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072U -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 Google Patents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072U
KR19990002072U KR2019970015588U KR19970015588U KR19990002072U KR 19990002072 U KR19990002072 U KR 19990002072U KR 2019970015588 U KR2019970015588 U KR 2019970015588U KR 19970015588 U KR19970015588 U KR 19970015588U KR 19990002072 U KR19990002072 U KR 199900020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ap
anchor
piece cap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재
Original Assignee
서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재 filed Critical 서영재
Priority to KR2019970015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2072U/ko
Publication of KR19990002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072U/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용 가구나 세면대용 카운터 등의 벽면부착물을 벽면에 고정부착하는데 사용되는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에 관한 것으로, 나사못이 삽입될 때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가 벌어질 때 끝단이 절단될 수 있게 연결된 절단용 연결부 및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칼블럭과, 상기 칼블럭의 삽입단측에서 나사못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피스캡이 분리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칼블럭과 피스캡을 일체로 성형하여서 된 블럭앵커와, 상기 블럭앵커의 피스캡 외주면 양측에 상기 피스캡을 결착시킬 수 있는 걸림턱과 공간이 마련되게 돌출시킨 결착돌부를 구성하여 벽면부착물의 조립부품수를 줄임과 동시 조립공정을 감축시켜 벽면부착물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본 고안은 욕실용 가구나 세면대용 카운터 등의 벽면부착물을 벽면에 고정부착하는데 사용되는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 설치되는 세면도구 보관함과 같은 욕실용 가구 또는 세면대 위에 설치되는 세면대용 카운터 등의 벽면부착물을 콘크리트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못을 사용하여 왔었으나, 이는 콘크리트못이 콘크리트 벽면에 잘 박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힘과 기술을 필요로 하였으며, 망치질에 자칫 실수라도 저지르게 되면 콘크리트못이 튕겨져나가거나 또는 망치가 부착물을 때려 손상 내지 파손시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타정총을 이용할 경우에는 전술과 같은 문제점은 방지할 수 있겠지만 타정총으로 타정된 못의 머리부까지 부착물 표면을 뚫고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 역시 바람직한 방법이 못되었다.
종래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드릴로서 벽면에 구멍을 뚫어준 다음 나사못을 박아주는 방법으로 부착물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이른바 칼블럭(셋트앵커와 같이 구멍에 삽입된 후 나사못의 삽입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구멍에 고정되는 것)을 사용하고 있는 바, 종래기술의 칼블럭 구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벽면(W)에 뚫어준 구멍(100)에 삽입되는 칼블럭(101)과, 상기 칼블럭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못(102)의 머리부(102a)를 수용하는 피스캡(103)이 각각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캡(103)을 덮어주는 커버캡(104)의 압지부(104a)가 돔형타입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칼블럭(101)과 피스캡(103)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점과, 벽면(W)에 뚫어준 구멍(100)에 칼블럭(101)을 삽입시키는 공정과, 다음 칼블럭(101)에 피스캡(103)을 일치시켜야 하는 공정, 그 다음 피스캡(101)의 삽입공(103a)을 통해 칼블럭(101)의 삽입공(101a) 속으로 나사못(102)을 나사체결하는 공정, 마지막으로 커버캡(104)을 피스캡(103)에 덮어주는 공정 등 부품수에 따른 공정수가 4공정으로 이루어져 공정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칼블럭(101)과 피스캡(103)을 삽입 및 조립하는 공정과 나사못(102)을 나사체결하는 공정에 신중을 기해야만이 커버캡(104)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점이 제일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커버캡(104)을 피스캡(103)에 견고하게 부착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캡(104)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테(104a)가 피스캡(103)의 이면측에 끼일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구멍(100)에 칼블럭(101)을 삽입할 때 삽입단이 부착물(F)의 부착홈(105)의 내면에서 어느 정도 이격시켜야만 피스캡(103)과의 사이에 공간(S)이 확보되는 것이며, 상기 공간(S)은 커버캡(104)의 돌출테(104a) 부분이 피스캡(103)의 이면에 끼일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면 만족한 것인데, 상기 칼블럭(101)을 구멍(100)에 덜 삽입하여 공간(S)이 너무 커지면 피스캡(103)은 물론이고 커버캡(104)이 부착물(F)의 표면에서 너무 많이 돌출되어 외관상 좋지 못할 뿐 아니라 칼블럭(101) 자체가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되지 않게 되어 부착물(F)의 부착강도를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는 반대로 칼블럭(101)을 구멍(100)에 너무 깊이 삽입하게 되면 피스캡(103)의 이면에 형성시켜야 할 공간(S)이 너무 좁게 되거나 또는 피스캡(103) 이면이 부착물(F)의 부착홈(105) 내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커버캡(104)의 돌출테(104a)를 피스캡(103)의 이면에 결착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은 칼블럭과 피스캡이 각각 분리구성된 점과 피스캡 자체의 구조적 결함에 의하여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칼블럭과 피스캡을 일체로 성형된 블럭앵커를 제공하여 부품수와 조립공정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 벽면에 천공된 구멍속에 블럭앵커의 삽입앵커부를 완전히 삽입시키더라도 피스캡의 이면측에 커버캡을 견고하게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사못이 삽입될 때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가 벌어질 때 끝단이 절단될 수 있게 연결된 절단용 연결부 및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칼블럭과, 상기 칼블럭의 삽입단측에서 나사못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피스캡이 분리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칼블럭과 피스캡을 일체로 성형하여서 된 블럭앵커와;
상기 블럭앵커의 피스캡 외주면 양측에 상기 피스캡을 결착시킬 수 있는 걸림턱과 공간이 마련되게 돌출시킨 결착돌부와;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캡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환형요철부를 형성한 것과, 상기 커버캡의 폐쇄부에 사각형 테두리를 가지며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누름부를 형성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도 2의 (가)(나)도는 본 고안의 앵커블럭과 커버캡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앵커블럭 평면도.
도 4의 (가)∼(다)도는 본 고안의 앵커블럭의 설치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의 (가)∼(라)도는 종래 기술의 앵커블럭 설치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럭앵커 2 : 칼블럭
3 : 피스캡 4 : 나사못
5 : 커버캡 6,F: 벽면부착물
21 : 요철부 22 : 절개부
23 : 절단용 연결부 24 : 삽입공
31 : 수용실 32 : 결착돌부
33 : 걸림턱 34 : 공간
41 : 머리부 51 : 돌출테
52 : 환형요철부 53 : 오목누름부
61,105 : 부착홈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의 (가)(나)도는 본 고안의 앵커블럭과 커버캡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앵커블럭 평면도이며, 도 4의 (가)∼(다)도는 본 고안의 앵커블럭의 설치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은 앵커블럭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앵커블럭(1)은 벽면(W)에 미리 뚫어 놓은 구멍(100)으로 삽입되는 칼블럭(2)과 피스캡(3)이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다.
상기 칼블럭(2)의 외주면에는 통상과 같이 벽면(W)에 뚫어 놓은 구멍(100) 내주면에 박히는 작용으로 빠짐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요철부(21)와 절개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칼블럭(2)의 끝단에는 절개부(22)를 연결시키고 있는 절단용 연결부(23)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단용 연결부(23)은 삽입공(24)으로 나사못(4)이 삽입될 때 절단되면서 칼블럭(2) 자체가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캡(3)은 칼블럭(2)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상기 나사못(4)의 머리부(41)를 수용하는 수용실(31)과 양측으로 돌설된 결착돌부(32)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착돌부(32)는 커버캡(5)의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테(51)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33)과 공간(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캡(5)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환형요철부(52)와 사각형 테두리를 가지며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누름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가)도 도시예와 같이 욕실의 벽면(W)에 미리 천공해 놓은 구멍(100)에 욕실용 가구나 세면대용 카운터 등의 벽면부착물(6)에 형성된 부착홈(61)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부착홈(61)을 통해 구멍(100)속으로 블럭앵커(1)의 칼블럭(2)을 삽입시키는데, 이때 상기 블럭앵커(2)와 일체로 성형된 피스캡(3)의 이면이 벽면부착물(6)의 부착홈(61) 내면에 밀착되도록 삽입시킨다. 이같이 피스캡(3)의 이면이 상기한 부착홈(61) 내면에 밀착될 때까지 삽입시키는 작업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매우 편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즉, 종래에는 칼블럭의 삽입단이 벽면부착물(F)의 부착홈(105)의 내면과 다음공정의 피스캡(103) 이면과의 사이에 커버캡(104)을 격착시킬 수 있는 필요한 공간(S)이 확보되게 신중을 기하여야 하지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블럭앵커(1)의 칼블럭(2)과 일체로 성형된 피스캡(3)의 이면이 부착홈(61)의 내면에 밀착될 때까지 삽입시키더라도 커버캡(5)을 결착시킬 수 있는 공간(34)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칼블럭(2)을 구멍(100) 깊숙히 삽입시킬 수 있게 되어 블럭앵커(1)의 부착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블럭앵커(1)의 삽입공정을 마친 후 도 4의 (나)도와 같이 나사못(4)을 나사조임으로 삽입시키는데, 칼블럭(2)의 삽입공(24) 내경은 나사못(4)의 외경보다 작게 만들어져 있으므로서 나사못(4)이 삽입될 때 칼블럭(2) 자체는 절개부(22)를 기준하여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때 절개부(22)의 끝단을 연결하고 있던 절단용 연결부(23)는 절단되므로서 칼블럭(2) 자체는 삽입공(24)으로 나사조임식으로 파고드는 나사못(4)에 의하여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요철부(21)가 구멍(100) 내주면에 박히는 상태가 되므로서 칼블럭(2)이 구멍(100) 속에 강하게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나사못(4)으로 블럭앵커(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의 피스캡(3) 양측에 돌설된 결착돌부(32)의 걸림턱(33)과 벽면부착물(6)의 부착홈(61) 내면과의 사이에는 커버캡(5)의 돌출테(51)를 결착시킬 수 있는 공간(34)이 확보된 상태이다. 따라서 도 4의 (다)도와 같이 커버캡(5)을 결착시키는데 돌출테(51) 부분은 피스캡(3)의 양측에 돌설된 결착돌부(32)의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탄력적으로 약간 벌어지면서 걸림턱(33)에 결착되는 것이며, 상기 커버캡(5)의 결착작업은 주로 작업자의 엄지손가락으로 폐쇄부를 강하게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결착되는 것인데, 이때 상기한 커버캡(5)의 폐쇄부에는 사각형의 테두리를 가지면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누름부(53)가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적을 넓혀줌과 동시 압압력이 오목누름부(53) 전체에 작용되게 하므로서 엄지손가락의 접촉피로감을 줄여주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바, 이같은 작용은 종래 기술과 같이 튀어나온 커버캡을 눌러줄 때 발생되는 엄지손가락의 피로감을 없앨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벽면부착물(6)에 부착홈(61)을 형성한 것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세면대용 카운터 등의 벽면부착물(6)에는 부착홈을 형성하기 곤란 점이 있다. 따라서 부착홈을 형성시키기 곤란한 벽면부착물(6)에는 블럭앵커(1)의 칼블럭(2)을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만을 형성하여 피스캡(3)과 커버캡(5)이 노출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캡(5)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시킨 환형요철부(52)는 벽면부착물(6)을 부착작업을 완료한 상태에서 커버캡(5)을 일시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손가락으로 잡을 때 환형요철부(52)가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커버캡의 분리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특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칼블럭과 피스캡을 일체형으로 시킨 블럭앵커는 욕실용 가구나 세면대용 카운터를 부착시키기 위한 조립부품의 부품수를 줄여 주는 효과와 함께 벽면부착물의 부착공정수를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블럭앵커의 피스캡에는 칼블럭을 벽면부착물의 부착홈을 통해 벽면에 형성된 구멍 속으로 깊숙히 삽입되도록 삽입시키더라도 피스캡의 이면측에 커버캡을 결착시킬 수 있는 공간과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블럭앵커의 삽입작업 및 나사못 나사조립 후 커버캡의 조립작업을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으므로서 욕실 등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부착물의 부착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블럭앵커와 나사못의 조립작업 후 나사못의 머리부를 덮어주는 마감부재인 커버캡의 폐쇄부에 형성된 환형오목부는 엄지손가락에 피로감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고, 또 커버캡을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요철부는 손가락으로 잡기에 편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다 주어 커버캡을 분리해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나사못이 삽입될 때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가 벌어질 때 끝단이 절단될 수 있게 연결된 절단용 연결부 및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칼블럭과, 상기 칼블럭의 삽입단측에서 나사못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피스캡이 분리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칼블럭과 피스캡을 일체로 성형하여서 된 블럭앵커와;
    상기 블럭앵커의 피스캡 외주면 양측에 상기 피스캡을 결착시킬 수 있는 걸림턱과 공간이 마련되게 돌출시킨 결착돌부와;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캡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환형요철부를 형성한 것과, 상기 커버캡의 폐쇄부에 사각형 테두리를 가지며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누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KR2019970015588U 1997-06-25 1997-06-25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KR199900020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588U KR19990002072U (ko) 1997-06-25 1997-06-25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588U KR19990002072U (ko) 1997-06-25 1997-06-25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072U true KR19990002072U (ko) 1999-01-15

Family

ID=6968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588U KR19990002072U (ko) 1997-06-25 1997-06-25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207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78B1 (ko) * 2008-06-05 2009-09-18 공관택 앵커용 하우징
KR101016707B1 (ko) * 2008-07-24 2011-02-25 곽한종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
WO2011059140A1 (ko) * 2009-11-16 2011-05-19 Lee Chun Soo 길이 압축에 의한 부피 팽창형 칼브럭
KR102045774B1 (ko) * 2019-07-04 2019-11-18 (주)덕산지에스 층고 확보와 공간 활용도가 개선된 지하 주차장 및 건축 구조물 헌치거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278B1 (ko) * 2008-06-05 2009-09-18 공관택 앵커용 하우징
KR101016707B1 (ko) * 2008-07-24 2011-02-25 곽한종 도로 중앙 분리대 고정용 앵커
WO2011059140A1 (ko) * 2009-11-16 2011-05-19 Lee Chun Soo 길이 압축에 의한 부피 팽창형 칼브럭
KR102045774B1 (ko) * 2019-07-04 2019-11-18 (주)덕산지에스 층고 확보와 공간 활용도가 개선된 지하 주차장 및 건축 구조물 헌치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624B1 (ko) 조립구
US5651651A (en) Tamper resistant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0298034B1 (ko) 제작된다양한표준도어에채택되는교체식도어걸쇠용면판
JP2530326Y2 (ja) 家具等における部材の連結装置
US20050002760A1 (en) Blind rivet fastener and workpiece assembly using same
US6659677B1 (en) Panel connector
KR19990002072U (ko) 피스캡이 일체로 된 블럭앵커
US5484175A (en) Cabinet lock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011209A (en) Cymbal fixture
KR960014743B1 (ko) 끈고정구
KR200201520Y1 (ko) 미닫이 문용 손잡이
KR950000605Y1 (ko) 잠금쇠
KR0129201Y1 (ko) 가구조립용 체결구
KR20200072204A (ko)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KR102449645B1 (ko) 이동형 또는 고정형 가구 선반에 적용이 가능한 공용 고정 장치
JPH0753905Y2 (ja) ステープラー
JPH063081Y2 (ja) ドアノブ用補助具
JP3015272B2 (ja) 引手の取付け構造
JPH11273540A (ja) 円筒形カットアウト
JP4226977B2 (ja) 引手
KR200165541Y1 (ko) 립스틱 케이스
JP3874446B2 (ja) 引手
JP2554795Y2 (ja) 障子框の工具挿通孔用化粧キャップ
KR200176311Y1 (ko) 싱크대 문짝
KR960000905Y1 (ko) 열쇠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