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423B1 -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기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기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423B1
KR101026423B1 KR1020087016784A KR20087016784A KR101026423B1 KR 101026423 B1 KR101026423 B1 KR 101026423B1 KR 1020087016784 A KR1020087016784 A KR 1020087016784A KR 20087016784 A KR20087016784 A KR 20087016784A KR 101026423 B1 KR101026423 B1 KR 10102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question
user
abnormality
estima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026A (ko
Inventor
슈헤이 카와무라
마사야 니시무라
료죠 이나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인위 이상(異常)을 포함하는 특정 이상을 진단할 수 있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 및 특정 기기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은, 질문 생성부(34)와 표시부(36)와 입력부(32)를 구비하고, 급탕기(10)를 관리한다. 급탕기(10)는, 사용에 즈음하여 주변에 있어서 인위적 조작이 필요한 기기이다. 질문 생성부(34)는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질문 정보는, 특정 이상을 특정하기 위한 질문에 관한 정보이다. 특정 이상은, 급탕기(10)에 관한 이상이며, 인위적 조작에 관한 이상을 포함한다. 표시부(36)는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32)에는, 표시부(36)에 표시된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된다. 회답 정보는, 급탕기(10)의 상황 및 인위적 조작의 상황에 관한 정보이다. 질문 생성부(34)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를 더 생성한다. 표시부(36)는, 다음의 질문 정보를 더 표시한다.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관리 방법, 급탕기, 입력부

Description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기기 관리 방법{EQUIPMENT MANAGEMENT SYSTEM, COMPUTER READABLE MEDIUM ON WHICH EQUIPMENT MANAGEMENT PROGRAM IS RECORDED AND EQUIPMENT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 특정 기기 관리 프로그램 및 특정 기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기기의 이상(異常)을 네트워크 경유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시스템에서는, 기기의 이상의 정보가 네트워크 경유로 기기로부터 감시 센터로 송신되고, 감시 센터에서 기기의 이상의 진단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하여, 기기의 이상이 네트워크 경유로 관리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44750호 공보(제1 - 7페이지, 제1 - 5도)
그러나 사용에 즈음하여 주변에 있어서 인위적 조작이 필요한 기기인 특정 기기를 관리하는 경우,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감시 센터에서 기기의 이상의 진단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특정 기기에 관한 이상이며 인위적 조작에 관한 이상인 인위 이상을 포함하는 특정 이상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급탕기로 욕조에 뜨거운 물을 모으는 경우, 욕조의 마개가 제대로 닫혀 있지 않으면 뜨거운 물이 모이지 않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욕조의 마개가 제대로 닫혀 있지 않은 것을 관리 센터에서 파악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인위적 조작에 기인하는 특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 특정 기기 관리 프로그램 및 특정 기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기기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질문 생성부와 표시부와 입력부를 구비한다. 기기는, 사용할 때 이용자에 의한 조작이 필요한 기기이다. 질문 생성부는 기억부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질문 정보는,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을 추정하기 위한 질문에 관한 정보이다. 표시부는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는, 표시부에 표시된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회답 정보가 이용자에 의하여 입력된다. 회답 정보는, 기기의 상황 및 이용자에 의한 조작의 상황의 적어도 일방(一方)에 관한 정보이다. 질문 생성부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를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더 생성한다. 표시부는, 다음의 질문 정보를 더 표시한다. 또한, 제1 발명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은, 추정 생성부를 더 구비한다. 추정 생성부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추정 결과 정보는, 이상 원인이 추정된 결과에 관한 정보이다. 표시부는 추정 결과 정보를 더 표시한다. 또한,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판단부를 더 구비한다. 판단부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질문 생성부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부가 판단하는 경우에,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추정 생성부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부가 판단하는 경우에,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은, 질문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기기의 이용자에게 질문 정보에 대한 회답 정보의 입력을 촉구한다. 그리고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되고, 반복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인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기기 관리 시스템은,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의 이용자가 기기에 있어서의 이상의 원인을 좁힐 수 있다. 또한, 이 기기 관리 시스템은,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4 발명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기기는 수도를 이용하는 기기이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은, 수도를 이용하는 기기를 관리한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수도를 이용하는 기기에 있어서 발생한 이상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기기는 급탕기이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은, 급탕기를 관리한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급탕기에 있어서 발생한 이상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표시부에 표시된 추정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이 이용자에 의하여 검증되고, 입력부에, 추정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검증 결과 정보가 이용자에 의하여 더 입력된다. 검증 결과 정보는,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이 검증된 결과의 정보이다. 판단부는,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이 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해소 정보 또는 수리 정보 중 어느 쪽이 생성되어야 하는지를 더 판단한다. 해소 정보는,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이 해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수리 정보는,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추정 결과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이 기기 관리 시스템은, 입력된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해소 정보 또는 수리 정보 중 어느 쪽이 생성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의 수리의 필요성이 자동적으로 판단된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입력부에는,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해소 정보 및 수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이용자에 의하여 더 입력된다. 검증 결과 정보는, 추정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이 검증된 결과의 정보이다. 해소 정보는,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이 해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수리 정보는,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추정 결과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의 수리의 필요성이 판단된 후, 해소 정보 및 수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해소 정보 또는 수리 정보에 기초하여, 수리의 필요성이 판단된다.
삭제
삭제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원격 관리 장치를 더 구비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기기를 네트워크 경유로 관리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질문 생성부 및 판단부에 접속된다. 판단부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기억부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져야 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져야 한다고 판단부가 판단하는 경우에,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 혹은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부는, 네트워크 경유로 다음의 질문 정보 혹은 추정 결과 정보를 원격 관리 장치로부터 받아 표시한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측(이하, 이용자 측)에 있어서 질문 정보가 생성되었지만, 이용자 측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원격 관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측(이하, 원격 측)에 있어서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즉, 이용자 측에 있어서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온라인 진단으로 전환된다. 일반적으로는, 원격 측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거 사례 등의 정보를 대용량으로 기억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대용량의 과거 사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을 상세하게 추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14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원격 관리 장치를 더 구비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기기를 네트워크 경유로 관리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추정 결과 정보 및 검증 결과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네트워크 경유로 수신한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경유로 이용자 측으로부터 원격 측으로 추정 결과 정보 및 검증 결과 정보의 적어도 일방이 송신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 및 검증 결과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네트워크 경유로 관리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원격 관리 장치를 더 구비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기기를 네트워크 경유로 관리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수리 정보를 네트워크 경유로 수신한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경유로 이용자 측으로부터 원격 측으로 수리 정보가 송신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만 그 취지가 원격 측으로 전해진다. 따라서, 수리를 행하는 서비스 맨의 불필요한 출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16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질문 생성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부 및 표시부의 원격에 존재한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원격 측에 있어서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원격 측에서는, 질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거 사례 등의 정보를 대용량으로 기억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과거 사례 등의 대용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을 상세하게 추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제18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제어부와 원격 관리 장치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질문 생성부, 표시부 및 입력부를 제어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기기를 네트워크 경유로 관리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부에 접속된다. 원격 관리 장치는, 제어부와 원격 관리 장치를 다음에 접속하는 것에 관한 정보인 차회 접속 정보를 네트워크 경유로 제어부로 송신한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차회 접속 정보가 원격 측으로부터 네트워크 경유로 이용자 측으로 송신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용자 측과 원격 측의 접속이 상시 접속이 아닌 경우에도, 이용자 측과 원격 측의 사이에 의사(擬似)적으로 쌍방향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제19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제18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이고, 차회 접속 정보는, 시각 정보 및 송신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한다. 시각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부와 원격 관리 장치를 다음에 접속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이다. 송신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부와 원격 관리 장치를 다음에 접속할 때에 제어부가 원격 관리 장치로 송신하여야 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이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원격 측으로부터 이용자 측으로 시각 정보 및 송신 정보의 적어도 일방이 송신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용자 측으로부터 원격 측으로 원격 측이 지정하는 시각에, 혹은 원격 측이 지정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20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기기를 컴퓨터에 관리시키는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이고, 제1 질문 생성 스텝과 제1 표시 스텝과 입력 접수 스텝과 제2 질문 생성 스텝과 제2 표시 스텝과 추정 스텝과 제3 표시 스텝과 판단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기기는, 사용할 때 이용자에 의한 조작이 필요한 기기이다. 제1 질문 생성 스텝에서는 질문 정보가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생성된다. 질문 정보는,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의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을 추정하기 위한 질문에 관한 정보이다. 제1 표시 스텝에서는 질문 정보가 표시된다. 입력 접수 스텝에서는, 제1 표시 스텝에서 표시된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회답 정보의,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접수된다. 회답 정보는, 기기의 상황 및 이용자에 의한 조작의 상황의 적어도 일방에 관한 정보이다. 제2 질문 생성 스텝에서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가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생성된다. 제2 표시 스텝에서는 다음의 질문 정보가 표시된다. 추정 스텝에서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이 추정된 결과에 관한 정보인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된다. 제3 표시 스텝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표시된다. 판단 스텝에서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2 질문 생성 스텝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스텝에서 판단된 경우에,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추정 생성 스텝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스텝에서 판단된 경우에,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된다.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되는 것에 의하여, 기기의 이용자는 표시된 질문 정보에 대한 회답 정보의 입력을 촉구받는다.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되고, 반복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인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기기의 이용자가 기기에 있어서의 이상의 원인을 좁힐 수 있다. 또한,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고,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제2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방법은, 기기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방법이고, 제1 질문 생성 스텝과 제1 표시 스텝과 입력 접수 스텝과 제2 질문 생성 스텝과 제2 표시 스텝과 추정 스텝과 제3 표시 스텝과 판단 스텝을 구비한다. 기기는, 사용할 때 이용자에 의한 조작이 필요한 기기이다. 제1 질문 생성 스텝은 질문 정보를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생성한다. 질문 정보는,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을 추정하기 위한 질문에 관한 정보이다. 제1 표시 스텝은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 접수 스텝은, 제1 표시 스텝에서 표시된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회답 정보의,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회답 정보는, 기기의 상황 및 이용자에 의한 조작의 상황의 적어도 일방에 관한 정보이다. 제2 질문 생성 스텝은,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를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생성한다. 제2 표시 스텝은 다음의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추정 스텝에서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이 추정된 결과에 관한 정보인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된다. 제3 표시 스텝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표시된다. 판단 스텝에서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2 질문 생성 스텝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스텝에서 판단된 경우에,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추정 생성 스텝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 스텝에서 판단된 경우에,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된다.
이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되는 것에 의하여, 기기의 이용자는 표시된 질문 정보에 대한 회답 정보의 입력을 촉구받는다.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되고, 반복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 특정 기기 관리 방법에 의하면,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인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방법에 의하면, 기기의 이용자가 기기에 있어서의 이상의 원인을 좁힐 수 있다. 또한, 이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고,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방법에 의하면,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질문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기기의 이용자에게 질문 정보에 대한 회답 정보의 입력을 촉구한다. 그리고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되고, 반복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인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의 이용자가 기기에 있어서의 이상의 원인을 좁힐 수 있다. 또한,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수도를 이용하는 기기를 관리한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수도를 이용하는 기기에 있어서 발생한 이상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급탕기를 관리한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급탕기에 있어서 발생한 이상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추정 결과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이 기기 관리 시스템은, 입력된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해소 정보 또는 수리 정보 중 어느 쪽이 생성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의 수리의 필요성이 자동적으로 판단된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추정 결과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의 수리의 필요성이 판단된 후, 해소 정보 및 수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해소 정보 또는 수리 정보에 기초하여 수리의 필요성이 판단된다.
삭제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측(이용자 측)에 있어서 질문 정보가 생성되었지만, 이용자 측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원격 관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측(원격 측)에 있어서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즉, 이용자 측에 있어서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온라인 진단으로 전환된다. 일반적으로는, 원격 측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거 사례 등의 정보를 대용량으로 기억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대용량의 과거 사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을 상세하게 추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제14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경유로 이용자 측으로부터 원격 측으로 추정 결과 정보 및 검증 결과 정보의 적어도 일방이 송신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 및 검증 결과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네트워크 경유로 관리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경유로 이용자 측으로부터 원격 측으로 수리 정보가 송신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만 그 취지가 원격 측으로 전해진다. 따라서, 수리를 행하는 서비스 맨의 불필요한 출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16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원격 측에 있어서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원격 측에서는, 질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거 사례 등의 정보를 대용량으로 기억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과거 사례 등의 대용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에 관한 이상과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을 상세하게 추정할 수 있다.
삭제
제18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차회 접속 정보가 원격 측으로부터 네트워크 경유로 이용자 측으로 송신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용자 측과 원격 측의 접속이 상시 접속이 아닌 경우에도, 이용자 측과 원격 측의 사이에 의사적으로 쌍방향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제19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원격 측으로부터 이용자 측으로 시각 정보 및 송신 정보의 적어도 일방이 송신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용자 측으로부터 원격 측으로 원격 측이 지정하는 시각에 원격 측이 지정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20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되는 것에 의하여, 기기의 이용자는 표시된 질문 정보에 대한 회답 정보의 입력을 촉구받는다.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되고, 반복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인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0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기기의 이용자가 기기에 있어서의 이상의 원인을 좁힐 수 있다. 또한,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고,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제2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되는 것에 의하여, 기기의 이용자는 표시된 질문 정보에 대한 회답 정보의 입력을 촉구받는다. 기기의 이용자에 의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되고, 반복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 기기 관리 방법에 의하면,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인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2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방법에 의하면, 기기의 이용자가 기기에 있어서의 이상의 원인을 좁힐 수 있다. 또한,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고,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이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질문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기기 관리 방법에 의하면,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모컨의 구성도.
도 4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이 급탕기를 관리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5는 기동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6은 진단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7은 확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8은 질문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9는 진단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0은 질문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1은 확인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2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3은 기동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변형예).
도 14는 급탕기의 설치 공사 시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변형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리모컨의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원격 관리 센터의 구성도.
도 18은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이 급탕기를 관리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9는 확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20은 차회 접속 정보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리모컨의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원격 관리 센터의 구성도.
도 24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이 급탕기를 관리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25는 진단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26은 온라인 진단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27은 진단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8은 기동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2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리모컨의 구성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원격 관리 센터의 구성도.
도 32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이 급탕기를 관리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33은 기동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34는 온라인 진단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c, 1b :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
2 : 이용자 집
10 : 급탕기
30, 30a, 30c, 30b : 리모컨
50 : 배관
60a : 네트워크
70a, 70c, 70b : 원격 관리 센터
95 : 욕조
[제1 실시예]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의 구성 요소의 구성도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한다.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은 주로 급탕기(10)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급탕기(10)는 사용에 즈음하여 주변에 있어서 인위적 조작이 필요한 기기이다.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의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은 주로 급탕기(10), 배관(50), 리모컨(30) 및 욕조(95)를 구비한다. 급탕기(10)는 주로 히트 펌프 유닛(10a)과 저탕(貯湯) 유닛(10b)을 구비한다. 히트 펌프 유닛(10a)과 저탕 유닛(10b)은 이용자 집(2) 밖에 설치된다. 리모컨(30)은 이용자 집(2) 안에 설치된다. 배관(50)은, 이용자 집(2) 밖으로부터 이용자 집(2) 안으로 연장되어 있다.
<급탕기(10)의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급탕기(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가열부(11), 제어부(13) 및 저탕부(12)를 구비한다.
저탕부(12)에는 온수가 저탕된다. 제어부(13)는 리모컨(30)으로부터 명령을 받는다. 제어부(13)는, 리모컨(30)으로부터 받은 명령에 기초하여 가열부(11)를 제어한다. 가열부(11)는, 제어부(13)에 제어되는 것에 의하여 저탕부(12)의 온수를 가열한다.
덧붙여, 저탕부(12)에는, 수도 공급 배관(91)을 경유하여 수도원(92)이 접속되어 있고, 수도물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가열부(11)의 구성>
도 2에 도시하는 가열부(11)는 주로 공기 열교환기(11b), 물 열교환기(11e), 팽창 밸브(11a), 압축기(11d) 및 물 가열용 배관(11f)을 구비한다.
팽창 밸브(11a)에서 감압된 저온 저압 냉매는, 공기 열교환기(11b)에서 증발하여 실외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압축기(11d)에서 고온 고압 냉매로 바뀐다. 그 고온 고압 냉매는, 물 열교환기(11e)에서 응축하여, 물 가열용 배관(11f)을 통하는 저탕부(12)의 온수에 열을 부여한다. 이 결과, 저탕부(12)의 온수가 가열된다.
덧붙여, 공기 열교환기(11b), 팽창 밸브(11a), 압축기(11d) 및 물 열교환기(11e)는 히트 펌프 유닛(10a)에 구비되어 있다. 물 가열용 배관(11f)은 히트 펌프 유닛(10a)과 저탕 유닛(10b)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배관(50)의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배관(5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급탕구(50a)와 급탕 밸브(50b)를 구비한다.
급탕 밸브(50b)는, 급탕기(10)의 사용 시에,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열림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하여, 급탕기(10)의 저탕부(12)에 저탕된 온수가, 급탕 밸브(50b)를 경유하여 급탕구(50a)로부터 배출된다. 즉, 급탕기(10)로부터 공급된 뜨거운 물이 급탕구(50a)로부터 배출되는 것에 즈음하여, 급탕기(10)의 주변에 있어서, 급탕 밸브(50b)를 열림 상태로 한다고 하는 인위적 조작이 필요하다.
급탕 밸브(50b)는, 급탕기(10)의 미사용 시에,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급탕기(10)의 저탕부(12)에 저탕된 온수가 급탕 밸브(50b)로부터 먼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욕조(95)의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욕조(9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욕벽부(98), 배수 마개(96) 및 배수구(97)를 구비한다.
배관(50)의 급탕구(50a)로부터 공급된 뜨거운 물은, 배수 마개(96)가 배수구(97)을 막고 있을 때에, 욕벽부(98)로 둘러싸인 공간에 모아진다. 즉, 급탕기(10)로부터 공급된 뜨거운 물이 욕벽부(98)로 둘러싸인 공간에 모아지는 것에 즈음하여, 급탕기(10)의 주변에 있어서, 배수 마개(96)로 배수구(97)를 막는다고 하는 인위적 조작이 필요하다.
<리모컨(30)의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검지부(31), 입력부(32), 질문 생성부(34), 추정 생성부(35), 명령 생성부(44), 표시부(36), 판단부(38) 및 기억부(41)와, 이들의 각 부(31, 32, 34 ~ 36, 38, 41, 44)를 제어하는 제어부(33)를 구비한다. 기억부(41)에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39), 진 단 데이터 베이스(37), 진단 프로그램(42), 확인 데이터 베이스(46) 및 확인 프로그램(47)이 기억되어 있다. 검지부(3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수위 센서(31a ~ 31d) 및 수위 센서(31g ~ 31j)를 가진다. 수위 센서(31a ~ 31d)는 급탕기(10)의 저탕부(1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수위 센서(31g ~ 31j)는 욕조(95)의 욕벽부(98) 내에 설치되어 있다.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의 전체 동작>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의 각 부(31 ~ 36, 38, 41, 44)는 주로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도 3에 도시하는 검지부(31)는 특정 이상을 검지한다. 여기서, 특정 이상은, 급탕기(10)에 관한 이상이며, 인위 이상을 포함한다. 인위 이상은 인위적 조작에 관한 이상이다. 제어부(33)는, 특정 이상의 정보를 검지부(31)로부터 받는 것에 의하여, 특정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특정 이상의 정보는 이상 코드의 정보이다. 명령 생성부(44)는, 특정 이상이 있다고 제어부(33)가 판단하는 경우에, 특정 이상의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명령 생성부(44)는, 특정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을 생성한다. 제어부(33)는,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의 정보를 명령 생성부(44)로부터 받는다. 제어부(33)는,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를 참조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을 기동한다.
제어부(33)는, 진단 프로그램(42)에 기초하여,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을 명령 생성부(44)에 생성시킨다. 제어부(33)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 상의 정보를 질문 생성부(34)에 넘겨준다. 질문 생성부(34)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질문 생성부(34)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를 참조하여,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질문 정보는, 특정 이상 원인을 추정하기 위한 질문에 관한 정보이다. 특정 이상 원인은 특정 이상의 원인이다. 표시부(36)는, 질문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질문 생성부(34)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32)에,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표시부(36)에 표시된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된다. 판단부(38)는, 회답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입력부(32)로부터 받는다. 판단부(38)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33) 경유로 기억부(41)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추정 결과 정보는, 특정 이상 원인이 추정된 결과에 관한 정보이다.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부(38)가 판단하는 경우에, 질문 생성부(34)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부(38)가 판단하는 취지의 정보와 회답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판단부(38)로부터 받는다. 질문 생성부(34)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를 참조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부(36)는, 다음의 질문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질문 생성부(34)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다음의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혹은,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부(38)가 판단하는 경우에, 추정 생성부(35)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부(38)가 판단하는 취지의 정보와 회답 정보를 받는다. 추정 생성부(35)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부(36)는, 추정 결과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추정 생성부(35)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추정 결과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36)에 추정 결과 정보가 표시되면, 입력부(32)에,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표시부(36)에 표시된 추정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검증 결과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서, 검증 결과 정보는, 특정 이상 원인이 검증된 결과의 정보이다.
입력부(32)에,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수리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서, 수리 정보는, 특정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어부(33)는, 수리 정보를 입력부(32)로부터 받는다. 제어부(33)는, 검증 결과 정보와 수리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를 참조하여, 수리의 의뢰처의 정보와 의뢰 시에 연락하여야 하는 정보를 기억부(41)로부터 취득한다. 표시부(36)는, 수리의 의뢰처의 정보와 의뢰 시에 연락하여야 하는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수리의 의뢰처의 정보와 의뢰 시에 연락하여야 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급탕기(10)의 이용자는, 표시부(36)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맨에 대하여 급탕기(10)의 수리의 의뢰를 행한다.
혹은, 입력부(32)에,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해소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서, 해소 정보는, 특정 이상이 해소된 것을 나타 내는 정보이다. 제어부(33)는, 해소 정보를 입력부(32)로부터 받아, 기억부(41)에 기억시킨다.
서비스 맨에 의하여 급탕기(10)의 수리가 행하여진 후, 입력부(32)에, 서비스 맨에 의하여, 확인 프로그램(47)의 기동 명령이 입력된다. 제어부(33)는, 확인 프로그램(47)의 기동 명령의 정보를 입력부(32)로부터 받는다. 제어부(33)는, 확인 프로그램(47)의 기동 명령에 기초하여, 기억부(41)를 참조하여, 확인 프로그램(47)을 기동한다. 제어부(33)는, 확인 프로그램(47)에 기초하여,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을 명령 생성부(44)에 생성시킨다. 제어부(33)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를 질문 생성부(34)에 넘겨준다. 질문 생성부(34)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질문 생성부(34)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를 참조하여,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부(36)는, 질문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질문 생성부(34)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32)에, 서비스 맨에 의하여, 표시부(36)에 표시된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된다. 판단부(38)는, 회답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입력부(32)로부터 받는다. 판단부(38)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33) 경유로 기억부(41)의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부(38)가 판단하는 경우에, 질문 생성부(34)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부(38)가 판단하는 취지의 정보와 회답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판단부(38)로부터 받는 다. 질문 생성부(34)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를 참조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부(36)는, 다음의 질문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질문 생성부(34)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다음의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혹은,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부(38)가 판단하는 경우에, 추정 생성부(35)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부(38)가 판단하는 취지의 정보와 회답 정보를 받는다. 추정 생성부(35)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부(36)는, 추정 결과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추정 생성부(35)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추정 결과 정보를 표시한다.
<질문 데이터 베이스(39)의 구성>
도 3에 도시하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이상 코드의 정보(E-01, E-02, …)와 질문 정보(Q1, Q2, …)와 질문 완료 플래그(도시하지 않음)가 대응지어진 정보를 격납(格納)한다.
예를 들면, 이상 코드가 「E-01」인 경우, 질문 데이터 베이스(39)가 참조되는 것에 의하여, 질문 정보(Q1, …)가 차례대로 생성된다. 예를 들면, 이상 코드가 「E-02」인 경우, 질문 데이터 베이스(39)가 참조되는 것에 의하여, 질문 정보(Q1, Q3, …)가 차례대로 생성된다.
덧붙여, 한 번 행하여진 질문 정보(Q1, Q2, …)와 아직 행하여지지 않은 질문 정보는, 질문 완료 플래그(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별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수리·공사 내용 코드의 정보(I-01, I-02, …)와 질문 정보(Q7, Q8, …)와 질문 완료 플래그(도시하지 않음)가 대응지어진 정보를 격납한다.
예를 들면, 수리·공사 내용 코드가 「I-01」인 경우, 질문 데이터 베이스(39)가 참조되는 것에 의하여, 질문 정보(Q7, …)가 차례대로 생성된다. 예를 들면, 수리·공사 내용 코드가 「I-03」인 경우, 질문 데이터 베이스(39)가 참조되는 것에 의하여, 질문 정보(Q7, Q8, …)가 차례대로 생성된다.
덧붙여, 한 번 행하여진 질문 정보(Q7, Q8, …)와 아직 행하여지지 않은 질문 정보는, 질문 완료 플래그(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별된다.
<진단 데이터 베이스(37)의 구성>
도 3에 도시하는 진단 데이터 베이스(37)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이상 코드의 정보(E-01, E-02, …)와 질문 정보(Q1, Q5, …)와 추정 결과 정보(D2, D3, …) 와 지령 정보(C4, …)가 대응지어진 정보를 격납한다.
예를 들면, 이상 코드가 「E-09」이고 질문 정보(Q1)에 대한 회답 정보가 「NO」인 경우, 진단 데이터 베이스(37)가 참조되는 것에 의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추정 결과 정보(D2)가 생성되게 된다. 예를 들면, 이상 코드가 「E-09」이고 질문 정보(Q1)에 대한 회답 정보가 「YES」인 경우, 진단 데이터 베이스(37)가 참조되는 것에 의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질문 정보(Q3)에 대한 회답 정보가 「NO」인 경우,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과 함께, 지령 정보(C4) 「진단 운전 기동」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확인 데이터 베이스(46)의 구성>
도 3에 도시하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수리·공사 내용 코드의 정보(I-01, I-02, …)와 질문 정보(Q7, Q8, …)와 추정 결과 정보(D7, D8, …)가 대응지어진 정보를 격납한다.
예를 들면, 수리·공사 내용 코드가 「I-03」이고 질문 정보(Q7)에 대한 회답 정보가 「NO」인 경우, 확인 데이터 베이스(46)가 참조되는 것에 의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추정 결과 정보(D7)가 생성되게 된다. 예를 들면, 수리·공사 내용 코드가 「I-03」이고 질문 정보(Q7)에 대한 회답 정보가 「YES」인 경우, 확인 데이터 베이스(46)가 참조되는 것에 의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이 급탕기(10)를 관리하는 처리의 흐름>
도 1에 도시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이 급탕기(10)를 관리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 4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1에서는 기동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4에서는 진단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5에서는, 특정 이상이 해결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급탕기(10, 도 1 참조)의 이용자에 의하여, 특정 이상이 해결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특정 이상이 해결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즉 특정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로 진행되고, 특정 이상이 해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즉 특정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스텝 S7로 진행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7에서는 수리 정보가 입력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입력부(32)에,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수리 정보가 입력된다. 제어부(33)는, 수리 정보를 입력부(32)로부터 받는다. 제어부(33)는, 검증 결과 정보와 수리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를 참조하여, 수리의 의뢰처의 정보와 의뢰 시에 연락하여야 하는 정보를 기억부(41)로부터 취득한다. 표시부(36)는, 수리의 의뢰처의 정보와 의뢰 시에 연락하여야 하는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수리의 의뢰처의 정보와 의뢰 시에 연락하여야 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급탕기(10)의 이용자는, 표시부(36)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맨에 대하여 급탕기(10)의 수리의 의뢰를 행한다.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9에서는, 특정 이상에의 수리의 대응이 행하여진다. 즉, 이용자 집(2, 도 1 참조)에 파견된 서비스 맨에 의하여 급탕기(10)가 수리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13에서는 확인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10에서는 특정 이상이 해결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스텝 S13의 확인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서비스 맨에 의하여 특정 이상이 해결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특정 이상이 해결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11로 진행되고, 특정 이상이 해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9로 진행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11에서는 해소 정보가 입력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입력부(32)에,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급탕기(10)의 이용자 또는 서비스 맨에 의하여 해소 정보가 입력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18에서는, 데이터 베이스(37, 39, 46)가 갱신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제어부(33)는, 질문 정보와 회답 정보와 추정 결과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와 해소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와 진단 데이터 베이스(37)에 액세스하여, 질문 데이터 베이스(39)와 진단 데이터 베이스(37)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상 코드의 정보(E-01, …)(도 8 참조)에 대하여 부족한 질문 정보가 추가되거나, 이상 코드의 정보(E-01, …)(도 8 참조)에 대하여 불필요하다라고 판단된 질문 정보가 삭제되거나 한다.
또한, 제어부(33)는, 질문 정보와 회답 정보와 추정 결과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와 수리 정보와 해소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와 확인 데이터 베이스(46)에 액세스하여, 질문 데이터 베이스(39)와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수리·공사 내용 코드의 정보(I-01, …)(도 10 참조)에 대하여 부족한 질문 정보가 추가되거나, 수리·공사 내용 코드의 정보(I-01, …)(도 10 참조)에 대하여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질문 정보가 삭제되거나 한다.
<기동 처리의 흐름>
도 4에 도시하는 기동 처리 S1의 상세를, 도 5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스텝 S14에서는 특정 이상이 검지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검지부(31)는 특정 이상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검지부(31)의 수위 센서(31a ~ 31d)가 저탕부(12)의 수위에 관한 이상을 검지하거나, 검지부(31)의 수위 센서(31g ~ 31j)가 욕조(95)의 수위에 관한 이상을 검지하거나 한다. 제어부(33)는, 특정 이상의 정보를 검지부(31)로부터 받는다.
도 5에 도시하는 스텝 S16에서는 기동 명령이 생성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명령 생성부(44)는, 특정 이상의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명령 생성부(44)는, 특정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을 생성한다. 제어부(33)는,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의 정보를 명령 생성부(44)로부터 받는다.
도 5에 도시하는 스텝 S17에서는 진단 프로그램이 기동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제어부(33)는, 기억부(41)를 참조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을 기동한다. 제어부(33)는, 진단 프로그램(42)에 기초하여,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을 명령 생성부(44)에 생성시킨다. 제어부(33)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를 질문 생성부(34)에 넘겨준다.
<진단 처리의 흐름>
도 4에 도시하는 진단 처리 S4의 상세를, 도 6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S21에서는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질문 생성부(34)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 또는 회답 정보 와 특정 이상의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질문 생성부(34)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 또는 회답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를 참조하여,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질문 생성부(34)는, 질문 정보를 제어부(33)에 넘겨준다.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S22에서는 질문 정보가 표시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표시부(36)는, 질문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질문 정보(Q5)가 표시 화면(36f, 도 1 참조)에 표시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S23에서는 회답 정보가 입력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입력부(32)에, 표시부(36)에 표시된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된다. 입력부(32)는 회답 정보를 제어부(33)에 넘겨준다.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S24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판단부(38)는, 회답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입력부(32)로부터 받는다. 판단부(38)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33) 경유로 기억부(41)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25로 진행되고,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29로 진행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S29에서는, 진단 운전이 행하여져야 하는지 여부가 판 단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판단부(38)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33) 경유로 기억부(41)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를 참조하여, 지령 정보(C4) 「진단 운전 기동」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령 정보(C4) 「진단 운전 기동」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 진단 운전이 행하여져야 한다고 판단되어 스텝 S30으로 진행되고, 지령 정보(C4) 「진단 운전 기동」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진단 운전이 행하여지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되어 스텝 S21로 진행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S30에서는 진단 운전이 행하여진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제어부(33)는, 진단 운전이 행하여져야 하는 취지의 정보를 판단부(38)로부터 받는다. 제어부(33)는, 특정 이상의 원인을 판단하기 위한 운전 모드로 급탕기(10)를 운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검지부(31)는 특정 이상을 검지한다. 제어부(33)는, 특정 이상의 정보를 검지부(31)로부터 받아,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을 명령 생성부(44)에 생성시킨다. 제어부(33)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를 질문 생성부(34)에 넘겨준다.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S25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추정 생성부(35)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취지의 정보와 회답 정보를 받는다. 추정 생성부(35)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추정 생성부(35)는, 추정 결과 정보를 제어부(33)에 넘겨준다.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S26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표시된다. 즉, 도 3에 도 시하는 리모컨(30)의 표시부(36)는, 추정 결과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추정 결과 정보를 표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S27에서는 검증 결과 정보가 입력된다. 즉,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표시부(36)에 표시된 추정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이상 원인이 검증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36)에 추정 결과 정보(D2) 「목욕통의 마개를 막는 것을 잊음」(도 9 참조)이 표시되는 경우,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욕조(95)의 배수 마개(96)가 배수구(97)를 완전하게 막고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입력부(32)에, 검증된 특정 이상 원인에 기초하여,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검증 결과 정보가 입력된다.
<확인 처리의 흐름>
도 4에 도시하는 확인 처리 S13의 상세를, 도 7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11에서는 기동 명령이 입력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입력부(32)에, 서비스 맨에 의하여 확인 프로그램(47)의 기동 명령이 입력된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12에서는 확인 프로그램이 기동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제어부(33)는, 확인 프로그램(47)의 기동 명령의 정보를 입력부(32)로부터 받아, 기억부(41)를 참조하여, 확인 프로그램(47)을 기동한다. 제어부(33)는, 확인 프로그램(47)에 기초하여,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을 명령 생성부(44)에 생성시킨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13에서는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질문 생성부(34)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 또는 회답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질문 생성부(34)는,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 또는 회답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를 참조하여,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질문 생성부(34)는, 질문 정보를 제어부(33)에 넘겨준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14에서는 질문 정보가 표시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표시부(36)는, 질문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질문 정보(Q5)가 표시 화면(36f, 도 1 참조)에 표시된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15에서는 회답 정보가 입력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입력부(32)에, 표시부(36)에 표시된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맨에 의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된다. 입력부(32)는, 회답 정보를 제어부(33)에 넘겨준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16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판단부(38)는, 회답 정보를 제어부(33) 경유로 입력부(32)로부터 받는다. 판단부(38)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33) 경유로 기억부(41)의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119로 진행되고,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117로 진행된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17에서는, 수리·공사 내용 코드에 대응하는 모든 질문 정보가 표시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판단부(38)는, 질문 완료 플래그에 기초하여, 제어부(33) 경유로 기억부(41)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를 참조하여, 수리·공사 내용 코드에 대응하는 모든 질문 정보가 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든 질문 정보가 표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118로 진행되고, 모든 질문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113으로 진행된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18에서는 시운전이 행하여진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제어부(33)는, 모든 질문 정보가 표시된 취지의 정보를 판단부(38)로부터 받아, 시운전을 행하여야 하는 취지의 정보를 표시부(36)에 넘겨준다. 표시부(36)는, 시운전을 행하여야 하는 취지의 정보를 표시 화면(36f, 도 1 참조)에 표시한다. 입력부(32)에, 시운전을 행하여야 하는 취지의 정보가 표시부(36)에 표시된 것에 기초하여, 서비스 맨에 의하여 시운전의 명령이 입력된다. 제어부(33)는, 시운전의 명령의 정보를 입력부(32)로부터 받아, 급탕기(10)를 시운전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19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추정 생성부(35)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취지의 정보와 회답 정보를 받는다. 추정 생성부(35)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의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 를 생성한다. 추정 생성부(35)는, 추정 결과 정보를 제어부(33)에 넘겨준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20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표시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표시부(36)는, 추정 결과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표시부(36)는 추정 결과 정보를 표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121에서는 검증 결과 정보가 입력된다. 즉, 서비스 맨에 의하여, 표시부(36)에 표시된 추정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이상 원인이 검증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36)에 표시된 추정 결과 정보가 추정 결과 정보(D7) 「볼트를 조이는 것을 잊음」(도 11 참조)인 경우, 서비스 맨에 의하여, 볼트가 조여져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입력부(32)에, 검증된 특정 이상 원인에 기초하여, 서비스 맨에 의하여 검증 결과 정보가 입력된다.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에 관한 특징>
(1)
여기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질문 생성부(34)가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부(36)는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32)에, 이용자에 의하여, 표시부(36)에 표시된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회답 정보가 입력된다. 질문 생성부(34)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부(36)는 다음의 질문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은, 추정 결과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하여 질문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반복하여 이용자에게 회답 정보의 입력을 촉구한다. 따라서, 특정 이상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 다.
(2)
여기에서는, 서비스 맨에 의하여 급탕기(10)의 수리가 행하여진 후, 입력부(32)에, 서비스 맨에 의하여 확인 프로그램(47)의 기동 명령이 입력된다.
따라서, 서비스 맨은, 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여기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검지부(31)가 특정 이상을 검지한다. 명령 생성부(44)는, 특정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을 생성한다. 제어부(33)는,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을 기동한다.
따라서, 특정 이상이 발생하면, 진단 프로그램(42)이 자동적으로 기동되게 된다.
(4)
여기에서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이 급탕기(10)를 관리하고 있다. 급탕기(10)는 수도를 이용하는 기기이며, 사용에 즈음하여 주변에 있어서 인위적 조작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에서는, 급탕기(10)의 사용에 즈음하여 주변에 있어서 이루어진 인위적 조작이 원인으로 되어, 특정 이상이 검지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여도,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은, 「목욕통의 마개는 닫혀 있는가」(도 9)와 같이, 인위적 조작에 의한 특정 이상 원인을 추정하기 위한 질문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이용자에게 회답 정보의 입력을 촉구한다. 따라서, 인위적 조작에 기인하는 특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특정 이상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
여기에서는, 추정 생성부(35)가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부(36)는 추정 결과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추정 결과 정보를 알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A) 도 4에 도시하는 기동 처리 S1이, 도 13에 도시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하에, 도 13의 상세를 설명한다. 덧붙여, 도 13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기동 처리 S1와 마찬가지의 스텝은, 같은 기호로 도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스텝 S82에서는 기동 명령이 입력된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입력부(32)에,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이 입력된다. 제어부(33)는,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의 정보를 입력부(32)로부터 받는다.
따라서,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이 입력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의지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을 기동할 수 있다.
덧붙여, 이 경우, 입력부(32)에,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과 함께 이상 코드의 정보가 입력되어도 무방하다. 입력부(32) 에 이상 코드의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가 참조될 때에, 제어부(33)에 의하여 소정의 이상 코드가 선택되어도 무방하다.
혹은, 도 3에 도시하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는, 이상 코드와 대응지어져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에 있어서 최초로 선택되는 질문 정보는, 항상 같은 질문 정보가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나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는, 수리·공사 내용 코드와 대응지어져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나 확인 데이터 베이스(46)에 있어서 최초로 선택되는 질문 정보는, 항상 같은 질문 정보가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18에서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만이 갱신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스텝 S18에서 행하여지는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B) 도 1에 도시하는 급탕기(10)의 설치 공사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순서로 행하여져도 무방하다. 덧붙여, 도 14에 있어서, 도 4와 마찬가지의 스텝은, 도 4와 같은 기호로 도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스텝 S141에서는 설치 공사가 행하여진다. 즉, 서비스 맨에 의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이용자 집(2)에 급탕기(10)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히트 펌프 유닛(10a)과 저탕 유닛(10b)이 이용자 집(2) 밖에 설치되고, 리모컨(30)이 이용자 집(2) 안에 설치되며, 배관(50)이 이용자 집(2) 밖으로부터 이용자 집(2) 안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스텝 S142에서는, 설치 공사가 정상적으로 종료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스텝 S13의 확인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서비스 맨에 의하여, 설치 공사가 정상적으로 종료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설치 공사가 정상적으로 종료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처리가 종료하고, 설치 공사가 정상적으로 종료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141로 진행된다.
따라서, 설치 공사가 행하여진 후에 확인 처리 S13(도 14 참조)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설치 공사의 질을 균질화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공사의 미스를 설치 공사 수료 직후에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쓸데없이 서비스 맨이 파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C)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5에 있어서, 특정 이상이 해결되었는지 여부가, 급탕기(10)의 이용자가 아니라 도 3에 도시하는 판단부(38)에 의하여 판단되어도 무방하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판단부(38)는, 검증 결과 정보를 제어부(33)로부터 받는다. 판단부(38)는,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이상이 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정 이상이 해결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특정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스텝 S11로 진행되고, 특정 이상이 해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특정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스텝 S7로 진행된다.
또한, 이때, 스텝 S7에 있어서, 수리 정보가 입력부(32)에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입력되지 않고, 제어부(33)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되어 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기억부(41)에 수리 정보와 이상 코드의 정보와 추정 결과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의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를 격납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기억되어 있고, 이것에 기초하여, 수리 정보가 제어부(33)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스텝 S11에 있어서, 해소 정보가 입력부(32)에 급탕기(10)의 이용자 또는 서비스 맨에 의하여 수동으로 입력되지 않고, 제어부(33)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기억부(41)에 해소 정보와 이상 코드의 정보와 추정 결과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의 조합을 나타내는 정보를 격납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격납되어 있고, 이것에 기초하여, 해소 정보가 제어부(33)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따라서, 스텝 S5, S7, S11에 있어서의 처리가 자동화되어, 급탕기(10)의 이용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D) 급탕기(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히트 펌프 방식 대신에, 가스 방식, 전열선 방식 등이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급탕기(10)는, 급수기·살수기 등, 사용에 즈음하여 주변에 있어서 인위적 조작이 필요한 기기이면 어떠한 기기여도 무방하다.
(E) 도 3에 도시하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는, 진단 프로그램(42)에서 사용되는 것과 확인 프로그램(47)에서 사용되는 것이 따로따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F) 도 3에 도시하는 리모컨(30)의 기억부(41)에는, 리모컨(30)의 조작 이력 이 기억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리모컨(30)의 입력부(32)에 입력된 급탕기(10)의 운전 모드의 정보와 그 입력이 행하여진 시각의 정보가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G) 리모컨(30)의 입력부(32)는, 키보드나 터치 패널이어도 무방하고, 음성 감지식의 입력 장치여도 무방하다. 리모컨(30)에는, 표시부(36) 대신에 발성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고, 질문 정보가 음성에 의하여 보지(報知)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노인 등 입력 장치의 조작이 능숙하지 못한 사람이나 서투른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회답 정보를 입력할 수 있어, 질문 정보를 알 수 있다.
(H)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7에 있어서, 표시부(36)에 의하여, 수리의 의뢰처의 정보나 의뢰 시에 연락하여야 하는 정보 이외의 정보가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서비스 맨이 도착하기까지 이상 운전 모드 또는 연명 운전 모드로 운전을 행하여야 하는 것이 표시되어도 무방하고, 안전을 위한 응급 대응 방법 등이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I) 도 3에 도시하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39), 진단 데이터 베이스(37), 진단 프로그램(42), 확인 데이터 베이스(46) 및 확인 프로그램(47)은, 지역에 따른 특성(기온, 기후 등)이나 개개의 환경(사용 상황, 사용 연수, 기종 등)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즈(customize)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지역에 따른 특성이나 개개의 환경을 고려하여 특정 이상 원인을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이상 원인을 한층 더 상세하게 추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a)의 구성도를 도 15에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a)의 각 구성 요소의 구성도를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다. 도 15 ~ 도 17에 있어서,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의 구성 요소와 같은 구성 요소는 같은 번호로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a)은, 주로 급탕기(10)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급탕기(10)는, 사용에 즈음하여 주변에 있어서 인위적 조작이 필요한 기기이다.
이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a)은, 도 15 ~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주로 리모컨(30a)이 네트워크(60a)를 통하여 원격 관리 센터(70a)에 접속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제1 실시예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리모컨(30a)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 송신부(43a)와 이용자 수신부(45a)를 구비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a)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제어부(73a), 원격 송수신부(83a), 입력부(88a) 및 표시부(76a)를 구비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a)이 급탕기(10)를 관리하는 처리의 흐름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덧붙여, 도 18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하는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는, 같은 기호로 도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스텝 S162에서는, 원격 관리 센터(70a)로 수리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가 송신된다. 즉, 도 16에 도시하는 리모컨(30a)의 이용자 송신부(43a)는, 수리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를 제어부(33a) 경유로 입력부(32)로부터 받는다. 이용자 송신부(43a)는, 수리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관리 센터(70a)로 송신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a)의 원격 송수신부(83a)는, 수리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리모컨(30a)으로부터 수신한다. 표시부(76a)는, 수리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를 제어부(73a) 경유로 원격 송수신부(83a)로부터 받아, 표시 화면(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한다. 원격 관리 센터(70a)의 오퍼레이터는, 표시부(76a)에 표시된 수리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맨에게 급탕기(10)의 수리를 의뢰하는 것과 함께, 서비스 맨에게 수리가 의뢰된 취지의 정보를 입력부(88a)에 입력한다. 원격 송수신부(83a)는, 서비스 맨에게 수리가 의뢰된 취지의 정보를, 제어부(73a) 경유로 입력부(88a)로부터 받아, 네트워크(60a) 경유로 리모컨(30a)으로 송신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리모컨(30a)의 이용자 수신부(45a)는, 서비스 맨에게 수리가 의뢰된 취지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관리 센터(70a)로부터 수신한다. 표시부(36)는, 서비스 맨에게 수리가 의뢰된 취지의 정보를 제어부(33a) 경유로 이용자 수신부(45a)로부터 받아, 표시 화면(36f)에 표시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스텝 S163에서는 확인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도 18에 도시하는 확인 처리 S163의 흐름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덧붙여, 도 19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하는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는, 같은 기호로 도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스텝 S171에서는, 시운전에 관한 정보가 원격 관리 센 터(70a)로 송신된다. 즉, 도 16에 도시하는 이용자 송신부(43a)는, 급탕기(10)의 시운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3a)로부터 받아,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관리 센터(70a)로 송신한다. 여기서, 시운전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시운전하였을 때에 취득된 운전 데이터 등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a)의 원격 송수신부(83a)는, 급탕기(10)의 시운전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리모컨(30a)으로부터 수신한다. 표시부(76a)는, 급탕기(10)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73a) 경유로 원격 송수신부(83a)로부터 받아, 표시 화면(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검증 결과 정보가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관리 센터(70a)로 송신되기 때문에, 검증 결과 정보를 원격 관리 센터(70a)에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검증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리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는,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특정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관리 센터(70a)로 송신되기 때문에, 특정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만, 그 취지를 원격 관리 센터(70a)에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서비스 맨에게 특정 기기의 수리가 의뢰되는 횟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시운전에 관한 정보가 원격 관리 센터(70a)로 송신되기 때문에, 시운전이 행하여진 것을 네트워크(60a) 경유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특징 (1) ~ (5)는, 제2 실시예의 특징으로서도 적합하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
(A) 도 18에 도시하는 스텝 S162에 있어서, 추정 결과 정보가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관리 센터(70a)로 한층 더 송신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추정 결과 정보를 원격 관리 센터(70a)에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추정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B) 도 17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a)의 원격 송수신부(83a)는, 차회 접속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리모컨(30a)으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차회 접속 정보는, 이용자 송신부(43a)와 원격 송수신부(83a)를 다음에 접속하는 것에 관한 정보이며, 예를 들면, 시각 정보나 송신 정보 등이 있다. 시각 정보는, 이용자 송신부(43a)와 원격 송수신부(83a)를 다음에 접속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이다. 송신 정보는, 이용자 송신부(43a)와 원격 송수신부(83a)를 다음에 접속할 때에 이용자 송신부(43a)가 원격 송수신부(83a)로 송신하여야 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00의 시각에 있어서, 리모컨(30a)으로부터 원격 관리 센터(70a)로 운전 데이터가 송신될 때에, 원격 관리 센터(70a)로부터 리모컨(30a)으로 「차회 12:00에 접속」의 정보가 차회 접속 정보로서 송신된다. 이 경우, 차회 접속 정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원격 관리 센터(70a)는, 리모컨(30a)으로부터 수신한 운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격 관리 센터(70a) 측에 있어서 이상을 예지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12:00의 시각에 있어서, 리모컨(30a)은, 「차회 12:00에 접속」의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관리 센터(70a)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과 함께, 원격 관리 센터(70a)로 접속 통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원격 관리 센터(70a) 측에 있어서 이상 이 예지된 경우에는, 원격 관리 센터(70a)로부터 리모컨(30a)으로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의 정보와 함께, 「검증 결과 정보 송신 요구」의 정보가 차회 접속 정보로서 송신된다. 이 경우, 차회 접속 정보는 송신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리모컨(30a) 측에서는, 원격 관리 센터(70a)로부터의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이 실행된다.
다음으로, 14:00의 시각에 있어서, 리모컨(30a)은, 진단 프로그램(42)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는 검증 결과 정보를 원격 관리 센터(70a)로 송신한다. 원격 관리 센터(70a)는, 리모컨(30a)으로부터 수신한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이상을 판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원격 관리 센터(70a)로부터 리모컨(30a)으로 「차회 17:00에 접속」의 정보가 차회 접속 정보로서 송신된다. 이 경우, 차회 접속 정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다음으로, 17:00의 시각에 있어서, 리모컨(30a)은, 「차회 17:00에 접속」의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관리 센터(70a)와의 접속을 확립하는 것과 함께, 원격 관리 센터(70a)로 접속 통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원격 관리 센터(70a)로부터 리모컨(30a)으로 추장(推奬) 동작 설정의 정보 및 추장 동작 설정별 효과 견적 비교표의 정보와 함께, 「차회 12:00에 운전 데이터 송신」의 정보가 차회 접속 정보로서 송신된다. 이 경우, 차회 접속 정보는 시각 정보와 송신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회 접속 정보가 네트워크(60a) 경유로 리모컨(30a)으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다이얼 업 접속 등 상시 접속이 아닌 경우여도 의사적으로 쌍방향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결과, 상시 접속이 아닌 경우여도 특정 이상을 의사적 으로 쌍방향으로 네트워크(60a) 경유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차회 접속 정보를 상세한 정보로 하는 경우에는, 상시 접속이 아닌 경우여도 의사적으로 쌍방향의 접속을 한층 더 상세하게 실현할 수 있다.
(C) 도 18에 도시하는 스텝 S7에 있어서, 표시부(36)에 의하여, 수리의 의뢰처의 정보나 의뢰 시에 연락하여야 하는 정보 이외의 정보가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서비스 맨이 도착하기까지 이상 운전 모드 또는 연명 운전 모드로 운전을 행하여야 하는 것이 표시되어도 무방하고, 안전을 위한 응급 대응 방법 등이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스텝 S162에 있어서, 원격 관리 센터(70a)로 수리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가 송신된 후에, 예를 들면, 서비스 맨의 방문 가능한 일시가, 원격 관리 센터(70a)로부터 리모컨(30a)으로 송신되어 표시부(36)에 의하여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이용자에 의하여 서비스 맨의 방문 가능한 일시로부터 수리를 의뢰하여야 하는 일시가 입력부(32)에 선택 입력된 경우에는, 선택 입력된 정보가 원격 관리 센터(70a) 경유로 서비스 맨에게 전하여지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D) 도 18에 도시하는 스텝 S10에 있어서, 특정 이상이 해결되었다고 판단되고 나서 스텝 S11로 진행한 경우에는, 스텝 S11의 후에, 원격 관리 센터(70a)로 해소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가 송신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이용자 송신부(43a)는, 해소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를 제어부(33a) 경유로 입력부(32)로부터 받아, 해소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관리 센터(70a)로 송신한 다.
따라서, 원격 관리 센터(70a)에 있어서, 서비스 맨에 의한 수리가 확실히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수리의 품질을 균질화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함께 수리 미스에 의한 문제를 한층 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c)의 구성도를 도 21에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c)의 각 구성 요소의 구성도를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다. 도 21 ~ 도 23에 있어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성 요소는 같은 번호로 도시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c)은 주로 급탕기(10)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급탕기(10)는, 사용에 즈음하여 주변에 있어서 인위적 조작이 필요한 기기이다.
이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c)은, 도 21 ~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리모컨(30c)의 구성과 원격 관리 센터(70c)의 구성이, 다음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하여,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의 기억부(41)에는, 진단 데이터 베이스(37) 대신에, 진단 데이터 베이스(37c)가 기억되어 있다. 진단 데이터 베이스(37c)는, 진단 데이터 베이스(37)와 유사하지만,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온라인 진 단으로」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지령 정보(C1)가 더 격납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예를 들면, 이상 코드가 「E-09」이고 질문 정보(Q5)에 대한 회답 정보가 「모른다」인 경우, 진단 데이터 베이스(37c)가 참조되는 것에 의하여, 리모컨(30c)에 있어서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는 것과 함께, 지령 정보(C1) 「온라인 진단으로」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상 코드가 「E-09」이고 질문 정보(Q6)에 대한 회답 정보가 「나온다」인 경우, 진단 데이터 베이스(37c)가 참조되는 것에 의하여, 리모컨(30c)에 있어서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는 것과 함께, 지령 정보(C1) 「온라인 진단으로」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는, 제어부(73a) 대신에 제어부(73c)를 구비하고, 판단부(78c), 질문 생성부(74c), 추정 생성부(75c), 기억부(81c) 및 명령 생성부(84c)를 더 구비한다. 기억부(81c)에는, 주로 질문 데이터 베이스(79c), 진단 데이터 베이스(77c), 확인 데이터 베이스(86c), 진단 프로그램(82c) 및 확인 프로그램(87c)이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질문 데이터 베이스(79c), 진단 데이터 베이스(77c), 확인 데이터 베이스(86c)는, 각각 질문 데이터 베이스(39), 진단 데이터 베이스(37c),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도 22 참조)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지만, 각각 질문 데이터 베이스(39), 진단 데이터 베이스(37c),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보다도 상세한 정보를 격납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c)이 급탕기(10)를 관리하는 처리의 흐름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단 처리 S4 대신에 진단 처리 S93이 행 하여지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다르다. 덧붙여, 도 24에 있어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처리는, 도 4 및 도 18과 같은 기호로 도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25에, 도 24의 진단 처리 S93의 상세를 설명한다. 덧붙여, 도 25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진단 처리 S4와 마찬가지의 처리는, 도 6과 같은 기호로 도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스텝 S131에서는,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져야 하는지 여부, 즉 네트워크(60a) 경유로 다음의 질문 정보를 수신하여야 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의 판단부(38)는, 스텝 S23에서 입력된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33c) 경유로 기억부(41)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c)를 참조하여, 지령 정보(C1) 「온라인 진단으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령 정보(C1) 「온라인 진단으로」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져야 한다고 판단되고, 지령 정보(C1) 「온라인 진단으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지면 안 된다고 판단된다.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져야 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33c)에 의하여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져야 하는 취지의 명령이 생성된 후에 스텝 S132로 진행되고,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지면 안 된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29로 진행된다.
도 25에 도시하는 온라인 진단 처리 S132의 상세를, 도 26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도 26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진단 처리 S4와 마찬가지의 처리는, 같은 기호로 도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스텝 S51에서는 명령이 생성된다. 즉,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의 명령 생성부(44)는,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져야 하는 취지의 정보를 제어부(33c)로부터 받는다. 명령 생성부(44)는,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야 하는 취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82c)의 기동 명령을 생성한다. 이용자 송신부(43a)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제어부(33c) 경유로 명령 생성부(44)로부터 받아, 특정 이상의 정보를 제어부(33c) 경유로 검지부(31)로부터 받는다. 이용자 송신부(43a)는, 기동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관리 센터(70c)로 송신한다. 원격 관리 센터(70c)의 원격 송수신부(83a)는, 기동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이용자 송신부(43a)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73c)는, 기동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를 원격 송수신부(83a)로부터 받는다.
도 26에 도시하는 스텝 S52에서는 질문 정보가 생성된다. 즉, 스텝 S51로부터 스텝 S52로 처리가 진행된 경우에는,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의 제어부(73c)는, 기동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를 질문 생성부(74c)에 넘겨준다. 질문 생성부(74c)는, 기동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81c)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79c)를 참조하여,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혹은, 스텝 S55로부터 스텝 S52로 처리가 진행된 경우에는, 질문 생성부(74c)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취지의 정보와 회답 정보를 제어부(73c) 경유로 판단부(78c)로부터 받는다. 질문 생성부(74c)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를 생성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스텝 S53에서는 질문 정보가 리모컨으로 송신된다. 즉,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의 제어부(73c)는, 질문 정보를 질문 생성부(74c)로부터 받는다. 원격 송수신부(83a)는, 질문 정보를 제어부(73c)로부터 받는다. 원격 송수신부(83a)는, 질문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으로 송신한다. 리모컨(30c)의 이용자 수신부(45a)는, 질문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송수신부(83a)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33c)는, 질문 정보를 이용자 수신부(45a)로부터 받는다.
도 26에 도시하는 스텝 S54에서는, 회답 정보가 원격 관리 센터로 송신된다. 즉,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의 제어부(33c)는, 회답 정보를 입력부(32)로부터 받아 이용자 송신부(43a)에 넘겨준다. 이용자 송신부(43a)는, 회답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로 송신한다. 원격 송수신부(83a)는, 회답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이용자 송신부(43a)로부터 수신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스텝 S55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된다. 즉,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의 제어부(73c)는, 회답 정보를 원격 송수신부(83a)로부터 받아 판단부(78c)에 넘겨준다. 판단부(78c)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73c) 경유로 기억부(81c)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77c)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6으로 진행되고,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2로 진행된다.
도 26에 도시하는 스텝 S56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된다. 즉,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의 추정 생성부(75c)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취지의 정보와 회답 정보를 제어부(73c) 경유로 판단부(78c)로부터 받는다. 추정 생성부(75c)는,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81c)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77c)를 참조하여,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추정 생성부(75c)는, 추정 결과 정보를 제어부(73c)에 넘겨준다.
도 26에 도시하는 스텝 S57에서는 추정 결과 정보가 리모컨(30c)으로 송신된다. 즉,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의 원격 송수신부(83a)는, 추정 결과 정보를 제어부(73c) 경유로 추정 생성부(75c)로부터 받는다. 원격 송수신부(83a)는, 추정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으로 송신한다. 리모컨(30c)의 이용자 수신부(45a)는, 추정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송수신부(83a)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33c)는, 추정 결과 정보를 이용자 수신부(45a)로부터 받는다.
이와 같이, 질문 데이터 베이스(39) 및 진단 데이터 베이스(37c)보다도 상세한 정보를 격납하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79c) 및 진단 데이터 베이스(77c)를 참조하여, 질문 정보 또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컨(30c)의 기억부(41)의 기억 용량을 낮게 억제하여 진단 프로그램(42)으로 특정할 수 있는 특정 이상을 간단한 것에 제한한 경우여도, 계속하여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온라인 진단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특정 이상을 상세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진단 프로그램(82c)이 원격 관리 센터(70c) 측에서 기억되기 때문에, 진단 프로그램(42)보다도 고기능의 진단 프로그램(82c)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판단부(38), 질문 생성부(34) 및 추정 생성부(35)의 처리의 일부를 원격 관리 센터(70c) 측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리모컨(30c) 측에 있어서의 처리의 부담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확인 처리 S163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온라인 확인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온라인 확인 처리는, 원격 관리 센터(70c)의 기억부(81c)에 기억되는 확인 프로그램(87c)이 확인 데이터 베이스(86c)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실행된다. 온라인 확인 처리의 상세는, 도 26에 도시하는 온라인 진단 처리와 같은 처리이다. 따라서, 확인 프로그램(87c)을 확인 프로그램(47, 도 22 참조)보다도 고기능의 프로그램으로 하고, 확인 데이터 베이스(86c)를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보다도 상세한 정보를 격납하는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부(32, 도 22 참조)에 입력된 회답 정보를 상세하게 고려하여 다음의 질문 정보 또는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특징 (1) ~ (5)는 제3 실시예의 특징으로서도 적합하다.
<제3 실시예의 변형예>
(A) 도 26에 도시하는 스텝 S51에 있어서,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의 입력부(32)에 진단 프로그램(82c)의 기동 명령이 입력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입력된 기동 명령의 정보가,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관리 센터(70c)로 송신되어도 무방하다.
(B) 도 24에 도시하는 확인 처리 S163의 대신으로서 온라인 확인 처리가 행 하여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 리모컨(30c) 측에서 확인 프로그램(47) 및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를 기억하여 둘 필요가 없어져, 리모컨(30c)의 기억 용량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C)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의 명령 생성부(84c)가, 특정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을 생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도 24에 도시하는 기동 처리 S1의 상세가, 도 2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도 28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기동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는, 같은 기호로 도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에 도시하는 스텝 S61에서는, 특정 이상의 정보가 원격 관리 센터로 송신된다. 즉, 도 22에 도시하는 이용자 송신부(43a)는, 특정 이상의 정보를 제어부(33c)로부터 받는다. 이용자 송신부(43a)는, 특정 이상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로 송신한다. 원격 관리 센터(70c)의 원격 송수신부(83a)는, 특정 이상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이용자 송신부(43a)로부터 수신한다.
도 28에 도시하는 스텝 S63에서는 기동 명령이 생성된다. 즉,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의 명령 생성부(84c)는, 특정 이상의 정보를 제어부(73c)로부터 받는다. 명령 생성부(84c)는, 특정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을 생성한다. 제어부(73c)는,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의 정보를 명령 생성부(84c)로부터 받는다.
도 28에 도시하는 스텝 S64에서는, 기동 명령의 정보가 리모컨(30c)으로 송 신된다. 즉,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의 제어부(73c)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원격 송수신부(83a)에 넘겨준다. 원격 송수신부(83a)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으로 송신한다. 리모컨(30c)의 이용자 수신부(45a)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송수신부(83a)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33c)는, 진단 프로그램(42)의 기동 명령의 정보를 이용자 수신부(45a)로부터 받는다.
따라서, 기동 명령의 정보가 네트워크(60a) 경유로 리모컨(30c)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특정 이상이 발생한 것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을 기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특정 이상을 관리하는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D) 도 22에 도시하는 기억부(41)에 진단 프로그램(42)이 기억되어 있지 않고, 진단 프로그램(82c)이 원격 관리 센터(70c)로부터 리모컨(30c)으로 송신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혹은, 진단 프로그램(42)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진단 프로그램(82c)이 원격 관리 센터(70c)로부터 리모컨(30c)으로 송신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의 이용자 송신부(43a)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제어부(33c)로부터 받는다. 이용자 송신부(43a)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도 23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c)로 송신한다. 원격 관리 센터(70c)의 원격 송수신부(83a)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이용자 송신부(43a)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73c)는, 기동 명령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82c)의 정보를 기억부(81c)로부터 받는다. 원격 송수신부(83a) 는, 진단 프로그램(82c)의 정보를 제어부(73c)로부터 받는다. 원격 송수신부(83a)는, 진단 프로그램(82c)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으로 송신한다. 리모컨(30c)의 이용자 수신부(45a)는, 진단 프로그램(82c)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송수신부(83a)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33c)는, 진단 프로그램(82c)의 정보를 이용자 수신부(45a)로부터 받는다. 제어부(33c)는, 기억부(41)에 액세스하여, 진단 프로그램(82c)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42)을 갱신한다. 이들의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와 같이, 진단 프로그램(82c)의 정보가 네트워크(60a) 경유로 리모컨(30c)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진단 프로그램(82c)을 갱신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원격 관리 센터(70c)에 대한 처리만으로 충분하여, 용이하게 갱신할 수 있다. 이 변형예에 관련되는 구성은, 원격 관리 센터(70c)에 복수의 리모컨(30c)이 접속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E) 도 22에 도시하는 리모컨(30c)의 기억부(41)에는, 리모컨(30c)의 조작 이력이 한층 더 기억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리모컨(30c)의 입력부(32)에 입력된 급탕기(10)의 운전 모드의 정보와 그 입력이 행하여진 시각의 정보가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이 리모컨(30c)의 조작 이력의 정보는, 도 24에 도시하는 스텝 S18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37c, 39, 46)가 갱신될 때에 고려되어도 무방하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b)의 구성도를 도 29에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b)의 각 구성 요소의 구성도를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다. 도 29 ~ 도 31에 있어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같은 구성 요소는 같은 번호로 도시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b)은 주로 급탕기(10)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급탕기(10)는, 사용에 즈음하여 주변에 있어서 인위적 조작이 필요한 기기이다.
이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b)은, 도 29 ~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주로 리모컨(30b)이 판단부(38), 질문 생성부(34), 추정 생성부(35) 및 기억부(41)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다르다. 즉,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1b)의 리모컨(30b)에 있어서, 스텝 S4(도 4, 도 18 참조)나 스텝 S93(도 24 참조)과 같은 진단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는다. 한편, 원격 관리 센터(70b)의 구성은, 제어부(73c) 대신에 제어부(73b)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3 실시예와 다르다. 진단 프로그램(82c, 도 31 참조)에 의한 온라인 진단 처리 S152(도 32 참조)가 행하여지는 점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32에 도시하는 기동 처리 S151의 상세를 도 33에 도시한다. 기동 처리 S151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덧붙여, 도 33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기동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는, 같은 기호로 도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3에 도시하는 스텝 S101에서는, 기동 명령의 정보가 원격 관리 센 터(70b)로 송신된다. 즉, 도 30에 도시하는 리모컨(30b)의 이용자 송신부(43a)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제어부(33b)로부터 받는다. 이용자 송신부(43a)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도 31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b)로 송신한다. 원격 관리 센터(70b)의 원격 송수신부(83a)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이용자 송신부(43a)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73b)는, 기동 명령의 정보를 원격 송수신부(83a)로부터 받는다.
도 33에 도시하는 스텝 S102에서는 진단 프로그램(82c)이 기동된다. 즉, 도 31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센터(70b)의 제어부(73b)는, 기억부(81c)를 참조하여, 진단 프로그램(82c)을 기동한다. 제어부(73b)는, 진단 프로그램(82c)에 기초하여, 온라인으로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을 명령 생성부(84c)에 생성시킨다. 제어부(73b)는, 온라인으로 질문을 생성하는 명령의 정보와 특정 이상의 정보를 질문 생성부(74c)에 넘겨준다.
또한, 도 32에 도시하는 온라인 진단 처리 S152의 상세를 도 34에 도시한다. 온라인 진단 처리 S152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 S51이 없는 점에서 제3 실시예의 온라인 진단 처리 S132(도 25, 도 26 참조)와 다르다.
이와 같이, 기동 명령의 정보가 네트워크(60a) 경유로 원격 관리 센터(70b)로 송신되기 때문에, 특정 이상이 발생한 것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82c)을 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특정 이상을 관리하는 부담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판단부(38), 질문 생성부(34) 및 추정 생성부(35)의 처리를 원격 관리 센터(70b) 측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리모컨(30b) 측에 있어서의 처리의 부담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예의 특징 (1) ~ (5)는 제4 실시예의 특징으로서도 적합하다.
<제4 실시예의 변형예>
(A) 도 33에 도시하는 스텝 S16에 있어서, 도 31에 도시하는 진단 프로그램(82c)의 기동 명령이 명령 생성부(84c)에 의하여 생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서도, 특정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82c)의 기동 명령이 생성되기 때문에, 특정 이상이 발생하면 진단 프로그램(82c)이 자동적으로 기동되게 된다.
혹은, 도 33에 도시하는 스텝 S14는 없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스텝 S16에 대신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스텝 S82가 실행된다. 즉, 급탕기(10)의 이용자에 의하여, 도 30에 도시하는 리모컨(30b)의 입력부(32)에 진단 프로그램(82c)의 기동 명령이 입력된다. 따라서, 이용자의 의지에 기초하여 진단 프로그램(82c)을 기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리모컨(30, 30a, 30c) 측에서 행하여지고 있던 판단부(38), 질문 생성부(34) 및 추정 생성부(35)의 처리를 원격 관리 센터(70b) 측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리모컨(30b) 측에 있어서의 처리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 특정 기기 관리 프로그램 및 특정 기기 관리 방법은, 인위적 조작에 기인하는 특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 특정 기기 관리 시스템, 특정 기기 관리 프로그램 및 특정 기기 관리 방법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21)

  1. 사용할 때 이용자에 의한 조작이 필요한 기기(10)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1, 1a, 1b, 1c)이고,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異常)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을 추정하기 위한 질문에 관한 정보인 질문 정보를 기억부(41)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를 참조하여 생성하는 질문 생성부(34, 74c)와,
    상기 질문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6)와,
    상기 표시부(36)에 표시된 상기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10)의 상황 및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의 상황의 적어도 일방(一方)에 관한 정보인 회답 정보가 상기 이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입력부(32)
    를 구비하고,
    상기 질문 생성부(34, 74c)는,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를 상기 질문 데이터 베이스(39)를 참조하여 더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36)는,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를 더 표시하고,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부(41)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 77c)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를 참조하여,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이 추정된 결과에 관한 정보인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추정 생성부(35, 75c)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36)는, 상기 추정 결과 정보를 더 표시하고,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부(41)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 77c)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38, 78c)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질문 생성부(34, 74c)는, 상기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상기 판단부(38, 78c)가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41, 81c)의 질문 데이터 베이스(39, 79c)를 참조하여,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추정 생성부(35, 75c)는, 상기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상기 판단부(38, 78c)가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부(41)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 77c)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46)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1, 1a, 1b, 1c).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10)는 수도를 이용하는 기기인,
    기기 관리 시스템(1, 1a, 1b, 1c).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10)는 급탕기인,
    기기 관리 시스템(1, 1a, 1b, 1c).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36)에 표시된 상기 추정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이 상기 이용자에 의하여 검증되고, 상기 입력부(32)에,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이 검증된 결과의 정보인 검증 결과 정보가 상기 이용자에 의하여 더 입력되고,
    상기 판단부(38, 78c)는, 상기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이 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이 해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이 해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해소 정보 또는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수리 정보 중 어느 쪽이 생성되어야 하는지를 더 판단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1, 1a, 1b, 1c).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32)에는, 상기 추정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이 검증된 결과의 정보인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이 해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해소 정보 및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에 대한 수리가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수리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용자에 의하여 더 입력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1, 1a, 1b, 1c).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10)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70a, 70c)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 70c)는, 상기 네트워크(60a)를 통하여 상기 질문 생성부(34) 및 상기 판단부(38)에 접속되고,
    상기 판단부(38)는, 상기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기억부(41)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37c)를 참조하여,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져야 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 70c)는, 상기 온라인 진단 처리가 행하여져야 한다고 상기 판단부(38)가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 혹은 상기 추정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부(36)는, 상기 네트워크(60a) 경유로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 혹은 상기 추정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 70c)로부터 받아 표시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1a, 1c).
  12. 삭제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10)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70a, 70b, 70c)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 70b, 70c)는, 상기 추정 결과 정보 및 상기 검증 결과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상기 네트워크(60a) 경유로 수신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1a, 1b, 1c).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10)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70a, 70b, 70c)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 70b, 70c)는, 상기 수리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60a) 경유로 수신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1a, 1b, 1c).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생성부(74c)는, 네트워크(60a)를 통하여 상기 입력부(32) 및 상기
    표시부(36)의 원격에 존재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1b, 1c).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생성부(34), 상기 표시부(36) 및 상기 입력부(32)를 제어하는 제어부(33a)와,
    상기 기기(10)를 네트워크(60a) 경유로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70a)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는, 상기 네트워크(60a)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33a)에 접속되고,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는, 상기 제어부(33a)와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를 다음에 접속하는 것에 관한 정보인 차회 접속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60a) 경유로 상기 제어부(33a)로 송신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1a).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회 접속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60a)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33a)와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를 다음에 접속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인 시각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60a)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33a)와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를 다음에 접속할 때에 상기 제어부(33a)가 상기 원격 관리 장치(70a)로 송신하여야 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송신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1a).
  20. 사용할 때 이용자에 의한 조작이 필요한 기기(10)를 컴퓨터에 관리시키는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이고,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을 추정하기 위한 질문에 관한 정보인 질문 정보가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제1 질문 생성 스텝과,
    상기 질문 정보가 표시되는 제1 표시 스텝과,
    상기 제1 표시 스텝에서 표시된 상기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10)의 상황 및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의 상황의 적어도 일방에 관한 정보인 회답 정보의, 상기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접수되는 입력 접수 스텝과,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가 상기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제2 질문 생성 스텝과,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가 표시되는 제2 표시 스텝과,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이 추정된 결과에 관한 정보인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추정 생성 스텝과,
    상기 추정 결과 정보가 표시되는 제3 표시 스텝과,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되는 판단 스텝
    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상기 제2 질문 생성 스텝에서는, 상기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상기 판단 스텝에서 판단된 경우에,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추정 생성 스텝에서는, 상기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상기 판단 스텝에서 판단된 경우에,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1. 사용할 때 이용자에 의한 조작이 필요한 기기(10)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방법이고,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을 추정하기 위한 질문에 관한 정보인 질문 정보를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생성하는 제1 질문 생성 스텝과,
    상기 질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 스텝과,
    상기 제1 표시 스텝에서 표시된 상기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10)의 상황 및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의 상황의 적어도 일방에 관한 정보인 회답 정보의, 상기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접수 스텝과,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를 상기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생성하는 제2 질문 생성 스텝과,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 스텝과,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기기(10)에 관한 이상과 상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관한 이상의 원인이 추정된 결과에 관한 정보인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추정 생성 스텝과,
    상기 추정 결과 정보가 표시되는 제3 표시 스텝과,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가 판단되는 판단 스텝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질문 생성 스텝에서는, 상기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상기 판단 스텝에서 판단된 경우에,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상기 질문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추정 생성 스텝에서는, 상기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상기 판단 스텝에서 판단된 경우에, 상기 회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 데이터 베이스 또는 확인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결과 정보가 생성되는,
    기기 관리 방법.
KR1020087016784A 2005-12-29 2006-12-19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기기 관리 방법 KR101026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80567 2005-12-29
JP2005380567A JP4055800B2 (ja) 2005-12-29 2005-12-29 特定機器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026A KR20080085026A (ko) 2008-09-22
KR101026423B1 true KR101026423B1 (ko) 2011-04-07

Family

ID=3821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784A KR101026423B1 (ko) 2005-12-29 2006-12-19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기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66335B2 (ko)
EP (1) EP1971178A1 (ko)
JP (1) JP4055800B2 (ko)
KR (1) KR101026423B1 (ko)
CN (1) CN101352094B (ko)
AU (1) AU2006329427B2 (ko)
WO (1) WO2007074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2763A1 (en) * 2007-03-01 2008-09-04 Chandranmenon Girish P Network-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responding to customer requests based on provider presence information
DE102008017698B3 (de) * 2008-04-08 2010-01-14 Robert Bosch Gmbh Wasserwärmungssystem
US8521823B1 (en) * 2009-09-04 2013-08-27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information based on message content in a reply
JP5521807B2 (ja) * 2010-06-16 2014-06-18 富士通株式会社 障害原因推定装置、障害原因推定プログラム及び障害原因推定方法
CN102525278A (zh) * 2010-12-15 2012-07-04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用于测试和诊断饮水机中的故障的系统和方法
JP6631908B2 (ja) * 2015-09-07 2020-0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不具合原因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49706A1 (ja) * 2016-03-02 2017-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給湯機用リモコン、及びその給湯機用リモコンを備えた給湯システム
JP7211000B2 (ja) * 2018-10-25 2023-01-24 株式会社ノーリツ 湯水システム
WO2021131666A1 (ja) * 2019-12-27 2021-07-0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7540A (ja) * 1994-11-11 1996-05-31 Toto Ltd 機器の故障診断方法及び装置
JPH10196949A (ja) 1996-12-27 1998-07-31 Tokyo Gas Co Ltd 燃焼機器修理支援装置及び故障データ収集・利用方法
JP2003173207A (ja) 2001-12-05 2003-06-20 Osaka Gas Co Ltd 遠隔故障診断方法及び遠隔故障診断システム
JP2004353981A (ja) 2003-05-29 2004-12-16 Noritz Corp 給湯器付き風呂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6551B2 (ja) * 1998-03-09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設備情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通報方法
JP4550975B2 (ja) 2000-07-25 2010-09-22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設備機器遠隔監視診断システム
US6681344B1 (en) * 2000-09-14 2004-01-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agnosing a computer problem
JP2002132995A (ja) 2000-10-30 2002-05-10 Denso Corp 通信施設の管理システム
US20020064259A1 (en) * 2000-11-29 2002-05-30 Wen-Sung Tsai Portable sub-service station
AU2002305477A1 (en) * 2001-05-10 2002-11-18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diagnostics using a portable device
JP2003090618A (ja) * 2001-09-20 2003-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貯湯式温水器とその情報処理システム
CN2590295Y (zh) * 2002-12-04 2003-12-03 北京奥特美克科技发展有限公司 家庭智能单元
US20050097405A1 (en) * 2003-11-03 2005-05-05 Robert Sesek Systems and methods for reporting device probl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7540A (ja) * 1994-11-11 1996-05-31 Toto Ltd 機器の故障診断方法及び装置
JPH10196949A (ja) 1996-12-27 1998-07-31 Tokyo Gas Co Ltd 燃焼機器修理支援装置及び故障データ収集・利用方法
JP2003173207A (ja) 2001-12-05 2003-06-20 Osaka Gas Co Ltd 遠隔故障診断方法及び遠隔故障診断システム
JP2004353981A (ja) 2003-05-29 2004-12-16 Noritz Corp 給湯器付き風呂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2094B (zh) 2011-02-02
US20090049344A1 (en) 2009-02-19
CN101352094A (zh) 2009-01-21
WO2007074676A1 (ja) 2007-07-05
AU2006329427B2 (en) 2010-05-13
JP2007184665A (ja) 2007-07-19
KR20080085026A (ko) 2008-09-22
AU2006329427A1 (en) 2007-07-05
JP4055800B2 (ja) 2008-03-05
EP1971178A1 (en) 2008-09-17
US8166335B2 (en)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423B1 (ko)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기기 관리 방법
CN1854706B (zh) 诊断机器的方法和系统
JP2009003517A (ja) 保守管理支援装置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2007102388A (ja) 保守支援装置,保守支援方法,保守支援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1305844B1 (ko) 고장 코드에 따른 정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JP4780181B2 (ja) 給湯装置の故障診断支援装置
JP4069944B2 (ja) 発電設備の制御方法,運転指令方法
JP2003084824A (ja) 故障予測支援装置
JP2001357477A (ja) 生活状態監視システム
US84123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mputer-aided arithmetic process in a technical system
RU2692438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прочности и определения ресурса барабанов и коллекторов котла
KR102101957B1 (ko) 스팀 세척기의 원격 점검 및 관리시스템
KR20060062999A (ko) 공기 조화기의 냉매량 검출장치 및 방법
JP4534379B2 (ja) 温水暖房システムの故障診断支援装置
JP3765173B2 (ja) 給湯器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故障診断装置
EP39517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sory management of a material sample
KR20020096422A (ko) 공기조화기의 자가진단방법 및 장치
JP3630607B2 (ja) 端末機器の簡易試運転方法及びこれを適用するセントラルヒ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2001019298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の寿命診断装置
JP2018111531A (ja) ウォータサーバ、その情報処理方法およびその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1221448A (ja) 温水暖房装置及びその故障診断方法並びに給湯装置の故障診断支援装置。
JP3683470B2 (ja) 給湯装置の故障診断支援装置
WO2024111074A1 (ja)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061949A (ja) 電気温水器の故障診断の方法
KR20090104265A (ko) 가스보일러와 연동되는 유량센서를 구비한유량비례제어밸브의 고장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