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415A -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 Google Patents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415A
KR20140037415A KR1020120103163A KR20120103163A KR20140037415A KR 20140037415 A KR20140037415 A KR 20140037415A KR 1020120103163 A KR1020120103163 A KR 1020120103163A KR 20120103163 A KR20120103163 A KR 20120103163A KR 20140037415 A KR20140037415 A KR 2014003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lignment
paper medium
aligning
convey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원
김기황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7415A/ko
Publication of KR2014003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매체 인식 장치는,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에는 종이매체의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장치본체; 및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얼라인(align)시키는 얼라인부;를 포함하며, 얼라인부는, 이송 경로의 형성 방향으로 종이매체를 반송시키는 반송 롤러; 및 반송 롤러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얼라인 롤러;를 포함하며, 반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는 상호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라인부의 반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종이매체의 이송 및 얼라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Apparatus to recognize paper and method to align the paper thereof}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얼라인부의 반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종이매체의 이송 및 얼라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채 얼라인 방법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 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와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금융 자동화기기 중 수표의 여러 정보를 인식하는 수표 인식 장치가 있는데, 이러한 수표 인식 장치는 사용자가 은행의 출구를 통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표를 입금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수표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 그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수표 인식 장치는 일반적으로 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수표의 정보를 읽은 후 기록하고 아울러 수표에 프린팅함로써 수표에 소정 정보를 기입하기도 한다. 보통 수표의 앞면 하단에는 수표번호, 일련번호, 계정번호 등의 수표 고유 정보가 자기잉크문자(Magnetic Ink Character)로 기록되어 있는데 수표 인식 장치 내에는 MICR과 같은 구성이 장착되어 수표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또한 프린터가 내장되어 계좌 정보 또는 날짜 등을 수표에 기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표 인식 장치를 통해, 수표를 인식할 때 인식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표가 얼라인된 상태로 이송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수표 인식 장치 내에는 수표의 인식 전에 수표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얼라인하는 얼라인부가 있는데, 종래의 얼라인부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여 공간 사용을 많이 하였고 이로 인해 장치 사이즈를 증대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표를 얼라인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도 만만치 않게 걸려 수표 인식에 소요되는 시간이 전체적으로 길어지는 문제점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러서, 컴팩트하면서도 수표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얼라인부를 구비한 종이매체 인식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얼라인부의 반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종이매체의 이송 및 얼라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채 얼라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반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가 상호 가로되는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본체 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매체 인식 장치는,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에는 종이매체의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얼라인(align)시키는 얼라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형성 방향으로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시키는 반송 롤러; 및 상기 반송 롤러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종이매체를 상기 얼라인 기준면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얼라인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상호 연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얼라인부의 반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종이매체의 이송 및 얼라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반송 롤러의 축과 상기 얼라인 롤러의 축은 베벨 기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반송 롤러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반송 롤러의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얼라인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베벨 기어는 상기 반송 롤러의 축에 형성된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얼라인 롤러의 축에 형성된 제2 기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부재의 기어수와 상기 제2 기어부재의 기어수는 일대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반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비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반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의 일회전 시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얼라인 롤러의 협지 구간이 상기 반송 롤러의 협지 구간에 대해 2배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반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상하 및 좌우 대칭인 비원형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반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의 회전 시 상기 반송 롤러와 상기 종이매체의 협지가 이루어지고 일정 시간 지난 후 상기 얼라인 롤러와 상기 종이매체의 협지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반송 롤러와 상기 얼라인 롤러 사이에는 위상차가 존재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얼라인부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종이매체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 및 상기 얼라인 기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얼라인 기준면에 대한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근 감지 센서에 상기 종이매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얼라인부의 작동이 실행되고, 상기 복수 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들 중 적어도 2개에서 상기 종이매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 완료되었음을 판단하여 상기 얼라인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라인부의 반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종이매체의 이송 및 얼라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가 상호 가로되는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본체 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인식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셔터 및 픽업 롤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얼라인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얼라인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 도면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반송 롤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얼라인 롤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반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회전 각도에 따른 협지 구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종이매체로 수표가 입금되고 이를 인식하는 수표 인식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되, 종이매체의 종류가 수표에 한정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인식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셔터 및 픽업 롤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얼라인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얼라인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 도면이고,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반송 롤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얼라인 롤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반송 롤러 및 얼라인 롤러의 회전 각도에 따른 협지 구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매체 인식 장치(100), 즉 수표 인식 장치(100)는, 수표(P)의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장치본체(101)와, 장치본체(101)의 입구(103)에 장착되는 셔터(110)와, 셔터(110)를 통해 인입된 수표(P)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부(120)와, 픽업된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 도 3 참조)에 얼라인(align)시키는 얼라인부(130)와, 얼라인된 수표(P)의 이매 여부를 검지하는 이매 검지부(160)와, 수표(P)의 진위를 인식하는 진위 인식부(170)와, 수표(P)에 배서하는 배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셔터(1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입금 등의 부분을 누른 후 입구에 수표(P)를 입금시키면 개방되며, 이를 통해 셔터(110)로부터 시작되는 장치의 이송 경로(105)로 수표(P)가 들어갈 수 있다.
셔터(110)의 개방과 함께 픽업 롤러부(120)는 작동하여 셔터(110) 내로 인입된 수표(P)를 픽업시키고 픽업된 수표(P)는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픽업 롤러부(120)와 셔터(110)는 상호 작동한다. 즉, 셔터(110)의 개방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픽업 롤러부(120)는 수표(P)를 픽업할 수 있는 상태로 작동한다.
부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03)의 바로 후미에 셔터(110)가 구비되며, 픽업 롤러부(120)는 셔터(1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장치본체(101) 내에 장착되어 셔터(110)의 개방 시 인입된 수표(P) 픽업시킬 수 있다. 이 때 셔터(110) 구동을 위해 셔터 구동부(115)가 장착되고, 픽업 롤러부(120)의 구동을 위해 롤러 구동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셔터(110) 전의 입구(103)에 장착되어 수표(P)의 입금 여부를 감지하는 인입 감지부(117)와, 픽업 롤러부(120)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 경로(105)를 따라 이동하는 수표(P)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127)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전술한 메인 제어부(190)는 인입 감지부(117) 및 위치 감지부(127)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롤러 구동부(125) 및 셔터 구동부(11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수표(P)의 인입을 인입 감지부(117)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제어부(190)는 셔터 구동부(115)를 구동시켜 셔터(110)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메인 제어부(190)는 롤러 구동부(125)를 구동시켜 픽업 롤러부(120)의 픽업 롤러(121)가 텐션 롤러(122)에 접촉하여 셔터(110)를 통해 인입된 수표(P)가 이송 경로(105)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에의 수표 인식 장치(100)의 경우, 수표(P)가 낱장씩 인입된 후 처리되는데, 수표(P)가 위치 감지부(127)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셔터(110)는 차단되고, 아울러 롤러 구동부(125) 및 셔터 구동부(115)의 구동력 제공이 해제되어 픽업 롤러부(120) 및 셔터(110)는 픽업을 위한 픽업 상태(도 2b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도 2a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수표(P)의 추가 인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구동부(115, 125)의 구동에 의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130)는 픽업 롤러부(120)에 의해 이송 경로(105)로 픽업된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으로 얼라인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130)의 경우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신속하게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어 수표(P) 인식 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부(130)에 대해서는 다른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얼라인부(130)에 의해 얼라인된 수표(P)는 얼라인부(130) 후미에 장착된 이매 검지부(160)에 의해 이매 여부를 검사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매 검지부(160)는 초음파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수표(P)가 낱장으로 이송되는지 아닌지를 파악할 수 있다.
수표(P)의 이매 검지 이후, 진위 인식부(170)에 의해서 수표(P)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진위 인식부(170)는, 수표(P)의 양면의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CIS(Contact Image Sensor) 센서(173)와, 수표(P)의 자성을 인식하여 수표(P)의 진위를 파악하는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센서(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진위 인식부(170)에 의해 인식한 결과, 수표(P)가 정상인 경우 수표(P)는 후술할 배서부(180)에서 배서된 후 다시 배출되거나 또는 수표(P)를 보관하는 별도의 스택부(미도시)에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서부(180)는, 수표(P)에 배서를 하는 부분으로서, 수표(P)에 배서하기 위한 잉크를 배출하는 잉크 노즐(미도시), 잉크 노즐의 맞은편에 배치되어 클리너 역할을 하는 잉크 클리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잉크 클리너는 잉크를 흡수하여 잉크 노즐의 마름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잉크 노즐로부터 잉크를 닦아줌으로써 잉크 노즐을 클리닝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130)는, 픽업 롤러부(120)와 이매 검지부(160)의 사이의 이송 경로(105) 상에 배치되어 픽업 롤러부(120)에 의해 픽업된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으로 얼라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얼라인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 경로(105)의 형성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수표(P)를 반송시키는 반송 롤러(131)와, 반송 롤러(131)의 가로 방향, 더 정확하게는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얼라인 롤러(135)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얼라인 구동 모터(1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송 롤러(131)의 축(131a)과 얼라인 롤러(135)의 축(135a)은 베벨 기어(132)로 연결되며, 따라서 얼라인 구동 모터(137)에 의해 반송 롤러(131)의 축(131a)을 회전시키는 경우 얼라인 롤러(135)까지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표(P)를 이송 경로(105)의 형성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동시에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반송 롤러(1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31a)에 한 쌍 장착된다. 그리고 한 쌍의 반송 롤러(131)가 장착된 축(131a)이 2개 구비되어 이송 경로(105)의 형성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축(131a)은, 연결 벨트(138)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후술할 얼라인 구동 모터(137)에 의해 하나의 축(131a)이 회전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축(131a) 역시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롤러(131)가 회전하는 경우, 반송 롤러(131)의 회전 방향 즉 이송 경로의 형성 방향으로 수표(P)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한 쌍의 반송 롤러(131)가 장착된 2개의 축(131a) 사이에 얼라인 롤러(135)가 장착된다. 얼라인 롤러(135)는 반송 롤러(131)의 회전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반송 롤러(131)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 방향으로 밀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반송 롤러(131)에 의해 수표(P)가 이송되는 동작 및 얼라인 롤러(135)에 의해 수표(P)가 이송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대로 이루어짐으로써 수표(P)의 반송 및 얼라인이 효율적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반송 롤러(131)가 장착된 하나의 축(131a)과 얼라인 롤러(135)가 장착된 축(135a)이 베벨 기어(132)로 연결됨으로써 얼라인 구동 모터(137)의 구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반송 롤러(131)의 축(131a)에 베벨 기어(132)의 제1 기어부재(133)가 장착되고, 얼라인 롤러(135)의 축(135a)에 베벨 기어(132)의 제2 기어부재(134)가 장착됨으로써 얼라인 구동 모터(137)의 구동력 제공에 의해 반송 롤러(131)의 축(131a)이 회전하는 경우, 제1 기어부재(133)에 맞물린 제2 기어부재(134)가 회전함으로써 얼라인 롤러(135)가 장착된 축(135a)이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반송 롤러(131)의 1회전 시 얼라인 롤러(135) 역시 1회전할 수 있도록 제1 기어부재(133)의 기어수와 제2 기어부재(134)의 기어수는 일대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어부재(133, 134)들의 기어수 비율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반송 롤러(131)에 의해 수표(P)가 이송되는 동작 및 얼라인 롤러(135)에 의해 수표(P)가 이송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 다른 비원형을 갖는다.
반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는 상하 및 좌우 대칭인 비원형 구조를 갖되, 수표(P)와의 실제적인 협지 구간이 얼라인 롤러(135)에서 더 크게 발생되도록 얼라인 롤러(135)가 반송 롤러(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형상을 갖는다.
도 5a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상의 원(S1)을 기준으로 할 때 얼라인 롤러(135)가 가상의 원과 대응하는 부분이 반송 롤러(131)가 가상의 원(S1)에 대응하는 부분에 비해 2배 크다.
따라서, 도 6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히, 반송 롤러(131)와 수표(P) 간의 협지가 일정 시간동안 이루어진 다음에, 이어서 얼라인 롤러(135)와 수표(P) 간의 협지가 전술한 일정 시간의 2배의 시간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반송 롤러(131)에 의해 수표(P)가 이송 방향으로 일구간(D1) 이동된 후, 이어서 얼라인 롤러(135)에 의해 수표(P)가 얼라인 기준면(130S) 방향으로 일구간의 2배 구간(D3)만큼 이동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반송 롤러(131)와 얼라인 롤러(135)가 반송력을 수표(P)에 전달하지 못하는 구간(D2)이 발생되는데, 이는 반송 롤러(131)와 얼라인 롤러(135)의 위상차 때문이다. 즉, 반송 롤러(131)에 의한 수표(P) 이송 이후 수표(P)는 잠깐 멈추었다가 얼라인 롤러(135)에 의해 이송되는데, 이를 통해 수표(P)에 이송 방향 및 얼라인 방향으로 동시에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표(P)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130)는, 반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의 상호 구동에 따라서 수표(P)가 얼라인될 때 얼라인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복수 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얼라인 감지 센서(140)가 2개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의 얼라인 감지 센서(140)들은, 얼라인 기준면(130S)을 따라 2개 배치되며, 이러한 2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140) 모두에 수표(P)가 감지될 때 수표(P)의 얼라인이 완료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 감지 센서(140)들은 각각 광센서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광신호의 송수신 여부에 따라 수표(P)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광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면 수표(P)가 얼라인 기준면(130S)에 접촉되었다는 것이고, 광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표(P)의 얼라인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얼라인 감지 센서(140)들에 의해서 수표(P)의 얼라인 완료를 감지하면, 제어부(190)는 얼라인부(130)의 작동을 멈춤으로써 수표(P)가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수표 인식 장치(100)의 수표 얼라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표 인식 장치의 수표 얼라인 방법은, 얼라인부 작동 실행 단계와, 얼라인 단계와, 얼라인 여부 감지 단계와, 얼라인부 중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 작동 실행 단계 시, 얼라인부(130)의 선단에 위치하는 이송 경로(105) 상에서 접근 감지 센서(미도시)가 수표(P)의 진입을 감지하는 경우 얼라인부(130)의 작동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얼라인 단계 시, 얼라인부(130)의 반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가 상호 연동함으로써 수표(P)를 얼라인 기준면(130S)에 얼라인시킬 수 있다. 이 때 반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는 위상차를 가지며 수표(P)를 교대로 각각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얼라인 감지 단계 시, 얼라인 기준면(130S)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140)를 통해 얼라인 기준면(130S)에 대한 수표(P)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얼라인 감지 센서(140) 모두에 수표(P)가 감지되어야 얼라인 완료로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얼라인부 작동 중지 단계 시, 얼라인 감지 센서(140)들에 의해 얼라인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얼라인부(130)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이에 따라 수표(P)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얼라인부(130)의 반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수표(P)의 이송 및 얼라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수표(P)의 얼라인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반송 롤러(131) 및 얼라인 롤러(135)가 상호 가로되는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본체(101) 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수표 인식 장치 110 : 셔터
115 : 셔터 구동부 120 : 픽업 롤러부
125 : 롤러 구동부 130 : 얼라인부
131 : 반송 롤러 132 : 베벨 기어
135 : 얼라인 롤러 137 : 얼라인 구동 모터
140 : 얼라인 감지 센서 160 : 이매 검지부
170 : 진위 인식부 180 : 배서부
190 : 제어부

Claims (7)

  1. 종이매체를 인식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에 있어서,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에는 종이매체의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 기준면으로 얼라인(align)시키는 얼라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형성 방향으로 상기 종이매체를 반송시키는 반송 롤러; 및
    상기 반송 롤러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종이매체를 상기 얼라인 기준면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얼라인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상호 연동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롤러의 축과 상기 얼라인 롤러의 축은 베벨 기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얼라인부는,
    상기 반송 롤러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반송 롤러의 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얼라인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 기어는 상기 반송 롤러의 축에 형성된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얼라인 롤러의 축에 형성된 제2 기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부재의 기어수와 상기 제2 기어부재의 기어수는 일대일로 형성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비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반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의 일회전 시 상기 종이매체에 대한 상기 얼라인 롤러의 협지 구간이 상기 반송 롤러의 협지 구간에 대해 2배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는 상하 및 좌우 대칭인 비원형 구조로 마련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롤러 및 상기 얼라인 롤러의 회전 시 상기 반송 롤러와 상기 종이매체의 협지가 이루어지고 일정 시간 지난 후 상기 얼라인 롤러와 상기 종이매체의 협지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반송 롤러와 상기 얼라인 롤러 사이에는 위상차가 존재하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부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종이매체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 및
    상기 얼라인 기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얼라인 기준면에 대한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근 감지 센서에 상기 종이매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얼라인부의 작동이 실행되고, 상기 복수 개의 얼라인 감지 센서들 중 적어도 2개에서 상기 종이매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 완료되었음을 판단하여 상기 얼라인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종이매체 인식 장치.
KR1020120103163A 2012-09-18 2012-09-18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KR20140037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163A KR20140037415A (ko) 2012-09-18 2012-09-18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163A KR20140037415A (ko) 2012-09-18 2012-09-18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415A true KR20140037415A (ko) 2014-03-27

Family

ID=5064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163A KR20140037415A (ko) 2012-09-18 2012-09-18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74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551A (ko) * 2020-10-13 2022-04-2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입금기의 얼라인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551A (ko) * 2020-10-13 2022-04-2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입금기의 얼라인모듈
US11807492B2 (en) 2020-10-13 2023-11-07 Hyosung TNS Inc. Align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1538A (ko)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US10710827B2 (en) Contact stripper/feed wheel implementation
US10773912B2 (en) Center de-skew subassembly to center align documents
KR100980075B1 (ko)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KR101258773B1 (ko) 매체 정렬 장치
JP5932447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409857B1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CN107301722B (zh) 可换向且能处理异常钞的纸币传输通道装置
US10665064B2 (en) Single continuous belt in an escrow subassembly
KR20140037415A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US11542111B2 (en) Center de-skew subassembly to center align documents
KR10096157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7565A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얼라인 방법
KR101399097B1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인식 방법
JP2013023308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扱装置
US11807492B2 (en) Align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US11370229B2 (en) Dual side printing with one print head
KR20240047544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KR10107632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인식장치 및 수표인식방법
KR101556328B1 (ko)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KR101943600B1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셔터 작동 방법
KR101093832B1 (ko) 인쇄 장치
KR20160041537A (ko) 지폐 자동정렬장치
KR20070088881A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프린터 가이드 구조
JP2008120481A (ja) 媒体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