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493A - 휴대용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493A
KR20080050493A KR1020087009006A KR20087009006A KR20080050493A KR 20080050493 A KR20080050493 A KR 20080050493A KR 1020087009006 A KR1020087009006 A KR 1020087009006A KR 20087009006 A KR20087009006 A KR 20087009006A KR 20080050493 A KR20080050493 A KR 20080050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element
main body
electronic device
key structure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시 켐피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5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4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1Including a rotatable keypad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복수의 몸체요소들은, 각각이 개별적인 상이한 작동 위치를 정의하는 미리 결정된 고정된 세로 자세 및 가로 자세로 형태화될 수 있다. 제1 패널은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일 부분에 겹쳐지고, 주된 몸체와의 미끄럼이동식 결합을 위하여 구성된다. 제2 패널은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다른 부분에 겹쳐지고,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평면에 평행하게 주된 몸체요소 상에서 회전되게 움직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고정된 형태에서, 제1 표면의 일 부분은 덮여지고, 제2 패널은 제1 자세에 있되 제1 패널에 인접하여 위치적으로 정렬된다. 제2 고정된 형태에서는, 제1 표면의 일 부분이 덮이지 않고, 제2 패널이 주된 몸체요소 상에서 회전되어 제2 자세로 되며 또한 제1 표면의 일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적으로 정렬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 특히 휴대용 전자 기기, 그리고 더 특정적으로는, 각각이 개별적으로 상이한 작동 위치(operative position)를 정의하는 미리 결정된 고정적 자세(fixed orientation)로 형태화가능한(configurable) 복수의 몸체요소(body element)들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기기, 특히 이동 전화 기기가 기본적인 전화통신 기능에 부가하여 증가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면서도 더 작고 가볍게 되길 바라는 사용자 및 구매 대중의 요구로 인하여, 의도된 기능들 및 그와 관련된 사항들의 작동을 수행하는데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대해 가용한 표면 공간이 중요시되게 되었다. 또한, 이미지와 문자의 표시,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징(text messaging) 및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또는 예를 들어 쿼티 키보드(QWERTY keyboard: 표준형 키보드)로부터의 키보드 입력을 이용하는 다른 이동용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큰 크기의 스크린에 대한 요구도 있다. 이와 같은 요구는 그러한 기기의 제조자가, 그러한 기기를 작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또한 큰 크기의 스크린과 키보드가 탑재되도록, 일 작동 위치로부터 다른 작동 위치로 재-형태화(reconfiguration)될 수 있는 혁신적인 기기 엔클로 저(enclosure; ≒케이스)를 설계 및 개발할 것을 촉구해왔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 엔클로저로서 널리 알려진 종래의 전자 기기 엔클로저는 "플립(flip)" 형태의 전화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 여기에서는 그 기기의 커버가 용도에 맞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유하는 주된 몸체요소에 힌지결합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접근가능하도록 되기 위하여는 그 커버가 "튀겨펴짐(flip)"으로써 그 기기가 열리는 것이다. 그 커버의 내측 표면에는, 문자/숫자들(alphanumeric characters), 그래픽(graphics), 이미지(image), 그리고 그러한 이동 전화 기기에 통상적인 표시물들을 표시하는 스크린이 보유되어 있고, 그들은 소비 대중에 의하여 그리고 거래시장에서 잘 알려진 것이다. 비록 "플립(flip)" 형태 전화의 엔클로져 형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면을 확장시키는 일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스크린이 공통의 표면 영역에 있는 다른 이동 전화 기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기기 엔클로저를 유지하면서도 큰 스크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지만, 쿼티 키보드와 다른 잘 알려진 키보드와 같이 더 큰 키보드가 탑재되기에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다른 종래의 이동 전화의 기기 엔클로저는, 전체적으로 10 으로 표시된 "슬라이드(slide)" 형태의 전화인데, 여기에서 커버(12)는 주된 몸체요소(14)에 겹쳐지고, 주된 몸체요소(14)와의 슬라이딩 결합을 위하여 구성된다. 커버(12)는, 스크린(screen; 16)을 보유하고, 커버(12)가 도 1a 에 도시된 겹쳐진 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 기기의 의도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키이(key; 1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가 사용자에 의하여 화 살표(20)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미끄럼이동(sliding)되는 때에 그 기기는 제2 작동 위치로 형태변경되어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된 몸체요소(14)의 표면(22)이 노출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표면(22)은 그 기기에 전화번호의 입력 또는 잘 알려진 방식으로의 문자/순자의 입력과 같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요망되는 패턴으로 된 키이(26)들의 배열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를 보유한다. 상기 커버(12)를 화살표(21)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미끄럼이동시킴에 의하여, 그 기기는 닫힌 작동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한 "슬라이드" 형태의 전화기 기기가 일 작동 위치로부터 다른 작동 위치로 변환됨에 있어서는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종래의 "슬라이드" 형태의 전화기 기기들에 의하여 제공되는 유효 사용자 인터페이스 면적의 증가는 "플립" 형태의 전화기 기기들만큼 효과적이지 못한데, 이것은 주된 몸체요소(14)에 대해 커버(12)가 제한되게 움직여지기 때문이다. 도 1c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28)에 의하여 표시되는 주된 몸체요소(14)와 커버(12)의 겹쳐진 부분은 전형적으로는 50%의 겹침이고, 이것은 그 연장된 개방 위치에서 "슬라이드" 형태 전화기 기기의 강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커버(12)와 주된 몸체요소(14) 사이에 있는 숨겨진 영역(30)으로 귀결되며, 따라서 주된 몸체요소 표면(22)의 숨겨진 영역(3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히 쿼티 키보드와 같은 완전한 키보드로서의 용도에 이용될 수 없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전자 기기의 "플립" 형태 및 "슬라이드" 형태의 엔클로저들은, 예를 들어 이동 전화에서의 통신용 키패드(keypad)로서, 쿼티 키보드와 함께 유용할 수 있는 별도의 다기능 숫자 키패드가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한계들과 단점들을 극복하는 엔클로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여기에서는 일 몸체요소가 다른 몸체요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유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쿼티 키보드와 같은 전기능(full function) 키보드, 및 쿼티 키보드와 함께 유용하고 또한 통신용 키패드로서 유용한 다기능 숫자 키패드(multi-functional numeric keyboard)가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넓은 의미의 형태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이동용 기기가 제공되며, 그것은,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1 몸체요소; 외부를 대면하는 제1 주요 표면(first major outwardly facing surface)을 구비한 제2 몸체요소; 및 외부를 대면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3 몸체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겹쳐지는 관계로 되고 제1 주된 몸체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제3 몸체요소 각각은,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를 대응하는 개별적인 상이한 작동 위치를 각각 정의하는 미리 결정된 다수의 고정된 자세들로 형태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배치된다.
제1 작동 위치에서,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상기 제3 몸체요소에 대해 하측-위의-상측 자세(top-over-bottom orientation)로 된다.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서로에 대해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간으로 미끄럼이동 움직임(slideable movement)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상기 제3 몸체요소에 대하여 하측-위의-상측 자세로부터 벗어나서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겹쳐지지 않는 관계로 되게 제1 방향으로의 선형 경로를 따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움직여진다.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상기 제1 작동 위치에서 예를 들어 세로 자세인 제1 고정된 자세와 상기 제2 작동 위치에서 예를 들어 가로 자세인 제2 고정된 자세 간으로의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제1 주요 표면과 상기 제3 몸체요소의 외부를 대면하는 제1 주요 표면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2 몸체요소에 만들어지고, 제1 키이 구조물이 상기 제3 몸체요소에 만들어진다. 제2 키이 구조물은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지는데, 상기 제1 작동 위치에서 상기 제2 키이 구조물은 상기 제2 몸체요소에 의하여 덮이고 사용자에 의해 접근될 수 없으며, 상기 제2 작동 위치에서 상기 제2 키이 구조물은 노출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접근 및 이용될 수 있다. 제3 몸체요소의 제1 키이 구조물은 수행되어야 하는 요망되는 기능에 따라 구성되고, 예를 들어 통신용 키패드 또는 숫자 키보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제2 키이 구조물은 수행되어야 하는 요망되는 기능에 따라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쿼티 키보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용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고정된 자세와 제2 고정된 자세 각각 간으로 움직여지는 때에 상기 스크린 상에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의 자세를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화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이로써 상기 몸체요소들 중의 하나가 상기 제1 고정된 자세와 제2 고정된 자세 간에서 움직이는 것은 상기 몸체요소들 중의 다른 하나가 상기 제1 고정된 자세와 제2 고정된 자세 간으로 각각 움직이는 것을 야기한다. 상기 제2 몸체요소는 랙 기어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원형 기어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기어는 상기 제2 몸체요소와 제3 몸체요소의 상기 움직임을 야기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한 상호작용을 위한 기어치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제3 몸체요소와 상기 주된 몸체요소 사이에 스위벨 아암 메카니즘(swivel arm mechanism)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스위벨 아암 메카니즘은 상기 제2 몸체요소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을 위하여 배치된 일 단부,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3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을 위하여 배치된 반대측 단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넓은 의미의 형태에 따르면,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이동용 기기 또는 게임 유니트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가 제공되며, 이것은 제1 표면을 구비한 제1 주된 몸체요소, 및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겹쳐지는 제1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패널은, 용도에 대응하는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과 미끄럼이동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제1 고정된 형태에서는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덮여지고 또한 용도에 사용될 수 없으며, 제2 고정된 형태에서는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덮이지 않고 또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패널은,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다른 부분에 겹쳐지고, 상기 주된 몸체요소 상에서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평면에 평행하게 회전 움직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패널이 제1 자세에 있고 또한 상기 제1 패널에 인접하여 위치적으로 정렬된다. 상기 제2 고정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패널이 상기 주된 몸체요소 상에서 회전되어 제2 자세로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적으로 정렬된다. 게임 콘트롤러 키패드는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넓은 의미의 형태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 기기가 제공되며, 그것은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1 주된 몸체요소,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2 몸체요소, 및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3 몸체요소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2 몸체요소에 만들어진다. 제1 키이 구조물은 의도된 기능에 따라 상기 제3 몸체요소에 만들어지고, 제2 키이 구조물은 의도된 기능에 따라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진다.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 및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상기 제2 몸체요소가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겹쳐지지 않는 관계로 되게 제1 방향으로의 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한 미끄럼이동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상기 제3 몸체요소를 관통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몸체요소의 회전은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제1 주요 표면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는,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세로의 고정된 자세 및 가로의 고정된 자세 중의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1 키이 구조물을 이루는 키이들에 보유되는 표지는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상기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진 상기 제2 키이 구조물을 이루는 키이들 상에 보유되는 표지에 대해 적절한 위치적 자세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넓은 의미의 형태에 따르면, 전자 기기 내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전자 기기가 제1 열린 작동 위치와 제2 열린 작동 위치에서 이용되는 때에 필요하다면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보이는 정보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변경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전자 기기는,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1 주된 몸체요소,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2 몸체요소, 및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3 몸체요소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2 몸체요소에 만들어지고, 제1 키이 구조물은 의도된 기능에 따라 상기 제3 몸체요소에 만들어진다. 제2 키이 구조물은 의도된 기능에 따라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진다.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 및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서로에 대한 미끄럼이동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겹쳐지지 않는 관계로 되게 제1 방향으로의 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제1 주요 표면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의 제3 몸체요소의 회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상기 제3 몸체요소를 관통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는,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세로의 고정된 자세 및 가로의 고정된 자세 중의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1 키이 구조물을 이루는 키이들에 보유되는 표지는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상기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진 상기 제2 키이 구조물을 이루는 키이들 상에 보유되는 표지에 대해 적절한 위치적 자세를 유지하며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보여지는 정보가 자동적으로 그에 대응하는 세로 자세 및 가로 자세로 보여지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목적들, 및 장점들은 하기의 첨부 되면들을 참조로 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 는 종래의 슬라이드 형태의 이동 전화기 기기가 닫힌 작동 위치에 있는 때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의 슬라이드 형태의 이동 전화기 기기가 개방된 작동 위치에 있는 때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c 는 도 1b 의 이동 전화기 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커버와 주된 몸체요소 사이의 겹쳐지는 영역을 도시하는 것이며;
도 2 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정면 평면도로서, 세로 자세(portrait orientation)에서의 제1 작동 위치를 보이고 있으며;
도 3 은 도 2 의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정면 평면도로서, 스크린 몸체요소가 주된 몸체요소에 대해 겹쳐지는 관계로부터 부분적으로 미끄럼이동되어 키이 구조물(key arrangement)의 키이들이 드러나고 또한 제3 몸체요소가 부분적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도 4 는 도 2 의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정면 평면도로서, 가로 자세(landscape orientation)에서의 제2 작동 위치를 보이고 있으며;
도 5 는 도 2 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5-5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부분단면의 측면도이고;
도 6 은 도 2 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6-6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부분단면의 측면도이고;
도 7 은 제3 몸체요소에 장착된 원형 기어(round gear)와 상호 작용하고 스크린 몸체요소의 일 측부를 따라 있는 랙 기어(rack gear)를 도시하는 개략적 평면도로서, 이것은 서로에 대한 스크린 몸체요소와 제3 몸체요소의 선형 움직임 및 회전 움직임 각각을 위하여 스크린 몸체요소와 제3 몸체요소를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며;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제3 몸체요소의 원형 기어와 스크린 몸체요소의 랙 기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단면 부분도이고;
도 9a 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 평면도로서, 세로 자세의 제1 작동 위치에 있는 전자 기기를 도시하고;
도 9b 는 도 9a 의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정면 평면도로서, 여기에는 스크린 몸체요소가 주된 몸체요소와의 겹쳐진 관계로부터 부분적으로 미끄럼이동되고 또한 제3 요소가 부분적으로 회전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9c 는 도 9a 의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정면 평면도로서, 이 전자 기기는 가로 자세에서 제2 작동 위치에 있어서 주된 몸체요소 내에 구조화되어 있는 게임 콘트롤러 키패드(game controller keypad) 및 조이스틱(joystick)이 드러나 있으며;
도 10 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특히 도 2 내지 도 6 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고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정면 평면도가 개략적으로 거기에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서 전체적으로 50 으로 지시되고 닫힌 제1 작동 위치에 있는 이동 전화기 기기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동 전화기 기기(50)는 주요면 표면 (major face surface; 54)을 구비하는 주된 몸체요소(main body element; 52)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56 으로 지시된 제2 몸체요소(second body element) 또는 패널(panel)은, 주된 몸체요소(52)의 적어도 일 부분(58)에 겹쳐지고, 용도에 맞는 주요 표면(major surface; 60)을 구비한다. 제2 몸체요소(56)는, 도 2 에 도시된 닫힌 제1 작동 위치(first operative closed position)와 도 4 에 도시된 열린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화살표(62)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될 수 있도록, 주된 몸체요소(52)와 미끄럼이동식으로 결합(sliding engagement)된다. 전체적으로 64 로 표시된 제3 몸체요소는, 주된 몸체요소의 주요면 표면(54)의 다른 부분(전체적으로 66 으로 표시된 부분)과 겹쳐지고, 도 2 에 도시된 닫힌 제1 작동 위치와 도 4 에 도시된 열린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54)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방향 화살표(68)에 의하여 표시된 바에 따라 회전 움직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3 몸체요소(64)는, 제3 몸체요소 및 주된 몸체요소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피봇축(pivot axis; 7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전화기 기기(50)는, 그래픽, 문자, 및 거래시장과 이동 전화기 기기의 소비 대중과 사용자들에게 잘 알려진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2 몸체요소(56) 내에 구성된 스크린(72)을 포함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74 로 표시된 문자/숫자들은 이동 전화기 기기(50)의 평상시 사용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적합한 세로 보기 자세에서 스크린(72)에 표시된다. 이어폰(76)도 제2 몸체요소(56)에 의하여 보유된다.
제3 몸체요소(64)는, 표면(80) 내에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78 로 지시된 키패드를 포함하고,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태화되는 키이(82)들의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78)의 키이(82)들의 구조물은 이동 전화기 기기에서 이용되는 키패드와 같은 전형적인 통신용 키패드로 형태화된다. 키이(82)들은 표지(indicia; 84)를 보유하는데, 그 표지는 통신용 키패드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문자/숫자용 표지일 수 있고, 그 표지(84)는 이동 전화기 기기(50)가 세로 자세에서 닫힌 제1 작동 위치에서 이용되는 때에, 스크린(72) 상에서 표시되는 문 자/숫자(74)에 대해 적절히 보이는 자세에 있게 된다. 또한 제3 몸체요소(64)는 스피커(86), 기능 키이들(88, 90), 및 내비게이션 키이(navigation key; 92)도 포함한다. 이동 전화기 기기(50)의 작동은 작동 및 제어 회로부(operational and control circuitry)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그 회로부는 주된 몸체요소(52), 또는 잘 알려지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이동 전화기 기기(52) 내의 적절한 다른 위치에 보유되는바, 그 회로부에 대하여는 여기에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제2 작동 위치는 이동 전화기 기기(50)를 가로 자세로 형태화시키는데, 여기에서 제2 몸체요소(56)는 주된 몸체요소(52)의 부분(58)에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92 로 지시된 키보드를 노출시키도록 완전히 연장되고, 또한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키이(94)들을 포함한다. 제2 작동 위치에서, 제3 몸체요소(64)는 그 자세로부터 도 2 에 도시된 제1 작동 위치로 90도 회전되는바, 이로써 키패드(78)는 키보드(92)의 키이(94)들과 함께 사용되도록 그 키이(94)들과 나란한 관계(side-by-side relationship)로 있게 되고, 이동식 기기(50)가 전기능 키보드를 구비하도록 형태화된다. 여기에서 키패드(78) 상에 보유되는 표지(84)의 자세는 키보드(92)의 키이(94)들 상에 있는 표지(96)의 자세에 대응된다. 키보드(92)의 키이(94)들은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쿼티 키보드와 같이 적합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전화기 기기(50) 내의 적합한 제어 회로부는, 제2 몸체요소(56)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열리는 것을 검출하고, 스크린(72) 상에서 표시되는 문자/숫자들(74)의 자세가 키보드(92) 및 키패 드(78) 상의 표지의 자세와 일치되는 적당한 가로 자세로 맞추어지도록 변화시킨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제2 몸체요소(56)는, 제2 몸체요소(56)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104)으로부터 연장되고 적합한 형태를 갖는 상호걸림식(interlocking)의 레일들(100, 102)에 의하여, 주된 몸체요소(52)와 미끄럼이동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들(100, 120)은, 주된 몸체요소(52)의 표면(54)에 그리고 키보드(92)의 개별적인 측부(110, 112)들에 서로로부터 이격된 관계로 각각 배치되며 상보적으로 형상화된 홈들(106, 108) 내에 수용된다. 제2 몸체요소가 닫힌 제1 작동 위치로부터 열린 제2 작동 위치로 움직임에 따라서 제2 몸체요소(56)의 진행을 제한하는 적합한 정지부들이 상기 홈들(106, 108)에 구비된다. 주된 몸체요소(52)에 대한 제2 몸체요소(56)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다른 수단도 고안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제2 몸체요소(56)가 완전히 연장되어 열린 제2 작동 위치로 가는 때에 주된 몸체요소(52)와 제2 몸체요소(56)의 대면하는 표면들 간에 적합한 형태를 갖는 정지부가 서로 맞물릴 수 있고, 제1 몸체요소에 대한 제2 몸체요소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제3 몸체요소(64)가 피봇축(7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3 몸체요소(64)는, 전체적으로 114 로 지시된 스핀들 또는 다른 임의의 적합한 요소에 의하여, 피봇축(70)을 중심으로 하되 주된 몸체요소(52) 상에서 주된 몸체요소 표면(54)의 평면에 평행하게 회전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2 몸체요소(64)가 화살표(116)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주된 몸체요소(52)의 표 면(54)으로부터 멀게 움직이는 것을 적합하게 제한하면서도 피봇축(70)을 중심으로 한 회전은 허용하는 그러한 스핀들(114)은 잘 알려진 것이며 또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제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여기에는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결합된 제2 몸체요소와 제3 몸체요소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로써 어느 하나의 움직임이 닫힌 제1 작동 위치와 열린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다른 것의 적절한 움직임을 야기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요소(56)에는 전체적으로 120 으로 표시된 랙 기어가 구비되는데, 상기 랙 기어는 제2 몸체요소(56)의 일 측부(122)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기어치(126)와의 상호작용 및 맞물림을 위한 기어치(124)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치(126)는 제3 몸체요소(64)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118)에 장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부착되고 적합한 치수를 갖는 원형 기어 요소(128)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이로써, 제2 몸체요소(56)가 화살표(130)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3 몸체요소(64)가 피봇축(70)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132)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때 그 기기는 닫힌 제1 작동 위치로부터 열린 제2 작동 위치로 형태변경됨으로써 제3 몸체요소(64)가 키보드(92)와의 관계에서 적절히 보이도록 배치된다. 제2 몸체요소(56)가 열린 제2 작동 위치로부터 닫힌 제2 작동 위치로 움직여짐에 따라서 화살표(134)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여지는 때에는, 제3 몸체요소(64)가 피봇축(70)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136)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되어, 키패드(78)를 이동 전화기 기기(50)에서의 통신용 키패드로서의 작동을 위한 세로 자세로 복귀시킨다.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2 몸 체요소를 제3 몸체요소로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다른 적합한 구조물들이 고찰될 수 있고, 또한 그것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몸체요소(56)를 요망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원형 기어(128)를 구동하는 동력화된 기계적 결합(motorized mechanical coupling)이 활용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2 몸체요소(56)과 제3 몸체요소(64)가 닫힌 제1 작동 위치와 열린 제2 작동 위치 간으로 움직여지는 중에 필요한 회전반경 여유공간(turning radius clearance)이 제공되도록 하는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그 기기가 도 2 에 도시된 닫힌 제1 작동 위치에 있는 때에는 통신용 키패드로서 작동하고 그 기기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제2 작동 위치 또는 가로 위치(landscape position)에서 작동되는 때에는 전기능 키보드를 제공하는 숫자 키패드로서 작동하는 다기능 키패드(78)가 제3 몸체요소(64)에 의하여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9a 내지 도 9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 평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것은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며 또한 유사한 부분들에 대하여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었다. 설명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150 으로 표시된 이동 전화기 기기는 도 9a 에서 닫힌 제1 작동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동 전화기 기기(150)는 주요면 표면(54)을 갖는 주된 몸체요소(52)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56 으로서 표시된 제2 몸체요소는, 주된 몸체요소(52)의 적어도 일 부분(58)에 겹쳐지고 또한 용도에 따 라 주요 표면(60)을 구비한다. 제2 몸체요소(56)는 도 9a 에 도시된 닫힌 제1 작동 위치와 도 9c 에 도시된 열린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화살표(62)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주된 몸체요소(52)와 미끄럼이동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전체적으로 64 로 표시된 제3 몸체요소는, 주된 몸체요소의 주요면 표면(54)의 전체적으로 66 으로 표시된 다른 부분과 겹쳐지고, 또한 도 9a 에 도시된 닫힌 제1 작동 위치와 도 9c 에 도시된 열린 제2 작동 위치 사이에서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54)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화살표(68)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움직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3 주된 몸체요소(64)는 제3 몸체요소와 주된 몸체요소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피봇축(7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전체적으로 152 로 표시된 힌지 또는 스위벨 아암 메카니즘(hinge or swivel arm mechanism)이, 주된 몸체요소(56)와 제3 몸체요소(64)를 결합시키고, 제2 몸체요소(56) 및 제3 몸체요소(64)의 하측부들과 주된 몸체요소(52)의 주요 표면(54) 사이에 개재된다. 스위벨 아암(swivel arm; 152)의 일 단부(154)는 제2 몸체요소(56)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피봇축(156)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을 위하여 구성된다. 스위벨 아암(152)의 반대측 단부(158)는 제3 몸체요소(64)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피봇축(16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을 위하여 구성된다. 도 9a 내지 도 9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요소와 제3 몸체요소는 서로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움직임이 닫힌 제1 작동 위치와 열린 제2 작동 위치 간에서 다른 하나가 대응하게 응답하여 움직이는 것을 야기한다. 도 9a 내지 도 9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또는 스위벨 아암 메카니 즘(152)은, 상기 기기가 닫힌 제1 작동 위치와 열린 제2 작동 위치 간으로 형태변경되는 때에 제2 몸체요소(56)의 움직임이 제3 몸체요소를 피봇축(7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제2 몸체요소(56)와 제3 몸체요소(64) 간의 적합한 상호작용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치수를 갖는다. 제2 몸체요소(56)는, 적합한 형태를 갖는 상호걸림 레일(100, 102)에 의하여 주된 몸체요소(52)와 미끄럼이동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되는데, 상기 레일들은 제2 몸체요소(56)의 외향으로 향하는 표면(104)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주된 몸체요소(52)의 표면(54)에 배치되고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홈들(106, 108) 각각 내에 수용된다.
도 9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요소(56)가 열린 제2 작동 위치로 움직여진 때에 게임 콘트롤러 키패드는 전기능 키보드보다는 주된 몸체요소(52)의 부분(58)에 제공된다. 그 게임용 키보드는 주된 몸체요소(52)의 부분(58)에서 면(54) 상에 구성되고 또한 전체적으로 162 로서 표시된 일 세트의 작동 키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164 로서 표시된 움직임 모션 패드(motion pad) 또는 조이스틱은 주된 몸체요소(52)의 부분(58) 내에 면(54) 상에 만들어진다.
디스플레이의 방향설정과 전자 기기의 다른 작동적인 기능들은 시스템 제어 유니트(170)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그것은 도 15 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패널 위치 표시기(172)는, 제2 몸체요소(56)가 전자 기기에서 도 2 및 도 9a 에 도시된 제1 작동 위치 또는 세로 위치에 있거나 또는 도 4 및 도 9c 에 도시된 제2 작동 위치 또는 가로 위치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신호를 기기 제어 유니트(174)에 제공한다. 기기 제어 유니트(174)는, 마이크로프로세 서(microprocessor),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디스플레이 드라이버(display driver), 또는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의도된 기능과 바람직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둘 다를 포함하는 다른 수단일 수 있고, 또한 의도된 기능들을 수행 및 제어하는 각각의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 위한 적합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바, 이것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기기 제어 유니트(174)는 키이 또는 다른 작동적 자극을 수단으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작동되어 기기 기능부(176)에 적합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그 기기 기능부 신호는 기기 제어 유니트(174)로 연결된다. 기기 제어 유니트(174)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보여지는 그래픽 또는 문자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 설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요망되는 방향설정에 대응되는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방향설정 및 제어 유니트(178)에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기기는 통신용 키패드 또는 통신 능력이 없는 상태로, 게임 유니트로서만 이용될 수있다. 따라서, 키패드들을 보유하는 표면 영역들은 키패드 기능이 아닌 다른 요망되는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주된 몸체요소(52), 제2 몸체요소(56), 및 제3 몸체요소(64)의 매끄러운 작동 및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자 기기, 및 힌지 또는 스위벨 아암 메카니즘(152)의 제작에 적합한 소재들이 이용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소재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각각 상이한 작동 위치를 정의하는 미리 결정된 고정적 자세로 형태변경될 수 있는 복수의 몸체요소들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위에서 몇가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설명되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제까지 제한적이라기보다는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 특히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2)

  1.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1 몸체요소;
    외부를 대면하는 제1 주요 표면(first major outwardly facing surface)을 구비한 제2 몸체요소; 및
    외부를 대면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3 몸체요소;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로서,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겹쳐지는 관계로 배치되고 제1 주된 몸체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를 휴대용 전자기기의 대응하는 개별적인 상이한 작동 위치를 각각 정의하는 미리 결정된 다수의 고정된 자세들로 형태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제3 몸체요소 각각이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배치된 형태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상기 제3 몸체요소에 대해 하측-위의-상측 자세(top-over-bottom orientation)로 배치되어 제1 작동 위치를 정의하고,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서로에 대해 제1 작동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간으로 미끄럼이동 움직임(slideable movement)이 가능하게 배치 되며,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상기 제3 몸체요소에 대하여 하측-위의-상측 자세로부터 벗어나서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겹쳐지지 않는 관계로 되게 제1 방향으로의 선형 경로를 따르는 미끄럼이동 움직임이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2 작동 위치를 정의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몸체요소가, 상기 제1 작동 위치에서의 제1 고정된 자세와 상기 제2 작동 위치에서의 제2 고정된 자세 간으로의 회전을 위하여,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제1 주요 표면과 상기 제3 몸체요소의 외부를 대면하는 제1 주요 표면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적합하게 구성된, 휴대용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요소에 만들어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제3 몸체요소에 만들어진 제1 키이 구조물; 및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진 제2 키이 구조물;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작동 위치에서 상기 제2 키이 구조물은 상기 제2 몸체요소에 의하여 덮이고 사용자에 의해 접근될 수 없으며, 상기 제2 작동 위치에서 상기 제2 키이 구조물은 노출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접근 및 이용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제3 몸체요소 중의 하나가 상기 제1 고정된 자세와 제2 고정된 자세 간에서 움직이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제3 몸체요소 중의 다른 하나가 상기 제1 고정된 자세와 제2 고정된 자세 간으로 각각 움직이게 되도록,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적합한 형태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요소는 랙 기어를 구비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원형 기어를 구비한 형태를 가지며, 각 기어는 상기 제2 몸체요소와 제3 몸체요소의 상기 움직임을 야기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한 상호작용을 위한 기어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제3 몸체요소와 상기 주된 몸체요소 사이에 개재된 스위벨 아암 메카니즘(swivel arm mechanism)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벨 아암 메카니즘은 상기 제2 몸체요소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2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을 위하여 배치된 일 단부,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제3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일 단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단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몸체요소의 제1 키이 구조물은 상기 제1 작동 위치에서 통신용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제2 키이 구조물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요망되는 기능에 따라서 구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제2 키이 구조물은 쿼티 키보드(QWERTY keyboard)로서 구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몸체요소의 제1 키이 구조물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요망되는 기능에 따라서 구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몸체요소의 제1 키이 구조물은 숫자 키보드로서 구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13. 제 4 항에 있어서,
    이동용 기기의 형태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된 자세는 세로 자세(portrait orientation)이고, 상기 제2 고정된 자세는 가로 자세(landscape orientation)인, 휴대용 전자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상기 제1 고정된 자세와 제2 고정된 자세 각각 간으로 움직여지는 때에 상기 스크린 상에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의 자세를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화시키는 수단이 더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
  16. 제1 표면을 구비한 제1 주된 몸체요소;
    제1 패널로서,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겹쳐지는 형태를 가지고, 용도에 대응하는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과 미끄럼이동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제1 고정된 형태에서는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덮여지고 또한 용도에 사용될 수 없으며, 제2 고정된 형태에서는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덮이지 않고 또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로서,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다른 부분에 겹쳐지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주된 몸체요소 상에서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평면에 평행하게 회전 움직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고정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패널이 제1 자세에 있고 또한 상기 제1 패널에 인접하여 위치적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2 고정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패널이 상기 주된 몸체요소 상에서 회전되어 제2 자세로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적으로 정렬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진 게임 콘트롤러 키패드로서의 형태를 갖는, 전자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 기기로서의 형태를 갖는, 전자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이동용 기기로서의 형태를 갖는, 전자 기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게임 유니트(game unit)로서의 형태를 갖는, 전자 기기.
  21.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1 주된 몸체요소;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2 몸체요소;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3 몸체요소;
    상기 제2 몸체요소에 만들어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제1 의도된 기능에 따라 상기 제3 몸체요소에 만들어진 제1 키이 구조물;
    제2 의도된 기능에 따라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진 제2 키이 구조물;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 및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상기 제2 몸체요소가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겹쳐지지 않는 관계로 되게 제1 방향으로의 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한 미끄럼이동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상기 제3 몸체요소를 관통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적합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3 몸체요소의 회전은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제1 주요 표면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는,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세로의 고정된 자세 및 가로의 고정된 자세 중의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1 키이 구조물을 이루는 키이들에 보유되는 표지는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상기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진 상기 제2 키이 구조물을 이루는 키이들 상에 보유되는 표지에 대해 적절한 위치적 자세를 유지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22. 전자 기기 내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자 기기가 제1 열린 작동 위치와 제2 열린 작동 위치에서 이용되는 때에 필요하다면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보이는 정보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변경시키고, 상기 전자 기기는: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1 주된 몸체요소;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2 몸체요소;
    용도에 대응하는 제1 주요 표면을 구비한 제3 몸체요소;
    상기 제2 몸체요소에 만들어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제1 의도된 기능에 따라 상기 제3 몸체요소에 만들어진 제1 키이 구조물;
    제2 의도된 기능에 따라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진 제2 키이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 및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서로에 대한 미끄럼이동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몸체요소는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겹쳐지지 않는 관계로 되게 제1 방향으로의 선형 경로를 따라 미끄럼이동의 움직임이 가능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3 몸체요소는,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의 제1 주요 표면의 평면에 평 행한 평면에서의 제3 몸체요소의 회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와 상기 제3 몸체요소를 관통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적합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주된 몸체요소, 상기 제2 몸체요소, 및 상기 제3 몸체요소는,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세로의 고정된 자세 및 가로의 고정된 자세 중의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1 키이 구조물을 이루는 키이들에 보유되는 표지는 상기 주된 몸체요소의 상기 적어도 일 부분에 만들어진 상기 제2 키이 구조물을 이루는 키이들 상에 보유되는 표지에 대해 적절한 위치적 자세를 유지하고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보여지는 정보가 자동적으로 그에 대응하는 세로 자세 및 가로 자세로 보여지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87009006A 2005-09-19 2006-09-18 휴대용 전자 기기 KR200800504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30,069 US7507044B2 (en) 2005-09-19 2005-09-19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230,069 2005-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493A true KR20080050493A (ko) 2008-06-05

Family

ID=3788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006A KR20080050493A (ko) 2005-09-19 2006-09-18 휴대용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7044B2 (ko)
EP (1) EP1927236A4 (ko)
KR (1) KR20080050493A (ko)
CN (1) CN101268676A (ko)
WO (1) WO2007034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2427B2 (en) * 2006-05-31 2011-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US7953448B2 (en) * 2006-05-31 2011-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for mobile device
US8243967B2 (en) * 2005-11-14 2012-08-14 Nokia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WM292104U (en) * 2005-12-23 2006-06-11 Lite On Technology Corp A portable electronic product has a single display for reducing cost and a Qwerty keyboard
US20070201931A1 (en) * 2006-02-28 2007-08-30 Bowen James H Front rear switchable keyboard
US7620341B2 (en) * 2006-04-18 2009-11-17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device, image print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2008040019A (ja) * 2006-08-03 2008-02-21 Toshiba Corp 携帯端末
JP4781989B2 (ja) * 2006-12-15 2011-09-2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筐体
US20090153371A1 (en) * 2007-12-14 2009-06-18 Griffin Jason T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Keyboard
US8121659B2 (en) * 2007-12-20 2012-02-21 Nokia Corporation Slide mechanism
TWI420890B (zh) * 2007-12-26 2013-12-21 Htc Corp 手持電子裝置及其使用者介面之切換方法
JP2009284018A (ja) * 2008-05-19 2009-12-03 Fujitsu Ltd 情報端末
US20090324002A1 (en) * 2008-06-27 2009-12-3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Display and Speaker
TWI332816B (en) * 2008-07-25 2010-11-01 Htc Corp Electronic device
US8385992B2 (en) * 2008-12-19 2013-02-26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KR20110048569A (ko) * 2008-08-29 2011-05-11 노키아 코포레이션 자동-슬라이드 키패드를 구비한 장치
US20100151902A1 (en) * 2008-12-15 2010-06-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ng a First and/or Second Portion of an Electronic Device
TWI450562B (zh) * 2009-05-22 2014-08-21 Fih Hong Kong Ltd 行動通訊裝置
US20100304795A1 (en) * 2009-05-28 2010-12-02 Nokia Corporation Multiple orientation apparatus
JP5244034B2 (ja) * 2009-06-18 2013-07-24 加藤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並びにこの開閉装置を用いた携帯機器
US20110035209A1 (en) * 2009-07-06 2011-02-10 Macfarlane Scott Entry of text and selections into computing devices
EP2477091A1 (en) * 2011-01-10 2012-07-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with rotatable portion
US8662769B2 (en) 2011-01-10 2014-03-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with rotatable portion
CN103682197B (zh) * 2012-09-25 2015-12-0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外接电池模块及可携式电子装置
CN113489814B (zh) * 2018-12-10 2024-0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634449A (zh) * 2019-01-30 2019-04-16 合肥陆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收展的一体化智能鼠标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1897B (fi) 1995-11-24 2003-09-30 Nokia Corp Kaksitoiminen tiedonvälityslaite
US6053085A (en) * 1997-11-12 2000-04-25 Siecor Corporation Ribbon separation tool and method for separating an optical fiber ribbon
US6111527A (en) 1998-06-18 2000-08-29 Susel; Irving Expandable keyboard
FI991007A (fi) * 1999-05-03 2000-11-04 Nokia Mobile Phones Ltd Liukukannellinen elektroninen laite
GB2350516A (en) * 1999-05-26 2000-11-29 Ericsson Telefon Ab L M Telephone handset with at least two movable elements whose motion is linked or is initiated by pushbutton or incoming call
KR20000064177A (ko) * 2000-05-01 2000-11-06 권용순 이동 단말기
US6834199B2 (en) * 2001-03-19 2004-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with an exchangeable data input apparatus
US6850226B2 (en) * 2001-11-09 2005-02-01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display screen
JP4062916B2 (ja) * 2001-12-17 2008-03-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キーボード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446747B1 (ko) * 2002-05-29 200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CN100418337C (zh) * 2003-05-06 2008-09-10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改进的输入数据能力的便携式通信装置
KR100531880B1 (ko) 2003-07-10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US7107018B2 (en) * 2003-09-12 2006-09-12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keypads
US7269450B2 (en) 2003-10-09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sw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US7003104B2 (en) * 2003-10-13 2006-02-21 Hanbit Precision Co., Lt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ellular phone
US20050091431A1 (en) 2003-10-23 2005-04-28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7092246B2 (en) 2003-11-18 2006-08-15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connecting a display to a body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KR100456426B1 (ko) 2004-03-12 2004-11-10 하나 마이크론(주) 휴대용 단말기의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06004B1 (ko) 2004-05-03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TWM263698U (en) 2004-10-04 2005-05-01 Hith Tech Comp Corp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dual ope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34283A1 (en) 2007-03-29
CN101268676A (zh) 2008-09-17
US7507044B2 (en) 2009-03-24
US20070065220A1 (en) 2007-03-22
EP1927236A1 (en) 2008-06-04
EP1927236A4 (en)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0493A (ko) 휴대용 전자 기기
US7099708B2 (en) Foldable/Slidable Function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EP1858236B1 (en) Multi-position device
RU23473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меющее несколько клавишных панелей
KR100996271B1 (ko) 이동가능한 키패드를 갖는 휴대 전화
EP1779641B1 (en) Flip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518536B2 (ja) パソコン兼用携帯電話機。
FI114267B (fi) Elektroninen laite ja menetelmä tietojen näyttämiseksi
JP2007179525A (ja) 携帯型電子機器
JPH1055227A (ja) 情報処理装置
JP2006331287A (ja) 電子機器
US7818038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with multiple operational configurations
US2006005614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40185922A1 (en) Smartphone with novel opening mechanism
JP2003044169A (ja) 電子機器
JP2004064716A (ja) 携帯用電話機
JP5561168B2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状態切替構造
US20100075726A1 (en)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US200501345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otated keyboard and angled display in a hand-held computing device
JPH04225386A (ja) 電子機器
JP2002111814A (ja) 通信端末装置
KR200394706Y1 (ko) 다수개의 몸체가 결합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121700A (ja) 情報伝達装置、ピンの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JP5448171B2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GB2413028A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function hinge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