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321B1 - 떡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떡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321B1
KR101030321B1 KR1020090017226A KR20090017226A KR101030321B1 KR 101030321 B1 KR101030321 B1 KR 101030321B1 KR 1020090017226 A KR1020090017226 A KR 1020090017226A KR 20090017226 A KR20090017226 A KR 20090017226A KR 101030321 B1 KR101030321 B1 KR 101030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rice cake
water
tea leave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186A (ko
Inventor
전중석
Original Assignee
전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중석 filed Critical 전중석
Priority to KR102009001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3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건조된 녹차잎 또는 발효차잎을 물과 혼합하여 1~3일 정치하여 두는 침지 과정과; 이를 통상의 찜기 또는 시루에 넣어 찌는 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친 차잎을 통상의 가래떡 성형기에서 8~15회 반복하여 반죽하는 반죽과정과; 차의 반죽을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과정과;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여 떡차를 제조하는 떡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차잎의 세포조직 내로 물을 충분히 침투시켜, 증기로 찌는 과정에서 차잎이 갖는 영양소의 파괴가 없으며, 또한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찌는 과정에서 가열용기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해야하지 않아도 되는 등의 제조공정상의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찌는 과정 전에 차잎을 물에 담구어 정치함으로 조직을 충분히 무른 상태로 하기 때문에 별도의 분쇄과정 없이 떡차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제조된 떡차를 물에 담구어 먹을 때 떡차의 형상이 흐트러지거나 차의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녹차, 발효차, 떡차, 반죽

Description

떡차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DeokCha}
본 발명은 떡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또는 홍차 등의 차잎을 채취하여 물에 일정시간 정치한 후, 이를 통상의 시루 및 찜기에서 찌고 반죽하여 떡차를 제조함으로써, 녹차 또는 홍차를 먹을 때 새로 끓이지 않고 떡차에 뜨거운 물만 공급하면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한 떡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적으로 떡차는 삼국시대에 유행하기 시작해서 6.25전쟁 직전까지 만들어진 차로서 오랜 역사를 가진 전통차이다. 지금은 일부 절이나 개인에 의해 생산이 되지만 고려 때에는 뇌원다(腦原茶), 유다(孺茶), 청태전(靑笞錢)등의 떡차가 있었다. 떡차의 종류는 인절미 모양의 병다(餠茶)와 동전 모양의 전다(錢茶)와 둥근 달 모양의 단다(團茶)가 있다.
전통적으로 떡차는 차나무에서 딴 잎을 시루에 넣고 찐 후, 이를 절구에 찧어 찻덩어리를 만들고 이를 틀에 넣어 형상화 한 후, 건조하는 방법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떡차의 제조방법으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2001-67520호 동백 떡차 제조 방법", 대한민국공개특허 2001-81129 비파 떡차(형상차) 제조 공정" 이 공지되어 있다.
동백 떡차 제조 방법은 동백나무 잎과 열매를 수확하여 조직을 죽이는 공정(솥에 덖거나 수증기로 찌기)을 거친 후 상온 또는 저온에서 냉각 후 분쇄하여 형상(동전, 떡, 문양 등)을 만들고 건조하여 제조하는 동백떡차와, 이에 인삼, 산수유, 오미자, 율무, 마, 구기자 등을 혼합함으로써 기능성이 보완된 동백떡차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비파 떡차(형상차) 제조 공정은 비파나무 잎이나 열매를 수확하여 솥에 덖거나 수증기로 찐 후, 급냉각시킨 후 분쇄하고 형상(동전, 떡, 기타 문양 등)을 만들고 건조시켜서 제조하는 비파차와, 이에 인삼, 산수유, 오미자, 율무, 마, 구기자 등을 혼합함으로써 기능성이 보강된 비파차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떡차, 상기 동백 떡차, 비파 떡차는 마른 원료(잎, 열매)를 수증기에 찌거나, 덖어 이를 분쇄하고 형상화한 것으로, 이들은 원료조직의 풀어짐을 열에 의존하고 있어, 떡차 원료의 성분을 파괴한다.
또한 수증기로 가열하거나 덖을 때, 가열시간이 오래 걸림은 물론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에 의해 녹차의 색이 붉고 검게 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차잎의 조직이 충분히 무른 상태가 아니어서, 분쇄시 분쇄기에서 열이 많이 발생하고, 칼날이 상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떡차를 제조함에 있어, 차잎의 성분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떡차 제조시의 공정을 간단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분쇄과정을 없애어 떡차를 물에 우려 먹을 때 차잎의 찌꺼기가 분산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떡차에 뜨거운 물만 부면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 깊은 차향을 은은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녹차 또는 홍차 등의 차잎을 채취하여 물에 일정시간 정치한 후, 이를 통상의 시루 및 찜기에서 찌고 반죽하여 떡차를 제조함으로써, 녹차 또는 홍차를 먹을 때 새로 끓이지 않고 떡차에 뜨거운 물만 공급하면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건조된 녹차잎 또는 발효차잎(이하 "차잎"이라 함)을 물과 중량비 1:1로 혼합하여 1~3일간 침지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에서 물에 충분히 적셔진 차잎을 통상의 찜기 또는 시루에 넣어 찜을 실시하되 차잎은 물에 충분히 적셔진 상태이므로 찜기 또는 시루에 물을 더 첨가할 필요는 없으며, 4~6시간 찌는 공정과, 상기 찜을 실시한 후 이를 꺼내 실온에서 식힌 차잎을 통상의 가래떡 성형기에서 8~15회 반복하여 반죽하는 공정과, 상기 차잎의 반죽을 원하는 형상의 목적물로 성형하여 떡차를 만드는 성형공정과, 상기 성형된 떡차를 그늘진 곳에서 자연 건조하여 딱딱하게 굳히는 공정으로 떡차를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떡차는 변질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까지 최대한 딱딱하게 건조시켜 차를 마실때 물을 끓인 후 한개의 떡차를 담궈 우린차을 마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녹차 또는 홍차를 만들때 부스러기가 발생되지 않으며, 떡차로 이루어져 처음 우린 것을 마실 때보다 2번 3번 우려 먹을 수록 차의 깊은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으며, 장시간 마실 수 있도록 한 떡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떡차 제조방법은 떡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떡차의 원료가 되는 차잎을 물과 중량비 1:1로 혼합하고 1~3일 정치해둠으로써 차잎의 세포조직내로 물을 충분히 침투시켜, 증기로 찌는 과정에서 차잎이 갖는 영양소의 파괴가 없으며, 또한 가열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제조공정상의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찌는 과정에서 가열용기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해야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찌는 과정 전에 차잎을 물에 담구어 정치함으로 조직을 충분히 무른 상태로 하기 때문에 별도의 분쇄과정 없이 떡차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제조된 떡차를 물에 담구어 먹을 때 떡차의 형상이 흐트러지거나 차의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본원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의 건조된 녹차잎 또는 발효차잎을 물과 혼합하여 1~3일 정치하여 두는 침지과정과; 이를 통상의 찜기 또는 시루를 이용하여 찌는 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친 차잎을 통상의 가래떡 성형기에서 8~15회 반복하여 반죽하는 반죽과정과; 상기 차 반죽을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과정과;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여 떡차를 제조하는 떡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원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침지 과정
통상의 건조된 녹차잎 또는 발효차잎(이하 "차잎"이라 함)을 물과 중량비 1:1로 혼합하여 1~3일간 정치하여둔다. 물의 양이 많으면 1~3일간 정치한 후에도 침지하였던 차잎에서 물이 떨어져, 찌는 과정이 용이치 못하게 되고, 제조된 떡차의 향이 좋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물의 양이 적으면 차잎에 충분한 물이 스며들지 못하여, 찌는 과정에서 가열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열용기에 물을 계속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1~3일 정치하여 두는 것은 차잎의 성질에 따라 다른 것이다.
즉, 어린잎일수록 조직이 강하여 오래 침지하여야 하고, 차잎이 오래된 것일수록 잎의 조직이 물러 1일만으로의 침지시간 으로도 차잎의 조직이 물러진다.
1~3일 후, 차잎을 건져내면 물의 떨어짐이 없으며, 물이 완전히 흡수된 차잎이 된다. 이는 차잎의 조직을 열에 의존하여 무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내로 물 을 충분히 침투시킴으로써 세포의 부피 및 세포간의 간격을 넓게 하여 차잎의 조직을 무르게 하고 이에 차후 찌는 과정에서 열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찌는 과정전에 차잎의 조직이 물러지기 때문에 통상의 녹차 제조시와 같이 분쇄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고, 이에 음용시 차의 찌꺼기가 발생하는 깔끔한 떡차가 제조된다.
2. 찌는 과정
물에 충분히 적셔진 차잎을 통상의 찜기 또는 시루에 넣어 찐다. 이때 차잎은 물에 충분히 적셔진 상태이므로 찜기 또는 시루에 물을 더 첨가할 필요는 없으며, 4~6시간 찐다. 본원발명의 떡차는 마른 차잎을 바로 찌거나 덖지 않고 침지과정을 거친 후, 차잎을 쪄 냄으로써 차잎의 영양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막고 또한 직적적인 가열에 의해 차잎의 색이 붉고 검게 변하는 것을 막는다.
찌는 과정을 거친 차잎은 취급의 용이함을 위하여 실온에서 식힌다.
3. 반죽 과정
실온에서 식힌 차잎을 통상의 가래떡 성형기에서 8~15회 반복하여 반죽한다.
8회 미만으로 반죽하면 차잎의 반죽물이 잘 엉겨지지 않아, 성형과정에서 원하는 형상의 목적물로 만들기 힘들고 또한 제조된 떡차를 물에 우려 먹을 때 차 의 형상이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반죽 횟수를 많이 하면 공정의 시간만 오 래 걸릴 뿐, 떡차 성형에는 문제점이 없어 부적합한 것이 된다. 반죽과정을 거치면 밀가루 반죽과 같은 물성을 갖는 반죽이 된다.
4. 성형 과정
차잎의 반죽을 원하는 형상의 목적물로 성형하여 떡차를 만든다.
성형물의 형태는 통상의 떡과 같이 동전모양, 인절미모양, 둥근달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죽을 다기(茶器)로 성형하여 차 음용시, 제조된 다기에 따뜻한 물을 부어 먹을 수도 있다.
또한 성형시, 차잎의 반죽과 식물약재의 분말을 중량비 7~8:2~3으로 혼합하여 떡차를 제조함으로써, 떡차의 음용시 식물약재의 효능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식물약재의 분말은 100~300메쉬(mesh)의 분말을 사용하여 떡차의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식물약재를 기준보다 적게 혼합하면 식물약재의 향이 느껴지지 않음은 물론 그 효과를 볼 수 없다. 반면 식물약재의 혼합량이 기준보다 많아지게 되면 식물약재의 향에 의해 녹차의 향을 제대로 느낄 수 없고, 제조된 떡차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이때 사용하는 식물약재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 것은 이를 변경하거나 한정한다고 하여 본원 떡차 제조방법의 구성이 변경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5. 건조 과정
상기 과정을 통하여 성형된 떡차를 그늘진 곳에서 자연 건조하여 어느정도 딱딱하게 굳힌다. 상기와 같이 딱딱하게 굳힌 다음에 무풍 열건조기에 넣어 천천히 바람기 없이 건조를 시킨다. 급하게 건조하면 갈라지고 속이 비게 된다. 천천히 5-6차에 걸쳐 열을 가했다가 냉각을 시켰다가를 반복하면서 건조한다. 마지막으로 숯불을 피워 약 45cm 위에 띠워 뭉긋한 불기운으로 굽는다. 이때 참나무 숯이나 소나무 숯을 사용하면 좋다. 참나무 숯은 차향을 헤치지 않고, 소나무 숯은 솔향기가 나기 때문이다.
이로써 떡차는 완성되며 이는 따뜻한 물에 담궈 우려 먹는다. 건조된 떡차는 형상의 흐트러짐이 없으며, 물에 우려 먹을 때에도 차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건조시간은 공기의 습도와 온도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제조된 떡차가 딱딱하게 굳을 때까지 건조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원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실시예 1)
1. 침지 과정
통상의 건조된 녹차잎을 물과 중량비 1:1로 혼합하여 3일간 정치하였다.
3일 후, 차잎을 건져내면 차잎에서의 물 떨어짐이 없이 물은 차잎에 완전히 흡수된 상태가 되었다.
2. 찌는 과정
상기 물에 적셔진 차잎을 통상의 찜기에 넣어 6시간 가열한 후, 실온에서 식 혔다.
3. 반죽 과정
실온에서 식힌 차잎을 통상의 가래떡 성형기에서 10회 반복하여 반죽함으로써 밀가루 반죽의 물성을 갖는 차잎의 반죽을 제조하였다.
4. 성형 과정
상기 과정을 통한 차잎의 반죽을 도톰한 전병모양으로 성형하여 떡차의 형상을 갖도록 하였다.
5. 건조 과정
상기 과정을 통하여 성형된 떡차를 그늘진 곳에서 5일간 자연건조하여 딱딱하게 굳혔다. 이로써 떡차는 완성되었다.
본 공정인 건조 과정에서는 성형된 떡차를 그늘진 곳에서 자연건조할 수도 있으며, 또는 열건조기로 건조하거나, 숯불 건조로 숙성시킬 수 있게된다.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차잎의 반죽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기를 제조한 후, 제조된 다기에 따뜻한 물을 부어 차를 음용하였다.
본 실시 예에서의 다기는 모양의 흐트러짐이 없었으며, 통상의 다기와 같은 외관과 물성을 띄었다.
(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차잎의 반죽을 만들고, 차잎의 반죽과 300메쉬의 구기자 분말을 중량비 7:3으로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한 후, 떡차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떡차를 제조하였으나, 녹차의 잎이 아닌 녹차를 발효한 발효차잎을 이용하여 떡차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떡차를 제조하였으나, 침지 과정에서 물과 차잎의 혼합량을 2:1로 하였다.
그 결과 차잎이 물에 완전히 적셔진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차잎을 담구어 두는 용기에 물이 남아 제조된 떡차에서 이취가 발생하는 결과를 보였다.
(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떡차를 제조하였으나, 침지 과정에서 물과 차잎의 혼합량을 1:2로 하였다. 그 결과 차잎의 조직이 물러지기도 전에 물이 모두 차잎으로 흡수되어, 차잎의 조직을 무르게 할 수 없었다.
(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반죽 과정에서 통상의 가래떡 성형기에서 4회 반복하여 반죽하였다.
그 결과 차잎이 잘 뭉쳐지지 않아 떡차의 성형이 잘 이루어 지지 않았다.
(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또한 상기 성형과정에서 차잎의 반죽과 구기자의 분말을 중량비 6:4로 혼합하였다. 그 결과 차잎의 반죽이 제대로 뭉쳐지지 않았고, 또한 제조된 떡차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였다.
또한 구기자향에 의하여 녹차 고유의 향을 제대로 느낄 수 없었다.
도 1은 본원발명 떡차의 사진

Claims (3)

  1. 떡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차잎을 물과 중량비 1:1로 혼합하여 1~3일간 정치하여 두는 침지 과정과; 물이 흡수된 차잎을 통상의 찜기 또는 시루에 넣어 4~6시간 가열하는 찌는 과정과;
    상기 차잎을 통상의 가래떡 성형기에서 8~15회 반복하여 반죽하는 반죽과정과; 상기 차잎의 반죽을 통상의 떡차와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떡차를 만드는 성형과정과; 성형된 떡차를 그늘진 곳에서 자연건조하는 건조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차 제조방법.
  2. 떡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차잎을 물과 중량비 1:1로 혼합하여 1~3일간 정치하여 두는 침지과정과; 물이 흡수된 차잎을 통상의 찜기 또는 시루에 넣어 4~6시간 가열하는 찌는 과정과;
    상기 차잎을 통상의 가래떡 성형기에서 8~15회 반복하여 반죽하는 반죽과정과;
    상기 차잎의 반죽을 식물약재의 분말과 중량비 7~8:2~3으로 혼합하여 통상의 떡차와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떡차를 만드는 성형과정과;
    상기 성형된 떡차를 열건조기로 건조, 숯불 건조로 숙성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차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식물약재의 분말은 100~300메쉬(mesh)의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차 제조방법.
KR1020090017226A 2009-02-27 2009-02-27 떡차 제조방법 KR101030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226A KR101030321B1 (ko) 2009-02-27 2009-02-27 떡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226A KR101030321B1 (ko) 2009-02-27 2009-02-27 떡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186A KR20100098186A (ko) 2010-09-06
KR101030321B1 true KR101030321B1 (ko) 2011-04-20

Family

ID=4300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226A KR101030321B1 (ko) 2009-02-27 2009-02-27 떡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051B1 (ko) 2010-07-27 2011-05-06 노홍일 찻잎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5334A (ko) 2017-06-12 2018-12-20 장종옥 녹차 생엽을 이용한 숙성차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520A (ko) * 2001-02-05 2001-07-13 김수현 동백 떡차 제조 방법
KR20010081129A (ko) * 2001-02-05 2001-08-29 김수현 비파 떡차(형상차) 제조 공정
KR20020027430A (ko) * 2002-03-02 2002-04-13 김형은 게르마늄함유 차(녹차,반·발효차,분말차,엑스추출차) 및포장용기 제조 공정
KR100724121B1 (ko) 2006-05-26 2007-06-04 고형석 생(生)차잎과 한약재를 이용한 전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520A (ko) * 2001-02-05 2001-07-13 김수현 동백 떡차 제조 방법
KR20010081129A (ko) * 2001-02-05 2001-08-29 김수현 비파 떡차(형상차) 제조 공정
KR20020027430A (ko) * 2002-03-02 2002-04-13 김형은 게르마늄함유 차(녹차,반·발효차,분말차,엑스추출차) 및포장용기 제조 공정
KR100724121B1 (ko) 2006-05-26 2007-06-04 고형석 생(生)차잎과 한약재를 이용한 전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051B1 (ko) 2010-07-27 2011-05-06 노홍일 찻잎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5334A (ko) 2017-06-12 2018-12-20 장종옥 녹차 생엽을 이용한 숙성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186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3275B (zh) 茉莉花藏茶的制备方法
CN107087693B (zh) 一种陈皮普洱茶的制备方法
KR101335777B1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N100534316C (zh) 一种荷叶茶及其制备方法
CN103564132B (zh) 一种牡丹桂花酥糖的制作方法
CN104186743A (zh) 千年古红茶加工工艺
CN105941696A (zh) 一种饼形桂花茯茶加工工艺
CN104171055A (zh) 一种舒茶早绿茶纯手工制作方法
KR101030321B1 (ko) 떡차 제조방법
CN101416692A (zh) 全素多味果酱制作技术
CN104798926A (zh) 具有健脾开胃功效的六堡茶的制备方法
CN104082783A (zh) 一种桂花香卤鸡蛋及其制备方法
CN106135484A (zh) 茶叶制作方法
KR102004739B1 (ko) 구선왕도고 가루 제조방법, 구선왕도고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CN104126679A (zh) 利用沉香的发酵茶及其制造方法
CN104798924B (zh) 一种金线莲半发酵茶的制备方法
KR20190041686A (ko) 모란 꽃차의 제조방법
CN104095085A (zh) 一种地黄茶叶
KR101426749B1 (ko) 헛개나무 잎 차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헛개나무 잎 차
CN106857997A (zh) 一种具有大米香气的茶叶及茶饮料
CN104798940A (zh) 一种具有润肺安神功效的六堡茶的制备方法
CN115191500A (zh) 一种枸杞鲜芽扁茶的制作方法
CN105595186A (zh) 一种预防脂肪肝的膨化糕及其制备方法
CN104585438A (zh) 一种菊花桑叶薄荷茶
CN104605088A (zh) 一种清香竹叶薄荷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