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772B1 - 낙석 방지용 안전망 - Google Patents

낙석 방지용 안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772B1
KR100353772B1 KR1020000040285A KR20000040285A KR100353772B1 KR 100353772 B1 KR100353772 B1 KR 100353772B1 KR 1020000040285 A KR1020000040285 A KR 1020000040285A KR 20000040285 A KR20000040285 A KR 20000040285A KR 100353772 B1 KR100353772 B1 KR 100353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wire
wire rope
anchor bol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461A (ko
Inventor
나재흠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광명산업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광명산업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합자회사 광명산업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000040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77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석방지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1단계로 암반의 하단부를 제외한 전체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앵커볼트를 고정한 다음 앵커볼트의 고리부를 통과하는 로우프를 설치 고정하는 단계: 2단계로 앵커볼트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의 상부에 안전망을 올려놓고 고정하는 단계: 3단계로 앵커볼트에 종형 와이어를 설치한 다음 와이어를 사선방향으로 향하게 하되 그 일측의 와이어와 접하는 부분에 안전망과 함께 결착클립으로 고정한 다음 와이어를 다시 반대의 사선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다른 와이어와 접하는 부분에 결착클립으로 고정하는 단계: 4단계로 종방향의 와이어를 하단의 앵커볼트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결속하여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와이어가 사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낙석발생시 와이어가 암반에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최대의 탄력성을 얻을 수가 있으며, 또한 암반의 내부에 별도의 앵커볼트가 없음으로서 낙석발생시 낙석이 막힘 없이 하단으로 잘 흐를 수가 있으며, 안전망이나 와이어가 파손되었을 경우 결착클립만 분리하므로서 다른 와이어들은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명의 연장과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낙석 방지용 안전망{SAFETY NET FOR FALLING ROCK}
본 발명은 절개지 경사면에 설치되는 낙석방지용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안전망의 고정을 위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로우프가 각 사선 방향을 향해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되도록 하되, 마름모꼴 형상의 창출을 위해 인접한 와이어로우프와 상호 마주하는 부분을 안전망과 함께 결착클립으로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설치의 간편함을 구현하고, 안전망에 유동성과 탄력성을 부여하여 낙석에 의한 일시적인 변형에도 충분한 복원력을 갖도록 배려함으로 내구성과 경제적 유용성을 갖게 한 낙석방지용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암반이 형성되는 절개지의 경사면으로는 낙석의 위험과 각종 사고의 방지를 위해 그물망형태의 안전망이 설치되고, 그 대부분이 포켓식과 커튼식으로 구분되는 안전망이다.
이때, 포켓식 안전망은 PVC코팅망을 암반 벽면에 밀착시킨 후 3m간격으로 와이어로우프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교차시킨 다음 각 교차되는 지점을 선택하여 결착클립으로 고정시키고, 일정한 위치마다 와이어로우프의 저항력 확대를 위해 앵커보울트를 암반에 고정하여 줌으로서 PVC코팅망 및 종/횡방향 와이어로우프의 지지력이 증대되어 낙석의 차단효과와 아울러 발생되는 낙석이 안전망 하단으로 흘러내리도록 배려된 공법이다.
그러나 상기의 공법은 횡방향 와이어로우프에 낙석이 걸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와이어로우프에 적층되는 낙석이 안전망의 인장력을 초과하게 될 경우 대형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고 더욱이 쌓인 낙석의 제거를 위해서는 부득이 횡방향 와이어로우프를 절단해야 한다는 폐단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커튼식 안전망은 포켓식과는 달리 중간 앵커보울트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단과 좌/우 측면으로만 앵커보울트를 보강하여 낙석의 하향을 유도하였지만 포켓식과 마찬가지로 흘러 내려가야 할 낙석이 횡방향 와이어로우프에 걸려 적층될 수 있는 큰 위험성을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종래의 공법에 따르면, 안전망 전체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상단의 고정 앵커보울트와 와이어로우프에 있어, 안전망은 와이어로우프의 양쪽 끝 부분에만 결착되고 나머지는 앵커보울트에만 걸쳐지는 관계로 낙석의 하중으로 양쪽의 결착부가 이탈되거나 혹은 연약지반에 앵커보울트가 고정되었을 시 전체 안전망의 지지기반이 상실된다는 문제점 또한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낙석의 적층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낙석의 무게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횡방향 와이어로우프를 제거하고 종방향 와이어로우프를 마름모꼴 형상의 지그재그형 사선방향으로 위치고정시켜 와이어로우프에 유동과 탄성력을 부여함으로 낙석의 충격에 의한 훼손이나 일시 변형될 수 있는 안전망의 복원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낙석의 적층현상없이 자연스럽게 밑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등 작업성과 내구성 및 경제적 효용성에서 유용성이 큰 안전망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 안전망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 안전망에 적용되는 와이어 결착클립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와이어 결착클립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앵커보울트의 조립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암반 2 : 앵커보울트
3 : 안전망 4 : 와이어로우프
5,14a : U형의 보울트 6,6a : 체결홈
7,7a : 체결공 8 : 고정구
9,9a : 체결너트 10 : 결착클립11 : 상판 12 : 하판13 : 돌출부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안전망은 절개지 경사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하단부를 제외한 가장자리의 앵커보울트에 설치 고정되는 안전망과, 상기 안전망의 고정을 위해 안전망의 외표면에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와이어로우프를 설치한 안전망에 있어서, 각각의 와이어로우프가 사선방향을 향해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되어 상호 마름모꼴 형상이 유지되도록 인접한 와이어로우프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하판으로 분리되는 결착클립을 고정하되, 결착클립은 상판의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하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끝부분이 요입지게 만곡된 돌출부와, 상/하판의 양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삽입된 채 너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U형의 보울트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망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 안전망의 정면도이며, 도 2와 3은 각각 본 발명 결착클립의 분리상태와 조립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앵커보울트의 조립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절개지 경사면에 설치되어 암반(1)을 구성하고 있는 경사면으로 하단부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앵커보울트(2)를 설치 고정하되, 상기 앵커보울트(2)로는 해당되는 암반(1)의 전체면이 덮여질 수 있도록 우수한 내구성 및 탄력성을 갖는 안전망(3)을 마련하여 그 주변을 긴밀하게 고정시켜준다.
이때, 안전망(3)의 주변을 제외한 중간부분의 고정을 위해 상기 안전망의 외표면을 선택하여 상기 앵커보울트(2)의 고리부에 연결된 채 상단에서 부터 하단을 향해 종방향의 와이어로우프(4)가 위치되는데, 상기 와이어로우프(4)는 U형의 보울트(5)에 종방향의 와이어로우프(4)와 앵커보울트(2)가 삽입된 다음 상기 U형의 보울트(5)가 체결될 수 있도록 양측면 전/후에는 반원형의 체결홈(6)과, 양측면 중앙으로는 체결공(7)이 형성된 고정구(8)를 마련하여 별도의 체결너트(9)를 통해 상호 긴밀하게 체결시키는 것이다.
또한, 안전망(3)의 외표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와이어로우프(4)는 일정 길이의 단위로 지그재그형의 사선방향을 향해 설치되는 관계로 와이어로우프(4)의 설치상태가 상호 마름모꼴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의 고정을 위해 인접하는 와이어로우프(4)와 상호 마주하는 부분에 상/하판(11)(12)으로 분리 구성되는 결착클립(10)을 고정하는데, 상기 결착클립(10)은 안전망(3)과 와이어로우프(4)를 일체로 견고하게 결착·고정시켜 준다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결착클립(10)을 구성하는 상판(11)의 저면 양측으로는 외측으로 경사진 상태의 체결홈(6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6a)에 삽입되도록 하판(12)의 상부에는 끝부분이 요입지도록 만곡되는 돌출부(13)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상/하판(11)(12)의 양측면 중앙을 선택하여 상호 연통되는 체결공(7a)을 형성하고, 이러한 체결공(7a)에 U형의 보울트(5a)가 삽입된 채 체결너트(9a)가 고정됨으로서 본 발명이 완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절개지 경사면의 하단부를 제외한 암반(1)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앵커보울트(2)를 설치한 후 안전망(3)이 고정될 수 있게 하는데, 각각의 앵커보울트(2)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에 와이어로우프(4)를 체결하여 안전망(3)의 외표면에 위치 고정시키고, U형의 보울트(5)에 와이어로우프(4)가 끼워진 후 그 상부에 반원형의 체결홈(6)이 형성된 고정구(8)를 체결한 다음 그 상부에서 체결너트(9)를 고정함으로 고정구(8)의 반원형 체결홈(6)이 와이어로우프(4)를 압착하게되어 앵커보울트(2)에서 와이어로우프(4)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암반(1)의 외표면 상단에 위치되는 와이어로우프(4)가 지그재그형의 사선방향을 향하면서 상호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와이어로우프(4)의 각 부분이 마주하는 부분과 해당 안전망(3)의 위치를 복수개의 결착클립(10)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시킴으로 결국 와이어로우프(4)와 안전망(3)이 암반(1)의 표면에서 이격된 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착클립(1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판(11)을 체결하여 상판(11)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홈(6a)에 와이어로우프(4)가 삽입되게 한 다음 와이어로우프(4)의 저면에서 돌출부(13)가 형성된 하판(12)을 체결하면 하판(12)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3)가 와이어로우프(4)를 압착 체결하고, 동시에 와이어로우프(4)는 타방향의 사선으로 절곡되어 결착됨으로 와이어로우프(4)의 견고한 장력이 유지되는데, 상판(11)의 외측으로 경사진 체결홈(6a)에 의해 와이어로우프(4)는 쉽게 상판(11)에서 이탈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낙석 발생시 해당낙석은 자체의 하중으로 안전망(3)의 하단부를 향해 낙하되면서 수시로 안전망(3)에 부딪치게 됨으로 안전망(3)을 외부로 밀어주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은 지그재그형의 와이어로우프(4)에 의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즉, 상기와 같이 낙석의 원인으로 안전망(3)이 튀어나오게 되면 안전망(3)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로우프(4)에 의하여 안전망(3)이 고정된 채 탄력성을 유지하게 되고 와이어로우프(4)가 복수개의 결착클립(10)에 따라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안전망(3)의 신축성과 복원력을 가능케 한다.
또한, 낙석이 안전망(3)을 따라 하단부로 흐를 경우 그 하단에는 종방향의 와이어로우프(4)에 횡방향의 와이어로우프와 안전망(3)이 고정되어 있는 방식이 채택되어 있어 마치 하단이 터널형태로 개방됨으로 낙석이 막히지 않고 흘러 내릴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안전망(3)을 고정하고 있는 종방향 와이어로우프(4)의 끝부분은 암반(1)의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앵커보울트(2)를 따라 고정된 횡방향 와이어로우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낙석이 안전망(3)에 걸려 적층되는 사태의 발생을 피할 수 있고, 안전망(3)이나 와이어로우프(4)가 파손되었을 경우 간단히 결착클립(10)만을 분해하여 해당부분을 수리하면 족하다는 유용성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망의 상단에서 종방향 와이어로우프가 마름모꼴 형상을 유지한 채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안전망과 와이어로우프에 유동성과 탄성력이 부여됨으로 낙석의 충격으로 훼손되거나 변형되는 안전망의 복원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낙석의 적층현상없이 자연스럽게 안전망의 밑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여 낙석 발생시 유용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실시상의 가치를 갖는다.

Claims (4)

  1. 절개지 경사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하단부를 제외한 가장자리의 앵커보울트에 설치 고정되는 안전망과, 상기 안전망의 고정을 위해 안전망의 외표면에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와이어로우프를 설치한 안전망에 있어서,
    각각의 와이어로우프가 사선방향을 향해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되어 상호 마름모꼴 형상이 유지되도록 인접한 와이어로우프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하판으로 분리되는 결착클립을 고정하되, 결착클립은 상판의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하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끝부분이 요입지게 만곡된 돌출부와, 상/하판의 양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삽입된 채 너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U형의 보울트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낙석 방지용 안전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00040285A 2000-07-13 2000-07-13 낙석 방지용 안전망 KR100353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85A KR100353772B1 (ko) 2000-07-13 2000-07-13 낙석 방지용 안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85A KR100353772B1 (ko) 2000-07-13 2000-07-13 낙석 방지용 안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461A KR20020007461A (ko) 2002-01-29
KR100353772B1 true KR100353772B1 (ko) 2002-09-27

Family

ID=1967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285A KR100353772B1 (ko) 2000-07-13 2000-07-13 낙석 방지용 안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77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224B1 (ko) * 2005-02-17 2005-11-17 (주)진아건축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조경벽면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1167553B1 (ko) * 2011-10-25 2012-07-27 김상운 낙석방지책
KR101215773B1 (ko) 2012-04-03 2013-01-09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215674B1 (ko) 2012-04-03 2013-01-09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346635B1 (ko) 2011-06-30 2014-01-02 나현주 Pc강연선을 이용한 지반보강장치 및 지반보강공법
KR101432999B1 (ko) 2014-02-12 2014-08-27 김정구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낙석방지망 및 시공방법
KR102461356B1 (ko) 2022-01-06 2022-10-28 박미정 이중직조구조를 갖는 에어 안전망
KR102662613B1 (ko) 2022-12-23 2024-05-03 주식회사 공감티앤씨 낙석방지시설의 와이어 로프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717B1 (ko) * 2005-09-14 2007-02-26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0859209B1 (ko) * 2008-04-02 2008-09-18 하리기술이십이 주식회사 탄성압착식 낙석방지망
KR100923135B1 (ko) * 2009-06-18 2009-10-23 김정구 낙석방지망용 완충구
KR101037013B1 (ko) * 2010-07-16 2011-05-25 재 술 나 와이어로프의 충격흡수용 슬라이드 조립체
EP2712961B1 (en) * 2012-09-28 2016-03-23 3S Geotecnia y Tecnologia S.L. Netting for a slope stabilization system or for a protection kit against landslides
JP6661091B1 (ja) * 2019-10-24 2020-03-11 昌栄テクノ株式会社 組立式反力体、斜面安定化構造体、及び斜面安定化工法
CN112982201B (zh) * 2021-02-10 2021-12-10 西南交通大学 一种全耗能连接型柔性棚洞系统及其设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510A (ja) * 1997-12-26 1999-07-21 Tokyo Seiko Co Ltd 落石等防護工のロープ張設工法と落石等防護ネツト
KR100262694B1 (ko) * 1997-12-11 2000-08-01 김춘자 낙석방지용 방지책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694B1 (ko) * 1997-12-11 2000-08-01 김춘자 낙석방지용 방지책의 설치방법
JPH11193510A (ja) * 1997-12-26 1999-07-21 Tokyo Seiko Co Ltd 落石等防護工のロープ張設工法と落石等防護ネツ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224B1 (ko) * 2005-02-17 2005-11-17 (주)진아건축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조경벽면의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1346635B1 (ko) 2011-06-30 2014-01-02 나현주 Pc강연선을 이용한 지반보강장치 및 지반보강공법
KR101167553B1 (ko) * 2011-10-25 2012-07-27 김상운 낙석방지책
KR101215773B1 (ko) 2012-04-03 2013-01-09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215674B1 (ko) 2012-04-03 2013-01-09 나종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1432999B1 (ko) 2014-02-12 2014-08-27 김정구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낙석방지망 및 시공방법
KR102461356B1 (ko) 2022-01-06 2022-10-28 박미정 이중직조구조를 갖는 에어 안전망
KR102662613B1 (ko) 2022-12-23 2024-05-03 주식회사 공감티앤씨 낙석방지시설의 와이어 로프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461A (ko) 200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772B1 (ko) 낙석 방지용 안전망
KR100515730B1 (ko) 철망이 조립식으로 설치된 낙석방지책
KR100976269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KR102310529B1 (ko) 내진 기능이 강화된 천정 판넬시스템
KR100530803B1 (ko) 메쉬휀스용 연결밴드
KR100938709B1 (ko) 사면보강용 와이어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사면보강장치
KR102618856B1 (ko)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KR200287832Y1 (ko) 낙석방지울타리의 와이어로프 간격유지장치
KR100975418B1 (ko) 생태 보호 울타리
KR20060135582A (ko) 분리형 와이어 로프를 가지는 낙석방지망
KR200197317Y1 (ko) 낙석방지용 그물망 고정부재
KR200277425Y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클립
KR100581091B1 (ko) 도로의 낙석방지펜스
KR200403528Y1 (ko) 낙석방지책의 고정와이어 고정장치
KR200241132Y1 (ko) 낙서방지용 앵커볼트와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앵커클립
KR200268023Y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2167586B1 (ko) 슬라이딩 장치로 연결된 보행매트
KR200410682Y1 (ko) 울타리 지주
KR20030077050A (ko) 하우스 골조
KR200290002Y1 (ko) 낙석방지망용 고정부재
KR100364084B1 (ko) 암반에 적용되는 낙석방지용 휀스 설치방법
KR200483991Y1 (ko) 앵커보호형 낙석방지시설
KR200403457Y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100249685B1 (ko) 포집식 낙석방지망의 설치방법
KR102662613B1 (ko) 낙석방지시설의 와이어 로프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