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487B1 -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487B1
KR101016487B1 KR1020090025987A KR20090025987A KR101016487B1 KR 101016487 B1 KR101016487 B1 KR 101016487B1 KR 1020090025987 A KR1020090025987 A KR 1020090025987A KR 20090025987 A KR20090025987 A KR 20090025987A KR 101016487 B1 KR101016487 B1 KR 10101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rm
shutter
gea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730A (ko
Inventor
이희창
곽재훈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5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487B1/ko
Priority to PCT/KR2010/001697 priority patent/WO2010107268A2/ko
Priority to CN201080012953.XA priority patent/CN102362298B/zh
Publication of KR2010010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487B1/ko
Priority to CL2011002295A priority patent/CL2011002295A1/es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41J3/28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on bank book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기는 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되고, 피인쇄물의 페이지 넘김시 작동 신뢰성이 확보되며, 피인쇄물의 이송시 피인쇄물의 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25987
인쇄 장치, 금융자동화기기, 케이싱, 이송 유닛, 프린트 유닛, 매수 감지 유닛, 매체 넘김 유닛

Description

인쇄 장치{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으며, 피인쇄물의 이송시 발생되는 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 장치는 피인쇄물의 표면에 문자 또는 도형을 인쇄하는 출력 장치의 하나이다. 상기 피인쇄물은 종이, 합성 수지, 또는 직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쇄 장치가 사용되는 산업분야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융자동화기기 분야에서 이용되는 피인쇄물로는 종이매체로 형성된 통장과 영수증 및 각종 전표가 있다.
특히, 상기 통장과 같이 책 형상의 피인쇄물에 인쇄가 실시될 경우, 상기 인쇄 장치의 인쇄 중간에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겨주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과거에는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길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인쇄 장치의 외부로 상기 피인쇄물을 배출하고,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사람이 직접 넘긴 후 상 기 인쇄 장치에 상기 피인쇄물을 다시 투입하였다.
최근에는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겨주는 인쇄 장치가 출시되는 추세이다. 즉, 최근의 인쇄 장치는 사람의 도움없이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긴 후 상기 피인쇄물의 새로운 페이지에 인쇄를 계속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기는 경우,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한 장씩 넘겨지지 못하고 복수의 페이지들이 비정상적으로 함께 넘겨지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페이지들이 함께 넘겨지면,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들에 인쇄가 순서대로 진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들 중간에 인쇄가 이루어지지 못한 빈 페이지가 다수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 장치의 제품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피인쇄물의 낭비가 심화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인쇄 장치에는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이 정확히 수행되지 못하거나,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기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형성되었다. 또한, 종래의 인쇄 장치는 피인쇄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피인쇄물의 잼 현상, 스큐(skew), 임의 이탈 등이 발생되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방식의 페이지 넘김 방법과 구조가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 인쇄 장치의 작동 오류 및 상기 피인쇄물의 잼 발생이 충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인쇄물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고, 피인쇄물의 페이지 넘김 구조도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인쇄물의 이송시 발생되는 피인쇄물의 잼 발생, 스큐, 또는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책 형상의 피인쇄물이 이송되는 이송 통로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이송 통로에 형성된 페이지 넘김홀부로 상기 피인쇄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상기 이송 통로 상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에 배치된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 일면과 접촉되는 제1위치 및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가 넘김된 상태에서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 타면과 접촉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는 암부, 상기 암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넘기는 롤러부, 및 상기 이송 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를 폐쇄하고, 상기 롤러부의 페이지 넘김시에는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를 개방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시에는 상기 셔터부가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를 폐쇄시키므로,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에 상기 피인쇄물이 간섭되는 잼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 넘김시에는 상기 셔터부가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를 개방시키므로, 상기 암부와 상기 롤러부는 상기 셔터부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넘길 수 있다.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암부의 일단부를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암부 회전축, 상기 암부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암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 상기 암부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롤러부로 전달하는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암부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셔터부로 전달하는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부 회전축과 상기 암부의 회전은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암부 회전축의 회전력은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 및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롤러부와 셔터부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암부 회전축에 구비된 제1 롤러부 기어, 상기 롤러부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2 롤러부 기어, 및 상기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롤러부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롤러부 기어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롤러부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암부 회전축에 구비된 제1 셔터부 기어, 상기 셔터부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2 셔터부 기어, 및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셔터부 기어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셔터부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부와 상기 셔터부는 상기 제1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부와 상기 셔터부의 동력 전달 메카니즘이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와 상기 암부 회전축에는, 상기 암부 회전축에서 상기 제1 셔터부 기어부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셔터부의 구속 여부에 따라 단속하는 클러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셔터부 기어는 상기 암부 회전축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부가 상기 암부 회전축과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의 구속 여부, 즉 상기 셔터부의 구속 여부에 따라 상기 암부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단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암부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된 제1 와셔, 상기 제1 와셔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셔터부 기어가 배치되도록 상기 암부 회전축의 타측에 고정된 제2 와셔, 및 상기 제2 와셔와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와셔와 상기 제2 와셔 및 상기 제1 셔터부 기어를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와 상기 제1 와셔 및 상기 제2 와셔가 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와 상기 제1 와셔 및 상기 제2 와셔는 접촉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와 상기 제1 와셔 및 상기 제2 와셔의 접촉면에 작용되는 마찰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의 동작이 구속되면, 상기 클러치부를 통한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어 상기 암부 회전축만 회전된다. 즉, 상기 제1 셔터부 기어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와 함께 상기 제2 셔터부 기어와 상기 제3 셔터부 기어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제2 구동부는 구동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암부는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되는 암부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암부 기어를 통해 상기 암부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암부 기어와 함께 선회될 수 있다.
상기 암부 기어의 일측에는 상기 암부의 제2 위치시 상기 케이싱에 간섭되어 상기 제2 위치를 기구적으로 설정하는 간섭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부 기어의 타측에는 상기 암부의 제2 위치시 상기 셔터부 또는 상기 셔터부 동력전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림되어 상기 셔터부를 개방 상태로 구속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암부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간섭부가 상기 케이싱에 간섭되어 상기 제2 위치가 간단히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셔터부 또는 상기 셔터부 동력전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림되어 상기 셔터부가 개방된 상태로 간단히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암부의 제2위치시 상기 롤러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넘김된 인쇄시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 부에는 제1 회피홈과 제2 회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피홈은 상기 롤러부와 상기 셔터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롤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피홈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셔터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 장치의 작동시 상기 롤러부와 상기 암부가 상기 셔터부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에는 상기 셔터부의 폐쇄 위치를 설정하는 제1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1 위치설정돌기는 상기 암부의 제1 위치시 상기 셔터부와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위치설정돌기가 상기 셔터부의 개폐 동작을 제한하므로,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시 상기 셔터부가 임의로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셔터부의 개방 위치를 설정하는 제2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설정돌기는 상기 암부의 제2 위치시 상기 셔터부와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의 개방시 상기 셔터부의 회전 가능한 최대 각도를 상기 제2 위치설정돌기가 제한하므로, 상기 셔터부의 개방 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암부의 타단부 양측에는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시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시 상기 암부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피인쇄물의 스큐 및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가 금융자동화기기에 채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피인쇄물, 예를 들면 통장, 전표, 또는 영수증 등에 각종 거래내역과 금융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가 금융자동화기기에 채용되면, 통장의 인쇄시 통장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장의 인쇄시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도 보다 정확히 작동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인쇄 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종이매체들에 의해 책 형상으로 형성된 피인쇄물이 사용되는 다른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제1,2 구동부에 의해 암부와 암부 회전축의 작동이 각각 제어되고 암부 회전축의 회전력에 의해 롤러부와 셔터부의 작동이 제어되므로,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도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제2 구동부의 회전력을 암부에 전달하는 암부 기어에 암부의 제2 위치시 케이싱에 간섭되는 간섭부가 형성되므로, 암부의 제2 위치가 기구적으로 간편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부 기어에 암부의 제2 위치시 셔터부 또는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므로, 암부의 제2 위치시 셔터부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피인쇄물의 이송시 페이지 넘김홀부가 셔터부에 의해 폐쇄되므로, 페이지 넘김홀부와 피인쇄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지 넘김홀부와 피인쇄물의 간섭으로 인한 잼 발생이 방지되므로, 인쇄 장치의 유지 보수 시간이 감소될 수 있고, 인쇄 장치의 사용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롤러부와 지지부에 형성된 제1,2 위치설정돌기에 의해 셔터부의 개폐 위치가 정확히 설정되므로, 셔터부의 작동이 보다 정확히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부에는 제1,2 회피홈이 형성되므로, 롤러부와 지지부가 셔터부에 간섭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부의 작동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암부의 양측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피인쇄물의 이송이 안내되므로, 피인쇄물의 스큐 현상 및 임의 이탈이 가이드부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상기 피인쇄물의 이송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가 금융자동화기기에 구비되면, 피인쇄물의 이송시 페이지 넘김홀부에 피인쇄물이 걸리는 잼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피인쇄물의 페이지 넘김시 인쇄 장치의 작동이 보다 정확히 실시되므로, 금융자동화기기의 작동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주요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과 도 7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셔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이 차례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15과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중에서 매체 분리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는 케이싱(110), 이송 유닛(120), 프린트 유닛(130), 매수 감지 유닛(150), 및 매체 넘김 유닛(160)을 포함한다.
케이싱(110)의 전면부에는 피인쇄물(P)이 출입되는 출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피인쇄물(P)이 이송되는 이송 통로(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송 통로(114)와 출입구(112)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피인쇄물(P)은 복수매의 인쇄시트를 구비한 책 형상의 인쇄 대상물이다. 상기 인쇄시트는 종이매체, 합성수지매체, 또는 직물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피인쇄물(P)은 인쇄 장치(100)를 사용하는 산업 분야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융자동화기기 분야에서 사용되는 피인쇄물(P)로는 종이매체로 형성된 통장, 전표, 또는 영수증 등이 대표 적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피인쇄물(P)이 종이매체(M)들에 의해 책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며, 피인쇄물(P)은 펼쳐진 상태로 이송 유닛(120)에 의해 이송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 유닛(120)은 케이싱(110)의 이송 통로(114) 상에 구비되어 이송 통로(114)를 따라 피인쇄물(P)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즉, 이송 유닛(120)은, 출입구(112)로 투입된 피인쇄물(P)을 프린트 유닛(130)으로 이송할 수 있고, 프린트 유닛(130)에 의해 인쇄된 피인쇄물(P)을 출입구(112)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유닛(120)은, 프린트 유닛(130)의 인쇄시 피인쇄물(P)의 위치를 변경하여 종이매체(M)의 인쇄가 이루어지는 부위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종이매체(M)의 인쇄면에 인쇄가 완료되면 피인쇄물(P)의 페이지를 넘기는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피인쇄물(P)을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120)은, 출입구(112)와 프린트 유닛(130) 사이의 이송 통로(114) 상에 형성된 제1 이송부(122)와, 프린트 유닛(130)과 매체 넘김 유닛(160) 사이의 이송 통로(114) 상에 형성된 제2 이송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122)는, 케이싱(110)의 이송 통로(114) 상에 배치된 제1 이송 풀리(122a)들, 및 제1 이송 풀리(122a)들에 구비되어 피인쇄물(P)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1 이송 벨트(122b)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이송부(122)는 이송 통로(114)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이송부(122)가 이송 통로(114)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1 이송부(122)가 이송 통로(114)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측에 만 배치되고 다른 한 측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송부(122)가 출입구(112)와 프린트 유닛(130) 사이에서 피인쇄물(P)의 이송을 전담하는 구조이다. 즉, 제1 이송부(122)의 제1 이송 풀리(122a)의 회전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출입구(112)에서 프린트 유닛(130)으로 피인쇄물(P)을 이송하거나 또는 프린트 유닛(130)에서 출입구(112)로 피인쇄물(P)을 이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는 다르게, 출입구(112)에서 프린트 유닛(130)으로 피인쇄물(P)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프린트 유닛(130)에서 출입구(112)로 피인쇄물(P)을 이송하는 이송부가 각각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이송부(124)는, 프린트 유닛(130)의 인쇄시 피인쇄물(P)을 이송시켜 종이매체(M)의 인쇄면을 갱신함과 아울러 종이매체(M)의 인쇄 가능한 영역에 모두 인쇄되면 피인쇄물(P)을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이송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제2 이송부(124)는 제1 이송부(122)와 동일하게 이송 풀리(124a)들과 이송 벨트(122b)(124b)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 통로(114)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이송부(124)가 이송 통로(114)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2 이송부(124)가 이송 통로(114)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측에만 배치되고 다른 한 측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이송부(122)와 제2 이송부(124) 중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배치된 이송부들은, 프린트 유닛(130)과 매체 넘김 유닛(160)이 배치되는 부위에서 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는 프린트 유닛(130)과 매체 넘김 유닛(160)이 배치되므로, 제1 이송부(122)와 제2 이송부(124) 중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배치된 이송부들은 프린트 유닛(130)과 매체 넘김 유닛(160)에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반하여, 제1 이송부(122)와 제2 이송부(124) 중 이송 통로(114)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부들은, 제1 이송 벨트(122b)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단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송 통로(114)의 하부에는 제1 이송부(122) 또는 제2 이송부(124)와 간섭되는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이송부(122)와 제2 이송부(124) 중 이송 통로(114)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부들은 제1 이송 벨트(122b)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이송부의 구조가 보다 단순해질 수 있고 부품의 개수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프린트 유닛(130)은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형성된 인쇄홀부(114a)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쇄홀부(114a)에 배치된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 상면에 인쇄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유닛(130)은, 인쇄홀부(114a)의 상측에 배치되어 인쇄홀부(114a)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프린트 유닛 본체(132), 프린트 유닛 본체(132)와 케이싱(110)에 구비되어 프린트 유닛 본체(132)를 이송하는 프린트 유닛 이송기구(134), 및 프린트 유닛 본체(132)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인쇄홀부(114a)에 배치된 피인쇄물(P)의 상면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트 헤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매수 감지 유닛(150)은 매체 넘김 유 닛(160)에 구비되어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의 매수를 감지하는 기기이다. 따라서, 매수 감지 유닛(150)의 감지값에 의하여 매체 넘김 유닛(160)이 복수매의 종이매체(M)를 넘기는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수 감지 유닛(150)은,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로 초음파를 발사한 후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를 통과한 초음파의 감지값에 따라 넘겨진 종이매체(M)의 매수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152), 및 매수 감지 유닛(150)에 구비되고 초음파 센서(152)가 배치되는 센서 브래킷(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하거나 초음파를 발생시켜 피검사체의 거리나 두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즉,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가 복수매이면, 넘겨진 종이매체(M)들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고, 상기 간극은 넘겨진 종이매체(M)들을 통과하는 초음파의 파형을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초음파의 파형 변화로부터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가 단수매인지 또는 복수매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152)는, 매체 넘김 유닛(160)의 일측에 구비되어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로 초음파를 발사하는 초음파 발생부(152a), 및 매체 넘김 유닛(16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를 통과한 초음파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152a)는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의 일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감지부(152b)는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의 타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는 넘겨진 종이매체(M)를 중간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발생부(152a)가 후술하는 암부(161)의 타단부에 구비된 센서 브래킷(154)에 배치되고, 초음파 감지부(152b)가 후술하는 지지부(164)에 구비된 센서 브래킷(154)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초음파 센서(152)는, 초음파 발생부(152a) 또는 초음파 감지부(152b) 중 적어도 하나에 측면을 감싸는 관 형상으로 구비된 분산 방지부(15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 방지부(152c)는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보다 길게 형성된 관 형상의 부재이며, 초음파 발생부(152a) 또는 초음파 감지부(152b) 중 적어도 하나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분산 방지부(152c)가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에 모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초음파 발생부(152a)의 분산 방지부(152c)는, 초음파 발생부(152a)에서 발사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감지부(152b) 이외의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초음파 감지부(152b)의 분산 방지부(152c)는, 분산 방지부(152c)로 입사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감지부(152b) 이외의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산 방지부(152c)는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 사이의 초음파 전달량을 증가시켜 초음파 센서(152)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넘김 유닛(160)은,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으로 종이매체(M)를 넘기는 매체 넘김 모드 및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가 복수매이면 종이매체(M)의 넘김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들을 분리하는 매체 분리 모드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상기 매체 넘김 모드에서는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을 향해 종이매체(M)를 넘기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매체 분리 모드에서는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들에서 일부(M2)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종이매체(M2)를 피인쇄물(P)의 일측(P1)으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매체 넘김 유닛(160)은 매체 넘김 모드와 매체 분리 모드를 통하여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으로 한 장의 종이매체만 넘길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매체 넘김 모드와 매체 분리 모드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되면, 매체 넘김 모드에서 넘겨진 복수매의 종이매체(M)들을 매체 분리 모드에서 보다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매체 넘김 모드와 매체 분리 모드가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되면, 매체 넘김 모드시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으로 종이매체(M)들이 넘겨진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매체 분리 모드시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들이 분리되지 않고 피인쇄물(P)의 일측(P1)으로 한꺼번에 넘겨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매체 넘김 모드와 매체 분리 모드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되며, 그로 인하여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한 종이매체(M)들의 분리 성능을 개선시켜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매체 넘김 유닛(160)은 프린트 유닛(130)을 기준으로 출입구(112)의 반대편, 즉 케이싱(11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매 체 넘김 유닛(160)의 배치 공간을 한정하는 구획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116)는 케이싱(11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부(116)는 이송 통로(114)의 상측에 매체 넘김 유닛(160)을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넘김 유닛(160)은, 케이싱(110)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암부(161), 및 암부(16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롤러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넘김 모드에서는,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 상에 롤러부(162)를 위치시키는 제1 위치에 배치되기 위하여 암부(161)의 타단부가 피인쇄물(P)의 일측(P1)에 배치될 수 있고, 롤러부(162)는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으로 종이매체(M)를 넘기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매체 분리 모드에서는, 넘겨진 종이매체(M) 상에 롤러부(162)를 위치시키는 제2 위치에 배치되기 위하여 암부(161)의 타단부가 넘겨진 종이매체(M)에 배치될 수 있고, 롤러부(162)는 피인쇄물(P)의 일측(P1)으로 넘겨진 종이매체(M)들을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암부(161)는 사각형의 패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암부(161)는 매체 넘김 모드 또는 매체 분리 모드에서 피인쇄물(P)의 일측(P1)과 넘겨진 종이매체(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암부(161)는 피인쇄물(P)의 일측(P1)과 넘겨진 종이매체(M)를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매체 넘김 유닛(160)은, 암부(161)의 일단부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암부(16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암부 회전축(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암부(161)는 암부 회전축(170)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암부 회전축(170)의 양단부는 암부(16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구획부(116)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부 회전축(170)의 양단부는 구획부(116)의 양측면 전방부에 형성된 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암부 회전축(170)의 일단부에는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암부 회전축 기어(171)가 구비될 수 있고, 암부 회전축(170)의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제1 셔터부 기어(191)가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암부(161)의 타단부 양측면에는 피인쇄물(P)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7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암부(161)가 하측으로 회전되어 후술하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에 암부(161)의 타단부가 배치되면, 피인쇄물(P)의 이송시 암부(16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173)들의 사이로 피인쇄물(P)이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피인쇄물(P)의 이송시 암부(161)의 타단부를 벗어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피인쇄물(P)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피인쇄물(P)의 이송시 피인쇄물(P)이 임의로 회전되는 스큐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162)는 타원형의 롤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162)는 암부(161)의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피인쇄물(P)의 일측(P1) 또는 넘겨진 종이매체(M)에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롤러부(162)는 매체 넘김 모드와 매체 분리 모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롤러부(162)의 장반경 부위 중 어느 한 쪽에는,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에 밀착되는 고무 재질의 패드(18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롤러부(162)의 회전 중심에는 롤러부 회전축(180)이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 회전축(180)의 양단부는 암부(16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롤러부(162)는 암부의 타단부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롤러부(162)들은 롤러부 회전축(180)을 서로 공유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롤러부(162)들은 롤러부 회전축(180)을 각각 별도로 구비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롤러부 회전축(180)과 암부 회전축(170)에는,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롤러부 회전축(180)으로 전달하는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는 풀리와 벨트, 기어, 또는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가 복수개의 기어들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가 4개의 기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기어의 개수와 배치 구조는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즉,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는, 암부 회전축(170)에 구비된 제1 롤러부 기어(170a), 롤러부 회전축(180)에 구비된 제2 롤러부 기어(180a), 및 암부(16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 롤러부 기어(170a)의 회전력을 제2 롤러부 기어(180a)로 전달하는 두 개의 제3 롤러부 기어(161a)(161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은 제1 롤러부 기어(170a)를 통해 제3 롤러부 기어(161a)(161b)로 전달되고, 제3 롤러부 기어(161a)(161b)로 전달된 회전력은 제2 롤러부 기어(180a)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롤러부 기어(180a)의 회전력은 롤러부 회전축(180)으로 전달되어 롤러부 회전축(180)과 함께 롤러부(162)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암부 회전축(170)과 롤러부 회전축(18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넘김 유닛(160)은, 암부 회전축 기어(17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부(163), 및 후술하는 암부 기어(166)의 기어부(166d)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63)는, 구획부(116)에 배치된 제1 모터(163a), 및 제1 모터(163a)의 회전축에 구비되고 암부 회전축 기어(171)와 연결된 제1 구동 기어(163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163a)가 작동되면 제1 구동 기어(163b)가 회전되고, 제1 구동 기어(163b)에 의해 암부 회전축 기어(171)가 회전된다.
제2 구동부(167)는, 구획부(116)에 배치된 제2 모터(167a), 및 제2 모터(167a)의 회전축에 구비되고 암부 기어(166)의 기어부(166d)와 연결된 제2 구동 기어(167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터(167a)가 작동되면 제2 구동 기어(167b)가 회전되고, 제2 구동 기어(167b)에 의해 암부 기어(166)가 회전되며, 암부 기어(166)와 함께 암부(161)가 회전된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넘김 유닛(160)은, 구획부(116)의 후면에 암부(161)와 대향되도록 구비된 지지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4)는 암부(161)와 롤러부(162)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64)는 롤러부(16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롤러부(162)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64)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지지부(164)들은 단수개의 고정축(164a)에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64)들과 롤러부(162)들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64)들과 롤러부(162)들은 서로 밀착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넘김 유닛(160)은,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피인쇄물(P)의 페이지 넘김시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개폐하는 셔터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지 넘김홀부(114b)는 이송 통로(114)의 상부 중 매체 넘김 유닛(160)이 배치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를 넘기는 작동이 수행되는 위치이다.
이송 유닛(120)이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피인쇄물(P)을 이송하면, 셔터부(165)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폐쇄시켜 페이지 넘김홀부(114b)에 피인쇄물(P)이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셔터부(165)는 피인쇄물(P)의 이송시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폐쇄시켜 이송 통로(11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매체 넘김 유닛(160)에 피인쇄물(P)의 이송이 완료되면, 셔터부(165)가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개방시켜 암부(161)와 롤러부(162)가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통해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를 넘길 수 있다.
한편, 페이지 넘김홀부(114b)에 대응되는 이송 통로(114)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118)가 구비될 수 있다. 함몰부(118)는 매체 넘김 모드에서 피인쇄물(P)의 일측(P1)에 롤러부(162)의 패드(181)가 밀착될 경우, 피인쇄물(P)의 일측(P1)이 하측으로 굽혀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매체 넘김 모드시 롤러부(162)의 회전력에 의해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종이매체(M)가 더욱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셔터부(165)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폐쇄할 수 있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셔터부(165)의 후방부는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셔터부(165)는 필요에 따라 전방부 또는 측방부가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셔터부(165)의 전방 단부에는 매체 넘김 유닛(160)의 작동시 롤러부(162) 또는 지지부(164)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홈(165a)(165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셔터부(165)는 롤러부(162)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롤러부(162)와 대응하는 부위에 제1 회피홈(165a)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셔터부(165)는 지지부(164)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부(164)와 대응하는 부위에 제2 회피홈(165a)들이 형성될 수 있다. 회피홈(165a)(165b)들은 암부(161), 롤러부(162), 및 지지부(164)의 배치 위치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셔터부(165)의 후방 단부에는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셔터부 회전축(190)이 형성될 수 있다. 셔터부 회전축(190)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는 구획부(116)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셔터부 회전축(190)과 암부 회전축(170)에는,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셔터부 회전축(190)으로 전달하는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191)(192)(193)가 구비될 수 있다.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191)(192)(193)는 풀리와 벨트, 기어, 또는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191)(192)(193)가 복수개의 기어들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191)(192)(193)가 3개의 기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기어의 개수와 배치 구조는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즉,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191)(192)(193)는, 암부 회전축(170)에 구비된 제1 셔터부 기어(191), 셔터부 회전축(190)에 구비된 제2 셔터부 기어(192), 및 구획부(116)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 셔터부 기어(191)의 회전력을 제2 셔터부 기어(192)로 전달하는 제3 셔터부 기어(1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셔터부 기어(192)는 구획부(116)에 관통되게 배치된 셔터부 회전축(19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셔터부 기어(192)의 일측에는 위치설정홀(19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부(116)에는 위치설정홀(19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셔터부 광센서(194)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165)의 특정 위치가 셔터부 광센서(194)와 위치설정홀(192a)에 의해 간편하고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셔터부(165)의 특정 위치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완전히 폐쇄하거나 또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이며, 이하에서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의 폐쇄 위치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제1 셔터부 기어(191)와 암부 회전축(170)에는 회전력의 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부(17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클러치부(174)가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제1 셔터부 기어(191)로 전달하면, 제1 셔터부 기어(191)와 제3 셔터부 기어(193) 및 제2 셔터부 기어(192)를 통해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이 셔터부(165)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부(174)가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제1 셔터부 기어(191)로 전달하지 않으면, 제1 셔터부 기어(191)와 제3 셔터부 기어(193) 및 제2 셔터부 기어(192)를 통해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이 셔터부(165)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부(174)의 단속 동작은, 후술하는 암부 기어(166)의 걸림부(166e)에 의한 제3 셔터부 기어(193)의 구속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롤러부(162)는 셔터부(165)의 작동 여부와 상관없이 별개로 작동되기 때문이다. 즉, 셔터부(165)가 걸림부(166e)에 의해 구속되면, 클러치부(174)가 작동되어 암부 회전축(170)로부터 제1 셔터부 기어(191)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없으나, 롤러부(162)는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를 통해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러치부(174)는, 암부 회전축(170)의 타단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와셔(174a), 제1 와셔(174a)와의 사이에 제1 셔터부 기어(191)가 배치되도록 암부 회전축(170)의 타단부 타측에 고정된 제2 와셔(174b), 제2 와셔(174)와 제1 셔터부 기어(191) 사이에 탄성적으로 배치되고 제1 와셔(174a)와 제2 와셔(174b) 및 제1 셔터부 기어(191)를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174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74c)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와셔(174a)와 제2 와셔(174b) 및 제1 셔터부 기어(191)가 밀착된 상태이므로, 제1 와셔(174a)와 제2 와셔(174b) 및 제1 셔터부 기어(191)는 접촉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반면에, 제1 와셔(174a)와 제2 와셔(174b) 및 제1 셔터부 기어(191)의 접촉면에 발생되는 마찰력보다 큰 힘으로 셔터부(165) 또는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191)(192)(193)가 구속되면, 셔터부(165) 또는 제1 셔터부 기어(191)의 작동은 구속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암부(161)의 제2 위치시 후술하는 암부 기어(166)의 걸림부(166e)가 제3 셔터부 기어(193)에 걸림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3 셔터부 기어(193)가 걸림부(166e)에 의해 구속되면, 탄성부재(174c)에 의한 마찰력보다 제3 셔터부 기어(193)의 구속력이 크기 때문에, 제1,2 와셔(174)(175)는 암부 회전축(170)과 함께 회전되나 제1 셔터부 기어(191)는 정지된다. 제3 셔터부 기어(193)가 걸림부(166e)에 의해 구속되지 않으면, 탄성부재(174c)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제1,2 와셔(174)(175)와 제1 셔터부 기어(191)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롤러부(162)와 지지부(164)에는 셔터부(165)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돌기(183)(164b)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162)의 측면에는 제1 위치설정돌기(183)가 형성되며, 지지부(164)의 측면에는 제2 위치설정돌기(164b)가 형성된다.
제1 위치설정돌기(183)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로 피인쇄물(P)이 진입할 때 셔터부(165)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으며, 셔터부(165)가 회전될 때 셔터부(165)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165)의 폐쇄 위치가 제1 위치설정돌기(183)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위치설정돌기(183)는 롤러부(162)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설정돌기(183)는 롤러부(16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셔터부(165)의 상부에 밀착되거나 또는 셔터부(165)와 미간섭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위치설정돌기(164b)는, 셔터부(165)가 완전히 개방될 때 셔터부(165)의 상부와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165)의 개방 위치가 제2 위치설정돌기(164b)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암부(161)의 일단부에는 제2 구동부(167)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암부(161)의 위치를 설정하는 암부 기어(166)가 구비될 수 있다. 암부 기어(166)은 암부(161)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암부 회전축(170)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암부 기어(166)은 암부(161)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암부(161)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암부 기어(166)는 원 형상 또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암부 기어(166)가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암부 기어(166)의 호 부분에는 제2 구동부(167)의 구동 기어(167b)와 결합되는 기어부(166d)가 형성될 수 있다.
암부 기어(166)의 일측에는 암부(161)의 회전 각도에 따라 구획부(116)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간섭부(166c)가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166c)와 구획 부(116)의 간섭 위치는,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암부(161)의 제2 위치이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를 서로 대향시키는 제2 위치에 암부(161)를 기구적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암부 기어(166)의 타측에는 간섭부(166c)와 구획부(116)의 간섭시 제3 셔터부 기어(193)에 걸림되는 걸림부(166e)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66e)는 제3 셔터부 기어(193)의 기어들에 결합 가능한 쇄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66e)는, 암부(161)의 제2 위치시 제3 셔터부 기어(193)에 결합되고, 암부(161)의 위치가 제2 위치를 벗어나면 제3 셔터부 기어(193)와의 결합이 분리될 수 있다. 즉, 암부(161)의 회전시 암부 기어(166)의 간섭부(166c)가 구획부(116)의 전면에 걸림되면,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걸림부(166e)가 제3 셔터부 기어(193)에 결합되어 제3 셔터부 기어(193)가 구속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암부 회전축 기어(171)에는 암부(161)의 제1 위치를 설정하는 제1 위치설정홀(171a)이 형성될 수 있고, 구획부(116)에는 제1 위치설정홀(17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광센서(171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센서(171b)가 제1 위치설정홀(171a)를 감지함으로써, 암부(161)의 제1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암부(161)의 제1 위치는, 롤러부(162)가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에 접촉되도록 암부(161)의 타단부가 피인쇄물(P)의 일측(P1)으로 하향 선회된 위치이다.
또한, 암부 기어(166)에는 암부(161)의 제2 위치를 설정하는 제2 위치설정홀(166a)이 형성될 수 있고, 구획부(116)에는 제2 위치설정홀(166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광센서(166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광센서(166b)가 제2 위치설정홀(166a)를 감지함으로써, 암부(161)의 제2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암부(161)의 제2 위치는,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가 서로 대향되도록 암부(161)의 타단부가 지지부(164)의 전방으로 상향 선회된 위치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구획부(116)의 전방부에 배치된 이송 통로(114) 상에는 매체 넘김 유닛(160)에 출입되는 피인쇄물(P)을 감지하는 제1 이송 센서(168)가 배치될 수 있고, 구획부(116)의 후방부에 배치된 이송 통로(114) 상에는 매체 넘김 유닛(160)의 내부에 배치된 피인쇄물(P)을 감지하는 제2 이송 센서(169)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송 센서(168)는, 프린트 유닛(130)에서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이송되는 피인쇄물(P)을 감지할 수 있고, 매체 넘김 유닛(160)에서 프린트 유닛(130)으로 이송되는 피인쇄물(P)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이송 센서(169)는, 매체 넘김 유닛(160)의 내부로 이송되는 피인쇄물(P)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송 센서(168)와 제2 이송 센서(169)를 이용하면, 매체 넘김 유닛(160)이 작동되는 피인쇄물(P)의 적정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 장치(100)의 출입구(112)에 인쇄할 면을 펼친 상태로 피인쇄물(P)을 투입한다. 그러면, 이송 유닛(120)의 제1 이송부(122)가 피인쇄물(P)을 프린트 유닛(130)으로 이송하고, 이송 통로(114)의 인쇄홀부(114a)의 하측에 피인쇄물(P)의 인쇄할 부분을 위치시킨다.
이송 유닛(120)의 제2 이송부(124)는 프린트 유닛(130)에 의해 인쇄가 수행됨에 따라 피인쇄물(P)의 위치를 이송하여 피인쇄물(P)의 인쇄 가능한 면에 인쇄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린트 유닛(130)이 장시간 작동되면, 피인쇄물(P)의 인쇄할 수 있는 영역에 인쇄가 모두 이루어져 피인쇄물(P)에 인쇄 가능한 영역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피인쇄물(P)의 인쇄 영역이 부족하면, 제2 이송부(124)는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피인쇄물(P)을 이송시켜 피인쇄물(P)의 페이지를 넘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페이지 넘김 방법을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 장치(100)의 페이지 넘김 방법은 피인쇄물 진입 단계, 제1 위치 설정 단계, 매체 넘김 단계, 제2 위치 설정 단계, 매수 감지 단계, 및 피인쇄물 배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피인쇄물 진입 단계에서는, 제2 이송부(124)를 작동시켜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피인쇄물(P)을 진입시킬 수 있다. 이때,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진입되는 피인쇄물(P)은 이송 통로(114) 상에 배치된 제1 이송 센서(168)와 제2 이송 센서(169)에 차례로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송 센서(168)와 제2 이송 센서(169)에 피인쇄물(P)이 모두 감지된 후 제1 이송 센서(168)에 피인쇄물(P)이 미감지되면, 제2 이송부(124)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매체 넘김 유닛(16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매체 넘김 유닛(160) 내에 배치되는 피인쇄물(P)의 위치는, 제1 이송 센서(168)와 제2 이송 센서(169)에 피인쇄물(P)이 감지된 이후 제2 이송 센서(169)에만 피인쇄물(P)이 감지되는 위치이다. 따라서, 피인쇄물(P)의 일측(P1)은 이송 통로(114)의 페이지 넘김홀부(114b)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피인쇄물(P)의 이송 방향과 롤러부(162)의 장반경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암부(161)의 단부에 롤러부(162)가 배치될 수 있다. 왜냐하면, 피인쇄물(P)의 이송 방향과 롤러부(162)의 장반경이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으면,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진입되는 피인쇄물(P)이 롤러부(162)의 패드(181)와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페이지 넘김홀부(114b)는 셔터부(165)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2 이송부(124)에 의해 페이지 넘김홀부(114b)로 피인쇄물(P)이 이송되더라도 페이지 넘김홀부(114b)에 피인쇄물(P)이 걸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셔터부(165)는 롤러부(162)에 형성된 제1 위치설정돌기(183)에 의해 상부가 눌려진 상태이므로, 페이지 넘김홀부(114b)의 상측으로 셔터부(165)가 임의로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위치 설정 단계에서는, 피인쇄물(P)의 일측(P1)에 배치된 종이매체(M) 상에 롤러부(162)가 위치되는 제1 위치에 암부(161)를 배치 하기 위하여 암부(161)를 하측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즉, 제2 모터(167a)가 정방향으로 작동되면 제2 구동 기어(167b)도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구동 기어(167b)의 정방향 회전력에 의해 암부 기어(16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암부 기어(166)와 함께 암부(161)도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암부(161)은 암부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하향 선회되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와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넘김 단계에서는, 롤러부(16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으로 종이매체(M)를 넘길 수 있다. 이때, 셔터부(165)의 상부에 밀착된 제1 위치설정돌기(183)는 롤러부(162)가 회전됨에 따라 셔터부(165)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셔터부(165)는 상측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셔터부(165)는 셔터부 회전축(190)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어 페이지 넘김홀부(114b)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부(162)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피인쇄물(P)의 일측(P1)에 배치된 종이매체(M)들은 롤러부(162)의 패드(181)에 의해 롤러부(162)의 회전 방향으로 말려 올라간다. 이때, 피인쇄물(P)의 일측(P1)은 롤러부(162)의 패드(181)에 의해 함몰부(118)로 굽혀지기 때문에, 롤러부(162)의 패드(181)가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들 중 최상측의 종이매체(M)를 더욱 쉽게 말려 올릴 수 있다.
매체 넘김 단계에서 동력 전달 경로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1 모터(163a)가 정방향으로 작동되어 제1 구동 기어(163b)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구동 기어(163b)의 정방향 회전력에 의해 암부 회전축 기어(17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암부 회전축 기어(171)의 역방향 회전력은 암부 회전축(170)에 전달된다.
롤러부(162)가 피인쇄물(P)에 밀착된 상태에서 암부(161)의 회전이 정지되고 암부 회전축(170)만 회전되면, 제1 롤러부 기어(170a)는 암부 회전축(170)과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3 롤러부 기어(161a)(161b)는 제1 롤러부 기어(170a)에 의해 회전되며, 제2 롤러부 기어(180a)는 제3 롤러부 기어(161a)(161b)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롤러부 회전축(180)는 제2 롤러부 기어(180a)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롤러부(162)는 롤러부 회전축(180)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는 롤러부(162)의 정방향 회전력에 의해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을 향해 넘겨진다.
뿐만 아니라, 암부 회전축(170)의 역방향 회전력은 제1 셔터부 기어(191)에 전달되고, 제1 셔터부 기어(191)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3 셔터부 기어(193)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제3 셔터부 기어(193)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 셔터부 기어(192)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 셔터부 기어(19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셔터부 회전축(190)도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셔터부 회전축(190)과 함께 셔터부(165)가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되어 페이지 넘김홀부(114b)가 개방된다. 셔터부(165)의 회전은 지지부(164)의 제2 위치설정돌기(164b)에 걸려 셔터부(165)의 회전 동작이 제한될 때까지 계속된다.
한편, 롤러부(162)에 의해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가 넘겨지면, 제2 모터(167a)에 의해 제2 구동 기어(167b)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구동 기어(167b)의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암부 기어(16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암부 기 어(166)와 함께 암부(161)도 암부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정방향 회전된다. 따라서, 암부(161)는 상측으로 선회되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향해 회전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위치 설정 단계에서는, 암부(161)의 초음파 발생부(152a)와 지지부(164)의 초음파 감지부(152b)가 서로 대향되는 제2 위치에 암부(16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는 구획부(116)의 전면에 암부 기어(166)의 간섭부(166c)가 간섭되는 위치이므로, 암부(161)의 제2 위치가 암부 기어(166)에 의해 기구적으로 간편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암부(161)가 제2 위치에 배치되면, 복수개의 롤러부(162)와 지지부(164)는 서로 엇갈리게 오버랩되어 롤러부(162)와 지지부(164) 사이에 종이매체(M)가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설정 단계에서 동력 전달 경로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2 모터(167a)에 의해 제2 구동 기어(167b)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구동 기어(167b)의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암부 기어(166)가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암부 기어(166)와 함께 암부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암부(16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암부(161)은 제2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상측으로 선회된다.
상기와 같이 암부(161)와 암부 기어(16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암부(161)이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암부 기어(166)의 간섭부(166c)가 구획부(116)의 전면에 간섭되어 암부(161)의 제2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암부 기어(166)의 제2 위치설정홀(166a)이 제2 광센서(166b)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암부(161)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암부 기어(16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암부 기어(166)의 걸림부(166e)가 제3 셔터부 기어(193)에 결합되어 제3 셔터부 기어(193)의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제3 셔터부 기어(193)가 걸림부(166e)에 의해 회전되지 않으므로, 제3 셔터부 기어(193)와 함께 제1 셔터부 기어(191)도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제3 셔터부 기어(193)의 작동이 걸림부(166e)에 의해 구속되면, 제1 셔터부 기어(191)와 암부 회전축(170)에 배치된 클러치부(174)가 작동되어 제1 셔터부 기어(191)와 암부 회전축(170)의 동력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매수 감지 단계에서는,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를 이용하여 넘겨진 종이매체(M)의 매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암부(161)가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도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부(164)와 롤러부(162) 사이에 넘겨진 종이매체(M)가 위치되면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 사이에도 종이매체(M)가 배치된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부(152a)가 초음파를 넘겨진 종이매체(M)로 발사하면, 초음파 감지부(152b)는 넘겨진 종이매체(M)를 통과한 초음파를 전달받아 넘겨진 종이매체(M)의 매수를 감지한다. 특히, 넘겨진 종이매체(M)의 매수 감지에 초음파를 적용하여 종이매체(M)의 매수 감지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피인쇄물 배출 단계에서는, 매수 감지 단계에서 넘겨진 종이매체(M)가 단수매로 감지되면 암부(16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이송 유닛(120)의 제2 이송부(124)가 피인쇄물(P)을 암부(161)로부터 배출시켜 넘겨 진 종이매체(M)를 피인쇄물(P)의 타측(P2)으로 넘길 수 있다. 즉, 암부(16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롤러부(162)와 지지부(164) 사이에 배치된 넘겨진 종이매체(M)는 암부(161)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2 이송부(124)에 의해 프린트 유닛(130)으로 피인쇄물(P)이 이송되면 넘겨진 종이매체(M)는 암부(161)에 걸려 피인쇄물(P)의 타측(P2)으로 완전히 넘겨진다.
피인쇄물 배출 단계에서 동력 전달 경로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2 모터(167a)에 의해 제2 구동 기어(167b)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구동 기어(167b)의 정방향 회전력에 의해 암부 기어(166)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암부 기어(166)과 함께 암부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암부(161)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암부(161)는 제1 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하측으로 선회된다. 이때, 제1 모터(163a)의 작동에 의해 롤러부(162)가 회전되어 롤러부(162)의 단반경 부위가 피인쇄물(P)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암부(161)가 제1 위치로 복귀되고 롤러부(162)의 위치가 설정되면, 제2 이송부(124)가 피인쇄물(P)을 프린트 유닛(130)의 방향, 즉 전방으로 이송한다. 이때, 제1 이송 센서(168)와 제2 이송 센서(169)에 의해 피인쇄물(P)이 매체 넘김 유닛(160)에서 완전히 배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페이지 넘김 방법은 매체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분리 단계에서는, 매수 감지 단계에서 넘겨진 종이매체(M)가 복수매로 감지되면 롤러부(16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넘겨진 종이매체(M)들에서 일부의 종이매체(M2)를 분리할 수 있고, 분리 된 종이매체(M2)를 피인쇄물(P)의 일측(P1)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매체 넘김 단계에서 동력 전달 경로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1 모터(163a)에 의해 제1 구동 기어(163b)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구동 기어(163b)의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암부 회전축 기어(17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암부 회전축 기어(171)의 정방향 회전력은 암부 회전축(170)에 전달된다.
이때, 암부 기어(166)의 걸림부(166e)에 의해 제3 셔터부 기어(193)가 구속된 상태이므로, 클러치부(174)에 의해 제1 셔터부 기어(191)와 암부 회전축(170)의 동력 전달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반면에, 암부 회전축(170)과 함께 제1 롤러부 기어(170a)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제3 롤러부 기어(161a)(161b)는 제1 롤러부 기어(170a)의 회전력을 제2 롤러부 기어(180a)에 전달하며, 제2 롤러부 기어(180a)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제2 롤러부 기어(180a)에 의해 롤러부(16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지지부(164)와 롤러부(162)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M)들 중 일부(M2)가 롤러부(162)의 패드(181)에 의해 롤러부(162)의 회전 방향으로 말려 내려가면서 분리된다. 이러한 매체 분리 방식은 매체 넘김 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롤러부(162)에 의한 종이매체(M)들의 분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페이지 넘김 방법은, 매체 분리 단계가 완료되면 매수 감지 단계를 재실시하여 지지부(164)와 롤러부(162)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M1)의 매수를 다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매수 감지 단계에서 넘겨진 종이매체(M1)가 단수매로 감지되면, 피인쇄물 배출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매수 감지 단계에서 넘겨진 종이매체(M1)가 복수매로 감지되면, 매체 분리 단계를 재실시할 수 있다.
즉, 롤러부(162)와 지지부(164)의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M1)의 매수가 단수매로 감지될 때까지, 매체 분리 단계와 매체 감지 단계가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 넘김 유닛(160)이 복수매의 종이매체(M)들을 넘기는 오류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매체 분리 단계 이후의 매체 감지 단계에서 종이매체(M1)가 복수매로 감지되면, 롤러부(162)와 지지부(164)의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M1)를 피인쇄물(P)의 일측으로 모두 복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 위치 설정 단계, 매체 넘김 단계, 제2 위치 설정 단계, 매수 감지 단계, 매수 분리 단계, 및 피인쇄물 배출 단계를 다시 실시할 수 있다. 왜냐하면, 매수 감지 단계에서 단수매가 감지될 때까지 매수 분리 단계를 반복할 경우, 피인쇄물(P)의 일측으로 복귀되는 종이매체(M2)의 매수가 너무 많아져 피인쇄물(P)의 이송시 잼을 유발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7에 도시된 인쇄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인쇄 장치(100)와 동일 유사한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200)는, 종이매 체가 입출금되는 입출금부(210), 종이매체의 거래 내역 및 각종 정보를 실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220), 각종 금융 거래를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조작부(230), 및 통장의 각종 정보를 인식함과 아울러 통장에 거래 내역을 인쇄하는 통장처리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통장처리부(240)는 통장에 각종 거래 내역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100)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인쇄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장의 페이지를 한 장씩 정확히 넘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장의 이송시 통장의 잼 발생 및 스큐 현상 등이 방지되고 인쇄 장치(100)도 매우 정확히 작동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불필요한 유지 보수 시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잦은 유지 보수로 인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 시간 감소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주요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셔터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이 차례로 도시된 도면,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중에서 매체 분리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인쇄 장치 110: 케이싱
120: 이송 유닛 130: 프린트 유닛
150: 매수 감지 유닛 160: 매체 넘김 유닛
200: 금융자동화기기

Claims (10)

  1. 책 형상의 피인쇄물이 이송되는 이송 통로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이송 통로에 형성된 페이지 넘김홀부로 상기 피인쇄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
    상기 이송 통로 상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에 배치된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 일면과 접촉되는 제1위치 및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가 넘김된 상태에서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 타면과 접촉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는 암부;
    상기 암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넘기는 롤러부; 및
    상기 이송 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를 폐쇄하고, 상기 롤러부의 페이지 넘김시에는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를 개방하는 셔터부;
    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암부의 일단부를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암부 회전축;
    상기 암부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암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
    상기 암부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롤러부로 전달하는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암부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셔터부로 전달하는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용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암부 회전축에 구비된 제1 롤러부 기어;
    상기 롤러부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2 롤러부 기어; 및
    상기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롤러부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롤러부 기어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롤러부 기어;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용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암부 회전축에 구비된 제1 셔터부 기어;
    상기 셔터부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2 셔터부 기어; 및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셔터부 기어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셔터부 기어;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부 기어와 상기 암부 회전축 사이에는, 상기 암부 회전축에서 상기 제1 셔터부 기어부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셔터부의 구속 여부에 따라 단속하는 클러치부가 구비된 인쇄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구동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암부는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되는 암부 기어를 구비한 인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 기어의 일측에는 상기 암부의 제2 위치시 상기 케이싱에 간섭되어 상기 제2 위치를 기구적으로 설정하는 간섭부가 형성된 인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 기어의 타측에는 상기 암부의 제2 위치시 상기 셔터부 또는 상기 셔터부 동력전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림되어 상기 셔터부를 개방 상태로 구속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인쇄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암부의 제2위치시 상기 롤러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넘김된 인쇄시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에는 제1 회피홈과 제2 회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피홈은 상기 롤러부와 상기 셔터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롤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회피홈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셔터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인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에는 상기 셔터부의 폐쇄 위치를 설정하는 제1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1 위치설정돌기는 상기 암부의 제1 위치시 상기 셔터부와 간섭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셔터부의 개방 위치를 설정하는 제2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설정돌기는 상기 암부의 제2 위치시 상기 셔터부와 간섭되는 인쇄 장치.
KR1020090025987A 2009-03-20 2009-03-26 인쇄 장치 KR10101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87A KR101016487B1 (ko) 2009-03-26 2009-03-26 인쇄 장치
PCT/KR2010/001697 WO2010107268A2 (ko) 2009-03-20 2010-03-18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CN201080012953.XA CN102362298B (zh) 2009-03-20 2010-03-18 印刷装置和印刷装置的翻页方法
CL2011002295A CL2011002295A1 (es) 2009-03-20 2011-09-15 Aparato impresor que comprende un gabinete con un conducto de transferencia, un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un dispositivo para girar los medios a imprimir y un dispositivo de deteccion de cantidad de paginas de los medios, donde el dispositivo para girar medios gira la pagina impresa desde un lado al otro lad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87A KR101016487B1 (ko) 2009-03-26 2009-03-26 인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730A KR20100107730A (ko) 2010-10-06
KR101016487B1 true KR101016487B1 (ko) 2011-02-24

Family

ID=4312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987A KR101016487B1 (ko) 2009-03-20 2009-03-26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4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572B1 (ko) 2005-05-30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인쇄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KR100737937B1 (ko) 2003-09-29 2007-07-13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용지 이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조립 방법
KR20070103716A (ko) * 2006-04-19 2007-10-24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용지 이송 장치, 화상 스캔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8209536A (ja) 2007-02-26 2008-09-1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37B1 (ko) 2003-09-29 2007-07-13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용지 이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조립 방법
KR100692572B1 (ko) 2005-05-30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인쇄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KR20070103716A (ko) * 2006-04-19 2007-10-24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용지 이송 장치, 화상 스캔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8209536A (ja) 2007-02-26 2008-09-1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730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123B1 (ko) 매체 송출 장치, 매체 처리 장치 및 수표 송출 장치
JP2016003095A (ja) 紙葉類収納繰出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CN109416859B (zh) 接触式推送器/进给轮实现方式
EP0260015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CN109416855B (zh) 用于使文件居中对准的对中去偏斜子组件
JP5932447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258809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JP2009018876A (ja) 媒体分離送り出し機構および媒体処理装置
KR20130015111A (ko) 매체 정렬 장치
KR101016487B1 (ko) 인쇄 장치
EP3455833B1 (en) Single continuous belt in an escrow subassembly
KR101035193B1 (ko)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KR101093832B1 (ko) 인쇄 장치
US9617099B2 (en) Paper medium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said paper medium
KR20060078539A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779034B1 (ko) 자동 복구 기능을 구비한 지폐 출금기
JP5608814B2 (ja) 紙葉類識別装置
JP2013119470A (ja) 冊子状媒体処理装置
KR101399097B1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인식 방법
JP2013023308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扱装置
JP4472973B2 (ja) ロール紙充填装置
JPH02225256A (ja) 紙葉類表裏反転装置
KR20140037415A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JPS6216941A (ja) 給紙装置
KR20160083506A (ko) 지폐 집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