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314B1 - 스테이 - Google Patents

스테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314B1
KR101019314B1 KR1020057006357A KR20057006357A KR101019314B1 KR 101019314 B1 KR101019314 B1 KR 101019314B1 KR 1020057006357 A KR1020057006357 A KR 1020057006357A KR 20057006357 A KR20057006357 A KR 20057006357A KR 101019314 B1 KR101019314 B1 KR 10101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ocking
rotational movement
displacement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759A (ko
Inventor
고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of extensible, e.g. telescopic,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제 1 아암(1)의 앞끝단부에 제 2 아암(2)의 기단부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 1 아암(1)의 앞끝단면에는, 걸어맞춤오목부(46)를 형성한다. 제 2 아암(2)의 기단부에는, 걸어멈춤부재(41)를 제 2 아암(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인장코일용수철(45)에 의해서 제 2 아암(2)의 기단측으로 힘을 가한다. 걸어멈춤부재(41)에는, 걸어맞춤오목부(46)에 롤러(44)를 통해서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제 1 아암(1)과 제 2 아암(2)을 회전운동이 불가능하게 잠그는 걸어맞춤축(43)을 설치한다. 걸어멈춤부재(41)에는, 회전운동부재(52)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인장코일용수철(53)에 의해 롤러(44)에 부딪친다. 회전운동부재(52)의 접촉면(52a)을 제 1 아암(1)의 앞끝단부에 형성된 원호면(48)에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 걸어멈춤부재(41)를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로부터 빠져 나온 해제유지위치에 위치시킨다.

Description

스테이{STAY}
본 발명은, 문을 열림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테이, 특히 잠금기능을 갖는 스테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스테이는, 기단부가 몸체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아암과, 이 제 1 아암의 앞끝단부에 기단부가 전개위치와 접힘위치의 사이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앞끝단부가 문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아암과, 이 제 2 아암에 제 1 아암에 대해서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걸어멈춤부재와, 이 걸어멈춤부재를 제 1 아암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잠금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제 1 아암의 앞끝단부에는 걸어맞춤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아암이 전개위치로 회전운동했을 때에 걸어멈춤부재가 걸어맞춤오목부에 파고 들어가는 것에 의해, 제 2 아암이 전개위치에 잠겨진다. 게다가, 걸어멈춤부재가 잠금부세수단에 의해서 제 1 아암측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있으므로, 잠금상태가 확실히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문이 열림위치에 유지된다. 걸어멈춤부재를 잠금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시켜, 걸어멈춤부재를 걸어맞춤오목부로부터 탈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는, 제 2 아암을 전개위치로부터 접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문을 열림위치로부터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일본국 실용공개 소화 63-148777호 공보참조.).
상기 종래의 스테이에 있어서는, 혼자서 문을 열림위치로부터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경우에는, 한 쪽 손으로 걸어멈춤부재를 걸어맞춤오목부로부터 탈출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다른 쪽 손으로 문을 닫힘회전운동시켜야 한다. 이것은, 곤란한 작업이다. 문이 대형인 경우에는, 특히 곤란하다. 또, 대형인 문에 대응하여 스테이를 두 개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위로 여는 문의 좌우 양측부에 스테이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에는, 양쪽의 스테이의 잠금상태를 동시에 해제해 두어야 한다. 이 때문에, 혼자서 문을 열림위치로부터 닫힘회전운동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 1 아암과, 이 제 1 아암의 앞끝단부에 기단부가 전개위치와 접힘위치의 사이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아암과, 상기 제 1 아암과 상기 제 2 아암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아암을 상기 전개위치에 회전운동이 불가능하게 잠겨진 잠금상태와, 상기 제 2 아암이 상기 전개위치로부터 상기 접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잠금수단을 구비한 스테이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암이 상기 전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잠금수단을 상기 해제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수단이, 상기 제 2 아암에 소정의 가동범위 내에 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아암이 상기 전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가동범위 내에서 소정의 걸어멈춤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아암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제 2 아암의 전개위치로부터 접힘위치측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고, 상기 걸어멈춤위치로부터 소정의 해제거리 이상 이간하면, 상기 제 1 아암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아암의 전개위치로부터 접힘위치측으로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걸어멈춤부재와, 이 걸어멈춤부재의 상기 제 1 아암에 대한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걸어멈춤부재를 상기 걸어멈춤위치측으로 힘을 가하는 잠금부세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수단이, 상기 제 1 아암과 상기 제 2 아암의 어느 한쪽과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해제거리 이상으로 상기 걸어멈춤위치로부터 멀어진 소정의 해제유지위치를 넘어 상기 걸어멈춤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저지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저지수단이 상기 제 1 아암과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저지수단이, 상기 걸어멈춤부재에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를 변위가 가능하게 설치된 변위부재와, 이 변위부재를 제 1 위치측으로부터 제 2 위치측으로 힘을 가하는 변위부세수단과, 상기 제 1 아암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아암이 상기 전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걸어멈춤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변위부재에 부딪쳐 상기 변위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시켜, 상기 걸어멈춤부재가상기 해제유지위치를 넘어 이동하면 상기 변위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걸어멈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변위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변위부재를 상기 변위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 2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제 1 아암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변위부재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해제유지위치로부터 상기 걸어멈춤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 3 접촉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아암에는, 일끝단부가 개방된 걸어맞춤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어멈춤부재에는, 상기 제 2 아암이 상기 전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해제유지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걸어멈춤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걸어맞춤오목부에 그 개방부로부터 파고 들어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아암의 상기 전개위치로부터 상기 접힘위치측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접촉부가, 상기 걸어멈춤부재의 상기 걸어멈춤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해제유지위치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오목부의 개방부에 접근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 3 접촉부가, 상기 걸어맞춤오목부의 일측면의 개방측 끝단부와 교차하는 상기 경사면의 앞끝단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위부재가 상기 걸어멈춤부재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2 접촉부로서 겸용되며, 상기 변위부재는, 상기 제 2 아암이 상기 전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걸어멈춤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경사면의 상기 걸어맞춤오목부로부터 이간한 후단부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되게 되고,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걸어멈춤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유지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경사면을 미끄럼운동하여 상기 제 2 위치측으로 회전운동하고, 더욱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해제유지위치에 이르면, 상기 경사면을 넘어 상기 걸어맞춤부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어멈춤부재는, 상기 가동범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아암측으로의 이동한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제 2 아암이 접힘위치측으로부터 전개위치측으로 회전운동하면,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경사면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아암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상기 잠금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해제유지위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상기 제 2 아암이 전개위치에 이르면 상기 잠금부세수단에 의해서 상기 걸어멈춤위치까지 이동되게 되고, 그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걸어맞춤오목부에 그 개방부로부터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어멈춤부재가 상기 잠금부세수단에 의해 상기 걸어멈춤위치까지 이동되게 될 때, 상기 변위부재가 상기 경사면에 의해 상기 변위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까지 회전운동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 (A)는 그 정면도, 도 1 (B)는 도 1 (A)의 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같은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 (A)는 그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도 2 (B)는 도 2 (A)의 B-B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같은 실시의 형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 (A)는, 제 1 아암을 접힘위치로부터 전개위치측으로 향하여 캠면이 롤러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운동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 (B)는 제 1 아암을 더욱 전개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3 (C)는 제 1 아암을 전개위치로 회전운동시키고, 또한 걸어멈춤부재를 뒤한계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3 (D)는 제 1 아암을 전개위치로 회전운동시키고, 또한 걸어멈춤부재를 해제유지위치에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A)는, 제 1 아암(1) 및 제 2 아암(2)을 갖고 있다.
제 1 아암(1)은, 길고 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폭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에 의해서 대략「く」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아암(1)의 기단부에는, 몸체측 설치부재(11)가 축(12)을 통해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측 설치부재(11)가 몸체(도시하지 않음)의 개구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제 1 아암(1)의 기단부가 몸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아암(1)은, 축(12)의 축선을 상하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몸체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아암(1)은, 위로 열리는 문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축(12)의 축선을 수평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몸체의 개구부의 좌우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설치된다.
제 2 아암(2)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길고 가는 한 쌍의 평판(2A, 2B)을 갖고 있다. 한 쌍의 평판(2A, 2B)의 기단부 사이에는, 제 1 아암(1)의 앞끝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평판(2A, 2B)의 기단부는, 피봇축(3)에 의해서 제 1 아암의 앞끝단부, 즉 앞끝단 테두리보다 약간 기단측에 가까운 부위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평판(2A, 2B)의 앞끝단부는, 축(13)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평판(2A, 2B)의 기단부 및 앞끝단부가 피봇축(3) 및 축(13)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평판(2A, 2B)이 제 2 아암(2)으로서 일체로 거동하게 되어 있다. 제 2 아암(2)의 앞끝단부에는 문측 설치부재(14)가 축(13)을 통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문측 설치부재(14)를 문(도시하지 않음)의 배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제 2 아암(2)의 앞끝단부가 문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피봇축(3) 및 축(13)은, 축(1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문을 열림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제 2 아암(2)이 제 1 아암(1)에 대해 피봇축(3)을 중심으로 도 1(B)의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문이 열림위치에 이르면, 제 2 아암(2)이 도 1에 나타내는 전개위치로 회전운동한다. 제 2 아암(2)이 전개위치로 회전운동하면, 제 2 아암의 길이방향이 제 1 아암(1)의 앞끝단부의 길이방향과 일치하고, 게다가 한 쌍의 평판(2A, 2B)이 제 1 아암(1)의 앞끝단부와 서로 겹쳐진다. 한편, 문을 닫힘위치로 회전운동시키면, 제 2 아암(2) 이 제 1 아암(1)에 대해 피봇축(3)을 중심으로 하여 도 1 (B)의 화살표 Y방향으로 접힘위치까지 회전운동한다. 접힘위치에 있어서는, 제 1 아암(1)과 제 2 아암(2)이 피봇축(3)을 중심으로 하여 굴곡된 상황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 스테이(A)에서는, 제 2 아암(2)이 제 1 아암(1)에 대해서 회전운동하지만,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2 아암(2)이 고정되고, 제 1 아암(1)이 제 2 아암(2)에 대해서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1)과 제 2 아암(2)의 사이에는, 잠금수단(4)이 설치되어 있다. 잠금수단(4)은, 걸어멈춤부재(41)를 갖고 있다. 걸어멈춤부재(41)는, 서로 대향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판부(41a, 41a)와, 이 한 쌍의 측판부(41a, 41a)의 일측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부(41b)에 의해서 단면「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부재(41)는, 도 2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부(41a, 41a)의 대향면을 제 2 아암(2)의 평판(2A, 2B)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에 거의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 2 아암(2)에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측판부(41a, 41a) 사이에는, 규제축(42)이 피봇축(3)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축(42)은, 제 2 아암(2)에 설치된 긴 구멍(2a)에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또한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긴 구멍(2a)은, 제 2 아암(2)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이어져 있고, 규제축(42)이 긴 구멍(2a)의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제 2 아암(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걸어멈춤부재(41)의 이동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걸어멈춤부재(41)는, 규제축 (42)이 제 2 아암(2)의 기단측에 있어서의 긴 구멍(2a)의 끝단부에 부딪친 위치(이하, 앞한계위치라고 한다.)와, 규제축(42)이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에 있어서의 긴 구멍(2a)의 끝단부에 부딪친 위치(이하, 뒤한계위치라고 한다.)의 사이를 이동이 가능하고, 이 이동이 가능한 범위가 걸어멈춤부재(41)의 가동범위이다.
제 2 아암(2)의 기단부에는, 고정축(2c)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축(2c)은, 규제축(42)보다 제 2 아암(2)의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축(2c)과 규제축(42)의 사이에는, 인장코일용수철(잠금부세수단)(4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장코일용수철(45)의 인장력에 의해, 걸어멈춤부재(41)가 제 2 아암(2)의 기단측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부재(41)는, 제 1 아암(1)이 전개위치 혹은 그 근방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앞한계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걸어멈춤부재(41)의 근방에 있어서의 제 2 아암(2)의 앞끝단부에는, 벨크랭크(15)가 브래킷(16) 및 수평인 축(17)을 통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벨크랭크(15)의 일끝단부는, 걸어멈춤부재(41)에 연결되고, 다른 끝단부에는 조작끈(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끈(18)을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 걸어멈춤부재(41)가 코일용수철(4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 즉 뒤한계위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걸어멈춤부재(41)의 제 1 아암(1)측의 끝단부(이하, 앞끝단부라고 부르고, 반대쪽의 끝단부를 후단부라고 부른다.)에는, 걸어맞춤축(걸어맞춤부)(43)이 피봇축(3)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축(43)은, 제 2 아암(2)의 기단부에 제 2 아암(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긴 구멍(2b)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긴 구멍(2b)은, 걸어멈춤부재(41)의 가동범위를 제한하는 일이 없도록, 그 길이 및 위치가 정해져 있다. 걸어맞춤축(43)에는, 단면 원형의 롤러(44)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제 1 아암(1)의 앞끝단면에는, 걸어맞춤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오목부(46)는, 도 2 및 도 3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1)이 전개위치로 회전운동하였을 때, 그 개방부가 롤러(4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걸어맞춤오목부(46)의 폭은, 롤러(44)의 바깥지름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아암이 전개 위치로 회전운동하면,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에 대해서 그 개방부로부터 출몰이 가능하게 된다.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에 파고 들어간 상태에서는, 롤러(44)의 바깥둘레면이 걸어맞춤오목부(46)의 양측면 (46a, 46b)에 거의 접한다. 이 결과, 제 1 아암(1)이 제 2 아암(2)에 대하여 걸어맞춤축(43)에 의해 롤러(44)를 통하여 전개위치로 회전운동이 불가능하게 걸어멈춤 된다. 게다가, 걸어멈춤부재(41)가 코일용수철(45)에 의해서 제 2 아암(2)의 기단측{제 1 아암(1)측}으로 항하여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멈춤부재(41)를 수동으로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롤러(44)는 걸어맞춤오목부(46)의 바닥면(46c)에 부딪친 상태로 유지되어, 제 1 아암(1)과 제 2 아암(2)이 걸어맞춤축(43)에 의해 롤러(44)를 통하여 잠금상태로 유지된다.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의 바닥면에 부딪쳤을 때의 걸어멈춤부재(41)의 위치가 걸어멈춤위치이다. 이 걸어멈춤위치는, 걸어멈춤부재(41)의 앞한계 위치에 대하여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으로 조금 이간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제 1 아암(1)의 앞끝단면 중 걸어맞춤오목부(46)보다 제 1 아암(1)의 접힘위치측으로의 회전운동방향 앞쪽에 위치하는 부분{도 2 (A) 및 도 3에 있어서 걸어맞춤오목부(46)보다 위쪽의 부분}에는, 제 2 아암(2)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a)의 걸어맞춤오목부(46)에 향하는 측면(1b)은, 걸어맞춤오목부(46)의 측면(46a)을 연장한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도 3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1b)의 길이는, 제 1 아암(1)이 전개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걸어멈춤부재(41)를 뒤한계위치까지 이동시켰다고 하더라도 롤러(44)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아암(1)은, 접힘위치측에서부터 전개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는 전개위치를 넘어서 회전운동하는 일이 없다.
걸어맞춤오목부(46)의 측면(46b)은, 걸어멈춤부재(41)가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으로 향해 이동하여, 후술하는 해제위치를 넘으면, 롤러(44)가 측면(46b)의 앞끝단보다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에 위치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멈춤부재(41)를 해제위치로부터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으로 이동시키면, 제 1 아암(1)이 제 2 아암(2)에 대해서 접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아암(1)의 앞끝단면 중, 걸어맞춤오목부(46)로부터 제 1 아암(1)의 전개위치측으로의 회전운동방향 앞쪽에 위치하는 부분{도 2 (A) 및 도 3에 있어서 걸어맞춤오목부(46)보다 아래쪽의 부분}에는, 캠면(경사면 ; 제 1 접촉부)(47)이 형 성되어 있다. 이 캠면(47)은, 약 사반분의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 1 아암(1)의 앞끝단측에서부터 기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걸어맞춤오목부(46)로부터 이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아암(1)의 앞끝단측에 있어서의 캠면(47)의 일끝단부(이하, 앞끝단부라고 한다.)에는, 곡률반지름이 작은 원호면(제 3 접촉부)(4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면(48)의 일끝단부는 캠면(47)에 접하고, 다른 끝단부는 걸어맞춤오목부(46)의 측면(46b)에 접하고 있다. 캠면(47)은, 직선적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 원호면(48)은, 측면(46b)과 직교하고, 또한 원호면(경사면)(48)과 교차하는 평면으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캠면(47)의 후단부는, 제 1 아암(1)의 전개회전운동방향을 향하는 측면{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제 1 아암(1)의 아래쪽의 측면}(1c)에 매끄럽게 접하고 있다. 도 3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면(47)은, 걸어멈춤부재(41)가 앞한계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아암(1)을 접힘위치측으로부터 전개위치 근방의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키면, 후단부가 롤러(44)의 바깥둘레면에 부딪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아암(1)을 더욱 전개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롤러(44)가 캠면(47)에 의해서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으로 눌려져, 걸어멈춤부재(41)가 코일용수철(4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 1 아암(1)을 더욱 전개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원호면(48)이 롤러(44)에 접촉한다. 원호면(48)이 롤러(44)의 바깥둘레면 중 제 2 아암(2)의 기단측으로 향하여 가장 돌출한 부분에 접촉하였을 때에, 걸어멈춤부재(41)가 제 2 아암의 앞끝단측으로 먼저 이동된다. 이 때의 걸어멈춤부재(41)의 걸어멈춤 위치로부터의 이동거리가 해제거리이고, 걸어멈춤부재(41)의 이 때의 위치가 해제위치이다. 그 후, 제 1 아암(1)을 더욱 전개위치로 회전운동시켜, 그에 따라 롤러(44)의 바깥둘레면 중 제 2 아암(2)의 기단측으로 가장 돌출한 부분이 원호부(48)를 타고 넘으면,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에 파고 들어감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아암(1)을 전개위치측으로 더욱 회전운동시키면, 그에 따라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 내로 파고 들어가, 걸어멈춤부재(41)가 코일용수철(45)에 의해서 제 2 아암(2)의 기단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제 1 아암(1)이 전개 위치에 이르면, 걸어멈춤부재(41)가 걸어멈춤위치에 이르러 정지한다. 따라서, 이 스테이(A)에 있어서는, 제 1 아암(1)을 접힘위치측으로부터 전개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키면, 제 1 아암(1)과 제 2 아암(2)이 잠금수단(4)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회전운동이 불가능하게 잠겨진다.
제 1 아암(1)과 걸어멈춤부재(41)의 사이에는, 이동저지수단(유지수단)(5)이 설치되어 있다. 즉, 걸어멈춤부재(41)의 앞끝단부에는, 걸어맞춤축(43)과 평행한 지지축(5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51)은, 걸어맞춤축(43)보다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축(51)은, 제 2 아암(2)의 기단부에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긴 구멍(2d)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긴 구멍(2d)은, 걸어멈춤부재(41)의 가동범위를 좁히는 일이 없도록, 그 길이 및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지지축(51)에는, 벨크랭크 형상을 이루는 회전운동부재(변위부재) (52)의 중간부가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부재(52)의 기단부{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에서의 끝단부}와 걸어멈춤부재(41)의 사이에는, 인장코일 용수철(변위부세수단)(5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용수철(53)의 인장부세력에 의해, 회전운동부재(52)가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이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회전운동부재(52)의 앞끝단부는, 코일용수철(53)의 부세력에 의해, 롤러(44)를 통하여 걸어맞춤축(43)에 부딪치고 있다. 이 때의 회전운동부재(52)의 위치가 제 2 위치이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의 스테이(A)에 있어서는, 걸어맞춤축(43)이 제 2 접촉부로 하더라도 겸용되고 있다. 이것은, 롤러(44)를 걸어맞춤축(43)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일 없이,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좋기 때문에 분명할 것이다.
걸어멈춤부재(41)가 앞한계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회전운동부재(52)가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도 3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제 1 아암(1)을 접힘위치측에서부터 전개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상기와 같이, 캠면(47)이 롤러(44)에 부딪친다. 그리고, 제 1 아암(1)을 더욱 전개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원호면(48)이 롤러(44)의 바깥둘레면 중 가장 제 2 아암(2)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전개위치측으로 향하여 지나치면, 제 1 아암(1)의 전개 위치측으로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에 파고 들어가는 것과 동시에, 걸어멈춤부재(41)가 코일용수철(45)에 의해서 제 2 아암(2)의 기단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회전운동부재(52)의 앞끝단부가 캠면(47)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제 1 아암(1)이 더욱 전개위치측으로 회전운동하면, 회전운동부재(52)가 캠면(47)에 의해 코일용수철(5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게 된다. 제 1 아암(1)이 전개위치에 이르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의 바닥면(46c)에 부딪친다. 그에 따라 걸어멈춤부재(41)가 걸어멈춤위치에 정지한다. 걸어멈춤부재(41)가 걸어멈춤 위치에 정지했을 때에는, 회전운동부재(52)의 앞끝단부가 캠면(47)의 후단부에 부딪치고 있다. 이 때의 회전운동부재(52)의 위치가 제 1 위치이다. 따라서, 이 스테이(A)에서는, 캠면(47)이 제1 접촉부로서 겸용되고 있다. 회전운동부재(52)는, 제 1 아암(1)의 측면(1c)에 부딪치도록 하고, 그 때의 위치를 제 1 위치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코일용수철(53)의 부세력은, 회전운동부재(52)를 단순히 회전운동시킬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가능한 한 작게 설정되어 있고, 코일용수철(45)의 부세력에 비하여 대폭으로 작은 것은 물론, 캠면(57)을 통하여 제 1 아암(1)을 회전운동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용수철 (53)이 걸어멈춤부재(41)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제 1 아암(1)을 회전운동부재(52)를 통하여 접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되는 일은 없다.
회전운동부재(52)의 앞끝단면에는, 접촉면(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면(52a)은, 회전운동부재(52)를 제 2 위치로 회전운동시켰을 때, 코일용수철(45)의 부세력의 작용방향(제 2 아암의 길이방향)과 거의 직교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접촉면(52a)은, 도 3 (C),(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아암(1)을 전개위치에 위치시키고, 또한 회전운동부재(52)를 제 2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걸어멈춤부재(41)를 뒤한계위치에서부터 제 2 아암(2)의 기단측으로 향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원호면(48)에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 걸어멈춤부재(41)가 제 2 아암(2)의 기단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의 걸어멈춤부재(41)의 위치가 해제유지위치이다. 따라서 원호면(48)이 제 3 접촉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해제유지위치는, 상기 해제위치보다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걸어멈춤부재(41)가 해제유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로부터 탈출하여, 걸어맞춤오목부(46)의 측면(46b)보다 제 2 아암(2)의 앞끝단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아암(1)이 전개위치로부터 접힘위치측으로 향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접촉면(52a)과 원호면(48)의 접촉개소는, 상기 접촉개소와 지지축(5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코일용수철(45)의 부세력의 작용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정해져 있다. 따라서, 접촉면(52a)에 원호면(48)이 부딪치는 것에 의해, 회전운동부재(52)가 코일용수철(5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회전운동되게 되는 일은 없다.
상기 구성의 스테이(A)에 있어서, 지금 제 1 아암이 접힘위치에 위치하고, 걸어멈춤부재(41)가 앞한계위치에 위치하며, 회전운동부재(52)가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 1 아암을 접힘위치에서부터 전개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재(41)가 걸어멈춤위치에, 회전운동부재(52)가 제 1 위치로 각각 이동한다. 걸어멈춤부재(41)의 걸어멈춤위치로의 이동에 따라서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에 파고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아암(1)이 제 2 아암(2)에 대해 전개위치로 회전운동이 불가능하게 잠겨진다.
전개위치에 잠겨진 제 1 아암(1)을 접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경우에는, 조작끈(18)을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도 3 (c)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걸어멈춤부재(41)를 뒤한계위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회전운동부재(52)의 앞끝단부가 걸어멈춤부재(41)의 이동에 따라서 캠면(47) 및 원호면(48) 위를 차례로 미끄럼운동한다. 그리고, 걸어멈춤부재(41)가 해제유지위치까지 이동하면, 회전운동부재(52)가 롤러(44)에 부딪쳐 제 2 위치에 정지한다. 그 후, 걸어멈춤부재(41)을 뒤한계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걸어멈춤부재(41)는, 반드시 뒤한계위치까지 이동시킬 필요는 없고, 해제유지위치로부터 뒤한계위치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 후, 조작끈(8)을 놓는다. 그러면, 걸어멈춤부재(41)가 코일용수철(45)의 부세력에 의해서 제 2 아암(2)의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걸어멈춤부재(41)가 해제유지위치까지 이동하면, 가동부재(52)의 접촉면(52a)이 원호면(48)에 부딪친다{도 3 (D) 참조}. 이것에 의해, 걸어멈춤부재(41)가 해제유지위치에 정지되게 된다. 이 때에는, 롤러(44)가 걸어맞춤오목부(46)로부터 탈출하고 있다. 따라서, 잠금수단(4)이 해제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문이 대형이거나, 위로 열리는 문인 경우라도, 스테이(A)가 두 개 이상 이용되고 있는 경우라도, 문을 열림위치로부터 용이하게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제 1 아암(1)을 전개위치로부터 접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원호면(48)이 접촉면(52a) 위를 접힘위치측으로 향하여 미끄럼운동한다. 원호면(48)이 접촉면(52a)에서부터 접힘위치측으로 향하여 멀어지면, 롤러(44)가 캠면(47)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결과, 제 1 아암(1)의 접힘위치측으로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걸어멈춤부재(41)가 코일용수철(45)에 의해 제 2 아암(2)의 기단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제 1 아암(1)이 도 3 (A)에 나타내는 위치 이상으로 접힘위치측으로 회전운 동하면, 걸어멈춤부재(41)가 앞한계위치에 이르고,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서 한정되는 일 없이,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아암(1)을 몸체에 설치하고, 제 2 아암(2)을 문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제 1 아암(1)을 문에 설치하고, 제 2 아암(2)을 몸체에 설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변위부재로서 지지축(5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변위하는 회전운동부재(52)를 이용하고 있지만, 걸어멈춤부재(4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변위하는 부재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스테이는, 예를 들면 몸체와 대형의 위로 열리는 문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테이, 특히 몸체와 열림위치로 회전운동한 문의 좌우 양측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문을 열림위치로 유지하는 스테이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제 1 아암(1)과, 이 제 1 아암(1)의 앞끝단부에 기단부가 전개위치와 접힘위치의 사이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아암(2)과, 상기 제 1 아암(1)과 상기 제 2 아암(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아암(2)을 상기 전개위치로 회전운동이 불가능하게 잠겨진 잠금상태와, 상기 제 2 아암(2)이 상기 전개위치에서부터 상기 접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잠금수단(4)을 구비한 스테이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암(2)이 상기 전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잠금수단(4)을 상기 해제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잠금수단(4)이, 상기 제 2 아암(2)에 소정의 가동범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아암(2)이 상기 전개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가동범위 내에서 소정의 걸어멈춤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아암(1)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제 2 아암(2)의 전개위치에서부터 접힘위치측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고, 상기 걸어멈춤위치로부터 소정의 해제거리 이상 이간하면, 상기 제 1 아암(1)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아암(2)의 전개위치에서부터 접힘위치측으로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걸어멈춤부재(41)와, 이 걸어멈춤부재(41)의 상기 제 1 아암(1)에 대한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걸어멈춤부재(41)를 상기 걸어멈춤위치측으로 힘을 가하는 잠금부세수단(45)을 가지며,
    상기 유지수단(5)이, 상기 제 1 아암(1)과 상기 제 2 아암(2)의 어느 한쪽과 상기 걸어멈춤부재(41)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멈춤부재(41)가 상기 해제거리 이상으로 상기 걸어멈춤위치로부터 멀어진 소정의 해제유지위치를 넘어 상기 걸어멈춤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저지수단(5)이고,
    상기 이동저지수단(5)이 상기 제 1 아암(1)과 상기 걸어멈춤부재(4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저지수단(5)이, 상기 걸어멈춤부재(41)에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를 변위가 가능하게 설치된 변위부재(52)와, 이 변위부재(52)를 제 1 위치측에서부터 제 2 위치측으로 힘을 가하는 변위부세수단(53)과, 상기 제 1 아암(1)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아암(2)이 상기 전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걸어멈춤부재(41)가 상기 걸어멈춤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변위부재(52)에 부딪쳐 상기 변위부재(52)를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걸어멈춤부재(41)가 상기 해제유지위치를 넘어 이동하면 상기 변위부재(52)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 1 접촉부(47)와, 상기 걸어멈춤부재(41)에 설치되고, 상기 변위부재(52)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변위부재(52)를 상기 변위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 2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 2 접촉부(43)와, 상기 제 1 아암(1)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변위부재(52)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멈춤부재(41)가 상기 해제유지위치에서부터 상기 걸어멈춤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제 3 접촉부(48)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1)에는, 일끝단부가 개방된 걸어맞춤오목부(46)가 형성되고, 상기 걸어멈춤부재(41)에는, 상기 제 2 아암(2)이 상기 전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걸어멈춤부재(41)가 상기 해제유지위치측에서부터 상기 걸어멈춤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걸어맞춤오목부(46)에 그 개방부로부터 파고 들어가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아암(2)의 상기 전개위치에서부터 상기 접힘위치측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걸어맞춤부(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47)가, 상기 걸어멈춤위치측에서부터 상기 해제유지위치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오목부의 개방부에 접근하도록 경사진 경사면(47)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 3 접촉부(48)가, 상기 걸어맞춤오목부(46)의 일측면(46b)의 개방측 끝단부와 교차하는 상기 경사면(47)의 앞끝단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재(52)가 상기 걸어멈춤부재(41)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43)가 상기 제 2 접촉부로서 겸용되며, 상기 변위부재(52)는, 상기 제 2 아암(2)이 상기 전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걸어멈춤부재(41)가 상기 걸어멈춤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경사면(47)의 상기 걸어맞춤오목부(46)로부터 이간한 후단부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되게 되고, 상기 걸어멈춤부재(41)가 상기 걸어멈춤위치에서부터 상기 해제유지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경사면(47) 위를 미끄럼운동하여 상기 제 2 위치측으로 회전운동하고, 더욱 상기 걸어멈춤부재(41)가 상기 해제유지위치에 이르면, 상기 경사면(47)을 넘어 상기 걸어맞춤부(43)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부재(41)는, 상기 가동범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아암(1)측으로의 이동한계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아암(2)이 접힘위치측에서부터 전개위치측으로 회전운동하면, 상기 걸어맞춤부(43)가 상기 경사면(47)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아암(2)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상기 잠금부세수단(4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해제유지위치측으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제 2 아암(2)이 전개위치에 이르면 상기 잠금부세수단(45)에 의해서 상기 걸어멈춤위치까지 이동되게 되며, 그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부(43)가 상기 걸어맞춤오목부(46)에 그 개방부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부재(41)가 상기 잠금부세수단(45)에 의해 상기 걸어멈춤위치까지 이동되게 될 때, 상기 변위부재(52)가 상기 경사면(47)에 의해 상기 변위부세수단(5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까지 회전운동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7006357A 2002-10-15 2003-10-09 스테이 KR101019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99932 2002-10-15
JP2002299932A JP4152716B2 (ja) 2002-10-15 2002-10-15 ステ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759A KR20050053759A (ko) 2005-06-08
KR101019314B1 true KR101019314B1 (ko) 2011-03-07

Family

ID=3210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357A KR101019314B1 (ko) 2002-10-15 2003-10-09 스테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40801B2 (ko)
EP (1) EP1553250A4 (ko)
JP (1) JP4152716B2 (ko)
KR (1) KR101019314B1 (ko)
CN (1) CN100449102C (ko)
AU (1) AU2003271154A1 (ko)
TW (1) TWI235191B (ko)
WO (1) WO2004035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291B1 (ko) * 2005-05-03 2007-03-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엔진후드도어의 고정 및 해제장치
US8540474B2 (en) * 2008-07-29 2013-09-24 Thomas F. Egan Power lift and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8833518B2 (en) * 2008-09-17 2014-09-16 William David Holcombe Portable, foldable two-legged stool
US20140103183A1 (en) * 2011-02-04 2014-04-17 Sachin Eknathrao Lokhande Auto locks stay rod for cabin of a vehicle
TWI485345B (zh) * 2011-09-20 2015-05-21 Compal Electronics Inc 顯示器支撐架
US9217535B1 (en) 2013-02-21 2015-12-22 Thomas F. Egan Portable lifting and transferring techniques
CN103527065B (zh) * 2013-10-24 2016-03-23 昆山誉球模塑有限公司 车用窗帘驱动装置及汽车窗帘组件
JP1538452S (ko) * 2015-04-24 2015-11-24
US9752364B2 (en) * 2015-06-08 2017-09-05 Dowco, Inc. Hinge
CA3009220A1 (en) 2018-06-22 2019-12-22 Normand Savard Snow-removal device with articulated handle
CN109455319B (zh) * 2018-11-16 2021-04-0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可重复运载器支撑机构的直线式限位机构
US10858072B1 (en) 2019-06-27 2020-12-08 Dowco, Inc. Articulated top assist mechanism
US10871015B1 (en) 2019-07-25 2020-12-22 Alain Rioux Protracting blocker for doors equipped with a closer piston
US11046394B1 (en) 2020-05-04 2021-06-29 Dowco, Inc. Reinforced articulated top
US11472512B1 (en) 2021-05-17 2022-10-18 Dowco, Inc. Reinforced articulated top
US11807341B2 (en) 2020-05-04 2023-11-07 Dowco, Inc. Reinforced articulated top
CN116065908B (zh) * 2023-01-05 2023-11-14 江苏春阳幕墙门窗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铝合金门窗折叠臂的锁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8777U (ko) * 1987-03-18 1988-09-30
JPH0640823A (ja) * 1992-01-28 1994-02-15 Ishihara Sangyo Kaisha Ltd 安定化された油性懸濁状除草組成物
JP2001115720A (ja) * 1999-10-20 2001-04-24 Sugatsune Ind Co Ltd ステー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444A (en) * 1915-03-03 1915-04-20 Julius J Schubert Storm-sash fastener.
US1851630A (en) * 1928-09-21 1932-03-29 Elvin H Johnson Builder's hardware
US1966205A (en) * 1931-06-08 1934-07-10 Elvin H Johnson Builder's hardware
US2064839A (en) * 1935-12-30 1936-12-22 Nathan J Kroll Combination hinge and latch
US2295421A (en) * 1939-03-25 1942-09-08 American Hardware Corp Door holder
US2803033A (en) * 1955-09-23 1957-08-20 P B R Mfg Co Locking hinge
US3259936A (en) 1964-05-05 1966-07-12 Eaton Yale & Towne Door holder and control
US3368423A (en) * 1965-11-17 1968-02-13 Pneumafil Corp Selectively collapsible stay arm
DE1775524C3 (de) * 1968-08-23 1978-08-24 Otto 7067 Pluederhausen Mayer Selbsttätig verriegelbares Gelenk
US3563592A (en) * 1969-02-19 1971-02-16 Robert Preston Lockable folding brace system
US3680448A (en) * 1970-09-21 1972-08-01 Robert G Ballingall Lay-down highway delineator post
US3825290A (en) * 1972-07-13 1974-07-23 V Messina Sliding door lock bar apparatus
FR2244097A1 (en) * 1974-03-20 1975-04-11 Chevant Claude Adjustable hinge for e.g. screens - slide has spring loaded locking pin blocked by a sprung slide
US4068601A (en) * 1976-09-02 1978-01-17 Pullman Incorporated Folding table construction
JPS63148777A (ja) 1986-12-11 1988-06-2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4930186A (en) * 1989-02-06 1990-06-05 Linwu Shwu Guei Suitcase pivoting arm
JPH0640823Y2 (ja) * 1991-01-19 1994-10-26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固定型ステー
US5142739A (en) * 1991-07-02 1992-09-01 Palhood Industries Corporation Lockable hinge joint for folding ladders
CA2117976A1 (en) * 1993-10-15 1995-04-16 Michael D. Coleman Spring plunger latch assembly
US5681045A (en) * 1996-07-12 1997-10-28 Liao; Grace Goal joint structure
EP0891889A1 (en) * 1997-07-14 1999-01-20 Lagab Ab Support leg arrangement
JP2889230B1 (ja) * 1998-05-08 1999-05-10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ストッパー機構付きステー装置
IT1310386B1 (it) * 1999-04-28 2002-02-13 Ferno Washington Italia Srl Dispositivo di collegamento ed aggancio di sicurezza per elementitubolari, particolarmente per barell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8777U (ko) * 1987-03-18 1988-09-30
JPH0640823A (ja) * 1992-01-28 1994-02-15 Ishihara Sangyo Kaisha Ltd 安定化された油性懸濁状除草組成物
JP2001115720A (ja) * 1999-10-20 2001-04-24 Sugatsune Ind Co Ltd ステ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3563A (zh) 2005-11-30
JP4152716B2 (ja) 2008-09-17
JP2004132118A (ja) 2004-04-30
TWI235191B (en) 2005-07-01
WO2004035972A1 (ja) 2004-04-29
US7340801B2 (en) 2008-03-11
AU2003271154A1 (en) 2004-05-04
TW200415295A (en) 2004-08-16
EP1553250A1 (en) 2005-07-13
KR20050053759A (ko) 2005-06-08
US20060048339A1 (en) 2006-03-09
CN100449102C (zh) 2009-01-07
EP1553250A4 (en) 200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314B1 (ko) 스테이
JP4673330B2 (ja) グラブボックス用回転止め歯式ラッチ
US11236527B2 (en) Door latch
US20100031468A1 (en) Retracting mechanism and fixing structure
KR100236694B1 (ko) 차량 도어 래치 장치
US7591494B2 (en) Window lock assembly
KR100675477B1 (ko) 가동체의 동작기구
RU2742424C1 (ru) Магнитная защёлка
JP3773483B2 (ja) 安全機構付引き手
JP3937193B2 (ja) 引き戸用錠前
KR100456872B1 (ko) 퓨얼필러도어의 결합구조
JP5139875B2 (ja) ラッチ機構
JP4646928B2 (ja) ドア用開閉器
JP2665321B2 (ja) ドアのラッチ装置
WO2016103309A1 (ja) ドアクローザー
JP2004019291A (ja) 門扉の掛金装置
JP3699857B2 (ja) ラッチ
JP2009097323A (ja) スライド式開閉体の挟み込み防止装置
US20220148823A1 (en) Operating mechanism for operating at least one contact
JP4027863B2 (ja) 引戸の仮締り機構
JP3899063B2 (ja) ドアガード
JP4346803B2 (ja) 面付ガードアーム錠。
JP4226512B2 (ja) ドアストッパー
KR101028283B1 (ko) 래치장치
KR200146202Y1 (ko) 대문 괘정구의 자동 괘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