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123B1 -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123B1
KR101023123B1 KR1020100116933A KR20100116933A KR101023123B1 KR 101023123 B1 KR101023123 B1 KR 101023123B1 KR 1020100116933 A KR1020100116933 A KR 1020100116933A KR 20100116933 A KR20100116933 A KR 20100116933A KR 101023123 B1 KR101023123 B1 KR 10102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rope
buffer
rockfall
rock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래
김정구
Original Assignee
하리기술이십이 주식회사
김정구
김현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리기술이십이 주식회사, 김정구, 김현래 filed Critical 하리기술이십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3Wire clamp

Abstract

본 발명은 낙석발생시 낙석방지망과 와이어로프로 충격에너지가 가해질 경우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변화를 통해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낙석방지망(10) 위에 교차 배치되는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를 연결하기 위한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프(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제2 로프(120)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신축부(120a)를 통과시키는 제1 지지판(210)과, 상기 신축부(120a)가 걸리는 제2 지지판(220)과,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로프(110)를 감싸는 체결수단(300) 및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낙석에 의한 충격에너지 발생시 충격에너지의 힘에 비례하여 상기 신축부가 줄어드는 만큼 와이어로프의 전체 길이는 늘어남으로써 그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와이어로프가 쉽게 끊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and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rockfall preventing net}
본 발명은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낙석발생시 낙석방지망과 와이어로프로 충격에너지가 가해질 경우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변화를 통해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석방지망은 도로나 인도 측면의 암반들이 깍여서 형성된 비탈면에 설치되어 상기 비탈면의 암반으로부터 이탈된 낙석들이 도로나 인도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낙석방지망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메쉬 모양으로 제작되어 비탈면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용 체결구 등을 사용하여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써 사면을 보강하게 된다.
이러한 낙석방지망은 일정 중량 이상을 지닌 낙석의 충격에너지 대해서는 쉽게 찢어지거나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낙석방지망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보다 탄력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용 완충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는 낙석방지망(10)의 표면 위에 배치되는 와이어로프(20)와, 상기 낙석방지망(10)을 가압하는 상태로 사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1)를 구비한 결착판(30)과, 상기 결착판(30)과 와이어로프(20)를 탄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압축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는 상기 결착판(30)이 사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20)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결착판(30)이 고정된 사면이 붕괴되면 상기 낙석방지망(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고정력이 사라지게 되므로, 결국 붕괴된 주변의 낙석방지망(10)을 탄력적으로 지지보강하는 와이어로프(20)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다량의 낙석이 발생할수록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의 보강력은 그에 비례하여 약화되므로 낙석방지망(10)이 쉽게 찢어지거나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낙석발생시 낙석방지망과 와이어로프로 충격에너지가 가해질 경우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변화를 통해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는, 낙석방지망 위에 교차 배치되는 제1 로프와 제2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제2 로프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신축부를 통과시키는 제1 지지판과, 상기 신축부가 걸리는 제2 지지판과,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로프를 감싸는 체결수단 및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지지판에는 상기 제2 로프의 신축부가 통과하는 관통홈 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판에는 상기 제2 로프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은 'ㄱ'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체결수단은 'ㄱ'자 단면 형상의 수직 플랜지에 설치되고, 상기 신축부는 수평 플랜지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낙석방지망에 외력이 발생할 때,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제1 지지판 쪽을 향하여 직선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각각의 수직 플랜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볼트와, 상기 유볼트의 양측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판에 결합되는 유볼트는 낙석방지망과 함께 상기 제1 로프를 끼운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판에 결합되는 유볼트는 제1 로프만을 감싸는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내측을 통과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 낙석방지망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낙석방지망의 표면 위로 제1 로프와 제2 로프를 격자 모양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로프와 제2 로프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제2 로프를 잡아당겨 신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신축부를 압축스프링의 내측으로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신축부를 제2 지지판에 끼워서 연결하고,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제1 로프와 제2 지지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판을 압축스프링의 일측 단부에 배치하고,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제1 로프와 제1 지지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로프의 길이변화를 통해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신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신축부를 연결하는 완충용 지지판을 구성함으로써, 낙석에 의한 충격에너지 발생시 충격에너지의 힘에 비례하여 상기 신축부가 줄어드는 만큼 와이어로프의 전체 길이는 늘어남으로써 그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와이어로프가 쉽게 끊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완충용 지지판의 구성요소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가 사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의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낙석방지망용 완충구가 사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1000)는 낙석방지망(10) 위에 교차 배치되는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로 연결된 와이어로프(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로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으로 구성된 완충용 지지판(200)과,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로프(110)를 감싸는 체결수단(300)과,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와이어로프(100)는 메쉬 형상의 낙석방지망(10)의 표면 위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써, 상기 낙석방지망(10)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보강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낙석방지망(10)은 외부의 환경변화에 따라 쉽게 부식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PVC의 소재로 코팅하여 제작하는 일반적이다. 그러나 충격을 흡수하고 부식이 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라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해도 좋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로프(100)는 낙석방지망(10)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낙석방지망(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로프(120) 보다 제1 로프(110)의 직경을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제2 로프(120)는 길이변화를 통해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로프(110)와 교차하는 부분을 잡아당겨 절곡된 2줄의 신축부(120a)를 형성하고, 상기 신축부(120a)는 후술하는 완충용 지지판(200)의 제1 지지판관(210)을 통과하여 제2 지지판(220)에 걸리는 구조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의 양단부에는 고정용 앵커(15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용 앵커(150)에 의해 와이어로프(100)는 팽팽한 상태로 사면에 고정된다(도 6참조).
한편, 상기 완충용 지지판(200)은 상기 와이어로프(100)의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를 이격시키는 상태로 연결하고, 상기 제1 로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2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구제척으로, 상기 완충용 지지판(200)은 제2 로프(120)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신축부(120a)를 통과시키는 연결부(211)를 형성한 제1 지지판(210)과, 상기 신축부(120a)가 걸리는 연결부(221)를 형성한 제2 지지판(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판(210)의 연결부(211)는 상기 제2 로프(120)의 신축부(120a)를 통과시키는 관통홈(211a) 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2 지지판(220)에 형성된 연결부(221)는 상기 제2 로프(120)의 신축부(120a)가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걸쳐지는 상태로 안내하는 가이드홈(221a)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은 'ㄱ'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ㄱ'자 단면 형상의 수직 플랜지에는 후술할 체결수단(300)이 관통 결합되는 체결공(2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용 지지판(200)은 제1 로프(11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낙석에 의한 충격에너지 발생시 낙석방지망(10)으로부터 이탈되는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용 지지판(200)은 낙석에 의한 충격에너지 발생시, 상기 제2 지지판(220)은 상기 제1 지지판(210) 쪽을 향하여 직선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로프(120)의 신축부(120a)를 줄어들게 하여 상기 제2 로프(120)의 전체 길이를 연장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완충용 지지판(200)에 대하여 제2 로프(120)의 신축부(120a)가 연결된 상태에서 낙석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전달되면, 충격에너지를 전달받은 쪽의 제2 로프(120)가 늘어나는 과정에서 신축부(120a)를 당기게 되고, 이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신축부(120a)가 줄어드는 것에 비례하여 제2 로프(120)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어 그에 따른 인장력을 한층 증가시키기 때문에 낙석의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을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로프(120)가 쉽게 끊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참조).
한편, 상기 체결수단(300)은 완충용 지지판(200)의 수직 플랜지의 체결공(20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 각각의 수직 플랜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볼트(310)와, 상기 유볼트(310)의 양측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32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용 지지판(200)의 제1 지지판(210)에 결합되는 유볼트(310)는 낙석방지망(10)과 함께 상기 제1 로프(110)를 끼운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판(220)에 결합되는 유볼트(310)는 제1 로프(110)만을 감싸는 상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용 지지판(200)의 제1 지지판(210)은 낙석방지망(10)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판(220)은 낙석의 충격에너지 발생시 상기 제1 지지판(210)에 대하여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400)은 완충용 지지판(200)의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로프(120)의 신축부(120a) 길이 변화에 의해 상기 제2 지지판(220)이 제1 지지판(210) 쪽으로 이동을 하는 것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로프(100)는 상기 압축스프링(400)의 내측을 통과하는 구조로 배치되거나 연결된다.
이는, 낙석의 충격에너지 발생시 와이어로프(100)가 늘어나는 과정에서 완충용 지지판(200)의 외측으로 벗어나 완충효과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낙하 충격에너지의 소멸시 상기 완충용 지지판(200)을 원래의 이격된 위치로 용이하게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압축스프링(400)의 내부로 와이어로프(100)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압축스프링(400)의 개방된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와이어로프(100)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압축스프링(4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로프(100)는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낙석방지망용 완충구(1000)에 따르면, 와이어로프(100)의 길이변화를 통해 충격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신축부(120a)를 형성하고, 상기 신축부(120a)를 연결하는 완충용 지지판(200)을 구성함으로써, 낙석에 의한 충격에너지 발생시 충격에너지의 힘에 비례하여 상기 신축부(120a)가 줄어드는 만큼 와이어로프(100)의 전체 길이는 늘어남으로써 그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와이어로프(100)가 쉽게 끊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암반 또는 토사로 이루어진 비탈면에 낙석방지망(10)을 포설한다(S100).
그리고, 상기 낙석방지망(10)의 표면 위로 와이어로프(100)의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를 격자 모양으로 배치하고 고정용 앵커(150)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S200).
이어서, 상기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가 교차하는 지점의 아래쪽에는 상기 제1 로프(110)를 내측으로 인입시킨 상태로 압축스프링을 설치한다(S300).
이를 위해, 상기 압축스프링(400)의 개방된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로프(110)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압축스프링(4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로프(110)는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가 교차하는 지점의 제2 로프(120)를 잡아당겨서 2줄의 신축부(120a)를 형성하고, 상기 신축부(120a)는 압축스프링(40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관통시킨다(S400).
이후, 상기 압축스프링(400)의 타측을 관통한 신축부(120a)의 폐단부를 상기 완충용 지지판(200)의 제2 지지판(2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1a)에 끼워서 연결하고, 이어서 상기 체결수단(300)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판(220)과 제1 로프(110)를 연결한다(S500). 물론 상기 제2 지지판(220)은 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 다음, 상기 압축스프링(400)의 일측 단부에는 완충용 지지판(200)의 제1 지지판(210)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지지판(210)에 결합되는 체결수단(300)을 미리 낙석방지망(10)과 제1 로프(110)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지지판(21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S600).
10 : 낙석방지망
100 : 와이어로프
110 : 제1 로프
120 : 제2 로프
120a : 신축부
200 : 완충용 지지판
210 : 제1 지지판
220 : 제2 지지판
300 : 체결수단
400 : 압축스프링

Claims (9)

  1. 낙석방지망(10) 위에 교차 배치되는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를 연결하기 위한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프(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제2 로프(120)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된 신축부(120a)를 통과시키는 제1 지지판(210);
    상기 신축부(120a)가 걸리는 제2 지지판(220);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로프(110)를 감싸는 체결수단(300); 및,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210)에는 상기 제2 로프(120)의 신축부(120a)가 통과하는 관통홈(211a) 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220)에는 상기 제2 로프(120)를 안내하는 가이드홈(2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210)과 제2 지지판(220)은 'ㄱ'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체결수단(300)은 'ㄱ'자 단면 형상의 수직 플랜지에 설치되고, 상기 신축부는 수평 플랜지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5. 제1항에 있어서,
    낙석방지망(10)에 외력이 발생할 때, 상기 제2 지지판(220)은 상기 제1 지지판(210) 쪽을 향하여 직선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00)은,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 각각의 수직 플랜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유볼트(310)와, 상기 유볼트(310)의 양측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210)에 결합되는 유볼트(310)는 낙석방지망(10)과 함께 상기 제1 로프(110)를 끼운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판(210)에 결합되는 유볼트(310)는 제1 로프(110)만을 감싸는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100)는 상기 압축스프링(400)의 내측을 통과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탈면에 낙석방지망(10)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낙석방지망(10)의 표면 위로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를 격자 모양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로프(110)와 제2 로프(120)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제2 로프(120)를 잡아당겨 신축부(120a)를 형성하고, 상기 신축부(120a)를 압축스프링(400)의 내측으로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신축부(120a)를 제2 지지판(220)에 끼워서 연결하고, 체결수단(300)을 이용하여 제1 로프(110)와 제2 지지판(220)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판(210)을 압축스프링(400)의 일측 단부에 배치하고, 체결수단(300)을 이용하여 제1 로프(110)와 제1 지지판(210)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용 완충구의 시공방법.
KR1020100116933A 2010-11-23 2010-11-23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2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933A KR101023123B1 (ko) 2010-11-23 2010-11-23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933A KR101023123B1 (ko) 2010-11-23 2010-11-23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123B1 true KR101023123B1 (ko) 2011-03-24

Family

ID=4393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933A KR101023123B1 (ko) 2010-11-23 2010-11-23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1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672B1 (ko) 2012-04-03 2012-12-26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215674B1 (ko) 2012-04-03 2013-01-09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215773B1 (ko) 2012-04-03 2013-01-09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432999B1 (ko) 2014-02-12 2014-08-27 김정구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낙석방지망 및 시공방법
KR20190002132A (ko) * 2017-06-29 2019-01-08 김정구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CN113699905A (zh) * 2021-09-11 2021-11-26 河北工业大学 一种崩塌落石防护能量耗散拦挡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91Y1 (ko) 2002-05-17 2002-09-09 금호엔지니어링 (주) 완충장치가 구비된 낙석방지용 울타리
JP2005314981A (ja) 2004-04-30 2005-11-10 Yuzo Sakamoto ワイヤーロープ補助具
KR100610391B1 (ko) 2003-11-26 2006-08-09 (주) 코리아에스이 충격에너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KR100659377B1 (ko) 2006-01-20 2006-12-19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와이어로프 완충장치와 이를 이용한 낙석 방지망 및 이의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91Y1 (ko) 2002-05-17 2002-09-09 금호엔지니어링 (주) 완충장치가 구비된 낙석방지용 울타리
KR100610391B1 (ko) 2003-11-26 2006-08-09 (주) 코리아에스이 충격에너지 완충구를 구비한 낙석 방호 울타리 구조물
JP2005314981A (ja) 2004-04-30 2005-11-10 Yuzo Sakamoto ワイヤーロープ補助具
KR100659377B1 (ko) 2006-01-20 2006-12-19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와이어로프 완충장치와 이를 이용한 낙석 방지망 및 이의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672B1 (ko) 2012-04-03 2012-12-26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215674B1 (ko) 2012-04-03 2013-01-09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215773B1 (ko) 2012-04-03 2013-01-09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432999B1 (ko) 2014-02-12 2014-08-27 김정구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낙석방지망 및 시공방법
KR20190002132A (ko) * 2017-06-29 2019-01-08 김정구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KR101997904B1 (ko) * 2017-06-29 2019-07-08 홍용택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CN113699905A (zh) * 2021-09-11 2021-11-26 河北工业大学 一种崩塌落石防护能量耗散拦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123B1 (ko)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TWI417440B (zh) Impact absorption fence
KR101470685B1 (ko) 충격 흡수 울타리
JP6393850B1 (ja) 防護柵における支柱の立設構造
WO2011065448A1 (ja) 防護柵の網体用緩衝装置
JP6228946B2 (ja) 防護柵
KR101432999B1 (ko)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낙석방지망 및 시공방법
KR101039386B1 (ko)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KR101174619B1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101129399B1 (ko) 낙석 방지망
JP5557166B2 (ja) 防護柵
JP6456266B2 (ja) シェッド
JP7027124B2 (ja) 防護施設、エネルギー吸収面材及びエネルギー吸収装置
KR101207714B1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JP5414555B2 (ja) 防護柵
JP5123224B2 (ja) 既設落石防護柵の補強構造
JP4254926B2 (ja) 衝撃吸収柵
JP2015183456A (ja) 落石防止装置
JP4564460B2 (ja) 崩落物の防護構造体
KR102585122B1 (ko) 낙석완충장치를 구비한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06327B1 (ko) 낙석방지망용 로프의 교차부 결속 및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JP3639950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4156556B2 (ja) 防護柵
KR101422784B1 (ko) 낙석방지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