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012B1 -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 - Google Patents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012B1
KR101024012B1 KR1020077015146A KR20077015146A KR101024012B1 KR 101024012 B1 KR101024012 B1 KR 101024012B1 KR 1020077015146 A KR1020077015146 A KR 1020077015146A KR 20077015146 A KR20077015146 A KR 20077015146A KR 101024012 B1 KR101024012 B1 KR 101024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nic device
keypad
guide pin
guid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253A (ko
Inventor
자르모 레토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9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휴대 전화들 또는 핸드헬드들인 전자 장치들(1)에 관련되고 레이어(2) 및 레이어(2)가 메인 케이스(10)로부터 정지 포지션 밖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 레이어(2)를 위한 이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설명된 레이어(2)는 보통 키패드(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메커니즘은 레이어(2)가 바람직하게는 2, 3, 4 가지 방향들인 상이한 방향들로 자체의 정지 포지션 밖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열은 장치의 좀더 편하고 유연성이 있는 사용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Cell phone with shiftable keypad}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에 관련된다.
아래의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휴대 전화 또는 핸드헬드(handheld)에 관한 것이고, 이것은 레이어 및 레이어를 위한 이동 메커니즘(moving mechanism)을 포함하고, 이동 메커니즘은 레이어가 정지 포지션(rest position) 밖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한다.
정지 포지션 밖으로 슬라이드 되어 나오는 것이 가능한 레이어(layer)들을 포함하는 특히 휴대 전화들인 전자 장치들이 일반적으로 주지되어 있다. 휴대 전화들의 몇몇의 제조 업자들은 이런 종류의 장치를 생산하고 있다. 유럽특허공개공보 EP 944 219 A2는 이런 유형의 휴대 전화들을 개시한다.
전자 구성요소들의 소형화 덕분에, 오늘날에는 휴대 전화의 크기를 상당히 축소하는 것과 예를 들어, 양복 바지용 주머니 안에 넣고 여기저기 가지고 다니기 매우 알맞은 방식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해졌다. 다른 한편으로, 이런 이점은 또한 결점을 낳는다: 즉, 케이스(casing)의 작은 크기는 휴대 전화의 조작(manipulation)에 이용가능한 표면을 축소시키고, 따라서 실용적인 핸들링(handling)이 다소 불편해졌다. 휴대 전화의 메인 케이스(main case)로부터 슬라 이드 되어 나오는 레이어 상에 배열된 키패드의 사용은, 이런 관점에서 몇몇의 이점들을 제공한다.
메인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나오는 것이 가능한 추가의 레이어의 사용 덕분에 장치가 일시적으로 확대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런 확대는 장치의 조작에 이용가능한 표면(surface)이 장치가 사용되는 동안 커지게 하고, 이런 방식으로 더 나은 핸들링을 가능케 하면서, 일시적으로 전체적인 휴대 전화 크기를 늘린다.
인출될 수 있는 레이어를 포함하지만, 시장에서 주지된 유형들은 장치의 조작을 위해 케이스 표면을 변형시키고 증가시키는 면에 있어서, 제한된 가능성만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한은 명백히 인식되어 있다. 이런 제한을 뛰어넘기 위한 시도가 예를 들어, 노키아 9500 커뮤티케이터(the Nokia 9500 Communicator)에서와 같은 메키니즘들을 가지고 이루어지고 있다. 이 장치는 휴대 전화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operator)에게 좀더 편리한 포맷을 제공하기 위해, 케이스 표면을 늘리는 또 하나의 방법을 보여준다. 전자 장치는 접히고 열릴 수 있고, 가로 방향 포맷(landscape format)으로, 와이드 스크린 및 PC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키보드를 포함한다. 이런 조건에서, 휴대전화는 포켓 PC(pocket PC)와 같은 동작에도 적합하다. 이런 해결책의 결점은 휴대 전화 내에 통합되어야 하는 더 많은 구성요소들의 양이다(예를 들어, 2개의 상이한 디스플레이들 및 2개의 상이한 키패드들). 또한, 보통의 휴대전화로서 사용됨으로써, 장치의 조작을 위해 이용가능한 추가의 표면이 없다. 따라서 접힐 수 있는 케이스를 갖는 이점은 모든 상황들 하에서 이득이 되지 않는다.
아래의 본 발명의 목적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전자 장치를 단순화하고 그 구성요소들을 사용에 있어 더 융통성 있게 하는 것이고, 이는 구성요소들에게 다목적 유용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휴대 전화 또는 핸드헬드인 전자장치는 레이어 및 레이어를 위한 이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이동 메커니즘은 레이어가 정지 포지션(rest position) 밖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전자 장치는 이동 메커니즘이 레이어가 바람직하게는 2, 3, 4가지 방향들인 상이한 방향들로 정지 포지션 밖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동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메커니즘(sliding mechanism)이다. 상이한 방향들로 자체의 정지 포지션 밖으로 슬라이드 되어 나오는 것이 가능한 레이어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레이어를 상이한 목적들을 위해, 즉 상이한 구성(configuration)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지 포지션 밖으로 슬라이드 되어 나오기 위해, 레이어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가진다. 슬라이딩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도 5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고, 이것은 이 상세한 설명의 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유용한 슬라이딩 메커니즘들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상에서, 레이어는 하나의 키패드 또는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방향( orientation)은 레이어가 정지 포지션 밖으로 인출되어지는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이한 구성들에서, 동일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런 방식으로 그것들에게 다목적 유용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레이어는 2가지 상이한 방향들로 자체의 정지 포지션 밖으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방식으로, 전자 장치는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동일한 레이어를 가지고,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포맷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종류의 전자 장치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히 휴대 전화들 또는 핸드헬드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2, 3, 또는 4가지 방향들인 상이한 방향들로 자체의 정지 포지션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레이어가 정지 포지션 밖으로 인출되는 방향에 따라, 포함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은 뷰(view) 상에 상이한 디스플레이를 보일 수 있다.
키패드가 사용되는 경우, 키패드는 몇몇의 메커니컬 키들(mechanical keys)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커니컬 키들은 압력 센서들(pressure sensors),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조 센서들(piezo sensors)을 포함한다.
하나의 메커니컬 키들이 사용되는 경우, 메커니컬 키들이 상이한 방향들에서 상이한 사인(sign)들 또는 동일한 사인을 디스플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한편으로는, 레이어가 메인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에 따라, 하나의 버튼들이 동시에(단순히 상이한 방향들로 동일한 문자를 버튼들 상에 프린팅(printing)함으로써) 또는 상이한 시간에, 상이한 방향들로 각각의 문자를 보여주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 키는 2개 이상의 통합된 램프들을 가질 수 있고, 레이어가 인출될 때 올바른 방향으로 문자를 조명한다(도면들 참조).
버튼들을 사용하는 대신에, 레이어 상에 키패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해결책으로 터치스크린이 레이어가 인출되는 방향에 따른 가상(virtual) 키들의 상이한 배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체의 정지 포지션에서 레이어는 전자 장치의 메인 케이스 내에 완전히 수납된다(retract). 장치가 메인 케이스 내에 단지 부분적으로 수납될 수 있는 경우도 예상될 수 있고 이 역시 본 발명의 일부이다.
보통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들은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한다. 만약 그렇다면, 디스플레이가 레이어가 인출되는 방향에 따라 자체의 디스플레이 포맷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는(adapt)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자 장치는 또한 자체의 표면 상단에 추가의 버튼들을 더 포함하고, 그것은 다방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런 버튼들이 레이어가 인출되는 방향에 따라 자체의 기능 또는 표시(signification)를 변경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도면들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2가지 상이한 포지션들로 인출된 동일한 슬라이드가능 레이어를 가진 동일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정지 포지션으로 완전히 수납한 레이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전자 장치를 도시하고, 전자 장치는 키패드 대신에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도면.
도 5는 슬라이딩 메키니즘에 대해 가능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 및 도 2는 전자 장치(1)에서, 즉 휴대전화에서, 본 발명의 레이어의 바람직한 애플리케이션을 도시한다. 도면들은 2가지 상이한 방향들로 인출된 동일한 레이어(2)를 가진 동일한 휴대전화를 개시한다. 이 실시 예에서, 레이어(2)는 키패드(3)를 포함한다. 개시된 키패드(3)는 몇몇의 메커니컬 키들(mechanicals keys)(6)을 포함하지만, 키패드(3)가 압력(pressure) 센서들만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메커니컬 키들(6)은 또는 가능한 압력-센서-키패드(pressure-sensor-keypad)는 바람직하게는 피조 센서들(piezo sensors)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방법으로, 메인 케이스(10)로부터 인출된 레이어(2)를 갖는, 키패드(3)는 세로방향 포맷(portrait format)으로 디스플레이(4)를 도시한다. 레이어(2)가 다른 방향으로 인출된 후에는, 동일한 키패드(3)는 뷰(view) 상에 상이한 디스플레이(5)를 보일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키패드(3)는 가로방향 포맷으로 디스플레이(5)를 도시한다. 가로방향 포맷에서는, 더 많은 키들을 갖는 것이 가능해서, 휴대 전화는 핸드헬드 또는 포켓-PC로 사용될 수 있다. 가로방향 포맷에서 키패드(3)는 동등한 기능들을 가진 미니어쳐(miniaturized) PC-키보드에 상당할 수 있다.
키패드(3)가 세로방향 포맷으로 인출되었다면, 디스플레이(4)를 도시하고, 전체 키패드(3)의 키들의 일부만이 사용자에게 보이고, 전자 장치를 조작(manipulation)하는데만 이용가능하고, 나머지 키들은 사실상 메인 케이스(10) 아래에 숨겨진 채로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도 1 및 도 2로부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어떻게 하나의 키들(6)이 레이어가 인출되는 방향에 따라 상이한 사인(sign)들 또는 동일한 사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지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가 메커니컬 키들로 개시하는, 각각의 키(6)는 사실상 자체의 표면 상에 2개의 문자(letter)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한번에 그 문자들 중 단지 하나만이 조명된다. 하나가 조명되는 동안, 나머지는 버튼의 주위 표면의 콘트라스트 부재(missing contrast) 때문에 숨겨진 채로 남는다(도 1 및 도 2 대시(dash)로된 표시들을 보라).
하나의 키들(6)로 2개 이상의 사인들, 예를 들어, 레이어가 메인 케이스(10)로부터 인출되는 각 방향마다 하나의 사인씩 4개의 사인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하나의 키들(6)이 예를 들어, 각각의 키표면에 (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은) 디지털 디스플레이와 같은 것을 제공함으로써, 4개의 사인들 이상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것은 동일한 키패드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고, 그것이 키들이 상이한 기능들을 나타내는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 이해될 수 있다.
도면들은 휴대전화의 표면상에 디스플레이(9)를 또한 디스플레이한다. 이 엘리먼트(element)는 바람직하게는 자체의 콘텐츠(content)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 고, 자체의 콘텐츠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의미하는, 레이어가 메인 케이스(10)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 옆의 버튼들(8)은 레이어(2)가 어떤 방향으로 인출되는지에 따라 상이한 목적들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전술한 도면들과 동일한 장치를 도시한다. 레이어(2)는 메인 케이스(10) 내에 자체의 정지 포지션으로 완전히 수납되거나, 메인 케이스(10)에 대하여 정렬된다. 이 구성에서, 전자 장치(10)는 상당히 축소된 작은 크기를 갖고, 주머니에 넣어 운반되기 적합하다. 키패드가 인출되었을 때 이용가능한 모든 옵션(option)들을 갖고 있진 않지만, 장치는 이 구성에서도 호(call)들을 호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휴대 전화를 도시하고, 휴대 전화는 전술한 도면들에 있는 것과 같은 종래의 키패드 대신에 터치 스크린(7)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이 몇몇의 상이한 디스플레이들, 예를 들어, 레이어(2)가 인출되는 각 방향마다 하나씩 상이한 가상(virtual) 키패드들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키패드 대신에 터치 스크린의 사용은 본 발명에 대한 매우 편리한 해결책이 된다. 도 1 및 도 2에 유사하게, 터치스크린(7)을 포함하는 레이어(20)는 최소한 2가지 방향들, 바람직하게는 4가지 방향들로 메인 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시된 버튼들(8)은 레이어(2)가 인출되는 방향에 따라, 자체의 기능을 또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예를 들어, 휴대 전화인 전자 장치는 게임 콘솔(console)로 사용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7)은 게임을 디스플레이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몇몇의 가능한 슬라이딩(sliding)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레이어(20) 및 메인 케이스(20)는 개략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이것은 슬라이딩 메키니즘 외에 어느 추가의 엘리먼트들도 도시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레이어(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인 케이스(10)는 2개의 L형의 가이드 컨덕트(conduct)들, 컨듀트(conduit)들, 또는 채널들(11)을 포함하고, 그 안에 2개의 가이드 핀(pin)들(12)이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열된다. 가이드 핀들(12)은 이동가능한 레이어(2)에 부착된다. 가이드 컨덕트들, 컨듀트들, 또는 채널들(10) 및 가이드 핀들(12)이 형상-고정(form-locking) 디자인을 갖고(X-X인 횡단면도를 보라), 이것은 가이드 핀들(12) 및 따라서 전체 레이어(2)가 L형의 가이드 컨덕트들, 컨듀트들, 또는 채널들을 따라서만 이동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설명된 슬라이딩 메키니즘을 강화하고 레이어(2)의 움직임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메인 케이스(10)는 가이드 핀(14)를 가질 수 있고, 레이어(2)는 대응하는 L형의 가이드 컨덕트, 컨듀트, 또는 채널(13)을 가진다. 각각의 L형의 가이드 컨덕트들, 컨듀트들, 또는 채널들(11, 13) 및 매칭되는 가이드 핀들(12)을 각각 갖추고, 2가지 상이한 방향들로 자체의 정지 포지션 밖으로 레이어(2)를 완전하게 인출할 수 있다.
설명된 L형 만이 아니라 T형 또는 X형의 가이드 컨덕트들, 컨듀트들, 또는 채널들을 사용하는 것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레이어가 3 또는 4방향들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한다.
도시된 레이어(2) 및 메인 케이스(10)는 자체의 표면상에 추가의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들, 키패드들, 터치스크린들,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 메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어(2) 내에 구축되고 따라서 사 실상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별히, 휴대 전화 내에서 사용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위한 몇몇의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이, 예를 들어, 핸드헬드들, 포켓 PC의, 또는 전자 장치들 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히 언급된 장치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장치들 내에서 사용되는 것에도 특히 적합하다.
기호
1 전자 장치
2 레이어
3 키패드
4 레이어가 세로방향으로 인출되었을 때, 키패드의 디스플레이
5 레이어가 가로방향으로 인출되었을 때, 키패드의 디스플레이
6 메커니컬 키
7 터치스크린
8 버튼들
9 디스플레이
10 메인 케이스
11 메인 케이스 상의 가이드 컨덕트, 컨듀트, 또는 채널
12 가이드 핀
13 레이어 상에 가이드 컨덕트, 컨듀트 또는 채널
14 가이드 핀

Claims (1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핀 및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가 정지 포지션 밖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1 레이어를 위한 이동 메커니즘 [상기 이동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이한 방향들로 이런 정지포지션 밖으로 인출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이동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메커니즘임],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가이드 핀이 제2 레이어의 가이드 채널과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2 레이어의 가이드 핀이 상기 제1 레이어의 가이드 채널과 일치하도록 구성되게 가이드 핀 및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가 키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상기 키패드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메커니컬 키들을 포함하며, 상기 메커니컬 키들은 압력 센서들, 또는 피조 센서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컬 키들이 상이한 사인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치스크린으로 대체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이 키들의 상이한 배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자체의 정지 포지션에서 상기 제1 레이어가 메인 케이스와 같은 상기 제2 레이어 내에 완전히 수납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메인 케이스에 대하여 정렬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인출되는 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자체의 디스플레이 포맷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또한 표면 상단에 버튼들을 더 포함하고, 이런 버튼들이 상기 제1 레이어가 인출되는 상기 방향에 따라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이 L형, 또는 T형, 또는 X형 형상인, 전자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 및 상기 대응하는 가이드 핀은 형상-맞춤(form-locking)으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메커니컬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커니컬 키들은 압력 센서들, 또는 피조 센서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치스크린으로 대체되는, 전자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치스크린으로 대체되는, 전자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치스크린으로 대체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들 및 상기 대응하는 가이드 핀은 형상-맞춤으로 디자인되는, 전자 장치.
  17. 이동 전화에 있어서,
    가이드 핀 및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가 정지 포지션 밖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1 레이어를 위한 이동 메커니즘 [상기 이동 메커니즘은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이한 방향들로 이런 정지포지션 밖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 메커니즘은 슬라이딩 메커니즘임],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가이드 핀이 제2 레이어의 가이드 채널과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2 레이어의 가이드 핀이 상기 제1 레이어의 가이드 채널과 일치하도록 구성되게 가이드 핀 및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18. 삭제
KR1020077015146A 2005-01-03 2006-01-02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 KR101024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28,953 2005-01-03
US11/028,953 US7671836B2 (en) 2005-01-03 2005-01-03 Cell phone with shiftable keypa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836A Division KR100996271B1 (ko) 2005-01-03 2006-01-02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253A KR20070092253A (ko) 2007-09-12
KR101024012B1 true KR101024012B1 (ko) 2011-03-29

Family

ID=366398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836A KR100996271B1 (ko) 2005-01-03 2006-01-02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
KR1020077015146A KR101024012B1 (ko) 2005-01-03 2006-01-02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836A KR100996271B1 (ko) 2005-01-03 2006-01-02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71836B2 (ko)
EP (1) EP1834470A4 (ko)
JP (1) JP4638508B2 (ko)
KR (2) KR100996271B1 (ko)
CN (1) CN101099371B (ko)
WO (1) WO2006072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031B1 (ko) * 2004-04-29 200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16197B1 (ko) * 2004-08-24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
US20060145947A1 (en) * 2005-01-04 2006-07-06 Arneson Theodore R Foldable electronic device with virtual image display
US20060146013A1 (en) * 2005-01-04 2006-07-06 Arneson Theodore R Electronic device with virtual image display
JP4548238B2 (ja) * 2005-06-20 2010-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7904125B2 (en) * 2005-08-26 2011-03-08 Lg Electronics Inc. Slid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JP4568332B2 (ja) * 2005-09-20 2010-10-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携帯機器
US7696954B2 (en) * 2005-09-22 2010-04-13 Yazaki Corporation Multi display device
KR100810263B1 (ko) * 2005-10-11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슬라이딩 모듈 및 그의 연성 회로
KR100713421B1 (ko) * 2005-11-1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CN100508534C (zh) 2006-01-26 2009-07-01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单平面多向滑动机构及其应用
US7778663B2 (en) * 2006-04-24 2010-08-17 Virgin Mobile Usa, L.P. Hinge module for three-step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7636591B2 (en) * 2006-04-28 2009-12-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wo-way sliding mobile terminal
US7720446B2 (en) * 2006-05-16 2010-05-18 Nokia Corporation Multi-position device
JP5192668B2 (ja) * 2006-07-28 2013-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端末
JP4759466B2 (ja) * 2006-08-01 2011-08-31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KR100800843B1 (ko) * 2006-09-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US7853301B2 (en) * 2006-09-19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module for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7970444B2 (en) * 2007-02-28 2011-06-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ivoting mobile terminal
US8560020B2 (en) * 2007-04-10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ouchscreen in a wireless terminal
EP2007116A3 (en) * 2007-06-22 201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of housings used as input for a mobile phone
TWI334151B (en) * 2007-11-20 2010-12-01 High Tech Comp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ts key structure
US20110009170A1 (en) * 2008-03-27 2011-01-13 Hai Xiao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function of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embodying a displaying function program for communication device
US7715191B2 (en) * 2008-04-07 2010-05-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compact and expanded configurations
WO2009126064A1 (ru) * 2008-04-10 2009-10-15 ПИЛКИН, Виталий Евгеньевич Боковая позиция экрана
CN102037799B (zh) * 2008-04-17 2013-04-17 莱尔德电子材料(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设备的emi屏蔽滑动组件
CN101568240B (zh) * 2008-04-25 2012-07-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结构及具该滑盖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EP2202606A2 (en) * 2008-12-24 201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keypad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129416A (ko) * 2009-06-01 2010-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입력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입력 모드 운용 방법
JP2011015181A (ja) * 2009-07-02 2011-01-20 Funai Electric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11015182A (ja) * 2009-07-02 2011-01-20 Funai Electric Co Ltd 携帯端末
JP2011077660A (ja) * 2009-09-29 2011-04-14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A2731762A1 (en) * 2010-02-15 2011-08-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CA2731708A1 (en) 2010-02-15 2011-08-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actuator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JP5647695B2 (ja) 2011-01-12 2015-01-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圧式入力装置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98A (ko) * 2001-09-24 2003-03-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325998Y1 (ko) * 2003-06-27 2003-09-13 조요섭 이중센서로 구성된 키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0098979A (ko) * 2003-05-16 2004-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0107154A (ko) * 2003-06-12 2004-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문자표시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060032296A (ko) * 2004-10-12 2006-04-17 조영길 슬라이딩 타입 휴대전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1046B2 (ja) 1992-04-28 2001-03-05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感圧スイッチ
JPH11250757A (ja) 1998-02-26 1999-09-17 Hosiden Corp 面状圧電体及び圧電スイッチ
FI112759B (fi) 1998-03-18 2003-12-31 Nokia Corp Teleskooppipuhelin
US6215419B1 (en) 1998-06-26 2001-04-10 Micron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an expandable computer keyboard
JP2001013016A (ja) 1999-06-29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感圧変換装置
US6658272B1 (en) 2000-04-28 2003-12-02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707664B2 (en) 2001-02-11 2004-03-16 Micron Technology, Inc. Expandable keyboard for portable computers
CN2484702Y (zh) * 2001-05-09 2002-04-03 周学良 一种便携式可伸缩移动电话机
US20030058223A1 (en) 2001-09-21 2003-03-27 Tracy James L. Adaptable keypad and button mechanism therefor
JP2003125053A (ja) 2001-10-18 2003-04-25 Bosu & K Consulting Kk 携帯電話
JP2003167666A (ja) 2001-11-29 2003-06-13 Sharp Corp 携帯電子機器
US20030132863A1 (en) 2001-12-06 2003-07-17 Lahr Roy J. Articulated, rotatabl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keyboard device
WO2003056787A1 (fr) 2001-12-27 2003-07-10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information cellulaire
JP2003338866A (ja) * 2002-05-22 2003-11-28 Fujitsu Ltd 携帯電話機
JP2004112431A (ja) 2002-09-19 2004-04-08 Kddi Corp 携帯電話
US6839576B2 (en) * 2002-12-30 2005-01-04 Motorola, Inc. Multiple axis hinge assembly
BRPI0408180A (pt) * 2003-03-25 2006-03-21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terminal
JP2004310406A (ja) 2003-04-07 2004-11-04 Nec Corp 携帯型電子機器
JP2004312476A (ja) 2003-04-09 2004-11-04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US20050070348A1 (en) 2003-09-29 2005-03-31 Inventec Appliances Corp. Hand-held communicatio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wo slidable keypads
US7071916B2 (en) * 2003-09-29 2006-07-04 Danger, Inc. User input configurations for a data processing device
US7218313B2 (en) * 2003-10-31 2007-05-15 Zeetoo, Inc. Human interface system
GB2407933B (en) 2003-11-06 2006-03-08 Inventec Appliances Corp Hand-held communicatio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wo slidable keypads
JP4345005B2 (ja) 2004-05-31 2009-10-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0616197B1 (ko) * 2004-08-24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
US7142420B2 (en) * 2004-09-20 2006-11-2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yers of an electronic device
US7904125B2 (en) * 2005-08-26 2011-03-08 Lg Electronics Inc. Slid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751939B1 (ko) * 2005-10-12 200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98A (ko) * 2001-09-24 2003-03-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040098979A (ko) * 2003-05-16 2004-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0107154A (ko) * 2003-06-12 2004-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문자표시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0325998Y1 (ko) * 2003-06-27 2003-09-13 조요섭 이중센서로 구성된 키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032296A (ko) * 2004-10-12 2006-04-17 조영길 슬라이딩 타입 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4470A4 (en) 2011-11-16
KR20090097951A (ko) 2009-09-16
KR100996271B1 (ko) 2010-11-23
WO2006072657A1 (en) 2006-07-13
CN101099371A (zh) 2008-01-02
US7671836B2 (en) 2010-03-02
JP2008527620A (ja) 2008-07-24
EP1834470A1 (en) 2007-09-19
KR20070092253A (ko) 2007-09-12
JP4638508B2 (ja) 2011-02-23
US20060146014A1 (en) 2006-07-06
CN101099371B (zh)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012B1 (ko)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
RU23473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меющее несколько клавишных панелей
JP4450008B2 (ja) 電子機器
CN101278543A (zh) 具有可旋转键盘的移动电子装置
JP2007179525A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80050493A (ko) 휴대용 전자 기기
EP1713236A1 (en) Slideable keyboard for an electronic equipment
WO200909141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ulti-axis hinge assembly
KR20070070105A (ko)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
US20050042014A1 (en) Deployable keyboard device including displaceable keybutton positions for portable miniature electronic devices
EP2259555A1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function of communica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of program for communication device
JP2008131454A (ja) 携帯電子機器
JP2012174261A (ja) 携帯電話機と携帯電話機の文字情報入力方法
JPWO2008102665A1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操作方法
JP4936155B1 (ja) 携帯電話機の文字情報入力方法
US8743050B2 (en) Handheld device having pivotally retractable keypad assembly
EP2148495A1 (en) Electronic device
JP5114706B2 (ja) 移動体通信装置
JP2006054751A (ja) 携帯端末
JP5452899B2 (ja) 携帯端末及び操作ボタンの機能割り当て方法
KR20080003337U (ko) 이동통신단말기
JP2013165469A (ja) 携帯電話機
TW200843447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orientation keypad
KR20100060963A (ko) 휴대폰
JP2007329616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