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691B1 - 보호 의복용 직물 - Google Patents

보호 의복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691B1
KR101025691B1 KR1020057004100A KR20057004100A KR101025691B1 KR 101025691 B1 KR101025691 B1 KR 101025691B1 KR 1020057004100 A KR1020057004100 A KR 1020057004100A KR 20057004100 A KR20057004100 A KR 20057004100A KR 101025691 B1 KR101025691 B1 KR 10102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ibers
filaments
plies
aram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929A (ko
Inventor
이베스 바더
앙드레 카프트
토마스 도취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750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256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5005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6Electrically protective, e.g.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or electric shock
    • A41D31/265Electrically protective, e.g.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or electric shock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41D31/085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using layere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10B233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aromatic polyamides, e.g. aram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213Coating or impregnation is specified as weather proof, water vapor resistant, or moisture resist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221Coating or impregnation is specified as water p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10T442/3293Warp and weft are identical and contain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strand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10T442/3301Coated, impregnated, or autogenous bonded
    • Y10T442/3317Woven fabric contains synthetic polymeric stran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472Woven fabric including an additional woven fabri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976Including strand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 Y10T442/3992Strand is heat shrink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의복의 단일 또는 외부 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내열, 내화, 및 전기 아크 저항성 직물(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직물(1)은 포켓(4)을 형성하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로 함께 집합된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겹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직물(1)은 아라미드 섬유 및 필라멘트, 폴리벤즈이미다졸 섬유 및 필라멘트, 폴리아미드이미드 섬유 및 필라멘트, 폴리(파라페페닐렌 벤조비스악사졸) 섬유 및 필라멘트, 페놀포름알데히드 섬유 및 필라멘트, 멜라민 섬유 및 필라멘트, 천연 섬유 및 필라멘트, 합성 섬유 및 필라멘트, 인조 섬유 및 필라멘트, 유리 섬유 및 필라멘트, 탄소 섬유 및 필라멘트, 금속 섬유 및 필라멘트, 및 그의 복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재료로 제조된다. 그의 독특한 구조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직물(1)은 상응하는 기계적 성질 및 열적 성질을 갖는 공지된 직물보다 상당히 낮은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보호 의복, 직물, 내열, 내화, 전기 아크 저항, 겹

Description

보호 의복용 직물{FABRIC FOR PROTECTIVE GARMENTS}
본 발명은 보호 의복의 단일 또는 외부 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내열, 내화, 전기 아크(arc) 저항성 직물에 관한 것이다.
열, 화염, 및 전기 아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의복은 보통 매우 무거운데, 정상적으로 의복 자체의 질량 및 두께가 보호를 제공하는 주요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소방관과 같은 그러한 의복의 착용자는 그의 행동에 제약을 받게되고 열 응력을 받게 되므로 전체적인 편안한 착용감이 매우 나빠진다. 최근 20년간, 그러한 보호 의복의 편안한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신규 재료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보다 가볍지만 보다 부피가 큰 단열 재료가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재료는 최종적인 보호 의복을 보다 가볍게 할 수는 있지만 그의 주체스러운 크기때문에 착용자의 호흡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이들 재료에 의해서는 행동의 자유스러움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열, 화염 및 전기 아크로부터의 보호 의복은 통상적으로 1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다. 다른 재료 및 최종 보호 의복을 구성하는 층 수의 선택은 의복 자체의 특정 용도에 따른다.
새로운 보호 의복을 디자인할 때, 해당 국내 및 국제 표준의 모든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내열 및 내화 의복은 EN-340, EN-531, EM-469와 NFPA 1971:2000, NFPA 2112:2001 및 NFPA 70E: 2000에 따라서 제조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보다 가벼운 보호 의복은 단순하게 보다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통상적으로 보호 의복의 기계적 및 열적 성질의 저하와 연계된다.
제 U.S. 5,701,606 호는 외부 외피와 방염성의, 폐쇄 기포 발포재로 제조되며 열 장벽 및 수분 장벽 모두의 기능을 하는 내부 안감을 갖는 소방관 의복을 개시한다. 폐쇄 기포 발포 안감은 내습성이며 단열을 제공한다. 이러한 선행 기술 문헌에 개시된 의복은 양호한 내화성은 제공하지만, 각각 상당한 두께를 갖는 수개의 직물 층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의 중량이 증가된다.
제 U.S. 4,897,886 호는 외부 층, 중간 층 및 내부 층을 갖는 소방관 의복을 개시한다. 스페이서(spacer) 요소가 의복의 2개 층 사이에 위치해서 그 사이에 공기 틈을 형성하고 유지한다. 이러한 선행 기술 문헌에 개시된 발명은 의복의 내열성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 그의 중량 및 중량에 관련된 상기한 문제점들에 관한 것이 아니다.
제 U.S. 4,814,222 호는 내화성을 개선하기 위해 팽창제로 처리한 아라미드 섬유를 개시한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가 의복 제조에 사용되지만, 섬유 자체의 상승된 비중때문에 무겁고 단단하므로, 편안한 착용감을 충분하게 제공하지 못한다.
EPC 제 54(3) 및 54(4)조에 따라서 유럽에서의 선행 권리일 수 있는 제 WO 03/039280 호는, 특히 소방관을 위한 보호 의복에서 내부 안감(열 장벽)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층 재료를 개시한다. 제 WO 03/0392280 호는 상기 다층 재료의 보호 의복의 외부 층 또는 단일 층으로서의 용도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은 보호 의복의 단일 또는 외부 층으로 사용될 때 내열, 내화 및 전기 아크 저항성을 제공해서, 편안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착용자에 의해 발생된 증기 및 열의 발산을 개선하는 것이다.
발명의 간단한 요약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날실 및 씨실 구조를 각각 갖는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ply)를 포함하고,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는 포켓(pocket)이 형성되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로 함께 집합되어 있으며,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의 날실 및 씨실 구조는 아라미드 섬유 및 필라멘트, 폴리벤즈이미다졸 섬유 및 필라멘트, 폴리아미드이미드 섬유 및 필라멘트, 폴리(파라페페닐렌 벤조비스악사졸) 섬유 및 필라멘트, 페놀포름알데히드 섬유 및 필라멘트, 멜라민 섬유 및 필라멘트, 천연 섬유 및 필라멘트, 합성 섬유 및 필라멘트, 인조 섬유 및 필라멘트, 유리 섬유 및 필라멘트, 탄소 섬유 및 필라멘트, 금속 섬유 및 필라멘트, 및 그의 복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재료를 기재로 하는, 보호 의복의 단일 또는 외부 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내열, 내화 및 전기 아크 저항성 직물에 의해 상기한 문제점들이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의 독특한 구조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상응하는 기계적 및 열적 성질을 갖는 공지된 직물보다 상당히 낮은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국면은 상기 직물을 단일 또는 외부 층으로서 포함하는 열, 화염 및 전기 아크로부터의 보호 의복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은 정상 및 극한 상황 모두에서 편안한 착용감을 매우 개선한다. 이것은 유사한 기계적 및 열적 성질을 갖는 종래의 의복보다 가볍고 얇으며 보다 많은 열 및 증기를 착용자 피부로부터 주변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직물의 열에 노출되기 이전의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도 1의 B-B 선을 따른 것이다.
도 3b는 도 1의 직물의 열 노출 후(T1>T0)의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도 1의 B-B 선을 따른 것이다.
도 4a는 도 2의 직물의 열 노출 이전의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도 2의 B-B 선을 따른 것이다.
도 4b는 도 2의 직물의 열 노출 후(T1>T0) 3초까지의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도 2의 B-B 선을 따른 것이다.
도 4c는 도 2의 직물의 열 노출 후(T0∼T1) 3초 초과의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도 2의 B-B 선을 따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 2, 4, 5 및 6의 직물의 제직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직물의 제직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3을 참고로 한다.
정상 조건에서, 직물(1) 양면의 온도가 실온 T0과 동일할 때, 직물(1)의 플라이(2,3)는 서로 인접해서, 직물(1)의 포켓(4)은 실질적으로 납작한 구조를 갖는다.
열 노출의 경우에, 승온 T1(300℃까지 또는 그 이상)에 노출된 직물(1)의 플라이(2)는 직물 포켓이 팽창되고 착용자를 주변으로부터 더 분리할 부분적으로 공기가 충전된 챔버(chamber)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수축될 것이다. 극한 상황에서 필요할 때 이러한 공기 단열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므로, 직물의 비중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직물의 열적 성능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직물 제조에 적합한 아라미드 섬유 및 필라멘트는 직물 자체의 특정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아라미드 섬유 및 필라멘트는 폴리-m-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메타-아라미드),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파라-아라미드)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메타-아라미드 및 파라-아라미드 섬유 및 필라멘트는, 예를 들면 이.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로부터 각각 상표명 노멕스(NOMEX)(등록상표) 및 케블라(KEVLAR)(등록상표)로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천연 섬유 및 필라멘트는, 예를 들면 모, 면 및 견이다. 인조 섬유 및 필라멘트는 비스코스 및 키토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합성 섬유 및 필라멘트는 전형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1종 이상의 상기 천연, 인조 및 합성 섬유 및 필라멘트의 복합체도 또한 본 발명의 직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재료의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특정 용도에 따른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직물(1)의 각각의 단일 플라이(2,3)는 아라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파라페페닐렌 벤조비스악사졸), 페놀포름알데히드 및 멜라민과 같은 양호한 열적 성질을 갖는 재료의 섬유 및 필라멘트를 다량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특정한 특별 용도를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천연, 인조 및 합성 재료와 같은 재료로 실질적으로 제조된 1개 이상의 플라이를 갖는 것이 적절하다. 용융 금속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서는, 뜨거운 금속과 직접 접하게 될 직물 플라이가 뜨거운 금속 입자가 그 위에 붙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러운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다량(100중량%까지)의 모 및 비스코스를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의 날실 및 씨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모노필라멘트 얀, 멀티필라멘트 얀, 방사 얀 및 코어(core) 방사 얀을 기재로 한다. "코어 방사 얀"은 본 발명에서 섬유 피복으로 피복된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코어를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의 날실 및 씨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 얀, 꼬임 얀 및 혼성 얀이다. "혼성 얀"은 본 발명에서 필라멘트 얀, 방사 얀, 코어 방사 얀 및 복합체로 제조된 꼬임 또는 피복 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의 날실 및 씨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아라미드 섬유, 아라미드 모노필라멘트,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 또는 아라미드 및 폴리벤즈이미다졸의 복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단일 및 꼬임 얀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 직물의 날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아라미드 모노필라멘트 또는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단일 및 꼬임 얀을 포함하고, 씨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교호 서열로서, 아라미드 모노필라멘트의 단일 또는 꼬임 얀 또는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의 단일 또는 꼬임 얀을 포함한다. 보다 더 유리하게는, 본 발명 직물의 씨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교호 서열로서, 2종 이상의 다른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 단일 및 꼬임 얀을 포함한다.
다수의 용도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예를 들면 제직, 편직, 봉제 또는 풀칠에 의해 함께 집합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직물은 전형적으로 폴리-m-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기계학적 성질을 더 증진하기 위해, 그리고 특정 용도가 요구한다면, 착용자에 접하게 될 플라이(의복의 내부 플라이) 전체가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로 제조될 것이다.
특정 용도에 따르면,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2개의 플라이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각각의 플라이는 다른 치수 열 수축율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치수 열 수축율"은 열원에 노출 시의 섬유 얀 또는 직물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수축을 의미한다.
전기 아크의 경우와 같은, 열원으로의 노출 시간이 약 3초 이하인 용도를 위해서는, 직물의 2개 플라이는 동일한 제조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승온 T1에 노출된 직물의 측면(도 3b)은 공기 충전 포켓이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빠르게 수축될 것이다. 단시간 노출이어서, 온도 T0이 T1으로 상승될 수 있는 시간이 없기 때문에 착용자에 접하게 되는 직물 면에서는 적은 수축 또는 전혀 수축되지 않았음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단열 포켓은 전체 노출 시간동안 그의 부피를 유지할 것이다.
3초까지의 노출 동안 직물의 단열 효과를 더 상승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별개 단일 플라이(2,3)를 다른 치수 열 수축율을 갖는 재료로 제조할 수 있는데, 열원에 노출되는 직물의 플라이가 보다 높은 치수 열 수축율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직물 플라이 사이의 수축율 차가 열 노출 도중에 더 커지게 되므로 여전히 보다 부피가 큰 포켓이 형성될 것이다.
도 2 및 4는 열원으로의 노출 시간이 3초 이상인 용도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화재의 경우와 같은 이러한 상황하에서는, 본 발명의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다른 치수 열 수축율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2개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로 구성되는데, 2개의 별개 단일 플라이는 체스(chess) 디자인에 따라서 2개의 인접한 포켓의 동일 면(도 2 및 4a, S1 또는 S2)이 2개의 다른 별개의 단일 플라이(2,3)로 제조되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로 서로 교차하게 되는 방식으로 함께 제직된다. 열 노출의 제 1 기에 있어서(약 3초까지, T0<T1, 도 4b), 열원에 노출된 직물의 면(S1)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수축되어 공기 충전 포켓이 신속하게 형성될 것이다. 플라이(2,3)의 치수 열 수축율 차 및 직물의 체스 디자인으로 인해서, 인접한 공기 충전 포켓은 번갈라 2개의 다른 부피 V1, V2(V1>V2 도 4b)를 가질 것이다. 노출의 제 2 기(3초에서 8초까지 또는 그 이상)에서, 면(S2)도 역시 수축되기 시작할 것이다. 직물의 체스 디자인과 2개 플라이(2,3)의 치수 열 수축율 차로 인해서, 부피 V3(V3<V1, V2)을 갖는 공기 충전 포켓이 도 4c에 도시된 위치 변경 형태에 따라서 직물의 양면에 형성될 것이다. 그러한 공기 충전 구조는 나머지 시간동안 유지되어서 공기 단열 구조가 전체 열 노출 도중에 가능하게 될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직물의 2개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는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형태인 폐쇄된, 인접한 포켓이 형성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로 함께 집합된다. 예를 들어 관형 포켓 구조와 비교할 때, 사각형 포켓 구조는 날실 및 씨실 방향 모두 우수한 강도 및 인열 저항성을 제공하고 우수한 내마모성도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구조는 국소 열 입력에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는 비교적 작은 주머니에 의해 보다 큰 단열 효과를 제공한다. 사각형 포켓 구조는 본 발명의 직물에 최적의 유연성을 제공하며 우수한 시각적 미적 감각을 제공한다. 사각형 포켓의 기능성은 의복 자체의 배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직물 구조로 보다 용이하게 의복을 형성할 수 있다.
포켓의 최적 치수는 특정 용도 및 사용되는 재료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포켓의 치수가 커질수록 열 노출 도중에 형성되는 공기 충전 포켓의 부피가 더 커지므로, 보다 양호한 단열 효과가 달성된다. 그러나 이것은 실제로 재료의 수축이 공기 충전 단열 틈의 형성을 더 이상 유도할 수 없고 열 노출에도 불구하고 직물이 여전히 납작한 상태를 유지하는 특정 한계까지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포켓의 각각의 치수는 전형적으로 5 내지 50mm이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2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비중은 바람직하게는 100g/m2 내지 900g/m2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320g/m2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직물(1)은 직물의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 사이에 위치된 충전 얀을 포함한다. 충전 얀은 상기한 것들과 같은 양호한 열적 성질을 갖는 재료일 수 있는데, 이들은 직물(1)의 두께를 증가시켜서 열 및 화염과 같은 극한 조건 도중에 보다 큰 단열 부피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상기 직물의 1개 이상의 층으로 제조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내열, 내화 및 전기 아크 저항성 보호 의복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의복은 내부 층, 임의로 통기성 방수 재료로 제조된 중간 층, 및 본 발명의 상기 직물로 제조된 외부 층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보호 의복 제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직물은 2개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로 제조되는데, 전자는 의복의 내부에 위치하고 후자는 의복의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위치된 별개의 단일 플라이의 치수 열 수축율은 외부에 위치된 별개의 단일 플라이와 동일(예를 들면 2 플라이의 재료가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태양은, 예를 들면 전기 아크와 같은, 의복 착용자가 열원에 3초 이하로 노출되는 용도에 적합하다.
3초 이상의 열원 노출을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스 디자인을 갖는 직물이 상기한 이유에서 보다 적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직물은 내부에 위치된 플라이가 외부에 위치된 플라이와 적어도 동일한 양의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포함하는 2개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로 제조된다. 특정 용도에서, 의복에 증진된 기계적 성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위치된 플라이 전체가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로 제조된다.
착용자의 신체에 접하는 내부 층은 예를 들면, 2개, 3개 이상의 플라이의 직물로 제조된 단열 안감일 수 있다. 그러한 안감의 목적은 착용자를 열로부터 더 보호하는 추가의 단열 층을 갖기 위한 것이다.
내부 층은 제직, 편직 또는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층은 플리스(fleece) 또는 메타-아라미드의 제직물과 같은 비용융성 방화 재료를 포함하는 직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은 임의의 가능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편안한 착용감을 더 개선하는, 예를 들어 면 또는 기타 재료로 제조된 가장 안쪽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장 안쪽의 층은 착용자의 피부 또는 착용자의 속옷과 직접 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복은 자켓, 코트, 바지, 장갑, 오버올(overall) 및 싸개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종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이.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로부터 상표명 노멕스(등록상표) 307로 구입할 수 있는, 5cm의 절단 길이를 가지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섬유의 혼합물을 종래의 면 스테이플 가공 장치를 사용해서 두 유형의 단일 스테이플 얀(Y1 및 Y2)으로 링 방사시켰다:
93중량%의 착색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메타-아라미드), 1.4dtex 스테이플 섬유;
5중량%의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파라-아라미드) 섬유; 및
2중량%의 탄소 코어 폴리아미드 쉬쓰(sheath) 대전방지 섬유.
Y1은 Nm 60/1 또는 167dtex의 선형 밀도를 가졌으며 Z 방향으로 850의 미터 당 회전수(TPM)의 꼬임을 가졌으며 이어서 증기로 처리해서 그의 주름지려는 경향을 안정화시켰다. Y1을 씨실 얀으로 사용했다.
Y2는 Nm 70/1 또는 143dtex의 선형 밀도 및 Z 방향으로 920TPM의 꼬임을 가졌다. 이어서 Y2를 증기로 처리해서 그의 주름지려는 경향을 안정화시켰다. 2개의 Y2 얀을 겹치고 함께 꼬았다. 형성된 겹치고 꼬여진 얀(TY2)는 Nm 70/2 또는 286dtex의 선형 밀도 및 S 방향의 650TPM의 꼬임을 가졌다. TY2를 날실 얀으로 사용되었다.
Y1 및 TY2를 치수 8mm의 폐쇄된 사각형 포켓을 갖는 2플라이의 제직물로 제직했다. 도 5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서 이 직물을 제직했다. 이 제직물은 42개 말단/cm(날실)(각 플라이에 대해 21개 말단/cm), 48개 씨실/cm(씨실)(각 플라이에 대해 24개 말단/cm) 및 200g/m2의 비중을 가졌다. 이렇게 얻은 직물에 대해 하기 물리적 시험을 수행했다:
ISO 5081에 따른 파손 강도 및 신장율의 측정;
ISO 4674에 따른 인열 저항성의 측정;
ISO 5077에 따른 세탁 및 건조 후의 치수 변화율 측정;
열유량이 2.0cal/cm2/s로 보정된 단일 층으로서의 TPP 방법(NFPA 1971:2000, 섹션 6-10, ISO 17492)에 따른 통합 복사 및 대류 열 시험, TPP 등급은 사람 피부의 제 2 도 화상을 모의 실험해서 측정한 에너지(cal/cm2)이다;
ASTM F 1959/F 1959M-99에 따른 전기 아크 시험.
직물을 단일 층(표 1의 직물)으로서 그리고 1) 85중량%의 노멕스(등록상표) 및 15중량%의 케블라(등록상표)로 제조되고 135g/m2의 비중을 갖는 부직포 위의 PTFE 막 적층물(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W.L. Gore and Associates, 미국 델라웨어)로부터 상표명 고어-텍스(등록상표) 파이어블로커 N(GORE-TEX(등록상 표) Fireblocker N)으로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음)의 중간 층 및 2) 110g/m2의 비중을 갖는 100중량%의 노멕스(등록상표) N 307 직물 위에 퀼팅(quilting)된 140g/m2의 비중을 갖는 메타-아라미드 열 장벽의 내부 층을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표 1의 의복)의 외피로서 시험했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했다. 통합 복사 및 대류 열 시험 및 전기 아크 시험을 거치는 동안 직물 포켓이 팽창되었다.
날실 씨실
파손 강도(N)
신장율(%)
1390
38.6
860
36.4
인열 저항성(N) 72.8 95.5
세탁 후의 치수 변화율(%) -1.0 -2.0
비중(g/m2) 200
TPP(직물)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4.7
7.3
14.6
7.3
TPP(의복)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15.1
20.7
41.5
7.1
표 1은 특히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직물 파손 계수(FFF)에 대한 직물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FFF=TPP(cal/cm2)/직물 비중(g/m2)
단일 층으로 시험된 직물은 7.3x102cal/g의 FFF 수치를 갖는 반면에 동일한 비중 및 동일한 재료이지만, 표준 능직 구조에 따라서 제직된 유사한 직물은 6.6x102cal/g 미만의 FFF 수치를 가졌다. 이러한 수치는 당업계 숙련인에게 시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유사한 중량의 유사한 재료로 제조되는 종래의 단일 층 직물로는 통과할 수 없었던 일종의 기술적 장벽으로서 여겨졌었다.
다층 구조물의 외피로서 시험된 직물은 7.1x102cal/g의 FFF 수치를 갖는 반면에, 상응하는 종래의 다층 구조물은 5.2x102 내지 6.7x102cal/g 범위의 FFF 수치를 가졌다.
ASTM F1959에 따른 전기 아크 시험은 약 9.5cal/cm2의 ATPV 수치 및 약 12cal/cm2의 T-셔츠 상에서 측정된 파손-개방에 대한 추정 에너지(EBT)를 야기했다.
동일한 중량 및 동일한 재료이지만 표준 2/1 능직 구조로 제직된 유사한 직물은 상당히 낮은, 4.2cal/cm2 내지 5.2cal/cm2 범위의 ATPV 수치 및 10cal/cm2 내지 15cal/m2 범위의 T-셔츠 상에서 측정된 유사한 EBT 수치를 가졌다. 9.5cal/cm2의 ATPV 수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표준 2/1 능직 구조에 따라서 제직된 직물의 비중이 365g/m2 이상이어야 했다.
이 시험은 본 발명의 직물이 그의 비교적 낮은 비중에도 불구하고 전기 아크로부터의 양호한 보호를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2
다른 치수의 사각형 포켓을 갖는 2플라이 제직물을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했다.
제 1 플라이를 위해, Y1을 씨실로서 그리고 TY2를 날실로서 사용했다.
제 2 플라이를 위해, 씨실 및 날실을 다음과 같이 제조했다.
시켰다:
이.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로부터 상표명 노멕스(등록상표) N305로 구입할 수 있는, 5cm의 절단 길이를 가지며 다음으로 구성되는 섬유의 혼합물을 종래의 면 스테이플 가공 장치를 사용해서 두 유형의 단일 스테이플 얀(Y3 및 Y4)으로 링 방사시켰다:
75중량%의 착색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메타-아라미드), 1.4dtex 스테이플 섬유;
23중량%의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파라-아라미드) 1.7dtex 스테이플 섬유; 및
2중량%의 탄소 코어 폴리아미드 쉬쓰 대전방지 섬유.
Y3은 Nm 60/1 또는 167dtex의 선형 밀도를 가졌고 Z 방향으로 930TPM의 꼬임을 가졌으며, 이어서 증기로 처리해서 그의 주름지려는 경향을 안정화시켰다. Y3을 씨실 얀으로 사용했다.
Y4는 Nm 70/1 또는 143dtex의 선형 밀도를 가졌고 Z 방향으로 1005TPM의 꼬임을 가졌으며, 이어서 증기로 처리해서 그의 주름지려는 경향을 안정화시켰다.
2개의 Y4 얀을 겹치고 함께 꼬았다. 형성된 겹쳐진 얀(TY4)는 Nm 70/2 또는 286dtex의 선형 밀도 및 S 방향의 700TPM의 꼬임을 가졌다. TY4를 날실 얀으로 사용했다
8x8, 16x16 및 32x32mm의 폐쇄된 사각형 포켓을 갖는 3개의 제직물을 각각 제조했다. 이 3개의 제직물은 42개 말단/cm(날실)(각 플라이에 대해 21개 말단/cm), 48개씨실/cm(씨실)(각 플라이에 대해 24개 말단/cm) 및 200g/m2의 비중을 가졌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물리적 시험을 3개의 직물에 대해 수행했는데, 단 전기 아크 시험은 ASTM F 1959에 따랐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직물을 단일 층(표 2 직물)으로서 그리고 다층 구조물 중 외피(표 2 의복)로서 시험했다.
결과를 표 2에 기재했다. 통합 복사 및 대류 열 시험을 거치는 동안 직물의 포켓은 팽창되었다.
포켓 치수 8x8mm 16x16mm 32x32mm

파손 강도(N)
신장율(%)
날실 씨실 날실 씨실 날실 씨실
1105
10.7
750
12.1
1075
10.4
700
11.1
1065
9.7
710
11.4
인열 저항성(N) 81.0 97.0 78.7 113.2 80.2 115.8
세탁후 치수 변화율(%) -0.5 -4.0 -0.0 -4.0 -0.0 -3.5
비중(g/m2) 205 204 204
TPP(직물)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4.5
6.8
13.5
6.7

4.6
6.9
13.7
6.9

4.9
7.2
14.5
7.2
TPP(의복)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14.4
20.5
40.9
7.0

14.8
20.7
41.3
7.1

15.4
21.4
42.8
7.3
표 2는 특히 6.7x102 내지 7.2x102cal/g의 범위인 FFF 수치에 관한 직물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동일한 중량 및 동일한 재료이지만 표준 2/1 능직 구조로 제직된 유사한 직물은 6.6x102cal/g의 FFF 수치를 가졌다.
다층 구조물의 외피로서 시험된 직물은 7.0x102 내지 7.3x102cal/g 범위의 FFF 수치를 갖는 반면에, 상응하는 종래의 다층 구조물은 5.2x102 내지 6.7x102cal/g 범위의 FFF 수치를 가졌다.
표 2는 또한 포켓 크기가 클수록, 직물의 TPP 시험에 대한 성능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다른 치수의 사각형 포켓을 갖는 2플라이 제직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해서 제조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스 디자인을 얻기 위해 2 플라이를 교호시켜서 함께 제직하는데, 여기에서 인접한 2개의 포켓의 동일 면은 번갈라서 2종의 다른 별개의 단일 플라이으로 제조되었다. 도 6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서 직물을 제직했다.
8x8, 16x16 및 32x32mm의 폐쇄된 사각형 포켓을 갖는 3개의 제직물을 각각 제조했다. 3개의 직물은 42개 말단/cm(날실)(각 플라이에 대해 21개 말단/cm), 48개 씨실/cm(씨실)(각 플라이에 대해 24개 말단/cm) 및 200g/m2의 비중을 가졌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물리적 시험을 3개의 직물에 대해 수행했는데, 단 전기 아크 시험은 ASTM F1959에 따랐다.
직물을 실시예 1과 같이 단일 층(표 3 직물)으로서 그리고 다중층 구조물의 외피(표 3 의복)로서 시험했다.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했다. 직물의 포켓은 통합 복사 및 대류 열 시험을 거치는 동안 팽창했다.
포켓 치수 8x8mm 16x16mm 32x32mm
날씰 씨실 날실 씨실 날실 씨실
파손 강도(N)
신장율(%)
1090
10.8
720
12.1
1075
10.3
700
11.5
1070
9.6
690
11.0
인열 저항성(N) 89.6 112.3 107.8 75.4 110.1 78.5
세탁후 치수 변화율(%) -1.0 -4.5 -0.5 -4.5 -0.0 -4.5
비중(g/m2) 205 203 200
TPP(직물)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4.6
6.9
13.8
6.9

4.7
7.1
14.2
7.1

4.9
7.3
14.6
7.3
TPP(의복)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14.2
20.3
40.7
7.0

14.8
20.8
41.6
7.1

15.3
21.6
43.3
7.4
표 3은 직물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보다 장시간의 열 및 화염으로의 노출의 경우에 체스 디자인이 전반적으로 직물에 개선된 열적 및 기계적 성질을 제공한다.
실시예 2와 유사하게, 표 3은 또한 포켓이 클수록, TPP 시험에 관한 직물의 성능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사각형 포켓을 갖는 2플라이 제직물을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했다.
제 1 플라이를 위해서는, Y1을 씨실로서 사용하고 TY2를 날실로서 사용했다.
제 2 플라이를 위해서는, 씨실 및 날실을 다음과 같이 제조했다: 100% 케블라(등록상표) 신장 파손 섬유를 종래의 우스티드(worsted) 스테이플 가공 장치를 사용해서 두 유형의 단일 스테이플 얀(Y5 및 Y6)으로 링 방사시켰다.
Y5는 Nm 60/1 또는 167dtex의 선형 밀도를 가졌고 Z 방향으로 575TPM의 꼬임을 가졌으며, 이어서 증기로 처리해서 그의 주름지려는 경향을 안정화시켰다. Y5를 씨실 얀으로 사용했다.
Y6는 Nm 70/1 또는 143dtex의 선형 밀도를 가졌고 Z 방향으로 620TPM의 꼬임을 가졌으며, 이어서 증기로 처리해서 그의 주름지려는 경향을 안정화시켰다.
2개의 Y6 얀을 겹치고 함께 꼬았다. 형성된 겹쳐진 얀(TY6)는 Nm 70/2 또는 286dtex의 선형 밀도 및 S 방향의 600TPM의 꼬임을 가졌다. TY6을 날실 얀으로 사용했다.
8x8mm의 폐쇄된 사각형 포켓을 갖는 제직물을 제조했다. 이 직물은 42개 말단/cm(날실)(각 플라이에 대해 21개 말단/cm), 48개 씨실/cm(씨실)(각 플라이에 대해 24개 말단/cm) 및 200g/m2의 비중을 가졌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물리적 시험을 이 직물에 대해 수행했는데, 단 전기 아크 시험은 ASTM F1959에 따랐다.
직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단일 층(표 4a 직물)으로서 그리고 다층 구조물 중 외피(표 4a 의복)로서 시험했다.
결과를 표 4a에 기재했다. 통합 복사 및 대류 열 시험을 거치는 동안 직물의 포켓이 팽창되었다.
날실 씨실
파손 강도(N)
신장율(%)
3045
10.5
2080
8.7
인열 저항성(N) 208 294
세탁후 치수 변화율(%) -1.5 -2.5
비중(g/m2) 208
TPP(직물)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4.6
7.0
14.1
7.0
TPP(의복)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16.7
23.4
46.9
8.0
표 4a는 직물의 특히 다층 구조물 중 외피로서의 8.0x102cal/g의 최고 FFF 수치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파손 강도 및 인열 저항성에 대한 직물의 물리적 성능도 역시 우수했다. 동일한 성분 및 비중이지만, 표준 단층 구조에 따라서 제직된 직물은, 그 성능의 대략 반정도를 나타낼 것이다.
직물을 단일 층으로서 TATE(열 노출 후의 인장) 방법에 따라서 시험했다:
TATE 방법은 2.0cal/cm2/초로 보정된 열유량에 2초 및 4초 TPP 노출된 후의 표준 ISO 5081에 따른 파손 강도 및 신장율(스트립 방법) 측정을 기본으로 한다.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시험 기계: 2000N의 부하 셀의 일정 속도의 트래버스(traverse)(CRT)
게이지 길이: 200+1mm
샘플 폭: 50+0.5mm
트래버스 속도: 100mm/분
결과를 표 4b에 요약했다.
0s 2s 4s
파손 강도
파손 신장율
N
%
2780
9.4
2395
10.1
895
7.3
유럽에서 소방관 장비 코트의 외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직물은 1.8Ng-1cm2 내지 3.3Ng-1cm2 범위의 4초후 중량 표준화 TATE 수치(직물의 비중으로 나눈 TATE 수치)를 갖는 반면에, 이 실시예의 직물은 약 4.5Ng-1cm2의 수치를 가졌다. 이것은 이 직물이 소방관 보호 의복의 외피로서 특히 적합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실시예 5
사각형 포켓을 갖는 2플라이 제직물을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했다.
제 1 플라이에 대해서는, 씨실 및 날실을 다음과 같이 제조했다: 50% 케블라(등록상표) 및 50% 노멕스(등록상표) 장 스테이플 섬유의 혼합물을 종래의 우스티드 스테이플 가공 장치를 사용해서 두 유형의 단일 스테이플 얀(Y7 및 Y8)으로 링 방사시켰다.
Y7은 Nm 60/1 또는 167dtex의 선형 밀도를 가졌고 Z 방향으로 575TPM의 꼬임을 가졌으며, 이어서 증기로 처리해서 그의 주름지려는 경향을 안정화시켰다. Y7을 씨실 얀으로 사용했다.
Y8은 Nm 70/1 또는 143dtex의 선형 밀도를 가졌고 Z 방향으로 620TPM의 꼬임을 가졌으며, 이어서 증기로 처리해서 그의 주름지려는 경향을 안정화시켰다.
2개의 Y8 얀을 겹치고 함께 꼬았다. 형성된 겹쳐진 얀(TY8)은 Nm 70/2 또는 286dtex의 선형 밀도 및 S 방향의 600TPM의 꼬임을 가졌다. TY8을 날실 얀으로 사용했다.
제 2 플라이를 위해서, Y5를 씨실로 사용하고 TY6을 날실로 사용했다.
8x8mm의 폐쇄된 사각형 포켓을 갖는 제직물을 제조했다. 이 제직물은 42개 말단/cm(날실)(각 플라이에 대해 21개 말단/cm), 48개 씨실/cm(씨실)(각 플라이에 대해 24개 말단/cm) 및 200g/m2의 비중을 가졌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물리적 시험을 이 직물에 대해 수행했다. 직물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단일 층(표 5a 직물)으로서 그리고 다층 구조물 중 외피(표 5a 의복)로서 시험했다.
결과를 표 5a에 기재했다. 통합 복사 및 대류 열 시험과 전기 아크 시험을 거치는 동안 직물의 포켓이 팽창되었다.
날실 씨실
파손 강도(N)
신장율(%)
3575
10.9
2940
6.4
인열 저항성(N) 249 343
세탁후 치수 변화율(%) -1.5 -1.5
비중(g/m2) 210
TPP 단일 층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4.3
6.7
13.5
6.7
TPP 의복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15.5
21.4
42.9
7.3
표 5a는 직물의 특히 다중층 구조물 중 외피로서의 7.3x102cal/g의 최고 FFF 수치의 우수한 열적 성능을 보여준다. 파손 강도 및 인열 저항성에 대한 직물의 물리적 성능도 역시 우수했다.
ASTM F1959에 따른 전기 아크 시험은 약 22cal/cm2의 T-셔츠 위에서 측정된 EBT를 야기해서, 이 직물이 전기 아크로부터의 보호에 대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한다.
동일한 비중 및 동일한 재료지만 표준 2/1 능직 구조에 따라서 제직된 유사한 직물은 10cal/cm2 내지 15cal/cm2 범위의 훨씬 낮은 EBT 수치를 가졌다.
실시예 4에 기술된 TATE 방법에 따라서 직물을 단일 층으로서 시험했다.
결과를 표 5b에 요약했다.
0s 2s 4s
파손 강도
파손 신장율
N
%
3600
10.7
3360
10.3
890
7.4
유럽에서 소방관 장비 코트의 외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직물은 1.8Ng-1cm2 내지 3.3Ng-1cm2 범위의 4초후 중량 표준화 TATE 수치(직물의 비중으로 나눈 TATE 수치)를 갖는 반면에, 본 실시예의 직물은 약 4.5Ng-1cm2의 수치를 가졌다. 이것은 이 직물이 소방관 보호 의복의 외피로서 특히 적합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실시예 6
사각형 포켓을 갖는 2플라이 제직물을 실시예 1에 따라서 제조했다.
220dtex의 노멕스(등록상표) T 430 필라멘트 얀(Y9)을 제 1 플라이에 대한 씨실 및 날실로서 사용했다.
제 2 플라이의 씨실 및 날실은 다음과 같이 제조했다.
이.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로부터 상표명 노멕스(등록상표) E502로 구입할 수 있는 5cm의 절단 길이를 가지며 다음으로 구성되는, 섬유의 혼합물을 종래의 면 스테이플 가공 장치를 사용해서 두 유형의 단일 스테이플 얀(Y10 및 Y11)으로 링 방사시켰다:
93중량%의 반 결정화 에루크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메타-아라미드), 1.4dtex 스테이플 섬유;
5중량%의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파라-아라미드) 섬유; 및
2중량%의 탄소 코어 폴리아미드 쉬쓰 대전방지 섬유.
Y10은 Nm 60/1 또는 167dtex의 선형 밀도를 가졌으며 Z 방향으로 850의 미터당 회전수(TPM)의 꼬임을 가졌고, 이어서 증기로 처리해서 그의 주름지려는 경향을 안정화시켰다. Y10을 씨실 얀으로 사용했다.
Y11은 Nm 70/1 또는 143dtex의 선형 밀도를 가졌으며 Z 방향으로 920TPM의 꼬임을 가졌다. Y11을 이어서 증기로 처리해서 그의 주름지려는 경향을 안정화시켰다. 2개의 Y11 얀을 겹치고 함께 꼬았다. 형성된 겹치고 꼬여진 얀(TY11)은 Nm 70/2 또는 286dtex의 선형 밀도 및 S 방향의 650TPM의 꼬임을 가졌다. TY11을 날실 얀으로 사용했다.
Y10 및 Y11을 32mm 치수의 폐쇄된 사각형 포켓을 갖는 2플라이 제직물을 제직했다. 이 제직물은 42개 말단/cm(날실)(각 플라이에 대해 21개 말단/cm), 48개 씨실/cm(씨실)(각 플라이에 대해 24개 말단/cm) 및 210g/m2의 비중을 가졌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물리적 시험을 직물에 대해 수행했는데, 단 전기 아크 시험은 ASTM F 1959에 따랐다.
결과를 표 6에 기재했다. 통합 복사 및 대류 열 시험을 거치는 동안 직물의 포켓이 팽창되었다.
날실 씨실
파손 강도(N)
신장율(%)
1350
31.5
1170
27.4
인열 저항성(N) 120.2 118.2
세탁후 치수 변화율(%) -1.0 -3.0
비중(g/m2) 210
TPP 단일 층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4.4
7.4
14.9
7.1
TPP 의복
통증 기록 시간(s)
2도 화상(s)
TPP 등급(cal/cm2)
직물 파손 계수(10-2cal/g)

16.3
22.9
45.7
7.7
표 6은 단일 층 및 다중 층 중 외피로서의 직물의 우수한 열적 성능을 나타낸다. 파손 강도 및 인열 저항성과 같은 직물의 물리적 성질 또한 우수했다. 이러한 직물은 그의 시각적 미적 감각(견과 같은 모양) 및 그의 우수한 보호 대 경량도 비율로 인해서 경주용 의복의 제조에 매우 적합하다.
현재 동일한 성능은 400g/m2 초과의 전체 비중을 갖는 통상적인 단일 층 직물로 달성된다.

Claims (24)

  1. 날실 및 씨실 구조를 각각 포함하는 별개의 단일 플라이(ply)를 2개(2,3) 이상 포함하고,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는 면(S1) 및 면(S2)를 갖는 폐쇄된 사각형 형태의 인접한 포켓(pocket)이 형성되어 체스판 디자인을 갖는 직물을 제공하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로 함께 집합되어 있으며,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의 날실 및 씨실 구조는 아라미드 섬유 및 필라멘트, 폴리벤즈이미다졸 섬유 및 필라멘트, 폴리아미드이미드 섬유 및 필라멘트, 폴리(파라페페닐렌 벤조비스악사졸) 섬유 및 필라멘트, 페놀포름알데히드 섬유 및 필라멘트, 멜라민 섬유 및 필라멘트, 천연 섬유 및 필라멘트, 합성 섬유 및 필라멘트, 인조 섬유 및 필라멘트, 유리 섬유 및 필라멘트, 탄소 섬유 및 필라멘트, 금속 섬유 및 필라멘트, 및 그의 복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재료를 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의복의 단일 또는 외부 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내열, 내화 및 전기 아크 저항성 직물(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의 날실 및 씨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모노필라멘트 얀, 멀티필라멘트 얀, 방사 얀 및 코어(core) 방사 얀을 기재로 하는 것인 직물(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의 날실 및 씨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 얀, 꼬임 얀 및 혼성 얀인 직물(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의 날실 및 씨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아라미드 섬유, 아라미드 모노필라멘트,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 또는 아라미드 및 폴리벤즈이미다졸의 복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단일 및 꼬임 얀을 포함하는 것인 직물(1).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의 날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아라미드 모노필라멘트 또는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단일 및 꼬임 얀을 포함하고, 씨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교호 서열로서, 아라미드 모노필라멘트의 단일 또는 꼬임 얀 또는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의 단일 또는 꼬임 얀을 포함하는 것인 직물(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단일 플라이(2,3)의 씨실 구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교호 서열로서, 2종 이상의 다른 아라미드 필라멘트의 단일 및 꼬임 얀을 포함하는 것인 직물(1).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개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로 구성된 직물(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는 폴리-m-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직물(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일 플라이 중 하나가 전체적으로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로 제조되는 것인 직물(1).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 단일 플라이(2,3)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직물(1).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는 다른 치수 열 수축율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직물(1).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를, 이들이 서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교차해서 2개의 인접한 포켓의 동일 면(S1 또는 S2)이 2개의 다른 별개의 단일 플라이(2,3)로 번갈라서 제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 제직되는 직물(1).
  13. 삭제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각 면이 5 내지 50mm인 직물(1).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각 면이 8 내지 32mm인 직물(1).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00g/m2 내지 900g/m2 범위의 비중을 갖는 직물(1).
  17. 제 16 항에 있어서, 170 내지 320g/m2 범위의 비중을 갖는 직물(1).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충전 얀이 2개 이상의 별개 단일 플라이(2,3) 사이에 위치하는 직물(1).
  19. 제 1 항에 따른 직물(1)의 1개 이상의 층으로 제조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내열, 내화 및 전기 아크로부터의 보호 의복.
  20. 제 19 항에 있어서, 내부층, 임의로 통기성 방수 재료로 제조된 중간 층 및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직물로 제조된 외부 층을 포함하는 의복.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1)은 2개 이상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2,3)로 구성되는데, 전자는 의복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고 후자는 외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위치된 별개의 단일 플라이의 치수 열 수축율이 외부에 위치된 별개의 단일 플라이의 치수 열 수축율보다 낮은 것인 의복.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의 단일 플라이는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포함하고, 내부에 위치된 플라이는 외부에 위치된 플라이와 적어도 동일한 양의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에 위치된 플라이 전체가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로 제조되는 것인 의복.
  24. 삭제
KR1020057004100A 2002-09-12 2003-09-03 보호 의복용 직물 KR101025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14118U DE20214118U1 (de) 2002-09-12 2002-09-12 Stoff für Arbeitsschutzbekleidung
DE20214118.7 2002-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929A KR20050054929A (ko) 2005-06-10
KR101025691B1 true KR101025691B1 (ko) 2011-03-30

Family

ID=797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100A KR101025691B1 (ko) 2002-09-12 2003-09-03 보호 의복용 직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932194B2 (ko)
EP (1) EP1542558B2 (ko)
JP (1) JP4446274B2 (ko)
KR (1) KR101025691B1 (ko)
CN (1) CN100418448C (ko)
AU (1) AU2003255948A1 (ko)
BR (1) BR0313989B1 (ko)
CA (1) CA2498018C (ko)
DE (2) DE20214118U1 (ko)
ES (1) ES2271691T5 (ko)
MX (1) MXPA05002642A (ko)
WO (1) WO20040239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022A1 (en) * 2004-08-27 2006-03-02 Yves Bader Thermally-resistant composite fabric sheet
FR2879408B1 (fr) * 2004-12-20 2007-04-20 Kermel Soc Par Actions Simplif Materiau multicouches pour vetements de protection contre la chaleur
WO2007073540A1 (en) 2005-12-16 2007-06-2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al performance garments comprising an ultraviolet light tolerant outer shell fabric of polypyridobisimidazole and polybenzobisoxazole fibers
EP1959772B1 (en) * 2005-12-16 2010-05-0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arments comprising a flexible high thermal performance outer shell fabric of polybenzimidazole and polypyridobisimidazole fibers
DE602006011955D1 (de) * 2005-12-16 2010-03-11 Du Pont Kleidungsstücke aus einem hochfesten aussenschalengewebe mit extremer thermaler leistung aus polybenzimidazol- und polypyridobisimidazolfasern
WO2007076263A1 (en) * 2005-12-16 2007-07-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al performance garments comprising a bleach tolerant outer shell fabric of polypyridobisimidazole and polybenzobisoxazole fibers
ES2327883B1 (es) * 2006-07-18 2010-09-06 Tejidos Estambril, S.A. Tejido de proteccion termica.
WO2008114285A1 (en) * 2007-03-16 2008-09-25 Area 52 S.R.L. Fire-proof fabric
WO2008154405A1 (en) * 2007-06-08 2008-12-18 Aasgaard Alvin L Pepper An article of manufacture for warming the human body and extremities via graduated thermal insulation
DE202007014673U1 (de) * 2007-10-19 2007-12-13 Theodolf Fritsche Gmbh & Co. Kg Stoff für Schutzbekleidung gegen Störlichtbogen
US8349438B2 (en) * 2008-01-03 2013-01-08 The Boeing Company Insulative material and associated method of forming same
US7947614B2 (en) * 2009-07-31 2011-05-24 Rinoud Hanna Multi-layered fire retardant
US20120183747A1 (en) 2009-11-05 2012-07-1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Useful aramid blends
US20130118635A1 (en) * 2009-12-14 2013-05-16 International Global Trading Usa, Inc. Flame, Heat and Electric Arc Protective Yarn and Fabric
US20110138523A1 (en) * 2009-12-14 2011-06-16 Layson Jr Hoyt M Flame, Heat and Electric Arc Protective Yarn and Fabric
CN101973148B (zh) * 2010-08-20 2014-02-12 圣欧芳纶(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防电弧织物、制作方法及其应用
CN101967713B (zh) * 2010-09-13 2012-08-29 无锡华东创新材料研究院 遇热膨胀的阻燃面料及由其制得的防火隔热服装
CN102477624A (zh) * 2010-11-29 2012-05-30 北京新风机械厂 一种防热抗烧蚀复合材料的增强体
CA2830762A1 (en) 2011-03-22 2012-09-27 Barrday Inc. Multilayer fabric platform designed for flame and thermal protection
US9150986B2 (en) 2011-05-04 2015-10-06 Nike, Inc. Knit component bonding
US9706804B1 (en) 2011-07-26 2017-07-18 Milliken & Company Flame resistant fabric having intermingled flame resistant yarns
CN102383237A (zh) * 2011-09-30 2012-03-21 江苏喜登博服饰有限公司 一种新型耐热抗燃面料
FR2987846A1 (fr) * 2012-03-07 2013-09-13 Sofileta Fil a base de meta-aramide a tenacite elevee et textile mettant en oeuvre ce fil
FR2990331B1 (fr) * 2012-05-09 2014-05-23 Sofileta Textile bicouche de protection contre la chaleur et vetement de protection contre le feu et/ou la chaleur mettant en oeuvre ce textile
WO2014019611A1 (en) * 2012-07-31 2014-02-06 W. L. Gore & Associates Gmbh Envelope for a laminar structure providing adaptive thermal insulation
CN103054233A (zh) * 2013-02-21 2013-04-24 张子学 一种玉米田间操作防护服
CN103331958A (zh) * 2013-07-16 2013-10-02 徐州亿盈纺织科技有限公司 双层阻燃纺织布料及其制造方法
CN103343453A (zh) * 2013-07-16 2013-10-09 徐州亿盈纺织科技有限公司 超挺阻燃纺织布料及其制造方法
CN103343454A (zh) * 2013-07-16 2013-10-09 徐州亿盈纺织科技有限公司 阻燃纺织布料及其制造方法
CN103361987B (zh) * 2013-07-16 2015-12-23 吴豪 多层阻燃纺织布料及其制造方法
WO2015041734A1 (en) * 2013-09-23 2015-03-26 Milliken & Company Enhanced char integrity fabric
CN103526413A (zh) * 2013-10-24 2014-01-22 吴江市曼特思纺织有限公司 一种多功能阻燃面料
US9732446B2 (en) 2013-11-04 2017-08-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at resistant outershell fabric
CN103535952A (zh) * 2013-11-05 2014-01-29 吴江市森豪纺织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防皱面料
CN104256943B (zh) * 2014-09-11 2015-11-11 张矢超 一种防电弧服及其制备方法
CN204530130U (zh) * 2014-12-17 2015-08-05 特大纺织制品(深圳)有限公司 一种绳子
US10988868B2 (en) 2015-03-20 2021-04-27 Sysco Guest Supply, Llc Textile structures comprising core spun yarns and associated methods for manufacture
US10036135B2 (en) 2015-10-23 2018-07-31 Philip S. Dunlap Methods and systems to contain pollution and hazardous environments (CPHE)
CN105297225A (zh) * 2015-10-30 2016-02-03 太仓市璜泾镇佳梦化纤厂 一种耐高温耐用混纺纤维
EP3385418B1 (en) 2015-12-02 2021-07-14 Teijin Limited Fabric and protective product
CN105437702A (zh) * 2015-12-29 2016-03-30 东华大学 一种多层热防护服夹芯复合结构材料
CN108601410B (zh) * 2016-01-13 2021-06-29 杜邦安全与建筑公司 改进的热防护服
CN105506829B (zh) * 2016-01-28 2016-10-26 杭州启澄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维修防护服用的绝缘材料
US20180020740A1 (en) * 2016-07-19 2018-01-25 Rushton Douglass Prince Upper garment eyewear retaining system
CN106400257A (zh) * 2016-08-30 2017-02-15 江阴市越华毛纺织有限公司 一种抗污性高的羊毛复合面料
US9598797B1 (en) * 2016-09-01 2017-03-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rbon-containing arc-resistant aramid fabrics from dissimilar yarns
CA3039312A1 (en) * 2016-11-01 2018-05-11 Teijin Limited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iber product
RU2654445C1 (ru) * 2016-11-29 2018-05-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орговый Дом Текстиль" Защитная экранирующая термостойкая ткань
WO2018144504A1 (en) * 2017-02-01 2018-08-09 Knitmasters, Llc Spacer fabric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18182567A1 (en) 2017-03-27 2018-10-04 Sysco Guest Supply, Llc Terry towels comprising core spun yarns and associated methods for manufacture
US10874547B2 (en) 2017-07-10 2020-12-29 David L. Burge Therapeutic textile articles and methods of use
US20190186055A1 (en) * 2017-12-14 2019-06-20 The Gap, Inc. Yarn formed from recycled cotton and recycled para-aramid, and fabrics made therefrom
EP3728712A4 (en) * 2017-12-19 2021-09-22 Healthtextiles I Sverige AB NEW YARN AND FABRIC
DE102018204138B3 (de) * 2018-03-19 2019-06-19 Ibena Textilwerke Gmbh Hitzeschutzbekleidung und Verwendung eines Warenwechsel-Gewebes
DE102018004982A1 (de) 2018-06-19 2019-12-19 Gebrüder Otto Baumwollfeinzwirnerei GmbH & Co. KG Verwendung eines textilen Flächenmaterials mit Garnen mit niedrigem Drehungsbeiwert zur Herstellung von thermisch und/oder elektrisch isolierener Bekleidung
CN112867412B (zh) * 2018-10-19 2023-02-2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凸起结构的针织部件和制造方法
EP3901339B1 (en) * 2018-12-17 2023-07-05 Teijin Limited Cloth and protective product
CN109610092B (zh) * 2018-12-26 2021-04-13 四川金象赛瑞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抛光用无纺布
CN109576868B (zh) * 2018-12-27 2021-05-14 陕西元丰纺织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防电弧面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4018A (en) * 1956-11-05 1959-04-28 Henri A Delcellier Heat resistant woven cloth
US3061839A (en) * 1959-09-17 1962-11-06 Us Rubber Co Armored housing fabric
US3359610A (en) * 1963-12-17 1967-12-26 Deering Milliken Res Corp Woven fabrics
JPS4324548Y1 (ko) 1966-06-18 1968-10-16
JPS4733272U (ko) 1971-05-04 1972-12-14
US4814222A (en) 1986-05-14 1989-03-21 Burlington Industries, Inc. Aramid fibers with improved flame resistance
US4897886A (en) 1988-11-30 1990-02-06 Grilliot William L Firefighter's garments having minimum weight and excellent protective qualities
US5685347A (en) * 1989-02-16 1997-11-11 Airbags International Limited Circular air bag made of two simultaneously woven fabrics
JPH05287635A (ja) 1992-03-31 1993-11-02 Advance Kyodo Kumiai 二重織物
US5701606A (en) 1993-09-10 1997-12-30 Lion Apparel, Inc. Firefighter garment with closed-cell foam liner
JP2000021281A (ja) 1998-07-06 2000-01-21 Omron Corp 電磁継電器
JP3768359B2 (ja) 1999-01-12 2006-04-19 帝人テクノプロダクツ株式会社 耐熱性防護服
WO2000057738A2 (en) * 1999-03-29 2000-10-05 N.V. Bekaert S.A. Heat-resistant garment
GB9909850D0 (en) * 1999-04-28 1999-06-23 Hainsworth A W & Sons Ltd Fire resistant textile material
US6974785B1 (en) 2000-03-02 2005-12-13 Bacou-Dailoz Protective Apparel Outer shell fabric for fire protective garments for firefighters and for workers exposed to risk of flash fire or electric arc
FR2831771B1 (fr) 2001-11-07 2004-08-27 Kermel Materiau complexe multicouches en feuille utilisable pour la realisation de vetements de protection notamment pour sapeurs-pomp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2558A2 (en) 2005-06-22
WO2004023909A2 (en) 2004-03-25
DE60307865D1 (de) 2006-10-05
CN1681407A (zh) 2005-10-12
MXPA05002642A (es) 2005-05-05
JP4446274B2 (ja) 2010-04-07
WO2004023909A3 (en) 2004-06-03
CN100418448C (zh) 2008-09-17
BR0313989B1 (pt) 2012-12-11
BR0313989A (pt) 2005-07-19
DE60307865T3 (de) 2013-04-25
US7932194B2 (en) 2011-04-26
KR20050054929A (ko) 2005-06-10
EP1542558B2 (en) 2012-12-05
ES2271691T3 (es) 2007-04-16
US20060035553A1 (en) 2006-02-16
JP2006516306A (ja) 2006-06-29
AU2003255948A1 (en) 2004-04-30
CA2498018C (en) 2011-01-04
CA2498018A1 (en) 2004-03-25
DE20214118U1 (de) 2002-11-14
ES2271691T5 (es) 2013-03-22
EP1542558B1 (en) 2006-08-23
DE60307865T2 (de)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691B1 (ko) 보호 의복용 직물
KR101215713B1 (ko) 내열성 및 난연성 홑겹 직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 및 화염에 대한 보호 의류
JP4567738B2 (ja) 二層構造織物及びそれを用いた耐熱防護衣料
EP1796492B1 (en) Thermally-resistant composite fabric sheet
EP1315860B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fire resistant textile material
US9732446B2 (en) Heat resistant outershell fabric
JP4319912B2 (ja) 保護服
MXPA06011102A (en) Fabric for protective gar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