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456B1 -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456B1
KR101025456B1 KR1020050112286A KR20050112286A KR101025456B1 KR 101025456 B1 KR101025456 B1 KR 101025456B1 KR 1020050112286 A KR1020050112286 A KR 1020050112286A KR 20050112286 A KR20050112286 A KR 20050112286A KR 101025456 B1 KR101025456 B1 KR 10102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coil
fastening hole
coil
main bod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362A (ko
Inventor
허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11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4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 선단에 구비된 고정편이 본체의 커버에 구비되는 체결홀에 압입 체결되어 본체와 솔레노이드코일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는, 본체의 커버의 내측에 체결홀이 형성되고,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의 선단에는 커버의 체결홀에 압입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솔레노이드코일의 고정편의 선단에는 커버의 체결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선형의 촉부가 구비되며, 솔레노이드코일의 고정편의 후단에는 고정편이 체결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홀의 내측벽에 압착되도록 후방을 향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편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solenoid coil to ECU}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제어유닛에 솔레노이드코일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에 솔레노이드코일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b, 5c는 도5a의 부분Ⅴ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베이스
14: 커버 14a: 체결홀
20: 인쇄회로기판 30: 솔레노이드코일
32: 몸체 34: 보빈돌기
36: 코일핀 38: 고정편
38a: 촉부 38b: 지지편
본 발명은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코일을 전자제어유닛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코일핀의 선단에 고정편을 형성하고 커버에 체결홀을 형성하여 상호 체결시키는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자동차의 다양한 구동 또는 작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전자제어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제어유닛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장방형의 본체(1)을 구비한다. 본체(1)의 저면에는 베이스(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1)의 내측에는 다양한 다이오드, 메모리 또는 디바이스(3a) 등이 삽설된 인쇄회로기판(3)이 구비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3)은 연결핀(5)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핀(5)은 본체(1)의 베이스(2)에 인서트되거나 삽설되어 고정된다. 물론 연결핀(5)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은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본체(1)의 베이스(2)에는 솔레노이드코일(6)이 설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코일(6)은 원통형의 몸체(6a)와, 그 몸체(6a)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보빈돌기(6b)를 구비한다. 보빈돌기(6b)에는 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핀(7)이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코일핀(7)에는 예컨대 서브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인쇄회로기판(3)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부(7a)가 형성된다. 그 접속부(7a)는 인쇄회로기판(3)에 형성되는 패턴홀(h)에 강제로 압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다소 두껍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의 결합구조에서는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과 전자회로키판간의 결합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충격, 진동의 발생시 코일의 무게에 의한 관성이 크므로 코일핀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탈되어 전기적 접속을 이루지 못하게 되며, 결국 정상적인 제어를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코일이 본체 및 전자회로기판에 견고한고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지동 또는 충격의 발생시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탈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면에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커버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디바이스가 삽설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본체의 베이스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핀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핀이 구비 되는 보빈돌기가 상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코일을 구비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커버의 내측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의 선단에는 상기 커버의 체결홀에 압입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가 적용되는 전자제어유닛은 기본적으로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장방형의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의 저면에는 베이스(12)가 구비된다. 베이스(12)의 제위치에는 후술되는 솔레노이드코일의 보빈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0)의 상부에는 그 본체의 내부를 차폐하기 위한 커버(14)가 구비된다. 특히 커버(14)에는 후술되는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의 단부가 압입고정되는 체결홀(1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의 내측에는 인쇄회로기판(20)이 설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2개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서브 인쇄회로기판으로 구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인쇄회로기판(20)에는 다양한 다이오드, 메모리 또는 디바이스(22) 등이 삽설된다. 인쇄회로기판(20)의 제위치, 즉 베이스(12)의 관통공(12a)과 커버(14)의 체결홀(14a)을 연결하는 직선상의 위치에는 후술되는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이 삽입 고정되는 접속공(20a)이 천공 형성된다.
한편, 본체(10)의 베이스(12), 커버(14) 및 인쇄회로기판(20)에 결합되거나 전기저으로 연결되는 솔레노이드코일(30)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의 몸체(32)를 구비한다. 그 몸체(32)의 상부면 일측에는 보빈돌기(3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보빈돌기(34)에는 몸체(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는 코일핀(36)이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코일핀(36)의 제위치 또는 대체로 상부위치에는 인쇄회로기판(20)의 접속공(20a)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부(36a)가 형성된다. 그 접속부(36a)는 인쇄회로기판(20)과 원활한 전기적 접속을 위해 그것의 접속공(20a)에 견고하게 압입되도록 충분한 두께를 지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코일핀(36)의 상단에는 그 코일핀(36)은 물론 솔레노이드코일(30)자체가 본체(1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편(38)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고정편(38)은 본체(10)의 커버(14)에 형성된 체결홀(14a)에 삽입은 용이한 반면, 일단 삽입된 상태에서는 용이하게 빠져 나오거나 이탈될 수 없도록 화살촉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편(38)은 선단에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유선형의 예리한 촉부(38a)가 형성되는 반면, 후단에는 체결홀(14a)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 체결홀(14a)의 내측벽에 지지되어 쉽게 이탈될 수 없도록 그 촉부(38a)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며 다소의 탄성을 갖는 플랜지형 지지편(38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인쇄회로기판(20)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연결핀(40)에 의해 본체(10)의 베이스(12)에 고정되는 바, 이와 같은 연결핀을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20)의 연결방식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핀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 또는 제조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인쇄회로기판(20)을 본체(10)의 내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핀(40)을 이용하여 본체(10)의 베이스(12)에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본체(10)의 베이스(12)의 하부로부터 솔레노이드코일(30)을 장착한다. 이때, 솔레노이드코일(30)의 몸체(32)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보빈돌기(34)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코일핀(36)의 고정편(38)은 베이스(12)의 관통공(12a)과 인쇄회로기판(20)의 접속공(20a)을 통과한다.
이후, 코일핀(36)이 완전히 관통공(12a)과 접속공(20a)을 통과하면, 본체(10)의 베이스(12)의 관통공(12a)에는 보빈돌기(34)가 삽입고정되며, 인쇄회로기판(20)의 접속공(20a)에는 그 코일핀(36)의 접속부(36a)가 입입되어 솔레노이드코일(30)과 인쇄회로기판(20)상호간의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 또는 제조업자가 커버(14)를 본체(10)를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폐쇄하면, 도 5a, 5b,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커버(14)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홀(14a)이 코일핀(36)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편(38)에 외삽되어, 결국 고정편(38)이 체결홀(14a)에 압입된다. 이때, 고정편(38)의 선단에는 유선형의 예리한 촉부(38a)가 형성되어 있어 커버(14)의 체결홀(14a)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반 면, 일단 고정편(38)이 체결홀(14a)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 후방에 형성된 지지편(38b)이 그 체결홀(14a)의 내측벽에 압착 지지되어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자제어유닛의 본체(10)에 솔레노이드코일(30)이 장착되거나 결합된 상태로, 차량의 탑재되면, 차량의 운전 중 충격, 진동 또는 요동이 발생하더라도 솔레노이드코일(30), 특히 코일핀(36)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진동 또는 요동이 발생되어 본체(10) 또는 솔레노이드코일(30)에 전달되거나 코일핀(36)에 후퇴력이 가해지는 경우, 그 솔레노이드코일(30)의 코일핀(36)의 후단에 구비된 지지편(38a)이 체결홀(14a)의 내측벽에 압착 및 지지되거 파고들게 되어, 그 고정편(38)이 체결홀(14a)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결국 솔레노이드코일이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그 코일핀(36)의 접속부(36a)는 인쇄회로기판(20)의 접속공(20a)에 유지되어 항상 안정적인 전기적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솔레노이드코일(30)의 보빈돌기(34)는 본체(10)의 베이스(12)의 관통공(12a)에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항상 전자제어유닛의 역할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에 의하면,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의 선단에 구비된 고정편이 본체의 커버에 구비되는 체결홀에 압입 체결됨으로써 본체와 솔레노이드코일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전기접속이 유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저면에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커버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디바이스가 삽설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본체의 베이스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핀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핀이 구비되는 보빈돌기가 상부에 형성되는 솔레노이드코일을 구비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커버의 내측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의 선단에는 상기 커버의 체결홀에 압입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의 코일핀의 고정편의 하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접속공에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의 고정편의 선단에는 상기 커버의 체결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선형의 촉부를 구비하는 화살촉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의 고정편의 후단에는, 상기 고정편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홀의 내측벽에 압착되도록 후방을 향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KR1020050112286A 2005-11-23 2005-11-23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KR10102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286A KR101025456B1 (ko) 2005-11-23 2005-11-23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286A KR101025456B1 (ko) 2005-11-23 2005-11-23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362A KR20070054362A (ko) 2007-05-29
KR101025456B1 true KR101025456B1 (ko) 2011-04-04

Family

ID=3827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286A KR101025456B1 (ko) 2005-11-23 2005-11-23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4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716U (ko) * 1996-12-30 1998-09-25 양재신 전자제어모듈(ecm)케이스
JP2001088198A (ja) 1999-09-20 2001-04-03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の押出成形装置
JP2002299867A (ja) 2001-04-04 2002-10-11 Denso Corp 電子制御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716U (ko) * 1996-12-30 1998-09-25 양재신 전자제어모듈(ecm)케이스
JP2001088198A (ja) 1999-09-20 2001-04-03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の押出成形装置
JP2002299867A (ja) 2001-04-04 2002-10-11 Denso Corp 電子制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362A (ko) 200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9462A1 (en) Fastening member
JP2019156098A (ja) 取付構造
KR101025456B1 (ko) 전자제어유닛의 솔레노이드코일 결합구조
US20080137313A1 (en) Fastening support assembly
US7118412B2 (en) Apparatus for fixing connector for airbag module
WO2020096005A1 (ja) 固定具
KR20070049881A (ko) 전자제어유닛의 인쇄회로기판 연결구조
JP2008251820A (ja) チップ形コンデンサ
JP2001251069A5 (ko)
JP4856453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KR100922155B1 (ko) 박스의 브라켓
JP4504764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コネクタ取付構造およ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組立方法
JP2005064085A (ja) 樹脂部品のシャーシへの取付構造
KR200466959Y1 (ko) 차량용박스
WO2022181802A1 (ja) 車両用外装部品
KR20030016928A (ko) 인쇄회로기판의 파손방지용 결합구조
KR100850031B1 (ko) 자동차용 카오디오 커넥터
KR20050032375A (ko) 자동차의 엠블럼 고정구조
KR100588673B1 (ko) 차량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KR200233073Y1 (ko)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JP4687646B2 (ja) 電子機器及び基板取付構造
JP2006303064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5452786B2 (ja) 基板組み付け構造および電子機器
KR200346084Y1 (ko) 휴대폰 안테나의 터미널
KR100623370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