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700B1 -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700B1
KR100465700B1 KR10-2002-0040233A KR20020040233A KR100465700B1 KR 100465700 B1 KR100465700 B1 KR 100465700B1 KR 20020040233 A KR20020040233 A KR 20020040233A KR 100465700 B1 KR100465700 B1 KR 100465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erver
portal server
databa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6229A (ko
Inventor
김창호
이상균
오기태
이연경
지일훈
왕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70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가정 내의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하도록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에 구축된 홈서버와,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가정 외부의 사용자가 원격으로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관한 제어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외부 네트워크망에 구축된 포털서버로 구성되어 상기 포털서버와 홈서버에 내장된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 변동 시 자동적으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정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함에 관계없이 동일한 가전기기 상태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포털서버가 전반적으로 데이터 연동처리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홈서버의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 방법{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with Data Synchronization and Network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정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포털서버와 상기 포털서버와 연결된 가전기기의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연동되어 상호 데이터 변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되도록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정 내에 설치되는 가전기기 내부에 홈서버를 장착하고 상기 홈서버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망을 통해서도 가정 내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이 크게 각광받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복수개의 가전기기(H1~Hn)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내부 네트워크망(I)을 관리하고 외부 네트워크망(O)에서도 엑세스 가능한 홈서버(H)를 구축함으로써 외부의 사용자가 컴퓨터(A1), 핸드폰(A2), PDA(A3) 등의 개인 휴대용 전자기기들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H1~Hn)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정 외부의 가전기기 사용자는 본인의 사무실 등에서 외부 네트워크망(O)과 연결되는 컴퓨터(A1)를 통해 상기 홈서버(H)에 직접 접속하여 본인이 미리 설정한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파악하는 한편 원하는 바에 따라 가전기기의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은 상기 홈서버(H)를 통해 특정 가전기기로 전송되며, 상기 특정 가전기기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된 후 제어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상태정보 등을 다시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외부에서도 가전기기의 제어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원격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홈서버(H)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H1~Hn)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수정정보가 저장되지 않으므로 상기 원격제어장치 및 홈서버간에 데이터의 불일치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가전기기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따른 오류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 네트워크망에 구축되어 가정 내의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포털서버와 상기 가전기기와 동일 네트워크망에 구축된 홈서버가 각각 상태정보를 송수신하여 상호 데이터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보저장의 오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가 도시된 도,
도 3은 도 2의 홈서버와 포털서버의 구성 레이어가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연동과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연동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작업이 분배되는 바가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연동이 이루어지는 바가 도시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원격 사용자가 데이터를 수정하는 경우 데이터 연동이 이루어지는 바가 도시된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정 내우 사용자가 데이터를 수정하는 경우 데이터 연동이 이루어지는 바가 도시된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서버와 포털서버가재연결되는 경우 데이터 연동이 이루어지는 바가 도시된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작업 큐가 처리되는 바가 도시된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데이터 연동이 이루어지는 바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털서버 110 : 포털서버 웹페이지
120 : 포털서버 응용 프로그램 190 : 포털서버 데이터베이스 연동부
191 : 연동 매니저 192 : 서비스 매니저
200 : 홈서버 210 : 홈서버 웹페이지
220 : 홈서버 응용 프로그램 290 : 홈서버 데이터베이스 연동부
130, 230 : 포털서버, 홈서버 통신부
131, 231 : 포털서버, 홈서버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132, 232 : 포털서버, 홈서버 요청 핸들러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특징에 따르면,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상기 가전기기의 수정정보가 입력 가능한 웹페이지를 구현하는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수정정보를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된 수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된 수정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망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되는 포털서버와; 상기 포털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수정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수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동일정보를 가지도록 상기 포털서버와 연동되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킹 방법의 특징에 따르면, 가전기기 관련 정보가 저장되며 외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가 수정 가능하도록 외부 네트워크망에 구축된 포털서버로 수정정보가 입력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입력된 수정정보가 상기 포털서버 내에사 처리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처리된 수정정보가 해당 가전기기 정보가 저장된 홈서버로 전송되어 홈서버에 저장된 가전기기 관련 정보가 상기 포털서버와 연동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가정 내의 복수개의 가전기기와 연결되여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포털서버(100)와, 상기 포털서버(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포털서버(100)에서 구현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관한 상태정보 등을 파악하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가전기기의 제어명령 중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 등에 관련된 수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컴퓨터(A1), 핸드폰(A2), PDA(A3)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와, 상기 가정 내에 설치된 가전기기의 정보가 저장된 홈서버(200)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포털서버(100)와 상기 홈서버(200)는 인터넷 레이어 중 SSL(Secure Socket Layer)를 통해 제어명령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그 안정성이 증가한다.
도 3은 상기 포털서버(100)와 홈서버(200)의 내부 레이어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털서버(100)는 상기 휴대형 가전기기(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A1)에 한정하여 설명함)에서 웹페이지를 구현시키는 유저 계층의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110)와, 상기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110)로 입력된 가전기기의 온/오프 제어명령 등의 수정정보를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 계층의 폰북 등의 응용 프로그램(120)과, 상기 응용 프로그램(120)에서 처리된 바에 따라 해당 가전기기로 수정정보 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계층의 통신부(130)로 이루어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홈서버(200)는 홈서버의 웹패널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웹페이지를 구현시키는 유저 계층의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210)와, 상기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210)로 입력된 가전기기의 온/오프 제어명령 등의 수정정보를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 계층의 응용 프로그램(220)과, 상기 응용 프로그램(220)에서 처리된 바에 따라 상기 포털서버(100)의 통신부(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30,230)는 외부 네트워크망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131,231)와, 상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131,231)를 통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요청 핸들러(132,232)로 구성된다. 상기 포털서버(100)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131)가 인터넷 라인으로 전송한 데이터는 상기 가전기기의 요청 핸들러(232)로 전송되며, 상기 홈서버(200)의 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부(231)가 전송한 데이터는 상기 포털서버(100)의 요청 핸들러(132)로 전송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털서버(100)와 홈서버(200) 내부의 서비스 계층이 설치되어 상기 포털서버(100)와 홈서버(200)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정보 수정 시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데이터를 교환시키는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2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290)에 의해 포털서버(100)와 홈서버(200)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의 가전기기 정보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상기 포털서버(100)와 홈서버(200)의 요청 핸들러(132,232)는 각각 홈서버와 포털서버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231,131)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를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201)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데이터 연동은 이벤트 드리븐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데이터를 수정한 쪽에서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의 자료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의 자료 저장 방식이 설사 틀리더라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복수개의 장치와 함께 업데이트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의 포맷이 틀려도 데이터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레벨에서 데이터를 연동시키는 루틴을 만든다. 데이터 연동은 포털서버와 가전기기의 데이터를 동일하게 만들어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정 또는 원격 제어 장소로부터 상기 포털서버에 접속하든, 홈서버에 접속하든 동일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털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가 관련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포털서버(100)의 응용 프로그램(120)의 하나인 폰북에서 처리한 폰북 데이터의 폰북 테이블은 컬럼의 레코드(ID이름, 숫자, 최근 수정 날짜, 버전, 상태)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정내 홈서버는 XML 일반 파일의 노드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폰북, XML은 XML 노드로서, ID이름, 숫자, 최근 수정 날짜, 버전, 상태의 레코드를 포함한다.
이하, 데이터 연동의 메커니즘을 도 4를 참고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장 크게 2단계로 데이터 연동의 메커니즘을 나눌 수 있는데 제1 단계는 연동을 스케줄링하는 단계(S1)이며, 제2 단계는 연동을 처리하는 단계(S2)이다.
상기 제1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컴퓨터(A1) 등을 이용하여 포털서버로 수정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수정정보를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120)이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에게 포털서버(100)와 홈서버(200) 사이의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데이터 연동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한다.
상기 제2 단계에서, 포털서버(100)에 있는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는 포털서버(100)와 홈서버(200)의 응용 프로그램(120,220) 사이의 최근 수정된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연동 요청을 처리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포털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는 데이터베이스 연동 매니저(191)와 서비스 매니저(192)로 구성되는데, 상기 연동 매니저(191)는 상기 제1 단계(S1)를 처리하고, 상기 서비스 매니저(192)는 상기 제2 단계(S2)를 처리한다.
즉, 연동 매니저(191)는 스케줄링을 담당하며, 요청된 일을 작업 리스트에 추가시킨다. 다른 응용 프로그램(폰북 이외에 스케줄러, 가계부 등)도 연동 매니저(191)에 의해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에 사용됨에 따라 이러한 기능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매니저(192)는 일의 연동 처리를 담당한다. 또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서비스 쓰레드의 집합을 유지한다. 여기서 각각의 작업은 사용자의 기반지식 없이도 처리된다. 즉,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중에 진행된다.
상기 연동 매니저(191) 및 서비스 매니저(192)는 오직 포털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에서만 동작 가능한데, 이는 상기 홈서버(200)의 로드를 줄여주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가정 내의 홈서버(200) 데이터베이스 연동부(290)는 연동 처리를 용이하게 할 뿐 연동 처리를 직접 제어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연동은 응용 프로그램(120)에 의해 데이터(폰복이나 스케줄러, 가계부로 입력된 데이터 혹은 가전기기의 제어명령)가 처리될 때 요청된다. 이 때는 원격 사용자에 의해 포털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수정되는 때, 가정 내의 사용자가 홈서버(200)의 데이터를 수정할 때, 홈서버(200)가 포털서버(100)에 연결유지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재연결할 때이다.
상기 연동 매니저(191)가 수행하는 스케줄링은 포털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에 의해 유지되는 작업큐에 새 작업을 추가하는 것이다. 작업이란 상기 응용 프로그램(1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어떤 응용 프로그램(ex:폰북, 스케줄러, 가계부 등)인지 명확히 하도록 응용 프로그램 ID와 홈서버를 명확히 하는사용자 ID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의미한다.
데이터의 연동은 언제나 포털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의 의해 시작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매니저(191)는 서비스 매니저(192)에게 작업큐의 각각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쓰레드 집합으로부터 개별 쓰레드를 분리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즉, 포털서버의 응용 프로그램(120) 또는 홈서버의 응용 프로그램(220)을 통해 정보가 수정되면 상기 연동 매니저(191)는 작업(191a)을 작업 큐(191b)에 추가시킨다. 그 후, 상기 서비스 매니저(192)는 상기 연동 매니저(191)를 통해 분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작업 큐(191b)를 사용자별 쓰레드(192a, 192b, 192c)로 분리하고 각각의 작업을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분리된 쓰레드는 상기 서비스 매니저(192)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일곱 과정을 거치면서 처리된다.
과정 1 - 모든 최근 수정된 데이터를 포털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모은다.
과정 2 - XML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를 포털서버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서버로 전송한다.
과정 3 -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는 상기 데이터와 그것의 XML 데이터를 수집하여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전송된 데이터에 따라 수정한 후,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를 통해 홈서버의 최근 데이터를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로 회신한다.
과정 4 -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는 가전기기 또는 홈서버로부터의연동 결과, 홈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수정된 레코드를 포털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에 전송한다.
과정 5 - 포털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은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연동시키고 연동된 결과를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에 회신한다.
과정 6 -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는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를 통해 최종적으로 결과를 홈서버의 응용 프로그램부에 송신하고 홈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최종 응답을 받는다.
과정 7 -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의 쓰레드는 연동을 완성시키고 다음 작업을 기다리기 위해 집합소로 회신한다.
도 6은 상기 과정 1~7을 보다 자세히 도시한 도이다.
A1 : 포털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처리함에 따라 연동 매니저가 작업을 스케줄링한다.
A2 : 작업 큐에 작업을 더한다.
A3 : 작업 큐의 가장 하단의 작업을 작업 큐로부터 제거한다.
A4 : 홈서버의 연결여부를 확인한다.
A5 : 응용 프로그램에서 수정된 정보를 모인다.
A6 : 수정된 정보의 포털서버의 레코드를 홈서버로 전송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
A7 : 포털서버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가 홈서버의 연결여부를 확인한다.
A8 : A7과 마찬가지로 소켓 연결여부를 확인한다.
A9 : XML 데이터를 작성하여 XML 데이터와 함께 연동 요청신호를 홈서버의 요청 핸들러로 전송한다.
A10 : 홈서버의 요청 핸들러가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를 호출한다.
A11 :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는 홈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한다.
A12 : 홈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은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수신된 포털서버의 수정정보에 따라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즉, 연동시킨다.
A13 : 연동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응단신호가 상기 포털서버로 전송된다.
A14 : 포털서버의 게이트웨이가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로 응단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A15 :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가 상기 포털서버 응용 프로그램으로 연동을 요청한다.
A16 : 포털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은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수신된 홈서버의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한다.
A17 : 포털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이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로 그 결과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다.
A18 :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는 상기 A17의 신호가 홈서버로 전송되도록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
A19 : 포털서버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가 홈서버와 연결여부를 확인한다.
A20 : A17의 신호를 XML 데이터로 작성하고 연동 요청신호와 함께 홈서버의 요청 핸들러로 전송한다.
A21 : 요청 핸들러가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를 호출한다.
A22 :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가 상기 A17의 신호에 따라 연동을 마무리한다.
A23 : 홈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이 상태(Status)를 업데이트한다.
A24 : 최종 응답신호를 포털서버로 전송한다.
A25 : 홈서버의 요청 핸들러가 포털서버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로 A24의 최종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A26 : 포털서버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가 A24의 최종 응답신호를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로 전송함에 따라 연동이 완료된다.
도 7은 사용자가 상기 컴퓨터(A1) 등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정보를 수정한 경우 스케줄링이 일어나는 바가 도시된 도이다.
즉, 원격 사용자가 컴퓨터 등에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111)인 폰북 응용 프로그램의 GUI를 통해 정보를 첨가, 정정, 삭제(①)하면, 폰북 응용 프로그램(121)이 이를 수신(②)한다. 상기 폰북 응용 프로그램(121)이 처리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50) 업데이트(③)되며, 연동이 스케줄링된 후 작업이 작업 큐에 의해 스케줄링되어 연동이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에 의해 처리(④)된다.
도 8은 사용자가 홈서버(200)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정한 경우 스케줄링이 일어나는 바가 도시된 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추가, 정정, 삭제하고자 하는 정보에 웹페이지(211)를 이용하여 엑세스(①)한 후,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웹페이지(211)는 응용 프로그램인 폰북(221)을 호출(②)한다. 상기 폰북(221)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XML 포맷으로 입력받으며 이에 따라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250)를 업데이트하고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를 호출(③)한다. 상기 폰북에 의해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250)가 업데이트(④)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연동부(290)는 응용 프로그램인 폰북(221)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고, 연동 요청을 보내기 위하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231)를 호출(⑤)한다. 홈서버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231)는 소켓을 열고 포털서버로 요청을 전송(⑥)한다. 상기 홈서버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231)가 전송한 요청을 수신한 포털서버의 요청 핸들러(132)는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50)를 호출(⑦)한다. 호출된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50)는 작업을 작업 큐에 첨가(⑧)시킴으로써 홈서버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의 연동이 스케줄링된다.
도 9는 홈서버가 포털서버와 연결이 끊겼다가 재연결되는 경우의 연동 스케줄링이 도시된 도이다.
홈서버(200)와 포털서버(100)의 연결이 끊어졌다가 재연결되는 경우 홈서버(200)의 유동 IP주소를 저장 및 관리하는 IP 클라이언트(280)가 복수개의 홈서버의 유동 IP주소를 파악하고 그 연결을 관리하는 포털서버(100)의 IP 서버(180)로 새로운 연결신호를 전송(①)한다. 상기 포털서버(100)의 IP 서버(180)는 상기 새로운 연결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80)를 호출(②)함으로써 상기 새로운 연결신호를 전송한 홈서버(200)가 업데이트되도록 한다.상기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80)는 상기 새로운 연결신호를 전송한 홈서버(200)와 연관된 모든 응용 프로그램에 관한 작업을 작업 큐에 첨가(③)한다.
도 10은 작업 큐가 처리되는 바가 도시된 도이다.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90)는 응용 프로그램인 폰북(121)으로부터 연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정보를 XML 포맷으로 획득하여 이를 포털서버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31)로 전송(①)한다. 상기 전송에 따라 상기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150)는 업데이트(②)되며, 상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31)는 작업 큐에 해당하는 홈서버의 요청핸들러(232)로 데이터를 전송(③)한다. 상기 홈서버의 요청핸들러(232)는 상기 포털서버의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31)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290)를 호출(④)한다. 상기 호출된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290)는 홈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의 하나인 폰북(221)을 호출(⑤)하며, 이에 따라 상기 폰북(221)은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⑥)시킨다.
도 11은 데이터 연동과정을 순서도로 도시한 도이다.
먼저, 제11 단계에서 포털서버에서 연동과정이 시작(S11)되면, 제12 단계에서 포털서버는 홈서버로 연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데이터를 전송(S12)한다. 이에 따라 제13 단계에서 홈서버는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즉, 연동(S13)시키고, 제14 단계에서 홈서버는 포털서버로 연동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전송(S14)한다. 제15 단계에서 포털서버는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즉 연동시키고 그 상태에 관한 정보를 다시 홈서버로 전송(S15)한다. 제16 단계에서 홈서버는 홈서버의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최종 응답신호를 포털서버로 전송(S16)하며, 제17 단계에서 포털서버는 연동과정을 완료(S17)한다.
이렇듯,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는 언제나 연동 처리를 시작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동처리는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의 작업량은 경미하고 그 작업처리 주기가 단축된다. 또한 데이터 연동은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행하지 않고도 처리된다.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는 그러한 연동을 용이하게 한다.
IP 서버, 포털서버의 요청 핸들러, 응용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른 클라이언트도 연동을 스케줄링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사실상의 로직은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응용 프로그램이다. 모든 응용 프로그램은 어떻게 그 데이터를 연동하는지 안다.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은 다른 기능을 가진다. 이것은 데이터베이스 연동부가 일반적으로 향후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들과 함께 용이하게 작업되도록 할 것이다. 데이터는 XML 포맷으로 전송된다. XML 포맷은 유연성이 있는 굳건한 포맷으로 이러한 데이터는 직접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위해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 방법은 상기 포털서버 또는 홈서버에 의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홈서버 또는 포털서버에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수정된 가전기기의 상태정보가 업데이트되도록 상기 포털서버 및 홈서버가 서로 연동됨으로써, 사용자가 가정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함에 관계없이 동일한 가전기기 상태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포털서버가 전반적으로 데이터 연동처리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홈서버의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상기 가전기기의 수정정보가 입력 가능한 웹페이지를 구현하는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수정정보를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된 수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된 수정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망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되는 포털서버와;
    상기 포털서버로부터 가전기기의 수정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수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동일정보를 가지도록 상기 포털서버와 연동되는 홈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상기 가전기기 관련 수정정보가 입력 가능한 웹페이지를 구현하는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수정정보를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된 수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처리된 수정정보를 상기 포털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웹페이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가전기기에 관한 수정정보를 상기 포털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홈서버와 동일정보를 가지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서버는 상기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홈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된 수정정보에 따라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가 연동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처리된 정보로 인한 연동 요청을 스케줄링하는 연동 매니저와; 상기 연동 매니저에 따라 스케줄링된 정보를 사용자별 쓰레드(Thread)로 분리하여 상기 홈서버와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연동시키는 서비스 매니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털서버와 홈서버의 통신부는 외부 네트워크망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요청 핸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핸들러는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연동부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데이터베이스 연동부에서 연동이 이루어진 후 확인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7. 가전기기 관련 정보가 저장되며 외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가 수정 가능하도록 외부 네트워크망에 구축된 포털서버로 수정정보가 입력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입력된 수정정보가 상기 포털서버 내에서 처리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처리된 수정정보가 해당 가전기기 정보가 저장된 홈서버로 전송되어 홈서버에 저장된 가전기기 관련 정보가 상기 포털서버와 연동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킹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킹 방법은 상기 포털서버와 연결된 홈서버가 상기 포털서버로 지속적으로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리는 연결 유지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킹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포털서버가 상기 홈서버로 수정된 정보와 함께 연동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서버가 상기 연동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된 수정정보에 따라 홈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한 후 홈서버의 데이터를 상기 포털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포털서버가 상기 홈서버가 전송한 데이터에 따라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킹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포털서버가 상기 홈서버로 수정정보와 연동 요청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포털서버가 상기 제2 단계에서 처리된 수정정보를 모이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킹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홈서버가 전송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포털서버가 수신함에 따라 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수정된 후 상기 포털서버가 상기 홈서버로 최종 연동결과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서버가 상기 최종 연동결과를 수신한 후 상기 포털서버로 최종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최종 응답신호를 상기 포털서버가 수신함에 따라 데이터 연동이 완료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킹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포털서버가 상기 홈서버로 연동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전에 홈서버와의 연결유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킹 방법.
KR10-2002-0040233A 2002-07-11 2002-07-11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방법 KR10046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233A KR100465700B1 (ko) 2002-07-11 2002-07-11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233A KR100465700B1 (ko) 2002-07-11 2002-07-11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229A KR20040006229A (ko) 2004-01-24
KR100465700B1 true KR100465700B1 (ko) 2005-01-13

Family

ID=3731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233A KR100465700B1 (ko) 2002-07-11 2002-07-11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70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151A (ko) * 1996-12-26 1998-09-25 구자홍 인터넷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KR20000003244A (ko) * 1998-06-26 2000-01-15 민기철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
KR20010084084A (ko) * 2000-02-23 2001-09-06 김춘호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9095A (ko) * 2000-03-21 2001-09-29 강준모 인터넷을 통한 가정자동화 시스템.
JP2002111887A (ja) * 2000-09-21 2002-04-12 Stuart Argyle Andrews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集中管理システム
KR20020037208A (ko) * 2000-11-13 2002-05-18 허화영 가정내 서버를 이용한 정보가전기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2152858A (ja) * 2000-11-10 2002-05-24 Kunitomo Kobayashi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20078969A (ko) * 2001-04-12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텔레비젼을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제어방법
KR20020087545A (ko) * 2001-05-14 2002-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아이피 환경에서의 가전기기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151A (ko) * 1996-12-26 1998-09-25 구자홍 인터넷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KR20000003244A (ko) * 1998-06-26 2000-01-15 민기철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가정 자동화 시스템
KR20010084084A (ko) * 2000-02-23 2001-09-06 김춘호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9095A (ko) * 2000-03-21 2001-09-29 강준모 인터넷을 통한 가정자동화 시스템.
JP2002111887A (ja) * 2000-09-21 2002-04-12 Stuart Argyle Andrews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集中管理システム
JP2002152858A (ja) * 2000-11-10 2002-05-24 Kunitomo Kobayashi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20037208A (ko) * 2000-11-13 2002-05-18 허화영 가정내 서버를 이용한 정보가전기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78969A (ko) * 2001-04-12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텔레비젼을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제어방법
KR20020087545A (ko) * 2001-05-14 2002-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아이피 환경에서의 가전기기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229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6398B2 (en) Ev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8966013B2 (en) Unified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20040111490A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60015763A1 (en) Real-time web sharing system
JP6107925B2 (ja) 管理仲介装置、画像形成装置、管理仲介プログラム及び管理仲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07225724A (ja) ソフトウェア遠隔自動更新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9225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home appliance control data
JP2003051056A (ja) 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US20100240353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facility sid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facilit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facility apparatus
JP4353036B2 (ja) リモート接続システム、サーバコンピュータ、リモート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140902A (ja) ホスト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の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
KR100465700B1 (ko) 데이터 연동형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킹방법
CN109861836A (zh) 一种网络管理设备及其管理方法
CN116016616A (zh) 一种控制中心坐席设备的远程控制系统
AU20062002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esignated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of computing devices
JP6194731B2 (ja) 決済システム
US8234487B2 (en) Server apparatus and startup control method
WO2024036577A1 (zh) 程序升级方法、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JP2020120149A (ja) 管理サーバ、管理方法、ユーザ端末、設定方法及び設定プログラム
KR100529875B1 (ko) 가전기기 원격제어시스템의 구조
CN115580534B (zh) 一种数据采集发送方法、系统、设备及网关
JP2003030081A (ja) ファイル転送方式および方法
KR100465701B1 (ko) 데이터베이스 매니저를 가지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연결방법
JP4066182B2 (ja) スケジュール変更システム
JP2006157524A (ja) プログラム更新機能を備えるip構内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