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91Y1 - 앵커보호형 낙석방지시설 - Google Patents

앵커보호형 낙석방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91Y1
KR200483991Y1 KR2020160003079U KR20160003079U KR200483991Y1 KR 200483991 Y1 KR200483991 Y1 KR 200483991Y1 KR 2020160003079 U KR2020160003079 U KR 2020160003079U KR 20160003079 U KR20160003079 U KR 20160003079U KR 200483991 Y1 KR200483991 Y1 KR 200483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pes
anchors
rop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덕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화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화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화휀스
Priority to KR2020160003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앵커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호망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석방지시설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메인로프가 방호망 상에 종횡으로 팽팽하게 설치됨에 따라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걸린 각 메인로프는 방호망의 내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서브로프는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 복수 개의 서브앵커 사이에서 지그재그로 팽팽하게 설치됨에 따라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진 서브로프의 각 결속지점은 방호망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됨으로써 각 메인로프에 작용하는 방호망의 내측방향의 인장력과 서브로프의 각 결속지점에 작용하는 방호망의 외측방향의 인장력이 서로 상쇄된다.

Description

앵커보호형 낙석방지시설 {Anchor protection type prevention structure for falling stone}
도로변으로 낙석이 낙하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산사면에 설치되는 낙석방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낙석방지시설은 도로건설에 의한 절개지나 가파른 비탈면에 설치되어, 산사태 또는 붕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는 구조물이다. 낙석방지시설은 울타리, 그물망, 옹벽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있으며, 이 중 그물형태의 방호망은 절개지나 비탈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이 망에 걸려 도로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잡거나 도로 주변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시설로, 비탈면의 일정지역에 널리 설치되는 대표적인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낙석방지시설은 그물형태의 방호망을 낙석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덮고 그 위로 강철재질의 와이어로프로 격자설치하며, 와이어로프간의 교차지점은 앵커볼트를 산사면에 삽입 고정하여 방호망이 들뜨지 않게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0262694호의 종래기술은 방호망 상에 격자로 와이어로프를 배치하고, 방호망 최외곽은 고리를 가진 앵커볼트와 걸림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는 앵커볼트의 고리부분이 와이어로프 쪽으로 편향된 인장력을 받고 있고, 와이어로프와 걸리는 고리부분에 인장력이 집중됨에 따라 고리부분에 피로가 누적되어 앵커볼트의 고리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방호망의 외곽에 설치된 앵커의 걸고리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메인앵커의 걸고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낙석방지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은 산사면의 비탈면을 덮는 방호망; 상기 방호망 상에 종횡으로 설치되며, 말단이 둥글게 구부려져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고리를 갖는 복수 개의 메인로프; 상기 각 메인로프의 말단이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말단의 겹쳐진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압착 결속시키는 복수 개의 와이어클립; 상기 방호망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하측은 상기 산사면에 매설되고 각각의 상측의 걸고리는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메인앵커;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의 고리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져 상기 각 고리를 중심으로 "V"자형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방호망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는 서브로프; 및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로프 사이의 방호망 둘레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의 하측은 상기 산사면에 매설되고 각각의 상측의 걸고리에는 상기 각 걸고리를 중심으로 "V"자형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방호망의 내측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의 서브로프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걸리는 복수 개의 서브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가 상기 방호망 상에 종횡으로 팽팽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걸린 각 메인로프는 상기 방호망의 내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서브로프는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 상기 복수 개의 서브앵커 사이에서 지그재그로 팽팽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진 서브로프의 각 결속지점은 상기 방호망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각 메인로프에 작용하는 방호망의 내측방향의 인장력과 상기 서브로프의 각 결속지점에 작용하는 방호망의 외측방향의 인장력이 서로 상쇄됨에 따라 상기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가 감소된다.
상기 서브로프는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상기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가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짐에 따라 형성되는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 내측과 각 메인로프의 고리 내측 사이의 공간에 "V"자형으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서브로프는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상기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가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짐에 따라 형성되는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 외측과 각 메인로프의 고리 내측 사이의 공간에 "V"자형으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결속된 각 메인로프의 고리와 서브로프의 각 결속지점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며,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의 걸고리의 홀을 일자형으로 차례로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의 고리와 상기 서브로프의 결속지점보다 낮게 설치되어 상기 방호망을 눌러주는 경계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로프의 고리와 서브로프가 직접 걸림 결합되는 구조로 메인로프와 서브로프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장됨으로써, 메인로프와 서브로프를 지지하는 메인앵커에 최종적으로 인가되는 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인로프를 최대한 팽팽하게 하여 방호망이 산사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을 메인로프에 가할 수 있으면서도 메인앵커의 걸고리 부분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소시킴에 의해 메인앵커의 걸고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앵커의 걸고리 내측과 메인로프의 고리 내측 사이 공간에 서브로프가 "V"자형으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끼워짐으로써, 구조로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메인앵커의 걸고리 외측과 메인로프의 고리 내측 사이 공간에 서브로프가 "V"자형으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끼워짐으로써,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최소화시키면서 기존의 걸고리를 갖는 앵커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있다.
메인앵커의 걸고리를 통과하는 경계로프는 메인로프의 고리와 서브로프가 서로 걸리는 위치보다 낮게 설치되어 방호망을 눌러줌으로써 방호망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호망의 둘레가 방호망의 다른 부위보다 산사면에 보다 밀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방호망의 둘레로부터의 낙석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 중 서브앵커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산사면의 암벽, 절개지 등과 같은 낙석지역으로부터 낙하되는 낙석들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낙석방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브앵커(5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은 방호망(10), 복수 개의 메인로프(20), 복수 개의 메인앵커(40), 서브로프(30), 및 복수 개의 서브앵커(5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은 상기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호망(10)은 절개지나 가파른 비탈면 등과 같은 낙석 발생의 가능성이 있는 산사면의 비탈면을 덮는다.
복수 개의 메인로프(20)는 산사면의 비탈면을 덮는 방호망(10) 상에 종횡으로 설치되며, 말단이 둥글게 구부려져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고리(21)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로프(20)는 방호망(10) 상에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며 방호망(10)의 위에서 산사면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방호망(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로프(20)는 철선 여러 개를 꼬아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방호망(10) 상에 종횡방향으로 격자 배치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메인로프(2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로프(20)의 양단이 방호망(10)의 둘레에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메인로프(20)는 격자 구조로 배치된다. 방호망(10)의 둘레에 위치한 각 메인로프(20)의 말단을 둥글게 구부려서 접음으로써 각 메인로프(20)의 고리(21)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형성되는 측의 두 가닥으로 겹쳐진 부분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와이어클립(22)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다시 말해, 메인로프(20)의 말단을 둥글게 말음에 따라 겹쳐지게 되는 부위를 와이어클립(22)을 이용하여 결속시키는 구조에 의해 방호망(10)의 둘레에 위치한 메인로프(20)의 말단 부위에 고리(21)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와이어클립(22)은 각 메인로프(20)의 말단이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말단의 겹쳐진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압착 결속시킨다. 와이어클립(22)은 U형볼트, U형볼트에 끼워지는 클립, 및 U형볼트의 양단에 체결되는 두 개의 너트로 구성된다. 메인로프(20)의 접힘 부위를 U형볼트에 넣고 클립을 끼운 상태에서 두 개 의 너트를 조임으로써 각 메인로프(20)의 말단의 겹쳐진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는 압착 결속될 수 있다. 도 2 및 3과 같이 필요에 따라 여러 개 설치될 수 있다. 메인로프(20)의 고리(21)는 메인로프(2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인장력을 받는 부위이기 때문에, 설계자는 와이어클립(22)으로 고정된 메인로프(20)의 접힘 부위가 풀리지 않도록 와이어클립(22)의 설치 개수를 적절하게 결정해야한다.
복수 개의 메인앵커(40)는 방호망(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하측은 산사면에 매설되고 각각의 상측의 걸고리(41)는 각 메인로프(20)의 고리(21)에 끼워진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메인앵커(40)의 상측은 환형의 일부가 개구된 걸고리(41)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은 산사면에 매설되며 견고한 고정을 위해 몰탈이 타설될 수도 있다. 각 메인앵커(40)의 하측은 일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견고한 고정을 위해 "L"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서브로프(30)는 복수 개의 메인로프(20)의 고리(21)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복수 개의 메인앵커(40)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각 메인로프(20)의 고리(21)에 끼워져 각 고리(21)를 중심으로 "V"자형으로 구부러지도록 방호망(10)의 외측으로 당겨지는 구조로 복수 개의 메인앵커(40)에 결속된다. 즉, 서브로프(30)는 복수 개의 메인로프(20)의 고리(21)를 통과하여 각 고리(21)를 중심으로 "V"자가 되도록 방호망(10)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져 설치된다. 서브로프(30)는 복수 개의 메인로프(20)의 고리(21)에 직접 연결되어 복수 개의 메인로프(20)을 당기는 구조로 팽팽하게 설치되며, 직경과 재질은 메인로프(20)과 동일할 수도 있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서브로프(30)는 복수 개의 메인앵커(40)에 결속됨과 동시에 방호망(10)의 외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서브앵커(50)에 결속되어 도 1과 같이 지그재그로 팽팽하게 설치된다.
복수 개의 서브앵커(50)는 각각이 복수 개의 메인로프(2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로프(20) 사이의 방호망 둘레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의 하측은 산사면에 매설되고 각각의 상측의 걸고리(51)에는 각 걸고리(51)를 중심으로 "V"자형으로 구부러지도록 방호망(10)의 내측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의 서브로프(30)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걸린다. 즉, 서브앵커(50)는 방호망(10)의 둘레로부터 일정거리의 산사면 부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러한 서브앵커(50)에 서브로프(30)가 걸림으로써 서브로프(30)는 메인앵커(40)와 서브앵커(50) 사이에서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앵커(50)는 메인앵커(40)와 마찬가지로 그 상측은 환형의 일부가 개구된 걸고리(51)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은 산사면에 매설되며 견고한 고정을 위해 몰탈이 타설될 수도 있다. 각 서브앵커(50)의 하측은 일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견고한 고정을 위해 "L"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서브로프(30)는 서브앵커(50)의 걸고리(51)의 홀을 통과하여 방호망(10)의 내측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아, 서브앵커(50)를 중심으로 "V"자로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앵커(50)는 방호망(1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 즉, 방호망(10)이 덮고 있지 않은 산사면에 매설되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앵커(40) 사이에 서브앵커(50)가 배치된다. 즉,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앵커(40)와 그 사이의 하나의 서브앵커(50)는 삼각형의 꼭짓점을 이루는 구조로 설치된다. 서브로프(30)는 이와 같이 설치된 복수 개의 메인앵커(40)와 복수 개의 서브앵커(50) 사이에서 지그재그로 팽팽하게 설치된다. 이 때,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앵커(40)에 결속된 서브로프(30)에 의해 서브앵커(50)에 인가되는 두 방향의 인장력이 서로 대칭되도록 삼각형의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이 되도록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앵커(40)와 그 사이의 하나의 서브앵커(50)는 설치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2-0064634호 등 대부분의 종래기술은 방호망의 둘레에 고리를 가진 앵커로 걸림 결합하여 전체적인 낙석방지시설을 고정시키는 구조였다. 이러한 구조는, 앵커의 고리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고리부분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취약점이 있었다. 특이, 각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와 같이 걸고리(41)가 환형의 일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 경우, 걸고리(41)의 말단 측에 지속적으로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걸고리(41)의 말단이 벌어지면서 파손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메인앵커(40)마다 두 개의 서브앵커(40)를 대각선 방향 상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하고 메인로프를 최대한 팽팽하게 하여 방호망(10)이 산사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을 메인로프(20)에 가할 수 있도록 서브로프(30)를 연결할 때에 메인앵커(40)에 걸리는 메인로프(20)와 서브로프(30)를 직접 걸림 결합시켜 메인앵커(40)에 서로 반대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메인앵커(4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최소화하여 메인앵커(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복수 개의 메인로프(20)가 방호망(10) 상에 종횡으로 팽팽하게 설치됨에 따라 각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에 걸린 각 메인로프(20)는 방호망(10)의 내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서브로프(30)는 복수 개의 메인앵커(40)와 복수 개의 서브앵커(50) 사이에서 지그재그로 팽팽하게 설치됨에 따라 각 메인로프(20)의 고리(21)에 끼워진 서브로프(30)의 각 결속지점은 방호망(10)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각 메인로프(20)에 작용하는 방호망(10)의 내측방향의 인장력과 서브로프(50)의 각 결속지점에 작용하는 방호망(10)의 외측방향의 인장력이 서로 상쇄됨에 따라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가 감소된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서브로프(30)는 복수 개의 메인앵커(40)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각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가 각 메인로프(20)의 고리(21)에 끼워짐에 따라 형성되는 각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 내측과 각 메인로프(20)의 고리(21) 내측 사이의 공간에 "V"자형으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인로프(20)의 고리(21)와 서브로프(30)는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의 안쪽에서 걸림 결합되는 구조이다. 걸고리(41)의 내측 홀은 메인로프(20)의 고리(21), 서브로프(30) 및 홀을 통과하는 경계로프(60)가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갖는다.
서브로프(30)는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의 안쪽에서 메인로프(20)의 고리(21)를 통과하여 고리(21)의 내측에 맞닿은 상태에서 방호망(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고리(21)를 중심으로 "V"자가 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메인로프(20)와 서브로프(30)는 직접 걸림 결합되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메인앵커(40)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전체적인 합력이 감소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메인앵커(40)로 인가되는 인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에 인가되는 외력이 최소화되어 걸고리(41)의 파손이나 메인앵커(40)가 통째로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서브로프(30)는 복수 개의 메인앵커(40)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각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가 각 메인로프(20)의 고리(21)에 끼워짐에 따라 형성되는 각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 외측과 각 메인로프(20)의 고리(21) 내측 사이의 공간에 "V"자형으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인로프(20)의 고리(21)와 서브로프(30)는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의 바깥쪽에서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는 메인로프(20)의 고리(21)를 통과하면 충분할 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경우에 따라 기존의 앵커로도 설치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진다. 걸고리(41)는 메인로프(20)의 고리(21)와 서브로프(30) 사이에 끼어 양쪽에서 압축력을 받으므로, 걸고리(41)는 압축력으로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진 재질일 필요가 있다.
서브로프(30)는 메인앵커(40)의 걸고리의 바깥쪽에서 메인로프(20)의 고리(21)를 통과하여 고리(21)의 내측에 맞닿은 상태에서 방호망(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고리(21)를 중심으로 "V"자가 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메인로프(20)와 서브로프(30)는 직접 걸림결합되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전체적인 합력이 감소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메인앵커(40)로 인가되는 인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에 인가되는 외력을 최소화하여 걸고리(41)의 파손이나 메인앵커(40)가 통째로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에는 메인로프(20)의 고리(21)가 걸리면서, 걸고리(41)의 홀을 일직선으로 통과하는 경계로프(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경계로프(60)는 각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에 결속된 각 메인로프(20)의 고리(21)와 서브로프(30)의 각 결속지점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며, 복수 개의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의 홀을 일자형으로 차례로 통과함으로써 복수 개의 메인로프(20)의 고리(21)와 서브로프(30)의 결속지점보다 낮게 설치되어 방호망(10)을 눌러준다.
즉, 경계로프(60)는 메인앵커(40)의 걸고리(41)의 홀을 일직선으로 통과하고, 메인로프(20)의 고리(21)와 서브로프(30)가 서로 걸리는 위치보다 낮게 설치되어 방호망(10)을 눌러주면서 걸고리(41)에 고리(21)가 걸리지 않는 다른 로프를 말하며, 도 1과 같이 방호망(10)의 외곽 경계선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된다. 이 때, 걸고리(41)의 홀을 일직선으로 통과하는 경계로프(60)는 고리(21)나 서브로프(30)보다 밑을 지나가도록 설치됨으로써 방호망(10)을 산사면쪽으로 눌러 방호망(10)이 더욱 들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호망(10)의 둘레가 방호망(10)의 다른 부위보다 산사면에 보다 밀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방호망(10)의 둘레로부터의 낙석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방호망
20: 메인로프 21: 고리
22: 와이어클립
30: 서브로프
40: 메인앵커 41: 걸고리
50: 서브앵커 51: 걸고리
60: 경계로프

Claims (4)

  1. 산사면의 비탈면을 덮는 방호망;
    상기 방호망 상에 종횡으로 설치되며, 말단이 둥글게 구부려져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고리를 갖는 복수 개의 메인로프;
    상기 각 메인로프의 말단이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말단의 겹쳐진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압착 결속시키는 복수 개의 와이어클립;
    상기 방호망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하측은 상기 산사면에 매설되고 각각의 상측의 걸고리는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메인앵커;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의 고리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져 상기 각 고리를 중심으로 "V"자형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방호망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는 서브로프; 및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로프 사이의 방호망 둘레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의 하측은 상기 산사면에 매설되고 각각의 상측의 걸고리에는 상기 각 걸고리를 중심으로 "V"자형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방호망의 내측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의 서브로프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걸리는 복수 개의 서브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가 상기 방호망 상에 종횡으로 팽팽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걸린 각 메인로프는 상기 방호망의 내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서브로프는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 상기 복수 개의 서브앵커 사이에서 지그재그로 팽팽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진 서브로프의 각 결속지점은 상기 방호망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각 메인로프에 작용하는 방호망의 내측방향의 인장력과 상기 서브로프의 각 결속지점에 작용하는 방호망의 외측방향의 인장력이 서로 상쇄됨에 따라 상기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가 감소되고,
    상기 서브로프는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상기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가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짐에 따라 형성되는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 내측과 각 메인로프의 고리 내측 사이의 공간에 "V"자형으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시설.
  2. 삭제
  3. 산사면의 비탈면을 덮는 방호망;
    상기 방호망 상에 종횡으로 설치되며, 말단이 둥글게 구부려져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고리를 갖는 복수 개의 메인로프;
    상기 각 메인로프의 말단이 접힘으로써 형성되는 말단의 겹쳐진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압착 결속시키는 복수 개의 와이어클립;
    상기 방호망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하측은 상기 산사면에 매설되고 각각의 상측의 걸고리는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메인앵커;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의 고리를 차례대로 통과하여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져 상기 각 고리를 중심으로 "V"자형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방호망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는 서브로프; 및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로프 사이의 방호망 둘레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의 하측은 상기 산사면에 매설되고 각각의 상측의 걸고리에는 상기 각 걸고리를 중심으로 "V"자형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방호망의 내측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의 서브로프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걸리는 복수 개의 서브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가 상기 방호망 상에 종횡으로 팽팽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걸린 각 메인로프는 상기 방호망의 내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서브로프는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 상기 복수 개의 서브앵커 사이에서 지그재그로 팽팽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진 서브로프의 각 결속지점은 상기 방호망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각 메인로프에 작용하는 방호망의 내측방향의 인장력과 상기 서브로프의 각 결속지점에 작용하는 방호망의 외측방향의 인장력이 서로 상쇄됨에 따라 상기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가 감소되고,
    상기 서브로프는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와의 결속지점들 각각이 상기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가 상기 각 메인로프의 고리에 끼워짐에 따라 형성되는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 외측과 각 메인로프의 고리 내측 사이의 공간에 "V"자형으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시설.
  4.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인앵커의 걸고리에 결속된 각 메인로프의 고리와 서브로프의 각 결속지점에 의해 아래로 눌려지며, 상기 복수 개의 메인앵커의 걸고리의 홀을 일자형으로 차례로 통과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메인로프의 고리와 상기 서브로프의 결속지점보다 낮게 설치되어 상기 방호망을 눌러주는 경계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시설.
KR2020160003079U 2016-06-07 2016-06-07 앵커보호형 낙석방지시설 KR200483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79U KR200483991Y1 (ko) 2016-06-07 2016-06-07 앵커보호형 낙석방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79U KR200483991Y1 (ko) 2016-06-07 2016-06-07 앵커보호형 낙석방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991Y1 true KR200483991Y1 (ko) 2017-07-17

Family

ID=5939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079U KR200483991Y1 (ko) 2016-06-07 2016-06-07 앵커보호형 낙석방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9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428A (ko) * 2003-06-09 2004-12-16 민원 낙석 방지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50115742A (ko) * 2013-02-12 2015-10-14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사면 보호구조 및 보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428A (ko) * 2003-06-09 2004-12-16 민원 낙석 방지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50115742A (ko) * 2013-02-12 2015-10-14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사면 보호구조 및 보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00471B2 (en) A protective wire net a protective structure constructed with the net and the use of the protective wire net for the construction of a protective structure
KR20060048241A (ko) 암석낙하를 보호하거나 도로 등의 가장자리를 안전하게하기 위한 보호망
KR101669504B1 (ko) 안전진단기능을 갖는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시설
KR10169154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H11193510A (ja) 落石等防護工のロープ張設工法と落石等防護ネツト
JP5953281B2 (ja) 防護柵
EP1716747A1 (en) A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hailstones.
KR200483991Y1 (ko) 앵커보호형 낙석방지시설
TW201435181A (zh) 落石防護柵
KR101572504B1 (ko) 개폐형 낙석방지책
JP2010174470A (ja) 既設落石防護柵の補強構造
KR200384167Y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의 고정장치
JP3778505B2 (ja) 法面工事における崩壊予防工法及びその工法に用いる法面被覆保護具
JP6330454B2 (ja) 防護ネ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既設防護ネットに対する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230854B2 (ja) ネット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576540B1 (ko) 원형로프를 이용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시설
JP6523075B2 (ja) 落石防護柵
JP6585107B2 (ja) 動物侵入防止柵、及び、設置方法
KR102662613B1 (ko) 낙석방지시설의 와이어 로프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40339B1 (ko) 십자 및 엑스자 복합연결구조의 낙석방지시설
KR101663244B1 (ko) 지주 고정용 휀스
JP6017840B2 (ja) 転石固定構造および転石固定工法
KR200167946Y1 (ko) 낙석방지용 그물망의 고정장치
KR102492470B1 (ko) 클램프를 이용한 테트라포드 추락방지망 및 이의 제조와 시공 방법
KR200167948Y1 (ko) 낙석방지용 앵커의 그물망과 와이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