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916Y1 -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916Y1
KR200195916Y1 KR2020000006618U KR20000006618U KR200195916Y1 KR 200195916 Y1 KR200195916 Y1 KR 200195916Y1 KR 2020000006618 U KR2020000006618 U KR 2020000006618U KR 20000006618 U KR20000006618 U KR 20000006618U KR 200195916 Y1 KR200195916 Y1 KR 200195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ce
fog lamp
vehic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돈
Original Assignee
이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돈 filed Critical 이상돈
Priority to KR2020000006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9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9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3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Abstract

본 고안은 안개등을 범퍼페시아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는 안개등의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측에 돌출된 양 지지돌기 사이에 끼워져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의 상면에 접촉되어 나사부재로 결합되며 상측 테두리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지지편이 삼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지지편이 연장되지 않은 일방향에는 상향절곡된 수직편이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지지편이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하측 테두리에 고정홈이 형성된 안내편이 삼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일방향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하향절곡되고 고정나사가 관통되는 나사구멍을 갖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범퍼페시아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볼트구멍이 구비된 고정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는 비교적 부피가 작은 고정판을 먼저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 하우징에 의한 작업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안개등이 범퍼페시아에 정확하게 장착되므로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서도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Foglamp fixing assembly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범퍼에 구성되는 안개등을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하는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안전주행을 위한 다양한 등화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등화장치중 안개로 인한 시계불량을 개선하기 위한 안개등은 차량의 프론트 범퍼 좌,우측에 각각 장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안개등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범퍼페시아의 부분 절개도로서, 차량의 프론트범퍼에 형성된 범퍼페시아(100)에 다수의 볼트(127)로 체결되는 안개등(110)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안개등(110)은 램프를 내장하고 전면에 투명렌즈가 끼워지는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11)과, 이 하우징(111)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범퍼페시아(100)에 볼트(127)로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1)은 상측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돌기(112)가 돌출 성형되며, 이 지지돌기(112) 사이에 고정브래킷(120)의 힌지부(121)가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지지돌기(112)와 힌지부(121)는 상호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힌지핀(122)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호 소정각도 회동가능한 힌지결합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120)은 힌지부(121)의 일측으로 평탄한 면을 갖는 플랜지부(1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125)에는 소정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볼트구멍(126)이 관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개등(110)을 범퍼페시아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고정브래킷(120)의 플랜지부(125) 상면을 범퍼페시아(100)의 저면에 접촉시키고, 플랜지부(125)의 아래쪽에서 범퍼페시아(100)측으로 볼트(127)를 진행시킨다.
그러면 상기 볼트(127)가 우레탄재로 성형된 범퍼페시아(100)에 강제로 나사결합되어 체결력을 갖게 되므로 상기 안개등(110)이 범퍼페시아(100)에 고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안개등(110)을 범퍼페시아(100)에 장착시키는 작업과정에서 상기 안개등(110)은 하우징(111)과 고정브래킷(120)이 힌지핀(122)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부피가 큰 안개등(110)을 한손으로 지지하면서 다른 한손으로 범퍼페시아(100)에 볼팅작업을 해야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종래의 안개등(110)은 부피가 큰 하우징(111)이 고정브래킷(120)의 하측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111)에 의해 고정브래킷(120)이 가려지게 되어 볼팅작업을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볼팅작업을 하기 때문에 볼트(127)가 비스듬하게 체결되거나 불완전하게 체결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각종 진동이나 충격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에는 볼트(127)의 체결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안개등(110)이 범퍼페시아(100)에서 이격되어 소음을 유발하거나 또는 낙하되어 파손됨으로써 차량의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개등을 범퍼페시아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안개등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범퍼페시아의 부분 절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개등의 고정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등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범퍼페시아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개등 2 : 하우징
3 : 지지돌기 4 : 범퍼페시아
10 : 접속구 11 : 힌지부
12 : 힌지구멍 12' : 힌지핀
13 : 결합부 15 : 나사부재
20 : 지지판 21 : 지지편
22 : 수직편 30 : 고정판
31 : 안내편 32 : 고정홈
33 : 고정편 35 : 고정나사
36 : 볼트구멍 37 : 볼트
10', 20', 30' : 나사구멍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개등의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측에 돌출된 양 지지돌기 사이에 끼워져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의 상면에 접촉되어 나사부재로 결합되며 상측 테두리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지지편이 삼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지지편이 연장되지 않은 일방향에는 상향절곡된 수직편이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지지편이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하측 테두리에 고정홈이 형성된 안내편이 삼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일방향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하향절곡되고 고정나사가 관통되는 나사구멍을 갖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범퍼페시아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볼트구멍이 구비된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개등의 고정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등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범퍼페시아의 부분 절개도이다.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는 안개등(1)의 하우징(2)에 힌지결합되는 접속구(10)와, 이 접속구(10)에 결합되는 지지판(20)과, 차량의 범퍼페시아(4)에 볼트(37)체결되는 것으로 지지판(20)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판(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구(10)는 하우징(2)의 상측에 형성된 양 지지돌기(3) 사이에 끼워지는 힌지부(11)와, 이 힌지부(11)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평탄면을 형성하는 결합부(13)로 이루어진다.
힌지부(11)는 하우징(2)의 상측에 형성된 양 지지돌기(3) 사이에 끼워지며, 이 양 지지돌기(3)와 연통되는 힌지구멍(12)에 힌지핀(12')이 삽입됨으로써 힌지고정되고, 결합부(13)에는 다수의 나사구멍(1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성형되며, 상기 접속구(10)의 결합부(13)와 볼트 너트로 구성되는 나사부재(15)로 결합되도록 결합부(13)의 나사구멍(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크기의 나사구멍(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판(20)은 상측 테두리에 외측으로 연장절곡되는 지지편(21)이 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이 지지편(21)이 돌출되지 않은 일방향에는 상향절곡되어 연장된 수직편(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30)은 지지판(20)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재로 성형되며, 상기 지지판(20)의 지지편(2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안내편(31)이 삼방향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편(31)은 수회절곡되어 그 내측에 지지편(21)이 수용되어 상,하 이동을 제한되도록 고정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33)이 형성되지 않은 일방향에는 일측으로 소정길이만큼 수평연장되고, 그 끝단부가 하향 절곡된 고정편(33)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편(33)은 상기 지지판(20)의 수직편(22)과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된 상태를 이루며, 고정편(33)에는 소정크기의 나사구멍(30')이 복수개 형성되어 고정나사(35)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나사(35)는 그 선단부가 지지판(20)의 수직편(22)에 접촉되어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30)의 중앙 평탄면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볼트(37)가 체결되기 위한 소정크기의 볼트구멍(36)이 복수개 형성되며, 이 복수개의 볼트구멍(36)중 하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된다. 이는 범퍼페시아(4)에 볼티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안개등(1)을 손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별도의 고정어셈블리를 제공한 것이며, 상기 고정어셈블리는 접속구(10)와 고정판(3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편(33)과 지지편(21)이 상호 슬라이드 끼움되는 구조를 갖는다면 그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의 결합구조와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고정어셈블리는 하우징(2)에 형성된 양 지지돌기(3) 사이에 접속구(10)의 힌지부(11)가 끼워져 힌지핀(12')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이 접속구(10)의 결합부(13)에는 지지판(20)이 접촉된 상태에서 다수의 나사부재(15)로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판(30)은 범퍼페시아(4)에 밀착시킨 뒤 볼트구멍(36)에 볼트(37)를 진입시키면, 상기 볼트(37)는 우레탄으로 성형된 범퍼페시아(4)에 강제로 나사체결되어 체결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안개등(1)의 렌즈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뒤 안개등(1)과 결합된 지지판(20)을 고정판(30)에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0)의 지지편(21)과 고정판(30)의 안내편(31)이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이어서, 상기 지지판(20)을 고정판(30)의 고정편(33)측에서 차량의 후방측을 향해 밀어넣으면, 상기 지지판(20)의 지지편(21)은 안내편(31)의 고정홈(32)에 각각 끼워지게 되어 차량의 상,하 방향과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판(30)의 고정편(33)에 고정나사(35)를 체결시키면 이 고정나사(35)의 선단부가 지지판(20)의 수직편(22)에 접촉되어 고정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안개등(1)을 범퍼페시아(4)에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는 비교적 부피가 작은 고정판을 먼저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 하우징에 의한 작업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안개등이 범퍼페시아에 정확하게 장착되므로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서도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안개등의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측에 돌출된 양 지지돌기 사이에 끼워져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접속구와;
    상기 접속구의 상면에 접촉되어 나사부재로 결합되며 상측 테두리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지지편이 삼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지지편이 연장되지 않은 일방향에는 상향절곡된 수직편이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지지편이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하측 테두리에 고정홈이 형성된 안내편이 삼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일방향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하향절곡되고 고정나사가 관통되는 나사구멍을 갖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범퍼페시아에 볼트체결되기 위한 볼트구멍이 구비된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개등 고정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볼트구멍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그 중 하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KR2020000006618U 2000-03-09 2000-03-09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KR200195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618U KR200195916Y1 (ko) 2000-03-09 2000-03-09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618U KR200195916Y1 (ko) 2000-03-09 2000-03-09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916Y1 true KR200195916Y1 (ko) 2000-09-15

Family

ID=1964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618U KR200195916Y1 (ko) 2000-03-09 2000-03-09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9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5916Y1 (ko)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JP3636906B2 (ja) 自動車のランプ取付構造
CN211502626U (zh) 用于车灯反射镜的螺钉柱、包含其的车灯反射镜及车灯
CN214930306U (zh) 一种具有照明灯的挡泥板组件
KR100309347B1 (ko) 자동차의 번호판등 장착구조
CN220535533U (zh) 一种汽车内后视镜
JP2725412B2 (ja) フロントバンパの取付構造
KR200156443Y1 (ko) 자동차용 번호판램프 부착장치
KR0139938B1 (ko) 범퍼 램프 장착장치
KR100537010B1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글래스 고정구조
KR200144570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고정구조
KR920001780Y1 (ko) 자동차 램프보호용 렌즈체결구
KR200152337Y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취부구조
KR930008505B1 (ko) 자동 2륜 차의 헤드램프 취부장치
KR200154224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하우징 결합장치
KR100214026B1 (ko) 자동차용 후방범퍼 안개등의 설치구조
KR0126815Y1 (ko) 램프가 내장된 리어범퍼
KR19990005007A (ko) 하이 마운티드 스톱 램프 취부구조
KR0124997Y1 (ko) 자동차의 프론트 휀더 브래킷 설치구조
KR0116951Y1 (ko) 자동차의 턴신호램프 장착구조
KR200233073Y1 (ko)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KR0112926Y1 (ko) 자동차 앞 범퍼에 설치되는 안개등의 취부구조
KR0131951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장착구조
KR19990018004A (ko) 자동차 인사이드 미러의 탈착장치
KR20040003188A (ko) 자동차용 가니쉬와 라디에이터 그릴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