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073Y1 -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073Y1
KR200233073Y1 KR2020010005358U KR20010005358U KR200233073Y1 KR 200233073 Y1 KR200233073 Y1 KR 200233073Y1 KR 2020010005358 U KR2020010005358 U KR 2020010005358U KR 20010005358 U KR20010005358 U KR 20010005358U KR 200233073 Y1 KR200233073 Y1 KR 200233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assembly
fastening
clip member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to KR2020010005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073Y1/ko

Link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일측단부는 외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중앙으로 관통구멍(11)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 도어글래스(100)를 상부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받침턱(12)이 형성된 몸체(10)와, 걸림턱(430)이 형성된 상, 하 체결용 보스(420a)(420b) 및 좌, 우 체결용 보스(410a)(410b)로 이루어져 그 중심이 상기 관통구(11)멍과 일치한 상태로 구비된 체결부(400)와, 상기 체결부(400)에 착탈가능하도록 조립부재(520)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재(520)의 외측으로는 상부로 돌출되게 조립턱(521)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재(520)의 중심부에 조립구멍(510)이 형성된 클립부재(500)와, 상기 클립부재(50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완충수단(60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체결부가 일측에 구비된 몸체와 완충수단이 연장되게 형성된 클립부재로 분리 구성되는 것에 의해 도어글래스의 두께변화에 따른 공용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클립부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완충수단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어글래스가 체결구에 의해 밀리는 것을 도어글래스 외측에서 상기 클립부재가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써, 이를 통한, 소음발생요인을 미연에 발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내에 클립부재의 오조립방지 및 회전방지용 보스를 위치시켜, 장착 작업성 향상 및 오조립에 따른 도어글래스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Door glass fixing bracket}
본 고안은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도어글래스를 체결할 경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 하강에 의한 도어글래스가 밀려나거나 체결부위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글래스는 캐리어 플레이트(carrier plate)에 고정되고, 이 캐리어 플레이트는 레귤레이터(regulator)에 장착되어져 상기 도어글래스가 상승 또는 하강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어글래스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캐리어플레이트에 고정된다.
그러나, 캐리어 플레이트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도어글래스를 직접적으로 고정시킬 경우 상기 체결구에 의해 도어글래스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최근에는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즉, 상기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는,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내측으로 도어글래스(1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12')가 형성되고, 몸체(10') 중앙으로는 관통구멍(11')이 도어글래스(100')의 체결구멍(110')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구비되어 있으며, 별도의 체결구(200')를 통하여 도어글래스(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너트(20')를 수납한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몸체(10') 일측 단부는 케리어플레이트(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10') 일측부에 캐리어 플레이트(30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어글래스(100')를 수납부(12')에 삽입시킨 후 캐리어플레이트(300') 외측으로부터 체결구(200')를 관통시켜 너트(20')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도어글래스(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구(200')는 몸체(1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너트(20')에 의해 그 고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글래스(100')를 수납부내에 밀착시켜, 상기 도어글래스(100')가 승, 하강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다른 형상의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캐리어 플레이트(300')에 도어글래스(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때에는 일측이 절곡형성된 몸체(10')의 타측으로 보스(30')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스(30') 및 몸체(10')의 중앙으로는 관통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 하부로는 받침턱(12')이 절곡형성되어 도어글래스(100')를 체결할 경우 상기 도어글래스(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일측이 절곡형성된 몸체(10')에 캐리어 플레이트(30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몸체(1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턱(12')에 도어글래스(100') 하부를 위치시킨 후 몸체(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는 보스(30')를 상기 도어글래스(100')의 체결구멍(110')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00') 외측에서부터 체결구(200')를 삽입시키게 되면, 체결구멍(110')에 삽입되어 있는 보스(30')가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도어글래스(1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스(30')의 외주면에 걸림턱(31') 등을 돌출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별도의 체결구용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도어글래스(100')가 승, 하강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떨림 및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잇점을 갖기 때문이며, 또한, 비교적 설치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는, 그 내부에 너트를 삽입한 후 체결구를 통해 도어글래스를 고정할 경우, 상기 너트를 삽입한 상태로 성형해야 하므로써, 자동화 설비의 투자 및 상대적 생산성 저하에 따른 제품 단가가 상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너트와 체결가능한 체결구를 사용해야 하는 제약이 따르며, 체결구가 교체될 경우 도어글래스의 파손 등을 불러올 수 있으며, 다양한 두께를 갖는 도어글래스를 고정할 경우에는 각각의 도어글래스에 맞는 별도의 브라켓트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또한, 보스 내부에 체결구를 삽입하여 상기 보스가 확장되면서 도어글래스를고정하는 경우에는 체결구가 보스내부에서 헛도는 경우가 빈번하여 고정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보스가 확장되면서, 도어글래스를 고정하는 것이므로써, 고정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곧 도어글래스의 장착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도어글래스가 캐리어플레이트에 이탈되거나 승, 하강시 진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부가 일측에 구비된 몸체와 완충수단이 연장되게 형성된 클립부재로 분리하여 도어글래스의 두께변화에 따른 공용화가 가능하도록 한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클립부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완충수단을 형성하여 도어글래스를 고정할 경우 안정적이며, 이를 통한 소음발생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체결부내에 클립부재의 오조립방지 및 회전방지용 보스를 위치시켜, 장착 작업성 향상 및 오조립에 따른 도어글래스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의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2 - 받침턱
100 - 도어글래스 200 - 체결구
300 - 캐리어 플레이트 400 - 체결부
500 - 클립부재 600 - 완충수단
620 - 완충부재 900 - 회전방지용 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단부는 외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중앙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 도어글래스를 상부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받침턱이 형성된 몸체와;
걸림턱이 형성된 상, 하 체결용 보스 및 좌, 우 체결용 보스로 이루어져 그 중심이 상기 관통구멍과 일치한 상태로 구비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조립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재의 외측으로는 상부로 돌출되게 조립턱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재의 중심부에 조립구멍이 형성된 클립부재와;
상기 클립부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완충수단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몸체와 클립부재를 통하여 캐리어플레이트에 도어글래스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클립부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완충수단을 통하여 도어글래스의 두께 변화에 따른 공용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체결구의 진행방향에 따른 도어글래스가 밀리는 것을 억제하여 도어글래스 승, 하강에 따른 소음발생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인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의 형상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몸체(10)의 일측단부는 외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도어글래스(100)를 상부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받침턱(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턱(12)의 상부에는 그 중심이 관통구멍(11)과 일치하며, 상, 하 체결용 보스(420a)(420b) 및 좌, 우 체결용 보스(410a)(410b)로 이루어지는체결부(4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400)를 이루는 상, 하 체결용 보스(420a)(420b) 및 좌, 우 체결용 보스(410a)(410b)에는 각각 걸림턱(430)이 형성되는데, 상, 하 체결용 보스(420a)(420b)에는 내측으로 위치하며, 좌, 우 체결용 보스(410a)(410b)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400)에 착탈되는 클립부재(500)는 상기 체결부(400)에 삽입되는 조립부재(520)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조립부재(520)의 중심부에는 조립구멍(510)이 관통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부재(500)에서 상, 하 양측으로는 완충수단(600)이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수단(600)은 조립부재(520)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그 단부에 구형상의 접지구(610)가 형성된 완충부재(620)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캐리어 플레이드(300)에 일측단부가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는 몸체(10)를 밀착시키고, 상기 몸체(10)에 구비된 체결부(400)에 도어글래스(100)를 체결하게되면, 상기 도어글래스(100)는 몸체(1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턱(12)의 상부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클립부재(500)를 몸체(10) 방향으로 삽입 전진시키 상, 하 체결용 보스(420a)(420b)에 형성되어 있는 걸리턱(430)과 조립부재(520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턱(521)이 상호 결착 된다.
한편, 상기 조립부재(520)는 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400)의 길이보다 그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어글래스(100)의 두께가 완충부재(620)가 뒤로 밀려나는 변형의 값보다 클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클립부재(500)가 오조립될 경우를 억제하기 위하여 체결부(400)를 구성하는 상, 하 체결용 보스(420a)(420b) 및 좌, 우 체결용 보스(410a)(410b) 사이에 회전방지용 보스(90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방지용 보스(900)는, 클립부재(500)가 오조립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체결불가상태 및 도어글래스(100)의 파손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조립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인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의 체결상태를 확대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체결부(400)에 도어글래스(100)를 삽입하게되면, 상기 도어글래스(100)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450)에 의해 몸체(10)에 밀착 된다.
이때, 도어글래스(100) 외측에서부터 클립부재(500)를 체결부(400)로 내측으로 삽입, 각각의 걸림턱(430)과 조립턱(521)이 맞물리면서 도어글래스(10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500)에서 외측에서 상,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완충부재(620)는 도어글래스(100)의 두께에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때, 그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지구(610)는 도어글래스(100)의 외측면에 밀착하면서 상기 도어글래스(1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캐리어 플레이트(300)의 외측에서 체결구(200)를 이용하여 도어글래스(100)를 고정시킬 경우 도어글래스(100)는 체결구(200)의 진행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때, 도어글래스(100)의 외측에서 클립부재(500)가 완충수단(600)을 통하여 도어글래스(100)를 지지하고 있으므로써, 상기 도어글래스(100)가 밀려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캐리어 플레이트(300)를 통한 도어글래스(100) 승, 하강시 체결불량에 의한 도어글래스(100)의 소음발생요인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체결부가 일측에 구비된 몸체와 완충수단이 연장되게 형성된 클립부재로 분리 구성되는 것에 의해 도어글래스의 두께변화에 따른 공용화가 가능하다.
둘째, 클립부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완충수단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어글래스가 체결구에 의해 밀리는 것을 도어글래스 외측에서 상기 클립부재가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써, 이를 통한, 소음발생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체결부내에 클립부재의 오조립방지 및 회전방지용 보스를 위치시켜, 장착 작업성 향상 및 오조립에 따른 도어글래스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일측단부는 외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중앙으로 관통구멍(11)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 도어글래스(100)를 상부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받침턱(12)이 형성된 몸체(10)와;
    걸림턱(430)이 형성된 상, 하 체결용 보스(420a)(420b) 및 좌, 우 체결용 보스(410a)(410b)로 이루어져 그 중심이 상기 관통구멍(11)과 일치한 상태로 구비된 체결부(400)와;
    상기 체결부(400)에 착탈가능하도록 조립부재(520)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재(520)의 외측으로는 상부로 돌출되게 조립턱(521)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재(520)의 중심부에 조립구멍(510)이 형성된 클립부재(500)와;
    상기 클립부재(50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완충수단(6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600)은 조립부재(520)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으며, 그 단부에 접지구(610)가 형성된 완충부재(6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00)를 구성하는 상, 하 체결용 보스(420a)(420b) 및 좌, 우 체결용 보스(410a)(410b) 사이에 회전방지용 보스(90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KR2020010005358U 2001-02-28 2001-02-28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KR200233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358U KR200233073Y1 (ko) 2001-02-28 2001-02-28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358U KR200233073Y1 (ko) 2001-02-28 2001-02-28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073Y1 true KR200233073Y1 (ko) 2001-09-26

Family

ID=7306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358U KR200233073Y1 (ko) 2001-02-28 2001-02-28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0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5228A1 (en) Bracket fixing structure
KR200233073Y1 (ko)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CN109073021B (zh) 用于衰减第一振动元件与第二元件之间的振动的装置
JP3777827B2 (ja) 自動車用アウタミラー
CN215360822U (zh) 螺旋弹簧安装垫及车辆
KR100504659B1 (ko) 차량의 인쇄회로기판 설치 구조
CN100360778C (zh) 节气门段固定结构
KR100588307B1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KR013320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언더 미러 설치 구조
KR0131614Y1 (ko) 리어 패키지 트레이 고정클립
KR101265837B1 (ko) 자동차의 범퍼커버와 헤드램프의 결합구조
KR100577804B1 (ko) 카오디오의 취부구조
KR100536606B1 (ko)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KR20030022013A (ko) 컵홀더
US20010005469A1 (en) Structure for mounting a garnish in an automobile
KR200143374Y1 (ko) 자동차의 범퍼커버 브래킷 체결용 가대 리테이너
KR950005578Y1 (ko) 자동차용 카울의 취부구조
KR0132884Y1 (ko) 자동차용 복합등의 조립구조
KR200152240Y1 (ko) 파이프 홀더
KR100448057B1 (ko) 차량 항법시스템 장착장치
KR20050060833A (ko) 유압 잭 마운팅 브래킷
JP2024062530A (ja) 車載用テーブル装置
KR100191773B1 (ko) 차량의 트림 장착용 클립
KR0133256Y1 (ko) 자동차의 승객용 에어백 장착구조
KR0111931Y1 (ko) 자동차의 범퍼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