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773B1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773B1
KR101215773B1 KR1020120034370A KR20120034370A KR101215773B1 KR 101215773 B1 KR101215773 B1 KR 101215773B1 KR 1020120034370 A KR1020120034370 A KR 1020120034370A KR 20120034370 A KR20120034370 A KR 20120034370A KR 101215773 B1 KR101215773 B1 KR 101215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guide
shock absorbing
groun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호
Original Assignee
나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종호 filed Critical 나종호
Priority to KR1020120034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3Wire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은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101)를 가이드구(122)에 끼워 합체하고, 가이드구(122)의 하측으로 충격흡수관(123)을 체결하면, 충격흡수관(123)의 하측으로 가압구(124)를 결합하되 가압구(124)를 네일공(126)을 통해 네일로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시킨 다음 가압구(124)의 하측 와이어로프(101)에 압축스프링(121)을 끼워 합체시키고 와이어로프(101)를 중앙지지구(111)의 가이드홈(112)에 가이드하여 합체하면서 고정시키므로, 일정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면 가이드구(122)는 충격흡수관(123)을 파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충격에너지를 1차로 흡수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더 큰 압력이 발생하면, 가압구(124)가 더 큰 에너지에 의해 지지상태가 해제되면서 압축스프링(121)을 가압하여 충격에너지를 2차로 흡수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낙석방지망의 표면적이 늘어나면서 탄력적으로 지반 거동 등에 따른 사면 붕괴나 낙석의 발생을 억제하는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net for preventing falling rock, using wire rope}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로 낙석방지망을 형성시켜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지반 거동 등에 따른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낙석방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석방지망을 제조하는 경우에 와이어로프를 이용함이 월등한 효과가 있음 인식하면서도 강선을 꼬아 형성한 와이어로프의 직조가 거의 불가능한 이유로 종래의 낙석방지망은 철선을 합성수지로 피복시킨 직선형상의 피복철선을 지그재그로 절곡하여 일정한 피치를 갖도록 하고 이러한 피복철선을 회전시켜 순차적으로 피복철선과 피복철선의 절곡부분이 상호 걸리도록 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낙석방지망 제조장치는 피복철선의 절곡부분이 단순히 걸리도록 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하므로 절곡부분의 지지력이 약화되는 단점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낙석방지망 전체의 지지력이 떨어져 낙석방지망의 수명과 낙석방지 효과를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낙석방지망의 설치 후, 재 보수 등을 위하여 낙석방지망을 일부 을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들어내는 경우 낙석방지망의 절곡부분이 다시 펴지는 되므로 재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면의 특성상 사면의 표면이 다수의 돌출이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나, 낙석방지망을 사면에 밀착시키고 동시에 팽팽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힘을 가하면 낙석 방지망의 절곡부분이 훼손될 우려로 인하여 단순히 헐렁하게 사면을 덮은 후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하여 낙석방지망을 설치하므로 낙석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낙석방지망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다수의 와이어로프를 가로와 세로로 교차되게 고정 설치하여 낙석방지망의 낙석방지 효과를 유지하도록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다이아몬드 형상의 낙석방지망은 시공할 때 넓이에 대한 가변성이 크고 이로 인하여 낙석방지망이 사면에 밀착되더라도 지지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표면이 울퉁불퉁한 사면에서 지주의 설치위치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출원번호10-2002-00389600)을 선출원한 바 있으나 통상의 방법으로 와이어로프를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하므로 강선인 와이어가 공급되면서 일방향으로만 꼬아 매듭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와이어로프를 일방향으로 계속하여 비틀리게 되므로 와이어로프에 부하가 크게 걸려 적정길이로의 낙석방지망의 직조가 불가능하였다.
나아가 원활한 직조를 위하여 연성의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조바늘에 걸린 와이어로프에서 꺾임 현상이 발생하여 매듭이 불량 처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강성이 강한 와이어로프를 직조하는 경우 매듭이 완성되더라도 와이어로프의 복원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매듭이 풀어져 낙석방지망의 형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등록특허 10-0685717)을 선등록 한 바 있으나 지반 거동 등으로 강한 압력 등이 발생하면 그 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하고 직접적으로 낙석방지망에 충격에너지를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목적은 와이어로프를 육각형으로 형성하되 지지력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낙석차단 및 지반붕괴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은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관통시켜 합체하거나 분리하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구와, 상기 상하 한 쌍의 가이드구 사이에 설치하여 가이드구를 탄력 설치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과, 상기 가이드구와 압축스프링 사이에 설치하되 일정압력 이상에서 파쇄하는 충격흡수관과, 상기 한 쌍의 압축스프링 사이에 와이어로프를 결합시켜 지중에 고정시키는 중앙지지구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측 가이드구의 하향으로 통과한 합체 상태의 와이어로프를 좌우 대각선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와이어로프를 측방에서 합체되어 분리된 와이어로프와 함께 상측 가이드구로 다시 합체시킴으로써, 상기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육각 형상의 낙석방지망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은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가이드구에 끼워 합체하고, 가이드구의 하측으로 충격흡수관을 체결하면, 충격흡수관의 하측으로 가압구를 결합하되 가압구를 네일로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시킨 다음 가압구의 하측 와이어로프에 압축스프링을 끼워 합체시키고 와이어로프를 중앙지지구의 가이드홈에 가이드하여 합체하면서 고정시키므로, 일정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면 가이드구는 충격흡수관을 파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충격에너지를 1차로 흡수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더 큰 압력이 발생하면, 가압구가 더 큰 에너지에 의해 지지상태가 해제되면서 압축스프링을 가압하여 충격에너지를 2차로 흡수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낙석방지망의 표면적이 늘어나면서 탄력적으로 지반 거동 등에 따른 사면 붕괴나 낙석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의 전체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의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의 중앙지지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의 중앙지지구 분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의 전체 변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의 충격흡수부 1차 변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의 충격흡수부 2차 변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의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100)은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101)를 관통시켜 합체하거나 분리하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구(122)과, 상기 상하 한 쌍의 가이드구(122) 사이에 설치하여 가이드구(122)를 탄력 설치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121)과, 상기 가이드구(122)와 압축스프링(121) 사이에 설치하되 일정압력 이상에서 파쇄하는 충격흡수관(123)과, 상기 충격흡수관(123)을 지지하는 가압구(124)), 및 상기 한 쌍의 압축스프링(121) 사이에 와이어로프(101)를 결합하여 지중에 고정시키는 중앙지지구(111)로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구(112)는 하측 가이드구(122)의 하향으로 통과한 합체 상태의 와이어로프(101)를 좌우 대각선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와이어로프(101)를 측방에서 합체되어 분리된 와이어로프(101)와 함께 상측 가이드구(122)로 다시 합체시키되, 상기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육각 형상의 낙석방지망(100)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가이드구(122)는 일측을 개폐시켜 와이어로프(101)를 간편하게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가이드구(112)는 좌우로 절단하여 밴딩 등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상기 압축스프링(121)은 합체시킨 낙석방지망(101)의 상하 각각에 형성하여 상측 압축스프링(121)의 상단과 하측 압축스프링(121)의 하단이 가이드구(122)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충격흡수관(123)은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하프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되 이를 볼트링하거나 밴딩하여 체결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격흡수관(123)에는 다수개의 파쇄 홈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충격흡수관(123)과 압축스프링(121) 사이에는 가압구(124)를 구비하여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압구(124)에 네일공(126)을 천공한 지지편(125)을 형성하고 네일을 지중에 매설하여 가압구(124)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지반 거동 등으로 가이드구(122)에 일정압력 이상이 가해지면 충격흡수관(123)이 파쇄되면서 1차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그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는 가압구(124)가 고정상태를 벗어나면서 압축스프링(121)을 가압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한다.
상기 중앙지지구(111)는 상하 한 쌍으로 형성하여 와이어로프(101)의 교차부분을 고정시키되, 내부에 상하로 대향하는 가이드홈(112)을 형성하여 합체된 와이어로프(101)를 가이드 하도록 한다.
여기서 가아드홈(112)은 상하에 좌우로 가이드홈(112)을 분리하고 중앙에서 합체하도록 하되 와이어로프(101)의 교차부분을 엮어서 가이드하여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하 한 쌍의 중앙지지구(111) 좌우에는 상호 대응하는 체결공(114)을 형성하여 통상의 체결수단으로 결합하도록 한다.
더불어, 중앙지지구(111)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지중에 매설하는 네일이나 지중 등을 고정하는 네일공(113)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와이어로프(101)는 다수개의 강성을 꼬아 형성하되 합성수지제로 피복하여 설치 후 와이어로프(101)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흡수관(123)의 전후와 압축스프링(121)의 전후에는 "C"형의 와셔나 링을 끼워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101)를 가이드구(122)에 끼워 합체하고, 가이드구(122)의 하측으로 충격흡수관(123)을 체결하면, 충격흡수관(123)의 하측으로 가압구(124)를 결합하되 가압구(124)를 네일공(126)을 통해 네일로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시킨다.
나아가, 가압구(124)의 하측 와이어로프(101)에 압축스프링(121)을 끼워 합체시킨 다음 와이어로프(101)를 중앙지지구(111)의 가이드홈(112)에 가이드하여 합체하면서 고정시킨다.
이때 와이어로프(101)는 엮어서 가이드홈(1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되 중앙지지구(111)의 체결공(114)에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상하 한 쌍의 중앙지지구(111)가 와이어로프(101)를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중앙지지구(111)의 결합이 완료되면, 중앙지지구(111)의 하측에 압축스프링(121)과 하측 가이드구(122)를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한편, 합체되어 하측 가이드구(122)를 통과한 와이어로프(101)는 좌우 대각선상으로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와이어로프(101)를 다시 측방에서 합체시켜 분리한 와이어로프(101)와 상기와 같이 합체함과 동시에 이를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육각 형상의 낙석방지망(100)을 형성하는 것이다.
더욱이, 중앙지지구(111)를 먼저 체결하고 압축스프링(121), 가압구(123), 충격흡수관(123) 및 가이드구(122)를 체결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조립순서를 필요에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반 거동에 따른 외력이나 낙석이 발생하면, 와이어로프(101)가 팽창하면서 가이드구(122)를 압박한다.
이때 일정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면 가이드구(122)는 충격흡수관(123)을 파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충격에너지를 1차로 흡수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반에 더 큰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와 같이 1 차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한 후, 네일이나 지주로 지면에 고정된 가압구(124)가 더 큰 에너지에 의해 지지상태가 해제되고, 지지상태가 해제되면 가압구(124)가 압축스프링(121)을 가압하여 수축시키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이때 가압구(122)는 압축스프링(121)이 외력에 의해 압축되지 않고 단순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탄력상태를 유지시킨다.
더욱이, 이러한 경우에는 와이어로프(101)의 합체 부분이 줄어들면서 표면적이 늘어나 압축스프링(121)에 의해 견고하게 지반 거동 등에 따른 사면 붕괴나 낙석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100 : 낙석방지망 101 : 와이어로프
110 : 지지부 111 : 중앙지지구
112 : 가이드홈 113 : 네일공
114 : 체결공 120 : 충격흡수부
121 : 압축스프링 122 : 가이드구
123 : 충격흡수관 124 : 가압구
125 : 지지편 126 : 네일공

Claims (6)

  1.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101)를 관통시켜 합체하거나 분리하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구(122)과,
    상기 상하 한 쌍의 가이드구(122) 사이에 설치하여 가이드구(122)를 탄력 설치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121)과,
    상기 가이드구(122)와 압축스프링(121) 사이에 설치하되 일정압력 이상에서 파쇄하는 충격흡수관(123)과,
    상기 충격흡수관(123)을 지지하는 가압구(124)), 및
    상기 한 쌍의 압축스프링(121) 사이에 와이어로프(101)를 결합하여 지중에 고정시키는 중앙지지구(11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122)는 하측 가이드구(122)의 하향으로 통과한 합체 상태의 와이어로프(101)를 좌우 대각선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와이어로프(101)를 측방에서 합체되어 분리된 와이어로프(101)와 함께 상측 가이드구(122)로 다시 합체시키므로, 육각 형상의 낙석방지망(100)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관(123)은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하프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되 다수개의 파쇄 홈을 형성하여 일정압력에서 파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관(123)은 압축스프링(121) 측에 가압구(124)를 구비하여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되, 가압구(124)에는 네일공(126)을 천공한 지지편(125)을 형성하여 가압구(124)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122)에 일정압력 이상이 가해지면 충격흡수관(123)이 파쇄되면서 1차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그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는 가압구(124)가 고정상태를 벗어나면서 압축스프링(121)을 가압하여 2차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구(111)는 상하 한 쌍으로 형성하여 상하로 대향하는 가이드홈(112)을 형성하고, 가이드홈(112)의 상하에 좌우로 가이드홈(112)을 분리하고 중앙에서 합체하도록 하며, 와이어로프(101)의 교차부분을 엮어서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하고, 네일공(113)을 형성하여 네일로 지중에 매설하여 중앙지지구(111)를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20120034370A 2012-04-03 2012-04-03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215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370A KR101215773B1 (ko) 2012-04-03 2012-04-03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370A KR101215773B1 (ko) 2012-04-03 2012-04-03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773B1 true KR101215773B1 (ko) 2013-01-09

Family

ID=4784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370A KR101215773B1 (ko) 2012-04-03 2012-04-03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7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140B1 (ko) * 2017-11-21 2018-07-16 이영수 낙석방지망
KR101907879B1 (ko) * 2018-03-07 2018-10-15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지주식 네트형 토석류 저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772B1 (ko) 2000-07-13 2002-09-27 합자회사 광명산업안전공사 낙석 방지용 안전망
KR100929403B1 (ko) 2008-12-30 2009-12-02 (주)엠케이 팽창기능이 구비된 충격흡수형 다용도 차단망
KR100976269B1 (ko) 2010-02-05 2010-08-18 (주)화천알엔씨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KR101023123B1 (ko) 2010-11-23 2011-03-24 하리기술이십이 주식회사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772B1 (ko) 2000-07-13 2002-09-27 합자회사 광명산업안전공사 낙석 방지용 안전망
KR100929403B1 (ko) 2008-12-30 2009-12-02 (주)엠케이 팽창기능이 구비된 충격흡수형 다용도 차단망
KR100976269B1 (ko) 2010-02-05 2010-08-18 (주)화천알엔씨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KR101023123B1 (ko) 2010-11-23 2011-03-24 하리기술이십이 주식회사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140B1 (ko) * 2017-11-21 2018-07-16 이영수 낙석방지망
KR101907879B1 (ko) * 2018-03-07 2018-10-15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지주식 네트형 토석류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209B1 (ko) 탄성압착식 낙석방지망
KR100923135B1 (ko)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KR101390176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의 완충형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KR101174619B1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EP3124700A1 (en) Energy dissipation device for protection systems
KR101215773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215672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KR10169154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207714B1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101023123B1 (ko)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E202022102793U1 (de) Slacklinesystem
KR101121688B1 (ko) 사면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시공 방법
CN112854253B (zh) 一种用于小粒径落石防护的柔性玻璃网落石防护系统及其设计方法
KR102149111B1 (ko)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215674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879140B1 (ko) 낙석방지망
JP2018100484A (ja) 落石防護柵
JP7034464B2 (ja) 落石防護柵
KR20230117954A (ko) 낙석완충장치를 구비한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62346Y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1676807B1 (ko) 고신뢰도의 완충기능과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하는 낙석방지펜스
KR20090081843A (ko) 외장형 스프링 락볼트를 이용한 암사면지반 보강공법
KR101649684B1 (ko) 낙석 방지용 탄성 결합구
EP2712961B1 (en) Netting for a slope stabilization system or for a protection kit against landsl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