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430B1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430B1
KR101022430B1 KR1020080117593A KR20080117593A KR101022430B1 KR 101022430 B1 KR101022430 B1 KR 101022430B1 KR 1020080117593 A KR1020080117593 A KR 1020080117593A KR 20080117593 A KR20080117593 A KR 20080117593A KR 101022430 B1 KR101022430 B1 KR 10102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eed
medium
feed roller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988A (ko
Inventor
이수민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11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4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25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between two sets of roll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매체함(20)에 장입되어 있는 매체를 픽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픽업롤러(24)가 구비된다. 상기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매체는 피드롤러(30)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이송된다. 상기 피드롤러(30)는 상기 매체의 스큐가 감지되면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일부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롤러(30)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도록 하는 콘트라롤러(4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피드롤러(30)는 상기 픽업롤러(24)를 구동시키기 위한 픽업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1피드롤러(32)와, 별도의 피드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2피드롤러(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가 피드롤러와 콘트라롤러의 사이를 통과할 때 두 개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되므로 보다 강한 이송력으로 매체를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 및 제 2피드롤러가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므로 매체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매체자동지급기, 매체, 픽업롤러, 피드롤러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Media seperating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가 보관된 매체함에서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해내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체자동지급기는 현금, 수표, 전표, 영수증, 각종 용지 등의 매체를 지급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매체자동지급기의 일예로서,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Teller Machine)를 들 수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창구를 거치지 않고 고객이 직접 현금이나 수표 등을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업무의 효율화와 고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를 보인 측면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함(2)의 내부에는 매체(m)가 정리되어 장입된다. 상기 매체함(2)의 내부에서 매체(m)는 밀판(4)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착되어 위 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밀판(4)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매체함(2)에서 매체(m)가 배출되는 부분에는 픽업롤러(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픽업롤러(6)는 상기 매체함(2)의 내부에 있는 매체(m)에 밀착되어 매체(m)를 매체함(2) 외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픽업롤러(6)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픽업롤러(6)가 설치되는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에는 탄성부재(6')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6')는 상기 픽업롤러(6)가 매체(m)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6)에 의해 픽업된 매체(m)는 피드롤러(8)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피드롤러(8)는 매체(m)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매체(m)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피드롤러(8)는 상기 픽업롤러(6)와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롤러(8)와 협력하여 매체(m)를 한 장씩 분리시키기 위한 콘트라롤러(12)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콘트라롤러(12)의 회전축에는 원웨이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매체(m)를 이송할 때에는 콘트라롤러(12)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콘트라롤러(12)는 매체(m)의 역이송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물론, 상기 콘트라롤러(12)가 매체(m)의 이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드롤러(8)와 콘트라롤러(12)의 사이를 통과한 매체(m)는 이송롤러(14)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이송롤러(14)는 매체(m)의 이송경로에 다수개가 설 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14)는 상기 픽업롤러(6) 및 피드롤러(8)를 구동시키는 구동원과는 다른 별도의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동원은 매체자동지급기의 전체 동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픽업롤러(6) 및 피드롤러(8)를 구동시키는 구동원보다 큰 동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14)에 대응되는 아이들롤러(16)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롤러(16)는 상기 이송롤러(14)와 협력하여 매체(m)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아이들롤러(16)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아이들롤러(16)이 매체(m)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원활하게 매체(m)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매체(m)의 이송과정에서 픽업롤러(6) 및 피드롤러(8)는 동일한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6)에 의해 픽업된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8)와 콘트라롤러(12)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콘트라롤러(12)는 매체(m)의 이송시에 정지하게 되므로 매체(m)를 피드롤러(8)와 콘트라롤러(12)의 사이로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큰 동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큰 동력을 위해서는 고성능의 모터가 필요하고 모터의 크기 또한 커지기 때문에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매체(m)의 이송과정에서 매체(m)를 역이송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m)의 이송과정에서 스큐(매체의 좌우가 일정이상으로 틀어지는 현상)가 발생하면 매체(m)를 매체함(2)으로 역이송하여 정렬시킨 후에 다 시 이송을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매체(m)를 역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매체(m)는 이송롤러(14)와 아이들롤러(16)의 사이, 피드롤러(8)와 콘트라롤러(12)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4) 와 피드롤러(8)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롤러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이송롤러(14)와 피드롤러(8)의 구동원을 동기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롤러(8,14)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제어되지 않으면 매체(m)가 훼손되고 상기 롤러(8,14)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작은 동력으로 픽업롤러 및 피드롤러를 구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의 역이송시에 안정적으로 매체를 이송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매체함에 장입되어 있는 매체를 픽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매체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고, 상기 매체의 스큐가 감지되면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일부가 회전되는 다수개의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도록 하는 콘트라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드롤러는 상기 픽업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픽업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1피드롤러와, 별도의 피드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2피드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체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고, 상기 매체의 스큐가 감지되면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피드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는 아이들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롤러가 구비되는 픽업롤러축에는 픽업기어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픽업기어는 상기 피드롤러가 구비되는 피드롤러축에 아이들상태로 설치되는 피드기어와 맞물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기어와 피드기어의 사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연동기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기어 및 피드기어는 상기 픽업롤러축 및 피드롤러축의 중앙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피드롤러는 상기 피드기어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 양측에 위치한 제 1피드롤러의 사이에는 각각 상기 제 2피드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제 1,2피드롤러의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드롤러 및 콘트라롤러의 사이를 통과한 매체의 선단을 감지하여 상기 픽업구동원의 동력을 차단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는 동력차단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체의 스큐조정을 위해 매체가 역이송될 때에는 상기 피드구동원만 구 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피드롤러는 피드롤러축에 아이들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2피드롤러는 상기 피드롤러축에 고정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피드롤러의 일면에는 피드롤러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피드롤러와 함께 회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는 픽업구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픽업구동축에는 상기 피드기어와 맞물리는 픽업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픽업구동기어의 양측에는 상기 피드롤러기어와 맞물리는 피드구동기어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픽업롤러 및 피드롤러의 일부(제 1피드롤러)가 동일한 픽업구동원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피드롤러를 제외한 피드롤러(제 2피드롤러)는 별도의 피드구동원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매체가 피드롤러와 콘트라롤러의 사이를 통과할 때 두 개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되므로 보다 강한 이송력으로 매체를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매체의 역이송시에는 피드구동원에 의해서만 매체가 이송된다. 이와 같이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 및 제 2피드롤러가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므로 매체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함(20)은 많은 양의 매체(m)를 장입한 상태로 매체자동지급기에 장착되어 매체(m)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매체함(20)의 내부에는 매체(m)를 일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밀판(22)이 구비된다. 상기 밀판(22)에는 밀판(22)을 지지하고 상기 매체(m)를 일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밀판(22)은 모터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매체함(20)에서 매체(m)가 배출되는 부분에는 픽업브라켓(2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픽업브라켓(23)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밀판(22)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설치된다.
상기 픽업브라켓(23)에는 픽업롤러(2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픽업롤러(24)는 상기 픽업브라켓(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픽업롤러축(24')에 설치된다. 상기 픽업롤러(24)는 매체(m)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매체(m)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픽업롤러(24)는 상기 매체함(20)에 장입되어 있는 매체(m)를 한 장씩 아래에서 설명될 피드롤러(30)로 공급한다.
상기 픽업롤러(24)는 픽업구동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상기 픽업구동원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내부 또는 픽업브라켓(23)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픽업구동원은 상기 픽업롤러(24) 뿐만 아니라 피드롤러(30) 중에 일부를 구동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상기 픽업구동원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1피드롤러(32)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픽업구동원은 매체(m)의 역이송시에는 구동되지 않고, 아래에서 설명될 피드구동원에 의해서만 매체(m)가 역이송된다.
상기 픽업롤러축(24')의 중앙에는 픽업기어(26)가 구비된다. 상기 픽업기어(26)는 연동기어(28)와 맞물리게 설치되어 상기 픽업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픽업롤러축(24')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픽업기어(26)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픽업롤러(24)가 각각 두 개씩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24)는 제 1,2피드롤러(32,34)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매체(m)는 피드롤러(30)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피드롤러(30)는 피드롤러축(30')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피드롤러(30)는 매체(m)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매체(m)를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피드롤러(30) 중에 일부는 매체(m)의 스큐보정을 위해 매체(m)를 역이송할 때 매체(m)를 이송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피드롤러(30)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제 1피드롤러(32) 및 제 2피드롤러(34)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피드롤러(32)는 상기 픽업롤러(24)과 함께 픽업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그리고, 제 2피드롤러(34)는 상기 픽업구동원과는 별도로 구비된 피드구동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상기 제 1피드롤러(32)의 일측에는 피드롤러기어(33)가 구비된다. 상기 피드롤러기어(33)는 상기 제 1피드롤러(3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피드롤러(32)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피드롤러기어(33)는 아래에서 설명될 피드구동기어(39)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피드구동기어(39)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제 1피드롤러(32) 및 피드롤러기어(33)는 상기 피드롤러축(30')에 아이들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피드롤러(32) 및 피드롤러기어(33)는 상기 피드구동기어(39)의 회전에 의해서만 회전되고, 상기 제 2피드롤러(34)의 회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2피드롤러(34)는 상기 피드롤러축(3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피드롤러축(30')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피드구동원은 피드롤러축(30')으로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드롤러축(30')은 상기 피드구동원의 구동축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기어 등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피드롤러(34)는 상기 피드기어(35)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된다. 그리고, 양측에 위치한 제 2피드롤러(34)의 사이에는 상기 제 1피드롤러(3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 1피드롤러(32) 및 제 2피드롤러(34)를 별도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 1,2피드롤러(32,34)가 두 개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 게 되므로 매체(m)의 이송시에 보다 강한 힘으로 매체(m)를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2피드롤러(32,34)에 대응되는 콘트라롤러(40)는 정지상태로 있어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콘트라롤러(40)와의 사이를 통과하려면 강한 이송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제 1,2피드롤러(32,34)가 두 개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하여 보다 강한 이송력으로 매체(m)를 이송시키게 되고, 픽업구동원의 사양도 낮출 수 있다.
다음으로, 매체(m)의 스큐보정을 위해 매체(m)의 역이송시에 상기 피드구동원만 구동되도록 하여 매체(m)의 역이송에 필요한 동력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픽업구동원이 구동되지 않고 피드구동원만 구동되어 제 2피드롤러(34)의 회전에 의해서 매체(m)가 역이송된다. 또한, 상기 픽업구동원에 의해 제 2피드롤러(34)는 이송롤러(60)와 함께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축(30')의 중앙에는 상기 연동기어(28)와 맞물리는 피드기어(35)가 구비된다. 상기 피드기어(35)는 상기 피드롤러축(30')의 아이들상태로 설치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픽업구동기어(38)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드기어(35)는 상기 픽업구동기어(38)가 회전되는 경우에만 회전되고, 상기 피드롤러(30)는 상기 피드기어(35)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픽업구동원은 픽업구동축(36)으로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픽업구동축(36)은 상기 픽업구동원의 구동축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기어 등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상기 픽업구동축(36)의 중앙에는 픽업구 동기어(38)가 구비된다. 상기 픽업구동기어(38)는 상기 피드기어(35)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피드기어(35)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픽업구동축(36)에는 피드구동기어(39)가 구비된다. 상기 피드구동기어(39)는 상기 픽업구동기어(38)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피드구동기어(39)는 상기 피드롤러기어(33)와 맞물려 제 1피드롤러(32)에 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상기 피드롤러(30)와 협력하여 매체(m)를 한 장씩 분리시키기 위한 콘트라롤러(40)가 콘트라롤러축(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콘트라롤러축(40')에는 일방향베어링(42)이 구비된다. 상기 일방향베어링(42)은 상기 콘트라롤러축(4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콘트라롤러(40)는 매체(m)의 이송시에는 정지상태로 유지되고, 매체(m)의 역이송시에만 매체(m)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피드롤러(30)와 콘트라롤러(40)의 사이를 통과한 매체(m)는 아이들롤러(50)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아이들롤러(50)는 아이들롤러축(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아이들롤러축(50')은 탄성부재(52)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52)는 상기 아이들롤러(50)가 매체(m)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매체(m)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이들롤러(50)는 매체(m)의 이송경로 상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m)의 이송경로에는 다수개의 이송롤러(6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60)는 이송롤러축(6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60)는 상기 아이들롤러(50)와 협력하여 매체(m)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롤러(60) 는 상기 피드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매체(m)의 이송경로 상에는 동력차단센서(70)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차단센서(70)는 매체(m)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매체(m)의 선단을 감지하여 상기 픽업구동원에 동력을 차단하라는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매체(m)의 선단이 상기 동력차단센서(70)에 감지된 후에는 상기 피드구동원에 의해서만 매체(m)가 이송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에 의해 매체가 정방향으로 이송되어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매체함(20)에 장입되어 있는 매체는 밀판(22)에 의해 픽업롤러(24) 방향으로 밀어진다. 상기 픽업롤러(24)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매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매체를 한 장씩 픽업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픽업구동원 및 피드구동원이 각각 구동된다.
이때, 상기 픽업롤러(24)는 상기 픽업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픽업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픽업구동축(36)이 회전되고, 상기 픽업구동축(36)에 구비된 픽업구동기어(38) 및 피드구동기어(39)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픽업구동기어(38)는 피드기어(35)와 맞물려 상기 피드기어(35)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피드기어(35)는 상기 피드롤러축(30')에 아이들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드기어(35)만 회전된다. 상기 피드기어(35)의 회전에 연동하여 연동기어(28) 및 픽업기어(26)가 차례로 회전되고, 상기 픽업기어(26)가 회전되면서 상 기 픽업롤러축(24')을 회전시켜 픽업롤러(24)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피드구동기어(39)의 회전에 연동하여 피드롤러기어(33) 및 제 1피드롤러(32)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피드롤러기어(33) 및 제 1피드롤러(32) 또한 상기 피드롤러축(30')에 아이들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드롤러기어(33) 및 제 1피드롤러(32)만 회전된다.
다음으로, 상기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매체는 피드롤러(30)와 콘트라롤러(40)의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피드롤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픽업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피드롤러(34)는 상기 피드롤러축(30')에 연결된 피드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 2피드롤러(34)는 피드롤러축(30')에 고정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피드롤러축(30')과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매체는 피드롤러(30)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이송되고 상기 콘트라롤러(40)는 원웨이베어링(42)에 의해 정지상태를 유지하면서 매체가 한 장씩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매체가 피드롤러(30)와 콘트라롤러(40)의 사이를 통과하는 부분은 매체의 이송과정에서 가장 부하가 많이 걸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큰 이송력이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피드롤러(30)가 픽업구동원 및 피드구동원이 제공하는 동력을 동시에 전달받아 회전되므로 매체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30)와 콘트라롤러(40)의 사이를 통과한 매체의 선단이 동력차단센서(70)에 감지되면 상기 동력차단센서(70)는 상기 픽업구동원에 신호를 전달하 여 동력이 차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24) 및 제 1피드롤러(32)의 회전이 정지되고, 매체는 제 2피드롤러(34)에 의해서만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매체가 상기 피드롤러(30)와 콘트라롤러(40)의 사이를 완전히 통과하면 다시 픽업구동원이 구동되어 다음에 위치한 매체를 픽업하도록 한다. 상기 제 2피드롤러(34)에 의해 이송된 매체는 이송롤러(60) 및 아이들롤러(50)에 의해 이송된다.
다음으로, 매체에 스큐가 발생하여 스큐를 보정해야할 필요가 있을 때 매체를 역이송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매체의 좌우가 틀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매체를 매체함(20)으로 다시 보내 스큐를 보정하고 다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는 상기 이송롤러(60)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라는 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드구동원에는 역이송 신호가 전달되나 픽업구동원에는 역이송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피드구동원만 구동되어 매체를 역이송한다.
상기 이송롤러(60)에 의해 역이송되는 매체는 상기 피드롤러(30) 중에 제 2피드롤러(34)의 회전에 의해서 역이송되고 콘트라롤러(40)는 상기 제 2피드롤러(34)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매체를 이송시킨다. 상기 제 2피드롤러(34) 및 콘트라롤러(40)를 통과한 매체는 매체함(20)으로 장입되어 스큐가 조정된 후에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되고,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이송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 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를 보인 측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매체함 22 : 밀판
24 : 픽업롤러 24' : 픽업롤러축
26 : 픽업기어 28 : 연동기어
30 : 피드롤러 30' : 피드롤러축
32 : 제 1피드롤러 33 : 피드롤러기어
34 : 제 2피드롤러 35 : 피드기어
36 : 픽업구동축 38 : 픽업구동기어
39 : 피드구동기어 40 : 콘트라롤러
42 : 일방향베어링 50 : 아이들롤러
52 : 탄성부재 60 : 이송롤러
70 : 동력차단센서

Claims (12)

  1. 매체함에 장입되어 있는 매체를 픽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매체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고, 상기 매체의 스큐가 감지되면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일부가 회전되는 다수개의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도록 하는 콘트라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드롤러는 상기 픽업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픽업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1피드롤러와, 별도의 피드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 2피드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고, 상기 매체의 스큐가 감지되면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피드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는 아이들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가 구비되는 픽업롤러축에는 픽업기어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픽업기어는 상기 피드롤러가 구비되는 피드롤러축에 아이들상태로 설치되는 피드기어와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기어와 피드기어의 사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연동기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기어 및 피드기어는 상기 픽업롤러축 및 피드롤러축의 중앙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피드롤러는 상기 피드기어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 양측에 위치한 제 1피드롤러의 사이에는 각각 상기 제 2피드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제 1,2피드롤러의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러 및 콘트라롤러의 사이를 통과한 매체의 선단을 감지하여 상기 픽업구동원의 동력을 차단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는 동력차단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스큐조정을 위해 매체가 역이송될 때에는 상기 피드구동원만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피드롤러는 피드롤러축에 아이들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2피드롤러는 상기 피드롤러축에 고정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피드롤러의 일면에는 피드롤러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피드롤러와 함께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는 픽업구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픽업구동축에는 피드기어와 맞물리는 픽업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픽업구동기어의 양측에는 상기 피드롤러기어와 맞물리는 피드구동기어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1020080117593A 2008-11-25 2008-11-2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101022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593A KR101022430B1 (ko) 2008-11-25 2008-11-2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593A KR101022430B1 (ko) 2008-11-25 2008-11-2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988A KR20100058988A (ko) 2010-06-04
KR101022430B1 true KR101022430B1 (ko) 2011-03-15

Family

ID=4236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593A KR101022430B1 (ko) 2008-11-25 2008-11-25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4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453A (ja) 2000-10-04 2002-04-16 Omron Corp 紙葉類処理装置及び取引処理装置
KR20060054599A (ko) * 2004-11-15 2006-05-23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20070029907A (ko) * 2005-09-12 2007-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분리장치 및 그 방법과 지폐입출금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453A (ja) 2000-10-04 2002-04-16 Omron Corp 紙葉類処理装置及び取引処理装置
KR20060054599A (ko) * 2004-11-15 2006-05-23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20070029907A (ko) * 2005-09-12 2007-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분리장치 및 그 방법과 지폐입출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988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9328B2 (ja) 紙葉類取出装置および紙葉類取出方法
KR10176165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장치
KR20070029907A (ko) 지폐분리장치 및 그 방법과 지폐입출금방법
US7520500B2 (en) Media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media dispenser
CN101681534B (zh) 自动介质发放器的介质分离装置
KR200198800Y1 (ko) 매체분리장치
KR20070072246A (ko) 종이매체의 제공방법 및 그 제공장치
JP2000153928A (ja) 紙葉繰出機構
KR10102243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20070003386A (ko) 지폐입출금장치 및 그 방법
KR1010773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US20060180977A1 (en) Currency note feeding apparatus for currency note handling machine
KR10106630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더블 픽업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 피딩 방법
KR20160149778A (ko) 매체 이송 장치
KR200378713Y1 (ko) 지폐류 취급기기용 지폐류 이송장치
KR101573542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기장치
KR200379151Y1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JP3810884B2 (ja) 紙葉類の給紙装置
WO1993015010A1 (en) Device for conveying and stacking paper sheets
JP2665098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064853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10136384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분리방법
JPH05301646A (ja) 紙葉類分離装置
KR10112091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JP2005206365A (ja) 紙葉類取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