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937B1 - 용지 이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용지 이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937B1
KR100737937B1 KR1020040067851A KR20040067851A KR100737937B1 KR 100737937 B1 KR100737937 B1 KR 100737937B1 KR 1020040067851 A KR1020040067851 A KR 1020040067851A KR 20040067851 A KR20040067851 A KR 20040067851A KR 100737937 B1 KR100737937 B1 KR 100737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guide
enclosur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367A (ko
Inventor
요시다가즈히코
사토아츠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1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Feeding path after the transfer point and up to the fixing point, e.g. guides and feeding means for handling copy material carrying an unfused toner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5/00Overturn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3Inverting
    • B65H2301/3331Involving forward reverse transporting means
    • B65H2301/33312Involving forward reverse transporting means forward reverse rollers 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10Modular constructions, e.g. using preformed element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저(enclosure)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상기 인클로저에 다른 용지 이송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구비하고, 상기 인클로저에 용지 이송 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있다.
용지 이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인클로저, 용지 이송 경로, 안내부

Description

용지 이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 방법{SHEET TRANSPORT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양면 유닛(two-sided unit)이 장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양면 유닛의 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양면 유닛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양면 유닛의 양면장치 개폐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양면 유닛의 양면장치 개폐부와 유닛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양면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장치를 나타내 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을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3 : 착탈식 커버
14 : 통과구
15 : 회전 지점
16 : 회전 가능한 개폐 커버
18 : 용지 공급 유닛
20 : 용지 공급 유닛 본체
22 : 용지 공급 카세트
24 : 공급 롤
26 : 지연 롤
28 : 이송 경로
30 : 배출구
72 : 이차 전사 백업 롤
80 : 이차 전사 롤
90 : 정착 장치
본 발명은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 이송 장치 및 이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부 및 이 화상 형성부로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 이송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화상 형성부 및 용지 이송부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수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반전되고, 이 용지가 다시 화상 형성부로 이송되어, 그 뒷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용지 반전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용지가 반전되어 양면 인쇄가 행해지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JP-A-10-129912
그러나, 용지 이송 장치에 용지 이송 경로가 형성되면, 용지 이송 장치가 소형화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용지 이송 장치에 용지 이송 경로가 형성되면, 용지 이송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근처에 장착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소형화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된 용지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화된 용지 이송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저(enclosure)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상기 인클로저에 다른 용지 이송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되는 상기 다른 용지 이송 장치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다른 용지 이송 장치가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될 때 용지 이송 경로가 구성되어, 용지 이송 장치의 인클로저와 상기 다른 용지 이송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 및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며 장착되는 인클로저에 설치된 제2 안내부를 구비하고,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클로저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용지 이송 장치가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될 때 용지 이송 경로가 구성되어, 용지 이송 장치의 인클로저와 상기 다른 용지 이송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저 및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되는 다른 용지 이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다른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클로저 및 상기 다른 용지 이송 장치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다른 용지 이송 장치가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될 때 용지 이송 경로가 구성되어, 용지 이송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구비하고, 상기 인클로저에 용지 이송 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되는 상기 용지 이송 장치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용지 이송 장치가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될 때 상기 용지 이송 경로가 구성되어, 화상 형성 장치 및 용지 이송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저 및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되는 용지 이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 이송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용지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클로저 및 상기 용지 이송 장치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용지 이송 장치가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될 때 상기 용지 이송 경로가 구성되어, 화상 형성 장치 및 용지 이송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된 착탈식 커버(13),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후면(도 1의 우측)의 하부에 설치되고 용지를 통과시키는 통과구(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 지점(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개폐 커버(1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예컨대 일단 스테이지(one-stage) 용지 공급 유닛(18)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용지 공급 유닛(18)은 용지 공급 유닛 본체(20) 및 용지가 수용되는 용지 공급 카세트(22)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공급 카세트(22)로부터 용지를 이송하는 공급 롤(24) 및 공급된 용지를 서로 하나씩 분리하는 지연 롤(26)이 상기 용지 공급 카세트(22)의 후단 근처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송 경로(28)는 상기 공급 롤(24)로부터 배출구(30)에 이르는 용지 경로이며, 이 이송 경로(28)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후면(도 1의 우측) 근처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용지 공급 유닛(18)으로부터 후술되는 정착 장치(90)까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이 이송 경로(28) 내의 정착 장치(90)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정합 롤(registration roll)(32)이 이차 전사 롤(80) 및 이차 전사 백업 롤(72)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 롤(34)이 이송 경로(28)의 배출구(30)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 롤(24)에 의해 용지 공급 유닛(18)의 용지 공급 카세트(22)로부터 송출된 용지는 지연 롤(26)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최상층의 용지만이 이송 경로(28)로 안내되고, 이 용지는 정합 롤(32)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의 사이에서 적당한 타이밍에서 토너 화상이 전사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90)에 의해 정착되며, 배출 롤(34)에 의해 상기 용지가 배출구(30)로부터 개폐 커버(16)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부(36)로 배출된다. 배출부(36)는 배출구 부분이 낮고 전방을 향하여(도 1의 좌측 방향으로)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이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실질적으로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은 현상제장치 본체(40) 내에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블랙(black)의 4개 컬러 토너 화상들을 각각 형성하는 현상기 유닛들(42a 내지 42d)을 포함하고 있고, 회전식현상제장치 중심(44)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도 1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회전한다. 각각의 현상기 유닛(42a 내지 42d)은 현상 롤(46a 내지 46d)을 포함하고 있고, 예컨대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48a 내지 48d)에 의해 현상제장치 본체(40)의 법선 방향으로 압압된다.
예컨대 감광체로 이루어진 화상 담지체(50)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현상 롤(46a 내지 46d)이 화상 담지체(50)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들 각각의 외주의 일부가 현상제장치 본체(40)의 외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예컨대 2mm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현상 롤(46a 내지 46d)의 양단에는, 현상 롤(46a 내지 46d)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트래킹 롤(tracking roll)(도시되지 않음)이 현상 롤(46a 내지 46d)과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현상기 유닛(42a 내지 42d)의 현상 롤(46a 내지 46d)은 회전식현상제장치 중심(44)에 대하여 90°의 간격으로 현상제장치 본체(4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현상 롤(46a 내지 46d)의 트래킹 롤들이 화상 담지체(50)의 양단에 설치된 플랜지(도시되지 않음)들에 접하고 있으며, 현상 롤(46a 내지 46d)과 화상 담지체(5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는 동안 화상 담지체(50) 상의 잠상이 각 컬러의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예컨대 대전 롤로 이루어지고 화상 담지체(50)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장치(52)가 화상 담지체(5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담지체 크리너(54)가 화상 담지체(50)의 회전 방향의 대전 장치(52)의 상류측에서 화상 담지체(50)와 접하고 있다. 화상 담지체 크리너(54)는 일차 전사 후에 화상 담지체(50)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내는 크리너 블레이드(56) 및 이 크리너 블레이드(56)에 의해 긁어내어진 토너를 수집하는 토너 수집 병(58)을 포함하고 있다.
부수적으로, 토너 수집 병(58)의 후면측(도 1에서는 우측)에 예컨대 리브 (rib) 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측은 용지가 완만하게 이송되도록 굽어진 표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송 경로(28)를 구성한다.
레이저빔과 같은 광빔에 의해 대전 장치(52)에 의해 대전된 화상 담지체(50)에 잠상을 기록하는 노광 장치(60)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에 의해 시각화된 토너 화상을 일차 전사 위치에서 일차 전사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을 후술하는 이차 전사 위치로 이송하는 중간 전사 장치(62)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장치(62)는 예컨대 중간 전사 벨트와 같은 중간 전사체(64), 일차 전사 롤(66), 권취 롤(68), 권출 롤(70), 이차 전사 백업 롤(72), 스크레이퍼(scraper) 백업 롤(74), 및 브러시(brush) 백업 롤(76)을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체(64)는 예컨대 탄성을 가지며, 회전식 현상기 유닛(38) 위쪽에서 장변 및 단변을 갖도록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펼쳐져 있다. 또한, 중간 전사체(64)는 중간 전사체(64)의 장변 아래쪽이면서 일차 전사 롤(66)의 하류측에 배치된 권취 롤(68)과 일차 전사 롤(66)의 하류측에 배치된 권출 롤(70) 사이의 감김 상태에서 화상 담지체(50)에 접하는 화상 담지체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화상 담지체(50)의 회전을 추종하도록 소정의 범위로 화상 담지체(50) 주위에 감겨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체(64)는 일차 전사 롤(66)에 의해 화상 담지체(50) 상의 토너 화상을 예컨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순서로 반복하여 일차 전사하고, 일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후술하는 이차 전사 롤(80)로 이송한다.
한편, 권취 롤(68)과 권출 롤(70)은 화상 담지체(5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체(64)의 후면측(도 1의 우측)에는 권출 롤(7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에 의해 평면부(단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평면부가 이차 전사부가 되며 이송 경로(28)에 면하고 있다.
한편, 중간 전사체(64)와 이송 경로(28) 사이의 각도가 예컨대 이차 전사부에서 12°가 되도록 권출 롤(70)이 배치되어 있다.
스크레이퍼 백업 롤(74)은 후술하는 스크레이퍼(scraper)(84)가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64) 상에 남아 있는 토너를 긁어내는 것을 보조하고, 브러시 백업 롤(76)은 후술하는 브러시 롤(86)이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64) 상에 남아 있는 토너를 긁어내는 것을 보조한다.
예컨대 반사형 광센서와 같은 센서(78)가 개폐 커버(14)의 후면측(내측)에 고정되어 있고, 중간 전사체(64)의 장변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78)는 중간 전사체(64) 상에 형성된 토너의 패치(patch)를 판독하고, 회전 방향에서의 중간 전사체(64)의 위치를 검출하고, 토너의 농도를 검출한다.
이차 전사 롤(80)은 이송 경로(28)를 통하여 중간 전사 장치(62)의 이차 전사 백업 롤(72)과 대향하고 있다. 즉,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 사이의 위치가 이차 전사부에서의 이차 전사 위치이며, 이차 전사 롤(80)은 중간 전사체(64)에 일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이차 전사 백업 롤(72)의 보조로 이차 전사 위치에서 용지에 이차 전사한다. 여기에서, 중간 전사체(64)가 세번 회전하는 동안, 즉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의 3개 컬러의 토너 화상들이 전사되는 동안에, 이차 전사 롤(80)은 중간 전사체(64)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블랙의 토너 화상이 전 사될 때 이차 전사 롤이 중간 전사체(64)에 접촉하게 된다. 부수적으로,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 사이에 소정의 전위차가 생기며, 예컨대 이차 전사 롤(80)이 고전압을 갖게 되는 경우에 이차 전사 백업 롤(72)은 접지(GND) 등에 접속된다.
중간 전사체 크리너(82)는 이차 전사 위치와는 반대측에서 중간 전사 장치(62)와 접촉하고 있다. 중간 전사체 크리너(82)는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64) 상에 남아 있는 토너를 긁어내어 깨끗이 하는 스크레이퍼(84), 스크레이퍼(84)에 의하여 깨끗하게 한 후에 잔류하는 토너를 더 긁어내는 브러시 롤(86), 및 스크레이퍼(84)와 브러시 롤(86)에 의해 긁어내어진 토너를 수집하는 토너 수집 병(88)을 구비하고 있다. 스크레이퍼(84)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브러시 롤(86)은 예컨데 도전성 처리된 아크릴 브러시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중간 전사체(64)가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기간 동안에는 스크레이퍼(84)와 브러시 롤(86)이 중간 전사체(64)로부터 격리되어 있으며, 소정의 타이밍에서 일체로 중간 전사체(64)와 접하게 된다.
정착 장치(90)는 이차 전사 위치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90)는 가열 롤(92)과 가압 롤(94)을 포함하며,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에 의해 용지에 이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그 용지에 정착시키고, 그 용지를 배출 롤(34)로 이송한다. 정착부(95)에는 정착 장치(90)와 배출 롤(34)이 일체화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커버(13)가 제거되면, 정착부(95)의 후면측(도 1의 우측)이 노출된다.
화상 형성부(96)에는 중간 전사 장치(62), 화상 담지체(50), 대전 장치(52), 화상 담지체 크리너(54), 및 중간 전사체 크리너(82)가 집적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96)는 개폐 커버(16)의 배출부(36) 바로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예컨대 중간 전사 장치(62)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38)과 정착 장치(9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화상 형성부(96)는 개폐 커버(16)를 개방함으로써 착탈된다.
도 2는 양면 유닛(98)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나타내고 있다.
양면 유닛(98)은 양면장치 본체(102)와 이 양면장치 본체(102)의 상부의 착탈식 유닛 커버(104)를 포함하고 있으며, 커버(13)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제거된 후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전방 상부에 장착된다.
양면장치 본체(102)에서는, 반전 롤(106)이 전방 상부(도 2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반전 롤(106)은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출 롤(34)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즉, 반전 롤(106)은 배출 롤(34)보다 정착 장치(90)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전 롤(106)은 배출 롤(34)보다 큰 압력으로 용지를 유지하며, 후술하는 기어들(136a 내지 136d)을 통하여 반전 모터(108)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전 이송 경로(110)는 반전 롤(106)로부터 통과구(14)를 통하여 정합 롤(32)에 이르는 용지 경로이며, 반전 이송 경로(110)는 정착부(95)의 위쪽에 형성된 부분과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방 외측에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반전 이송 경로(110)에는, 이송경로 전환 플레이트(112)가 배출 롤(34)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송 경로 전환 플레이트(112)는, 정착 장치(90)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가 배출 롤(34)이나 반전 롤(106)을 향하여 안내되도록 전환된다. 반전 이송 경로(110)에서 이송 경로 전환 플레이트(112)의 하류측에 이송 롤들(114 및 116)이 배치되어 있다. 이송 모터(118)는 반전 롤(106)과는 독립적으로 이송 롤들(114 및 116)을 구동한다.
따라서, 양면 인쇄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이송 경로 전환 플레이트(112)에 의해 반전 롤(106) 쪽으로 안내된 용지는, 용지의 후단이 정착 장치(90)로부터 송출될 때까지, 반전 롤(106)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방으로 송출되고, 용지의 후단이 정착 장치(90)로부터 송출되면, 반송 롤(106)이 반전되고 용지가 이송 롤(114)로 안내된다. 이송 롤(114)로 안내된 용지는 이송 롤(116) 및 통과구(14)를 통하여 다시 정합 롤(32)로 복귀된다. 용지는 정합 롤(32)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적당한 타이밍에서 토너 화상이 전사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90)에 의해 정착되고, 용지가 이송 경로 전환 플레이트(112)에 로 안내되어 개폐 커버(16)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부(36)로 반송 롤(106)에 의해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옵션으로서 양면 유닛(98)이 장착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양면 인쇄를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용지가 배출부(36)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이송 경로 전환 플레이트(112)는 용지를 배출 롤(34)이나 반송 롤(106)로부터 배출되도록 전환한다.
다음에, 양면 유닛(98)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양면 유닛(98)의 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양면 유닛(9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양면장치 본체(102)를 포함하며, 착탈식 커버(104)가 양면장치 본 체(10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양면장치 개폐부(120)가 양면장치 본체(102)의 외측에 설치되어, 반송 이송 경로(110)의 수직 부분이 개폐된다. 도 4는 양면 유닛(98)의 내부(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와 대향하는 장착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상부 외측 가이드(130)가 양면 유닛(98)의 내측에 노출되어 있다.
도 5 내지 7은 반전 이송 경로(110) 근방의 양면 유닛(98)의 구조를 나타낸다. 반전 이송 경로(110)는 양면 유닛(98)의 외측에서 용지를 안내하는 외측 안내부(122)와 양면 유닛(98)의 내측에서 용지를 안내하는 내측 안내부(124)를 포함하고 있다. 외측 안내부(122)는 예컨대 양면장치 개폐부(120)에 설치된 리브 형상의 외측 가이드(126), 양면장치 본체(102)에 설치된 리브 형상의 하부 외측 가이드(128), 및 유닛 커버(104) 아래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리브 형상의 상부 외측 가이드(130)를 포함하고 있다. 내측 안내부(124)는, 외측 가이드(126)와 하부 외측 가이드(128)에 실질적으로 대향하고 양면장치 본체(102)에 설치된 내측 가이드(132) 및 반전 롤(106)의 근방에서 용지를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상부 내측 가이드(134)를 포함하고 있다.
이송 롤들(114 및 116)은 외측 가이드(126)와 내측 가이드(132) 사이로 용지를 이송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 롤(106)은 예컨대 4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양면장치 본체(102)의 위쪽에 배치된 기어(136a 내지 136d)를 통하여 반전 모터(108)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 유닛(98)에서는, 상부 외측 가이드(130)의 하면이 반전 이송 경로(110)에 노출되어 있다. 즉, 내측 가이드(132)와 상부 내측 가이드(134) 사이의 부분이 양면 유닛(98)의 상부의 하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도 8은 정착부(95)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정착부(95)는 가열 롤(92), 가압 롤(94) 등을 수용하는 정착장치 수용부(138) 및 배출 롤(34)을 수용하는 배출롤 수용부(14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예컨대 리브 형상의 외측 가이드(142)가 정착부(95)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양면 유닛(98)의 이송 경로 전환 플레이트(112)가 삽입되는 전환 플레이트 구멍(144)이 정착장치 수용부(138)와 배출롤 수용부(1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양면 유닛(98)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서 정착부(95)에 장착되면, 정착부(95)의 외측 가이드(142)는 내측 가이드(132)와 상부 내측 가이드(134) 사이의 개방부에 배치된다. 즉,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커버(13)가 제거되고 양면 유닛(98)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장착되면, 정착부(95)의 외측 가이드(142)는 내측 가이드(132)와 상부 외측 가이드(134) 사이에 배치되어, 반전 이송 경로(110)가 구성된다(도 2, 6, 및 7 참조).
다음에, 양면 유닛(98)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화상 형성 신호가 보내지면, 대전 장치(52)에 의해 화상 담지체(50)가 균일하게 대전되고,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광빔이 노광 장치(60)로부터 대전된 화상 담지체(50)로 조사된다. 노광 장치(60)로부터의 광빔이 화상 담지체(50)의 표면을 노광하여 잠상을 형성한다. 노광 장치(60)에 의해 형성된 화상 담지체(50)의 잠상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에 의해 현상되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 화상들을 형성하고, 이들은 중간 전사체(64)로 중첩되어 일차 전사된다. 상기 일차 전사에서, 화상 담지체(50) 상에 잔류하는 폐기 토너는 화상 담지체 크리너(54)에 의해 긁어내어져서 수집된다.
한편, 용지 공급 신호 등에 의거하여, 용지 공급 카세트(22)에 수용된 용지가 공급 롤(24)에 의해 송출되고, 지연 롤(26)에 의해 분리되어 이송 경로(28)로 안내되고, 정합 롤(32)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적당한 타이밍에서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 사이의 위치로 안내된다. 용지가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 사이의 위치로 안내되면, 중간 전사체(64)로 일차 전사된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롤(80) 및 이차 전사 백업 롤(72)에 의해 용지에 이차 전사된다.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64) 상에 잔류하는 폐기 토너는 중간 전사체 크리너(82)에 의해 긁어내어져서 수집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정착 장치(90)로 안내되고, 토너 화상이 가열 롤(92) 및 가압 롤(94)에 의한 가열 및 가압에 의해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이송 경로 전환 플레이트(112)로 안내되고 반전 롤(106)로 안내된다. 반전 롤(106)로 안내된 용지는, 용지의 후단이 정착 장치(90)로부터 송출될 때까지 반전 롤(106)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방으로 송출되며, 용지의 후단이 정착 장치(90)로부터 송출되면, 반전 롤(106)이 반전되어, 용지가 반전 이송 경로(110)로 안내되고 이송 롤(114)을 향하여 안내된다. 이송 롤(114 및 116)은 용지를 아래쪽으로 이송하고 다시 정합 롤(32)로 안내한다. 토너 화상이 정합 롤(32)로 안내된 용지 상에 다시 전사되고, 용지는 정착 장치(90)를 통하여 이송 경로 전환 플레이트(112)로 안내되고, 반전 롤(106)에 의해 배출부(36)로 배출된다.
또한, 양면 유닛(98)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를 배출 롤(34)에 의해 배출구(30)로부터 배출부(36)로 배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를 나타낸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한다.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회전 지점(14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이송부(148)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지점(1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수동 바이패스 트레이(152)가 이송부(148)의 회전 지점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수동 바이패스 트레이(152)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픽업 롤(154)이 수동 바이패스 트레이(152)의 이송부(148) 측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후방(도 9의 우측) 하부에는 후면 커버(15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예컨대 옵션으로서 후술하는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이 장착되어 있다.
이송 경로(28)는 픽업 롤(154)로부터 배출 롤(34)에 이르는 용지 경로이며, 이송 경로(28)는 수동 바이패스 트레이(152)로부터 정착 장치(90)까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위쪽에 형성된다.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 사 백업 롤(72)은 이송 경로(28) 상에서 정착 장치(90)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정합 롤(32)은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픽업 롤(154)에 의해 수동 바이패스 트레이(152)로부터 송출된 용지중 최상층 용지만이 이송 경로(28)로 안내되고 정합 롤(32)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되며, 토너 화상이 적당한 타이밍에서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 사이를 통하여 전사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90)에 의해 정착되고, 용지가 배출부(36)로 배출된다. 배출부(36)는, 배출구 부분이 낮고 전방(도 9의 좌측)을 향하여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서,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중심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담지체(50)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38)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예컨대 대전 롤로 이루어지고 화상 담지체(50)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장치(52)는 화상 담지체(50)의 후방(도 9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담지체 크리너(54)는 화상 담지체(50)의 회전 방향으로 대전 장치(52)의 상류측에서 화상 담지체(50)와 접하고 있다. 화상 담지체 크리너(54)는 일차 전사 후에 화상 담지체(50)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내는 크리너 블레이드(56) 및 이 크리너 블레이드(56)에 의해 긁어내어진 토너를 수집하는 토너 수집 병(5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컨대 토너 수집 병(58)의 후면(도 9의 우측)에는 리브(rib) 등이 형성되어 있고, 이 후면은 용지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곡면으로 되어 있고 이송 경 로(28)를 구성한다.
레이저빔과 같은 광빔으로 대전 장치(52)에 의해 대전된 화상 담지체(50)에 잠상을 기록하는 노광 장치(60)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뒤쪽(도 9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에 의해 시각화된 토너 화상을 일차 전사 위치에서 일차 전사하고 이를 이차 전사 위치로 이송하는 중간 전사 장치(62)가 화상 담지체(50)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중간 전사 장치(62)는 예컨대 중간 전사 벨트와 같은 중간 전사체(64), 일차 전사 롤(66), 권취 롤(68), 권출 롤(70), 이차 전사 백업 롤(72), 및 벨트 크리너 백업 롤(158)로 이루어진다. 중간 전사체(64)는 예컨대 탄성을 가지며, 화상 담지체(50)의 위쪽에서 장변 및 단변을 갖도록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펼쳐져 있다.
벨트 크리너 백업 롤(158)은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64) 상에 잔류하는 토너의 후술하는 벨트 크리너 롤(132)(132)로의 전사를 보조한다. 중간 전사체 크리너(82)는 이차 전사 위치의 반대측에서 중간 전사 장치(62)와 접하고 있다. 중간 전사체 크리너(82)는 예컨대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64)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내는 브러시 롤(86), 브러시 롤(86)이 긁어낸 후에 잔류하는 토너를 더 전사함으로써 크리닝을 수행하는 벨트 크리너 롤(160), 벨트 크리너 롤(160)로 전사된 토너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162), 및 긁어내어진 토너를 수집하는 토너 수집 병(88)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중간 전사 장치(62)의 위쪽이면서 이차 전사 위치의 하류측에 정착 장 치(90)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전방(도 9의 좌측) 부근에는 전원부(164)가 배치되어 화상 형성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한다.
화상 형성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166)가 전원부(164)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96)에는, 중간 전사 장치(62), 화상 담지체(50), 대전 장치(52), 화상 담지체 크리너(54), 및 중간 전사체 크리너(82)가 집적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96)는 정착 장치(90)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송부(148)를 개방함으로써 착탈할 수 있다.
다음에, 옵션으로서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을 장착함으로서 용지 이송 경로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옵션으로서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과 이들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을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용지 공급 유닛(168)은 용지 공급 유닛 본체(20)와 용지가 수용되는 용지 공급 카세트(22)를 포함하고 있다. 용지 공급 카세트(22)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픽업 롤(172)은 용지 공급 유닛(168)의 용지 공급 카세트(22)의 후단 부근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유닛 이송 안내부(174)는 픽업 롤(172)의 후방(도 10의 우측)에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리브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유닛 가이드(176)가 유닛 이송 안내부(174)의 내측(도 10의 좌측)에 노출되어 있고, 이송 롤(178a 및 180a)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 롤(178a 및 180a)은 후술하는 이송 롤(178b 및 180b)과 함께 하부로부 터 상부로 용지를 이송하도록 회전한다. 또한, 용지 통과구(182)가 이송 롤(178a 및 180a)의 아래쪽이면서 용지 공급 유닛(168)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용지 공급 유닛(170)은 용지 공급 유닛 본체(20) 및 용지가 수용되는 용지 공급 카세트(22)를 포함하고 있다. 용지 공급 카세트(22)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픽업 롤(184)이 용지 공급 유닛(170)의 용지 공급 카세트(22)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공급 롤(24)과 공급된 용지를 하나씩 서로 분리하는 지연 롤(26)이 용지 공급 카세트(22)의 후단 부근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용지 통과 롤(186)이 공급 롤(24) 및 지연 롤(26)의 부근이면서 용지 공급 유닛(170)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후면 커버(15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제거되면, 예컨대 리브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본체 후면(188)과 이 본체 후면(188)의 위쪽에 배치된 용지 통과구(190)가 노출된다. 이송 롤(178b 및 180b)은 본체 후면(18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은 용지 통과구(182 및 186)가 서로 대향하면서 겹치고, 용지 공급 유닛(168)의 상면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장착되면, 용지 공급 유닛(168)의 유닛 가이드(176)는 본체 후면(188)과 대향한다. 또한, 이송 롤(178a 및 180a)은 본체 후면(188)에 장착된 이송 롤(178b 및 180b)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공급 유닛(168)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되면, 본체 후면(188)과 유닛 가이드(176)가 용지를 안내하는 가이 드가 되고, 픽업 롤(172)로부터 이송 롤(178a, 178b, 180a, 및 180b) 및 용지 통과구(190)를 경유하여 정합 롤(32)까지 용지 이송 경로(192)가 구성된다. 또한, 용지 통과구(182 및 186)가 서로 대향하면서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이 겹쳐서 장착되어, 용지 공급 유닛(170)으로부터 송출된 용지는 용지 통과구(182 및 186)를 통하여 용지 이송 경로(192)로 안내된다.
다음에,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이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화상 형성 신호가 제어부(166)로부터 보내지면, 화상 담지체(50)가 대전 장치(5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광빔이 노광 장치(60)로부터 대전된 화상 담지체(50)에 조사된다. 노광 장치(60)로부터의 광빔은 화상 담지체(50)의 표면을 노광하여, 잠상이 형성된다. 노광 장치(60)에 의해 형성된 화상 담지체(50)의 잠상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에 의해 현상되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 화상들을 형성하고, 이들은 중간 전사체(64)로 중첩되어 일차 전사된다. 일차 전사에서, 화상 담지체(50) 상에 잔류하는 폐기 토너는 화상 담지체 크리너(54)에 의해 긁어내어져서 수집된다.
한편, 제어부(166)가 수동 바이패스 트레이(152)로부터의 용지 공급을 선택하는 경우에, 수동 바이패스 트레이(152)에 수용된 용지가 픽업 롤(154)에 의해 송출되고, 이송 경로(28)로 안내되고, 정합 롤(32)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다음에 적당한 타이밍에서 이차 전사 롤(80)과 이차 전사 백업 롤(72) 사이의 위치로 안내된다.
또한, 제어부(166)가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중 하나로부터의 용지 공급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용지 공급 유닛(168 및 170)중 하나에 수용된 용지가 용지 이송 경로(192)로 안내되고, 정합 롤(32)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되고, 적당한 타이밍에서 이차 전사 롤(80) 및 이차 전사 백업 롤(72) 사이의 위치로 안내된다.
용지가 이차 전사 롤(80) 및 이차 전사 백업 롤(72) 사이의 위치로 안내되면, 중간 전사체(64)로 일차 전사된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롤(80) 및 이차 전사 백업 롤(72)에 의해 용지에 이차 전사된다.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64) 상에 잔류하는 폐기 토너는 중간 전사체 크리너(82)에 의해 긁어내어져서 수집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정착 장치(90)로 안내되고, 가열 롤(92) 및 가압 롤(94)에 의한 가열 및 가압을 통하여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출 롤(34)에 의해 배출부(36)로 배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용지 이송 장치에 있어서, 다른 용지 이송 장치가 용지를 반전시키는 양면 유닛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용지 이송 장치는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공급 유닛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클로저(enclosure)에 장착된 양면 유닛 또는 용지 공급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
용지 이송 장치에 있어서, 다른 용지 이송 장치는 인클로저로부터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 안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지 안내 유닛이 인클로저에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용지 이송 장치를 장착하면 인클로저로부터 다른 용지 이송 장치로 용지를 안내할 수 있어, 인클로저를 소형화할 수 있 다.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인클로저는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하는 정착 장치를 적어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지 이송 장치가 정착 장치 근처에 설치되더라도, 화상 형성 장치 및 용지 이송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인클로저는 용지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용지 이송 장치는 용지를 반전시켜서 배출하는 용지 반전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용지 반전 배출 유닛은 용지 배출 유닛보다 정착 장치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토너 화상이 고화하여 용지에 강하게 정착되기 전에 용지 반전 배출 유닛에 의해 토너 화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 반전 배출 유닛은 용지 배출 유닛보다 큰 압력으로 용지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지를 반전시키는 기구를 용지를 반전시킬 필요가 없는 용지 배출 유닛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지 이송 장치는 인클로저로부터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지 안내부가 인클로저에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용지 이송 장치를 장착하면, 인클로저로부터 용지 이송 장치로 용지를 안내할 수 있어,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 이송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용지 이송 장치가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Claims (20)

  1.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를 갖는 인클로저(enclosure)를 가지며,
    상기 인클로저에 양면 유닛이 부착되며,
    상기 양면 유닛은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제2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에 의해서 용지 이송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유닛이 상기 인클로저로부터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 안내 유닛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 장치.
  7.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저(enclosure);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는 용지 이송 장치; 및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를 포함하는 용지 이송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 이송 장치가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저(enclosure); 및
    상기 인클로저에 장착되는 용지 이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 이송 장치가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용지 이송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용지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지 이송 장치는 용지를 반전시켜서 배출하는 용지 반전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지 반전 배출 유닛이 상기 용지 배출 유닛보다 상기 정착 장치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반전 배출 유닛은 상기 용지 배출 유닛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상기 용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이송 장치가 상기 인클로저로부터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 안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상부에 있는 정착 유닛에 양면 유닛을 장착하는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양면 유닛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면 유닛에 설치된 내측 가이드와 상부 내측 가이드 사이에 상기 정착 유닛의 외측 가이드가 배치되어, 반전 이송 경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방법.
  14.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용지를 안내하는 제1 안내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저(enclosure);
    상기 인클로저의 노출 부분을 덮는 커버부; 및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용지를 안내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는 용지 이송 장치를 구비하고,
    용지 이송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지 이송 장치는 상기 커버부가 제거된 부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가 상기 인클로저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은 정착 장치 부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정착 장치의 외측 안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는 양면 유닛에 설치된 내측 가이드이고, 상기 정착 유닛의 상기 외측 안내부와 상기 내측 가이드가 용지를 핀치(pinch)하며 상기 용지의 반전 이송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의 하부에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 공급 카세트가 설치되고,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 공급 카세트로부터 상기 정착 장치로 공급하는 이송 경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장치는 상기 인클로저의 상부에 설치되고, 용지를 반전시키는 브랜치(branch)가 상기 이송 경로의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전 이송 경로의 일부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제1 안내부를 갖는 인클로저를 가지며,
    상기 인클로저에 용지 공급 유닛이 부착되며,
    상기 용지 공급 유닛은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제2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에 의해서 용지 이송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 장치.
KR1020040067851A 2003-09-29 2004-08-27 용지 이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조립 방법 KR100737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37795 2003-09-29
JP2003337795A JP4496519B2 (ja) 2003-09-29 2003-09-29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367A KR20050031367A (ko) 2005-04-06
KR100737937B1 true KR100737937B1 (ko) 2007-07-13

Family

ID=3437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851A KR100737937B1 (ko) 2003-09-29 2004-08-27 용지 이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조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067773A1 (ko)
JP (1) JP4496519B2 (ko)
KR (1) KR100737937B1 (ko)
CN (1) CN100492190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7268A2 (ko) * 2009-03-20 2010-09-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KR101016487B1 (ko) 2009-03-26 2011-02-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인쇄 장치
KR101035193B1 (ko) 2009-03-26 2011-05-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4770A1 (en) * 2001-04-06 2002-10-10 Stephane Mabit Carrier-less patch protection including cassette and separation process
JP4381960B2 (ja) * 2004-03-15 2009-12-09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676164B2 (ja) * 2004-05-14 2011-04-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02074B2 (ja) * 2007-04-13 2013-06-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1526793B (zh) * 2008-03-07 2011-01-12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双面打印装置
JP5219628B2 (ja) * 2008-05-28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77394B2 (ja) * 2009-02-16 2012-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5135371B2 (ja) * 2010-03-19 2013-0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中継ユニット
JP5549312B2 (ja) * 2010-03-26 2014-07-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片面用画像形成装置及び両面用画像形成装置
JP5942575B2 (ja) * 2012-05-10 2016-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205306B2 (ja) * 2014-04-25 2017-09-27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媒体搬送装置の組み立て方法
US10954087B2 (en) * 2016-09-12 2021-03-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path
JP6882872B2 (ja) * 2016-09-21 2021-06-02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7119894B2 (ja) * 2018-10-24 2022-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5076A (ja) * 1992-10-22 1994-05-17 Tokyo Electric Co Ltd プリンタの用紙案内装置
JPH06250464A (ja) * 1993-02-22 1994-09-09 Fuji Xerox Co Ltd 用紙反転整合装置
JPH10129912A (ja) 1996-10-28 1998-05-19 Fuji Xerox Co Ltd 用紙反転装置
JPH1121027A (ja) 1997-07-02 1999-01-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058762A (ja) 1999-08-20 2001-03-06 Kyocer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1312111A (ja) 2000-04-28 2001-11-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234A (ja) * 1989-07-19 1991-03-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シート収納装置
US5280331A (en) * 1990-02-13 1994-01-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both-surface frame including a retractable re-feeding path unit
US5272511A (en) * 1992-04-30 1993-12-21 Xerox Corporation Sheet inserter and methods of inserting sheets into a continuous stream of sheets
US5337134A (en) * 1992-08-11 1994-08-09 Fujitsu Limited Sheet inverting unit and an imaging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3110662B2 (ja) * 1994-11-07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436435B2 (ja) * 1995-02-22 2003-08-11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シリコーン組成物の硬化方法
US5839032A (en) * 1996-03-08 1998-11-1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electably controlled sheet discharge paths
US6308952B1 (en) * 1998-01-27 2001-10-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aper sheet discharge apparatus
JP2001302114A (ja) * 2000-01-11 2001-10-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410962B2 (ja) * 2001-07-03 2010-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549741B2 (en) * 2001-08-07 2003-04-1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Carr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175648A (ja) * 2001-09-28 2003-06-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215874A (ja) * 2002-01-22 2003-07-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8289530B2 (en) * 2002-08-28 2012-10-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device with replaceable paper handling accessory
JP2004107008A (ja) * 2002-09-18 2004-04-08 Fuji Xerox Co Ltd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5076A (ja) * 1992-10-22 1994-05-17 Tokyo Electric Co Ltd プリンタの用紙案内装置
JPH06250464A (ja) * 1993-02-22 1994-09-09 Fuji Xerox Co Ltd 用紙反転整合装置
JPH10129912A (ja) 1996-10-28 1998-05-19 Fuji Xerox Co Ltd 用紙反転装置
JPH1121027A (ja) 1997-07-02 1999-01-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058762A (ja) 1999-08-20 2001-03-06 Kyocer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1312111A (ja) 2000-04-28 2001-11-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7268A2 (ko) * 2009-03-20 2010-09-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WO2010107268A3 (ko) * 2009-03-20 2010-11-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KR101016487B1 (ko) 2009-03-26 2011-02-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인쇄 장치
KR101035193B1 (ko) 2009-03-26 2011-05-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장치의 페이지 넘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04621A (ja) 2005-04-21
US20050067773A1 (en) 2005-03-31
CN100492190C (zh) 2009-05-27
KR20050031367A (ko) 2005-04-06
CN1603970A (zh) 2005-04-06
JP4496519B2 (ja)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937B1 (ko) 용지 이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조립 방법
KR20050003876A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20050003877A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0547128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4687642B2 (ja) 画像形成装置
US7130561B2 (en) Image forming device
JP365478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323006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23074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1350307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131426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2005164793A (ja) 画像形成装置
EP4068002A1 (en) Manual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33748B2 (en) Detachably attached recording medium supplying apparatus with laterally attached conveying par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103541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3101270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3131425B2 (ja) 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3103554B1 (ja) 個別ユニット
JP3103543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2000047505A (ja) 画像形成装置の転写装置
JP3103542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とそれに用いる中間転写ベルトユニット
JP3101272B1 (ja) 個別ユニット
JP3103555B1 (ja) 個別ユニット
JP2005104706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103556B1 (ja) 個別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