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832B1 -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832B1
KR101093832B1 KR1020090024001A KR20090024001A KR101093832B1 KR 101093832 B1 KR101093832 B1 KR 101093832B1 KR 1020090024001 A KR1020090024001 A KR 1020090024001A KR 20090024001 A KR20090024001 A KR 20090024001A KR 101093832 B1 KR101093832 B1 KR 10109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er
arm
printed objec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135A (ko
Inventor
이희창
곽재훈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832B1/ko
Priority to CN201080012953.XA priority patent/CN102362298B/zh
Priority to PCT/KR2010/001697 priority patent/WO2010107268A2/ko
Publication of KR2010010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135A/ko
Priority to CL2011002295A priority patent/CL2011002295A1/es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4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concerning sheet refeed sections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e.g. intermediate stac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41J11/44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by devices, e.g. programme tape or contact wheel, moved in correspondence with movement of paper-feeding devices, e.g. platen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26Regis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22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ligning characters for i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0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special character, e.g. for Chinese characters or bar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41J3/28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on bank books or the like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넘기는 경우, 롤러부의 오버랩 구조와 마찰을 통하여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픽업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24001
인쇄 장치, 금융자동화기기, 케이싱, 암부, 롤러부, 지지부

Description

인쇄 장치{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인쇄물의 인쇄시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한 장씩 정확히 넘길 수 있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 장치는 피인쇄물의 표면에 문자 또는 도형을 인쇄하는 출력 장치의 하나이다. 상기 피인쇄물은 종이, 합성 수지, 또는 직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쇄 장치가 사용되는 산업분야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융자동화기기 분야에서 이용되는 피인쇄물로는 종이매체로 형성된 통장과 영수증 및 각종 전표가 있다.
특히, 상기 통장과 같이 책 형상의 피인쇄물에 인쇄가 실시될 경우, 상기 인쇄 장치의 인쇄 중간에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겨주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과거에는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길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인쇄 장치의 외부로 상기 피인쇄물을 배출하고,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사람이 직접 넘긴 후 상 기 인쇄 장치에 상기 피인쇄물을 다시 투입하였다.
최근에는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겨주는 인쇄 장치가 출시되는 추세이다. 즉, 최근의 인쇄 장치는 사람의 도움없이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긴 후 상기 피인쇄물의 새로운 페이지에 인쇄를 계속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기는 경우,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한 장씩 넘겨지지 못하고 복수의 페이지들이 비정상적으로 동시에 넘겨지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페이지들이 함께 넘겨지면,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들에 인쇄가 순서대로 진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들 중간에 인쇄가 이루어지지 못한 빈 페이지가 다수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 장치의 제품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피인쇄물의 낭비가 심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넘기는 과정에서 페이지의 넘김 동작이 실패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피인쇄물의 페이지를 픽업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방식의 페이지 넘김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은 복수의 페이지들이 비정상적으로 넘겨지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인쇄물의 인쇄시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한 장씩 정확히 넘길 수 있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인쇄물의 페이지 넘김시 인쇄시트를 정확히 픽업할 수 있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책 형상의 피인쇄물이 이송되는 이송 통로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이송 통로 상에 구비되고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 일면과 접촉되는 제1위치 및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가 넘김된 상태에서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 타면과 접촉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는 암부, 상기 암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넘기는 롤러부, 및 상기 암부의 제2위치에서 상기 롤러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넘김된 인쇄시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암부의 제1위치시 상기 이송 통로의 이송면과 오버랩되고, 상기 암부의 제2위치시 상기 지지부와 오버랩된다. 따라서,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 또는 상기 롤러부에 의해 넘겨진 인쇄시트에 상기 롤러부의 일부분이 밀착되므로, 상기 롤러부가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픽업하는 성능을 향 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암부의 제1위치에서는 상기 롤러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넘기는 넘김 모드가 실시될 수 있고, 상기 암부의 제2위치에서는 상기 롤러가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넘겨진 복수의 인쇄시트를 분리하는 분리 모드가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통로의 상부에는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가 넘겨질 수 있도록 페이지 넘김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암부와 상기 롤러부는 상기 이송 통로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인쇄물의 종이매체를 넘기는 동작은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통로의 하부에는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와 대향되는 부위에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암부의 단부가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에 위치된 후 상기 롤러부가 회전되면, 상기 롤러부의 일부분은 상기 피인쇄물의 일측에 간섭될 수 있으며, 상기 피인쇄물의 일측은 상기 함몰부의 내부로 굴곡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롤러부는 상기 이송 통로의 이송면과 오버랩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피인쇄물은 상기 이송 통로의 이송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피인쇄물의 일측이 굴곡되면, 상기 롤러부의 회전시 상기 롤러부가 상기 피인쇄물의 일측으로부터 인쇄시트를 더욱 원활하게 픽업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이송 통로의 이송면과 상기 롤러부의 일측이 오버랩되는 길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인쇄물의 일측은 상기 롤러부와 상기 피인쇄물의 간섭량에 따라 상기 함몰부의 내부로 충분히 깊게 굴곡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암부의 타단부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싱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들과 상기 롤러부들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들과 상기 롤러부들은 서로 오버랩됨과 아울러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므로, 상기 지지부들과 상기 롤러부들 사이에 인쇄시트가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암부가 상기 넘겨진 인쇄시트에 배치되면, 상기 롤러부들과 상기 지지부들 사이에 상기 넘겨진 인쇄시트가 배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롤러부들과 상기 지지부들의 엇갈리게 배치된 방향을 따라 상기 넘겨진 인쇄시트는 복수 횟수로 굴곡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넘겨진 인쇄시트는 굴곡되지 않은 방향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롤러부의 일측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된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의 패드는 상기 피인쇄물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인쇄시트를 넘기거나 또는 상기 넘겨진 인쇄시트들을 상기 피인쇄물의 일측으로 분리하는 픽업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패드의 접촉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홈들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가 고무 소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패드의 접촉면에 미끄럼 방지홈들이 형성되면, 상기 패드와 상기 인쇄시트의 마찰계수가 증가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상기 롤러부의 픽업 성능도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롤러부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는 상기 롤러부의 장반경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부의 회전시 상기 롤러부의 패드가 형성된 부위와 상기 패드가 미형성된 부위가 상기 인쇄시트의 표면에 부드럽게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의 장반경은, 상기 인쇄시트의 넘김시 상기 이송 통로의 이송면과 상기 패드가 오버랩됨과 동시에 상기 넘겨진 인쇄시트의 분리시 상기 지지부와 상기 패드가 오버랩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의 단반경은, 상기 인쇄시트의 넘김시 상기 이송 통로의 이송면보다 상기 롤러부의 패드 미형성 부위가 상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넘겨진 인쇄시트의 분리시 상기 롤러부의 패드 미형성 부위가 상기 지지부와 오버랩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이송 통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피인쇄물을 이송하는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닛의 작동되면, 상기 롤러부의 단반경 부위는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유닛의 작동시 상기 롤러부와 상기 피인쇄물이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피인쇄물은 상기 이송 통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즉,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피인쇄물, 예를 들면 통장, 전표, 또는 영수증 등에 각종 거래내역과 금융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가 금융자동화기기에 채용되면, 통장의 인쇄시 통장의 인쇄시트를 정확하고 확실하게 픽업하여 한 장씩 자동으로 넘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장의 인쇄시트의 픽업 불량으로 인한 시간 지연 및 인쇄 불량도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인쇄 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지 아 니하고 인쇄시트들에 의해 책 형상으로 형성된 피인쇄물이 사용되는 다른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이송 통로의 이송면 또는 지지부에 롤러부의 일측이 오버랩되는 구조이므로, 롤러부의 일측이 이송 통로 또는 지지부에 배치된 인쇄시트를 더욱 확실하고 정확하게 픽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매체의 픽업 성능이 향상되면, 인쇄시트의 픽업 불량으로 인한 인쇄 장치의 작동 오류를 줄일 수 있고,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들을 한 장씩 정확하게 넘길 수 있어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인쇄시트의 넘김시 롤러부와 피인쇄물의 간섭으로 인하여 피인쇄물의 일측이 함몰부의 내부로 굴곡되므로, 롤러부가 피인쇄물의 일측에 배치된 인쇄시트들을 더욱 원활하게 픽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롤러부들과 지지부들이 서로 오버랩됨과 아울러 서로 엇갈리는 구조로 배치되므로, 피인쇄물의 일측에서 넘겨진 인쇄시트들의 분리시 롤러부들과 지지부들이 인쇄시트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롤러부들과 지지부들이 인쇄시트들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는 미끄럼 방지홈들이 형성된 고무 소재의 패드가 구비되므로, 롤러부의 일측과 인쇄시트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크게 증대시켜 인쇄시트의 픽업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피인쇄물의 페이지 넘김시 피인쇄물의 인쇄시트가 한 장씩 정확히 픽업되므로, 금융자동화기기에 적용시 금융자동회기기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통장 정리시 픽업 불량으로 인한 고객의 불만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주요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롤러부와 지지부 사이에 종이매체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뿐만 아니라,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이 차례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과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중에서 매체 분리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는 케이싱(110), 이송 유닛(120), 프린트 유닛(130), 매수 감지 유닛(150), 및 매체 넘김 유닛(160)을 포함한다.
케이싱(110)의 전면부에는 피인쇄물(P)이 출입되는 출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피인쇄물(P)이 이송되는 이송 통로(11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110)의 일부분은 이송 통로(114)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고, 케이싱(110)의 다른 부분은 이송 통로(114)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송 통로(114)와 출입구(112)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피인쇄물(P)은 복수매의 인쇄시트를 구비한 책 형상의 인쇄 대상물이다. 상기 인쇄시트는 종이매체, 합성수지매체, 또는 직물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피인쇄물(P)은 인쇄 장치(100)를 사용하는 산업 분야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융자동화기기 분야에서 사용되는 피인쇄물(P)로는 종이매체로 형성된 통장, 전표, 또는 영수증 등이 대표적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피인쇄물(P)이 종이매체(M)들에 의해 책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며, 피인쇄물(P)은 펼쳐진 상태로 이송 유닛(120)에 의해 이송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 유닛(120)은 케이싱(110)의 이송 통로(114) 상에 구비되어 이송 통로(114)를 따라 피인쇄물(P)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즉, 이송 유닛(120)은, 출입구(112)로 투입된 피인쇄물(P)을 프린트 유닛(130)으로 이송할 수 있고, 프린트 유닛(130)에 의해 인쇄된 피인쇄물(P)을 출입구(112)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유닛(120)은, 프린트 유닛(130)의 인쇄시 피인쇄물(P)의 위치를 변경하여 종이매체(M)의 인쇄가 이루어지는 부위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종이매체(M)의 인쇄면에 인쇄가 완료되면 피인쇄물(P)의 페이지를 넘기는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피인쇄물(P)을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120)은, 출입구(112)와 프린트 유닛(130) 사이의 이송 통로(114) 상에 형성된 제1 이송부(122)와, 프린트 유닛(130)과 매체 넘김 유닛(160) 사이의 이송 통로(114) 상에 형성된 제2 이송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122)는, 케이싱(110)의 이송 통로(114) 상에 배치된 제1 이송 풀리(122a)들, 및 제1 이송 풀리(122a)들에 구비되어 피인쇄물(P)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1 이송 벨트(122b)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이송부(122)는 이송 통로(114)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이송부(122)가 이송 통로(114)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1 이송부(122)가 이송 통로(114)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측에만 배치되고 다른 한 측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송부(122)가 출입구(112)와 프린트 유닛(130) 사이에서 피인쇄물(P)의 이송을 전담하는 구조이다. 즉, 제1 이송부(122)의 제1 이송 풀리(122a)의 회전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출입구(112)에서 프린트 유닛(130)으로 피인쇄물(P)을 이송하거나 또는 프린트 유닛(130)에서 출입구(112)로 피인쇄물(P)을 이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는 다르게, 출입구(112)에서 프린트 유닛(130)으로 피인쇄물(P)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프린트 유닛(130)에서 출입구(112)로 피인쇄물(P)을 이송하는 이송부가 각각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이송부(124)는, 프린트 유닛(130)의 인쇄시 피인쇄물(P)을 이송시켜 종이매체(M)의 인쇄면을 갱신함과 아울러 종이매체(M)의 인쇄 가능한 영역에 모두 인쇄되면 피인쇄물(P)을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이송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제2 이송부(124)는 제1 이송부(122)와 동일하게 이송 풀리(124a)들과 이송 벨트(122b)(124b)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 통로(114)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이송부(124)가 이송 통로(114)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2 이송부(124)가 이송 통로(114)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측에만 배치되고 다른 한 측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이송부(122)와 제2 이송부(124) 중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배치된 이송부들은, 프린트 유닛(130)과 매체 넘김 유닛(160)이 배치되는 부위에서 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는 프린트 유닛(130)과 매체 넘김 유닛(160)이 배치되므로, 제1 이송부(122)와 제2 이송부(124) 중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배치된 이송부들은 프린트 유닛(130)과 매체 넘김 유닛(160)에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반하여, 제1 이송부(122)와 제2 이송부(124) 중 이송 통로(114)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부들은, 제1 이송 벨트(122b)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단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송 통로(114)의 하부에는 제1 이송부(122) 또는 제2 이송부(124)와 간섭되는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이송부(122)와 제2 이송부(124) 중 이송 통로(114)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부들은 제1 이송 벨트(122b)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이송부의 구조가 보다 단순해질 수 있고 부품의 개수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프린트 유닛(130)은 이송 통로(114)의 상 부에 형성된 인쇄홀부(114a)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쇄홀부(114a)에 배치된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 상면에 인쇄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유닛(130)은, 인쇄홀부(114a)의 상측에 배치되어 인쇄홀부(114a)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프린트 유닛 본체(132), 프린트 유닛 본체(132)와 케이싱(110)에 구비되어 프린트 유닛 본체(132)를 이송하는 프린트 유닛 이송기구(134), 및 프린트 유닛 본체(132)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인쇄홀부(114a)에 배치된 피인쇄물(P)의 상면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트 헤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매수 감지 유닛(150)은 매체 넘김 유닛(160)에 구비되어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의 매수를 감지하는 기기이다. 따라서, 매수 감지 유닛(150)의 감지값에 의하여 매체 넘김 유닛(160)이 복수매의 종이매체(M)를 넘기는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수 감지 유닛(150)은, 매수 감지 유닛(15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로 초음파를 발사한 후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를 통과한 초음파의 감지값에 따라 넘겨진 종이매체(M)의 매수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152), 및 매수 감지 유닛(150)에 구비되고 초음파 센서(152)가 배치되는 센서 브래킷(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하거나 초음파를 발생시켜 피검사체의 거리나 두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즉,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가 복수매이면, 넘겨진 종이매체(M)들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 고, 상기 간극은 넘겨진 종이매체(M)들을 통과하는 초음파의 파형을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초음파의 파형 변화로부터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가 단수매인지 또는 복수매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152)는, 매체 넘김 유닛(160)의 일측에 구비되어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로 초음파를 발사하는 초음파 발생부(152a), 및 매체 넘김 유닛(16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를 통과한 초음파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152a)는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의 일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감지부(152b)는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의 타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는 넘겨진 종이매체(M)를 중간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발생부(152a)가 후술하는 암부(161)의 타단부에 구비된 센서 브래킷(154)에 배치되고, 초음파 감지부(152b)가 후술하는 지지부(164)에 구비된 센서 브래킷(154)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초음파 센서(152)는, 초음파 발생부(152a) 또는 초음파 감지부(152b) 중 적어도 하나에 측면을 감싸는 관 형상으로 구비된 분산 방지부(15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 방지부(152c)는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보다 길게 형성된 관 형상의 부재이며, 초음파 발생부(152a) 또는 초음파 감지부(152b) 중 적어도 하나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분산 방지부(152c)가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에 모두 구비 된 것으로 설명한다.
초음파 발생부(152a)의 분산 방지부(152c)는, 초음파 발생부(152a)에서 발사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감지부(152b) 이외의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초음파 감지부(152b)의 분산 방지부(152c)는, 분산 방지부(152c)로 입사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감지부(152b) 이외의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산 방지부(152c)는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 사이의 초음파 전달량을 증가시켜 초음파 센서(152)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넘김 유닛(160)은,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으로 종이매체(M)를 넘기는 매체 넘김 모드 및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가 복수매이면 종이매체(M)의 넘김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들을 분리하는 매체 분리 모드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상기 매체 넘김 모드에서는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을 향해 종이매체(M)를 넘기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매체 분리 모드에서는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들에서 일부(M2)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종이매체(M2)를 피인쇄물(P)의 일측(P1)으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매체 넘김 유닛(160)은 매체 넘김 모드와 매체 분리 모드를 통하여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으로 한 장의 종이매체만 넘길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매체 넘김 모드와 매체 분리 모드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되면, 매체 넘김 모드에서 넘겨진 복수매의 종이매체(M)들을 매체 분리 모드에서 보다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매체 넘김 모드와 매체 분리 모드 가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되면, 매체 넘김 모드시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으로 종이매체(M)들이 넘겨진 것과 동일한 과정으로, 매체 분리 모드시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들이 분리되지 않고 피인쇄물(P)의 일측(P1)으로 한꺼번에 넘겨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매체 넘김 모드와 매체 분리 모드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되며, 그로 인하여 매체 넘김 유닛(160)에 의한 종이매체(M)들의 분리 성능을 개선시켜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매체 넘김 유닛(160)은 프린트 유닛(130)을 기준으로 출입구(112)의 반대편, 즉 케이싱(11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매체 넘김 유닛(160)의 배치 공간을 한정하는 구획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116)는 케이싱(11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부(116)는 이송 통로(114)의 상측에 매체 넘김 유닛(160)을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넘김 유닛(160)은, 케이싱(110)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암부(161), 및 암부(16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롤러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넘김 모드에서는,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 상에 롤러부(162)를 위치시키는 제1 위치에 배치되기 위하여 암부(161)의 타단부가 피인쇄물(P)의 일측(P1)에 배치될 수 있고, 롤러부(162)는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으로 종이매체(M)를 넘기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매체 분리 모드에서는, 넘겨진 종이매체(M) 상에 롤러부(162)를 위치시키는 제2 위치에 배치되기 위하여 암부(161)의 타단부가 넘겨진 종이매체(M)에 배치될 수 있고, 롤러부(162)는 피인쇄물(P)의 일측(P1)으로 넘겨진 종이매체(M)들을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암부(161)는 사각형의 패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암부(161)는 매체 넘김 모드 또는 매체 분리 모드에서 피인쇄물(P)의 일측(P1)과 넘겨진 종이매체(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암부(161)는 피인쇄물(P)의 일측(P1)과 넘겨진 종이매체(M)를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암부(161)의 일단부에는 암부(16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암부 회전축(170)이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암부 회전축(170)의 양단부는 암부(161)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획부(116)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부 회전축(170)의 양단부는 구획부(116)의 양측면 전방부에 형성된 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암부 회전축(170)의 일단부에는 암부 회전축(170)과 롤러부(162)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암부 기어(171)가 구비될 수 있고, 암부 회전축(170)의 타단부에는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셔터부(165)로 전달하는 제2 암부 기어(172)가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암부(161)의 타단부 양측면에는 피인쇄물(P)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7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73)는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진입하는 피인쇄물(P)이 암부(161)의 좌우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암부(161)의 타단부 양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162)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이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162)의 일측은 매체 넘김 모드에서 이송 통로(114)의 이송면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롤러부(162)의 일측은 매체 분리 모드에서 후술하는 지지부(164)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롤러부(162)의 일측은, 피인쇄물(P)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종이매체(M)를 넘김과 아울러 상기 넘겨진 종이매체(M)들을 분리하는 종이매체(M)의 픽업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부(162)가 타원형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롤러부(162)의 장반경은, 매체 넘김 모드시 이송 통로(114)의 이송면과 장반경 부위가 오버랩됨과 동시에 매체 분리 모드시 후술하는 지지부(164)와 장반경 부위가 오버랩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부(162)의 단반경은, 매체 넘김 모드시 이송 통로(114)의 이송면보다 단반경 부위가 상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매체 분리 모드시 후술하는 지지부(164)와 단반경 부위가 오버랩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인쇄물(P)이 이송 통로(114)를 따라 이송되면, 롤러부(162)과 피인쇄물(P)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부(162)의 단반경 부위가 페이지 넘김홀부(114b)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롤러부(162)는 타원형 구조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롤러부(162)는 일측에 돌기가 형성된 원형 구조로 형성되거나, 캠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부(162)의 장반경 부위 중 어느 한 쪽에는,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에 밀착되는 고무 소재의 패드(181)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162)는 매체 넘김 모드와 매체 분리 모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패 드(181)는 롤러부(162)의 회전 각도에 따라 피인쇄물(P)의 일측(P1) 또는 넘겨진 종이매체(M)에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암부(161)의 제1 위치에서는 패드(181)가 피인쇄물(P)의 일측(P1)에 밀착될 수 있고, 암부(161)의 제2 위치에서는 패드(181)가 넘겨진 종이매체(M)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181)의 접촉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홈(181a)들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드(181)가 고무 소재로 형성됨과 아울러 패드(181)의 접촉면에 미끄럼 방지홈(181a)들이 형성되면, 패드(181)와 종이매체(M)의 마찰계수가 증가되어 롤러부(162)의 픽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롤러부(162)의 회전 중심에는 롤러부 회전축(180)이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 회전축(180)의 양단부는 암부(16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롤러부(162)는 암부의 타단부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롤러부(162)들은 롤러부 회전축(180)을 서로 공유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롤러부(162)들은 롤러부 회전축(180)을 각각 별도로 구비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제2 암부 기어(172)는 셔터부(165)의 셔터부 기어(191)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165)는 제2 암부 기어(17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암부 기어(172)와 셔터부 기어(191)의 중간에 중계 기어(193)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며, 중계 기어(193)는 구획부(116)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암부 기어(172)와 암부 회전축(170)에는 회전력의 전달을 단속하는 클러 치부(17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클러치부(174)가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제2 암부 기어(172)로 전달하면, 제2 암부 기어(172)와 중계 기어(193) 및 셔터부 기어(191)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셔터부(165)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부(174)가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제2 암부 기어(172)로 전달하지 않으면, 제2 암부 기어(172)와 중계 기어(193) 및 셔터부 기어(191)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셔터부(165)가 정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부(174)의 단속 동작은, 셔터부(165)의 구속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암부(161)와 롤러부(162)는 셔터부(165)의 작동 여부와 상관없이 작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셔터부(165)가 후술하는 위치설정부재(166)의 걸림부(166e)에 의해 구속되면, 클러치부(174)가 작동되어 암부 회전축(170)에서 제2 암부 기어(172)로 회전력의 전달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부(174)는, 암부 회전축(170)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1 와셔와, 제1 와셔와의 사이에 제2 암부 기어(172)가 위치되도록 암부 회전축(170)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2 와셔와, 제2 와셔와 제2 암부 기어(172) 사이에 탄성적으로 배치되어 제1,2 와셔에 제2 암부 기어(172)를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암부 기어(172)는 암부 회전축(170)의 타단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중계 기어(193)가 걸림부(166e)에 의해 구속되지 않으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2 와셔와 제2 암부 기어(172)가 밀착된 상태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기어(193)가 걸림부(166e)에 의해 구속되면, 탄성부재의 탄 성력보다 중계 기어(193)의 구속력이 크기 때문에, 제2 암부 기어(172)는 정지되고 제1,2 와셔만 암부 회전축(17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롤러부 회전축(180)과 암부 회전축(170) 사이에는,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롤러부 회전축(18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는 풀리와 벨트, 기어, 또는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가 복수개의 기어들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가 4개의 동력전달기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동력전달기어의 개수와 배치 구조는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즉, 동력전달부재(170a)(161a)(161b)(180a)는, 암부 회전축(170)에 구비된 제1 동력전달기어(170a), 제1 동력전달기어(170a)와 연결되고 암부(161)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 동력전달기어(161a), 제2 동력전달기어(161b)와 연결되고 암부(161)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3 동력전달기어(161b), 및 제3 동력전달기어(161b)에 연결되고 롤러부 회전축(180)에 구비된 제4 동력전달기어(180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력은 제1 동력전달기어(170a)를 통해 제2 동력전달기어(161a)로 전달되고, 제2 동력전달기어(161a)로 전달된 회전력은 제3 동력전달기어(161b)를 거쳐 제4 동력전달기어(180a)로 전달될 수 있다. 제4 동력전달기어(180a)의 회전력은 롤러부 회전축(180)으로 전달되어 롤러부 회전축(180)과 함께 롤러부(162)가 회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넘김 유닛(160)은, 제1 암부 기어(17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부(163), 및 후술하는 위치설정부재(166)의 기어부(166d)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63)는, 구획부(116)에 배치된 제1 모터(163a), 및 제1 모터(163a)의 회전축에 구비되고 제1 암부 기어(171)와 연결된 제1 구동 기어(163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163a)가 작동되면 제1 구동 기어(163b)가 회전되고, 제1 구동 기어(163b)에 의해 제1 암부 기어(171)가 회전된다.
제2 구동부(167)는, 구획부(116)에 배치된 제2 모터(167a), 및 제2 모터(167a)의 회전축에 구비되고 위치설정부재(166)의 기어부(166d)와 연결된 제2 구동 기어(167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터(167a)가 작동되면 제2 구동 기어(167b)가 회전되고, 제2 구동 기어(167b)에 의해 위치설정부재(166)가 회전되며, 위치설정부재(166)와 함께 암부(161)이 회전된다.
도 3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넘김 유닛(160)은, 구획부(116)의 후면에 암부(161)와 대향되도록 구비된 지지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4)는 암부(161)와 롤러부(162)에 의해 넘겨진 종이매체(M)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64)는 롤러부(16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롤러부(162)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164)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지지부(164)들은 단수개의 고정축(164a)에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부(164)들과 롤러부(162)들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64)들과 롤러부(162)들의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M)는, 지지부(164)들과 롤러부(162)들에 의해 다수 절곡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넘김 유닛(160)은,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피인쇄물(P)의 페이지 넘김시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셔터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송 통로(114)의 상부 중 매체 넘김 유닛(160)이 배치되는 부위에는,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를 넘길 수 있도록 페이지 넘김홀부(114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개폐하는 셔터부(165)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송 유닛(120)이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피인쇄물(P)을 이송하면, 셔터부(165)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폐쇄시켜 페이지 넘김홀부(114b)에 피인쇄물(P)이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165)는 피인쇄물(P)의 이송시 페이지 넘김홀부(114b)에 배치됨으로써 이송 통로(114)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매체 넘김 유닛(160)에 피인쇄물(P)의 이송이 완료되면, 셔터부(165)가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개방시켜 암부(161)와 롤러부(162)가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통해 피인쇄물(P)의 페이지를 넘길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 넘김홀부(114b)에 대응되는 이송 통로(114)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118)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함몰부(118)은 이송 통로(114)의 이송면보다 하측에 형성된다.
함몰부(118)는 매체 넘김 모드에서 피인쇄물(P)의 일측(P1)에 롤러부(162)의 패드(181)가 밀착될 경우, 피인쇄물(P)의 일측(P1)이 하측으로 굽혀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매체 넘김 모드시 롤러부(162)의 회전력에 의해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종이매체(M)가 더욱 원활하게 픽업될 수 있다. 즉, 매체 넘김 모드시 롤러부(162)의 패드(181)와의 간섭으로 피인쇄물(P)의 일측(P1)이 함몰부(118)의 내부로 굴곡되면, 피인쇄물(P)의 일측(P1)과 롤러부(162)의 패드(181)가 접촉되는 면의 접선이 지지부(164)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부(162)의 회전력은 피인쇄물(P)의 일측(P1)에 접선을 따라 지지부(164)를 향해 작용되므로,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종이매체(M)이 지지부(164)로 원활하게 넘겨진다.
한편, 셔터부(165)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폐쇄할 수 있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셔터부(165)의 후방부는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셔터부(165)는 필요에 따라 전방부 또는 측방부가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셔터부(165)의 후방부에는 이송 통로(11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셔터부 회전축(190)이 형성될 수 있다. 셔터부 회전축(19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는, 구획부(116)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구획부(116)를 관통한 단부에 셔터부 기어(191)가 구비될 수 있다. 셔터부 기어(191)의 일측에는 위치설정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부(116)에는 위치설정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셔터부 광센서(19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165)의 특정 위치가 셔터부 광센서(192)와 위치설정홀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셔터부(165)의 특정 위 치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완전히 폐쇄하는 위치 또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를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이며, 이하에서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의 폐쇄 위치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셔터부(165)에는 매체 넘김 유닛(160)의 작동시 롤러부(162) 또는 지지부(164)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피홈(165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셔터부(165)는 암부(161)와 롤러부(162)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암부(161) 또는 롤러부(162)와 대응하는 부위에 회피홈(165a)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셔터부(165)는 지지부(164)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부(164)와 대응하는 부위에 회피홈(165a)들이 형성될 수 있다. 회피홈(165a)들은 암부(161), 롤러부(162), 및 지지부(164)의 배치 위치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롤러부(162)와 지지부(164)에는 셔터부(165)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돌기(183)(164b)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162)의 측면에는 제1 위치설정돌기(183)가 형성되며, 지지부(164)의 측면에는 제2 위치설정돌기(164b)가 형성된다.
제1 위치설정돌기(183)는, 페이지 넘김홀부(114b)로 피인쇄물(P)이 진입할 때 셔터부(165)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으며, 셔터부(165)가 회전될 때 셔터부(165)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165)의 폐쇄 위치가 제1 위치설정돌기(183)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위치설정돌기(183)는 롤러부(162)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설 정돌기(183)는 롤러부(16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셔터부(165)의 상부에 밀착되거나 또는 셔터부(165)와 미간섭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위치설정돌기(164b)는, 셔터부(165)가 완전히 개방될 때 셔터부(165)의 상부와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부(165)의 개방 위치가 제2 위치설정돌기(164b)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암부(161)의 일단부에는 제2 구동부(167)의 회전력을 암부(161)에 전달함과 아울러 암부(161)의 회전시 암부(161)의 최대 회전 위치를 기구적으로 설정하는 위치설정부재(166)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설정부재(166)는 암부(161)의 일단부에 형성된 호형상의 부재이며, 암부(161)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위치설정부재(166)에는 암부(161)의 회전 각도에 따라 구획부(116)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간섭부(166c)가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166c)와 구획부(116)의 간섭 위치는,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암부(161)의 위치이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를 서로 대향시키는 위치에 암부(161)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설정부재(166)는 호 형상의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의 기어들로 이루어진 기어부(166d)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166d)는 제2 구동부(167)의 제2 구동 기어(167b)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동 기어(167b)의 회전력은 기어부(166d)를 통해 위치설정부재(166)로 전달될 수 있고, 위치설정부재(166)과 함께 암부(161)가 회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위치설정부재(166)에는 간섭부(166c)와 구획부(116)의 간섭시 중계 기어(193)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부(166e)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66e)는 중계 기어(193)의 기어들에 결합되는 쇄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위치설정부재(166)의 회전시 중계 기어(193)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암부(161)의 회전시 위치설정부재(166)의 간섭부(166c)가 구획부(116)의 전면에 걸림되면,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걸림부(166e)가 중계 기어(193)에 결합되어 중계 기어(193)가 구속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암부 기어(171)에는 제1 위치설정홀(171a)이 형성될 수 있고, 구획부(116)에는 제1 위치설정홀(17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광센서(171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센서(171b)가 제1 위치설정홀(171a)를 감지함으로써, 암부 회전축(170)의 회전수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설정부재(166)에는 제2 위치설정홀(166a)이 형성될 수 있고, 구획부(116)에는 제2 위치설정홀(166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광센서(166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광센서(166b)가 제2 위치설정홀(166a)를 감지함으로써, 암부(161)의 회전수를 인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구획부(116)의 전방부에 배치된 이송 통로(114) 상에는 매체 넘김 유닛(160)에 출입되는 피인쇄물(P)을 감지하는 제1 이송 센서(168)가 배치될 수 있고, 구획부(116)의 후방부에 배치된 이송 통로(114) 상에는 매체 넘김 유닛(160)의 내부에 배치된 피인쇄물(P)을 감지하는 제2 이송 센 서(169)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송 센서(168)는, 프린트 유닛(130)에서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이송되는 피인쇄물(P)을 감지할 수 있고, 매체 넘김 유닛(160)에서 프린트 유닛(130)으로 이송되는 피인쇄물(P)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이송 센서(169)는, 매체 넘김 유닛(160)의 내부로 이송되는 피인쇄물(P)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송 센서(168)와 제2 이송 센서(169)를 이용하면, 매체 넘김 유닛(160)이 작동되는 피인쇄물(P)의 적정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 장치(100)의 출입구(112)에 인쇄할 면을 펼친 상태로 피인쇄물(P)을 투입한다. 그러면, 이송 유닛(120)의 제1 이송부(122)가 피인쇄물(P)을 프린트 유닛(130)으로 이송하고, 이송 통로(114)의 인쇄홀부(114a)의 하측에 피인쇄물(P)의 인쇄할 부분을 위치시킨다.
이송 유닛(120)의 제2 이송부(124)는 프린트 유닛(130)에 의해 인쇄가 수행됨에 따라 피인쇄물(P)의 위치를 이송하여 피인쇄물(P)의 인쇄 가능한 면에 인쇄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린트 유닛(130)이 장시간 작동되면, 피인쇄물(P)의 인쇄할 수 있는 영역에 인쇄가 모두 이루어져 피인쇄물(P)에 인쇄 가능한 영역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피인쇄물(P)의 인쇄 영역이 부족하면, 제2 이송부(124)는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피인쇄물(P)을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페이지 넘김 방법을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 장치(100)의 페이지 넘김 방법은 피인쇄물 진입 단계, 제1 위치 설정 단계, 매체 넘김 단계, 제2 위치 설정 단계, 매수 감지 단계, 및 피인쇄물 배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피인쇄물 진입 단계에서는, 제2 이송부(124)를 작동시켜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피인쇄물(P)을 진입시킬 수 있다. 이때,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진입되는 피인쇄물(P)은 이송 통로(114) 상에 배치된 제1 이송 센서(168)와 제2 이송 센서(169)에 차례로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송 센서(168)와 제2 이송 센서(169)에 피인쇄물(P)이 모두 감지된 후 제1 이송 센서(168)에 피인쇄물(P)이 미감지되면, 제2 이송부(124)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매체 넘김 유닛(16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매체 넘김 유닛(160) 내에 배치되는 피인쇄물(P)의 위치는, 제1 이송 센서(168)와 제2 이송 센서(169)에 피인쇄물(P)이 감지된 이후 제2 이송 센서(169)에만 피인쇄물(P)이 감지되는 위치이다. 이때, 피인쇄물(P)의 일측(P1)은 이송 통로(114)의 페이지 넘김홀부(114b)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피인쇄물(P)의 이송 방향과 롤러부(162)의 장반경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암부(161)의 단부에 롤러부(16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롤러부(162)의 단반경 부위가 페이지 넘김홀부(114b)와 대향되는 위치로 롤러부(162)가 배치된다. 왜냐하면, 피인쇄물(P)의 이송 방향과 롤러부(162)의 장반경이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으면, 매체 넘김 유닛(160)으로 진입되는 피인쇄물(P)이 롤러부(162)의 패 드(181)와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페이지 넘김홀부(114b)는 셔터부(165)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2 이송부(124)에 의해 페이지 넘김홀부(114b)로 피인쇄물(P)이 이송되더라도 페이지 넘김홀부(114b)에 피인쇄물(P)이 걸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셔터부(165)는 롤러부(162)에 형성된 제1 위치설정돌기(183)에 의해 상부가 눌려진 상태이므로, 페이지 넘김홀부(114b)의 상측으로 셔터부(165)가 임의로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위치 설정 단계에서는, 피인쇄물(P)의 일측(P1)에 배치된 종이매체(M) 상에 롤러부(162)가 위치되는 제1 위치에 암부(161)를 배치하기 위하여 암부(161)를 하측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즉, 제2 모터(167a)가 정방향으로 작동되면 제2 구동 기어(167b)도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구동 기어(167b)의 정방향 회전력에 의해 위치설정부재(16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위치설정부재(166)와 함께 암부(161)도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암부(161)은 암부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하향 선회되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넘김 단계에서는, 롤러부(16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으로 종이매체(M)를 넘길 수 있다. 이때, 셔터부(165)는 셔터부 회전축(190)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어 페이지 넘김홀부(114b)는 개방된 상태이고, 롤러부(162)의 제1 위치설정돌기(183)는 롤러부(162)가 회전됨에 따라 셔터부(165)의 상부에 밀착되는 위치에서 셔터부(165)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셔터부(165)는 상측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부(162)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피인쇄물(P)의 일측(P1)에 배치된 종이매체(M)들은 롤러부(162)의 패드(181)에 의해 롤러부(162)의 회전 방향으로 말려 올라간다. 이때, 피인쇄물(P)의 일측(P1)은 롤러부(162)의 패드(181)에 의해 함몰부(118)로 굽혀지기 때문에, 롤러부(162)의 패드(181)가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들 중 최상측의 종이매체(M)를 더욱 쉽게 말려 올릴 수 있다.
매체 넘김 단계에서 동력 전달 경로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1 모터(163a)가 정방향으로 작동되어 제1 구동 기어(163b)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구동 기어(163b)의 정방향 회전력에 의해 제1 암부 기어(17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 암부 기어(171)의 역방향 회전력은 암부 회전축(170)에 전달된다.
롤러부(162)가 피인쇄물(P)에 밀착된 상태에서 암부(161)의 회전이 정지되고 암부 회전축(170)만 회전되면, 제1 동력전달기어(170a)는 암부 회전축(170)과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동력전달기어(161a)는 제1 동력전달기어(170a)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제3 동력전달기어(161b)는 제2 동력전달기어(161a)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4 동력전달기어(180a)는 제3 동력전달기어(161b)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롤러부 회전축(180)는 제4 동력전달기어(180a)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롤러부(162)는 롤러부 회전축(180)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는 롤러부(162)의 회전력에 의해 피인쇄물(P)의 일측(P1)에서 타측(P2)을 향해 넘겨진다.
상기와 같은 암부 회전축(170)의 역방향 회전력은 제2 암부 기어(172)에 전달되고, 제2 암부 기어(172)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중계 기어(193)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중계 기어(193)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셔터부 기어(191)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셔터부 기어(19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셔터부 회전축(190)도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셔터부 회전축(190)의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셔터부(165)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페이지 넘김홀부(114b)가 개방된다. 이러한 셔터부(165)는 지지부(164)의 제2 위치설정돌기(164b)에 걸려 셔터부(165)의 회전 동작이 제한될 때까지 회전된다.
한편, 롤러부(162)에 의해 피인쇄물(P)의 종이매체(M)가 넘겨지면, 제2 모터(167a)가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제2 구동 기어(167b)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구동 기어(167b)의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위치설정부재(16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위치설정부재(166)와 함께 암부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암부(161)도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암부(161)는 상측으로 선회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후술하는 제2 위치를 향해 회전된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위치 설정 단계에서는, 암부(161)의 초음파 발생부(152a)와 지지부(164)의 초음파 감지부(152b)가 서로 대향되는 제2 위치에 암부(16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는 구획부(116)의 전면에 위치설정부재(166)의 간섭부(166c)가 간섭되는 위치이므로, 암부(161)의 제2 위치가 위치설정부재(166)에 의해 기구적으로 간편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암부(161)가 제2 위치에 배치되면, 복수개의 롤러부(162)와 지지부(164)는 서로 엇갈리게 오버랩되어 롤러부(162)와 지지부(164) 사이에 종이매체(M)가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설정 단계에서 동력 전달 경로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2 모터(167a)에 의해 제2 구동 기어(167b)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구동 기어(167b)의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위치설정부재(166)가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위치설정부재(166)와 함께 암부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암부(16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암부(161)은 제2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상측으로 선회된다.
상기와 같이 암부(161)와 위치설정부재(16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암부(161)이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위치설정부재(166)의 간섭부(166c)가 구획부(116)의 전면에 간섭되어 암부(161)의 제2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위치설정부재(166)의 제2 위치설정홀(166a)이 제2 광센서(166b)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제2 광센서(166b)가 암부(161)의 제2 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위치설정부재(16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위치설정부재(166)의 걸림부(166e)가 중계 기어(193)에 결합되어 중계 기어(193)의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중계 기어(193)가 걸림부(166e)에 의해 회전되지 않으므로, 중계 기어(193)와 함께 셔터부 기어(191)도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중계 기어(193)의 작동이 걸림부(166e)에 의해 구속되면, 제2 암부 기어(172)와 암부 회전축(170)에 배치된 클러치부(174)가 작동되어 제2 암부 기어(172)와 암부 회전축(170)의 동력 전달이 차단된다.
도 9을 참조하면, 매수 감지 단계에서는,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 지부(152b)를 이용하여 넘겨진 종이매체(M)의 매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암부(161)가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도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부(164)와 롤러부(162) 사이에 넘겨진 종이매체(M)가 위치되면 초음파 발생부(152a)와 초음파 감지부(152b) 사이에도 종이매체(M)가 배치된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부(152a)가 초음파를 넘겨진 종이매체(M)로 발사하면, 초음파 감지부(152b)는 넘겨진 종이매체(M)를 통과한 초음파를 전달받아 넘겨진 종이매체(M)의 매수를 감지한다. 특히, 넘겨진 종이매체(M)의 매수 감지에 초음파를 적용하여 종이매체(M)의 매수 감지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피인쇄물 배출 단계에서는, 매수 감지 단계에서 넘겨진 종이매체(M)가 단수매로 감지되면 암부(16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이송 유닛(120)의 제2 이송부(124)가 피인쇄물(P)을 암부(161)로부터 배출시켜 넘겨진 종이매체(M)를 피인쇄물(P)의 타측(P2)으로 넘길 수 있다. 즉, 암부(16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롤러부(162)와 지지부(164) 사이에 배치된 넘겨진 종이매체(M)는 암부(161)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2 이송부(124)에 의해 프린트 유닛(130)으로 피인쇄물(P)이 이송되면 넘겨진 종이매체(M)는 암부(161)에 걸려 피인쇄물(P)의 타측(P2)으로 완전히 넘겨진다.
이때, 피인쇄물(P)의 이송 방향과 롤러부(162)의 장반경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암부(161)의 단부에 롤러부(162)가 배치될 수 있다. 왜냐하면, 피인쇄물(P)의 이송 방향과 롤러부(162)의 장반경이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으면, 프린트 유닛(130)으로 배출되는 피인쇄물(P)이 롤러부(162)의 패드(181)와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피인쇄물 배출 단계에서 동력 전달 경로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2 모터(167a)에 의해 제2 구동 기어(167b)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구동 기어(167b)의 정방향 회전력에 의해 위치설정부재(166)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위치설정부재(166)과 함께 암부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암부(16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암부(161)는 제1 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하측으로 선회된다. 이때, 제1 모터(163a)의 작동에 의해 롤러부(162)가 회전되어 롤러부(162)의 단반경 부위가 피인쇄물(P)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암부(161)가 제1 위치로 복귀되고 롤러부(162)의 위치가 설정되면, 제2 이송부(124)가 피인쇄물(P)을 프린트 유닛(130)으로 이송하며, 제1 이송 센서(168)와 제2 이송 센서(169)에 의해 피인쇄물(P)이 매체 넘김 유닛(160)에서 완전히 배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페이지 넘김 방법은 매체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분리 단계에서는, 매수 감지 단계에서 넘겨진 종이매체(M)가 복수매로 감지되면 롤러부(16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넘겨진 종이매체(M)들에서 일부의 종이매체(M2)를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종이매체(M2)를 피인쇄물(P)의 일측(P1)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매체 넘김 단계에서 동력 전달 경로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1 모터(163a)에 의해 제1 구동 기어(163b)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구동 기어(163b)의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제1 암부 기어(17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 암부 기어(171)의 정방향 회전력은 암부 회전축(170)에 전달된다.
그러나, 위치설정부재(166)의 걸림부(166e)에 의해 중계 기어(193)가 구속된 상태이므로, 클러치부(174)에 의해 제2 암부 기어(172)와 암부 회전축(170)의 동력 전달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암부 회전축(170)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동력전달기어(170a)가 암부 회전축(170)과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동력전달기어(161a)는 제1 동력전달기어(170a)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제3 동력전달기어(161b)는 제2 동력전달기어(161a)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제4 동력전달기어(180a)는 제3 동력전달기어(161b)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부(16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지지부(164)와 롤러부(162)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M)들 중 일부(M2)가 롤러부(162)의 패드(181)에 의해 롤러부(162)의 회전 방향으로 말려 내려가면서 분리된다. 이러한 매체 분리 방식은 매체 넘김 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롤러부(162)에 의한 종이매체(M)들의 분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0)의 페이지 넘김 방법은, 매체 분리 단계가 완료되면 매수 감지 단계를 재실시하여 지지부(164)와 롤러부(162)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M1)의 매수를 다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매수 감지 단계에서 지지부(164)와 롤러부(162)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M1)가 단수매로 감지되면, 피인쇄물 배출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반면에, 매수 감지 단계에서 지지부(164)와 롤러부(162)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M1)가 여전히 복수매로 감지되면, 매체 분리 단계를 또 다시 실시할 수 있다.
즉, 롤러부(162)와 지지부(164)의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M1)의 매수가 단수매로 감지될 때까지, 매체 분리 단계와 매체 감지 단계가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 넘김 유닛(160)이 복수매의 종이매체(M)들을 넘기는 오류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된 인쇄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인쇄 장치(100)와 동일 유사한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200)는, 종이매체가 입출금되는 입출금부(210), 종이매체의 거래 내역 및 각종 정보를 실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220), 각종 금융 거래를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 조작부(230), 및 통장의 각종 정보를 인식함과 아울러 통장에 거래 내역을 인쇄하는 통장처리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통장처리부(240)는 통장에 각종 거래 내역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100)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인쇄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장의 페이지를 한 장씩 정확히 픽업할 수 있으므로, 통장의 페이지 넘김시 페이지의 픽업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장치(100)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인쇄 지연으로 인한 고객의 불만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주요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롤러부와 지지부 사이에 종이매체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이 차례로 도시된 도면,
도 12과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중에서 매체 분리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인쇄 장치 110: 케이싱
120: 이송 유닛 130: 프린트 유닛
150: 매수 감지 유닛 160: 매체 넘김 유닛
200: 금융자동화기기

Claims (5)

  1. 책 형상의 피인쇄물이 이송되는 이송 통로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이송 통로 상에 구비되고,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 일면과 접촉되는 제1위치 및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가 넘김된 상태에서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 타면과 접촉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는 암부;
    상기 암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넘기는 롤러부; 및
    상기 암부의 제2위치에서 상기 롤러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넘김된 인쇄시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암부의 제1위치시 상기 이송 통로의 이송면과 오버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암부의 제2위치시 상기 지지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암부의 제1위치에서는 상기 롤러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를 넘기는 넘김 모드가 실시되고, 상기 암부의 제2위치에서는 상기 롤러가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넘겨진 복수의 인쇄시트를 분리하는 분리 모드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통로의 상부에는 상기 피인쇄물의 인쇄시트가 넘겨질 수 있도록 페이지 넘김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 통로의 하부에는 상기 페이지 넘김홀부와 대향되는 부위에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인쇄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암부의 타단부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싱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들과 상기 롤러부들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인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의 일측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된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패드의 접촉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홈들이 형성된 인쇄 장치.
KR1020090024001A 2009-03-20 2009-03-20 인쇄 장치 KR10109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001A KR101093832B1 (ko) 2009-03-20 2009-03-20 인쇄 장치
CN201080012953.XA CN102362298B (zh) 2009-03-20 2010-03-18 印刷装置和印刷装置的翻页方法
PCT/KR2010/001697 WO2010107268A2 (ko) 2009-03-20 2010-03-18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CL2011002295A CL2011002295A1 (es) 2009-03-20 2011-09-15 Aparato impresor que comprende un gabinete con un conducto de transferencia, un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un dispositivo para girar los medios a imprimir y un dispositivo de deteccion de cantidad de paginas de los medios, donde el dispositivo para girar medios gira la pagina impresa desde un lado al otro lad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001A KR101093832B1 (ko) 2009-03-20 2009-03-20 인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135A KR20100105135A (ko) 2010-09-29
KR101093832B1 true KR101093832B1 (ko) 2011-12-13

Family

ID=4300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001A KR101093832B1 (ko) 2009-03-20 2009-03-20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8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158B1 (ko) 1995-02-08 1999-06-15 사와무라 시코 자동 페이지 넘김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158B1 (ko) 1995-02-08 1999-06-15 사와무라 시코 자동 페이지 넘김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135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71357B (zh) 纸币堆积装置
KR101343679B1 (ko) 지폐분리장치 및 그 방법과 지폐입출금방법
CN109416859B (zh) 接触式推送器/进给轮实现方式
JP5932447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258809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EP0260015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CN109416855B (zh) 用于使文件居中对准的对中去偏斜子组件
KR101258773B1 (ko) 매체 정렬 장치
KR101093832B1 (ko) 인쇄 장치
KR101836305B1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US9617099B2 (en) Paper medium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said paper medium
KR101016487B1 (ko) 인쇄 장치
KR101035193B1 (ko)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JP4925662B2 (ja) 媒体処理機及び紙幣入出金機
KR20060078539A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314388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
JP2011048428A (ja) 紙幣識別装置
KR101399097B1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인식 방법
JP3258509B2 (ja) 紙幣識別装置
JP2013023308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扱装置
KR100442496B1 (ko) 금융자동화 기기의 잼 자동 제거 방법 및 장치
US11807492B2 (en) Align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JPH02225256A (ja) 紙葉類表裏反転装置
KR20100079812A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73603B1 (ko) 프린터의 용지 배출 및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