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707B1 -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 - Google Patents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707B1
KR101016707B1 KR1020080071960A KR20080071960A KR101016707B1 KR 101016707 B1 KR101016707 B1 KR 101016707B1 KR 1020080071960 A KR1020080071960 A KR 1020080071960A KR 20080071960 A KR20080071960 A KR 20080071960A KR 101016707 B1 KR101016707 B1 KR 101016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nchor
cover
road
anch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956A (ko
Inventor
곽한종
Original Assignee
곽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한종 filed Critical 곽한종
Priority to KR102008007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7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도로상에 설치된 각종 안전 시설물, 특히 도로 중앙분리대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의 구조를 개선시켜 차량 등의 충돌에 의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도로상에서 빠지지 않도록 단열성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가 개시된다.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는 고정 스크류를 포함한다. 중공의 플라스틱 앵커 몸체는 고정 스크류가 끼워져 일단이 양편으로 확장되어 분기되도록 일단에서 타단의 인접 부위까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한 제1,2 고정부가 형성된다. 보강 커버는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 외주면을 감싸 보호한다. 고정 스크류가 앵커 몸체로 끼워질 때,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는 보강 커버와 연동하여 슬릿 부위를 중심으로 벌려진다.
도로, 중앙 분리대, 안전 시설물, 앵커 및 앵커 볼트.

Description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Anchor for fixing a road median strip}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 상에 설치되어 차량 등이 중앙선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도로를 진행방향 별로 구획해주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상에 설치된 각종 안전 시설물, 특히 도로 중앙분리대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의 구조를 개선시켜 차량 등의 충돌에 의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도로상에서 빠지지 않도록 단열성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교통표지와 더불어 충돌 등 만약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각종 안전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안전 시설물에는 자동차 도로의 양쪽에 설치한 방호책인 가드레일 및 도로를 차량의 진행방향별로 완전히 양분하여 구획된 도로 중앙분리대 등이 있다.
이중 도로 중앙 분리대는 주로 4차선 이상의 도로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마주 오는 차량과 충돌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도로의 종류나 지역여건 등에 따라 화단형이나 철제펜스형 또는 블록형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여기서, 도로 중앙 분리대는, 고속도로의 경우, 제한속도가 상당히 높고 U턴 등의 횡단이 금지되어 있는바, 도로의 중앙을 확실하게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주행하던 차량이 부딪치더라도 반대 차도로 침범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철제펜스와 콘크리트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일반 도로의 경우, 고강도 합성수지를 소정형태로 성형한 후 그 속에 물을 채워두는 중앙분리대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 중앙 분리대를 도로상에 고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상에 설치된 각종 안전 시설물, 특히 도로 중앙분리대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의 구조를 개선시켜 차량 등의 충돌에 의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도로상에서 빠지지 않도록 단열성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킨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 중앙 분리대를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상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로서,
고정 스크류;
상기 고정 스크류가 끼워져 일단이 양편으로 확장되어 분기되도록 일단에서 타단의 인접 부위까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한 제1,2 고정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플라스틱 앵커 몸체; 및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는 보강 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스크류가 앵커 몸체로 끼워질 때,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는 상기 보강 커버와 연동하여 상기 슬릿 부위를 중심으로 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 커버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2 고정커버부; 및 상기 제1,2 고정커버부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커버부, 중앙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는 일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의 일단에는 제1,2 로케이션핀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중앙 커버부에는 상기 제1,2 로케이션핀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제1,2 로케이션핀공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로케이션핀은 각각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로케이션핀공은 상기 제1,2 로케이션핀의 지름 보다 큰 장공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커버의 중앙 커버부는 제1,2 로케이션핀의 연결 부위가 절단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커버의 중앙 커버부에는 제1,2 로케이션핀의 연결 부위에 절단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커버의 제1,2 로케이션핀공은 하나로 연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커버는 상기 앵커 몸체의 슬릿 부분을 제외한 제1,2 고정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에는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2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결합홈에는 상기 보강 커버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결합홈에는 제1,2 고정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제1,2 고정커버부에는 상기 제1,2 고정돌기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2 고정돌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고정돌기공에는 상기 앵커 몸체의 대향된 면에는 자유 단부를 향하여 제1,2 보조 단턱이 각각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에는 제1,2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제1,2 고정커버부에는 상기 제1,2 스토퍼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2 스토퍼공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에는 슬릿과 대향된 위치의 단면 부위에 제1,2 마감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제1,2 고정커버부에는 상기 제1,2 마감고정돌기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2 마감고정돌기공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커버의 제1,2 고정커버부에는 다수개의 이탈방지돌기가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고정부의 이탈방지돌기는 엠보싱(embossing)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고정부의 이탈방지돌기는 일부가 절개하여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고정부의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제1,2 고정부의 표면에 대하여 일 측은 계단식으로 폭이 넓고 높게 턱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고 낮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커버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에 의하면, 앵커는 플라스틱 몸체에 스틸 재질의 보강 커버를 결합함으로써, 중앙 분리대를 도로의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에 설치하였을 때, 앵커 몸체에는 스틸 재질의 보강 커버가 씌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지열이 앵커 몸체에 전달되어 앵커 몸체 자체가 쉽게 파손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중앙 분리대로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도로의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으로부터 앵커가 쉽게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AC)의 적용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로서, 중앙 분리대(CL)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AC)에 의해 도로 상의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와 같은 설치부(CL)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앵커(AC)는 도로 중앙 분리대를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AC)는 앵커 몸체(200)에 고정 스크류(100) 및 보강 커버(300)를 결합시켜 이루어진다.
앵커 몸체(200)는 고정 스크류가 끼워져 일단이 양편으로 확장되어 분기되도록 일단에서 타단의 인접 부위까지 슬릿(204)이 형성된다. 제1,2 고정부(202)(202a)는 슬릿(204)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다. 앵커 몸체(200)는 내부가 빈 중공의 플라스틱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보강 커버(300)는 앵커 몸체(200)의 제1,2 고정부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 외주면을 감싸 보호한다. 여기서, 보강 커버(300)는 제1,2 고정커버부(302)(302a)와 중앙 커버부(312)를 포함한다. 제1,2 고정커버부(302)(302a)는 제1 고정부(202)와 제2 고정부(202a)에 각각 결합된다. 중앙 커버부(312)는 제1,2 고정커버부(302)(302a) 사이를 연결한다. 제1 고정커버부(302), 중앙 커버부(312) 및 제2 커버부(302b)는 일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커버부(312)는 제1,2 고정커버부(302)(302a)에 비해 폭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앙 커버부(312)를 중심으로 쉽게 접혀 질 수 있도록 하며, 앵커(AC)를 도로의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에 쉽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강 커버(30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커버(300)의 중앙 커버부(312)는 제1,2 로케이션핀(206)(206a)의 연결 부위가 절단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커버(300)의 중앙 커버부(312)에는 제1,2 로케이션핀(206)(206a)의 연결 부위에 절단홈(312a)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커버(300)의 제1,2 로케이션핀공(206)(206a)은 하나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류(100)가 앵커 몸체(200)로 끼워질 때, 앵커 몸체(200)의 제1,2 고정부(202)(202a)는 보강 커버(300)와 연동하여 슬릿(204) 부위를 중심으로 벌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2 로케이션핀(206)(206a)은 앵커 몸체(200)의 제1,2 고정부(202)(202a)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제1,2 로케이션핀공(306)(306a)은 제1,2 로케이션핀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보강 커버(300)의 중앙 커버부(312)에 제공될 수 있다. 제1,2 로케이션핀(206)(206a)은 각각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밖에 원형 단면 등의 형상이 가능하다. 제1,2 로케이션핀(206)(206a)이 사각 단면의 형상일 경우, 보강 커버(300)의 제1,2 고정커버부(302)(302a)가 앵커 몸체(200)의 제1,2 결합홈(208)(208a)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제1,2 로케이션핀공(314)(314a)은 제1,2 로케이션핀(206)(206a)의 지름 보다 큰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결합홈(208)(208a)은 앵커 몸체(200)의 제1,2 고정부(202)(202a)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2 결합홈(208)(208a)에는 보강 커버(300)의 제1,2 고정부(202)(202a)가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제1,2 고정돌기(210)(210a)는 앵커 몸체(200)의 제1,2 결합홈(208)(208a)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된다. 제1,2 고정돌기공(304)(304a)은 보강 커버(300)의 제1,2 고정커버부(302)(302a) 각각 형성되고, 제1,2 고정돌기공(304)(304a)에는 제1,2 고정돌기(210)(210a)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제1,2 보조단턱(306)(306a)은 앵커 몸체(200)의 대향된 면으로부터 자유 단부를 향하여 제1,2 고정돌기공(304)(304a)에 각각 형성된다.
제1,2 스토퍼(212)(212a)는 앵커 몸체(200)의 제1,2 고정부(202)(202a)에 각각 형성된다. 제1,2 스토퍼(212)(212a)는 보강 커버(300)의 제1,2 고정커버부(302)(302a)에 각각 형성되어 제1,2 스토퍼(212)(212a)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제1,2 마감고정돌기공(214)(214a)는 앵커 몸체(200)의 제1,2 고정부(302)(302a)에 각각 형성되며, 슬릿(204)과 대향된 위치의 단면 부위에 각각 형성된다. 제1,2 마감고정돌기공(310)(310a)은 보강 커버(300)의 제1,2 고정커버부(302)(302a)에 각각 형성되며, 제1,2 마감고정돌기공(214)(214a)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이탈방지돌기(311)는 보강 커버(300)의 제1,2 고정커버부(302)(302a)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돌기(311)는 일부가 절개하여 일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고정 스크류(100)이 앵커 몸체(200)의 내부로 끼워질 때, 플라스틱재인 앵커 몸체(200)의 부스러기가 이탈방지돌기(311)에 절개된 부위로 파고 들어가게 되고, 이는 이탈방지돌기(311)의 자유 단부가 앵커 몸체(200)의 바깥 쪽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탈방지돌기(311)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앵커(AC)가 설치부(CL)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돌기(311)는 한쪽 면은 오목하고 다른 쪽은 볼록하게 엠보싱(embossing)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2 고정커버부(302)(302a)의 이탈방지돌기(311)는 제1,2 고정부(302)(302a)의 표면에 대하여 일측은 계단식으로 폭이 넓고 높게 턱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고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돌기(311)는 제1,2 고정커버부(302)(302a)의 표면에서 볼 때 대략 역삼각형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11)는 설치부(CL)에 끼워질 때는 쉽게 끼워지는 것인 반면, 계단식으로 된 턱 때문에 설치부(CL)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커버(300)는 앵커 몸체(200)의 슬릿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즉 제1,2 고정부(202)(202a)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여지는 고정 스크류(100), 앵커 몸체(200) 및 보강 커버(300)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도 1 내지 도 11에서 상세히 설명되었기 때문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다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앵커(AC)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앵커(AC)는 앵커 몸체(200)에 보강 커버(300)를 결합하고, 앵커 몸체(200)의 내부에 고정 스크류(100)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앵커 몸체(200)의 제1,2 고정부(202)(202a)에 형성된 제1,2 결합홈(208)(208a)에는 보강 커버(300)를 결합시킨다. 이때, 보강 커버(300)의 제1,2 고정커버부(302)(302a)는 앵커 몸체(200)의 제1,2 결합홈(208)(208a)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제1,2 고정부(202)(202a)의 제1,2 로케이션핀(206)(206a)은 보강 커버(300)의 중앙 커버부(312)에 형성된 제1,2 로케이션핀공(314)(314a)에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제1,2 로케이션핀공(314)(314a)은 제1,2 로케이션핀(206)(206a)의 지름 보다 큰,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후에 설명될 고정 스크류(100)가 앵커 몸체(200)에 끼워질 때, 제1,2 고정부(202)(202a)와 연동하여 이동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앵커 몸체(200)의 제1,2 고정돌기(210)(210a)는 보강 커버(300)의 제1,2 고정돌기공(304)(304a)에 끼워져 고정된다. 앵커 몸체(200)의 제1,2 스토퍼(212)(212a)는 보강 커버(300)의 제1,2 스토퍼공(308)(308a)에 끼워져 고정된다. 앵커 몸체(200)의 제1,2 마감고정돌기공(214)(214a)는 보강 커버(300)의 제1,2 마감고정돌기공(310)(310a)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강 커버(300)는 앵커 몸체(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강커버(300)의 제1,2 고정돌기공(304)(304a)에는 제1,2 보조단턱(306)(306a)이 각각 형성된 상태이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2 스토퍼(212)(212a)는 제1,2 고정돌기(210)(210a)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보강 커버(30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제1,2 스토퍼(212)(212a)는 보강 커버(300) 자체가 앵커 몸체(200)로부터 겉도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보강 커버(300)의 제1,2 고정커버부(302)(302a)에는 이탈방지돌기(31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강 커버(300)가 끼워지며 고정스크류(100)가 끼워진 앵커 몸체(200)가 도로상, 즉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등의 설치 부위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이탈방지돌기(311)가 일측으로 절개되어 한쪽 면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탈방지돌기(311)의 자유단부는 첨단으로 갈수록 날카로운 상태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앵커(AC)가 설치 부위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 스크류(100)를 앵커 몸체(200)의 빈 중공에 회전시켜 끼우게 되면, 고정 스크류(100)는 앵커 몸체(200)의 내부를 파고 들어가게 된다. 이때, 앵커 몸체(200)의 제1,2 고정부(202)(202a)의 하부가 슬릿(204)를 중심으로 벌어지면서, 보강 커버(300)의 중앙 커버부(312), 즉 절단홈(312a)이 강제로 절단되어 제1,2 고정커버부(302)(302a)가 중앙 커버부(312)의 일부를 포함하여 각각 분리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앵커 몸체(200)에 보강 커버(300)를 결합한 상태의 앵커(AC)를 도로상의 설치 위치에 설치하게 되면, 스틸 재질의 보강 커버(300)가 지면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플라스틱 재질의 앵커 몸체(2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 몸체(200)가 지열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앵커 몸체(200)는 플라스틱 재질이고, 보강 커버(300)는 스틸 재질인 관계로, 앵커 몸체(200)에 보강 커버(300)를 결합한 후, 앵커 몸체(200) 의 중공으로 고정 스크류(100)를 결합시킬 경우, 앵커 몸체(200)의 제1,2 고정부(202)(202a)가 벌어지면서 앵커 몸체(200)의 플라스틱 일부가 보강 커버(300)의 제1,2 고정돌기공(304)(304a), 제1,2 스토퍼공(308)(308a) 및 제1,2 마감고정돌기공(310)(310a) 또는 이탈방지돌기(311)의 홈이나 구멍으로 파고들어가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룬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앙 분리대(CD)에 한정해서 설명했지만,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와 같은 설치부(CL)에 고정시키기 위한 주차 정지턱과 같은 그 밖의 다른 도로 시설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2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도 3의 A - A 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 4a는 앵커 몸체에 고정 스크류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이고, 도 4b는 앵커 몸체에 고정 스크류가 끼워진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3에서 " X "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3에서 " X "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4a 및 도 4b의 " Y "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5에서 보강 커버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 Z"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5에서 보강 커버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는 도 8에서 " Z1"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도 14는 도 12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C : 앵커
100 : 고정 스크류 200 : 앵커 몸체
202, 202a : 제1,2 고정부 204 : 슬릿
206, 206a : 제1,2 로케이션핀 208, 208a : 제1,2 결합홈
210, 210a : 제1,2 고정돌기 212, 212a : 제1,2 스토퍼
214, 214a : 제1,2 마감고정돌기
300 : 보강 커버 302, 302a : 제1,2 고정 커버부
304, 304a : 제1,2 고정돌기공 306, 306a : 제1,2 보조단턱
308, 308a : 제1,2 스토퍼 311 : 이탈방지돌기
310, 310a : 제1,2 마감고정돌기공 312 : 중앙 커버부
314, 314a : 제1,2 로케이션핀공

Claims (19)

  1. 도로 중앙 분리대를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상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로서,
    고정 스크류;
    상기 고정 스크류가 끼워져 일단이 양편으로 확장되어 분기되도록 일단에서 타단의 인접 부위까지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한 제1,2 고정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플라스틱 앵커 몸체; 및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는 보강 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스크류가 앵커 몸체로 끼워질 때,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는 상기 보강 커버와 연동하여 상기 슬릿 부위를 중심으로 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커버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2 고정커버부; 및 상기 제1,2 고정커버부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커버부, 중앙 커버부 및 제2 커버부는 일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의 일단에는 제1,2 로케이션핀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중앙 커버 부에는 상기 제1,2 로케이션핀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제1,2 로케이션핀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로케이션핀은 각각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로케이션핀공은 상기 제1,2 로케이션핀의 지름 보다 큰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커버의 중앙 커버부는 제1,2 로케이션핀의 연결 부위가 절단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커버의 중앙 커버부에는 제1,2 로케이션핀의 연결 부위에 절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커버의 제1,2 로케이션핀공은 하나로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커버는 상기 앵커 몸체의 슬릿 부분을 제외한 제1,2 고정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 커.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에는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2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결합홈에는 상기 보강 커버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결합홈에는 제1,2 고정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제1,2 고정커버부에는 상기 제1,2 고정돌기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2 고정돌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돌기공에는 상기 앵커 몸체의 대향된 면에는 자유 단부를 향하여 제1,2 보조 단턱이 각각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에는 제1,2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제1,2 고정커버부에는 상기 제1,2 스토퍼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2 스토퍼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몸체의 제1,2 고정부에는 슬릿과 대향된 위치의 단면 부위에 제1,2 마감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강 커버의 제1,2 고정커버부에는 상기 제1,2 마감고정돌기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2 마감고정돌기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커버의 제1,2 고정커버부에는 다수개의 이탈방지돌기가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부의 이탈방지돌기는 엠보싱(embossing)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부의 이탈방지돌기는 일부가 절개하여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부의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제1,2 고정부의 표면에 대하여 일측은 계단식으로 폭이 넓고 높게 턱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고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커버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앵커.
KR1020080071960A 2008-07-24 2008-07-24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 KR101016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960A KR101016707B1 (ko) 2008-07-24 2008-07-24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960A KR101016707B1 (ko) 2008-07-24 2008-07-24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56A KR20100010956A (ko) 2010-02-03
KR101016707B1 true KR101016707B1 (ko) 2011-02-25

Family

ID=4208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960A KR101016707B1 (ko) 2008-07-24 2008-07-24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725A (ko) * 2015-07-30 2017-02-09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소켓 탈부착용 체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124B1 (ko) * 2012-02-20 2014-01-14 이두걸 타일시트를 사용한 바닥타일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072U (ko) * 1997-06-25 1999-01-15 서영재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KR200349416Y1 (ko) 2004-01-26 2004-05-04 김점식 직경이 수축 확장 가능한 칼블럭
KR100687448B1 (ko) 2005-04-08 2007-02-27 장천식 스트롱 앵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072U (ko) * 1997-06-25 1999-01-15 서영재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KR200349416Y1 (ko) 2004-01-26 2004-05-04 김점식 직경이 수축 확장 가능한 칼블럭
KR100687448B1 (ko) 2005-04-08 2007-02-27 장천식 스트롱 앵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725A (ko) * 2015-07-30 2017-02-09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소켓 탈부착용 체결장치
KR101718853B1 (ko) 2015-07-30 2017-03-24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소켓 탈부착용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56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903B2 (en) Bendable pole for wire-rope safety fences
KR101016707B1 (ko)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
KR101378546B1 (ko) 운전자를 보호 및 시공이 편리한 안전 가이드레일
KR200336654Y1 (ko) 급커브 도로의 중앙선 침범방지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200321312Y1 (ko) 조립식 도로 중앙 분리대
KR200488459Y1 (ko) 조립식 도로
KR101049296B1 (ko) 도로 표지병
KR200371172Y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101213075B1 (ko) 굴절연결식 저형고 이동형 배리어
KR100582022B1 (ko)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도로 중앙분리대
KR100915631B1 (ko) 방호벽용 안전블럭
KR200403639Y1 (ko) 가드레일의 파이프 포스트
KR100660804B1 (ko)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KR100662543B1 (ko) 버스전용차로
KR200180170Y1 (ko) 그라우트홀이 형성된 차량용 방호벽
KR200265872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208783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레일
KR200326714Y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200201560Y1 (ko) 표지병타입의 중앙선용 가이드박스
KR200208782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KR200294981Y1 (ko) 도로경계 차음판넬
KR200305573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차광구조
KR101996024B1 (ko) 파단형 앵커부를 포함하는 중앙분리대
JPH0542085Y2 (ko)
KR200154814Y1 (ko) F.r.p 특수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