 2000-07-18 2002-01-29 양기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감지 통보시스템
KR100729758B1 (ko) * 2000-10-02 200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서비스제공방법
KR100516331B1 (ko) * 2000-10-09 2005-09-21 김화윤 인터넷 기반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475607B1 (ko) * 2000-10-09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서버에서의 맞춤 세탁 프로그램 제공방법
KR100529874B1 (ko) * 2000-10-19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망 접속 세탁기와 구현방법
KR20020031993A (ko) * 2000-10-25 2002-05-03 이은정 인터넷을 통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제어 방법
KR100385185B1 (ko) * 2000-12-07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20507B1 (ko) * 2000-12-13 2004-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용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420944B1 (ko) * 2000-12-29 2004-03-04 주식회사 에스디 레이콤 텍 시스템과 통신망을 이용한 주택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40832B1 (ko) * 2000-12-29 200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25590A (ko) * 2001-01-09 2001-04-06 박상훈 인터넷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장치 및 방법
KR100442238B1 (ko) * 2001-04-12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텔레비젼을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제어방법
KR100435991B1 (ko) * 2001-05-11 2004-06-12 (주)솔다정보기술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20093516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인터넷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404196B1 (ko) * 2001-06-22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원격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13448B1 (ko) * 2001-07-04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
KR100404198B1 (ko) * 2001-07-04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외부신호 수신방법
KR100424297B1 (ko) * 2001-07-20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30016739A (ko) * 2001-08-21 200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KR100593620B1 (ko) * 2001-09-18 2006-06-2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인터넷 에어컨의 모니터링방법 및 장치
KR100440999B1 (ko) * 2001-11-08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기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54236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세탁기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구조 및 서비스 방법
KR20030059367A (ko) * 2001-12-29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지에서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서버
KR100465700B1 (ko) * 2002-07-1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방법
KR100465701B1 (ko) * 2002-07-1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베이스 매니저를 가지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연결방법
US9571625B2 (en) 2009-08-11 2017-02-1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022281A (zh) * 2015-07-29 2015-11-0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五研究所 一种基于虚拟现实的智能家居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557A (ko) * 1994-03-26 1995-10-18 이헌조 가정자동화용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557A (ko) * 1994-03-26 1995-10-18 이헌조 가정자동화용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211A (ko) * 2000-07-11 2002-01-19 김철병 인터넷을 통한 보일러 관리방법
KR20020006214A (ko) * 2000-07-11 2002-01-19 김철병 인터넷을 통한 보일러 관리시스템
KR20020014185A (ko) * 2000-08-16 2002-02-25 고대식 지능형 홈서버 시스템과 이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무선단말 장치
KR20020017133A (ko) * 2000-08-29 2002-03-07 신형범 통신라인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개인금융업무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80904B1 (ko) * 2000-10-13 2003-04-18 주식회사 엔써티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429617B1 (ko) * 2001-05-1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아이피 환경에서의 가전기기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05218B1 (ko) * 2001-07-20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제어시스템의 연결체크방법
KR100571140B1 (ko) * 2002-06-12 2006-04-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통신제어장치와, 통신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0556242B1 (ko) * 2002-07-2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냉장고의 원격접속시스템 및 원격접속방법
KR101032852B1 (ko) 2002-12-12 2011-05-06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시스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US7774733B2 (en) 2006-04-24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in home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244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508B1 (ko) 인터넷을이용한원격가정자동화시스템
EP1210810B1 (en) Architectur for automation system
US6961763B1 (en) Autom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devices and sensors
Kim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 network systems using UPnP middleware for networked appliances
US7187279B2 (en) Security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KR10030167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KR100780601B1 (ko) 지능형 통합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Joshi et al. Performance enhancement and IoT based monitoring for smart home
CN101311864A (zh) 访问楼宇自动化系统组件的数据的装置和方法
US20030105535A1 (en) Unit controller with integral full-featured human-machine interface
US200200753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interaction with remote devices
US10353368B2 (en) Multi-sensor, event based occupancy determination and load management system
WO1999039505A1 (en) Networked security system for network-based monitoring and control of an environment
JP2003345431A (ja) 遠隔からの監視を可能にするプラント監視装置
EP1905198A1 (en) Telematic network for managing devices and events in a domestic environment
JP2002352065A (ja) ネットワーク対応型サーバ装置
KR100452362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CN107547639B (zh) 配电房集中运维托管系统
KR100355048B1 (ko) 전기기기 감시 및 제어 시스템
US20150005909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Management Device
AU2021101660A4 (en) A real-time smart home automation system based on labview platform
CN209784760U (zh) 一种智能家居管理系统
Oduro-Gyimah et al.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raspberry pi home automation
KR100596754B1 (ko) 보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219227634U (zh) 一种园区iot物联网系统管理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